KR101850106B1 -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 및 이를 가지는 펜스 - Google Patents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 및 이를 가지는 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106B1
KR101850106B1 KR1020170091381A KR20170091381A KR101850106B1 KR 101850106 B1 KR101850106 B1 KR 101850106B1 KR 1020170091381 A KR1020170091381 A KR 1020170091381A KR 20170091381 A KR20170091381 A KR 20170091381A KR 101850106 B1 KR101850106 B1 KR 101850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main body
vertical bar
art cap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1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성에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성에코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성에코테크
Priority to KR10201700913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1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17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with vertical cross-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06Caps or covers for posts
    • E04H2017/00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스의 수직바 상단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에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일체로 마련되고, 디자인이 구현됨으로써 상기 펜스에 대한 장식미를 부가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다른 본체에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펜스에 나란하도록 다수로 마련되는 상기 수직바 각각의 상단에 상기 본체가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본체 각각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수직바의 배열방향을 따라 일렬로 결합되도록 한,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 및 이를 가지는 펜스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펜스의 수직바에 설치되어 펜스의 미감을 높이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주변 경관을 해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펜스의 사용 제약을 해소할 수 있고, 수직바 각각에 설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사용함에 따라 틀어지거나 회전을 일으키게 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내구성이 뛰어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직바의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 및 이를 가지는 펜스{Art cap for vertical bar of fence and fenc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 및 이를 가지는 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펜스의 수직바에 설치되어 펜스의 미감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수직바 각각에 설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사용함에 따라 틀어지거나 회전을 일으키게 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내구성이 뛰어나도록 하는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 및 이를 가지는 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펜스는, 집, 도로 가장자리 또는 도로의 중앙에 설치하여 경계를 표시하거나 특정 장소에 침입을 막아 보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울타리로서, 그 외 공원이나 각종 장소에서 동식물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하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펜스는 그 사용 용도에 따라 높낮이가 다르게 설치되고, 재질은 목재, 금속재가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목재는 외부로부터 장기간 노출되게 되면 노출부위가 썩게 되고, 썩은 부위는 쉽게 부러지게 되어 다른 것으로 교체해야 하므로, 유지보수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이유로 인해, 최근에는 부식에 강한 스텐인레스 스틸이나 알루미늄 또는 도장된 철재 등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펜스는 수직재가 그대로 존재할 경우, 미감을 해칠 뿐만 아니라, 주변 경관을 경직되게 하여, 이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장식적인 요소가 부가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된 기술로는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16269호의 "울타리 기둥용 뚜껑의 장식부재 결합구조"가 제시된 바 있다. 이는 내부가 하방으로 개구된 중공이면서 상면부에 상하로 관통된 구멍을 가진 뚜껑본체와, 하부에 뚜껑본체에 삽입되는 목부를 구비하여 뚜껑본체에 조립되는 장식부재로 구성된 울타리 기둥용 뚜껑에 장식부재를 결합하는 구조에 있어서, 상기 목부의 외면 중간부위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뚜껑본체의 구멍 내주면에는 상단에서 중간부위까지 수직을 이루고 그 단부에서 수평한 상태로 직각 절곡되어 상기 장식부재의 돌출부가 끼워지는 요홈을 구비하여 상기 장식부재가 일정한 깊이로 조립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그 자체만으로 펜스의 미감을 높이는데 한계를 가지고, 펜스에서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하는 수직바 각각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펜스에서 수직바에 장식을 위한 부재를 설치시, 수직바 각각에 대한 장식을 위한 부재가 회전을 일으켜서 외관을 해칠 뿐만 아니라, 장식을 위한 부재가 쉽게 이탈되어 내구성을 저하시키는 원인을 초래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펜스의 수직바에 설치되어 펜스의 미감을 높이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주변 경관을 해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펜스의 사용 제약을 해소하고, 수직바 각각에 설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사용함에 따라 틀어지거나 회전을 일으키게 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내구성이 뛰어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직바의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보호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례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펜스의 수직바 상단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에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일체로 마련되고, 디자인이 구현됨으로써 상기 펜스에 대한 장식미를 부가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다른 본체에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펜스에 나란하도록 다수로 마련되는 상기 수직바 각각의 상단에 상기 본체가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본체 각각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수직바의 배열방향을 따라 일렬로 결합되는,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이 제공된다.
상기 고정유닛은,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보강띠가 상하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되며, 상단에 상기 본체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고정유닛에 하부가 일체를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디자인의 테두리를 나타내는 링부재; 상기 링부재의 내측 하부에 상기 고정유닛과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일체로 마련되는 하부장식부재; 및 상기 링부재의 상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마련되는 상부장식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다른 본체의 결합돌기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 각각이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에 의해 다른 본체에 결합시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다른 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직되게 세워져서 다수가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 각각에 상하로 수평되게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수평바; 상기 수직바와 상기 수평바의 연결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연결체의 양측에 수직되게 고정되고,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 및 상기 수직바 각각의 상단에 결합되어 각각이 상기 수직바의 배열방향을 따라 일렬로 결합되는 아트캡;을 포함하고, 상기 아트캡은,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이고, 상기 수직바 각각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열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수직바 각각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열방향을 따라 높이가 동일하도록 설치되는, 아트캡을 가지는 펜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 및 이를 가지는 펜스에 의하면, 펜스의 수직바에 설치되어 펜스의 미감을 높이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주변 경관을 해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펜스의 사용 제약을 해소할 수 있고, 수직바 각각에 설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사용함에 따라 틀어지거나 회전을 일으키게 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내구성이 뛰어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직바의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을 분해하여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아트캡을 가지는 펜스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아트캡을 가지는 펜스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례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례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례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을 분해하여 저면에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10)은 고정유닛(11), 본체(12) 및 결합부(13,14)를 포함할 수 있고, 펜스에 나란하도록 다수로 마련되는 수직바(21) 각각의 상단에 본체(12)가 고정유닛(11)에 의해 각각 설치되고, 본체(12) 각각이 결합부(13)에 의해 수직바(21)의 배열방향을 따라 일렬로 결합될 수 있다.
고정유닛(11)은 펜스의 수직바(21) 상단에 끼워져서 고정되는데, 예컨대 본 실시례에서처럼,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삽입홈(11a)이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보강띠(11b)가 상하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됨으로써 수직바(21)를 삽입홈(11a)에 끼울때 삽입홈(11a)이 팽창력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억제하며, 상단에 본체(12)가 일체로 마련된다. 고정유닛(11)은 수직바(21) 상단이 삽입홈(11a)에 끼워짐으로써 고정되는데, 단단한 고정을 위하여, 억지 끼움 방식, 접착물질, 용접 또는 스크루 결합이나, 그 밖에 별도의 스크루나 볼트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본체(12)는 고정유닛(11)에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일체로 마련되고, 디자인이 구현됨으로써 펜스에 대한 장식미를 부가하도록 한다. 이러한 본체(12)는 일례로 고정유닛(11)에 하부가 일체를 이루도록 마련될 수 있고, 디자인의 테두리를 나타내는 링부재(12a)와, 링부재(12a)의 내측 하부에 고정유닛(11)과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일체로 마련되는 하부장식부재(12b)와, 링부재(12a)의 상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마련되는 상부장식부재(12c)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12)는 고정유닛(11)과의 일체감이 뛰어나면서도 펜스의 풍부한 장식성 구현에 도움을 주도록 한다.
결합부(13,14)는 본체(12)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다른 본체(12)에 서로 결합되도록 한다. 결합부(13,14)는 본체(12)를 서로 연결시키기 위한 다양한 결합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처럼 본체(12)의 일측에 마련되는 결합돌기(13)와, 본체(12)의 타측에 다른 본체(12)의 결합돌기(13)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결합홈(14)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10)은 결합돌기(13)와 결합홈(14) 각각이 형성되도록 본체(12)의 양측에 각각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스페이서(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15)는 각각에 결합돌기(13)와 결합홈(14)이 형성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데, 일례로서 본 실시례에서처럼 본체(12)마다 그 양측에서 형성되는 높이가 다르도록 하여, 본체(12) 간의 결합 위치를 달리함으로써, 설치시 본체(12) 각각의 높이를 상이하게 표현할 수 있고(도 4 참조), 이와 달리, 다른 예로서, 본체(12)마다 그 양측에서 형성되는 높이를 동일하게 하여 본체(12) 간의 결합 위치를 동일하도록 함으로써, 설치시 본체(12) 각각의 높이가 동일하게 표현되도록 할 수 있다(도 5 참조). 또한 본체(12)는 결합돌기(13)와 결합홈(14)에 의해 다른 본체(12)에 결합시 스페이서(15)에 의해 다른 본체(12)로부터 이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10)은 다수로 설치시 본체(12) 간에 스페이서(15)에 의한 유격을 형성함으로써 디자인의 표현력 및 구획력이 뛰어나도록 하여 우수한 미감 구현에 도움을 주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아트캡을 가지는 펜스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아트캡을 가지는 펜스(1)는 수직되게 세워져서 다수가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수직바(21)와, 수직바(21) 각각에 상하로 수평되게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수평바(22)와, 수직바(21)와 수평바(22)의 연결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연결체(21,22)의 양측에 수직되게 고정되고,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23)와, 수직바(21) 각각의 상단에 결합되어 각각이 수직바(21)의 배열방향을 따라 일렬로 결합되는 아트캡을 포함하고, 이러한 아트캡은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10)이고, 수직바(21) 각각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함으로써 배열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수직바(21) 사이에는 보조바(24)가 수직되게 수평바(22)에 의해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수직바(21), 수평바(22), 그리고 지주(23)는 용접이나 볼팅 그 밖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지주(23)는 지중에 설치되는 기초부를 이용하여 지상에 설치되거나, 지중에 직접 박히도록 설치됨으로써 지상에 설치될 수 있다.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10)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앞서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10)은 본 실시례에서처럼 수직바(21) 각각의 상이한 높이에 상응하여 본체(12)의 양측에 형성되는 스페이서(15)의 높이를 달리하도록 하여, 이러한 스페이서(15) 각각에 형성된 결합돌기(13)와 결합홈(14)에 의한 본체(12) 간의 결합 위치가 달라지도록 함으로써, 설치시 높이를 상이하게 표현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아트캡을 가지는 펜스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아트캡을 가지는 펜스(2)는 수직되게 세워져서 다수가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수직바(41)와, 수직바(41) 각각에 상하로 수평되게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수평바(42)와, 수직바(41)와 수평바(42)의 연결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연결체(41,42)의 양측에 수직되게 고정되고,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43)와, 수직바(41) 각각의 상단에 결합되어 각각이 수직바(41)의 배열방향을 따라 일렬로 결합되는 아트캡을 포함하고, 아트캡은 상기한 본 발명의 일 실시례에 따른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30)이고, 수직바(41) 각각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함으로써, 배열방향을 따라 높이가 동일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수직바(41), 수평바(42), 그리고 지주(43)는 이전의 실시례와 마찬가지로, 용접이나 볼팅 그 밖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지주(43)는 지중에 설치되는 기초부를 이용하여 지상에 설치되거나, 지중에 직접 박히도록 설치됨으로써 지상에 설치될 수 있다.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30)은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각각 형성되는 스페이서(35)의 형성 높이가 동일하도록 한 것을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10)과 동일하게, 고정유닛(31), 본체(32), 결합돌기(미도시) 및 결합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고, 나아가서 스페서(35)를 더 포함할 수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30)은 본 실시례에서처럼 수직바(41) 각각의 동일한 높이에 상응하여 본체(32)의 양측에 형성되는 스페이서(35)의 높이를 동일하도록 함으로써, 이러한 스페이서(35) 각각에 형성된 결합돌기(미도시)와 결합홈(미도시)에 의한 본체(32)간의 결합 위치가 동일하도록 함으로써, 설치시 높이를 동일하게 표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 및 이를 가지는 펜스에 따르면, 펜스의 수직바에 설치되어 펜스의 미감을 높이는데 기여할 뿐만 아니라, 주변 경관을 해치지 않도록 함으로써, 펜스의 사용 제약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수직바 각각에 설치되어 서로 결합되는 구조로 인해 아트캡이 사용함에 따라 틀어지거나 회전을 일으키게 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내구성이 뛰어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수직바의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30 : 펜스 기둥용 연결캡 11,31 : 고정유닛
11a : 삽입홈 11b : 보강띠
12,32 : 본체 12a : 링부재
12b : 하부장식부재 12c : 상부장식부재
13 : 결합돌기 14 : 결합홈
15,35 : 스페이서 21,41 : 수직바
22,42 : 수평바 23,43 : 지주
24 : 보조바

Claims (5)

  1. 펜스의 수직바 상단에 끼워져서 고정되는 고정유닛;
    상기 고정유닛에 상방으로 위치하도록 일체로 마련되고, 디자인이 구현됨으로써 상기 펜스에 대한 장식미를 부가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마련되고, 다른 본체에 서로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펜스에 나란하도록 다수로 마련되는 상기 수직바 각각의 상단에 상기 본체가 상기 고정유닛에 의해 각각 설치되고, 상기 본체 각각이 상기 결합부에 의해 상기 수직바의 배열방향을 따라 일렬로 결합되고,
    상기 고정유닛은,
    하방으로 개방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되고, 외주면 둘레를 따라 보강띠가 상하로 간격을 두고서 다수로 형성되며, 상단에 상기 본체가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본체는,
    상기 고정유닛에 하부가 일체를 이루도록 마련되고, 상기 디자인의 테두리를 나타내는 링부재;
    상기 링부재의 내측 하부에 상기 고정유닛과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일체로 마련되는 하부장식부재; 및
    상기 링부재의 상단에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일체로 마련되는 상부장식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본체의 일측에 마련되는 결합돌기; 및
    상기 본체의 타측에 다른 본체의 결합돌기가 결합하도록 마련되는 결합홈;
    을 포함하는,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 각각이 형성되도록 상기 본체의 양측에 각각 돌출되도록 마련되는 스페이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본체가 상기 결합돌기와 상기 결합홈에 의해 다른 본체에 결합시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상기 다른 본체로부터 이격되도록 하는,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
  5. 수직되게 세워져서 다수가 나란하도록 배치되는 수직바;
    상기 수직바 각각에 상하로 수평되게 각각 연결되는 다수의 수평바;
    상기 수직바와 상기 수평바의 연결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연결체의 양측에 수직되게 고정되고,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 및
    상기 수직바 각각의 상단에 결합되어 각각이 상기 수직바의 배열방향을 따라 일렬로 결합되는 아트캡;을 포함하고,
    상기 아트캡은,
    청구항 1항 또는 청구항 4항에 기재된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이고, 상기 수직바 각각의 높이가 상이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열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하도록 설치되거나, 상기 수직바 각각의 높이가 동일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배열방향을 따라 높이가 동일하도록 설치되는, 아트캡을 가지는 펜스.
KR1020170091381A 2017-07-19 2017-07-19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 및 이를 가지는 펜스 KR101850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381A KR101850106B1 (ko) 2017-07-19 2017-07-19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 및 이를 가지는 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1381A KR101850106B1 (ko) 2017-07-19 2017-07-19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 및 이를 가지는 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50106B1 true KR101850106B1 (ko) 2018-04-20

Family

ID=62088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1381A KR101850106B1 (ko) 2017-07-19 2017-07-19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 및 이를 가지는 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10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240Y1 (ko) * 2004-10-29 2005-01-14 임정례 울타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3240Y1 (ko) * 2004-10-29 2005-01-14 임정례 울타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54262A (en) Interchangeable fence construction
KR102252869B1 (ko) 목재지주 하부체 고정용이성과 흔들림 및 소음 발생 방지성이 개선된 목재 펜스
KR101631247B1 (ko) 목재 조립형 울타리 지주
US20090152524A1 (en) Fence stabilization system
KR100520887B1 (ko) 합성틀을 이용한 공동주택 단지 조경 울타리 시공 구조
KR101850106B1 (ko) 펜스 수직바용 아트캡 및 이를 가지는 펜스
KR100730898B1 (ko) 친환경적인 건축단지 조경용 방범울타리구조
KR102092902B1 (ko) 견고성을 갖도록 형성한 조립형 기능성 휀스
KR101967361B1 (ko) 차양 기둥의 보호커버
KR200350282Y1 (ko) 조립식 지주가 구비된 펜스
KR100722782B1 (ko) 조경수를 이용한 건축단지용 방범 울타리구조
KR20200039953A (ko) 철망 고정프레임
KR100885651B1 (ko) 조립형 펜스
KR20110003430U (ko) 도난방지구조를 갖는 배수덮개장치
KR101157772B1 (ko) 울타리용 지주
KR20060088080A (ko) 조립식 펜스
KR200390378Y1 (ko) 펜스
KR100623047B1 (ko) 공동주택용 방범 울타리 구조
JP2604324Y2 (ja) バルコニーの囲い構造
JPH10159395A (ja) 転落防止柵用支柱及びそれを用いた柵体
JPS605069Y2 (ja) 道路用防護柵
KR200216685Y1 (ko) 야외용 천막
JPH0745730Y2 (ja) 簡易フェンス及びその連結具
KR200203596Y1 (ko) 조립하우스
KR200242890Y1 (ko) 조립식 울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