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971B1 - 바람이 통하는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 - Google Patents

바람이 통하는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971B1
KR101849971B1 KR1020160087931A KR20160087931A KR101849971B1 KR 101849971 B1 KR101849971 B1 KR 101849971B1 KR 1020160087931 A KR1020160087931 A KR 1020160087931A KR 20160087931 A KR20160087931 A KR 20160087931A KR 101849971 B1 KR101849971 B1 KR 1018499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holes
ventilation
hole
sol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7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7130A (ko
Inventor
심언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일그린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일그린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일그린텍
Priority to KR1020160087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971B1/ko
Priority to CN201780022609.0A priority patent/CN109247060A/zh
Priority to PCT/KR2017/006467 priority patent/WO2018012748A1/ko
Priority to US16/091,719 priority patent/US10741709B2/en
Priority to EP17827822.2A priority patent/EP3487067B1/en
Publication of KR201800071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71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9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9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00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to or from the device in oper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2Details
    • H01L31/0224Electrodes
    • H01L31/022408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 H01L31/022425Electrodes for devices characterised by at least one potential 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for solar cells
    • H01L31/022433Particular geometry of the grid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01L31/0445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including thin film solar cells, e.g. single thin film a-Si, CIS or CdTe solar cells
    • H01L31/046PV module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in film solar cells deposited on the same substrate
    • H01L31/0468PV modules composed of a plurality of thin film solar cells deposited on the same substrate comprising specific means for obtaining partial light transmission through the module, e.g. partially transparent thin film solar modules for wind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2Cooling mean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integrated Peltier elements for active cooling or heat sink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V cells
    • H01L31/0521Cooling mean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integrated Peltier elements for active cooling or heat sinks directly associated with the PV cells using a gaseous or a liquid coolant, e.g. air flow ventilation, water circul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2Cool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40Thermal components
    • H02S40/42Cooling means
    • H02S40/425Cooling means using a gaseous or a liquid coolant, e.g. air flow ventilation, water circ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6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 H01L31/06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the potential barriers being only of the PN homojunction type, e.g. bulk silicon PN homojunction solar cells or thin film polycrystalline silicon PN homojunction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7Monocrystalline silicon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otovoltaic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는, 셀 기판; 및 상기 셀 기판 상에 형성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층;을 포함하며, 상기 셀 기판 및 광전변환층은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공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바람이 통하는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WHICH WIND GOES THROUGH}
본 발명은 바람이 통하는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에 통공을 구비함으로써 바람이 통할 수 있도록 하여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의 냉각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한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기후변화의 결과는 환경 파괴의 위기와 고(高)유가를 초래하였으며, 동시에 석유에너지의 고갈과 환경오염이 가속화됨에 따라 신재생에너지 및 이와 관련된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과제로 급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실정 하에서 기술개발의 방향은 풍력, 조력, 태양광, 수력 등의 자연에너지를 이용한 신재생에너지 개발에 집중되고 있는데, 태양전지가 그 대표적인 예이다.
태양전지의 종류로는 실리콘 기반의 단결정 및 다결정 태양전지가 있으며, 화합물기반 박막태양전지인 CIGS (Copper indium gallium selenide thin-film solar cells), CdTe (Cadmium telluride thin-film solar cells) 가 있고, 기타 유기물, 염료감응, 나노입자 태양전지가 있으나, 이러한 모든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은 온도가 올라가면 발전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직류전압과 직류전류는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변동하나 직류전압보다는 직류전류가 더 변화를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태양의 직사광선이 직접 도달하는 태양전지나 태양전지 모듈의 표면온도는 우리나라에서는 정오에는 최대 약 55도 까지 올라가기 때문에, 태양전지나 태양전지 모듈의 발생전압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전류가 발생하여, 발전효율이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 경우, 별도의 큰 비용없이 직류전류를 높일 수 있는 방법으로는 바람과 바람의 압력차에 의한 자연 냉각이 있으나, 기존의 태양전지나 태양전지 모듈은 바람이 통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관련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10-2016-0022662호 (공개일 : 2016.03.02)는 태양전지와 태양전지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플레이트 사이에 통풍 공간을 구비하는 특징을 개시하고 있기는 하나, 태양전지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바람이 생성되는 구조가 아니기 때문에 냉각효율을 증대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태양전지나 태양전지 모듈의 기판 상에 통공을 구비함으로써, 바람이 관통하도록 하여 자연 냉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는, 셀 기판; 및 상기 셀 기판 상에 형성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층;을 포함하며, 상기 셀 기판 및 광전변환층은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공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 모듈은, 모듈 기판; 상기 모듈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태양전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기판은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사이의 영역에서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공을 구비한다 .
본 발명은 태양전지나 태양전지 모듈의 기판 상에 통공을 형성함으로써, 바람이 태양전지나 태양전지 모듈의 중심부분을 지나가도록 하여 별도의 냉각장치 없이도, 자연 냉각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냉각효율 증대를 통해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나아가, 깔데기 구조의 부재를 통공에 삽입함으로써, 통공을 지나가는 풍력의 압력차이를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광이 입사되는 면과 그 반대면 사이의 압력 및 온도의 차이가 상승되도록 함으로써 냉각효율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기존의 태양전지나 태양전지 모듈보다 풍 하중에 더욱 강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도 1은 일사량과 온도변화에 따르는 태양전지의 전류변화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2는 태양전지의 온도에 따른 전류/전압 특성에 관한 그래프이다.
도 3은 태양전지와 태양전지 모듈 간의 관계를 나타내는 구조도이다.
도 4a는 종래기술에 따르는 태양전지에 관한 구조도이며, 도 4b는 종래기술에 따르는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구조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태양전지에 관한 구조도이며,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구조도이다.
도 6a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풍향상부재에 관한 구조도이다.
도 7a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풍향상부재가 적용된 태양전지에 관한 구조도이며,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통풍향상부재가 적용된 태양전지 모듈에 관한 구조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통공을 나타내기 위한 태양전지 또는 태양전지 모듈의 단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2를참조하면, 태양전지나 태양전지 모듈은 온도에 따라 그 전압과 전류 특성이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 때, 전압 특성이 낮아지게 되어, 발전효율이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볼 때, 태양전지나 태양전지 모듈이 장시간 햇빛에 노출되어 온도가 높아지게 될 경우, 발전효율이 떨어지게 됨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은 도 3과 같이 구성된다.
도 3에 따르면, 태양전지 모듈(20)은 모듈 기판과 복수의 태양전지(10)(또는 태양전지(10) 셀)로 구성된다. 복수의 태양전지(10)는 행렬 구조로 정렬되어 모듈 기판 상에 형성된다. 예를 들어, 바둑판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각각의 태양전지(10)는 확대해보면, 도 3의 좌측 그림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태양전지(10)는 pn 접합을 이루는 반도체층에 빛이 조사될 경우 전자가 생성되는 광기전효과(photovoltaic effect)를 이용하여 태양광을 직접 전기로 변환하는 반도체 소자이다.
이때, 태양전지(10)는 셀 기판과 셀 기판 상에 형성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층으로 구성된다.
다양한 종류의 태양전지(10)가 존재하나, 일반적인 실리콘 태양전지(10)의 경우, 셀 기판이 p-type 실리콘 기판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광전변환층은 5가의 원소가 열 확산되어 실리콘 기판 전면 상에 형성되는 n-type 반도체층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실리콘 기판에 p-n junction이 형성된다. 이어서, 광전변환층은 실리콘 질화막으로 구성되며, n-type 층 위에 형성되는 반사 방지막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광전변환층은 빛으로부터 변환되어 발생된 전자를 부하에 전달하기 위한 전극을 포함할 수있는데, 전극은 광전변환층의 상부와 하부 방면에 형성되는 전면전극과 후면 전극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실리콘 기판의 경우, 반사 방지막 위의 전면 전극은 일반적으로 아주 얇은 70~100μm 너비를 가지는 여러 가지의 평행선으로 이루어진 핑거바 (Finger bar)와 이에 넓은 (1.5~2m) 너비를 가진 몇 개의 버스바(Busbar)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의 좌측 도면을 참조하면, 핑거바는 종방향으로 형성된, 패턴 표시가 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된다. 버스바는 핑거바와 수직한 횡방향으로 형성되며 패턴 표시가 되지 않은 영역에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더라도 버스바가 핑거바보다 더 넓은 면적으로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전면 전극은 고온의 은 페이스트를 스크린 프린팅으로 인쇄하여 형성된다. 후면 전극은 실리콘 기판의 전체를 알루미늄 페이스트로 도포되어 형성되는데, 알루미늄 후면 전극은 표면이 산화되어서 셀과 셀을 연결하기 위한 금속 리본과의 전기적/기계적 접촉이 좋지 않을 수가 있어서 후면 전극 위에 후면 버스바로 알루미늄/은 페이스트를 스크린 프린팅으로 인쇄하여 형성된다. 전면과 후면의 전극 페이스트는 섭씨 800 도 이상의 온도로 소성되어 형성되며, 이 때 전면 전극의 은 페이스트는 반사 방지막을 뚫고 들어가 n-type 층과 연결되게 된다.
일반적으로 단위 실리콘 태양전지(10) 셀에서 얻을 수 있는 전압은 1V 이하여서 실용적인 수준에 비해 매우 낮다. 이에 따라, 태양전지(10)를 사용하여 전력을 생산하는 실리콘 태양전지 모듈(20)은 소정의 전압과 전류를 발생시키도록 복수 개의 태양전지(10)들을 직렬 및 병렬로 상호 연결하여 제작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태양전지는 상술한 실리콘 태양전지 뿐만 아니라 모든 태양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태양전지(10)의 구조의 경우, 상술한 바와 다르게 불순물처리 되지 않은 유리, 금속 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기판 상에 pn 접합을 구성하는 반도체층을 포함하는 광전변환층이 형성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종래의 태양전지(10)는 셀 기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셀 기판 상에 어떠한 구멍 형성을 위한 가공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에 따라, 도 4a의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게 되더라도,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영역이 없기 때문에 바람이 태양전지(10)를 관통할 수 없다.
또한, 도 4b를 참조하면, 종래의 태양전지 모듈(20) 역시 모듈 기판이 일체로 형성되며 모듈 기판 상에 어떠한 구멍 형성을 위한 가공 처리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그에 따라, 도 4b의 화살표 방향으로 공기가 흐르게 되더라도, 바람이 태양전지 모듈(20)을 관통할 수 없다.
즉, 종래의 태양전지(10)와 태양전지 모듈(20)은 바람이 전지나 모듈을 관통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어, 자연적으로 바람이 생성되지 않으며, 외부로부터 불어온 바람이 발생되더라도 태양전지(10)의 표면을 관통할 수 없기 때문에 냉각효과가 탁월하지 못하다. 또한, 외부로부터 불어오는 바람에 대한 압력을 그대로 전달받기 때문에 풍 하중에 대한 영향이 상당히 크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태양전지(100) 및 태양전지 모듈(200) 상에 통공(110)을 구비함으로써, 자연적으로 바람이 생성되도록 하며, 그 바람이 태양전지(100)의 표면을 관통하여 지나가도록 함으로써 냉각효율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풍 하중에 의한 영향을 줄일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태양전지(100)의 경우, 복수의 통공(110)이 셀 기판 및 광전변환층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를 통해 태양전지(100)의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될 수 있다. 도 5a와 같이 공기 통로에 흐르는 바람의 방향은 후면 방향 또는 전면 방향 등이 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통공(110)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된다. 또한, 복수의 통공(110)은 행렬 구조로 형성되되, 행간 간격은 열간 간격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통공(110)은 태양전지(100)의 전극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태양전지(100)의 전면 전극은 일정한 이격간격을 가지며 횡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버스바와 일정한 이격간격을 가지며 종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핑거바로 구성될 수 있는데, 도 5a와 같이 복수의 버스바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복수의 핑거바 상에도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통공(110)이 핑거바와 버스바의 폭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된다면, 전극을 통해 전기가 외부 부하로 전달되는 경로가 끊기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통공(110)은 핑거바와 버스바의 폭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태양전지 모듈(200)은 모듈 기판과 모듈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태양전지(100)로 구성된다. 이때, 모듈 기판은 복수의 태양전지(100) 사이의 영역에서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는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공(210)을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통공(210)은 서로 일정간격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 좌우 방면으로 서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복수의 태양전지(100)는 행렬 구조로 배치되는데, 복수의 통공(210)은 네 개의 태양전지(100)가 마주하는 꼭지점 영역마다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5b에서는 태양전지(100)가 서로 맞닿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실제로는 서로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이격 공간 상에는 반도체층이나 전극과 같은 광전변환 관련 구성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러한 영역들을 그대로 두지 않고 통공(210)을 형성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태양전지(100)나 태양전지 모듈(200)의 태양과 마주하는 전면은 직접적으로 태양의 복사열을 전달받는 반면, 후면은 직접적인 복사열을 전달받지 않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후면이 전면보다 온도가 낮다. 이러한 환경에서 통공(210)이 구비되어 있을 경우, 온도차에 의한 대류의 영향으로 자연스럽게 통공(210)으로 공기가 이동하게 되며, 이를 통해 자연스러운 바람이 생성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이하, 도 6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통풍향상부재(3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 및 도 6b는 통풍향상부재(300)의 단면도와 구조도이며, 도 7a와 도 7b는 통풍향상부재(300)가 삽입된 태양전지(100)와 태양전지 모듈(200)의 구조도를 나타낸다.
통풍향상부재(300)는 각 통공(110 또는 210)과 대응하여 형성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통공(110 또는 210)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될 수 있다.
통풍향상부재(300)는 도면과 같이 깔데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통풍향상부재(300)는 통공(110 또는 210)과 대응하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삽입부(310)와 삽입부(310)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삽입부(310)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풍압차 발생부(320)로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310)는 도 6a와 같이 태양전지(100)나 태양전지 모듈(200) 상에 삽입되는 구성으로서, 통공(110 또는 210)의 모양과 동일한 모양으로 형성된다.
풍압차 발생부(320)는 태양전지(100)나 태양전지 모듈(200)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되는 구성으로서, 삽입부(310)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삽입부(310)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될수록 이전 직경보다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통풍향상부재(300)의 일 측에서 발생된 풍력 P1과 타 측에서 발생된 풍력 P2 간에는 풍압차이가 발생된다. 왜냐하면, 풍력 P1에서의 공기가 지나가는 면적이 풍력 P2에서 공기가 지나가는 면적보다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공기흐름에 따르는 압력 차이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즉, 단순히 통공(110 또는 210)만 구비되어 있을 경우, 온도차 및 구멍에 의한 영향으로 강제 공기 순환이 발생되지만, 통풍향상부재(300)가 구비될 경우, 그 공기 순환의 속도가 더 빠르게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자연 냉각효과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태양전지(100)나 태양전지 모듈(200)에 외부의 강한 바람이 불어올 경우, 통공(110 또는 210)만 구비되어 있는 경우보다 통풍향상부재(300)를 통해 바람이 통공(110 또는 210)으로 더 쉽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태양전지(100)나 태양전지 모듈(200) 표면에 대한 풍 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태풍과 같은 바람에 의한 자연재해로부터 안전한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추가 실시예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태양전지(100)(또는 태양전지 모듈(200))에 복수의 통풍향상부재(300)가 삽입되는 경우, 일부 통풍향상부재(300)는 풍압차 발생부(320)가 태양전지(100)(또는 태양전지 모듈(200))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삽입되고, 나머지 통풍향상부재(300)는 풍압차 발생부(320)가 태양전지(100)(또는 태양전지 모듈(200))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즉, 각기 다른 방향으로 바람이 발생될 수도 있으므로, 서로 다른 방향으로 통풍향상부재(300)를 삽입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통공(110 또는 210)은 태양전지(100)나 태양전지 모듈(200)에 대하여 비스듬한 각도로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전지(100)와 태양전지 모듈(200)이 지면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θ)는 그 전지나 모듈이 배치된 지역의 위도와 15°의 합이 된다. 이러한 각도는 태양전지(100)나 태양전지 모듈(200)이 태양 빛을 장시간동안 수직으로 입사받기 위한 각도가 될 수 있다. 태양광이 입사되는 각도가 90°일 때 발전효율이 가장 높기 때문이다. 이때, 바람이 태양전지(100)나 태양전지 모듈(200)의 통공(110 또는 210)을 통해 원활하게 관통하기 위해서는 통공(110 또는 210)은 지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한다. 즉, 통공(110 또는 210)은 태양전지(100)나 태양전지 모듈(200)의 표면에 대해서는 위의 각도(θ)만큼 기울어져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100: 태양전지 110, 210: 통공
20, 200: 태양전지 모듈 300: 통풍향상부재

Claims (17)

  1.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에 있어서,
    셀 기판; 및
    상기 셀 기판 상에 형성되어,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광전변환층;을 포함하며,
    상기 셀 기판 및 광전변환층은 태양광을 입사받는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여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며,
    상기 광전변환층은 반도체층 및 상기 반도체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전면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전극은 일정한 이격간격을 가지며 횡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버스바와 일정한 이격간격을 가지며 종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핑거바로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통공은 상기 복수의 버스바 또는 복수의 핑거바 상에 형성되며, 상기 핑거바 및 상기 버스바의 폭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인,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공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인,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공은 행렬 구조로 형성되되, 행간 간격은 열간 간격보다 긴 것인,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공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향상부재를 더 포함하는,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향상부재는,
    깔데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인,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향상부재는,
    상기 통공과 대응하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풍압차 발생부;
    를 포함하는,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풍압차 발생부는,
    상기 삽입부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될수록 이전 직경보다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인,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에 복수의 통풍향상부재가 삽입되는 경우,
    일부 통풍향상부재는 상기 풍압차 발생부가 상기 태양전지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삽입되고, 나머지 통풍향상부재는 상기 풍압차 발생부가 상기 태양전지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것인,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
  10.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 모듈에 있어서,
    모듈 기판; 및
    상기 모듈 기판 상에 배치되는 복수의 태양전지;를 포함하며,
    상기 모듈 기판은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사이의 영역에서 태양광을 입사받는 전면과 후면을 관통하여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복수의 통공을 구비하며,
    태양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기 위해 상기 각 태양전지 내에 구비된 광전변환층은 반도체층 및 상기 반도체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전면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전면 전극은 일정한 이격간격을 가지며 횡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버스바와 일정한 이격간격을 가지며 종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핑거바로 구성되되,
    상기 복수의 통공은 상기 복수의 버스바 또는 복수의 핑거바 상에 추가로 형성되되, 상기 핑거바 및 상기 버스바의 폭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인,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 모듈.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는 행렬 구조로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태양전지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는 복수의 통공은 네 개의 태양전지가 마주하는 꼭지점 영역마다 형성되는 것인,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 모듈.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공은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되는 것인,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 모듈.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공 중 적어도 하나에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통풍향상부재를 더 포함하는,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 모듈.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향상부재는,
    깔데기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인,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 모듈.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향상부재는,
    상기 통공과 대응하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삽입부의 직경보다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풍압차 발생부;
    를 포함하는,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 모듈.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풍압차 발생부는,
    상기 삽입부의 일 측으로부터 연장될수록 이전 직경보다 넓은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인,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 모듈.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태양전지 모듈에 복수의 통풍향상부재가 삽입되는 경우,
    일부 통풍향상부재는 상기 풍압차 발생부가 상기 태양전지 모듈의 전면에 위치하도록 삽입되고, 나머지 통풍향상부재는 상기 풍압차 발생부가 상기 태양전지 모듈 의 후면에 위치하도록 삽입되는 것인, 통공을 구비한 태양전지 모듈.

KR1020160087931A 2016-07-12 2016-07-12 바람이 통하는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 KR1018499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931A KR101849971B1 (ko) 2016-07-12 2016-07-12 바람이 통하는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
CN201780022609.0A CN109247060A (zh) 2016-07-12 2017-06-20 可通风的太阳能电池以及太阳能电池模块
PCT/KR2017/006467 WO2018012748A1 (ko) 2016-07-12 2017-06-20 바람이 통하는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
US16/091,719 US10741709B2 (en) 2016-07-12 2017-06-20 Ventilative solar cell and solar cell module
EP17827822.2A EP3487067B1 (en) 2016-07-12 2017-06-20 Ventilative solar ce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7931A KR101849971B1 (ko) 2016-07-12 2016-07-12 바람이 통하는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7130A KR20180007130A (ko) 2018-01-22
KR101849971B1 true KR101849971B1 (ko) 2018-05-31

Family

ID=60952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7931A KR101849971B1 (ko) 2016-07-12 2016-07-12 바람이 통하는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741709B2 (ko)
EP (1) EP3487067B1 (ko)
KR (1) KR101849971B1 (ko)
CN (1) CN109247060A (ko)
WO (1) WO201801274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4252B1 (ko) * 2020-03-20 2022-05-31 주식회사 디에스전자 스마트 태양전지 모듈을 이용한 운영 시스템
CN114256372A (zh) * 2021-12-21 2022-03-29 晋能光伏技术有限责任公司 一种可呼吸式太阳能电池组件
KR102548523B1 (ko) * 2023-03-17 2023-06-28 (주)썬로드테크 태양광발전 겸용 방풍구조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3908A2 (en) * 2006-12-11 2008-06-19 Sunmodular, Inc. Photovoltaic cells, modu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1154729B1 (ko) * 2011-12-14 2012-06-08 주진성 방열효율이 우수한 태양광모듈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82126B2 (en) * 2007-05-21 2011-07-19 Macfarlane Alexander T Photovoltaic module with improved heat transfer and recovery potential
DK200701008A (da) 2007-07-07 2009-01-08 Madsen Carsten Lund Solfanger
TW200939509A (en) * 2007-11-19 2009-09-16 Applied Materials Inc Crystalline solar cell metallization methods
CN201233897Y (zh) 2008-07-10 2009-05-06 比亚迪股份有限公司 太阳能组件以及采用该太阳能组件的装置
DE102009006952A1 (de) 2009-01-30 2010-08-05 Saint-Gobain Industriekeramik Rödental GmbH Gehäuse für ein Solarabsorbermodul, Solarabsorbermodul und Solarabsorberanordnung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US20110005516A1 (en) 2009-07-08 2011-01-13 Xiao-Dong Xiang Solar collector
KR101557697B1 (ko) * 2011-02-25 2015-10-13 민승기 풍력발전기에서 풍력유도용 태양광발전판
KR101700741B1 (ko) 2011-05-30 2017-02-01 민승기 태양광 발전판용 냉각장치
JP2013026363A (ja) 2011-07-20 2013-02-04 Fuji Electric Co Ltd 太陽電池モジュール
JP2013093524A (ja) 2011-10-27 2013-05-16 Eco Power:Kk 太陽電池モジュール冷却ユニット及び太陽電池モジュール冷却システム
KR101118123B1 (ko) 2011-11-16 2012-03-06 (주)제이케이알에스티 태양광 모듈 방열판
KR20130059982A (ko) 2011-11-29 2013-06-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태양전지 모듈
TWI518932B (zh) 2014-07-24 2016-01-21 茂迪股份有限公司 太陽能電池及其模組
KR101677504B1 (ko) 2014-08-20 2016-11-18 유한회사 와이즈에너지월드 선형 셀이 장착된 태양전지 모듈
CN204481759U (zh) 2015-02-27 2015-07-15 苏州思博露光伏能源科技有限公司 太阳能电池
CN204834647U (zh) 2015-08-18 2015-12-02 广水市弘泰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自散热式bipv光伏组件
CN205335275U (zh) 2016-02-01 2016-06-22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光伏组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73908A2 (en) * 2006-12-11 2008-06-19 Sunmodular, Inc. Photovoltaic cells, modules and methods of making same
KR101154729B1 (ko) * 2011-12-14 2012-06-08 주진성 방열효율이 우수한 태양광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87067A1 (en) 2019-05-22
EP3487067B1 (en) 2021-02-17
EP3487067A4 (en) 2019-12-04
US10741709B2 (en) 2020-08-11
WO2018012748A1 (ko) 2018-01-18
CN109247060A (zh) 2019-01-18
US20190123220A1 (en) 2019-04-25
KR20180007130A (ko) 2018-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ikate et al.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solar cell
US8039292B2 (en) Holey electrode grids for photovoltaic cells with subwavelength and superwavelength feature sizes
Moehlecke et al. Electrical performance analysis of PV modules with bifacial silicon solar cells and white diffuse reflector
US20170018670A1 (en) Photovoltaic module with bypass diodes
KR101849971B1 (ko) 바람이 통하는 태양전지 및 태양전지 모듈
KR101125435B1 (ko) Mwt형 태양전지
Strebkov et al. Investigation of high-voltage silicon solar modules
US20160005910A1 (en) Vertical multi-junction photovoltaic cell with reverse current limiting element
TWM446974U (zh) 太陽能電池模組
KR102196929B1 (ko) 태양 전지 모듈 및 이에 사용되는 후면 기판
Franklin et al. Sliver solar cells for concentrator PV systems with concentration ratio below 50
Alshkeili et al. Design of dual-junction three-terminal CdTe/InGaAs solar cells
Cesar et al. Mercury: a novel design for a back junction back contact cell with front floating emitter for high efficiency and simplified processing
JP2023033940A (ja) 太陽電池セルおよび太陽電池
KR20200006039A (ko) 태양광 흡수에 유리한 p형 perc 양면 태양전지 및 그 제조 방법
Madon et al. Bifacial NICE modules from high efficiency n-type BiSoN solar cells
US9076911B2 (en) Solar cel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aternoster et al. Fabrication, Simulation, and Experimental Characterization of EWT Solar Cells With Deep Grooved Base Contact
Xue et al. Sentaurus Simulation of Monolithic Solar Cells with High Open-Circuit Voltage
Axelevitch et al. Investigation of novel silicon PV cells of a lateral type
CN104037249A (zh) 区块型掺杂太阳能电池
Procel et al. Analysis of the impact of rear side geometry on performance of back-contact back-junction solar cells
Strebkov et al. High-voltage silicon modules for conversion of concentrated solar radiation
Mokhliss et al. High physical parameters adjustment of the npp+ solar cell structure using PC1D
Tripathi Efficient Solar Cell Using COMSOL Multiphysics Check for upda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