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955B1 - Convalescence 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 - Google Patents

Convalescence 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955B1
KR101849955B1 KR1020160131331A KR20160131331A KR101849955B1 KR 101849955 B1 KR101849955 B1 KR 101849955B1 KR 1020160131331 A KR1020160131331 A KR 1020160131331A KR 20160131331 A KR20160131331 A KR 20160131331A KR 101849955 B1 KR101849955 B1 KR 101849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art mirror
elderly
elderly person
pers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13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대일
Original Assignee
(주)유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미테크 filed Critical (주)유미테크
Priority to KR1020160131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95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95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1Measuring pressure in heart or blood vess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2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heart rate, blood pressure or blood flow; Combined pulse/heart-rate/blood pressure determination; Evaluating a cardiovascular condi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using combinations of techniques provided for in this group with electrocardiography or electroauscultation; Heart catheter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 A61B5/0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pulse rate or heart r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A61B5/107Measuring physical dimensions, e.g. size of the entire body or par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G06K9/0029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06V40/173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face re-identification, e.g. recognising unknown faces across different face tra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Dent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I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convalescence care system using a smart mirror. The convalescence care system can comprehensively care for patients with health and mental conditio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alescence care system using a smart mirror comprises: the smart mirror on which the elderly or infirm person′s appearance is reflected; an elderly or infirm person identification unit which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mart mirror and identifies the elderly or infirm person who approaches the same; a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elderly or infirm person′s information, identified and checked by the elderly or infirm person identification unit, collects the elderly or infirm person′s health information, measured by a medical measurement device arranged in a location close to the smart mirror, and outputs the collected elderly or infirm person′s health information; a display unit which is installed on the smart mirror and displays the elderly or infirm person′s health information by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 image message communications reception unit which receives an image message communications signal from a guardian′s mobile terminal; a signal conversion unit which converts the image message communications signal into a display image signal and transmits the same to the control unit; and a management server which registers the elderly or infirm person′s information, stores the elderly or infirm person′s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stored elderly or infirm person′s information to a guardian who accesses the system through the Internet.

Description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Convalescence 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mirror,

본 발명은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care system utilizing a smart mirror.

더 구체적으로는, 사회 시설에서 관리되는 노약자들의 건강 심리 상태를 종합적으로 케어할 수 있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care system using a smart mirror capable of collectively managing the health state of the elderly people managed in a social facility.

본 발명은, 노약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스마트 미러에 반영하고, 관리서버에서 보호자에게 건강 상태 정보를 전송하고, 보호자로부터 전송된 영상메시지를 관리서버를 통하여 스마트 미러에 반영하며,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여 맞춤형 케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노약자 스스로가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collects and reflects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of the elderly to the smart mirror, transmits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to the caregiver in the management server, reflects the video message transmitted from the caregiver to the smart mirror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care system that utilizes a smart mirror that enables the elderly person to maintain his or her health by providing personalized care information by grasping the state.

본 발명은, 스마트 미러를 통해 노약자와 보호자간에 원격 영상메시지 통신을 할 때, 노약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보호자에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care system using a smart mirror that enables a guardian to check health status of an aged person by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of the elderly person to a guardian when remote image message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the aged person and the guardian through the smart mirror ≪ / RTI >

본 발명은, 스마트 미러를 통해 노약자와 보호자간에 원격 영상메시지 통신을 할 때 노약자의 생활 상태 정보를 보호자에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노약자의 평소 생활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ealth care system using a smart mirror that enables a guardian to check the usual living status of a senior citizen by providing life status information of a senior citizen to a guardian when a remote video message communication is performed between a senior citizen and a guardian through a smart mirror ≪ / RTI >

본 발명은, 보호자가 노약자의 건강 상태 정보와 생활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노약자에게 안부를 물어보는 영상메시지 통신을 통하여 노약자의 심리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dical care system utilizing a smart mirror that enables a guardian to grasp health status information and living status information of an elderly person and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elderly person through video message communication .

대한민국은 2000년부터 전국이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 이후 모든 지역에서 고령화 이상 진행이 발생하고 있다. 국가 총인구 중 65세 이상의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7% 이상인 사회를 고령화 사회라고 정의할 때, 지난해 2015년도 고령화지도에 따르면, 현재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인구는 610만여 명으로 전체 인구의 12%를 넘어섰다.Korea has entered the aging society since 2000 and has been undergoing aging in all regions. According to the aging map of the year 2015, the population aged 65 or older in Korea is over 6.1 million people, exceeding 12% of the total population. Stood up.

대한민국뿐 아니라 프랑스, 스웨덴, 미국, 독일, 일본 등 선진국을 중심으로 전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21세기에는 모든 국가가 고령화라는 사회적 현상에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다.It is rapidly spreading not only in Korea but also in developed countries such as France, Sweden, USA, Germany and Japan. In the 21st century, all nations must respond to the social phenomenon of aging.

이렇듯 노인들을 위한 환경, 관심 및 서비스 등에 대한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는 지금 전국에 설립되어 있는 요양시설을 비롯한 노인 의료복지시설의 수는 5000여 곳이 넘었으며, 건강, 헬스케어, 웰니스, 시니어 분야의 시장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As the importance of environment, interest and service for the elderly is increasing, the number of elderly medical welfare facilities including the nursing care facilities established nationwide now exceeds 5,000, and the number of elderly people in health, health care, wellness, The market is increasing.

그러나, 요양시설에서 발생했던 방치, 학대, 폐쇄적인 환경 및 열악한 처우 등으로 인해 대중들의 신뢰를 잃은 것이 현실이다. 지난 10년간 요양시설에서의 노인 학대 사건이 5.5배 급증하였고 경찰에서 확인되지 않은 사건을 포함하면 그 수는 상상을 초월한다.However, it is a reality that public trust has been lost due to neglect, abuse, closed environment and poor treatment that occurred in nursing home. The number of elder abuse in nursing homes has surged 5.5 times over the past decade and the number is beyond imagination, including cases not confirmed by the police.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일예가 하기 특허문헌에 개시되어 있다.One example of a technique for solving such a problem is disclos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s.

하기 특허문헌에는 신체를 장시간 의지하도록 제작된 신체의지장치에 포함되고, 상기 신체의지장치에 가해지는 노약자의 체중을 감지하는 체중센서를 포함하는 감지장치; 및 의료 요양서비스의 수행을 판단하기 위한 기준신호에 대한 정보, 각 노약자에게 제공될 의료 요양서비스 정보를 포함하는 의료 요양서비스의 서비스 스케줄에 대한 정보 또는 상기 감지장치가 감지한 체중의 변화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감지자료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하는 메모리부와, 상기 기준신호 및 감지자료를 기초로 서비스 스케줄에 설정된 의료 요양서비스의 제공 상태를 분석하는 분석부를 포함하는 관리장치를 포함하는 의료요양시스템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discloses a sensing device including a body weight sensor that is included in a body anchor device that is designed to support the body for a long time and that detects the weight of the elderly person applied to the body anchor device; Information about a service schedule of a medical care service including information on a reference signal for judging performance of a medical care service, medical care service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each elderly person, or information about a change in body weight sensed by the sensing device And an analyzing unit for analyzing a provision state of the medical care service set in the service schedule based on the reference signal and the sensed data, .

따라서, 근무자의 업무 현황 또는 노약자의 건강 상태, 노약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제공되어야 할 의료요양서비스, 상기 의료 요양서비스의 서비스 스케줄 또는 노약자 담당 근무자 정보를 포함하는 노약자 자료를 노약자의 가족, 친지, 친구 등의 보호자가 용이하게 열람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lderly person's family member, relatives, friends (including the elderly person's family member, relatives, friends, etc.) including the work status of the worker or the health condition of the aged person, the medical care service to be provided according to the health condition of the aged person, And the like can be easily browsed.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요양시설의 요양 서비스의 수행상태를 관리하고 체계적인 요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에 불과하며, 따라서 원격으로 보호자 간 소통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디바이스 서비스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노약자를 대상으로 한 케어 서비스의 도입이 시급한 실정이다. 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ology is merely a technology for managing the performance status of nursing care services in a nursing home and providing a systematic nursing service, and thus a new type of device ser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remotely with a caregiver is required It is urgent to introduce care services for the elderly.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42343호(2016.04.19 공개)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42343 (published on April 19, 2016)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사회 시설에서 관리되는 노약자들의 건강 심리 상태를 종합적으로 케어할 수 있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ursing care system that utilizes a smart mirror capable of collectively managing the health state of the elderly people managed in a social facility.

또한, 노약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스마트 미러에 반영하고, 맞춤형 케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노약자 스스로가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ursing care system that utilizes a smart mirror that collects information on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reflects the information on the smart mirror, and provides personalized care information so that the elderly themselves can maintain their health.

또한, 스마트 미러를 통해 노약자와 보호자간에 원격 영상메시지 통신을 할 때, 노약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보호자에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노약자의 건강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when a remote mirror image message is communicated between a senior citizen and a guardian through a smart mirror, a care-of-care system utilizing a smart mirror that enables the guardian to check the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person by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of the elderly person to the guardian The purpose is to provide.

또한, 스마트 미러를 통해 노약자와 보호자간에 원격 영상메시지 통신을 할 때, 노약자의 생활 상태 정보를 보호자에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노약자의 평소 생활 상태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when a remote mirror video message is communicated between a senior citizen and a guardian through a smart mirror, the care status of the elderly is provided to the guardian so that the guardian can check the normal living conditions of the elderly, And the like.

또한, 보호자가 노약자의 건강 상태 정보와 생활 상태 정보를 파악할 수 있고, 노약자에게 안부를 물어보는 영상메시지 통신을 통하여 노약자의 심리 상태와 행복감을 호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caregiver can use the smart mirror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state and happiness of the elderly through video message communication, in which the guardian can grasp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and liv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lderly, The purpose is to provid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은, 노약자의 모습이 비춰지는 스마트 미러(10); 상기 스마트 미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스마트 미러에 접근하는 노약자를 식별하는 노약자 식별부(20); 상기 노약자 식별부를 통해 식별 확인된 노약자 정보를 수신하며, 스마트 미러에 근접된 위치에 마련된 의료 측정기기(80)에 의해 측정된 노약자의 건강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노약자의 건강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30); 상기 스마트 미러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노약자의 건강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 보호자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영상메시지 통신 신호를 전달받는 영상메시지 통신 수신부(50); 상기 영상메시지 통신 신호를 디스플레이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신호변환부(60); 및 노약자의 정보 등록 및 건강 정보를 저장하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는 보호자에게 저장된 노약자의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o achieve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dical care system using a smart mirror, comprising: a smart mirror (10) in which an elderly person's image is displayed; An elderly person identification unit (2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mart mirror to identify a elderly person approaching the smart mirror;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health information of the elderly person measured by the medical measurement device 80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smart mirror and outputting the health information of the elderly person collected by the elderly person identification unit, (30); A display unit 40 installed in the smart mirror and displaying health information of the elderly pers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video message communication receiving unit 50 for receiving a video message communication signal from a protector's portable terminal; A signal converting unit (60) for converting the video message communication signal into a display video signal and delivering it to a control unit; And a management server (70) for storing information registration and health information of the elderly, and providing health information of the elderly person stored in the caregiver connected via the Internet network.

또한, 상기 노약자 식별부(20)는 노약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웨어러블 기기로 착용 가능한 스마트 밴드를 통해 인식을 수행하는 단말기인식 모듈, 노약자 얼굴 영상데이터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노약자 얼굴 이미지를 비교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하는 얼굴인식 모듈을 포함하여, 파악된 신원 정보를 결합하여 신원 정보의 확실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derly person identification unit 20 includes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senior citizen, a terminal recognition module for performing recognition through a smart band that can be worn by a wearable device, a face recognizing module for comparing the elderly person face image data with a pre- And a face recognition module for performing recognition of the face image, and combining the identified face image information to enhance certainty of the face image information.

또한, 상기 의료 측정기기(80)에 의해 측정되는 건강 정보는 BMI(비만도), 혈당, 혈압, 맥박, 체온, 신장, 체중, 걸음수 및 걸음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ealth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dical measurement device 80 is any one of BMI (obesity degree), blood sugar, blood pressure, pulse, body temperature, height, weight, number of feet, and a walking posture.

또한, 상기 관리서버(70)는 노약자의 건강 정보를 바탕으로 노약자에 매칭되는 운동방법, 자세 교정법 및 건강관리법을 영상과 음성으로 스마트 미러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70 provides the smart mirror with a motion method, a posture correcting method, and a health management method, which are matched to the elderly, based on the health information of the elderly.

또한, 상기 관리서버(70)는 노약자의 건강 정보와 생활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보호자의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70 provides health information and life status information of the elderly through an app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caregiver.

또한, 상기 스마트 미러(10)에는 노약자의 건강 정보와 영상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1)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smart mirror 10 is equipped with a speaker 11 for outputting health information and a video message of the elderly.

또한, 상기 스마트 미러(10)의 일측에는 스마트 미러를 조작하거나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센서(1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touch sensor 12 for operating a smart mirror or controlling a setting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mart mirror 10.

또한, 상기 스마트 미러(10)의 내부 일측에는 스마트 미러를 향해 접근하는 노약자와의 근접거리 변화 또는 근접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근접센서(13)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proximity sensor 13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smart mirror 10 to sense proximity change or proximity to the smart mirror toward the elderly.

또한, 상기 스마트 미러(10)의 하부 일측에는 사이니지 전용 패널을 통해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표시부(14)가 더 설치되며, 상기 관리서버에서 스마트 미러에 접근한 노약자를 식별한 후 노약자의 성별, 나이,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노약자의 관심분야를 분석하고 그에 맞는 광고를 광고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n advertising display unit 14 for displaying an advertisement through a signage exclusive panel is further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smart mirror 10, and the management server identifies the elderly approaching the smart mirror, Age, and health of the aged person, and controls the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on the advertisement display unit.

또한, 상기 스마트 미러(10)의 전방에는 휠체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몸이 불편한 노약자가 앉은 상태에서 의료 측정기기를 이용하거나 영상메시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휠체어 스케일(90)이 설치되며, 상기 휠체어 스케일(90)은 휠체어가 진입할 수 있도록 바닥에 설치되는 휠체어 체중계(91), 상기 휠체어 체중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노약자가 앉게 되는 좌석(92), 상기 휠체어 체중계의 일측에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손을 잡아 자세를 잡을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9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a wheelchair scale 9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mart mirror 10 so as to use a medical measurement device or perform video message communication in a state where the elderly person inconvenient to the body who does not need a wheelchair is sitting, The scale 90 includes a wheelchair scale 91 installed on the floor so that a wheelchair can enter, a seat 92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wheelchair scale for a senior citizen to sit on, and an elderly person And a pedestal (93)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so as to hold the hand and hold the posture.

또한, 상기 스마트 미러(10)의 후면에는 스마트 미러를 지지하되 노약자의 신장에 맞게 스마트 미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거치대(1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on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 mirror 10, a cradle 15 for supporting the smart mirror and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elongation of the elderly is installed.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은, 사회 시설에서 관리되는 노약자들의 건강 심리 상태를 종합적으로 케어할 수 있으므로 노약자의 건강 심리 회복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medical care system utilizing the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ively manage the health state of the elderly people managed in the social facilities, it has the effect of raising expectations about the recovery of the health of the elderly.

또한, 노약자의 건강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스마트 미러에 반영하고, 맞춤형 케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노약자 스스로가 건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health status information of the elderly is collected and reflected in the smart mirror, and personal care information is provided, thereby making it possible for the elderly person to maintain their health.

또한, 스마트 미러를 통해 노약자와 보호자간에 원격 영상메시지 통신을 할 때, 노약자의 건강 상태 및 생활 상태 정보를 보호자에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직접 노약자의 건강 상태 및 평소 생활 상태를 체크할 수 있어 사회 시설 등의 폐쇄적 환경에 대한 신뢰성을 회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when a remote mirror video message is communicated between a senior citizen and a guardian through a smart mirror, the guardian can directly check the health status and daily living status of the elderly person by providing the health status and living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aged person to the guardia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recover the reliability of the closed environment.

또한, 보호자가 노약자의 건강 상태 정보와 생활 상태 정보를 통해 노약자에게 안부를 물어보면서 노약자의 심리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고, 노약자와 보호자간의 온라인 소통 채널 도구로 삶의 행복감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aregiver can improve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elderly by asking the elderly person's sincerity through the health status information and the liv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elderly person, and it is effective to increase the happiness of life with the online communication channel tool between the elderly person and the caregive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도시한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의 사용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의 다른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의 또 다른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chematic view showing a medical care system utiliz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medical care system utiliz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6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process of us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medical care system utiliz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a medical care system utiliz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a medical care system utiliz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dical care system utiliz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possible way And should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and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scribed or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spect to a known configuration that can be easily add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Let the sound be reveal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now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도시한 구성도이다.2 is a conceptual view showing a medical care system utiliz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medical treatment system us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은, 스마트 미러(10), 노약자 식별부(20), 제어부(30), 디스플레이부(40), 영상메시지 통신 수신부(50), 신호변환부(60) 및 관리서버(70)를 포함한다.1 and 2, a medical care system us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mirror 10, a elderly person identification unit 20, a control unit 30, a display unit 40, A message communication receiving unit 50, a signal converting unit 60, and a management server 70.

상기 스마트 미러(10)는 노약자의 전체 모습이 비춰지도록 노약자들의 평균 신장보다 크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mart mirror 10 is made larger than the average height of the elderly so that the entire view of the elderly is displayed.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미러(10)는 최후방에 배치되는 백 프레임(10a), 상기 백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는 프론트 프레임(10b), 상기 백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c),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패널 가드프레임(10d) 및 최전방에 배치되는 미러(10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3 and 4, the smart mirror 10 includes a back frame 10a disposed at the rear end, a front frame 10b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ack frame, A panel guard frame 10d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panel, and a mirror 10e disposed at the forefront.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 LED, PDP 또는 광고판처럼 얼굴을 인식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용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사이니지용 패널은 공공장소에서 문자나 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LCD, LED, PDP 화면을 통해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광고게시판을 말하며, 기존 디스플레이에 주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관리 플랫폼, 네트워크 등의 IT 기술이 종합되어 광고뿐만 아니라 고객 경험을 유도하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사용되고 있다.In particular, the display panel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anel for recognizing a face such as an LCD, an LED, a PDP, or a billboard. Digital signage panel is a display advertisement board that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ext and video in public place through LCD, LED and PDP screen. It also includes software, hardware, management platform, network, etc. Is being used as a communication tool to induce not only advertising but also customer experience.

상기 스마트 미러(10)에는 노약자의 건강 정보와 영상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1)가 내장되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6)가 구비된다.The smart mirror 10 includes a speaker 11 for outputting health information and a video message of the elderly and a power supply unit 16 for supplying power.

상기 스마트 미러(10)의 일측에는 스마트 미러를 조작하거나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센서(12)가 설치된다.At one side of the smart mirror 10, a touch sensor 12 for operating a smart mirror or controlling settings is installed.

상기 스마트 미러(10)의 내부 일측에는 스마트 미러를 향해 접근하는 노약자와의 근접거리 변화 또는 근접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근접센서(13)가 설치될 수 있다.A proximity sensor 13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mart mirror 10 to sense proximity change or proximity to a senior citizen approaching the smart mirror.

즉, 스마트 미러에 노약자가 접근하면 근접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노약자 식별부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얼굴인식을 수행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통해 얼굴을 촬영하게 된다.That is, when the elderly person approaches the smart mirror, the proximity sensor senses the proximity sensor, transmits a sensing signal to the elderly person identification unit, and takes a face through the camera to perform face recognition.

상기 근접센서(13)는 범용 시리얼 버스(USB: Universal Serial Bus)방식의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초음파, 적외선, 열, 빛, 마그네틱 등의 방식을 이용하는 어떠한 센서로도 구현 가능하다.The proximity sensor 13 preferably employs a universal serial bus (USB) type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and can be implemented by any sensor using ultrasonic, infrared, heat, light, or magnetic Do.

상기 스마트 미러(10)의 하부 일측에는 사이니지 전용 패널을 통해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표시부(14)가 더 설치될 수 있다.The smart mirror 10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14 for displaying an advertisement through a panel dedicated to signing.

상기 광고표시부는 사이니지 전용 패널을 통해 구현되게 함에 따라 노약자가 스마트 미러에 접근했을 경우 스마트 미러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노약자의 얼굴을 인식해 노약자가 관심을 가질 수 있는 광고를 보여주도록 한다. When the aged person approaches the smart mirror, the advertisement display unit recognizes the face of the aged person by the camera installed in the smart mirror so that the elderly person can show an advertisement that may be of interest to the aged person.

즉, 관리서버에서 스마트 미러에 접근한 노약자를 식별한 후 노약자의 성별, 나이, 건강상태 등을 고려하여 노약자의 관심분야를 분석하고 그에 맞는 광고를 표시하도록 제어한다.That is, the management server identifies the elderly who have access to the smart mirror, and then analyzes the area of interest of the elderly person in consideration of the sex, age,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and controls the display of advertisements accordingly.

상기 스마트 미러(10)의 전면 상부에는 카메라(17)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는 노약자 식별을 하는데 이용되거나 또는 노약자의 모습을 촬영하는 기능을 한다. A camera 17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 mirror 10, and the camera serves to identify the elderly or photographs the state of the elderly.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노약자의 모습은 스마트 미러에 표시된다.The state of the elderly person photographed by the camera is displayed on the smart mirror.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스마트 미러의 전면 일측에는 요양시설의 내부 환경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환경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환경센서는 먼지센서, 가스감지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환경센서에 의해 요양시설의 내부 환경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호흡기질환에 민감한 노령의 노약자들이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도록 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environmental sensor capable of sensing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nursing facility in real time may be further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 mirror, and the environmental sensor may include a dust sensor, ,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environmental condition of the nursing facility can be grasped by the environmental sensor, so that the elderly old people who are sensitive to respiratory diseases can live in a pleasant environmen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스마트 미러(10)의 후면에는 스마트 미러를 지지하되 노약자의 신장에 맞게 스마트 미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거치대(15)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높이 조절은 물론 하단에 이동용 바퀴를 설치하여 스마트 미러의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FIG. 5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a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mart mirror 10 includes a cradle 15 for supporting a smart mirror and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elderly, Can be installed. The height of the cradle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cradle.

한편, 상기 노약자 식별부(20)는 상기 스마트 미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스마트 미러에 접근하는 노약자를 식별하게 된다.Meanwhile, the elderly person identification unit 20 is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mart mirror to identify the elderly person approaching the smart mirror.

상기 노약자 식별부(20)는 근접센서로부터 전송된 노약자의 접근 감지신호에 따라 노약자 식별을 위해 작동된다.The elderly person identification unit 20 is operated to identify the elderly person according to the elderly person's approach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roximity sensor.

상기 노약자 식별부(20)는 노약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웨어러블 기기로 착용 가능한 스마트 밴드를 통해 인식을 수행하는 단말기인식 모듈, 노약자 얼굴 영상데이터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노약자 얼굴 이미지를 비교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하는 얼굴인식 모듈을 포함하여, 파악된 신원 정보를 결합하여 신원 정보의 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The elderly person identification unit 20 includes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elderly person, a terminal recognition module for performing recognition through a smart band worn by the wearable device, a face recognition unit for comparing the elderly person's face image data with a preset elderly person's face image And a face recognition module for recognizing the face recognition module, and combining the identifi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예를 들면, 얼굴인식 모듈의 경우에는 노약자 식별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노약자 얼굴 영상데이터와, 미리 저장되어 있는 노약자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얼굴인식을 수행하고, 일치 여부에 따른 인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노약자 식별부로 제공한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ace recognition module, face recognition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elderly person face image data included in the signal input from the elderly person identification part and the previously stored elderly person image information, And provides the result to the elderly person identification unit.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노약자 식별부를 통해 식별 확인된 노약자 정보를 수신하며, 스마트 미러에 근접된 위치에 마련된 의료 측정기기(80)에 의해 측정된 노약자의 건강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노약자의 건강 정보를 출력한다.The control unit 30 receives the elderly person information identified through the elderly person identification unit, collects health information of the elderly person measured by the medical measurement device 80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smart mirror, Print health information.

상기 제어부는 노약자 식별부 제어, 센싱 식별, 데이터 저장 등 노약자의 식별 및 건강 정보에 대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며, 카메라에서 획득한 영상의 신호 처리 기능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performs overall control of the elderly person identification and health information such as the elderly person identification unit control, sensing identification, and data storage, and can integrally perform the signal processing function of the image acquired from the camera.

상기 제어부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유선 인터넷을 통해 수집된 노약자의 건강 정보를 관리서버에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관리서버는 수집된 노약자의 건강 정보를 보호자의 휴대단말기에 제공하게 된다.The control unit can provide health information of the aged person collected through Wi-Fi, Bluetooth, Zigbee or wired Internet to the management server. The management server provides the collected health information of the elderly to the protector's portable terminal.

상기 디스플레이부(40)는 상기 스마트 미러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노약자의 건강 정보를 표시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LCD나 LED 종류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unit 40 is installed in the smart mirror and displays health information of the elderly pers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The display unit may be one of an LCD and an LED.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평상시에는 거울처럼 이용할 수 있고,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구동되면 미러 전체에 디스플레이에 의한 화면이 표시된다.The display unit can normally be used as a mirror, and when driven by the control unit, a display screen is displayed on the entire mirror.

상기 디스플레이부에는 노약자의 모습, 노약자의 건강 정보(예 : BMI, 걸음수, 걸음자세 등) 등이 표시되며 화면에 여러 영상들이 동시에 표시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displays the state of the elderly, health information of the aged person (e.g., BMI, the number of steps, the walking posture, etc.), and various images can be simultaneously displayed on the screen.

이하, 스마트 미러를 통해 노약자의 건강 정보 수집 및 출력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process of collecting and outputting health information of the elderly person through the smart mirror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양시설에 소속되어 있는 노약자들에게 의료 측정기기(혈압측정기,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인솔, 스마트 체중계, 스마트 휠체어 체중계, 스마트 만보기 등)를 제공한다.(S100)6, a medical measurement device (blood pressure meter, wearable device, smart insole, smart scale, smart wheelchair scale, smart meter, etc.) is provided to the elderly people belonging to a nursing facility (S100)

요양시설의 입구에 설치된 스마트 미러에 노약자가 접근하게 되면, 노약자 식별부가 동작하여 노약자를 식별한다.(S200)When the elderly person approaches the smart mirror installed at the entrance of the nursing home, the elderly person identification unit operates to identify the elderly person (S200).

노약자 식별이 완료되면, 의료 측정기기를 통해 측정된 노약자의 건강 정보(걸음수, 보행 시 좌우에 발생하는 가속도 차이에 의한 걸음자세, BMI, 혈압 등)를 제어부에서 수집하고, 수집된 노약자의 건강 정보를 출력한다.(S300)When the elderly person is identified, the health information of the aged person measured by the medical measurement device (the number of steps, the walking posture due to the difference in acceleration occurring on the left and right in walking, BMI, blood pressure, Information is output (S300)

이어서, 제어부에 의해 출력된 노약자의 건강 정보는 스마트 미러에 표시된다. 이때, 제어부에 의해 출력된 노약자의 건강 정보는 관리서버에 전송되기도 한다.Then, the health information of the aged person outputted by the control unit is displayed on the smart mirror. At this time, the health information of the aged person outputted by the control unit is also transmitted to the management server.

스마트 미러에 표시되는 건강 정보에 따라 관리서버에서는 노약자에 매칭되는 운동방법, 자세 교정법, 기타 건강관리법 등을 영상과 음성으로 스마트 미러에 제공한다.(S400)According to the health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smart mirror, the management server provides the smart mirror with the motion method, the posture correcting method, and other health management methods matched to the elderly by video and voice (S400).

따라서, 노약자는 스마트 미러를 통해 표시되는 운동, 자세, 건강관리법 등을 보고 들으면서 쉽게 따라할 수 있으므로 건강관리에 큰 도움을 준다.Therefore, the elderly can easily follow the exercises, postures, and health management methods displayed through the smart mirror while listening to them.

한편, 상기 영상메시지 통신 수신부(50)는 보호자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영상메시지 통신 신호를 전달받는다.Meanwhile, the video message communication receiving unit 50 receives a video message communication signal from a wireless terminal of a guardian.

즉, 상기 영상메시지 통신 수신부는 보호자의 휴대단말기와 영상메시지 통신 시 휴대단말기와 디스플레이부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영상메시지 통신 신호를 수신한다.That is, the video message communication receiving unit receives the video message communication signal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portable terminal and the display unit to the protector's portable terminal in video message communication.

상기 신호변환부(60)는 상기 영상메시지 통신 신호를 디스플레이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에 전달한다.The signal converting unit 60 converts the video message communication signal into a display video signal and transmits the video signal to the controller.

이때, 상기 신호변환부는 디스플레이부에 영상메시지 통신 신호를 출력하면 보호자 휴대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영상메시지 통신 신호는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을 통해 표시되고 보호자 휴대단말기의 화면 크기보다는 큰 화면으로 영상을 접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signal converting unit outputs a video message communication signal to the display unit, the video message communication signal received from the protector portable terminal is displayed on the screen of the display unit, and the image can be displayed on a screen larger than the screen size of the protector portable terminal.

이와 같이, 영상메시지 통신 수신부와 신호변환부에 의해 노약자와 보호자 간의 영상메시지 통신이 가능함으로써, 보호자가 노약자의 건강 상태와 생활 상태를 통해 노약자에게 안부 문의 영상메시지 통신을 통하여 노약자의 심리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고, 노약자와 보호자간의 온라인 소통 채널 도구로 삶의 행복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In this way, video message communication between the aged person and the guardian can be performed by the video message communication receiving unit and the signal converting unit, so that the guardian can improve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aged person through the video message communication to the aged person through the health condition and the living condition of the aged person And it can increase the happiness of life with an online communication channel tool between the aged and the caregiver.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관리서버(70)는 노약자의 정보 등록 및 건강 정보를 저장하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는 보호자에게 저장된 노약자의 건강 정보를 제공한다.7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pplication of a medical care system utiliz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70 stores information about the elderly and information on the health of the elderly, Provide health information of the stored elderly.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의 다른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관리서버(70)는 노약자의 건강 정보를 바탕으로 노약자에 매칭되는 운동방법, 자세 교정법 및 건강관리법을 영상과 음성으로 스마트 미러에 제공할 수 있다. FIG. 8 is a view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the medical care system utilizing the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70 is configured to perform various functions such as exercise method, posture correction method, The management method can be provided to the smart mirror by video and voice.

따라서, 스마트 미러를 바라보고 있는 노약자는 스마트 미러에 표시되는 운동, 자세, 건강관리법 등을 직접 보고 들으면서 따라할 수 있다.Therefore, the elderly who are looking at the smart mirror can see and follow the exercise, posture and health management method displayed on the smart mirror directly.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의 또 다른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관리서버(70)는 노약자의 건강 정보와 생활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보호자의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통해 제공할 할 수 있다.9 is a view showing another application example of a medical care system utiliz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nagement server 70 is connected to a portable terminal of a caregiver so as to confirm health information and living condition information of the aged person You can do it through the installed app.

따라서, 보호자가 외부에서도 언제든지 노약자의 평상 시 모습이나 건강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고, 노약자와 보호자 간의 온라인 소통 채널 역할을 하여 요양시설 등의 폐쇄적 환경에 대한 신뢰성을 회복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guardian can easily grasp the normal state and health condition of the elderly at any time from outside, and can serve as an onlin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elderly and the guardian, thereby restoring the reliability of the closed environment such as the nursing facility.

한편, 상기 의료 측정기기(80)에 의해 측정되는 건강 정보는 혈당, 혈압, 맥박, 체온, 신장, 체중, 걸음수 및 걸음자세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health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dical measurement device 80 is one of blood glucose, blood pressure, pulse, body temperature, height, weight, number of feet, and a walking posture.

상기 의료 측정기기는 혈압측정기, 웨어러블 기기, 스마트 인솔, 스마트 체중계, 스마트 휠체어 체중계, 스마트 만보기, 스마트 밴드 등이 해당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medical measurement device includes a blood pressure measuring device, a wearable device, a smart insole, a smart scale, a smart wheelchair scale, a smart meter, a smart band, and the like.

상기 의료 측정기기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는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근거리 무선통신망을 통해 관리서버에 전송되고, 관리서버는 보호자 스마트폰 등으로 문자 전송, 영상 데이터 전송 등이 이루어질 수 있다.The data measured by the medical measurement device may be transmitted to a management server through a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such as Wi-Fi, Bluetooth, Zigbee, etc., and the management server may transmit text data and image data to a guardian smartphone or the like.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dical care system utiliz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마트 미러(10)의 전방에는 휠체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몸이 불편한 노약자가 앉은 상태에서 의료 측정기기를 이용하거나 영상메시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휠체어 스케일(90)이 설치될 수 있다.10, a wheelchair scale 90 is provided in front of the smart mirror 10 in order to use a medical measurement device or video message communication in a state where a disabled person who does not need a wheelchair is sitting, Can be installed.

상기 휠체어 스케일(90)은 휠체어가 진입할 수 있도록 바닥에 설치되는 휠체어 체중계(91), 상기 휠체어 체중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노약자가 앉게 되는 좌석(92), 상기 휠체어 체중계의 일측에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손을 잡아 자세를 잡을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93)를 포함한다.The wheelchair scale 90 includes a wheelchair scale 91 mounted on the floor so that a wheelchair can enter the wheelchair scale 90, a seat 92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wheelchair scale to seat the elderly person, And a pedestal 93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so that the elderly person can hold the hand and hold the posture.

특히, 상기 휠체어 체중계는 바닥에 설치할 수 있게 얇은 판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단부는 휠체어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hat the wheelchair scale is formed of a thin plate material so as to be installed on the floor, and the one end is preferably formed to be inclined so as to facilitate entry of the wheelchair.

한편, 휠체어를 이용하지 않고 거동할 수 있는 노약자는 상기 좌석에 앉은 상태에서 의료 측정기기를 이용하거나 영상메시지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a senior citizen who can act without using a wheelchair can use a medical measuring instrument or perform video message communication while sitting on the seat.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자명하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evident that many alternative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스마트 미러 10a : 백 프레임
10b : 프론트 프레임 10c : 디스플레이 패널,
10d : 패널 가드프레임 10e : 미러
11 : 스피커 12 : 터치센서
13 : 근접센서 14 : 광고표시부
15 : 거치대 16 : 전원공급부
17 : 카메라 20 : 노약자 식별부
30 : 제어부 40 : 디스플레이부
50 : 영상메시지 통신 수신부 60 : 신호변환부
70 : 관리서버 80 : 의료 측정기기
90 : 휠체어 스케일 91 : 휠체어 체중계
92 : 좌석 93 : 받침대
10: Smart Mirror 10a: Back frame
10b: front frame 10c: display panel,
10d: panel guard frame 10e: mirror
11: Speaker 12: Touch sensor
13: proximity sensor 14: advertising display
15: cradle 16: power supply
17: camera 20: senior citizen identification part
30: control unit 40: display unit
50: video message communication receiving unit 60: signal converting unit
70: management server 80: medical measuring instrument
90: Wheelchairs Scale 91: Wheelchairs Scale
92: seat 93: pedestal

Claims (11)

노약자의 모습이 비춰지는 스마트 미러(10);
상기 스마트 미러의 일측에 설치되어 스마트 미러에 접근하는 노약자를 식별하는 노약자 식별부(20);
상기 노약자 식별부를 통해 식별 확인된 노약자 정보를 수신하며, 스마트 미러에 근접된 위치에 마련된 의료 측정기기(80)에 의해 측정된 노약자의 건강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노약자의 건강 정보를 출력하는 제어부(30);
상기 스마트 미러에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노약자의 건강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
보호자의 휴대단말기로부터 안부 문의 영상메시지 통신 신호를 전달받아 노약자와 보호자 간의 안부 문의 영상메시지 통신을 수행하여 노약자와 보호자 간의 온라인 소통 채널을 형성하는 영상메시지 통신 수신부(50);
상기 안부 문의 영상메시지 통신 신호를 디스플레이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에 전달하는 신호변환부(60); 및
노약자의 정보 등록 및 건강 정보를 저장하고, 인터넷망을 통해 접속하는 보호자에게 저장된 노약자의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70)를 포함하며,
노약자의 전체 모습이 비춰지도록 노약자들의 평균 신장보다 크게 제작되는 상기 스마트 미러(10)의 내부 일측에는 스마트 미러를 향해 접근하는 노약자와의 근접거리 변화 또는 근접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근접센서(13)가 설치되고,
상기 노약자 식별부(20)는 노약자를 촬영하는 카메라, 웨어러블 기기로 착용가능한 스마트 밴드를 통해 인식을 수행하는 단말기인식 모듈, 노약자 얼굴 영상데이터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노약자 얼굴 이미지를 비교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하는 얼굴인식 모듈을 포함하여, 파악된 신원 정보를 결합하여 신원 정보의 확실성을 높이며, 상기 스마트 미러에 노약자가 접근하면 상기 근접센서에서 노약자의 접근을 감지하여 얼굴인식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카메라는 노약자의 얼굴을 촬영하며,
상기 스마트 미러의 전면 일측에는 요양시설의 내부 환경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환경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환경센서는 먼지센서, 가스감지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조도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미러(10)의 전방에는 휠체어를 필요로 하지 않는 몸이 불편한 노약자가 앉은 상태에서 의료 측정기기를 이용하거나 상기 안부 문의 영상메시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휠체어 스케일(90)이 설치되며,
상기 휠체어 스케일(90)은 휠체어가 진입할 수 있도록 바닥에 설치되는 휠체어 체중계(91), 상기 휠체어 체중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노약자가 앉게 되는 좌석(92), 상기 휠체어 체중계의 일측에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손을 잡아 자세를 잡을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한 받침대(93)를 포함하고,
상기 휠체어 체중계는 바닥에 설치할 수 있는 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판재의 일단부는 휠체어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
A smart mirror 10 in which an elderly person is shown;
An elderly person identification unit (20)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smart mirror to identify a elderly person approaching the smart mirror;
A control unit for receiving health information of the elderly person measured by the medical measurement device 80 provided at a position close to the smart mirror and outputting the health information of the elderly person collected by the elderly person identification unit, (30);
A display unit 40 installed in the smart mirror and displaying health information of the elderly perso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 video message communication receiving unit (50) which receives a video message communication signal of a security inquiry from a guardian's portable terminal and performs video message communication between the aged person and the guardian to form an online communication channel between the elderly person and the guardian;
A signal converter 60 for converting the video message communication signal of the front part into a display video signal and transmitting the signal to the controller; And
And a management server (70) for storing health information of the elderly and storing health information of the aged person,
A proximity sensor 13 for sensing proximity change or proximity to a senior citizen approaching the smart mirror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smart mirror 10 which is made larger than the average height of the elderly so that the whole view of the elderly person is displayed Installed,
The elderly person identification unit 20 includes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elderly person, a terminal recognition module for performing recognition through a smart band worn by the wearable device, a face recognition unit for comparing the elderly person's face image data with a preset elderly person's face image Wherein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proximity of the elderly person when the elderly person approaches the smart mirror to perform face recognition by combining the identified identity information with the elderly person, Of the face,
Wherein an environment sensor capable of sensing an internal environment of a nursing facility in real time is installed on one side of a front face of the smart mirror, and the environment sensor includes a dust sensor, a gas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 wheelchair scale (90) is installed in front of the smart mirror (10) in order to use a medical measurement device or perform video message communication of the front part in a state where a disabled person who does not need a wheelchair is sitting,
The wheelchair scale 90 includes a wheelchair scale 91 mounted on the floor so that a wheelchair can enter the wheelchair scale 90, a seat 92 mounted on the upper side of the wheelchair scale to seat the elderly person, And a height adjustable pedestal (93) for the elderly person to grip and hold the posture,
Wherein the wheelchair scale is formed of a plate material that can be installed on the floor, and one end of the plate material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to facilitate the entry of the wheelchai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의료 측정기기(80)에 의해 측정되는 건강 정보는 BMI(비만도), 혈당, 혈압, 맥박, 체온, 신장, 체중, 걸음수 및 걸음자세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health information measured by the medical measurement device (80) is any one of BMI (obesity degree), blood glucose, blood pressure, pulse, body temperature, height, weight, Car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70)는 노약자의 건강 정보를 바탕으로 노약자에 매칭되는 운동방법, 자세 교정법 및 건강관리법을 영상과 음성으로 스마트 미러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70) provides the smart mirror with a motion method, a posture correcting method, and a health management method, which are matched to the elderly person, based on health information of the elderly person by video and vo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70)는 노약자의 건강 정보와 생활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상기 보호자의 휴대단말기에 설치된 앱을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70) provides the health care information and the living status information of the aged person through an app installed in the portable terminal of the guardia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미러(10)에는 노약자의 건강 정보와 영상메시지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1)가 내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mart mirror (10) is provided with a speaker (11) for outputting health information and a video message of the elder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미러(10)의 일측에는 스마트 미러를 조작하거나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센서(12)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ouch sensor (12) for controlling a smart mirror or controlling a setting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mart mirror (10).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미러(10)의 하부 일측에는 사이니지 전용 패널을 통해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표시부(14)가 더 설치되며,
상기 관리서버에서 스마트 미러에 접근한 노약자를 식별한 후 노약자의 성별, 나이, 건강 상태를 고려하여 노약자의 관심분야를 분석하고 그에 맞는 광고를 광고표시부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the lower side of the smart mirror 10, an advertisement display unit 14 for displaying an advertisement through a signage exclusive panel is further installed,
Wherein the management server identifies the aged person who has approached the smart mirror, analyzes the area of interest of the aged person in consideration of the sex, age and health status of the aged person, and controls the advertisement to be displayed on the advertisement display unit. Care medical care system utilized.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미러(10)의 후면에는 스마트 미러를 지지하되 노약자의 신장에 맞게 스마트 미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거치대(15)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요양 케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cradle (15) for supporting the smart mirror and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elongation of the elderly is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 mirror (10).
KR1020160131331A 2016-10-11 2016-10-11 Convalescence 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 KR10184995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331A KR101849955B1 (en) 2016-10-11 2016-10-11 Convalescence 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1331A KR101849955B1 (en) 2016-10-11 2016-10-11 Convalescence 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955B1 true KR101849955B1 (en) 2018-04-19

Family

ID=62087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1331A KR101849955B1 (en) 2016-10-11 2016-10-11 Convalescence 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955B1 (en)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881B1 (en) * 2018-05-03 2019-07-10 주식회사 에프티에치코리아 Old man dementia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KR102118585B1 (en) * 2019-12-13 2020-06-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Mirror Chatbot System and Method for Senior Care
KR20200063449A (en) * 2018-11-28 2020-06-05 백준흠 Posture detection smart toy and platform service using the same
KR102169335B1 (en) * 2020-03-03 2020-10-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mart safety bus station
KR20200126578A (en) * 2019-04-30 2020-11-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mirror, smart mirroring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habilitation training thereof
WO2021037569A1 (en) * 2019-08-28 2021-03-04 Roettcher Oliver M Wall mirror having adaptive user interface
WO2021092191A1 (en) * 2019-11-05 2021-05-14 Refliko, Inc. Smart mirror and table top devices with sensor fusion of camera vision, acoustic, and multi-point capacitive touch control
CN112802572A (en) * 2019-11-13 2021-05-1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device, intelligent mirror and storage medium
KR20210116094A (en) 2020-03-17 2021-09-27 (주)봄소프트 Life-oriented elderly care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10133793A (en) 2020-04-29 2021-11-08 에스큐아이소프트(주) Kiosk for thermal sensing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122870A (en) 2021-02-26 2022-09-05 한국광기술원 Smart mirr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0601A (en) * 2001-03-30 2002-10-11 Shimane Pref Gov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00601A (en) * 2001-03-30 2002-10-11 Shimane Pref Gov Virtual reality image display system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8881B1 (en) * 2018-05-03 2019-07-10 주식회사 에프티에치코리아 Old man dementia prevention and safety management system
KR20200063449A (en) * 2018-11-28 2020-06-05 백준흠 Posture detection smart toy and platform service using the same
KR102238337B1 (en) * 2018-11-28 2021-04-12 백준흠 Posture detection smart toy and platform service using the same
KR102352366B1 (en) * 2019-04-30 2022-01-18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mirror, smart mirroring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habilitation training thereof
KR20200126578A (en) * 2019-04-30 2020-11-09 부산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mirror, smart mirroring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for rehabilitation training thereof
WO2021037569A1 (en) * 2019-08-28 2021-03-04 Roettcher Oliver M Wall mirror having adaptive user interface
WO2021092191A1 (en) * 2019-11-05 2021-05-14 Refliko, Inc. Smart mirror and table top devices with sensor fusion of camera vision, acoustic, and multi-point capacitive touch control
CN112802572A (en) * 2019-11-13 2021-05-14 佛山市顺德区美的电热电器制造有限公司 Control method and device, intelligent mirror and storage medium
KR102118585B1 (en) * 2019-12-13 2020-06-03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Smart Mirror Chatbot System and Method for Senior Care
KR102169335B1 (en) * 2020-03-03 2020-10-26 한국건설기술연구원 Smart safety bus station
KR20210116094A (en) 2020-03-17 2021-09-27 (주)봄소프트 Life-oriented elderly care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210133793A (en) 2020-04-29 2021-11-08 에스큐아이소프트(주) Kiosk for thermal sensing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20220122870A (en) 2021-02-26 2022-09-05 한국광기술원 Smart mirr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955B1 (en) Convalescence 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
JP6997102B2 (en) Mobile devices with smart features and charging mounts for mobile devices
CN107205659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mproving and monitoring sleep
TWI615798B (en) Health care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Greene et al. IoT-based fall detection for smart home environments
Bhagchandani et al. IoT based heart monitoring and alerting system with cloud computing and managing the traffic for an ambulance in India
JP2017205531A (en) Electronic equipment
TWM482128U (en) Health care system based on internet of things
KR101975384B1 (en) Robot caring solitaries, system and method for caring solitaries using the same
KR20210105018A (en) System control method, apparatus and program for determining user state
Hessels et al. Advances i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and detection systems
US10848711B2 (en) Communication system for use with protected persons
JP2015153102A (en) Ear-mounted device, ear-mounted device set, server, program, and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KR20190073118A (en) Monitoring Robot for health care of user
JP2004255029A (en) Portable terminal, health management supporting system
JP2015173961A (en) Elderly person care support management system
KR20180038628A (en) Personal Emergency Response System for Silver Generation with Help Trigger
KR101809724B1 (en) Child-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
Jähne-Raden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 for fall prevention on geriatric wards: A report
JP6026137B2 (en) Medical diagnosis support system and risk information provision terminal device
JP2020177383A (en) Watching system for elderly person or the like
WO2020171109A1 (en) Caregiving assistance system for caregiving facility
WO20212307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al assistance service
JP3190977U (en) Elderly care support management system
CN108320811A (en) Medical system is nursed in health monito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