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09724B1 - Child-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 - Google Patents

Child-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09724B1
KR101809724B1 KR1020170066869A KR20170066869A KR101809724B1 KR 101809724 B1 KR101809724 B1 KR 101809724B1 KR 1020170066869 A KR1020170066869 A KR 1020170066869A KR 20170066869 A KR20170066869 A KR 20170066869A KR 101809724 B1 KR101809724 B1 KR 101809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ld
smart mirror
information
childcare
g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68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대일
Original Assignee
(주)유미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미테크 filed Critical (주)유미테크
Priority to KR1020170066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9724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9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972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2Social 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4Systems for two-way wor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dcare system using a smart mirror. More specifically, the childcare system using a smart mirror comprises: the smart mirror used as a mirror at ordinary times; a user identifying unit installed in the smart mirror and provided to identify a child in a childcare center approaching the smart mirror; a control unit measuring the weight and the height of the identified child, providing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prepar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eviously stored weight and height information and physical development game and cognitive development game or lear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 through the smart mirror, and generating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game results and learning results; and a communication unit transmitting the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and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to a terminal of a guardia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receiving image messages from the terminal of the guardian. The purpose of the childcare system using a smart mirror is to collect the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and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of the child in the childcare facility to provide customized childcare information through the smart mirror, such that the health and development of the children is cared for.

Description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 케어시스템{Child-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Child-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 "

본 발명은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 케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d care system using a smart mirror.

보다 구체적으로, 평상시 미러로 이용되는 스마트 미러, 상기 스마트 미러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 미러에 접근하는 보육아동을 식별하는 이용자 식별부, 상기 식별된 보육아동의 몸무게 및 키를 측정하고, 기저장된 몸무게 및 키를 비교분석한 신체발달정보와 해당 보육아동의 연령에 따라 신체발달게임 및 인지발달게임 또는 학습정보를 상기 스마트 미러를 통해 제공하며, 게임결과 또는 학습결과에 따른 인지발달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보호자의 단말기로 상기 신체발달정보 및 인지발달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보호자의 단말기로부터 영상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mirror used as a normal mirror, a user identification unit installed on the smart mirror to identify a child who approaches the smart mirror, a body weight and a key of the identified child, A controller for providing the physical development game and the cognitive development game or learning information through the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body development information obtain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key and the age of the child care child and generating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ame result or the learning result;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body development information and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to the terminal of the guardia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receiving the video message from the terminal of the guardian. .

최근 맞벌이가 증가하면서 보육원, 유치원, 어린이집 등의 보육시설에 위탁되는 아동의 수가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보육시설 내의 아동수의 증가 대비 보육교사 수의 부족 및 보육교사의 자질부족 등으로 인해 보육시설 내에서 아동학대 등이 발생되고 있어, 보육시설 아동의 인권 및 안전문제가 사회적으로 큰 이슈가 되고 있다. The number of children entrusted to childcare facilities such as nursery schools,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recent increase in working income. However, due to the lack of childcare teachers compared to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children in childcare facilities and the lack of qualifications of childcare teachers, child abuse is occurring in childcare facilities, and human rights and safety issues of childcare facilities are a social issue. .

이에 따라, 아동을 보육 시설에 맡기는 부모들의 불안감은 커지고, 보육시설에 대한 신뢰감은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결을 위해, 종래 기술들은 보육시설 내에 CCTV 등을 설치하여 아동의 생활을 감시하는 방안을 제공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감시방안은 문제발생시 증거자료로 활용될 뿐, 근본적인 문제해결 방안은 제공하지 못한다. As a result, the anxiety of the parents who leave the child to the child care facility is increasing, and the trust in the child care facility is decreasing. 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the related arts provide a method of monitoring a child's life by installing a CCTV in a childcare facility. However, these surveillance measures are used only as evidence when problems arise, and they do not provide fundamental solutions to problems.

이에, 보육 시설 내에서 생활하는 아동에 대한 발달정보 및 생활정보 등을 부모가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고, 아동과 부모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유대감을 형성하고, 보육시설에 대한 신뢰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육케어 시스템이 요구된다.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developmental information and living information of the child living in the child care facility in real time, to form a bond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child and the parent, and to raise the trust in the child care facility A care system is required.

1. 한국등록특허 제1527813호(2015.06.10.공고)1. Korean Registered Patent No. 1527813 (Notice of June 10, 2015)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보육시설 내 아동의 신체 발달 정보, 인지 발달 정보를 수집하여 스마트 미러를 통해 맞춤형 케어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아동의 건강 및 발달을 케어할 수 있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ersonalized care information through a smart mirror by collecting a child's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and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in a child care facility, It is aimed to provide a nursery care system that utilizes a smart mirror that can be cared for.

또한, 스마트 미러를 통해 보육아동과 보호자간의 원격 영상메시지 전송 및 영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Also,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hildcare system using a smart mirror capable of providing remote video message transmission and video call service between a child and a carer through a smart mirror.

또한, 아동의 건강 정보, 신체 발달 정보, 인지 발달 정보 및 생활정보(사진,동영상)들을 보호자에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아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보육시설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by providing the child's health information,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nd living information (photos, videos) to the caregiver, the smart mirror can be used to confirm the child's condition and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child care facility It is aimed to provide a child care system.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은 평상시 미러로 이용되는 스마트 미러, 상기 스마트 미러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 미러에 접근하는 보육아동을 식별하는 이용자 식별부, 상기 식별된 보육아동의 몸무게 및 키를 측정하고, 기저장된 몸무게 및 키를 비교분석한 신체발달정보와 해당 보육아동의 연령에 따라 신체발달게임 및 인지발달게임 또는 학습정보를 상기 스마트 미러를 통해 제공하며, 게임결과 또는 학습결과에 따른 인지발달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보호자의 단말기로 상기 신체발달정보 및 인지발달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보호자의 단말기로부터 영상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child care system using a smart mirror, comprising: a smart mirror used as a normal mirror; A physical development game and a cognitive development game or lear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orresponding child, and a user identification unit for measuring the weight and key of the identified childcare child, A controller for generating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game result or a learning result, and a controller for transmitting the body development information and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to a terminal of a guardian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receiving the data.

또한, 보육아동의 등록정보, 신체발달정보, 인지발달정보 및 시설 내 CCTV 또는 카메라 촬영을 통해 확보된 해당아동의 사진 및 영상을 저장하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보호자의 단말기로 보육아동에 매칭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stor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child development information,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of child care child, photo and image of the child secured through CCTV or camera shooting in the facility, and is a terminal of a guardian connecting through a communication network. And may further include a management server for providing information.

또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대응하여 보육아동의 신체발달정보를 바탕으로 보육아동에게 요구되는 운동방법 및 건강관리법에 따른 활동게임, 보육아동의 연령 또는 인지발달정보에 따른 학습게임 및 학습 동영상 중 하나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공된 활동게임, 학습게임, 학습 동영상 중 하나를 상기 스마트 미러를 통해 재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may be configured to respond to a request from the control unit, to generate a game based on an exercise game, a game according to a health management method, an age or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of a child, And the learning video, and the control unit may play back one of the provided activity game, the learning game, and the learning video through the smart mirror.

또한, 상기 신체발달정보는 기설정 기간 동안의 신장 및 체중 변화에 따른 그래프 및 평균 그래프 비교정보가 되며, 상기 인지발달정보는 상기 게임결과 또는 학습결과에 따른 기준연령 대비 인지발달정도가 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development information is a graph and an average graph comparison informa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height and weight during a preset period, and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may be a cognitive development relative to a reference age according to the game result or the learning result .

또한, 상기 제어부는 영상통화서비스를 제공하며, 보육아동 또는 보호자에 의해 상기 영상통화서비스가 요청되면, 식별된 보육아동에 매칭된 정보 및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보육아동 영상을 상기 보호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보호자의 단말기로 제공되는 상기 식별된 보육아동에 매칭된 정보 및 보호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보호자 영상을 상기 스마트 미러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Also, the control unit provides a video call service, and when the video call service is requested by a child care or a guardian, information matched to the identified child care child and a child car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are provided to the parent terminal And the information matched to the identified childcare child provided to the terminal of the protector and the protector image received from the terminal of the protector can be provided through the smart mirror.

또한, 상기 스마트 미러의 전방 바닥에 설치되는 체중계 및 상기 체중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보육아동이 앉을 수 있는 좌석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a scale installed on the front floor of the smart mirror and a seat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cale for allowing the child to sit on can be installed.

또한, 상기 스마트 미러의 후면에는 스마트 미러를 지지하되 보육아동의 신장에 맞게 스마트 미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거치대가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a stand for supporting the smart mirror and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hild can be install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smart mirror.

또한, 상기 스마트 미러의 전면 상부에는 보육아동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이용자 식별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보육아동의 안면을 인식하여 식별하고, 상기 제어부는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보육아동의 키를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childcare child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face of the smart mirror, and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recognizes and identifies the face of the childcare child photographed by the camera, Can be measur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기설정 거리내에 있는 스마트 줄넘기로부터 줄넘기 개수가 수신되면, 수신된 줄넘기 개수에 대응되는 줄넘기 등급과 줄넘기 등급에 따른 칭찬메시지 또는 응원메시지를 상기 스마트 미러에 표시하고, 상기 식별된 보육아동의 줄넘기 정보로 관리서버에 저장할 수 있다. When the number of rope skips is received from the smart rope skipping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unit displays a compliment message or a cheering message according to the rope skipping grade and the rope skipping grade corresponding to the received rope skipping count on the smart mirror , And can be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as the identified childcare information of the childcare chil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줄넘기 개수와 함께 줄넘기 식별자를 수신하며, 수신된 줄넘기 식별자와 상기 이용자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보육아동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줄넘기 정보를 표시 및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rope-jumping identifier together with the rope-jumping number, and may display and store the rope-jumping information when the child roaming child identified by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matches the received rope-knocking identifier.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은, 보육시설에서 관리되는 아동들의 신체발달상태, 학습인지상태 및 생활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케어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hild care system utilizing the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collectively manage the physical development state, the learning state, and the living state of the children managed in the child care facility.

또한, 스마트 미러를 통해 보육시설 내 아동과 보호자간의 원격 영상메시지 통신을 제공함으로써, 아동의 신체 발달 정보, 인지 발달 정보 및 생활정보(사진,동영상)를 보호자에 제공함으로써, 보호자가 직접 아동의 발달 및 생활을 체크할 수 있어 보육시설 등의 폐쇄적 환경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In addition, by providing remote video message communication between the child and the caregiver in the childcare facility through the smart mirror,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child with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nd living information (picture and video) And the living can be checked, so that the reliability of the closed environment such as the child care facility can be enhanced.

또한, 보호자는 아동의 정보를 이용하여, 아동에게 안부 및 관심을 전달함으로써 아동의 심리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고, 아동과 보호자간의 온라인 소통 채널 도구로 삶의 행복감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caregiver can improve the psychological state of the child by using the information of the child, conveying the concern and concern to the child, and increase the happiness of life with the online communication channel tool between the child and the caregiver.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스마트 미러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마트 미러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의 보육아동 키(신장)측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스마트 미러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이시스템을 통해 아동정보를 제공받는 보호자 휴대단말기의 화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hild care system us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a child care system us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mart mirror of FIGS. 1 and 2. FIG.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mirror of Fig. 3;
5 is a view show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child care system us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FIG. 7 is a view for explaining child care child height (height) measurement of a child care system us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service screen provided through the smart mirro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creen of a protector portable terminal that receives child information through a child care K system utilizing the smart mirror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term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it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re not intended to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water and variations may be pres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described or specifically described with respect to a known configuration that can be easily adde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Let the sound be reveal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은 아동을 보육하는 보육원, 유치원, 어린이집 등의 보육시설에 설치되어 해당 보육시설 내의 아동들을 관리할 수 있다. 1 is a block diagram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child care system us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hild care system using the smart mirror of FIG. 1. FIG. The childcare system utilizing the smart mirr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childcare facilities such as a nursery, a kindergarten, and a daycare center for childcare, thereby managing the children in the childcare facility.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이하, 보육케어 시스템이라 함)은 스마트 미러(10), 이용자 식별부(20), 제어부(30), 통신부(50), 신호변환부(60), 관리서버(70) 및 의료 측정기기(80)를 포함할 수 있다. 1 and 2, a childcare syst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hildcare system) utilizing the smart mirr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mart mirror 10, a user identification unit 20, a control unit 30, a communication unit 50, a signal conversion unit 60, a management server 70, and a medical measurement device 80. [

스마트 미러(10)는 제어부(30)의 제어하에, 평상시 미러로 이용되며 이용자 식별시 이용자 선택에 따라 건강 서비스, 게임 및 학습 서비스, 영상메시지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미러(10)는 보육아동의 전체 모습이 비춰지도록 보육아동들의 평균 신장보다 크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마트 미러(1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할 수 있다.The smart mirror 10 is normally used as a mirro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 and can provide health services, games and learning services, video message services and the like in accordance with the user selection at the time of user identification.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smart mirror 10 is made larger than the average height of the childcare so that the whole view of the childcare child is reflected. The configuration and function of the smart mirror 10 can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and 4. FIG.

도 3은 도 1 및 도 2의 스마트 미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스마트 미러의 구성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스마트 미러(10)는 최후방에 배치되는 백 프레임(10a), 상기 백 프레임의 전방에 결합되는 프론트 프레임(10b), 상기 백 프레임의 내측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10c),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전방에 배치되는 패널 가드프레임(10d) 및 최전방에 배치되는 미러(10e)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4와 같이, 스피커(11), 터치센서(12), 광고표시부(14), 전원공급부(16) 및 카메라(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FIG.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mart mirror of FIGS. 1 and 2. FIG. Fig. 4 is a configuration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smart mirror of Fig. 3; 3 and 4, the smart mirror 10 includes a back frame 10a disposed at the rear end, a front frame 10b coupled to the front of the back frame, a display panel 10b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back frame, A panel guard frame 10d disposed in front of the display panel, and a mirror 10e disposed at the forefront. 4, a speaker 11, a touch sensor 12, an advertisement display unit 14, a power supply unit 16, and a camera 17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은 LCD, LED, PDP 또는 광고판처럼 얼굴을 인식하는 디지털 사이니지용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지털 사이니지용 패널은 공공장소에서 문자나 영상 등 다양한 정보를 LCD, LED, PDP 화면을 통해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광고게시판을 말하며, 기존 디스플레이에 주요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관리 플랫폼, 네트워크 등의 IT 기술이 종합되어 광고뿐만 아니라 고객 경험을 유도하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Here, the display panel is preferably composed of a panel for recognizing a face such as an LCD, an LED, a PDP, or a billboard. Digital signage panel is a display advertisement board that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such as text and video in public place through LCD, LED and PDP screen. It also includes software, hardware, management platform, network, etc. Of IT technology can be used as a communication tool to induce not only advertising but also customer experience.

스마트 미러(10)에는 보육아동에 대한 정보, 게임, 학습 및 영상메시지 등에 포함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11)가 내장되고,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6)가 구비된다. 또한, 스마트 미러(10)의 일측에는 스마트 미러를 조작하거나 설정을 제어하기 위한 터치센서(12)가 설치될 수 있다. The smart mirror 10 is provided with a speaker 11 for outputting audio signals included in information on childcare children, games, learning and video messages, and a power supply unit 16 for supplying power. In addition, a touch sensor 12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mart mirror 10 for controlling the smart mirror or for controlling the setting.

또한, 스마트 미러(10)의 내부 일측에는 스마트 미러를 향해 접근하는 보육아동와의 근접거리 변화 또는 근접 여부를 센싱하기 위한 근접센서(13)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스마트 미러에 보육아동이 접근하면 근접센서에서 이를 감지하여 이용자 식별부(20)에 감지신호를 전송하고, 얼굴인식을 수행하기 위하여 카메라를 통해 얼굴을 촬영하게 된다.In addition, a proximity sensor 13 may be installed at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smart mirror 10 to sense proximity change or proximity to the child who is approaching the smart mirror. That is, when a child of a child approaches the smart mirror, the proximity sensor senses it, transmits a detection signal to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20, and takes a face through the camera to perform face recognition.

이때, 근접센서(13)는 실내 환경에서 거리 측정값이 비교적 정확한 레이저 방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초음파, 적외선, 열, 빛, 마그네틱 등의 방식을 이용하는 어떠한 센서로도 구현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roximity sensor 13 preferably employs a laser method in which the distance measurement value is relatively accurate in an indoor environment, and can be implemented by any sensor using ultrasonic, infrared, heat, light, or magnetic.

또한, 스마트 미러(10)의 하부 일측에는 사이니지 전용 패널을 통해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표시부(1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광고표시부(14)는 사이니지 전용 패널을 통해 구현되게 함에 따라 보육아동가 스마트 미러에 접근했을 경우 스마트 미러에 설치된 카메라(17)에 의해 보육아동의 얼굴을 인식해 보육아동에 맞는 광고를 보여줄 수 있다. In addition, an advertisement display unit 14 may be further provided on a lower side of the smart mirror 10 to display an advertisement through a signage exclusive panel. Here, since the advertisement display unit 14 is realized through the panel for signage, when the child child approaches the smart mirror, the camera 17 installed on the smart mirror recognizes the child's face and displays an advertisement suitable for the child child .

즉, 관리서버(70)에서 스마트 미러(10)에 접근한 보육아동를 식별한 후 보육아동의 성별, 나이태 등을 고려하여 보육아동의 관심분야를 분석하고 그에 맞는 광고를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That is, after identifying the childcare child who has approached the smart mirror 10 at the management server 70, the user can analyze the area of interest of the childcareer and display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the gender and the age of the childcareer .

한편, 본 발명의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기 스마트 미러(10)의 전면 일측에는 보육시설의 내부 환경을 실시간으로 감지할 수 있는 환경센서가 더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환경센서는 먼지센서, 가스감지센서, 온도센서, 습도센서, 조도센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환경센서에 의해 보육시설의 내부 환경상태를 파악할 수 있어 호흡기질환에 민감한 보육아동들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n environmental sensor capable of sensing the internal environment of the child care facility in real time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 mirror 10, and the environment sensor may include a dust sensor, A gas sensor, a temperature sensor, a humidity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nd the like. Accordingly, the environmental sensor of the child care facility can be grasped by the environmental sensor, thereby providing a pleasant environment for child care susceptible to respiratory diseases.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미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스마트 미러(10)의 후면에는 스마트 미러를 지지하되 보육아동의 신장에 맞게 스마트 미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거치대(15)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거치대(15)는 높이 조절이 가능하고, 하단에 이동용 바퀴를 구비하여 스마트 미러(10)의 이동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5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rear of the smart mirror 10, a holder 15 supporting the smart mirror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height of a child in childcare, Can be installed.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cradle 15 can be adjusted, and the mobile wheel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radle 15 to facilitate the movement of the smart mirror 10.

한편, 이용자 식별부(20)는 스마트 미러(10)의 일측에 설치되어 스마트 미러(10)에 접근하는 보육아동를 식별할 수 있다. 이용자 식별부(20)는 근접센서(13)로부터 전송된 보육아동의 접근 감지신호에 따라 보육아동 식별을 위해 작동될 수 있다.Meanwhile,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20 may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smart mirror 10 to identify a child who is approaching the smart mirror 10.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20 can be operated for childcare child identification in accordance with the child care child's approach detection signal transmitted from the proximity sensor 13. [

이용자 식별부(20)는 보육아동을 촬영하는 카메라(17), 웨어러블 기기로 착용 가능한 스마트 밴드를 통해 인식을 수행하는 단말기인식 모듈, 보육아동 얼굴 영상데이터와 미리 설정되어 있는 보육아동 얼굴 이미지를 비교하여 얼굴 인식을 수행하는 얼굴인식 모듈을 포함하여 보육아동을 식별하고, 파악된 신원 정보를 결합하여 신원 정보의 확실성을 높일 수 있다.The user identification unit 20 is composed of a camera 17 for photographing a childcare child, a terminal recognition module for performing recognition through a smart band worn by a wearable device, a child child face image data and a preset child child face image And a face recognition module for performing face recognition to identify childcare children and combine the identified identification information to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예를 들면, 얼굴인식 모듈의 경우에는 이용자 식별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포함된 보육아동 얼굴 영상데이터와, 관리서버(70)에 기저장되어 있는 보육아동 이미지 정보를 비교하여 얼굴인식을 수행하고, 일치 여부에 따른 인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ace recognition module, the face recognition is performed by comparing the child child face image data included in the signal input from the user identification section with the child child image information previously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70, It is possible to perform authentication according to coincidence and to provide the result.

제어부(30)는 스마트 미러(10) 및 스마트 미러(10)의 동작 수행을 위한 관련된 구성들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30)는 이용자 식별부(20)를 통해 식별 확인된 보육아동 정보를 관리서버(7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30 can control overall configuration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mart mirror 10 and the smart mirror 10. In particular, the control unit 30 can receive the childcare information identified and confirmed through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20 from the management server 70.

또한, 제어부(30)는 보육아동이 식별되면, 해당 아동의 몸무게 및 키를 측정할 수 있다. 이는 도 6 및 도 7을 통해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30)는 해당 아동에 대해 측정된 몸무게 및 키를 관리서버(70)로 전송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관리서버(70)는 해당 보육아동에 대한 신체발달정보로, 기설정 기간 동안의 신장 및 체중 변화에 따른 그래프 및 평균 그래프 비교정보를 생성하여 저장할 수 있다. 한편, 관리서버(70)는 해당 보육아동의 몸무게 및 키를 시간 순으로 저장만 하고, 제어부(30)에서 보육아동 식별시, 저장된 몸무게 및 키를 수신하여 신체발달정보로 생성하여 스마트 미러(10)를 통해 표시할 수도 있다.Further, when the child care child is identified, the control unit 30 can measure the weight and the height of the child.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FIG.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30 can transmit the measured weight and key to the management server 70 and store the measured weight and key. At this time, the management server 70 can generate and store graphs and average graph compariso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elongation and weight change during the predetermined period as the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for the child care child. Meanwhile, the management server 70 only stores the weight and the key of the child-care child in time order. When the child-care child is identified in the control unit 30, the management server 70 receives the stored body weight and key to generate body development information, ). ≪ / RTI >

한편, 제어부(30)는 보육아동의 게임 또는 학습 실행 선택 시, 해당 아동의 신체발달정보 및 연령에 대응되는 신체 및 인지 발달 게임을 제공하거나 학습정보를 스마트 미러(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게임 또는 학습 결과에 따른 인지발달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70)에 전송하여 인지발달정보를 저장관리할 수 있게 한다.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30 may provide a body and cognitive development game corresponding to the body development information and age of the child or provide the learning information through the smart mirror 10 . Also, the control unit 30 generates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ame or learning result, and transmits the generated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70 so that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can be stored and managed.

여기서, 신체발달정보는 기설정 기간 동안의 신장 및 체중 변화에 따른 그래프 및 평균 그래프 비교정보가 될 수 있다.Herein, the body development information may be a graph based on the elongation and weight change during the preset period and an average graph comparison information.

또한, 인지발달정보는 게임 또는 학습 결과에 따른 기준연령 대비 인지발달정도가 될 수 있다.Further,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may be a degree of cognitive development relative to a reference age according to a game or a learning result.

통신부(50)는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또는 유무선 인터넷 등이 될 수 있고, 제어부(30)의 제어하에 신체발달정보, 인지발달정보를 관리서버(70)로 전송할 수 있고, 관리서버(70)로부터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관리서버(70)는 제어부(30)의 제어하에 수집된 보육아동에 대한 정보를 보호자의 휴대단말기(100:도8참고)에 제공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30)의 제어하에 관리서버(70)에서 수집된 보육아동에 대한 정보들을 통신부(50)를 통해 보호자의 휴대단말기(1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The communication unit 50 may be Wi-Fi, Bluetooth, Zigbee, wired or wireless Internet, and transmits the body development information and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to the management server 7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 [ And can be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server 70 as well. In addition, the management server 70 may provide the information about the childcare children collec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see FIG. 8) of the caregiver. Alternativel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 the child care information collected by the management server 70 may be transmitted to the caregiver's mobile terminal 100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50.

또한, 통신부(5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스마트 줄넘기(미도시)로부터 식별된 보육아동의 줄넘기 개수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30)는 식별된 보육아동의 줄넘기 개수 수신시, 해당 개수에 따른 줄넘기 등급과 등급에 따른 칭찬메시지 또는 응원메시지 등을 스마트 미러(1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해당 보육아동의 줄넘기 개수 및 등급 등의 줄넘기 정보를 관리서버(70)에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Further, the communication unit 50 can receive the number of rope skipping of the child care child identified from smart rope skipping (not shown) by using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he control unit 30 may display a rope skipping grade and a compliment message or a cheering message according to the numb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rope skipping counts of the identified child care child through the smart mirror 10.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unit 30 may store the rope skipping information such as the number of rope skips and the grade of the child care child in the management server 70 for management.

이때, 스마트 줄넘기는 보육시설에서 공통으로 이용되거나, 개인 소유로 이용될 수 있다. 공통으로 이용되는 경우, 제어부(30)는 스마트 줄넘기로부터 줄넘기 개수를 수신시, 이용자 식별부(20)를 통해 식별된 보육아동에 대한 줄넘기 정보로 인식할 수 있다. At this time, smart jump rope can be commonly used in child care facilities or can be used as private ownership. The control unit 30 can recognize the rope skipping information for the child care child identified through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20 when receiving the rope skipping number from the smart rope skipping.

또는, 스마트 줄넘기가 개인소유로 이용되는 경우, 스마트 줄넘기는 보육아동의 식별자 및 줄넘기 개수를 제어부(30)로 전송할 수 있고, 제어부(30)는 이용자 식별부(20)를 통해 식별된 보육아동과 스마트 줄넘기로부터 수신된 식별자가 일치하는 경우, 해당 줄넘기 개수를 식별된 보육아동의 정보로 관리서버(70)에 저장할 수 있다.Alternatively, when smart rope skipping is used as private ownership, the smart rope skipping can transmit the identifier of the child care child and the number of rope skipping to the control unit 30, and the control unit 30 controls the child care child identified through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20 If the identifiers received from the smart jump rope are identical, the number of rope skips can be stored in the management server 70 as information of the identified child caregivers.

또한, 통신부(50)는 보호자의 단말기(100)로부터 영상메시지를 수신하거나, 보호자의 단말기(100)로 영상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50)는 제어부(30)의 제어하에 보육아동과 보호자 간의 영상통화를 위한 통신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communication unit 50 may receive a video message from the parent terminal 100 or may transmit the video message to the parent terminal 100. The communication unit 50 may also provide a communication function for video communication between the child caregiver and the caregiv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30. [

제어부(30)는 보육아동 또는 보호자에 의해 상기 영상통화서비스가 요청되면, 식별된 보육아동에 매칭된 정보 및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보육아동 영상을 관리서버(70)를 통해 보호자의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0)는 보호자의 단말기(100)로 제공되는 식별된 보육아동에 매칭된 정보 및 보호자의 단말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보호자 영상을 스마트 미러(1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video call service is requested by the childcare child or the caregiver, the control unit 30 transmits the information matched to the identified childcare child and the child car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to the guardian's terminal 100 through the management server 70, . The control unit 30 may provide information matched to the identified childcare provided to the guardian's terminal 100 and the guardian image received from the guardian's terminal 100 through the smart mirror 10.

이때, 신호변환부(60)는 영상메시지 및 영상통화 신호를 디스플레이 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제어부(30)에 전달할 수 있다. 신호변환부(60)는 스마트 미러(10)의 화면 크기에 맞게 영상크기를 조절하여 제공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signal converting unit 60 converts the video message and the video call signal into a display video signal, and transmits the converted video signal to the controller 30. The signal converter 60 may adjust the image size according to the screen size of the smart mirror 10 and provide the adjusted image size.

이에 따라, 보육아동과 보호자가 영상메시지 송수신 및 영상 통화를 할 수 있어, 보호자가 보육아동의 건강 상태, 신체발달상태, 인지발달상태 및 생활 상태를 확인을 할 수 있고, 보육아동에게 안부 문의 등을 함으로써 보육아동의 심리 상태를 호전시킬 수 있다. 또한, 보육아동와 보호자 간의 온라인 소통 채널 도구로 삶의 행복감을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ly, the child care and the caregiver can send and receive video messages and video calls, so that the caregiver can check the health state, the body development state, the cognitive development state and the living condition of the child child, The child's mental state can be improved. In addition, it can increase the happiness of life with the online communication channel tool between the child care and the caregiver.

관리서버(70)는 보육아동의 등록정보, 건강정보, 신체발달정보, 인지발달정보 및 시설 내 CCTV 또는 카메라 촬영을 통해 확보된 해당아동의 사진 및 영상을 저장하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보호자의 단말기(100) 및 제어부(30)로 보육아동에 매칭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management server 70 stor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the health information, the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of the child care child, the photo and the image of the child secured through the CCTV or camera shooting in the facility, The terminal 100 and the control unit 30 can provide information matched to the child caregiver.

관리서버(70)는 제어부(30)의 요청에 대응하여 보육아동의 신체발달정보를 바탕으로 보육아동에게 요구되는 운동방법 및 건강관리법에 따른 활동게임, 보육아동의 연령 또는 인지발달정보에 따른 학습게임 및 학습 동영상 중 하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제공된 활동게임, 학습게임, 학습 동영상 중 하나를 스마트 미러(10)를 통해 재생시켜 제공할 수 있다.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control unit 30, the management server 70 generates a game based on the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required by the child care child and the activity game according to the health management method, the age or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Games and learning videos.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 can reproduce one of the provided activity game, the learning game, and the learning video through the smart mirror 10 and provide it.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은 도 1의 구성에 스마트미러 연계부(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마트미러 연계부(90)는 체중계(91) 및 좌석(92)을 포함할 수 있다.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child care system using a smart mirr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Referring to FIG. 6, the child care system using the smart mirror may further include a smart mirror connection unit 90 in the configuration of FIG. Here, the smart mirror coupling unit 90 may include a scale 91 and a seat 92.

체중계(91)는 스마트 미러(10)의 전방 바닥에 설치되어 스마트 미러(10) 전방으로 이동한 보육아동이 체중계(91)를 밟고 올라설 수 있게 구비되며, 보육아동의 체중이 측정되면 무선 통신망 등을 이용하여 측정된 체중을 관리서버(70)로 전송할 수 있다. The weight scale 91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front of the smart mirror 10 so that the child who has moved forward of the smart mirror 10 can step on the scale 91. When the weight of the child is measured, Or the like, to the management server 70.

또한, 좌석(92)은 체중계(91)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보육아동이 앉을 수 있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받침대(93)는 보육아동이 손을 잡아 자세를 잡을 수 있도록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받침대(93)에는 의료측정기기(80)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에, 보육아동은 좌석(92)에 앉은 상태에서 의료 측정기기(80)를 이용하거나, 영상메시지 통신수행 또는 영상통화를 할 수 있고, 학습 및 게임을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eat 92 can be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part of the scale 91, so that the child can sit down. In addition, the pedestal 93 can be installed so that the height of the child can be adjusted so that the child can hold his / her hand and hold the posture. At this time, the medical measurement device 80 may be provided on the pedestal 93. Thus, the childcare child can use the medical measurement device 80 while sitting on the seat 92, perform video message communication or video call, and can learn and play a game.

또한, 도 7과 같이 카메라(17)를 이용하여 보육아동의 키를 측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고하면, 스마트 미러(10)의 전면 상부에는 카메라(17)가 설치되며, 카메라(17)는 보육아동을 촬영하여 보육아동을 식별하는데 이용되며, 보육아동의 키(신장)을 측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카메라(17)에 의해 촬영된 보육아동의 모습은 스마트 미러(10)에 표시될 수 있으며,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30)에서 분석하여 신장을 측정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camera 17 can be used to measure the height of a child in childcare. 7, a camera 17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face of the smart mirror 10, and the camera 17 is used to identify a child of a child by photographing a child, and measures the height . ≪ / RTI > The state of the childcare child photographed by the camera 17 can be displayed on the smart mirror 10 and the control unit 30 can measure the kidney by analyzing the photographed image.

도 7을 참고하면, 카메라(17)는 스마트 미러(10)의 전면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어부(30)는 스마트 미러(10)에서 보육아동이 위치한 곳까지의 제1거리(h1)를 근접센서(13)를 이용하여 산출하고, 산출된 제1거리(h1)와 카메라(17)에 의해 촬영된 보육아동의 영상으로부터 보육아동의 머리 상부점(P)을 파악하여 θ를 산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산출된 θ와 제1거리(h1)를 이용하여 제2거리(h2)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스마트 미러의 높이(h)는 이미 알고 있는 값으로, 스마트 미러의 높이(h)에서 산출된 제2거리(h1)의 차를 산출하여 보육아동의 키(h3)를 측정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the camera 17 may be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mart mirror 1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 calculates the first distance h1 from the smart mirror 10 to the place where the childcare child is located, using the proximity sensor 13, and calculates the first distance h1 and the calculated distance h1 ) Can be calculated from the images of childcare pictures photographed by the child's child (P). Next, the second distance h2 can be calculated using the calculated? And the first distance h1. Meanwhile, the height h of the smart mirror is a known value, and the height h3 of the child can be measured by calculating the difference of the second distance h1 calculated from the height h of the smart mirror.

제어부(30)는 측정된 보육아동의 키(신장)를 관리서버(70)에 저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 may store the measured height (height) of the childcare child in the management server 70. [

도 8은 본 발명의 스마트 미러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화면이다. 제어부(30)는 스마트 미러(10)를 통해, 보육아동의 모습, 보육아동의 신체발달정보, 인지발달정보, 생활정보(아동의 사진 및 동영상 등), 영상메시지, 영상통화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스마트 미러(10)의 화면을 분할하여 여러 영상 및 정보들을 동시에 표시할 수도 있다.8 is a service screen provided through the smart mirr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30 can display the state of the childcare child, the body development information of the childcare child,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the living information (picture and video of the child), the video message, and the video call through the smart mirror 10 And the screen of the smart mirror 10 may be divided to display various images and information at the same time.

도 8을 참고하면, 제어부(30)는 a와 같이, 평상시 거울로 이용되도록 스마트 미러(10)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30)는 b와 같이, 이용자 식별부(20)를 통해 보육아동이 식별되면 선택 가능한 게임, 학습메뉴 또는 신체발달 정보 등을 스마트 미러(10)에 표시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controller 30 can control the screen of the smart mirror 10 so that it is normally used as a mirror, as in a.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ler 30 can display a selectable game, a learning menu, or body development information on the smart mirror 10 when the child child is identified through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20, as in b.

또한, 제어부(30)는 c와 같이, 이용자 식별부(20)를 통해 식별된 보육아동의 신체발달정보에 따라 보육아동에게 요구되는 운동방법 및 건강관리법에 따른 활동게임을 관리서버(70)로부터 제공받아 스마트 미러(10)를 통해 재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 transmits an activity game required by the childcare child according to the body development information of the childcare child identified through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20 and an activity game according to the healthcare management method, And can be reproduced through the smart mirror 10.

또는, 제어부(30)는 보육아동의 연령 또는 인지발달정보에 따른 학습게임 또는 학습 동영상을 관리서버(70)로부터 제공받아 스마트 미러(10)를 통해 재생시킬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30 can receive the learning game or the learning video according to the age or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of the childcare child from the management server 70 and reproduce it through the smart mirror 10.

또한, 제어부(30)는 d와 같이, 스마트 미러(10)를 통해 영상메시지를 제공하거나, e같이 영상통화 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영상통화서비스 제공시, 화면을 분할하여 보호자 영상(e1) 및 보육아동의 생활정보(e2:사진, 동영상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이에, 보육아동과 보호자가 생활정보를 같이 보면서 대화를 나눌 수 있다. Also, the control unit 30 may provide a video message through the smart mirror 10 or provide a video call service like e, as in d. When a video call service is provided, the screen can be divided to display the parent image (e1) and the living information (e2: picture, video, etc.) of the child. Therefore, children and carers can share their daily life information and talk.

도 9는 본 발명의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 시스템을 통해 아동정보를 제공받는 보호자 휴대단말기의 화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보호자 휴대단말기(100)는 관리서버(70) 및 제어부(30)와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며, 보육아동의 정보를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앱이 설치된 휴대단말기가 될 수 있다. FIG. 9 is a screen of a protector mobile terminal that receives child information through a childcare system using the smart mirror of the present invention. 9, the protector wireless terminal 100 may be a portable terminal equipped with an application capable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to and from the management server 70 and the control unit 30, .

보호자는 앱을 통해, 보육아동의 신체발달정보, 인지발달정보 및 생활정보 등을 확인할 수 있고, 영상메시지 전송 및 영상통화 등을 할 수 있다. Through the app, the guardian can check the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nd daily life information of the child in childcare, and can transmit video message and video call.

이에 따라, 보호자가 외부에서도 언제든지 보육아동의 평상시 모습이나 건강 상태, 발달상태 등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보육아동과의 대화를 통해 안부 및 관심을 전달함으로써, 아동은 안정적인 심리상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보호자는 보육시설 등의 폐쇄적 환경에 대한 신뢰성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ly, the caregiver can easily grasp the normal appearance, health condition, and development status of the child in the outside at any time. In addition, by communicating with the child through the dialogue with the child, the child can have a stable psychological state and the caregiver can have confidence in the closed environment such as the child care facility.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9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9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1 to 9 are merely the main poi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of Figs. 1 to 9 as various designs can be made within the technical scope thereof. It is self-evident.

10 : 스마트 미러 10a : 백 프레임
10b : 프론트 프레임 10c : 디스플레이 패널,
10d : 패널 가드프레임 10e : 미러
11 : 스피커 12 : 터치센서
13 : 근접센서 14 : 광고표시부
15 : 거치대 16 : 전원공급부
17 : 카메라 20 : 이용자 식별부
30 : 제어부 50 : 통신부
60 : 신호변환부 70 : 관리서버
90 : 스마트미러 연계부 91 : 체중계
92 : 좌석
10: Smart Mirror 10a: Back frame
10b: front frame 10c: display panel,
10d: panel guard frame 10e: mirror
11: Speaker 12: Touch sensor
13: proximity sensor 14: advertising display
15: cradle 16: power supply
17: camera 20: user identification unit
30: control unit 50: communication unit
60: signal conversion unit 70: management server
90: smart mirror connection part 91: scale
92: Seat

Claims (10)

평상시 미러로 이용되는 스마트 미러;
상기 스마트 미러에 설치되어 상기 스마트 미러에 접근하는 보육아동을 식별하는 이용자 식별부;
상기 식별된 보육아동의 몸무게 및 키를 측정하고, 기저장된 몸무게 및 키를 비교분석한 신체발달정보와 해당 보육아동의 연령에 따라 신체발달게임 및 인지발달게임 또는 학습정보를 상기 스마트 미러를 통해 제공하며, 게임결과 또는 학습결과에 따른 인지발달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하에 보호자의 단말기로 상기 신체발달정보 및 인지발달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보호자의 단말기로부터 영상메시지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보육아동의 등록정보, 신체발달정보, 인지발달정보 및 시설 내 CCTV 또는 카메라 촬영을 통해 확보된 해당아동의 사진 및 영상을 저장하고,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는 보호자의 단말기로 보육아동에 매칭된 정보를 제공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
A smart mirror that is normally used as a mirror;
A user identification unit installed in the smart mirror to identify a child in a caregiver approaching the smart mirror;
The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obtained by measuring the weight and key of the identified childcare child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reviously stored body weight and key and the physical development game and the cognitive development game or learning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age of the childcare child through the smart mirror A control unit for generating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 game result or a learning result;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body development information and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to the guardian's terminal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receiving a video message from the guardian's terminal; And
It stores the registration information of childcare child, physical development information,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and photo and image of the child acquired through CCTV or camera shooting in the facility and transmits information matched to child care by terminal of guardian connecting through communication network And a management server provided to the child care center.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제어부의 요청에 대응하여 보육아동의 신체발달정보를 바탕으로 보육아동에게 요구되는 운동방법 및 건강관리법에 따른 활동게임, 보육아동의 연령 또는 인지발달정보에 따른 학습게임 및 학습 동영상 중 하나를 제공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공된 활동게임, 학습게임, 학습 동영상 중 하나를 상기 스마트 미러를 통해 재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nagement server includes:
In response to the request of the control unit, one of the exercise game required by the child care child and the activity game according to the health management method, the learning game according to the age or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of the child child, and the learning video are provided based on the body development information of the child care child In addition,
Wherein the control unit plays one of the provided activity game, the learning game, and the learning video through the smart mirr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체발달정보는 기설정 기간 동안의 신장 및 체중 변화에 따른 그래프 및 평균 그래프 비교정보가 되며, 상기 인지발달정보는 상기 게임결과 또는 학습결과에 따른 기준연령 대비 인지발달정도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dy development information is a graph and an average graph comparison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longation and weight change during a predetermined period and the cognitive development information is a degree of cognitive development relative to a reference age according to the game result or the learning result Child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영상통화서비스를 제공하며,
보육아동 또는 보호자에 의해 상기 영상통화서비스가 요청되면, 식별된 보육아동에 매칭된 정보 및 카메라에 의해 촬영되는 보육아동 영상을 상기 보호자의 단말기로 제공하고,
상기 보호자의 단말기로 제공되는 상기 식별된 보육아동에 매칭된 정보 및 보호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보호자 영상을 상기 스마트 미러를 통해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provides a video call service,
When the video call service is requested by the child care child or the caregiver, the information matched to the identified child care child and the child care image photographed by the camera are provided to the terminal of the parent,
Wherein the smart mirror is provided with information matched to the identified childcare child provided to the terminal of the guardian and a guardian image received from the guardian terminal through the smart mirr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미러의 전방 바닥에 설치되는 체중계 및 상기 체중계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어 보육아동이 앉을 수 있는 좌석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mart mirror is installed on a floor of a front side of the scale, and a seat is installed on one side of the upper side of the scale to allow the child to sit in the child car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미러의 후면에는 스마트 미러를 지지하되 보육아동의 신장에 맞게 스마트 미러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거치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mart mirror supports the smart mirror and is provided with a holder for adjusting the height of the smart mirror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chil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미러의 전면 상부에는 보육아동을 촬영하는 카메라가 설치되고, 상기 이용자 식별부는 상기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보육아동의 안면을 인식하여 식별하고, 상기 제어부는 촬영영상을 이용하여 상기 보육아동의 키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amera for photographing a childcare child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front face of the smart mirror, and the user identification unit recognizes and identifies the face of the childcare child photographed by the camera, Wherein the child care system comprises a smart mirr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기설정 거리내에 있는 스마트 줄넘기로부터 줄넘기 개수가 수신되면, 수신된 줄넘기 개수에 대응되는 줄넘기 등급과 줄넘기 등급에 따른 칭찬메시지 또는 응원메시지를 상기 스마트 미러에 표시하고, 상기 식별된 보육아동의 줄넘기 정보로 관리서버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Wherein the smart mirror displays a compliment message or a cheering message according to a rope skipping grade and a rope skipping grade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rope skips received from the Smart Rope Skip within a predetermined distance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nd stores it in the management server as skipping information of the child care system using the smart mirror.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줄넘기 개수와 함께 줄넘기 식별자를 수신하며, 수신된 줄넘기 식별자와 상기 이용자 식별부에 의해 식별된 보육아동이 일치하는 경우, 상기 줄넘기 정보를 표시 및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 미러를 활용한 보육케어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the control unit receives the rope skipping identifier together with the rope skipping number and displays and stores the rope skipping information when the received rope skipping identifier matches the child care child identified by the user identifying unit. The utilized child care system.
KR1020170066869A 2017-05-30 2017-05-30 Child-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 KR10180972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869A KR101809724B1 (en) 2017-05-30 2017-05-30 Child-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6869A KR101809724B1 (en) 2017-05-30 2017-05-30 Child-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9724B1 true KR101809724B1 (en) 2017-12-15

Family

ID=60954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6869A KR101809724B1 (en) 2017-05-30 2017-05-30 Child-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9724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7259A (en) * 2020-06-29 2021-10-01 青岛海信电子产业控股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equipment and body management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313B1 (en) 2012-07-27 2014-11-20 노영희 A Personal Health-Care Portal System and A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1494301B1 (en) * 2014-07-22 2015-02-24 (주)지란지교소프트 Smart mirror devi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313B1 (en) 2012-07-27 2014-11-20 노영희 A Personal Health-Care Portal System and A Driving Method of the Same
KR101494301B1 (en) * 2014-07-22 2015-02-24 (주)지란지교소프트 Smart mirror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67259A (en) * 2020-06-29 2021-10-01 青岛海信电子产业控股股份有限公司 Intelligent equipment and body management metho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61652B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sting patients
US20220337693A1 (en) Audio/Video Wearable Computer System with Integrated Projector
KR101849955B1 (en) Convalescence 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
US11382511B2 (en) Method and system to reduce infrastructure costs with simplified indoor location and reliable communications
CN109330600A (en) Disease surveillance system (IDMS) Internet-based
JP2024020582A (en) Robots, their control methods, and programs
JP2014026428A (en) Supervising system
KR101909279B1 (en) Emotion Interactive Typed Smart Cradle System and its method of providing
JP2017033413A (en) Robot photographing system and image management method
CN109378067A (en) Terminal control method and healthy and safe educational management all-in-one machine
KR101809724B1 (en) Child-care system using smart mirror
CN110178159A (en) Audio/video wearable computer system with integrated form projector
KR20220013498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Data between Neighbor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Method for Processing Data between Neighbors Using the Same
JP2004056161A (en) Multimedia communication system
KR20200028521A (en) Method for Providing Augmented Reality by Baby's Emotional Sate using Baby's Peripheral Region
KR20200041877A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KR102549441B1 (en) Method for Displaying Baby's Emotional Sate
KR101720762B1 (en) Home-network system for Disabled
TWI656502B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portable safety care
JP6758351B2 (en) Image management system and image management method
Perakovic et al.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ystem for informing Users in Traffic Environment–SaforA
KR20210072202A (en) Method for Outputting Infants Emotional Condition
KR102520287B1 (en) Kids care platform service system using metavers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943619B1 (en) Apparatus for communication and communion using user smart phone
WO2021230724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eal assistance ser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