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938B1 - 재봉기의 밑실용 보빈 수납함 - Google Patents

재봉기의 밑실용 보빈 수납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938B1
KR101849938B1 KR1020160022312A KR20160022312A KR101849938B1 KR 101849938 B1 KR101849938 B1 KR 101849938B1 KR 1020160022312 A KR1020160022312 A KR 1020160022312A KR 20160022312 A KR20160022312 A KR 20160022312A KR 101849938 B1 KR101849938 B1 KR 101849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receiving groove
bobbins
sewing machine
storage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142A (ko
Inventor
주태진
이석현
장기환
유점판
Original Assignee
한국패션산업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패션산업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패션산업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22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938B1/ko
Publication of KR20170100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8Applications of bobbins for storing the lower thread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봉기의 밑실이 감겨진 보빈들을 보관하는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의 특징으로서, 상기 보빈들을 소정 패턴으로 배열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몸통; 상기 몸통의 저면에 재봉기의 주변 바닥으로 탈·부착을 유도하는 점착패드; 상기 몸통의 상면에 보빈들을 밑실별로 구분되게 정렬시키고, 상기 보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끼움 되는 깊이로 함몰된 수납홈; 및 상기 보빈을 수납홈에 반자동적으로 탈·장착되도록 상기 수납홈의 하방에 측방으로 유동하고, 상단에 유동에 따라 수납홈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조작대를 구비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밑실이 감겨진 다수의 보빈을 색상과 재질마다 구분되게 정렬시켜 작업환경을 개선되게 유도하며 작업에 필요한 보빈을 신속하게 찾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전반적인 봉제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재봉기의 밑실용 보빈 수납함{The bobbin thread storage box of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재봉기의 밑실이 감겨진 보빈들을 보관하는 수납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밑실이 감겨진 다수의 보빈을 색상과 재질마다 구분되게 정렬시켜 봉제작업의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납함에 관한 것이다.
통상 봉제품을 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재봉기에는 원단의 윗쪽에서 바늘귀에 끼워져 그 바늘과 함께 공급되는 윗실과, 원단의 아래쪽에서 홀치기식으로 이루어지도록 공급되는 밑실이 있다.
이러한 밑실은 별도의 보빈에 실을 감은 후, 재봉기의 테이블 아래에 설치된 회전 북 속에 내장하여 사용한다. 밑실용 보빈에 관련해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9042호, 제20-0339543호, 제20-0386005호에 잘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밑실은 색상과 재질마다 다수개로 구분되는데, 각 밑실이 감겨진 보빈들이 준비되어 있다가 봉제 작업 시에 필요에 따라 회전 북에 교체되어 사용된다. 기존에는 보빈들이 단순 함체에 흐트러진 상태로 담겨져 있으므로 필요한 밑실을 일일이 찾아야 하므로 결국, 신속한 작업을 기대하기가 어렵고 불편한 문제가 있어왔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19042호"재봉틀용 보빈"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9543호"재봉틀용 회전 북 장치의 보빈 및 밑실뭉치"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9543호"재봉틀용 밑실 보빈"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밑실이 감겨진 다수의 보빈을 색상과 재질마다 구분되게 정렬시켜 작업환경을 개선되게 하는 것은 물론, 작업에 필요한 보빈을 신속하게 찾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전반적인 봉제작업의 능률을 향상할 수가 있는 재봉기의 밑실용 보빈 수납함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재봉기의 밑실이 감겨진 보빈들을 보관하는 수납함에 있어서: 상기 보빈들을 소정 패턴으로 배열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몸통; 상기 몸통의 저면에 재봉기의 주변 바닥으로 탈·부착을 유도하는 점착패드; 상기 몸통의 상면에 보빈들을 밑실별로 구분되게 정렬시키고, 상기 보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끼움 되는 깊이로 함몰된 수납홈; 및 상기 보빈을 수납홈에 반자동적으로 탈·장착되도록 상기 수납홈의 하방에 측방으로 유동하고, 상단에 유동에 따라 수납홈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조작대를 구비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점착패드는 바닥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연질의 고무로 형성되고, 금속과 흡착을 유도하는 자석을 더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수납홈은 보빈들이 행이나 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단차지는 계단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상기 작동수단은 수납홈의 측방에 힌지를 따라 회전하는 유동대와, 상기 유동대의 일단에 보빈을 가압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밑실이 감겨진 다수의 보빈을 색상과 재질마다 구분되게 정렬시켜 봉제 작업환경이 개선된다.
둘째, 작업에 필요한 보빈을 신속하게 찾아 교체할 수 있도록 하여 전반적인 봉제작업의 능률이 향상된다.
셋째, 수납홈이 보빈을 끼울 수 있는 깊이로 형성하여 낙하나 충격에도 보빈이 안정적으로 정렬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 있다.
다섯째, 수납홈과 연동하는 작동수단이 마련되어 반자동으로 보빈을 탈·장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내는 참고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5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 1처럼 재봉기(SM)의 밑실(Y)이 감겨진 보빈(B)들을 보관하는 수납함(100)으로서, 도 2처럼 몸통(10)과 점착패드(20) 및 수납홈(30)으로 이루어지는 재봉기의 밑실용 보빈 수납함(100)이다.
먼저, 몸통(10)은 보빈(B)들을 소정 패턴으로 배열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된다. 즉, 수납홈(30)의 개수와 배열패턴에 따라 각각 막대형(도 2)과 판넬형(도 3a) 그리고 계단형(도 3b)으로도 형성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점착패드(20)는 몸통(10)의 저면에 재봉기(SM)의 주변 바닥(베드)으로 탈·부착을 유도한다. 이러한 점착패드(20)는 바닥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연질의 실리콘 고무로 형성된다.
여기서 점착패드(20)는 금속과 흡착을 유도하는 자석(25)을 더 내장하는 것이 좋다. 자석(25)은 수납홈(30)으로부터 끼움 된 보빈(B)을 이탈하기 위해 상측으로 당길 시에 몸통(10)의 유동을 방지해 준다. 따라서 보빈(B)을 안정적으로 정렬시키면서도 작업 시 필요한 밑실(Y)로 신속하게 교체할 수가 있다.
수납홈(30)은 도 2처럼 몸통(10)의 상면에 보빈(B)들을 밑실(Y)별로 구분되게 정렬시켜준다. 이러한 수납홈(30)은 도 3a처럼 수납될 보빈(B)의 개수에 따라 행과 열 방향으로 연속하게 형성할 수가 있다. 물론, 몸통(10)과 함께 수납홈(30)을 도 3b처럼 보빈(B)들이 행이나 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단차지는 계단형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계단형은 전반적인 부피가 커지는 단점은 있으나, 보빈(B)들이 순차 정렬되므로 필요한 밑실(Y)을 신속하게 찾을 수 있는 시야를 확보해 준다.
여기서 수납홈(30)은 도 4a처럼 보빈(B)에 대응하는 반원형의 형상으로 함몰되는데, 도 4b처럼 보빈(B)이 끼움 되는 깊이(L)로 함몰되는 것이 좋다. 즉, 몸통(10)의 상면과 수납홈(30)의 중심이 수평으로 일치되지 않고, 하방으로 편심 된 깊이로 함몰시켜두면, 보빈(B)이 끼워진 상태로 장착된다. 따라서 수납함(100)이 재봉기(SM)로부터 낙하되거나 여타의 충격에도 수납홈(30)에 보빈(B)을 장착된 상태로 유지시킬 수가 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100)은 도 5 내지 도 9처럼 보빈(B)을 수납홈(30)에 반자동적으로 탈·장착되게 유도하는 작동수단(40)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작동수단(40)은 수납홈(30)에 끼움 된 보빈(B)의 이탈만을 원터치로 유도하는 제1수단과, 보빈(B)의 장착과 이탈을 모두 유도하는 제2수단으로 구성할 수가 있다.
먼저, 제1작동수단(40)은 도 5 및 도 6처럼 수납홈(30)의 하방에 측방으로 유동하는 조작대(41)가 마련된다. 이러한 조작대(41)는 상단에 유동에 따라 수납홈(30)으로 돌출되는 경사면(41a)이 형성된다. 여기서 수납홈(30)은 경사면(41a)이 돌출되도록 일부가 개방되어진다. 즉, 작업자가 몸통(10)의 측면에 돌출된 조작대(41)를 눌러주면, 조작대(41)가 타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경사면(41a)이 보빈(B)을 상향으로 밀어 이탈되게 한다. 이어 작업자가 조작대(41)의 누름을 중지시키면, 스프링(S)에 의해 본래의 위치로 복귀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보빈(B)을 하향으로 눌러주면 수납홈(30)에 끼워 정렬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2작동수단(40)은 도 7 및 도 8처럼 수납홈(30)의 측방에 힌지(H)를 따라 회전하는 유동대(45)가 마련된다. 이러한 유동대(45)의 일단에는 보빈(B)을 가압하는 롤러(46)를 구비한다. 여기서 몸통(10)의 상단에는 롤러(46)가 수납홈(30)으로 벌림과 오므림 되도록 공간이 확보되며, 유동대(45)의 일단에 스프링(S)에 의해 롤러(46)를 오므리는 탄성이 상시 작용되고 있다. 즉, 보빈(B)이 수납홈(30)에 탈·장착에 따라 롤러(46)가 밑실(Y) 표면을 타고 벌어지다 다시 오므려지는 압박운동을 수행하는데, 롤러(46)의 회전으로 인해 적은 힘으로도 탈·장착이 가능하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100)은 도 9처럼 이탈에 용이한 제1작동수단과, 장착에 용이한 제2작동수단을 병행하는 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조작대(41)의 경사면(41a)에 의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끼움력에 구애받지 않고 이탈력을 발휘할 수가 있으면서도 회전하는 롤러(46)로 탈·장착이 용이한 편의성을 동시에 제공할 수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납함(100)은 도 10처럼 몸통(10)의 상면에 힌지(H)를 따라 회전하는 수납커버(5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여기서 수납커버(50)는 도 10a처럼 몸통(10)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납홈(30)에 장착된 보빈(B)들을 전체적으로 개폐할 수도 있고, 도 10b처럼 보빈(B)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수납홈(30)에 장착된 보빈(B)을 개별적으로 가압할 수도 있다. 이러한 수납커버(50)는 보빈(B)을 완전히 구속해줌으로 먼지나 이물질로부터 보호해주며 장거리 이동에 좋다. 이 경우 충격이나 낙하에도 수납홈(30)에 보빈(B)을 장착된 상태를 유지시킬 수가 있으므로, 작동수단(40)은 배제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B: 보빈 H: 힌지
SM: 재봉기 S: 스프링
Y: 밑실 10: 몸통
20: 점착패드 25: 자석
30: 수납홈 40: 작동수단
41: 조작대 41a: 경사면
45: 유동대 46: 롤러
100: 수납함

Claims (7)

  1. 재봉기의 밑실이 감겨진 보빈들을 보관하는 수납함에 있어서:
    상기 보빈들을 소정 패턴으로 배열이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는 몸통;
    상기 몸통의 저면에 재봉기의 주변 바닥으로 탈·부착을 유도하는 점착패드;
    상기 몸통의 상면에 보빈들을 밑실별로 구분되게 정렬시키고, 상기 보빈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끼움 되는 깊이로 함몰된 수납홈; 및
    상기 보빈을 수납홈에 반자동적으로 탈·장착되도록 상기 수납홈의 하방에 측방으로 유동하고, 상단에 유동에 따라 수납홈으로 돌출되는 경사면이 형성되는 조작대를 구비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밑실용 보빈 수납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패드는 바닥으로부터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연질의 고무로 형성되고, 금속과 흡착을 유도하는 자석을 더 내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밑실용 보빈 수납함.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홈은 보빈들이 행이나 열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단차지는 계단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밑실용 보빈 수납함.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수단은 수납홈의 측방에 힌지를 따라 회전하는 유동대와, 상기 유동대의 일단에 보빈을 가압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의 밑실용 보빈 수납함.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60022312A 2016-02-25 2016-02-25 재봉기의 밑실용 보빈 수납함 KR101849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312A KR101849938B1 (ko) 2016-02-25 2016-02-25 재봉기의 밑실용 보빈 수납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312A KR101849938B1 (ko) 2016-02-25 2016-02-25 재봉기의 밑실용 보빈 수납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142A KR20170100142A (ko) 2017-09-04
KR101849938B1 true KR101849938B1 (ko) 2018-04-18

Family

ID=59924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312A KR101849938B1 (ko) 2016-02-25 2016-02-25 재봉기의 밑실용 보빈 수납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93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142A (ko) 201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73423B2 (en) Thread routing mechanism for needle-switchable type sewing machine
CN106012314B (zh) 分离式自动纽扣定位缝纫装置
KR101849938B1 (ko) 재봉기의 밑실용 보빈 수납함
CN207310041U (zh) 一种光电定位打孔机
CN104131374B (zh) 一种纺织锭子及配套的筒管
JP2015229512A (ja) 穀粒袋の袋口開拡保持器
CN210506774U (zh) 一种缝纫机的防尘装置
CN210028431U (zh) 一种具有减震功能的包装盒
CN205501609U (zh) 一种缝纫机
CN106078579A (zh) 一种整机组装治具
CN207141856U (zh) 可对纺织卷筒固定的放置架
CN210856594U (zh) 一种制鞋缝纫机的防护机构
CN201115312Y (zh) 料盘结构
CN204000018U (zh) 一种纺织锭子及配套的筒管
CN215829049U (zh) 一种皮衣制作用缝纫机
US9567699B2 (en) Swiveling tablet mount
CN206854941U (zh) 手机屏拆卸治具
CN207391746U (zh) 一种便于使用的针线包
CN205741505U (zh) 缝制设备用纽扣存放装置
CN207360956U (zh) 高中物理实验用透镜的存放装置
CN210215821U (zh) 一种具备储物盒的缝纫机
CN215182593U (zh) 一种广播电视编导学习展示装置
CN217651378U (zh) 一种纺织用筒纱架
CN208932643U (zh) 一种退卷机
CN210737079U (zh) 一种女包人工缝合用固定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