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633B1 -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633B1
KR101849633B1 KR1020170052489A KR20170052489A KR101849633B1 KR 101849633 B1 KR101849633 B1 KR 101849633B1 KR 1020170052489 A KR1020170052489 A KR 1020170052489A KR 20170052489 A KR20170052489 A KR 20170052489A KR 101849633 B1 KR101849633 B1 KR 101849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otograph
customer
data
photo
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2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철진
Original Assignee
한철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철진 filed Critical 한철진
Priority to KR1020170052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4Protecting data integrity, e.g. using checksums, certificates or sign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2User authentication using biometric data, e.g. fingerprints, iris scans or voicepri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45Structures or tools for the administration of authentication
    • G06K9/0004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2Fingerprints or palmprints
    • G06V40/13Sensors therefor
    • G06V40/1318Sensors therefor using electro-optical elements or layers, e.g. electroluminescent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카메라로 고객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 촬영된 고객 얼굴 이미지, 사진관 정보, 사진 촬영일 정보, 사진 유효기간 정보, 사진 촬영 고객 정보, 저작권자 정보 및 증명사진 용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명사진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입력된 증명사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증명사진 데이터를 증명사진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저장하는 단계, 고객 얼굴 이미지와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증명사진을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출력된 증명사진에 포함된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인식한 현장 단말의 요청에 따라 증명사진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명사진의 위변조를 방지하여 범죄 예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법률에 명시된 신분증에 사용되는 증명사진의 유효기간을 정확하게 제시하고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증명사진에 대한 저작권과 초상권을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시스템{ID PHOTO FORGERY PREVENTING METHOD AND SYSTEM}
본 발명은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증명사진을 촬영하는 사진관에서 촬영된 증명사진의 위변조를 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신분증이나 각종 원서에 부착되는 증명사진은 해당 신분증을 발급하는 기관에서 정해놓은 유효기간 내에 촬영된 것이어야 한다. 그런데 통상적으로는 해당 기관의 신분증 발급 담당자가 증명사진과 신분증 발급자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방법 등을 통해, 재량으로 증명사진이 유효기간 내에 촬영된 것인지 확인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신분증 발급 담당자의 재량으로 육안 확인을 통해 신분증을 발급하다 보니, 신분증 발급자가 그래픽 소프트웨어로 증명사진을 변형하는 등 위변조를 하더라도 이를 파악하지 못하고 그대로 신분증을 발급해주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이로 인해 각종 시험에서 대리 시험이라는 범죄가 야기되는 경우도 있었다.
한편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83228호와 같이 이미 발급된 신분증에 대한 위변조를 방지하기 위해서 위변조 방지용 식별 요소를 포함시키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83228호는 발급된 신분증의 위변조를 방지하는 것으로, 신분증 발급 담당자가 위변조된 증명사진인 것을 확인하지 못하고 신분증을 발급하면, 이를 사후적으로 적발하는 것은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증명사진을 촬영하는 사진관에서 촬영된 증명사진의 위변조를 방지하는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시스템은 사진관에서 촬영된 고객 얼굴 이미지, 사진관 정보, 사진 촬영일 정보, 사진 유효기간 정보, 사진 촬영 고객 정보, 저작권자 정보 및 증명사진 용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명사진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증명사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사진관 단말, 상기 고객 얼굴 이미지와 상기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증명사진을 출력하는 증명사진 출력부, 그리고 상기 증명사진 데이터를 상기 증명사진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상기 출력된 증명사진에 포함된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인식한 현장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증명사진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출력된 증명사진은, 고객 이름 및 사진 유효 기간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진 촬영 고객 정보는, 상기 고객 이름 및 상기 고객의 지문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현장 단말에서 획득된 본인 인증 대상자의 지문 데이터를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고객의 지문 데이터와 대조하여 지문 인식 기반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현장 단말에서 획득된 본인 인증 대상자의 얼굴 사진을 상기 증명사진 데이터에 포함된 고객 사진과 비교하여 안면 인식 기반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방법은, 카메라로 고객의 얼굴을 촬영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고객 얼굴 이미지, 사진관 정보, 사진 촬영일 정보, 사진 유효기간 정보, 사진 촬영 고객 정보, 저작권자 정보 및 증명사진 용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증명사진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증명사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증명사진 데이터를 상기 증명사진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저장하는 단계, 상기 고객 얼굴 이미지와 상기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증명사진을 출력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출력된 증명사진에 포함된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인식한 현장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증명사진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증명사진의 위변조를 방지하여 범죄 예방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법률에 명시된 신분증에 사용되는 증명사진의 유효기간을 정확하게 제시하고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증명사진에 대한 저작권과 초상권을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관 단말에서 고객의 증명사진 및 증명사진 데이터를 서버에 등록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증명사진을 예시한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 단말에서 증명사진에 포함된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명사진 데이터가 현장 단말에 표시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지문 인식 기반 본인 인증을 현장 단말에서 수행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안면 인식 기반 본인 인증을 현장 단말에서 수행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시스템은 카메라(110), 지문등록기(120), 사진관 단말(130), 증명사진 출력부(140), 서버(200) 및 현장 단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사진관 단말(130), 서버(200) 및 현장 단말(300)은 통신망(10)을 통해 연결되어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통신망(10)은 구내 정보 통신망(Local Area Network, LAN), 도시권 통신망(Metropolitan Area Network, MAN), 광역 통신망(Wide Area Network, WAN), 인터넷(internet), 3G(generation), 4G(generation) 이동통신망, 와이파이(Wi-Fi),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을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 통신망을 포함할 수 있고, 유선과 무선을 가리지 않으며 어떠한 통신 방식을 사용하더라도 상관없다.
카메라(110), 지문등록기(120), 사진관 단말(130) 및 증명사진 출력부(140)는 증명사진을 촬영하는 사진관에 위치할 수 있다. 사진관은 본 발명에 따른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업자와 제휴를 맺은 사업자에 의해 운영될 수 있다.
카메라(110)는 사진관에서 고객의 얼굴을 촬영하여 고객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카메라(110)를 통해 획득된 고객 얼굴 이미지는 디지털 사진 데이터로 사진관 단말(130)에 전달될 수 있다. 카메라(110)는 디지털 카메라로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카메라(110)를 아날로그 카메라로 구현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스캐너(도시하지 않음) 등을 통해 카메라(110)에 의해 획득된 고객 얼굴 이미지를 디지털화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지문등록기(120)는 사진관에서 고객의 지문을 등록받기 위해 사용하는 장치로, 지문 스캐너 등와 같은 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 지문등록기(120)를 통해 인식된 고객 지문은 지문 데이터로 변환되어 사진관 단말(130)에 전달될 수 있다.
사진관 단말(130)은 사진관에서 고객의 증명사진 및 증명사진 데이터를 서버(200)에 등록하기 위해 사용되는 정보통신 단말로서, 데스크탑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나 웹 패드(Web Pad)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이동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관 단말에서 고객의 증명사진 및 증명사진 데이터를 서버에 등록하는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사진' 항목에는 카메라(110)에서 촬영된 사진관 단말(130)에 저장된 고객 얼굴 이미지를 '찾아보기' 메뉴 버튼을 통해 선택할 수 있다. 그리고 '제목' 항목에는 증명사진을 식별하기 위한 명칭을 입력할 수 있으며, 고객 이름 등을 입력할 수 있다. 그리고 '사진관 등록번호' 항목에는 사진관 정보, 즉 해당 사진관에 부여된 식별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나중에 해당 증명사진이 어느 사진관에서 촬영된 것인지 구분할 수 있다. '촬영일' 항목에는 고객 사진을 촬영한 일자를 입력할 수 있다. '유효기간' 항목에는 증명사진의 유효기간을 입력할 수 있다. 유효기간은 촬영일이 입력되면 자동으로 입력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증명사진 용도나 제출처 등에 따라 미리 정해진 유효기간이 자동으로 입력될 수도 있다. '저작권자' 항목에는 증명사진을 촬영한 사진사 등 저작권자에 해당하는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초상권자' 항목에는 해당 증명사진에 대한 초상권을 가지는 사람, 즉 사진 촬영 고객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용도' 항목에는 해당 증명사진이 사용될 용도를 입력할 수 있으며, 미리 정해진 리스트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지문등록' 메뉴 버튼을 선택하여 지문등록기(120)를 통해 고객의 지문 데이터를 등록받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증명사진 데이터를 모두 입력한 다음 'QRCode 생성' 메뉴 버튼을 선택하면, 입력된 증명사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명사진 식별코드가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증명사진 식별코드는 2차원 바코드인 QR 코드뿐만 아니라, 1차원 바코드나 기타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사진관 단말(130)은 도 2의 화면을 통해 입력된 고객 얼굴 이미지를 포함한 증명사진 데이터를 그에 대응하여 생성된 증명사진 식별코드와 함께 서버(200)로 업로드 하여 등록할 수 있다.
증명사진 출력부(140)는 고객 얼굴 이미지 및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증명사진을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디지털 사진 인화기나 디지털 프린터 등과 같은 장비로 구현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증명사진을 예시한 이미지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증명사진(20)은 고객 얼굴 이미지(21), 증명사진 식별코드(23)를 포함하고, 고객 이름(25)나 증명사진 유효기간(27) 등과 같은 증명사진 데이터 중에서 일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출력되는 증명사진의 일 예일뿐이다. 출력물에 고객 얼굴 이미지(21)이나 증명사진 식별코드(23)가 배치되는 위치나 크기는 달라질 수 있으며, 고객 이름(25)나 증명사진 유효기간(27) 외에 증명사진 데이터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 고객 이름(25)나 증명사진 유효기간(27) 등이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서버(200)는 본 발명에 따른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업자에 의해 운영되는 장치로서, 사진관 단말(130)로부터 등록되는 증명사진 데이터와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장 단말(300)로부터 요청에 따라 증명사진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서버(200)는 현장 단말(300)의 요청에 따라 지문 인식 기반 본인 인증이나 안면 인식 기반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물론 실시예에 따라서 지문 인식 기반 본인 인증이나 안면 인식 기반 본인 인증은 현장 단말(300)에서 증명사진 데이터를 기초로 직접 수행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현장 단말(300)은 신분증이나 원서에 부착된 증명사진과 본인 인증 대상자를 비교하여 본인 여부를 확인하는 사용자(이하 '현장 감독자'라 함)에 의해 이용되는 정보 통신 단말로서,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나 웹 패드(Web Pad) 등과 같은 이동통신 기능을 구비한 장치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본인 인증이 수행되는 현장에 따라서 현장 단말(300)은 데스크탑 PC나 노트북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현장 단말에서 증명사진에 포함된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인식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현장 단말(300)은 도 4에 예시한 것과 같이 증명사진에 포함된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서버(200)에 해당 증명사진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증명사진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출력물에 표시된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그에 대응하는 요청을 서버에 전송하는 기능을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현장 단말(300)은 서버(200)로부터 제공되는 증명사진 데이터를 도 5에 예시한 것과 같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증명사진 데이터가 현장 단말에 표시되는 일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현장 단말(300)에 표시되는 증명사진 데이터는 고객 얼굴 이미지, 사진관 등록번호, 촬영일, 유효기간, 저작권자, 초상권자, 용도, 지문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지문정보는 지문 정보의 등록 유무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도 5에서는 증명사진 데이터가 현장 단말에 표시되는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증명사진 데이터 중 일부가 추가로 표시되거나 제외될 수 있다.
현장 감독자는 본인 인증 대상자를 현장 단말(300)에 표시되는 증명사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본인 인증 대상자의 얼굴과 증명사진 데이터에 포함된 고객 얼굴 이미지가 동일한지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증명사진 데이터에 포함된 증명사진 유효기간 정보를 확인하여, 유효한 증명사진이 부착된 신분증이나 원서인지 확인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 현장 단말(300)은 지문 인식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에 예시한 것과 같이 본인 인증 대상자의 지문을 현장 단말(300)로 획득하여 서버(200)에 저장된 지문 데이터와 비교하여 지문 기반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 지문 기반 본인 인증은 현장 단말(300)에서 수행되거나, 서버(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현장 단말(300)은 도 7에 예시한 것과 같이 본인 인증 대상자의 얼굴 사진을 촬영하여 증명사진 데이터에 포함된 고객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안면 인식 기반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현장 단말(300)에서 획득된 본인 인증 대상자의 얼굴 사진을 제공받아 서버(200)에서 안면 인식 기반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현장 단말(300)은 지문 기반 본인 인증 결과 및 안면 인식 기반 본인 인증 결과를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고하면, 먼저 사진관에서 카메라(110)를 이용하여 고객의 얼굴을 촬영하여 고객 얼굴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210).
다음으로 사진관 단말(130)은 증명사진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다(S220). 단계(S220)에서 사진관 단말(130)은 도 2에 예시한 것과 같은 화면을 표시하여, 고객 얼굴 이미지를 선택받고, '제목', '사진관 등록번호', '촬영일', '유효기간', '저작권자', '초상권자', '용도' 등의 항목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지문등록' 메뉴 버튼이 선택되면, 지문등록기(120)를 통해 인식된 고객 지문은 지문 데이터를 등록받을 수도 있다.
이후 사진관 단말(130)은 증명사진 식별코드 생성을 선택받으면, 단계(S220)에서 입력된 증명사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생성할 수 있다(S230).
다음으로 사진관 단말(130)은 증명사진 출력부(140)를 통해 증명사진을 고객 얼굴 이미지 및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증명사진을 출력할 수 있다(S240).
그리고 사진관 단말(130)은 단계(S220)에서 입력된 고객 얼굴 이미지를 포함한 증명사진 데이터와 단계(S230)에서 생성된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서버(200)로 업로드 하여 등록할 수 있다(S250).
실시예에 따라 단계(S240) 및 단계(S250)는 그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이후 본인 인증이 수행되는 현장에서, 현장 단말(300)이 도 4에 예시한 것과 같이 신분증이나 원서 등에 부착된 증명사진에 포함된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인식하여, 서버(200)에 해당 증명사진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증명사진 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S260).
다음으로 서버(200)는 단계(S260)에서 요청에 따라 증명사진 식별코드에 대응하는 증명사진 데이터를 현장 단말(300)에 제공할 수 있다(S270).
현장 감독자는 현장 단말(300)에 표시된 증명사진 데이터를 이용하여 본인 인증 대상자에 대한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 있으며, 아울러 증명사진이 유효기간 내에 촬영된 것인지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증명사진 데이터에 지문이 등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본인 인증 대상자의 지문을 현장 단말(300)로 획득하여 서버(200)에 저장된 지문 데이터와 비교하여 지문 기반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S280). 단계(S280)는 지문 기반 본인 인증은 현장 단말(300)에서 수행되거나, 서버(20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현장 단말(300)로 본인 인증 대상자의 얼굴 사진을 촬영하여 증명사진 데이터에 포함된 고객 얼굴 이미지와 비교하여 안면 인식 기반 본인 인증을 수행할 수도 있다(S290). 물론 현장 단말(300)에서 획득된 본인 인증 대상자의 얼굴 사진을 제공받아 서버(200)에서 안면 인식 기반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로 구현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포함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매체를 포함한다. 이 매체는 앞서 설명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다. 이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매체의 예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자기-광 매체, 롬, 램,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 등이 있다. 또는 이러한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구조 등을 지정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반송파를 포함하는 광 또는 금속선, 도파관 등의 전송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0)

  1. 고객의 얼굴을 촬영하여 고객 얼굴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고객의 지문을 스캔하는 지문등록기;
    상기 카메라로 촬영된 고객 얼굴 이미지, 고객 이름, 상기 고객의 지문 데이터, 사진관 정보, 사진 촬영일 정보, 사진 유효기간 정보, 저작권자 정보 및 증명사진 용도를 포함하는 증명사진 데이터를 입력받고, 상기 증명사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사진관 단말;
    상기 고객 얼굴 이미지와 상기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증명사진을 출력하는 증명사진 출력부; 및
    상기 증명사진 데이터를 상기 증명사진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저장하고, 상기 출력된 증명사진에 포함된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인식한 현장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증명사진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현장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증명사진 데이터를 화면에 표시하고, 본인 인증 대상자의 지문 데이터 또는 얼굴 사진을 획득하고 상기 증명사진 데이터에 저장된 상기 고객의 지문 데이터 또는 상기 고객 얼굴 이미지와 대조하여 지문 인식 기반 본인 인증 또는 안면 인식 기반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카메라로 고객의 얼굴을 촬영하고, 지문등록기로 고객의 지문을 스캔하는 단계,
    상기 촬영된 고객 얼굴 이미지, 고객 이름, 상기 고객의 지문 데이터, 사진관 정보, 사진 촬영일 정보, 사진 유효기간 정보, 저작권자 정보 및 증명사진 용도를 포함하는 증명사진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상기 입력된 증명사진 데이터에 대응하는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고객 얼굴 이미지와 상기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포함하는 증명사진을 출력하는 단계,
    상기 증명사진 데이터를 상기 증명사진 식별코드에 대응하여 서버에 등록하는 단계,
    상기 출력된 증명사진에 포함된 증명사진 식별코드를 인식한 현장 단말의 요청에 따라 상기 현장 단말로 상기 증명사진 데이터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현장 단말에서 본인 인증 대상자의 지문 데이터 또는 얼굴 사진을 획득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현장 단말에서 획득된 본인 인증 대상자의 지문 데이터 또는 얼굴 사진을 상기 서버에 저장된 상기 고객의 지문 데이터 또는 고객 얼굴 이미지와 대조하여 지문 인식 기반 본인 인증 또는 안면 인식 기반 본인 인증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방법.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70052489A 2017-04-24 2017-04-24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시스템 KR101849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489A KR101849633B1 (ko) 2017-04-24 2017-04-24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2489A KR101849633B1 (ko) 2017-04-24 2017-04-24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9633B1 true KR101849633B1 (ko) 2018-05-31

Family

ID=62454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2489A KR101849633B1 (ko) 2017-04-24 2017-04-24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63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448B1 (ko) 2020-11-11 2021-04-13 (주)소셜인프라테크 디지털 콘텐츠 거래 인증 시스템
CN113744366A (zh) * 2021-09-03 2021-12-03 广州卓腾科技有限公司 证件照生成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20089488A (ko) * 2020-12-21 2022-06-28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이미지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미세 데이터 코드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089483A (ko) * 2020-12-21 2022-06-28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이미지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비가시적인 데이터 코드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1275A (ja) * 2001-03-16 2002-09-27 Fuji Xerox Co Ltd 証明写真および個人認証媒体
KR101589045B1 (ko) * 2013-01-30 2016-01-28 성중안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81275A (ja) * 2001-03-16 2002-09-27 Fuji Xerox Co Ltd 証明写真および個人認証媒体
KR101589045B1 (ko) * 2013-01-30 2016-01-28 성중안 2차원 바코드를 이용한 매장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448B1 (ko) 2020-11-11 2021-04-13 (주)소셜인프라테크 디지털 콘텐츠 거래 인증 시스템
KR20220089488A (ko) * 2020-12-21 2022-06-28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이미지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미세 데이터 코드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20220089483A (ko) * 2020-12-21 2022-06-28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이미지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비가시적인 데이터 코드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90515B1 (ko) * 2020-12-21 2023-01-18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이미지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비가시적인 데이터 코드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490443B1 (ko) * 2020-12-21 2023-01-18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이미지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미세 데이터 코드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CN113744366A (zh) * 2021-09-03 2021-12-03 广州卓腾科技有限公司 证件照生成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744366B (zh) * 2021-09-03 2024-04-26 广州卓腾科技有限公司 证件照生成方法、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9633B1 (ko) 증명사진 위변조 방지 방법 및 시스템
US20130151419A1 (en) Merchant Verification of In-person Electronic Transactions
JP6712045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と、その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NL2019698B1 (en) Authentication of a person using a virtual identity card
JP2018128970A (ja) ノンストップ顔認証システム
JP6779397B1 (ja) 本人確認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6513866B1 (ja) 本人認証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60123325A (ko) 트랜잭션 정보를 전송하고 수신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JP6428212B2 (ja) チケット発行装置及びチケット発行システム
JP6886090B2 (ja) 画像形成装置
JP2005293544A (ja) 本人確認装置
TW201909014A (zh) 指定條件之認證方法、指定條件之認證軟體、用於進行指定條件之認證的裝置及伺服器
KR101725219B1 (ko) 디지털 이미지 판단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애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JP7034452B2 (ja) チケット発券システム、検札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199860A (ja) 個人認証システム
JP2005293172A (ja) 認証システム
JP2013190934A (ja) 窓口認証システム、窓口認証サーバー、プログラムおよび窓口認証方法
KR20200142834A (ko) 암호화되어 인쇄된 암호화 이미지의 진위 여부 판정 어플리케이션 시스템 및 암호화 이미지 판독 방법
JP7163573B2 (ja) 登録システム
KR20150044150A (ko) 문서 이미지 전송 시스템 및 방법
JP2006119763A (ja) 鑑定支援システム、鑑定支援方法および鑑定支援プログラム
US20210334349A1 (en) Method for the acquisition and subsequent generation of data for a user of a self-service terminal
KR20120049417A (ko) 지문 입력 및 행정 절차 자동화 시스템
WO2019117011A1 (ja) 端末装置、現金自動預払機、振込処理方法、プログラム
CA3139373A1 (en) Reception system, reception method, and progra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