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9614B1 -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 - Google Patents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9614B1
KR101849614B1 KR1020160060568A KR20160060568A KR101849614B1 KR 101849614 B1 KR101849614 B1 KR 101849614B1 KR 1020160060568 A KR1020160060568 A KR 1020160060568A KR 20160060568 A KR20160060568 A KR 20160060568A KR 101849614 B1 KR101849614 B1 KR 1018496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ticultural
unit
tie
binding
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05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048A (ko
Inventor
임종호
Original Assignee
임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호 filed Critical 임종호
Priority to KR10201600605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9614B1/ko
Publication of KR20170130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96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96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2Supports for plants; Trellis for strawberries or the like
    • A01G9/128Fixing of plants to supports, e.g. by means of clip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7/00Cultivation of hops, vines, fruit trees, or like trees
    • A01G17/04Supports for hops, vines, or trees
    • A01G17/12Tree-ba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Supports For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는,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를 주위에 마련된 지지선으로 유인하여 결속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선이 관통되어 끼워지도록 개방된 개방부를 가지는 다수의 단위 고리부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연결되어 단일의 밴드 형태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다수의 단위 고리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쌍이 지지선에 걸리도록 세팅되어 작물의 가지를 결속할 수 있게 되므로, 작물의 성장 상태나 기상 조건 등의 작황에 따라 대응하여 작물의 가지에 대한 결속상태를 느슨하거나 타이트한 상태로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작물의 가지 결속 및 분리 해체 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성과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A fixing and support tie for a branch of the crops}
본 발명은 끈 형태로 이루어진 결속용 타이(tie)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줄기나 가지의 올바른 성장을 인위적으로 유인하기 위한 결속 도구로 사용되는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작황에 따라 대응하여 줄기나 가지의 결속상태를 느슨하거나 타이트한 상태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개량된 구조를 가지는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에 관한 것이다.
예컨대, 포도나 오이 또는 메론, 토마토 등과 같은 덩굴성 농작물이나 원예 관상용 재배식물은 통상적으로 어린 묘목이 점차 성장하는 과정에서 줄기의 성장에 따라 가지와 잎 및 열매의 크기가 비례적으로 성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줄기와 가지가 성장 무게에 의해 한쪽으로 치우쳐 기울어지는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한쪽으로 치우쳐 기울어진 줄기나 가지는 성장과정에서 비바람에 의해 꺾여져 지면으로 주저앉거나 쓰러지는 상태로 이어지게 됨에 따라 양질의 작물 수확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통상적인 덩굴성 농작물과 원예 관상용 재배식물의 경우, 도 1에 예시해 보인 바와 같이 경작지에 설치한 지지대 또는 지지선(30)에 작물의 줄기나 가지를 유인 결속시켜 인위적으로 올바른 성장을 유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인위적인 성장 유도 작업을 통해 줄기나 가지가 성장 무게와 비바람에 의해 한쪽으로 치우쳐 기울어지는 상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양질의 작물 수확이 가능한 상태로 재배할 수 있게 된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20)이 재배되는 지면(10)에 일정한 간격으로 세워진 지주(30)와, 각 지주(30)의 사이에 철선이나 와이어 등과 같은 지지선(40)이 클램프(50)에 의해 연결되도록 이루어진 유인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선(40)에 작물의 줄기나 가지가 유인되어 지지되도록 결속구(60)를 이용하여 결속시켜 주게 된다.
한편, 종래에는 작물의 가지를 지지선(40)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구로서, 노끈이나 철사 또는 테이프(tape)를 사용하여 단순히 묶어주는 방법을 사용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결속방법은 작업자가 노끈이나 철사 또는 테이프를 일일이 묶거나 꼬아주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과도한 노동력의 소요에 따른 작업 효율성과 생산성 및 경제성이 매우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노끈이나 철사 또는 테이프를 결속구로 사용하여 작물의 가지를 결속시켜 주는 경우, 작물의 수확 후 지주(30)와 지지선(40) 등의 유인장치 해체시 통상 노끈이나 철사 또는 테이프를 절단하여 제거하게 되므로, 재활용이 어려워 경제성이 저하되는 동시에 이들의 잔해들이 수거되지 않은 상태에서 작물 경작지에 그대로 묻히게 되는 경우가 많아 토양 오염을 유발하는 원인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작물의 가지를 지지선(40)에 결속하기 위한 결속구로서, 도 2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은 합성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 결속 클립(70)을 주로 사용한다.
도 2에 도시해 보인 종래의 결속 클립(70)은 도시된 바와 같이 "U" 형 구조의 합성수지 성형체로 이루어진 몸체(71)의 양단에 각각 고리형 걸림홈(72)이 구비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U" 형 구조의 몸체(71)가 작물의 가지를 에워싼 상태에서 양단의 고리형 걸림홈(72)이 각각 지지선(40)에 걸리도록 세팅하여 작물의 가지를 결속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속 클립(70)은 작물의 가지를 에워싸는 "U" 형 몸체(71)의 내경 또는 양단 고리형 걸림홈(72)의 사이에 벌어진 간격이 일정한 치수의 규격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작물의 성장 상태나 기상 조건 등의 작황에 따라 작물의 가지에 대한 결속상태를 느슨하거나 타이트한 상태로 적절하게 대응하여 조절하기가 원천적으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예를 들면 강풍 등의 기상 악화시 결속 클립(70)이 쉽게 이탈되거나 작물의 가지가 부러지게 되는 현상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배경하에서 도출된 것으로서, 상술한 배경 기술의 문제점은 본 출원인이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내용으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지된 내용이라 할 수는 없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02009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2923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780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11317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19990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구가 지니고 있는 단점과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작물의 성장 상태나 기상 조건 등의 작황에 따라 대응하여 작물의 가지에 대한 결속상태를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성과 편의성이 대폭 향상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작물의 가지 결속 및 분리 해체 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쉬운 재활용을 통한 비용 절감에 의해 경제성이 대폭 향상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일 규격의 제품 모델 제작에 의해 다양한 형태와 크기의 작물 가지 결속작업에 공용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범용성을 가짐에 따라 매우 실용적인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는,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를 주위에 마련된 지지선으로 유인하여 결속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선이 관통되어 끼워지도록 개방된 개방부를 가지는 다수의 단위 고리부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연결되어 단일의 밴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에 있어서, 상기 단위 고리부의 개방부는 인접한 다른 고리부의 개방부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오픈되도록 교번적인 배열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위 고리부는 그 단면 구조가 사각형과 원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띠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위 고리부 중에서 최외곽 양측단에 배치된 단위 고리부에는 각각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가 서로 결속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위 고리부는 장방형 고리나 원형 고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다른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는,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를 주위에 마련된 지지선으로 유인하여 결속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파형의 굴곡부가 연속하여 이어지도록 굴곡진 몸체와, 그 몸체의 파형 굴곡부에 각각 날개 형태로 구비된 돌출 고리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선에 상기 돌출 고리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단일의 밴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 고리는 그 단면 구조가 사각형과 원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띠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몸체의 양측단에는 각각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가 서로 결속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에 의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는, 다수의 단위 고리부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한 쌍이 작물의 가지를 결속할 수 있게 되므로, 작물의 성장 상태나 기상 조건 등의 작황에 따라 대응하여 작물의 가지에 대한 결속상태를 매우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는 대폭 향상된 기능성과 편의성을 가질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에 의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는, 다수의 단위 고리부를 통해 작물의 가지 결속 및 분리 해체 작업이 매우 용이하여 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손쉬운 재활용을 통해 친환경성과 비용 절감을 통한 경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에 의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는, 단일 규격의 제품 모델 제작에 의해 다양한 형태의 성장상태와 크기의 작물 가지 결속작업에 공용으로 사용 가능한 범용성을 가질 수 있게 됨에 따라 실용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통상적인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내 보인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를 이용하여 가지를 지지선에 결속시킨 상태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평면도 및 측면도.
도 6은 도 3의 I-I선과 도 8의 II-II선 및 도 9의 III-III선을 따라 각각 절제해 보인 개략적 단면도로서, (a)와 (b) 및 (c)는 각각 직사각형과 타원형 및 원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7은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를 이용하여 가지를 결속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 내용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기술 구성과 그 작용상태를 이해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부분은 생략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3의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100)는,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주위에 마련되는 지지대 또는 지지선(도 7의 부호 40 참조)이 관통되어 끼워지도록 개방된 개방부(111)를 가지는 고리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단위 고리부(110)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연결되어 단일의 밴드 형태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작물의 가지를 에워싼 상태에서 서로 이격된 1쌍의 단위 고리부(110)를 선택하여 그 개방부(111)를 통해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주위에 마련되는 지지대 또는 지지선(도 7 의 부호 40 참조)에 걸리도록 작물의 가지를 결속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100)는, 복수의 단위 고리부(110)에서 선택된 어느 1쌍의 단위 고리부(110)가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주위에 마련되는 지지대 또는 지지선(도 7의 부호 40 참조)에 걸리도록 세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100)는, 도 작물의 가지를 에워싸는 내경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게 되므로, 작물의 성장 상태나 기상 조건 등의 작황에 따라 작물의 줄기나 가지에 대한 결속상태를 느슨하거나 타이트한 상태로 적절하게 대응하여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단위 고리부(110)는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상의 띠 부재가 중앙이 비어 있고, 어느 한 변에 상기 개방부(111)가 구비된 사각형의 고리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단위 고리부(110)의 모서리부는 서로 마주보는 어느 1쌍이 양측에 각각 인접하는 다른 단위 고리부(110)의 모서리부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112)를 형성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100)는 전체적으로 얇은 띠 형태의 단일 밴드 구조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진다.
한편, 본 발명에 있어서, 양측 끝단에 배치되는 단위 고리부(110)의 끝단부에는 각각 손잡이부(120)(130)가 더 구비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120)(130)는 작업자가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을 위한 결속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구비되는 것으로서, 작업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형태의 판상 블럭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손잡이부(120)(130)는 서로 결속 가능하도록 상보적인 결합수단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3에 예시해 보인 바와 같이 어느 일측의 손잡이부(130)에 형성된 결합홀(130a)에 타측의 손잡이부(130)가 끼워져 서로 결속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120)(130)가 상보적인 결합수단에 의해 서로 결속되도록 이루어진 구성은 작물의 가지 결속시 작물의 가지를 에워싸는 내경이 작아질수록 양끝단부가 상기 지지선(도 7의 부호 40 참조)으로부터 돌출되는 자유단의 길이가 늘어나게 되므로, 늘어난 자유단의 길이를 단속하여 줄이도록 매듭 지워주기 위한 것으로서, 각 손잡이부(120)(130)에 구비되는 상보적인 결합수단은 예컨대, 후크나 단축 매직 테이프 등과 같이 공지공용의 다양한 결합수단이 채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100)에 따르면, 상기 단위 고리부(110)의 개방부(111)는 양측에 각각 인접한 다른 단위 고리부(110)의 개방부(111)와 서로 상반되는 방향으로 개방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상기 단위 고리부(110)의 개방부(111)는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연결부(112)를 잇는 가상의 연결선(C)을 기준으로 상방에 위치하는 개방부(111)와 하방에 위치한 개방부(111)가 서로 엇갈린 상태로 교번적으로 배열되는 구조를 가진다.
예를 들면, 도 4에서 가장 우측 끝단에 위치하는 단위 고리부(110)를 기준으로 홀수 번째 위치하는 단위 고리부(110)의 개방부(111)는 각각 상기 연결부(112)를 잇는 가상의 연결선(C)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가지며, 가장 우측 끝단에 위치하는 단위 고리부(110)를 기준으로 짝수 번째 위치하는 단위 고리부(110)의 개방부(111)는 각각 상기 연결부(112)를 잇는 가상의 연결선(C)의 상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단위 고리부(110)의 개방부(111)의 배치 구조는 다양한 형태의 성장상태와 크기의 작물 가지에 따라 대응하여 상기 지지선(도 7의 부호 40 참조)에 각 단위 고리부(110)의 개방부(111)를 용이하게 선택하여 끼워넣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작물의 줄기나 가지 결속 작업 및 분리 해체 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효율성을 높여 주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한 바와 같은 단위 고리부(110)의 개방부(111)의 배열 구조는 서로 뒤바뀐 배치 구조를 가질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상기 단위 고리부(110)의 개방부(111)는 홀수 번째 위치하는 단위 고리부(110)의 개방부(111)를 각각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선(X)과, 짝수 번째 위치하는 단위 고리부(110)의 개방부(111)를 각각 관통하는 가상의 중심선(Y)은 서로 직교하도록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 고리부(110)의 개방부(111)가 서로 엇갈린 상태로 교번적으로 배열되는 배치 구조는 상기 지지선(도 7의 부호 40 참조)에 끼워지도록 결합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위 고리부(110)는 일정한 강도와 탄력의 보유에 의해 외력에 의한 탄성 변형이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합성수지재나 고무재의 몰딩 성형, 금속재의 다이캐스팅 등을 통해 일정한 두께와 폭을 가지는 판상의 띠 부재나 리브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도 6은 상기 단위 고리부(110)의 일변을 절단한 단면을 나타내 보이기 위해 도 3의 I-I선을 따라 절제해 보인 단면도이다.
도 6의 (a)와 (b) 및 (c)는 상기 단위 고리부(110)의 단면 구조가 서로 다른 유형으로 이루어진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위 고리부(110)는 도 6의 (a) 및 (b)에 각각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단면 구조 또는 직사각형의 단면 구조의 모서리부가 라운드진 타원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판상의 띠 부재나 리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위 고리부(110)는 도 6의 (c)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와이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100)에 따르면, 도 7에 예시해 보인 바와 같이 작물의 가지를 에워싼 상태에서 복수의 단위 고리부(110)에서 선택된 어느 1쌍의 단위 고리부(110)가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주위에 마련되는 지지대 또는 지지선(40)에 걸리도록 세팅할 수 있다. 이때, 작물의 가지를 에워싸는 내경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물의 성장 상태나 기상 조건 등의 작황에 따라 작물의 줄기나 가지에 대한 결속상태를 느슨하거나 타이트한 상태로 적절하게 대응하여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200)는,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주위에 마련되는 지지대 또는 지지선(도 7의 부호 40 참조)이 관통되어 끼워지도록 개방된 개방부(211)를 가지는 원형 고리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단위 고리부(210)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연결되어 단일의 밴드 형태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작물의 가지를 에워싼 상태에서 서로 이격된 1쌍의 단위 고리부(210)를 선택하여 그 개방부(211)를 통해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주위에 마련되는 지지대 또는 지지선(도 7 의 부호 40 참조)에 걸리도록 작물의 가지를 결속할 수 있게 된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200)는, 도 3 내지 도 7에 의해 설명한 바 있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100)의 사각형 단위 고리부(110)가 원형 고리 형태로 변형된 것으로서, 그 원형 단위 고리부(210)의 개방부(211)와 연결부(212) 및 손잡이부(220)(230)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100)의 개방부(111)와 연결부(112) 및 손잡이부(120)(130)에 각각 대응되도록 동일하게 이루어진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며, 그 구성요소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 단위 고리부(210)는 그 단면의 구조가 도 6의 (a) 및 (b)에 각각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단면 구조 또는 직사각형의 단면 구조의 모서리부가 라운드진 타원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판상의 띠 부재나 리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단위 고리부(110)는 도 6의 (c)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와이어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를 이용하여 가지를 결속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300)는, 파형 구조에 의해 다수의 "S"형태의 파형 굴곡부(312)가 이어지도록 굴곡진 몸체(310)와, 그 몸체(310)의 파형 굴곡부(312)에 각각 날개(또는 미늘) 형태로 구비된 돌출 고리(311)가 형성되어 탄성 변형이 가능한 단일 밴드 형태의 성형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 고리(311)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지지대나 지지선(도 7의 40 참조)이 관통되어 끼워지도록 이루어진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300)에 따르면, 상기 몸체(310)의 양끝단부에는 각각 작업자가 파지하기 용이한 형태의 판상 블럭체로 형성된 손잡이부(320)(330)가 구비되며, 도면에 예시된 바와 같이 어느 일측의 손잡이부(320)에 형성된 결합홀(320a)에 타측의 손잡이부(330)의 돌출 고리(330a)가 끼워져 서로 결속되도록 이루어진 구성을 가진다.
그리고, 상기 몸체(310)와 돌출 고리(311)는 그 단면의 구조가 도 6의 (a) 및 (b)에 각각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단면 구조 또는 직사각형의 단면 구조의 모서리부가 라운드진 타원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판상의 띠 부재나 리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몸체(310)와 돌출 고리(311)는 그 단면의 구조가 도 6의 (c)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원형의 단면 구조를 가지는 와이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300)에 따르면, 상기 몸체(310)의 파형 굴곡부(312)에 구비된 복수의 돌출 고리부(310)에서 선택된 어느 1쌍의 돌출 고리부(311)가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주위에 마련되는 지지대 또는 지지선(도 7의 40 참조)에 걸리도록 세팅할 수 있다. 이때, 작물의 가지를 에워싸는 내경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작물의 성장 상태나 기상 조건 등의 작황에 따라 작물의 줄기나 가지에 대한 결속상태를 느슨하거나 타이트한 상태로 적절하게 대응하여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100)(200)(300)에 따르면, 다수의 단위 고리부(110)(210)(310)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연결되어 단일의 밴드 형태로 이루어진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전체의 길이가 약 10 내지 30cm, 폭이 약 2 내지 5cm, 두께가 1 내지 2mm의 범위의 치수 규격으로 이루어진 단일 밴드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롤(roll) 형태로 감긴 단위 유닛으로 제작하여 사용시 단일 밴드 단위로 절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결속 해체시 단일 밴드 단위로 수거 보관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보유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예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200, 300 :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
110, 210 : 단위 고리부
111, 211 : 개방부
112, 212 : 연결부
120, 130, 220, 230 : 손잡이부
310 : 몸체
311 : 돌출 고리부
312 : 파형 굴곡부
320, 330 : 손잡이부

Claims (9)

  1.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를 주위에 마련된 지지선으로 유인하여 결속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선이 관통되어 끼워지도록 개방된 개방부를 가지는 다수의 단위 고리부가 연속적으로 이어지도록 연결되어 단일의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단위 고리부의 개방부는 인접한 다른 고리부의 개방부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오픈되도록 교번적인 배열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단위 고리부에서 선택된 어느 1쌍의 고리부가 상기 지지선에 걸리도록 세팅하여 상기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를 에워싸는 내경의 조절을 통해 작황에 따른 결속상태를 느슨하거나 타이트한 상태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고리부는 판상의 띠 부재가 중앙이 비어 있고 어느 한 변에 상기 개방부가 구비된 사각형의 고리 구조를 이루도록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어느 1쌍의 모서리부는 양측에 각각 인접하는 다른 단위 고리부의 모서리부와 서로 연결되는 연결부를 이루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
  3. 삭제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고리부는 그 단면 구조가 사각형과 원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고리부 중에서 최외곽 양측단에 배치된 단위 고리부에는 각각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가 서로 결속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고리부는 장방형 고리나 원형 고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
  7.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를 주위에 마련된 지지선으로 유인하여 결속시켜 주기 위한 것으로,
    파형 구조에 의해 다수의 "S"형 파형 굴곡부가 연속하여 이어지도록 굴곡진 몸체와, 그 몸체의 파형 굴곡부에 각각 날개 형태로 구비된 돌출 고리부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선에 상기 돌출 고리부가 선택적으로 끼워지도록 단일의 밴드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 고리부의 개방부는 인접한 다른 돌출 고리부의 개방부와 상반되는 방향으로 오픈되도록 교번적인 배열 구조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돌출 고리부에서 선택된 어느 1쌍의 고리부가 상기 지지선에 걸리도록 세팅하여 상기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를 에워싸는 내경의 조절을 통해 작황에 따른 결속상태를 느슨하거나 타이트한 상태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 고리는 그 단면 구조가 사각형과 원형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띠 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단에는 각각 파지 가능한 손잡이부가 서로 결속 가능한 상태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
KR1020160060568A 2016-05-18 2016-05-18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 KR1018496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568A KR101849614B1 (ko) 2016-05-18 2016-05-18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0568A KR101849614B1 (ko) 2016-05-18 2016-05-18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048A KR20170130048A (ko) 2017-11-28
KR101849614B1 true KR101849614B1 (ko) 2018-04-17

Family

ID=60811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0568A KR101849614B1 (ko) 2016-05-18 2016-05-18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96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2970A1 (en) 2020-06-30 2022-01-06 De Jong Joost Arie Strip of substantially flat plant clips that are integrally connected with each oth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0692B1 (ko) * 2019-08-09 2021-08-23 안다빈 인삼재배용 차광부재 고정타이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3664A (ja) * 2012-01-27 2013-08-15 Arai Uebingu:Kk 植物用の結束具
KR101493929B1 (ko) * 2014-06-24 2015-02-17 이승환 농작물 고정타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53664A (ja) * 2012-01-27 2013-08-15 Arai Uebingu:Kk 植物用の結束具
KR101493929B1 (ko) * 2014-06-24 2015-02-17 이승환 농작물 고정타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02970A1 (en) 2020-06-30 2022-01-06 De Jong Joost Arie Strip of substantially flat plant clips that are integrally connected with each other
NL2025956B1 (en) * 2020-06-30 2022-03-08 Arie De Jong Joost Strip of substantially flat plant clips that are integrally connected with each oth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048A (ko) 2017-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30838B2 (en) Grid shoot positioning system for grape vines
KR200466349Y1 (ko) 농작물 지지끈 연결용 클립
KR101849614B1 (ko) 원예 및 농작 재배식물의 가지 유인 결속용 타이
US20230039568A1 (en) Agricultural trellis systems, and associated devices and methods
US56386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nt culture
AU749253B2 (en) Seedling growth enhancing device
KR20160000335U (ko) 농작물 지지장치
RU2303347C2 (ru) Способ ведения виноградных кустов
US477937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aining a plant to grow upright using a plant training stake
KR101329237B1 (ko) 원예용 식물 지지장치
KR20170017858A (ko) 농작물 지지용 결속구
JP3143683U (ja) アリアム植物の栽培装置
KR200395966Y1 (ko) 수목가지 유인구
KR101393713B1 (ko) 속성 녹화용 마삭줄 및 이를 이용한 대면적 속성 녹화방법
KR102168129B1 (ko) 넝쿨작물용 줄기 유인용 집게
KR20160011317A (ko) 농작물 지지용 결속구
KR101493929B1 (ko) 농작물 고정타이
KR20110029825A (ko) 다용도 농작물 지지대
JP3036759U (ja) クリップ
JPH04110452U (ja) 帯状植物栽培用クリツプ
JPS6044883B2 (ja) 長葱栽培用資材
KR200401881Y1 (ko) 가지유인구
JP2024065062A (ja) ナスの栽培方法、ナスの栽培装置及び育苗用培地
RU2265993C2 (ru) Способ ведения виноградных кустов
KR102611607B1 (ko) 작물지주 결착용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