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600B1 - Emergency exit system having outside air supply function - Google Patents

Emergency exit system having outside air supply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600B1
KR101848600B1 KR1020170077422A KR20170077422A KR101848600B1 KR 101848600 B1 KR101848600 B1 KR 101848600B1 KR 1020170077422 A KR1020170077422 A KR 1020170077422A KR 20170077422 A KR20170077422 A KR 20170077422A KR 101848600 B1 KR101848600 B1 KR 101848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supply
emergency escape
blowing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74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70072859A (en
Inventor
이치헌
Original Assignee
이치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치헌 filed Critical 이치헌
Priority to KR1020170077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600B1/en
Publication of KR20170072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285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60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2/00Fire prevention or contain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40Geothermal heat-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등 재난이 발생한 건물 또는 지하시설 등의 내부에서 사전에 설정된 비상 탈출 경로를 지속적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비상 탈출로에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 배출공을 통하여 신선한 외부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본 발명에 따른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은, 대기중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부재(100)와; 각각의 송풍부재(100)에서 강제적으로 공급하는 공기를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 배출공(210)을 통하여 공급하여 상기 내벽면의 일정 높이에 비정형의 에어터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공급부재(200)와; 서로 이웃하게 설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기공급부재(200) 사이를 연결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관(240)과; 상기 각각의 연결관(240)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연결관(24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밸브(250)와; 상기 공기공급부재(200)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화재시 비상탈출로를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부재(300)와; 상기 각각의 송풍부재(100)의 주변의 유독가스를 각각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독가스 검출센서(500)와; 상기 유독가스가 검출되는 않은 외부공기를 상기 각각의 공기공급부재(210)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600)으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route which continuously guides an emergency escape route set in advance in a building or an underground facility where a disaster such as a fire has occurred, and at the same time can continuously supply fresh outside air through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formed in an emergency escape rout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system having an external air supply function, and an emergency escape system having an external ai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t least one air blowing member (100) for forcibly supplying air in the atmosphere; At least one or more air holes are formed through a plurality of air exhaust holes 210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outer surface to forcibly supply air supplied from each of the air blowing members 100 to form an atypical air tunnel at a certain height of the inner wall surface An air supply member 200; At least one connection pipe (240) connecting at least two air supply members (200) adjacent to each other; At least one on / off valve (250) installed in the middle of each of the connection pipes (240)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nection pipes (240); At least one illumination member (300)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supply member (200) and indicating an emergency escape route in case of fire; At least one or more toxic gas detection sensors (500) for detecting toxic gases around the respective blowing members (100); And a microcomputer 600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he external air to which the toxic gas is not detected to each of the air supply members 210.

Figure R1020170077422
Figure R1020170077422

Description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Emergency exit system having outside air supply function}[0001] Emergency exit system having outside air supply function [0002]

본 발명은 비상탈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화재 등 재난시 건물 또는 지하시설 등에서 비상탈출로를 지속적으로 안내하면서 비상탈출로를 따라 대기중의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mergency escap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emergency escape system capable of continuously supplying fresh air in the atmosphere along an emergency escape route while continuously guiding an emergency escape route from a building or underground facility in the event of a fire or the like. Emergency escape system.

화재 현장에서 사망 원인 1위는 화재가 아닌 질식이다. 각종 화학성 소재가 불에 타면서 일산화탄소, 시안화수소 등과 같은 독성가스를 배출하기 때문이다. The first cause of death in the field of fire is suffocation, not fire. Various chemical materials are burned and toxic gases such as carbon monoxide and hydrogen cyanide are discharged.

이에 따라 화재 발생시 대피하는 과정에서 대피자들이 신선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면 화재로 인한 사망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기대에 부응하고자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되고 있다.Accordingly, it is expected that fire victims will be able to greatly reduce fatalities if fresh air can be inhaled by large pizzas in the process of evacuation when a fire occurs. Various technologies are being proposed to meet such expectations.

대한민국 실용공개공보 제20-2011-0002589호에는 화재시에도 외부공기가 공급가능하도록 파이프라인으로 이루어진 배관라인을 개별적으로 구성하되, 압축기로서 공기의 흡입이 강력하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농축산소를 통하여 밀폐공간의 산소를 충분하게 공급하는 질식방지장치가 기재되어 있다.Korean Utility Model Laid-Open Publication No. 20-2011-0002589 discloses a piping system in which piping lines composed of pipelines are separately provided so that external air can be supplied even in the event of a fire, and the suction of air is made strong as a compressor, In order to sufficiently supply the oxygen of the exhaust pipe.

그러나,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화재 발생시 화장실과 같이 방염처리된 특정밀폐공간에만 산소를 공급하는 방식이라 대형 화재시 잘못되면 큰 사망사고로 발전할 가능성이 있는 다소 위험부담이 따르는 기술이다.However, such prior art technology is a risky technology that can generate a large-scale fatal accident if a large fire occurs because only oxygen is supplied to a specific sealed space such as a bathroom in the event of a fire.

또한, 화재 발생시 사망사고의 피해자들은 비상탈출구로 탈출을 시도하면서 유독가스를 흡입하는 경우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화재 발생시 일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걸러내는 케미컬에어(CA) 필터를 구비한 휴대용 마스크도 개발되어 시판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victims of fatal accidents are attempting to escape to emergency exits, the majority of them are inhaling toxic gases. Therefore, portable masks equipped with a chemical air (CA) filter that effectively removes carbon monoxide when a fire occurs have been developed And is commercially available.

그러나, 이러한 휴대용 마스크나 유사한 보호장구는 화재 사고현장에서 개인들이 직접 소지하고 있어야만 효과를 볼 수 있는 것이기 때문에 화재 등 재난시 동시다발적으로 순식간에 유독가스에 노출되기 마련인 모든 사람들에게 동일한 도움을 주기에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ese portable masks and similar protective equipment can only be effective if they are carried directly by individuals at the site of the fire accident, so that it is possible to give the same help to everyone who is exposed to poisonous gas instantly in the event of a fire or other disaster. There are limits to the cycle.

대한민국 실용공개공보 제20-2011-0002589호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20-2011-0002589 케미컬 에어필터를 구비한 휴대용 마스크Portable mask with chemical air filter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재 등 재난이 발생한 건물 또는 지하시설 등의 내부에서 사전에 설정된 비상 탈출 경로를 지속적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비상 탈출로에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 배출공을 통하여 신선한 외부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route that continuously guides an emergency escape route set in a building or underground facility where a disaster such as a fire occurs, And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system having an external air supply function capable of continuously supplying fresh outside air through a plurality of air exhaust hole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상시에는 대기중의 신선한 공기를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소량으로 공급하면서도, 화재 등 재난 발생시에는 대기중의 신선한 공기를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대량 공급할 수 있는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lying fresh air in a small amount according to preset conditions while normally providing fresh air in the atmosphere, And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system.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외부공기에 유독가스가 포함된 경우에는 해당 송풍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동시에 해당 공기공급부재의 공급경로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는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Ye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mergency escape system having an external air supply function capable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pply path of the air supply member when toxic gas i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은, 지상 또는 건물의 실외에 설치되어, 대기중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부재(100)와; 상기 건물 또는 지하시설의 내벽의 외부 또는 내부에 화재시 사용되는 비상탈출로를 따라 설치되며, 각각의 송풍부재(100)에서 강제적으로 공급하는 공기를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 배출공(210)을 통하여 공급하여 상기 내벽면의 일정 높이에 비정형의 에어터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공급부재(200)와; 서로 이웃하게 설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기공급부재(200) 사이를 연결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관(240)과; 상기 각각의 연결관(240)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연결관(24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밸브(250)와; 상기 공기공급부재(200)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화재시 비상탈출로를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부재(300)와; 상기 각각의 송풍부재(100)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송풍부재(100)의 주변의 유독가스를 각각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독가스 검출센서(500)와;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경우, (i)상기 조명부재(300)를 통하여 상기 비상탈출로를 지속적으로 안내하도록 제어하는 동시에 상기 각각의 공기공급부재(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상기 각각의 공기 배출공(210)을 통하여 상기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비상탈출로를 따라 상기 에어터널을 형성하며 (ii)상기 각각의 송풍부재(100)의 주변에 설치된 각각의 유독가스 검출센서(500)의 검출결과에 따라 상기 각각의 송풍부재(100)의 동작과 상기 각각의 송풍부재(100)에 연결된 상기 연결관(240)에 설치된 개폐밸브(250)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유독가스가 검출되는 않은 외부공기를 상기 각각의 공기공급부재(210)로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마이컴(60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mergency escape system having an external air supply function, comprising: at least one air blowing member installed outside the ground or a building for forcibly supplying air in the air; 100);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outer side of the air to be forcedly supplied from each of the air blowing members 100, At least one air supply member (200) supplying air through the air inlet (210) to form an atypical air tunnel at a predetermined height of the inner wall surface; At least one connection pipe (240) connecting at least two air supply members (200) adjacent to each other; At least one on / off valve (250) installed in the middle of each of the connection pipes (240)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nection pipes (240); At least one illumination member (300)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supply member (200) and indicating an emergency escape route in case of fire; At least one or more toxic gas detection sensors (500) installed around the respective blowing members (100) for detecting toxic gases around the respective blowing members (100); (I) controlling the emergency escape route to be continuously guided through the illumination member (300), and detecting the occurrence of a fire when each of the air discharge holes (Ii) the detection result of each of the toxic gas detection sensors (500)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the respective blowing members (100) by supplying the outside air through the emergency exit path (210) to form the air tunnel along the emergency exit path The operation of each of the blowing members 100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open / close valve 250 installed in the connection pipe 240 connected to the respective blowing members 100 ar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open / And a microcomputer 600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air to the respective air supply members 210.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emergency escape system having the external ai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achie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화재 등 재난이 발생한 건물 또는 지하시설 등의 내부에서 비상 탈출 로를 지속적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비상 탈출로를 따라 대기중의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화재 등 재난 발생시 건물 또는 지하시설 등의 내부에 있는 사람들이 비상 탈출로를 따라 신속하게 대피하면서도 비상 탈출로를 따라 공급되는 신선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어 화재 등 재난시 대피로를 몰라 헤매거나 유독가스로 질식하는 사망사고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First, it can continuously guide the emergency escape route from the inside of a building or underground facility where a disaster such as a fire occurs, and at the same time, it can continuously supply fresh air in the atmosphere along the emergency escape route. Therefore,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people inside buildings or underground facilities can quickly evacuate along the emergency escape route, but can also suck fresh air supplied along the emergency escape route, It is expected to reduce the deaths caused by toxic gas suffocation.

둘째, 평상시에는 대기중의 신선한 공기를 미리 설정된 저압으로 미량 공급하면서도, 화재 등 재난 발생시에는 대기중의 신선한 공기를 미리 설정된 고압으로 지속적으로 대량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평상시에는 건물 또는 지하시설 등의 내부에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통풍 및 환기장치의 기능을 갖으면서도 화재 등 재난 발생시에만 신선한 공기를 강하게 공급할 수 있어, 시설물 이용객의 건강과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Second, fresh air in the atmosphere can be continuously supplied in a large amount at a preset high pressure while a fresh air in the air is normally supplied in a small amount at a preset low pressure. Therefore, while having the function of ventilation and ventilation that continuously supplies fresh air to inside of buildings or underground facilities in normal times, it is possible to supply fresh air only when a disaster such as a fire occurs, thereby securing the health and safety of users of facilities .

셋째, 하나의 송풍기에 적어도 2개 이상의 밸브를 구비한 공기공급관을 연결시키도록 설치하여 유독가스가 감지되는 경우, 해당 송풍기의 동작을 중지시키는 동시에 해당 공기공급부재의 공급경로의 개폐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Third, when a toxic gas is detected, the operation of the blower is stopped and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supply path of the air supply member is automatically controlled can do.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공급관이 건물의 내벽에 매설된 경우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공급관이 건물의 내벽에 고정 설치된 경우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공기공급관이 장애인 또는 노약자용 안전바인 경우, 건물의 내벽에 매설된 경우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1 is a block diagram of an emergency escape system having an external ai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n emergency escape system having an external air supply function when an air supply pi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an inner wall of a building;
3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n emergency escape system having an external air supply function when an air supply pip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an inner wall of a building;
FIG. 4 is a view showing an installation state of an emergency escape system having an external air supply function when the air supply pipe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mbedded in an inner wall of a building in case of a safety bar for a disabled person or an elderly person;
5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n emergency escape system having an external ai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될 것이 아니라,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he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be limited to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but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to describe its invention in the best way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일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mere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all the technical idea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equivalents and modifications may be presen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an emergency escape system having an external ai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은, 지상 또는 건물의 실외에 설치되어, 대기중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부재(100)와, 건물의 내벽의 외부 또는 내부에 화재시 사용되는 비상탈출로를 따라 설치되며, 각각의 송풍부재(100)에서 강제적으로 공급하는 공기를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 배출공(210)을 통하여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공급부재(200)와, 공기공급부재(200)에 설치되어, 화재 등 재난시 대피자들에게 비상탈출방향을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부재(300)와, 건물의 내벽에 설치되어, 송풍부재(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부재(400)와, 각각의 송풍부재(100)에 설치되어, 각각의 송풍부재(100)의 주변의 유독가스를 각각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독가스 검출센서(500)와, 유독가스 검출센서(500)의 검출결과에 따라 해당 송풍부재(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컴(600)으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FIG. 1, an emergency escape system having an external ai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air blowing member 100 (see FIG. 1) installed outside the ground or a building for forcibly supplying air in the air, And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not shown)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on the outer side of the air blown by the air blowing members 100, At least one or more lighting members 300 installed in the air supply member 200 and indicating emergency escape directions to fire piles in the event of a fire or the like, At least one switch member 400 installed at an inner wall of the building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blowing member 100 and at least one switch member 400 installed at each blowing member 1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blowing member 100 Toxic consists gas to one or more toxic gas detection sensor 500 and the microcomputer 600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member 100 in accordance with a detection result of a toxic gas detection sensor 500 for detecting each.

여기서, 송풍부재(100)는 공기공급부재(200)으로만 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하는 밀폐형 송풍기이다. 이러한 밀폐형 송풍기는 중심부의 허브(hub)에 부착된 방사상의 얇고 납작한 날개들로 이루어져 있다. 날개와 허브가 조합된 회전부는 임펠러(impeller), 회전자(rotor), 회전차(runner) 중에서 선택적으로 사용된다.Here, the air blowing member 100 is a closed blower for forcibly supplying air only to the air supplying member 200. Such a closed blower consists of radial thin flat wings attached to a central hub. The rotating part in which the wing and the hub are combined is selectively used among an impeller, a rotor, and a runn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밀폐형 송풍기는 공기가 흡입관을 통해 날개차의 중심으로 흐른 뒤, 방사상으로 와류형 케이싱 쪽을 향해 날개차에 의해 힘을 받아 공기배출부재(200)로 흐르게 하는 원심 송풍기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osed-type blower has a centrifugal blower that flows through the suction pipe to the center of the bladder and then flows radially toward the vortex casing toward the air discharging member 200 by the force of the bladder Is preferably used.

또한, 각각의 송풍부재(100)는 평상시에는 미리 설정된 저속으로 회전되어 대기중의 공기를 공기공급부재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미량 공급하여 환기 및 공기순환의 기능을 담당하며, 임의의 사용자가 스위치부재(400)를 작동시키면 미리 설정된 고속으로 회전되는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최고속도는 분당 3~1만 4,000의 용량을 갖도록 설정된다. Each air blowing member 100 is normally rotated at a predetermined low speed to continuously supply air in the air to the inside of the air supply member to perform ventilation and air circulation functions. The maximum speed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have a capacity of 3 to 14,000 per minute.

또한, 공기공급부재(200)는 원통형 또는 각형 공급관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공급부재(200)의 일측 방향 즉 공기를 공급하는 방향의 외표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공기 배출공(210)이 형성된다. As shown in FIGS. 2 to 4, the air supply member 200 may be a cylindrical or angled supply pipe, and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air supply member 200, that is, on the outer surface in the air supply direction A plurality of air exhaust holes 210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또한, 공기공급부재(200)의 설치 높이는 건물 내벽면의 지면을 기준으로 1-1.5m 범위 내에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건물의 내부에서 화재 발생시 대부분의 사람들이 낮은 자세로 이동하기 때문에 어린이부터 어른들의 평균적인 낮은 자세에 해당되는 높이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함이다. The installation height of the air supply member 200 is preferably set within a range of 1-1.5 m from the ground surface of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The reason for this is to supply fresh air to the height that corresponds to the average low posture of children and adults because most people move in a low posture when a fire occurs inside the building.

또한, 공기공급부재(2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내벽면의 내부에 매설될 수도 있으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물의 내벽면 상에 고정 설치될 수도 있다.2, the air supply member 200 may be embedded i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nd may be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as shown in FIGS. 3 and 4 have.

도 3에서는 공기공급부재(200)가 건물의 내벽면 상에 지지홀더(미도시)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4에서는 공기공급부재(200)가 건물의 내벽면 상에 지지대(220)를 이용하여 고정 설치된 장애인 또는 노약자 안전바(200a)가 사용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In FIG. 3, the air supply member 200 is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using a support holder (not shown). In FIG. 4, the air supply member 200 is mount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200a), which is fixedly installed using the security bar (220).

일반적으로 장애인 또는 노약자 안전바는 주로 계단에 설치되고 있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장애인 또는 노약자 안전바를 비상탈출로를 따라 설치하여 평상시에는 장애인 또는 노약자들이 통행시 이동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면서 화재발생시 대기중의 공기를 공급하고 비상탈출로를 지시하는 역할도 할 수 있는 것이다.Generally, the safety bar for the disabled or the elderly is installed mainly on the stairs.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abled bar or the elderly safety bar is installed along the emergency escape route, It is possible to supply air in the air when it occurs and to direct the emergency escape route.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하나의 송풍부재(110,120)는 서로 연결된 공기공급부재(210,220)에 1:1로 연결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지만, 서로 이웃한 공기공급부재(210,220) 사이를 연결관(240)으로 연결하고, 연결관(240)의 중간에 개폐밸브(250)을 설치하여 필요시 송풍부재(100)와 공기공급부재(200)의 연결관계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1, one air blowing member 110 and 120 may be installed so as to be fixedly connected to the air supplying members 210 and 220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ratio of 1: 1, but between adjacent air supplying members 210 and 220, Off valve 250 may be provided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pipe 240 so that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air blowing member 100 and the air supply member 200 can be selectively controlled.

또한, 조명부재(300)는 인공적으로 주변을 밝게 해주는 조명기구로서, 광원에서 나오는 빛의 세기나 주기를 조절하여 밝기나 점멸을 조절하고 광원을 고정,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Further, the lighting member 300 is a lighting device that artificially brightens the surroundings, and adjusts intensity or cycle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source to control brightness or blinking, and also serves to fix and protect the light source.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는 조명부재(300)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관통형 케이스(310), 관통형 케이스(310)의 내부에 직렬 연결방식으로 설치되어 조명을 제공하는 다수개의 LED(320)와, 관통형의 케이스(310)의 외부 표면에 표시되는 다수개의 방향표시선(330)으로 구성된다.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illumination member 300 includes a penetration type case 310 formed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LEDs 320 installed in a serial connection manner inside the penetration type case 310 to provide illumination, And a plurality of direction indicating lines 330 that are display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through-type case 310.

여기서, 관통형 케이스(310)의 외형이 일자형 케이스로 형성되지 않고 방향표시선의 형상과 동일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Here, the outer shape of the through-type case 310 may not be formed as a straight case but may be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direction indicating line.

여기서, 방향표시선(330)는 야광물질, 형광물질, 발광물질, 인광물질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여 표시할 수 있다. Here, the direction indicating line 330 can display one of a luminous material, a fluorescent material, a light emitting material, and a phosphorescent material.

여기서, 야광물질은 밤에 빛을 내는 물질로서, 스스로의 에너지에 의한 빛의 생성이 아니고, 일시적인 빛의 저장기능에 의한 빛의 발산을 하는 물질이며, 형광물질은 외부로부터 전자파나 특정 주파수의 에너지를 받아서 가시광선으로 변형시키는 물질로서, 형광등 안에 바르는 화학물질이나 LED전구의 반도체 소자에 바르는 물질이며, 발광물질은 반딧불이처럼 외부의 생체에너지나 전기에너지를 빛에너지로 직접 바꿔주는 물질이며, 인광물질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원자번호 15 번의 인( 燐, phosphorus) 성분이 공기중의 수분과 산소와의 화학반응으로 만들어지는 빛을 내는 경우로서 인 성분을 함유한 물질이다.Here, a luminous substance is a substance that emits light at night, and is not a substance of light generated by its own energy, but is a substance that emits light by the temporal function of storing light. A fluorescent substance is an electromagnetic wave or an energy Is a substance that transforms into visible light. It is a chemical substance applied to a fluorescent lamp or a substance applied to a semiconductor device of an LED bulb. The luminescent material is a material that directly transforms external bio energy or electric energy into light energy such as a firefly. Is a substance containing a phosphorus component when phosphorus (atomic number 15) present in the natural world emits light produced by a chemical reaction between moisture and oxygen in the air.

또한, 스위치부재(400)는 사용자들이 화재 발생시 조작하기에 편리하도록 건물의 내벽에 다수개 설치되는 온/오프 방식의 비상버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스위칭방식과 스위치의 종류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The switch member 400 is preferably an on / off emergency button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so that users can easily operate the device when a fire occurs. However, the switch member 400 does not limit the switching method and the type of the switch .

또한, 유독가스 검출센서(500)는 전기화학식센서(ELECTRO-CHEMICAL SENSOR)로서, 산화 및 환원반응을 일으키는 전해액과, 3개의 전극을 갖고 있다. 전극의 구성은 감지대상가스가 흡착하면 산화작용을 하여 가스의 농도를 감지하는 감지전극(SENSING ELECTRODE)과 상대적인 환원반응을 하는 대극(COUNTER ELECTRODE), 양 전극의 전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준전극(REFERENCE ELECTRODE)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toxic gas detection sensor 500 is an electro-chemical sensor, which has an electrolyte for causing an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 and three electrodes. The configuration of the electrode includes a sensing electrode for sensing the concentration of the gas when it is adsorbed by the sensing gas, a counter electrode for performing a relative reduction reaction, a reference electrode for maintaining the potential of both electrodes constant REFERENCE ELECTRODE).

전기화학식 센서는 기준전극을 기준으로하여 감지전극과 대극에 흐르는 전위는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전압을 외부(TRANSMITTER)로부터 공급 받는다. 또한 감지전극의 전위를 변화하여 감도를 향상시킬 수 도 있다. 전기화학식 센서에 감지대상가스가 접촉하면 감지전극의 표면에 가스는 흡착된다. 흡착된 가스는 빠른 속도로 가스의 농도에 비례하는 산화 및 환원 반응을 시작한다. 센서의 산화 및 환원반응은 감지전극과 기준적극에 흐르는 전위의 변화를 일으킨다.In the electrochemical sensor, a constant voltage is supplied from a TRANSMITTER in order to maintain a constant potential at a sensing electrode and a counter electrode with reference to a reference electrode. It is also possible to improve the sensitivity by changing the potential of the sensing electrode. When the gas to be detected touches the electrochemical sensor, the gas is adsorbed on the surface of the sensing electrode. The adsorbed gas starts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s that are proportional to the concentration of the gas at a high rate. The oxidation and reduction reactions of the sensor cause a change in potential across the sensing electrode and the reference electrode.

이 전위의 변화는 패러데이법칙에 의하여 가스농도와 비례하는 전류(uA)를 발생한다. 발생된 출력은 증폭기(TRANSMITTER)를 통하여 4-20mA, DC의 표준 전송출력을 마이컴(600)으로 전송할 수 있다.This change in potential produces a current (uA) proportional to the gas concentration by Faraday's law. The generated output can be transmitted to the micom 600 through the TRANSMITTER, 4-20 mA, and the standard transmission output of the DC.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마이컴(600)과 기존의 건물의 내부 천정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710-760) 또는 건물의 내부에 설치된 화재 경보기(700)와 연결되어, 마이컴(600)이 화재감지센서(710-760) 또는 화재 경보기(700) 등에서 화재 발생을 감지하면 미리 설정된 하나 이상의 송풍부재(100)를 강제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icrocomputer 600 is connected to a fire detection sensor 710-760 installed in an internal ceiling of a building or a smoke alarm 700 installed inside the building, When the fire detection unit 710-760 or the fire alarm 700 detects a fire occurrence, the predetermined one or more air blowing members 100 can be forcibly drive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emergency escape system having the external air supply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건물의 내부에서 특정 위치에서 화재 등 재난이 발생한 경우, 관리자 또는 주변에 있는 사람이 건물의 내벽에 설치된 다수개의 스위치부재(410-440) 중 하나를 누른다. First, as shown in FIG. 5, when a fire or the like occurs in a specific location within a specific building, a manager or a person around the manager presses one of a plurality of switch members 410-440 provided on the inner wall of the building.

또한, 특정 사람이 스위치부재(400)를 누르지 않더라도, 건물의 내부 천정에 설치된 화재감지센서(710-760)가 동작되거나 건물에 설치된 화재 경보기(700) 등이 울리는 경우, 마이컴(600)은 화재 등 위급상황이 발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Even when a specific person does not press the switch member 400, when the fire detection sensor 710-760 installed on the inner ceiling of the building is operated or the fire alarm 700 installed on the building sounds, the microcomputer 600 detects fire It can be judged that an emergency situation has occurred.

이때, 마이컴(600)은 해당 스위치부재(400)의 동작신호(예를 들어, 스위치 온)를 감지하고, 다수개의 송풍부재(100)를 미리 설정된 고속회전속도로 구동시킨다.At this time, the microcomputer 600 senses an operation signal (for example, switch-on) of the switch member 400 and drives the plurality of blowing members 100 at a preset high rotational speed.

이에 따라 각각의 송풍부재(100)는 대기중에 있는 신선한 공기를 각각의 공기공급배관(200)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Accordingly, each of the blowing members 100 can continuously supply fresh air in the air to the inside of each air supply pipe 200.

이때, 공급되는 공기는 각각의 공기공급배관(200)의 일측 외면에 일정 간격을 유지하면서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 배출공(210)을 통하여 일정 분사거리 및 분사각도로 배출되는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공기 배출공(210)에서 분사되는 공기분사영역(A)이 비상탈출로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비정형의 에어터널을 형성할 수 있어, 탈출자가 비상탈출로로 신속하게 이동할 때 외부에서 지속적으로 공급하는 신선한 공기를 안전하게 흡입할 수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upplied air is discharged through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210 formed at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each air supply pipe 200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t a certain spraying angle and spray angle. FIG. 2 and FIG. 3 As shown in the drawing, the air injection area A injected from each air discharge hole 210 can form an irregular air tunnel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emergency escape route, so that the escapee can quickly When you move, you can safely inhale fresh air continuously supplied from the outside.

이때 마이컴(600)은, 공기공급부재(200)를 통하여 공급되는 외부 공기를 상기 다수개의 공기 배출공(210)을 통하여 일정 분사 길이와 분사 각도로 지속적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각각의 송풍기(100)의 동작속도 및 각각의 개폐밸브(250)의 개폐정도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기공급부재(200)의 끝단부에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경우, 압력이 임계치 보다 낮은 경우 송풍기(100)의 동작속도를 높이도록 제어하거나 각각의 공기공급부재(200)에 설치된 개폐밸브(250)의 개폐정도를 제어하여 다수개의 공기 배출공(210)을 통하여 일정 분사 길이와 분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microcomputer 600 controls the blower 100 so that the external air supplied through the air supply member 200 is continuously injected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exhaust holes 210 at a predetermined injection length and an injection angle,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operating speed and the degree of opening / closing of each of the on-off valves 250. For example, when the pressure sensor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air supply member 200, when the pressure is lower than the threshold value, the operation speed of the blower 100 is controlled to be increased, The degree of opening and closing of the valve 250 may be controlled to adjust the predetermined injection length and the spray angle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210. [

이와 동시에 조명부재(300)는 미리 결정된 비상탈출로를 지속적으로 안내하고 있기 때문에 탈출자의 입장에서는 조명부재(300)를 통하여 지시하는 비상탈출로를 따라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고, 탈출 도중에 지속적으로 공급되는 대기중의 신선한 공기를 지속적으로 흡입할 수 있어, 화재 등 재난 발생시 신속한 대피가 가능하고 질식 등으로 인한 사망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이다.At the same time, since the lighting member 300 continuously guides the predetermined emergency escape route, the escapee can quickly escape along the emergency escape route indicated by the lighting member 300,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evacuate fresh air from the atmosphere, thereby enabling rapid evacuation in the event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and greatly reducing deaths due to suffocation or the like.

한편, 임의의 송풍부재(110)의 근처에는 유독가스 검출센서(510)가 설치되어 있어, 화재가 발생된 건물의 주변의 공기에 포함된 유독가스성분을 지속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toxic gas detection sensor 510 is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arbitrary air blowing member 110, so that the toxic gas component contained in the air around the fire-generated building can be continuously detected.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마이컴(600)은 특정 유독가스 검출센서(510)에서 검출한 검출값이 미리 설정된 기준값과 비교한 후,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으면 정상상태로 판단하여 해당 송풍부재(110)의 동작을 계속 진행시키고,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정상 상태로 판단하여 해당 송풍부재(110)의 동작을 강제로 정지시킨다.1, the microcomputer 600 compares the detection value detected by the specific toxic gas detection sensor 510 with a predetermined reference value, and if the detected value does not exceed the reference value, the microcomputer 600 determines that the blowing member 110 If it exceeds the reference value, it is judged as an abnormal state, and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member 110 is forcibly stopped.

이때, 송풍부재(110)에 구비된 유독가스 검출센서(500)가 검출한 유독가스 검출값이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 마이컴(600)은 송풍부재(110)의 동작을 중지시키고, 이웃한 공기공급부재(220)와 연결된 연결관(240)에 설치된 개폐밸브(250)를 오픈상태로 조절하여 송풍기(12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송풍기(110)와 연결된 공기공급부재(210)로 직접 공급할 수 있도록 제어한다. At this time, when the toxic gas detection value detected by the toxic gas detection sensor 500 provided in the blowing member 110 exceeds the reference value, the microcomputer 6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member 110, The open / close valve 250 provided in the connection pipe 240 connected to the supply member 220 is opened to directly supply the air supplied from the blower 120 to the air supply member 210 connected to the blower 110 .

이에 따라 대기중에 공기에 유독가스가 많이 포함된 경우에는 해당 송풍부재(110)가 동작되지 않아 유독가스가 송풍기(110)와 연결된 공기공급부재(210)를 통하여 건물의 내부로 공급되지 않아 대피자에게는 항상 신선한 공기만이 지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when a large amount of toxic gas is contained in the air, the air blowing member 110 is not operated and the toxic gas is not supplied to the interior of the building through the air supplying member 210 connected to the blower 110, Only fresh air can always be supplied continuously.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illustrative of specific examples for the purpose of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 송풍부재
200 : 공기공급부재
210 : 공기 배출공
300 : 조명부재
310 : 외부 케이스
320 : LED
330 : 방향 지시선
400 : 스위치부재
500 : 유독가스 검출센서
600 : 마이컴
700 : 화재 경보기
100: air blowing member
200: air supply member
210: air discharge hole
300:
310: outer case
320: LED
330: Direction indicator
400: switch member
500: Toxic gas detection sensor
600: Microcomputer
700: Smoke detector

Claims (5)

지상 또는 건물의 실외에 설치되어, 대기중의 공기를 강제적으로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송풍부재(100)와;
화재시 사용되는 비상탈출로를 따라 상기 건물 또는 지하시설의 내벽면의 내부에서 일정 높이로 매설되거나, 상기 건물 또는 지하시설의 내벽면 상에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며, 각각의 송풍부재(100)에서 공급되는 공기를 외측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공기 배출공(210)을 통하여 공급하여 상기 내벽면의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비정형의 에어터널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공기공급부재(200)와;
서로 이웃하게 설치된 적어도 2개 이상의 공기공급부재(200) 사이를 연결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관(240)과;
상기 각각의 연결관(240)의 중간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연결관(240)의 개폐를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밸브(250)와;
상기 공기공급부재(200)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화재시 비상탈출로를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명부재(300)와;
상기 각각의 송풍부재(100)의 주변에 설치되어, 상기 각각의 송풍부재(100)의 주변의 유독가스를 각각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유독가스 검출센서(500)와;
화재 발생을 감지하는 경우, (i)상기 조명부재(3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비상탈출로를 지속적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상기 송풍부재(1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상기 각각의 공기공급부재(200)의 외측면에 형성된 상기 각각의 공기 배출공(210)을 통하여 외부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비정형의 에어터널을 형성하며,
(ii)상기 각각의 송풍부재(100)의 주변에 설치된 유독가스 검출센서(500)의 동작을 제어하여, 임의의 송풍부재(100)에서 기준치 이상의 유독가스가 검출되는 경우, 상기 유독가스가 검출된 송풍부재(100)의 동작을 중지시키면서, 상기 유독가스가 검출되는 않은 다른 송풍부재(100)에서 공급하는 외부공기를 공급하도록 유독가스가 검출되지 않은 근처에 설치된 송풍부재(100)에 연결된 연결관(240)이 연결되도록 개폐밸브(250)를 제어하는 마이컴(600)으로 구성되며;
상기 마이컴(600)은, 상기 공기공급부재(200)의 상기 다수개의 공기 배출공(210)을 통하여 공급하는 외부 공기의 분사 길이와 분사 각도가 제어되어 지속적으로 분사되는 공기분사영역(A)을 이용하여 상기 비정형의 에어터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
At least one air blowing member (100) installed outside the ground or a building to forcibly supply air in the air;
A plurality of air blowing members 100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heights i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or underground facility along an emergency escape route used in a fire or fixed at a predetermined height on an inn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or underground facility, At least one air supply member (200) for supplying air supplied from a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210) formed at regular intervals to the outer side surface to form an atypical air tunnel at a predetermined height from the bottom of the inner wall surface ;
At least one connection pipe (240) connecting at least two air supply members (200) adjacent to each other;
At least one on / off valve (250) installed in the middle of each of the connection pipes (240)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connection pipes (240);
At least one illumination member (300) install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supply member (200) and indicating an emergency escape route in case of fire;
At least one or more toxic gas detection sensors (500) installed around the respective blowing members (100) for detecting toxic gases around the respective blowing members (100);
(I)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illumination member 300 to continuously guide the emergency escape route, and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air blowing member 100 to detect the occurrence of a fire, 200 to form the atypical air tunnel by supplying external air through the respective air exhaust holes 210 formed in the outer surface of the air-
(ii)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oxic gas detection sensor (500) provided in the periphery of each of the blowing members (100) to detect a toxic gas above a reference value in an arbitrary blowing member (100) Connected to the blowing member 100 installed in the vicinity of which no toxic gas is detected so as to supply the outside air supplied from another blowing member 100 in which the toxic gas is not detected while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lowing member 100 And a microcomputer (600) controlling the on-off valve (250) to connect the pipe (240).
The microcomputer 600 includes an air injection area A in which an injection length and an injection angle of external air supplied through the plurality of air discharge holes 210 of the air supply member 200 are controlled and continuously injected, Wherein said atmospheric air tunnel is formed by using said atmospheric ai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송풍부재(100)는 평상시에는 미리 설정된 저속으로 회전되어 상기 대기중의 공기를 상기 공기공급부재의 내부로 지속적으로 공급하며, 상기 마이컴(600)이 화재발생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송풍부재(100)의 회전속도를 미리 설정된 고속속도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Each air blowing member 100 is normally rotated at a predetermined low speed to continuously supply air in the air into the air supply member. When the microcomputer 600 detects the occurrence of a fire, And the rotation speed of the member (100) is rotated at a preset high speed.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건물의 내벽면 상에 일정 높이로 고정 설치되는 상기 공기공급부재(200)는,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일정 형상의 공기공급용 배관이거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중공이 형성된 장애인 또는 노약자용 원통형 안전바(200a)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공기 공급기능을 갖는 비상탈출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ir supply member 200 fixedly installed on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building may be an air supply pipe of a predetermined shape having a hol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reof or an air supply pipe having a hollow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rein the safety bar (200a) is a cylindrical safety bar (200a).
KR1020170077422A 2017-06-19 2017-06-19 Emergency exit system having outside air supply function KR10184860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422A KR101848600B1 (en) 2017-06-19 2017-06-19 Emergency exit system having outside air supply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7422A KR101848600B1 (en) 2017-06-19 2017-06-19 Emergency exit system having outside air supply function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984A Division KR20160118185A (en) 2016-09-30 2016-09-30 Emergency exit system having outside air supply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859A KR20170072859A (en) 2017-06-27
KR101848600B1 true KR101848600B1 (en) 2018-05-28

Family

ID=59514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7422A KR101848600B1 (en) 2017-06-19 2017-06-19 Emergency exit system having outside air supply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60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293A (en) 2018-11-05 2020-05-13 원준호 System for smoke protection of the living roo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2467B1 (en) 2019-06-24 2021-02-04 주식회사 기성 Belt conveyor for tunnel with external air supply functio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4388Y1 (en) 2003-03-11 2003-05-27 이건학 Escaping structure for emergency with U-trap
JP2004180840A (en) * 2002-12-02 2004-07-02 Taisei Corp Pressurized smoke exhaust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80840A (en) * 2002-12-02 2004-07-02 Taisei Corp Pressurized smoke exhaust system
KR200314388Y1 (en) 2003-03-11 2003-05-27 이건학 Escaping structure for emergency with U-tra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1293A (en) 2018-11-05 2020-05-13 원준호 System for smoke protection of the living roo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2859A (en)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59596B1 (en) Portable gas detection apparatus for detecting gas in closed space and method for detecting gas using the same
US8810415B2 (en) Evacuation system and escape route indicator therefore
US11839779B2 (en) Fire evacuation room
CN206489681U (en) A kind of intelligent fire hazard monitoring warning system based on BIM
KR101738079B1 (en) Portable Air Purifier Embedded Disaster Rescue Device
KR101848600B1 (en) Emergency exit system having outside air supply function
KR102168693B1 (en) Fire extinguish system for indoor
KR101018583B1 (en) System for prevention of fires
KR101523659B1 (en) Elevator supplying oxygen
ES2932701T3 (en) Point detector for fire alarm system
KR20110100175A (en) Gas type fire-fighting apparatus for a ship with double detective function
CN206613063U (en) A kind of indoor fire-fighting device with alarm
KR102207167B1 (en) System for smoke protection of the living room
KR101799910B1 (en) Emergency evacuation system using LED ceiling light
KR101996949B1 (en) Fire fighting safety for saving life of apartment house
KR20160096303A (en) Emergency exit guiding board having multi-alarm function
KR20100013083A (en) Dust eliminator of fire detector
JP2018057576A (en) Air conditioning device
KR20160118185A (en) Emergency exit system having outside air supply function
KR20190038050A (en) Oxygen channel feeder for fire escape rout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61587A (en) Air Supply Apparatus of emergency exit way
KR101523186B1 (en) Elevator supplying oxygen
CN205942989U (en) A security against fire alarm system for analysis cabin
Singh et al. Raspberry pi based smart fire management system employing sensor based automatic water sprinkler
KR101919064B1 (en) Fire evacua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