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387B1 - 골프공 정조준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공 정조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387B1
KR101848387B1 KR1020160119858A KR20160119858A KR101848387B1 KR 101848387 B1 KR101848387 B1 KR 101848387B1 KR 1020160119858 A KR1020160119858 A KR 1020160119858A KR 20160119858 A KR20160119858 A KR 20160119858A KR 101848387 B1 KR101848387 B1 KR 1018483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hole
golf ball
leg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9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1352A (ko
Inventor
엄현덕
Original Assignee
엄현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현덕 filed Critical 엄현덕
Priority to KR1020160119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387B1/ko
Publication of KR201800313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13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3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3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08Attachments on the body, e.g. for measuring, aligning, restrain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01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3B21/4003Arrangements for attaching the exercising apparatus to the user's body, e.g. belts, shoes or glov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to the head; to the neck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2Autofocusing of zoom lens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32Golf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elescope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 정조준장치는, 일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타단 중앙에 조준구멍이 형성되는 관통튜브와; 상기 관통튜브의 개방된 측면에 결합되며 중앙에 형성되는 렌즈구멍을 포함하는 렌즈부와; 상기 관통튜브에 연결되며 상기 렌즈구멍과 상기 조준구멍 및 눈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관통튜브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와; 상기 각도조절부에 연결되며 물건에 고정되는 고정부;로 구성된다.

Description

골프공 정조준 장치{Golf ball forward aiming device}
본 발명은 골프공 정조준 장치에 관한 것으로, 골프공 타격 시 머리가 들리거나 낮춰지는 것을 방지하고 끝까지 골프공을 주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는 소정의 거리에 위치한 그린의 홀컵에 골프공을 쳐서 가장 적은 타수로 홀컵에 골프공을 넣는 자가 승자가 되는 운동이다.
골프에서 특히 중요한 것은 샷의 정확성인데 샷이 정확하면 타수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샷의 정확성을 기르기 위해 스윙과 임팩트 순간까지의 자세를 바르게 숙지하였다 하더라도 초심자는 골프공을 임팩트 하기 전에 헤드업이 되어 골프공을 끝까지 주시하지 못하거나 골프공을 임팩트 하기 전에 바로 홀컵 방향을 주시하게 된다. 이는 골프공을 원하는 대로 칠 수 없는 결과를 가져온다. 즉 머리를 너무 낮추면 골프공의 바로 뒷땅을 내리치는 미스샷을 하게 되고, 머리를 들면 공의 중심보다 윗부분을 올려치게 되는 토핑을 하게 된다.
이러한 나쁜 습관은 좀처럼 고쳐지지 않으며 이와 같은 나쁜 습관을 개선하지 않으면 좋은 결과를 얻기 어렵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5153호(공개일자: 2002.02.19)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이러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머리와 골프공 사이의 거리를 유지시키며 눈으로 골프공을 정조준 하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 정조준장치는, 일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타단 중앙에 조준구멍이 형성되는 관통튜브와; 상기 관통튜브의 개방된 측면에 결합되며 중앙에 형성되는 렌즈구멍을 포함하는 렌즈부와; 상기 관통튜브에 연결되며 상기 렌즈구멍과 상기 조준구멍 및 눈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관통튜브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와; 상기 각도조절부에 연결되며 물건에 고정되는 고정부;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관통튜브는 골프공의 위치와 골퍼의 머리움직임을 가늠하기 위해 상기 조준구멍을 중심으로 원호 또는 십자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준구멍을 중심으로 원호 또는 십자선이 형성되는 관통튜브의 재질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부는 길이방향으로 나사산형태의 돌출부가 형성 되며, 관통튜브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렌즈부는 외주면에 초점거리를 조절 할 수 있는 디옵터 조절기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각도조절부는 일단이 관통튜브와 연결되며 타단이 원형구 형태로 형성되는 제1다리와; 일단이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며 타단이 원형구 형태로 형성되는 제2다리와; 상기 제1다리와 상기 제2다리가 각각 삽입되는 두 개의 삽입공과, 삽입된 상기 원형구가 회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몸체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두 개의 가이드홈 내경은 상기 제1,제2 다리의 원형구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마찰력을 갖고, 소정의 힘을 관통튜브에 가해 제1, 제2 다리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제2다리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자석과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자석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골프공 정조준 장치는 시야에서 골프공이 벗어나면 머리가 일정 높이를 벗어난 것을 인지 할 수 있으므로 머리를 일정한 위치로 유지한 상태에서 정확한 샷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정조준장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정조준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정조준장치의 각도조절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정조준장치의 실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정조준장치의 실시확대도.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골프공 정조준장치의 사시도로서, 일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타단 중앙에 조준구멍(110)이 형성되는 관통튜브(100)와, 관통튜브(100)의 개방된 측면에 결합되며 중앙에 형성되는 렌즈구멍(210)을 포함하는 렌즈부(200)와, 관통튜브(100)에 연결되며 렌즈구멍(210)과 조준구멍(110) 및 눈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관통튜브(100)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부(300)와, 각도조절부(300)에 연결되며 모자 또는 안경에 고정되는 고정부(400)로 구성된다.
관통튜브(100)는 골프공(10)의 위치와 골퍼의 머리 움직임을 가늠하기 위해 일단에 형성된 조준구멍(110)을 중심으로 원호(120) 또는 십자선(130)이 형성되며 재질이 투명 또는 반투명으로 되어있어 골프공(10)을 원호(120)와 십자선(130)의 중심에 정확하고 빠르게 조준 할 수 있으며 타단의 내측면에는 나사산(100)이 형성되어 렌즈부(200)와 결합 할 수 있다.
또한 관통튜브(100)는 골프공(10) 조준 시 조준구멍(110)을 통해 직접 골프공(10)을 선명하고 또렷이 볼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정조준장치의 분해도로서, 렌즈부(200)는 길이 방향으로 나사산형태의 돌출부(220)가 형성되고 관통튜브(100)의 나사산(140)과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또한 렌즈부(200)는 외측면에 디옵터 조절기(230)가 형성되며 디옵터 조절기(230)를 조작하여 골프공(10) 조준 시 원호(120) 또는 십자선(130)을 선명하고 또렷이 볼 수 있다.
각도조절부(300)는 차후 도면과 함께 설명 하도록 한다.
고정부(400)는 클립형태로 되어있어 모자나 안경 등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으며 일 측에는 제2 자석(410)이 형성되어 각도조절부(300)와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단, 고정부(400)는 클립만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모자 또는 안경 등에 고정가능하게 연결되면 공지의 어떤 형태라도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정조준장치의 각도조절부 확대도로서, 각도조절부(300)는 일단이 관통튜브(100)와 연결되며 타단이 원형구(311) 형태로 형성되는 제1 다리와(310); 일단이 고정부(400)와 연결되는 제1 자석(322)을 구비하며 타단이 원형구(321) 형태로 형성되는 제2 다리와(320); 제1다리(310)와 제2 다리(320)가 각각 삽입되는 삽입공(331)과 삽입된 원형구(311,321)가 회절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개의 가이드홈(332)이 형성된 몸체(330);로 구성된다.
두 개의 가이드홈(332)은 내경이 제1, 제2 다리의 원형구(311,321)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마찰력을 갖고, 소정의 힘을 관통튜브(100)에 가해 제1, 제2 다리(310,320)를 움직여 골퍼가 원하는 각도로 관통튜브(100)를 조절 할 수 있다.
소정의 힘은 최대정지마찰력 이상의 힘을 가리키며, 관통튜브(100)에 힘을 가해 제1, 제2 다리(310,320)를 움직여 눈과 렌즈구멍(210) 및 조준구멍(110)이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각도를 조절 할 수 있다.
이때, 최대정지마찰력은 정지해 있던 물체가 막 움직이기 시작하는 순간의 마찰력을 말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정조준장치의 실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정조준장치의 실시확대도이다.
도4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자의 챙 앞부분에 고정부(400)를 꽂아 고정하며 제1 자석(322)과 제2 자석(410)을 연결하고 눈과 조준구멍(110) 및 렌즈구멍(210)이 골프공을 조준할 때 일직선상에 위치하도록 관통튜브(100)에 소정의 힘을 가해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다.
각도 조절 후 디옵터 조절기(230)를 이용하여 원호(120) 또는 십자선(130)을 선명하게 볼 수 있으며, 골프공(10) 임팩트 시에 조준구멍(110)의 범주를 벗어나면 머리가 들리거나 숙이게 된 것을 인지할 수 있으므로 머리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골프공(10)을 정조준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골프공 100 : 관통튜브
110 : 조준구멍 120 : 원호
130 : 십자선 140 : 돌출부
200 : 렌즈부 210 : 렌즈구멍
220 : 배출배관 230 : 디옵터 조절기
300 : 각도조절부 310 : 제1 다리
311,321 : 원형구 320 : 제2 다리
322 : 제1 자석 330 : 몸체
331 : 삽입공 332 : 두개의 가이드홈
400 : 고정부 410 : 제2 자석

Claims (8)

  1. 일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타단 중앙에 조준구멍이 형성되는 관통튜브;
    상기 관통튜브의 개방된 측면에 결합되며 중앙에 형성되는 렌즈구멍을 포함하는 렌즈부;
    상기 관통튜브에 연결되며 상기 렌즈구멍과 상기 조준구멍 및 눈이 일직선상에 위치되도록 관통튜브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
    상기 각도조절부에 연결되며 물건에 고정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부는,
    일단이 상기 관통튜브와 연결되며 타단이 원형구 형태로 형성되는 제1다리;
    일단이 상기 고정부와 연결되며 타단이 원형구 형태로 형성되는 제2다리 및
    상기 제1다리와 제2다리가 각각 삽입되는 두 개의 삽입공과 삽입된 상기 원형구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두 개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몸체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상기 관통튜브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정조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튜브는 골프공의 위치와 골퍼의 머리움직임을 가늠하기 위해 상기 조준구멍을 중심으로 원호 또는 십자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정조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준구멍을 중심으로 원호 또는 십자선이 형성되는 관통튜브의 재질은 투명 또는 반투명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정조준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길이방향으로 나사산형태의 돌출부가 형성 되며, 관통튜브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나사결합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정조준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외주면에 초점거리를 조절 할 수 있는 디옵터 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정조준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가이드홈 내경은 상기 제1,제2 다리의 원형구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마찰력을 갖고, 소정의 힘을 관통튜브에 가해 제1, 제2 다리를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정조준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다리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자석과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2자석은 서로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공 정조준 장치.
KR1020160119858A 2016-09-20 2016-09-20 골프공 정조준 장치 KR1018483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858A KR101848387B1 (ko) 2016-09-20 2016-09-20 골프공 정조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9858A KR101848387B1 (ko) 2016-09-20 2016-09-20 골프공 정조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352A KR20180031352A (ko) 2018-03-28
KR101848387B1 true KR101848387B1 (ko) 2018-04-12

Family

ID=61901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9858A KR101848387B1 (ko) 2016-09-20 2016-09-20 골프공 정조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38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442B1 (ko) 2005-03-10 2006-09-01 서태준 골프 연습용구
KR101086727B1 (ko) * 2008-11-12 2011-11-25 송건호 가늠자가 있는 골프 모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7442B1 (ko) 2005-03-10 2006-09-01 서태준 골프 연습용구
KR101086727B1 (ko) * 2008-11-12 2011-11-25 송건호 가늠자가 있는 골프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1352A (ko) 2018-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1409B1 (en) Golf club putter
JP4714737B2 (ja) パター型ゴルフクラブ及びその使用方法
KR20100065481A (ko) 숏퍼팅과 미들 및 롱퍼팅이 가능한 양손잡이용 퍼터
US20090181784A1 (en) Golf club training device
US20190168093A1 (en) Batting tee
US5882267A (en) Golf putting trainer
US3529830A (en) Putter aligning device
US9238166B1 (en) Putter with alignment device
JP5739942B2 (ja) スイング補助装置
KR101848387B1 (ko) 골프공 정조준 장치
KR200412150Y1 (ko) 골프 퍼팅 연습기
KR101845207B1 (ko) 수직 보정이 용이한 골프티
KR101426932B1 (ko) 골프 퍼터
KR101707153B1 (ko) 타격의 정확도를 향상시킨 퍼터헤드
KR20160026850A (ko) 퍼팅 훈련 보조 기구
US3598411A (en) Apparatus for playing miniature golf
JP6543866B2 (ja) スポーツ用品
JP3178345U (ja) ゴルフ用光スイング練習具
JP6082970B2 (ja) パット練習具
US9855482B1 (en) Golf aid for improving swing
KR101718133B1 (ko) 더프샷 방지용 골프채
US9468833B1 (en) Golf training aid for putting
KR101525043B1 (ko) 표시기능을 가지는 골프클럽
US10022596B2 (en) Side swing putter
KR20180089828A (ko) 골프 퍼터 장착용 퍼팅 가이드 얼라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