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07153B1 - 타격의 정확도를 향상시킨 퍼터헤드 - Google Patents

타격의 정확도를 향상시킨 퍼터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07153B1
KR101707153B1 KR1020150121944A KR20150121944A KR101707153B1 KR 101707153 B1 KR101707153 B1 KR 101707153B1 KR 1020150121944 A KR1020150121944 A KR 1020150121944A KR 20150121944 A KR20150121944 A KR 20150121944A KR 101707153 B1 KR101707153 B1 KR 1017071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tter head
golf ball
striking
ball
ang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1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관
Original Assignee
김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관 filed Critical 김영관
Priority to KR1020150121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071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071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071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87Heads for 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7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6Heads adjustable
    • A63B53/065Heads adjustable for putters
    • A63B2053/023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10Positions
    • A63B2220/16Angular posi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퍼터헤드는 바디부, 타구조준부 및 각도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는 일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골프공을 타격하고, 상기 타구조준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부 표면의 일측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의 일단은 타구조준부 측면의 중앙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의 타측면을 향해 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Description

타격의 정확도를 향상시킨 퍼터헤드 {PUTTER HEAD WITH IMPROVED PUTTING ACCURACY}
본 발명은 퍼터헤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구조준부 및 각도조절부를 통해 퍼팅(Putting) 시 타격의 정확도를 높이는 퍼터헤드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골프를 즐기는 사람들의 증가로 초보자부터 숙련자에 따라 다양한 장비들과 훈련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골프공을 타격하는 힘, 방향 및 자세에 따라서 골프공의 이동거리 및 방향이 달라지며 다양한 지형 또는 홀이 위치한 거리에 따라서 다양한 골프클럽(Golf club)을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골프클럽들은 우드(wood), 아이언(iron) 및 퍼터(putter)로 나뉘어지는데 이 중에서 퍼터는 홀 근처에 골프공이 도달했을 경우 골프공을 정확히 홀에 넣기위해 사용되는 골프클럽으로써, 골프공을 홀에 넣는 것이 최종 목표라는 점에서 중요하고 그 만큼 사용하는데 있어서 고도의 집중력을 요구하는 골프클럽이다.
또한, 다양한 형태의 굴곡을 가진 지형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할 때마다 경사면에서 골프공을 타격하는 방향과 홀의 방향 사이의 각도를 결정해야하고 사용자의 습관에 따라서 골프공을 타격하는 위치에 대한 집중력을 요구하게 된다.
나아가, 에이밍시 앉은 자세로 골프공의 위치와 홀까지의 방향 및 거리를 눈으로 계측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이 경우 앉은 자세를 취하는 것이 불편한 문제가 있다. 또한, 정확한 퍼팅을 위하 골프공에 마커(marker) 등을 이용하여 마킹을 하거나 골프공을 손으로 만져 방향을 설정하는 등의 부수적인 동작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 특허등록 제10-1438007호는 퍼터헤드의 지면 접촉면적을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퍼팅을 제공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고, 한국 특허등록 10-1426932호는 퍼터페이스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퍼팅의 정확도를 높여주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으나, 지형에 따라 달라지는 골프공을 타격하는 위치를 용이하게 제어하고 동시에 타격의 정확도를 증가시키는 발명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타격의 정확도를 늘리고 지형의 변화에 따른 타격각도를 용이하게 제어가능한 기술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각도조절부 및 타구조준부를 사용하여 정확한 퍼팅을 가능케 하는 퍼터헤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퍼터헤드는 바디부, 타구조준부 및 각도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는 일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골프공을 타격하고, 상기 타구조준부는 상기 바디부의 상부 표면의 일측면 중앙에 형성되고, 상기 각도조절부의 일단은 타구조준부 측면의 중앙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의 타측면을 향해 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조절부의 일단은 회전 중심축을 형성하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의 표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눈금바늘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바디부는 타격부 및 연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타격부는 일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부 표면에 상기 타구조준부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는 상기 타격부에서 타측면으로 연장되고 상부 표면에 상기 각도조절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눈금바늘의 타단이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수평눈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구조준부는 일면에 접착력이 형성되어 상기 타격부에 탈착 또는 부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일면에 접착력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에 탈착 또는 부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구조준부는 각각의 일단이 상기 바디부의 일측면쪽 상부 표면에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각도조절부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타구정렬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타구정렬선들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타구정렬선들은 각각 서로 다른 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퍼터헤드는 표면에 제1 방향을 따라 형성된 타구조준부를 통해 타격부가 골프공을 타격하는 위치를 가늠하며 타격할 수 있어 잘못된 타격 습관에 의한 타격 위치보정이 가능하고, 각도조절부를 통해 퍼팅을 위한 타격각도를 설정하고 퍼터헤드가 골프공을 타격하는 순간까지 정확한 타격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타구정렬선들 각각은 서로 다른 색깔로 형성되어 있어 퍼터헤드로 골프공을 타격하는 경우 서로 다른 색깔들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골프공을 조준하는데 혼동이 줄어들고, 타격위치보정을 위한 구별이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수평눈금은 일정한 간격으로 모양의 크기 또는 형태가 달라져 원거리에서 쉽게 각도를 파악할 수 있고, 표시부의 일부는 함몰되어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표시부를 회전시키면서 수평눈금을 볼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리하여, 특히 에이밍시 골퍼, 특히 여성 골퍼들이 앉았다 일어났다를 반복하며 퍼팅의 방향을 설정하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어, 퍼팅 전의 불편한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골프공을 직접 손으로 만지는 행위나 골프공에 마커(marker) 등을 이용하여 마킹하는 행위를 생략할 수 있어 퍼팅 전의 불필요한 동작을 생략하면서도 퍼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퍼터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3 내지 도 6들은 도 1의 퍼터헤드를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퍼터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 또는 도 7의 퍼터헤드를 사용하는 퍼팅(Putting)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퍼터헤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퍼터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B'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퍼터헤드(100)(Putter head)는 바디부(200), 타구조준부(300) 및 각도조절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부(200)는 연장부(210) 및 타격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타구조준부(300)는 타구정렬선들(310)을 포함하며, 상기 각도조절부(400)는 수평 눈금(410) 및 눈금바늘(420)을 포함하며, 상기 눈금바늘(420)은 바늘축(421) 및 표시부(422)를 포함한다.
상기 퍼터헤드(100)는 골프의 퍼터(Putter)의 일단에 형성되어 골프공을 타격하여 골프장의 그린(Green)에 형성되는 홀(Hole)에 밀어넣는 장치로써, 샤프트(500)와 결합하여 골프 퍼터로써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퍼터헤드의 형태는 블레이드 퍼터(Blade Putter), 말렛 퍼터(Mallet Putter) 및 특수형 퍼터(Progressive Putter)로 나뉘어져 사용되고, 상기 블레이드 퍼터는 일단으로 연장된 로드의 형태를 하고 부피가 작고 가벼워서 세밀하게 골프공의 이동거리 및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말렛 퍼터는 상기 블레이드 퍼터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부피가 크고 안정된 타격을 제공하여 초보자들에게 적합하고 상기 특수형 퍼터는 다양한 목적을 위해 구조를 다르게 변형하여 사용되고 있다.
상기 퍼터헤드(100)는 사용자가 퍼팅하는데 있어서 골프공을 용이하고 편하게 조준하고, 정확한 타격지점을 가이드하고, 상기 블레이드 퍼터, 상기 말렛 퍼터 또는 상기 특수형 퍼터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퍼터헤드(100)의 구조는 일측이 골프공을 타격하는 일직선의 수평의 면을 형성하는 상기 타격부(220)로 이루어져 있고, 타측은 타원형으로 연장되어 안정적인 타격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 타격부(220)의 일단에는 상기 샤프트(500)의 일단이 결합되고, 상기 샤프트(500)의 타단은 그립(Grip)부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손으로 상기 그립부를 파지하며 상기 퍼터헤드(100)로 골프공을 퍼팅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타격부(220)의 상부 표면에는 상기 타구조준부(300)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타격할 위치를 가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타구조준부(300)에는 상기 타구정렬선들(310) 각각이 상기 연장부(210)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타격부(220)를 따라 상기 퍼터헤드(100)의 상부 표면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퍼터헤드(100)의 상부 표면에 나열된 상기 타구정렬선들(310)은 각각 다른 색깔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상기 골프공을 퍼팅을 위한 타격할 지점을 색깔을 통해 구분하고 가늠할 수 있고, 특정 색깔을 형성하는 상기 타구정렬선들(310)과 상기 타격부(220)가 접하는 부분을 상기 골프공으로 조준하여 퍼팅하도록 하여 퍼팅 정확도를 높이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타격전에 의도한 타격 지점을 염두해두고 상기 퍼터헤드(100)를 상기 골프공에 타격할 때 의도한 타격 지점과 다른 상기 타격부(220)의 위치가 상기 골프공을 타격하는 습관이 있는 경우, 상기 타구정렬선들(310)을 이용하여 잘못된 퍼팅 습관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골프공을 타격하기 전에 상기 타격부(220)의 중앙 지점을 상기 골프공을 타격할 지점으로 염두하고 주시하면서 상기 골프공을 타격할 때, 의도한 지점과 다르게 상기 샤프트(500)와 근접한 상기 타격부(220)의 지점으로 상기 골프공을 타격하는 습관이 있다고 가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타격부(220)의 중앙에 형성되는 상기 타구정렬선들(310)보다 상기 샤프트(500)와 이격되어 형성된 상기 타구정렬선들(310)을 주시하면서 상기 타구정렬선들(310)을 타격지점으로 염두하고 퍼팅하는 경우, 상기 골프공과 타격하기 위해 조준하는 지점은 상기 타격부(220)의 중앙 지점이 아니지만 잘못된 습관으로 인해 실제로 타격하는 타격지점이 달라지므로 상기 타격부(220)의 중앙 지점이 상기 골프공을 타격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지속적으로 퍼팅 연습을 하면서 타격을 기대하는 상기 타격부(220)의 지점이 상기 골프공을 타격하는 감각에 익숙해지면, 상기 타구정렬선들(310)의 조준 위치와 상기 골프공의 타격 지점간의 격차가 줄여지면서 상기 타격부(220)의 정확한 조준을 가능하게 하여 잘못된 퍼팅 조준 습관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구정렬선들(310)은 각각이 다른 색깔을 나타내므로 마음으로 염두하는 색깔의 상기 타구정렬선들(310)을 주시하면서 상기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고 주위에 이격되어 형성되는 다른 타구정렬선들과 혼동되는 문제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각도조절부(400)는 경사가 형성되고 굴곡이 있는 그린에서 홀을 향해 골프공을 타격할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사용되고, 상기 각도조절부(400)는 일단이 상기 타격부(220)와 상기 연장부(210)가 결합하는 부분과 근접한 상기 연장부(210)의 표면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길게 연장되어 일단을 축으로 상기 연장부(210)의 표면에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각도조절부(400)의 상기 눈금바늘(420)은 일단이 상기 연장부(210)의 표면에서 축을 형성하고, 타단은 일단을 축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눈금바늘(420)의 일단에는 상기 바늘축(421)이 형성되어 축을 형성하면서 상기 타격부(220)를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연장되어 방향을 제시하게 된다.
상기 눈금바늘(420)의 타단에는 상기 표시부(422)가 상기 연장부(210)의 가장자리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표시부(422)에는 상기 표시부(422)를 관통하여 상기 수평 눈금(410)을 주시할 수 있도록 소정의 공간이 함몰되어 형성되거나 투명한 재질을 통해 상기 표시부(422)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수평 눈금(410)을 주시할 수 있다.
상기 골프공이 그린위에 놓여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골프공을 타격할 방향과 상기 골프공에서 홀까지의 방향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만큼 상기 표시부(422)를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표시부(422)가 회전한 만큼 상기 바늘축(421)이 향하는 방향이 상기 각도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각도조절부(400)의 일단 및 타단이 일직선으로 향하는 방향과 상기 홀에서 연장되어 상기 골프공으로 향하는 연장선상이 수평을 이루도록 상기 바디부(200)를 회전시키면 상기 타격부(220)는 상기 골프공을 타격할 방향과 수직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격부(220)가 상기 골프공을 타격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로 상기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어 편리하게 상기 골프공을 타격할 각도를 설정하고 타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몸을 기울여 골프공을 회전시키거나 타격 방향 조준을 위해 에너지를 소모할 필요없이 상기 각도조절부(400)를 조정하여 손쉽게 타격방향을 정할 수 있고, 타격하는 순간에도 상기 각도조절부(400)를 주시하며 상기 골프공을 타격할 수 있어 정확한 퍼팅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샤프트(500)를 파지하고 상기 퍼터헤드(100)의 상부 표면을 주시하면서 상기 표시부(422)를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수평 눈금(410)은 일정한 각도마다 눈금의 모양이나 크기를 달리하여 상기 표시부(422)가 나타내는 각도를 직관적으로 판단 또는 측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6들은 도 1의 퍼터헤드를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3 내지 도 6들을 참조하면, 고지대(700)와 저지대(710)를 형성하는 그린(610)에서 골프공(600)이 이동궤적(630)을 따라서 이동하도록 상기 골프공(600)을 타격하기 위해 상기 퍼터헤드(100)를 사용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에서 사용자는 상기 퍼터헤드(100)를 상기 골프공(600)의 측면에 상기 타격부(220)가 상기 골프공(600)과 근접하도록 위치시키고, 상기 골프공(600)이 상기 고지대(700)를 지나 포물선을 그리며 상기 홀(620)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감안해서 상기 이동궤적(630)을 연상하게 된다.
도 4에서 사용자는 상기 이동궤적(630)을 따라 상기 골프공(600)을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골프공(600)과 상기 홀(620)이 일직선을 이루는 방향인 직선경로(640)와 상기 이동궤적(630) 사이의 타격각도(660)만큼 상기 퍼터헤드(100)를 회전시켜 상기 골프공(600)을 타격하게 된다.
사용자는 상기 타격각도(660)만큼 상기 퍼터헤드(100)의 상기 타격부(220)를 회전시켜 상기 골프공(600)을 타격하면 상기 이동궤적(630)을 따라 상기 골프공(600)이 이동하게 되고, 보다 편리하게 정해진 상기 타격각도(660)를 유지하면서 상기 골프공(600)을 타격하기 위해 상기 각도조절부(400)를 조정할 수 있다.
도 5에서 사용자는 상기 타격각도(660)를 결정하면, 상기 직선경로(640)와 상기 타격부(220)를 수직으로 하여 상기 퍼터헤드(100)를 상기 골프공(600)의 측면에 위치시키고, 상기 눈금바늘(420)은 상기 직선경로(640)와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상기 바늘축(421)을 축으로 상기 표시부(422)를 제1 방향으로 상기 타격각도(660)만큼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에서 제1 방향은 상기 저지대(710)에서 상기 고지대(700)로 향하는 방향 또는 상기 이동궤적(630)과 상기 눈금바늘(420)의 상기 표시부(422)가 최단거리를 형성하는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도 6에서 상기 표시부(422)가 상기 타격각도(660)와 유사한 각도로 제1 방향으로 이동한 상태에서 상기 퍼터헤드(100)를 상기 제1 방향과 반대 방향을 향하는 제2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눈금바늘(420)이 상기 직선경로(640)와 수평을 이루도록 하면, 상기 퍼터헤드(100)의 상기 타격부(220)는 자연스럽게 상기 골프공(600)과 근접한 상태에서 상기 이동궤적(630)과 수직을 이루기 때문에, 이 상태에서 상기 골프공(600)을 타격하면 초기에 정해진 상기 타격각도(660)를 정확히 유지하면서 상기 골프공(600)이 상기 이동궤적(6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타격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퍼터헤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퍼터헤드(120)는 타구조준부(800) 및 각도조절부(90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퍼터헤드(1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타구조준부(800)는 타구정렬선(810) 및 제1 접착패치(820)를 포함하고, 상기 각도조절부(900)는 수평 눈금(910), 눈금바늘(920) 및 제2 접착패치(930)를 포함한다.
상기 타구조준부(800)는 상기 타구정렬선(810)의 하부에 상기 제1 접착패치(820)가 형성되어 상기 타구조준부(800)를 상기 타격부(220)에 부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패치(820)는 상부 표면에 상기 타구정렬선(810)과 접착된 상태에서 하부가 상기 타격부(220)에 부착되고, 고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타격부(220)에 가해지는 지속적인 충격에 의한 파손 가능성이 낮아진다.
또한, 상기 제1 접착패치(820)가 투명한 필름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타구정렬선(810)은 상기 제1 접착패치(820) 상에 다양한 색깔로 프린팅(printing)될 수 있고, 상기 타구정렬선(810)의 표면은 방수 및 스크래치 방지를 위한 코팅(coating)을 하여 반영구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평눈금(910) 및 상기 눈금바늘(920)은 상기 타구정렬선(810)과 유사한 방법으로 상기 제2 접착패치(930) 상에 접착되거나 프린팅(printing)되어 상기 제2 접착패치(930) 표면에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제2 접착패치(930)는 고탄성 재질 또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고 하부는 접착물질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210)에 부착되거나 탈착이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타구조준부(800) 및 상기 각도조절부(900)는 각각 상기 타격부(220) 및 상기 연장부(210)에서 탈착되거나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어, 상기 타구조준부(800) 및 상기 각도조절부(900)가 손상되었을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구조준부(800) 및 상기 각도조절부(900)는 탈착할 수 있어, 자세교정 및 퍼팅 각도 연습이 아닐 경우는 상기 타구조준부(800) 및 상기 각도조절부(900)를 떼어내어 사용할 수 있고, 상기 타구조준부(800) 및 상기 각도조절부(900)를 상기 타격부(220) 및 상기 연장부(210)와 유사한 평면을 형성하는 다른 퍼터헤드에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가한다.
도 8은 도 1 또는 도 7의 퍼터헤드를 사용하는 퍼팅(Putting)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상기 그린(610)에서 상기 골프공(600)과 상기 홀(620)의 거리가 퍼팅에 적합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고, 상기 그린(610)이 상기 고지대(700)와 상기 저지대(710)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퍼터헤드(100)를 상기 골프공(600)과 근접한 위치에서 상기 타격부(220)와 상기 직선경로(640)가 되도록 배치한다(단계S101).
상기 그린(610)에서 상기 고지대(700)와 상기 저지대(710)를 고려하여 상기 골프공(600)이 이동할 상기 이동궤적(630)과 상기 타격각도(660)를 정하고 상기 눈금바늘(420)을 상기 타격각도(660)만큼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단계 S102).
상기 눈금바늘(420)이 상기 직선경로(640)와 수평이 되도록 상기 퍼터헤드(100)를 상기 타격각도(660)만큼 제2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타격부(220)의 표면이 상기 이동궤적(630)과 수직이 되도록 상기 골프공(600)에 근접하게 배치한다(단계 S103).
상기 골프공(600)과 상기 타격부(220)가 인접하게 배치되면, 상기 타격부(220)의 특정 위치의 지점이 상기 골프공(600)을 타격할 수 있도록 상기 타구정렬선들(310) 중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타구정렬선들(310)을 주시하며 상기 골프공(600)을 타격한다(단계 104).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퍼터헤드(100)는 표면에 형성된 상기 타구조준부(300)를 통해 상기 타격부(220)가 상기 골프공(600)을 타격하는 위치를 가늠하며 타격할 수 있어 잘못된 타격 습관에 의한 타격 위치보정이 가능하고, 상기 각도조절부(400)를 통해 퍼팅을 위한 상기 타격각도(660)를 설정하고 상기 퍼터헤드(100)가 상기 골프공(600)을 타격하는 순간까지 정확한 상기 타격각도(660)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타구정렬선들(310) 각각은 서로 다른 색깔로 형성되어 있어 상기 퍼터헤드(100)로 상기 골프공(600)을 타격하는 경우 서로 다른 색깔들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상기 골프공(600)을 조준하는데 혼동이 줄어들고, 타격위치보정을 위한 구별이 쉬운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수평눈금(410)은 일정한 간격으로 모양의 크기 또는 형태가 달라져 원거리에서 쉽게 각도를 파악할 수 있고, 상기 표시부(422)의 일부는 함몰되어 관통하는 공간이 형성될 수 있어 상기 표시부(422)를 회전시키면서 상기 수평눈금(410)을 볼 수 있어 편의성이 향상된다.
그리하여, 특히 에이밍시 골퍼, 특히 여성 골퍼들이 앉았다 일어났다를 반복하며 퍼팅의 방향을 설정하는 동작을 생략할 수 있어, 퍼팅 전의 불편한 동작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골프공을 직접 손으로 만지는 행위나 골프공에 마커(marker) 등을 이용하여 마킹하는 행위를 생략할 수 있어 퍼팅 전의 불필요한 동작을 생략하면서도 퍼팅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퍼터헤드는 골프장의 그린에서 골프선수 또는 일반인들에게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0: 퍼터헤드 200: 바디부
210: 연장부 220: 타격부
300: 타구조준부 310: 타구정렬선
400: 각도조절부 410: 수평눈금
420: 눈금바늘 421: 바늘축
422: 표시부 500: 샤프트 600: 골프공 610: 그린
620: 홀 630: 이동궤적
640: 직선경로 660: 타격각도
700: 고지대 710: 저지대
800: 타구조준부 900: 각도조절부

Claims (8)

  1. 일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되어 골프공을 타격하는 바디부;
    상기 바디부의 상부 표면의 일측면 중앙에 형성되며 각각의 일단이 상기 바디부의 일측면쪽 상부 표면에 형성되고 타단은 각도조절부를 향해 연장되어 형성되는 타구정렬선들을 포함하고, 상기 타구정렬선들은 소정의 거리를 두고 서로 이격되는 타구조준부; 및
    일단은 상기 타구조준부 측면의 중앙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의 타측면을 향해 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일단은 회전 중심축을 형성하고 타단은 상기 바디부의 표면 상에서 소정의 각도의 범위 내에서 회전하는 눈금바늘 및 상기 눈금바늘의 타단이 이동하는 경로를 따라 형성되는 수평 눈금을 포함하는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타구정렬선들은 각각 서로 다른 색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평 눈금은 소정의 간격으로 모양의 크기 또는 형태가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헤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일측면이 평평하게 형성되고 상부 표면에 상기 타구조준부가 형성되는 타격부; 및
    상기 타격부에서 타측면으로 연장되고, 상부 표면에 상기 각도조절부가 배치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헤드.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구조준부는,
    일면에 접착력이 형성되어 상기 타격부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헤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는,
    일면에 접착력이 형성되어 상기 연장부에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터헤드.
  7. 삭제
  8. 삭제
KR1020150121944A 2015-08-28 2015-08-28 타격의 정확도를 향상시킨 퍼터헤드 KR1017071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944A KR101707153B1 (ko) 2015-08-28 2015-08-28 타격의 정확도를 향상시킨 퍼터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1944A KR101707153B1 (ko) 2015-08-28 2015-08-28 타격의 정확도를 향상시킨 퍼터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07153B1 true KR101707153B1 (ko) 2017-03-06

Family

ID=58398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1944A KR101707153B1 (ko) 2015-08-28 2015-08-28 타격의 정확도를 향상시킨 퍼터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0715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994B1 (ko) * 2017-12-29 2019-06-26 주식회사 아화골프 퍼터
US20220111262A1 (en) * 2019-11-18 2022-04-14 Heylmun Holdings Llc Hyper-Acuity Golf Club Sight Line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53590A (ja) * 1998-03-13 1999-09-21 Yukihiro Kaise パタークラブ
KR200174700Y1 (ko) * 1997-04-04 2000-04-01 김대현 무게중심조정이 가능한 골프 퍼터
KR200442499Y1 (ko) * 2007-07-23 2008-11-13 주식회사 지브이골프코리아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
US20140315653A1 (en) * 2013-04-19 2014-10-23 Kaiser Wong Rotary Clip Head and Angle Plate with Putting Green Slope Reading Tool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4700Y1 (ko) * 1997-04-04 2000-04-01 김대현 무게중심조정이 가능한 골프 퍼터
JPH11253590A (ja) * 1998-03-13 1999-09-21 Yukihiro Kaise パタークラブ
KR200442499Y1 (ko) * 2007-07-23 2008-11-13 주식회사 지브이골프코리아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
US20140315653A1 (en) * 2013-04-19 2014-10-23 Kaiser Wong Rotary Clip Head and Angle Plate with Putting Green Slope Reading Too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92994B1 (ko) * 2017-12-29 2019-06-26 주식회사 아화골프 퍼터
US20220111262A1 (en) * 2019-11-18 2022-04-14 Heylmun Holdings Llc Hyper-Acuity Golf Club Sight Line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80430A (en) Golfer club including indicators for aligning golfer{3 s head relative thereto
US8021247B2 (en) High-precision golf club
US20090181784A1 (en) Golf club training device
US20120264539A1 (en) Golf Ball Having Alignment Markings to Correct for Eye Dominance
US20070142119A1 (en) Golf Swing Training Devices and Methods
KR100360585B1 (ko) 골프볼 퍼팅방향 인식방법 및 그 장치
US8827825B2 (en) Removably attachable golf training aids and methods of use
KR101707153B1 (ko) 타격의 정확도를 향상시킨 퍼터헤드
US6875122B2 (en) Laser putting device
US7556569B1 (en) Detachable guide assembly for a golf putter and its associated method of use
US7780542B1 (en) Golf training device
US8066580B2 (en) Putt and swing training plate
US7004850B1 (en) Training golf club
AU2014255357A1 (en) Self-balancing golf club
KR101426932B1 (ko) 골프 퍼터
US20170021238A1 (en) Golf Putter Shaft and Head Alignment System
KR200397928Y1 (ko) 퍼팅용 골프채 및 그 퍼팅교정구
US20150209643A1 (en) Golf club pointing aid
US10279228B2 (en) Putting training device
KR20040050254A (ko) 골프용 해머퍼터
JP2006296462A (ja) スイング練習用具及びこれを用いたスイング練習機
US20110136582A1 (en) Golf swing-aid trainer, a dynamic swing aid device for improving the golfer swing action
US20220105409A1 (en) Putting alignment training device
KR200420603Y1 (ko) 다점 포인팅에 의한 홀컵 안내용 골프 퍼터
KR101525043B1 (ko) 표시기능을 가지는 골프클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