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2499Y1 -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 - Google Patents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2499Y1
KR200442499Y1 KR2020070012123U KR20070012123U KR200442499Y1 KR 200442499 Y1 KR200442499 Y1 KR 200442499Y1 KR 2020070012123 U KR2020070012123 U KR 2020070012123U KR 20070012123 U KR20070012123 U KR 20070012123U KR 200442499 Y1 KR200442499 Y1 KR 20044249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ing means
coupled
direction indicating
shaft
put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212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윤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브이골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브이골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브이골프코리아
Priority to KR202007001212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249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24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24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07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04Heads
    • A63B53/0487Heads for put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3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 A63B69/3676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for golf for putting
    • A63B69/3685Putters or attachments on putters, e.g. for measuring, align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골프 퍼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퍼팅 스트로크시에 골프공이 굴러갈 방향을 용이하게 선정하여 골퍼가 의도한 퍼팅라인을 따라 골프공이 정확한 방향/위치로 굴러갈 수 있도록 한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는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한 클럽헤드와, 클럽헤드의 일측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말단에 골퍼가 샤프트를 파지하기 위한 그립을 포함하는 퍼터에 있어서, 상기 클럽헤드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이 관통홈에 결합되어 타구방향을 지시하는 방향지시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방향지시수단은 상기 관통홈에 결합되어 타구할 방향을 나타내는 바늘과, 일단이 상기 바늘의 저면 일 부분과 결합되며, 타단에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상에 결합되는 스프링, 및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어 스프링을 가압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를 제공한다.
그립, 샤프트, 클럽헤드, 타구부, 방향지시수단

Description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 { GOLF PUTTER WITH INDICATOR OF DIRECTION }
도 1 은 종래의 골프 퍼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는 타격부에 결합된 방향지시수단이 회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의 측단면도, 및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의 사용 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퍼터 110 : 그립
120 : 샤프트 130 : 클럽헤드
140 : 타격부 141 : 관통홈
142 : 제 1 단차부 144 : 제 2 단차부
146 : 제 3 단차부 148 : 제 4 단차부
149 : 스윙바 150 : 방향지시수단
152 : 바늘 154 : 회전축
156 : 스프링 158 : 너트
F : 클럽페이스 S : 솔레이트
T : 토우 H : 힐
본 고안은 골프 퍼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퍼팅 스트로크시에 골프공이 굴러갈 방향을 용이하게 선정하여 골퍼가 의도한 퍼팅라인을 따라 골프공이 정확한 방향/위치로 굴러갈 수 있도록 한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에 관한 것이다.
골프 경기의 기술은 드라이빙 스트로크(Driving Stroke)와 퍼팅 스트로크(Putting Stroke)로 구분할 수 있다. 드라이빙 스트로크는 우드(Wood)나 아이언(Iron) 등의 다양한 클럽(Club)을 이용하여 비교적 거리가 먼 지점을 공략하는 것임에 비해, 퍼팅 스트로크는 하나의 클럽으로 구체적인 목표 즉, 드라이버나 아이언샷 등에 의하여 공이 온 그린(on green)되었을 때 최종적으로 볼을 가볍게 쳐서 홀컵(Hole Cup)에 넣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퍼터를 사용하여 골프공을 홀컵에 넣는 동작인 퍼팅은 최종적으로 골의 타수를 결정할 뿐 아니라 거리가 먼 드라이빙 스트로크나 짧은 퍼팅 스트로크나 모두 1타이기 때문에 퍼팅은 골프에서 매우 중요한 것이며, 그린의 경사도 굴곡 등의 상태를 정확히 파악한 후 예민하게 볼을 쳐야 되므로 골프 중에서 가장 어려운 과정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퍼팅 스트로크를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임팩트 순간에 퍼터(Putter)에서 전달되는 힘의 방향이 퍼팅 라인(Putting Line)과 일치하여야 하며, 임팩트 순간에 퍼터에 전달되는 힘의 크기가 적정하여야 하고, 퍼터의 헤드면이 퍼팅 라인과 수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퍼팅만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퍼터를 사용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퍼터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한 헤드(Head)(30)와, 헤드(30)의 일측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샤프트(20)와, 샤프트(20)의 말단에 골퍼가 샤프트(20)를 파지하기 위한 그립(Grip)(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퍼터(1)를 이용하여 퍼팅 스트로크를 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오른손을 기준으로 할 경우, 골퍼는 퍼터(1)를 오른쪽으로 백스윙(Back Swing)한 후 왼쪽으로 스윙을 시작하여 골프공을 타격하는 동작으로 연결함으로써, 퍼팅 스 트로크를 완성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퍼터(1)를 이용하여 퍼팅을 하기 위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퍼터(1)를 좌우로 스윙하여 골프공을 타격하게 되므로 처음에 목표한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골프공을 치게 되는 등 방향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퍼터의 헤드에 퍼팅 방향을 나타내는 방향지시수단을 마련하여, 퍼팅 스트로크시에 골퍼가 원하는 방향으로 정확하게 퍼팅할 수 있도록 한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이하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화될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이들의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는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한 클럽헤드와, 클럽헤드의 일측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샤프트와, 샤프트의 말단에 골퍼가 샤프트를 파지하기 위한 그립을 포함하는 퍼터에 있어서, 상기 클럽헤드의 중심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홈이 형성되고, 이 관통홈에 결합되어 타구방향을 지시하는 방향지시수단을 포함하되, 상 기 방향지시수단은 상기 관통홈에 결합되어 타구할 방향을 나타내는 바늘과, 일단이 상기 바늘의 저면 일 부분과 결합되며, 타단에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상에 결합되는 스프링, 및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결합되어 스프링을 가압하는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관통홈은 방향지시수단의 바늘이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단차부와, 상기 바늘을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제 2 단차부와, 상기 방향지시수단의 회전축 및 스프링이 삽입되는 제 3 단차부와, 상기 회전축과 결합되는 너트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4 단차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바늘은 발광기능을 갖는 발광체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골프 퍼터의 구성 및 작용 효과를 바람직한 실시예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는 타격부에 결합된 방향지시수단이 회동되는 모습을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5 는 본 고안에 따른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의 측단면도, 및 도 6 은 본 고안에 따른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향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100)는 일반적으로 공지된 기술인 골프 퍼터(골프채)(1)와 동일하게 그립(110), 샤프트(120), 그리고 클럽헤드(130) 등으로 구성되되, 본 고안의 클럽헤드(130)는 타구부(140)와, 상기 타구부(140)에 결합되는 방향지시수단(1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퍼터(100)의 그립(110) 및 샤프트(120)는 이미 알려진 공지의 기술 사상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본 고안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징이라 할 수 있는 방향지시수단(150)이 결합된 클럽헤드(130)에 대한 구성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클럽헤드(130)는 타구면을 전면에 형성한 타구부(140)와, 상기 타구부(140)의 중앙에 수직으로 관통결합되는 방향지시수단(150)으로 이루어진다.
도 2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구부(140)는 크게 클럽헤드페이스(F), 솔레이트(S), 힐(H), 그리고 토우(T) 등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각각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클렙헤드페이스(F)는 골프공이 직접적으로 타구되는 타 구면이고, 상기 솔레이트(S)는 스윙시 지면과 닫는 타격부(140)의 바닥면이다. 또한, 상기 힐(H)은 사용자가 어드레스 자세를 취했을 경우 사용자와 인접하게 위치되는 부분 즉, 타구부(140)의 안쪽 부분을 말하며, 상기 토우(T)는 타구부(140)의 바깥쪽 부분을 말한다. 여기서, 전술한 구성은 통상의 퍼터(1)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타구부(140)는 지면과 닿는 바닥면적을 갖는 솔레이트(S)의 면적을 줄이기 위하여 타구부(140)의 후측 일부를 제하여 형성하고, 이 제하여진 부분에 무게 보상과 함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한 링형상의 스윙바(149)가 구비된다.
즉, 스윙바(149)는 타구부(140)의 경량화된 무게의 중심을 후측으로 위치 이동토록 하여 타구부(140)의 경량화에 따른 비거리의 감소를 최소로 줄이고, 스윙시 타구부(140)의 공기와의 마찰저항을 최소로 줄일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타구부(140)와 일체로 형성되는 스윙바(149)는 주물가공을 통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각 구성부품을 별도로 제작하여 용접하거나 토우(T)와 힐(H) 양측에 체결공을 형성하고 이 체결공에 나사를 통해 끼움결합할 수도 있다.(미도시)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타구부(140)의 중심부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홈(141)이 형성되고, 이 관통홈(141)에 방향지시수단(150)이 결합되는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타구부(140)에 형성되는 관통홈(141)은 하방향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할 방향지시수단(150)의 바늘(152)이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는 제 1 단차부(142)와, 사용자가 바늘(152)을 손으로 잡고 회전시킬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 2 단차부(144)와, 후술할 방향지시수단(150)의 회전축(156) 및 스프링(158)이 삽입되는 제 3 단차부(146)와, 그리고 솔레이트면(S)을 통해 회전축(156)과 결합되는 너트(158)를 수용하는 제 4 단차부(148)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 4 단차부(148)는 후술할 회전축(156)과 결합되는 너트(158)가 타구부(14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솔레이트(S)면 보다 너트(158)가 내측에 위치 되게 하여, 스윙시 너트(158)가 지면과 접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지시수단(150)은 바늘(152), 회전축(154), 스프링(156) 그리고 너트(158)로 구성된다.
바늘(152)은 길이재의 바(bar) 형상이며, 상기 타구부(140)의 제 1 단차 부(142)에 위치되어 타구할 방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하부 일부분에는 하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회전축(144)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본 고안에 사용된 상기 바늘(152)의 재질은 골프공 타격시 충격에 의한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경우에 따라 야간에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내구성이 강한 재질인 동시에 발광기능을 갖는 합성수지재를 사용하는 것도 무방하다.
아울러, 상기 바늘(152)의 하부 일부분과 일체로 형성되는 회전축(154)은 본 고안에서는 용접을 통하여 일체로 형성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착탈 가능하도록 접촉되는 부분에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결합수단을 구비하여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미도시)
회전축(154)은 상기 타구부(140)의 제 3 단차부(146)에 위치되는 것으로, 일단은 상기 바늘(152)의 하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타단은 후술할 너트(148)와 결합될 수 있도록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스프링(156)은 상기 회전축(154)상에 길이방향으로 끼워져 탄성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회전축(154)과 마찬가지로 제 3 단차부(146)에 위치되며, 상기 회전축(154)의 끝단에 결합되는 너트(158)에 의해 압축된다.
회전축(154)의 타측 말단에 결합되는 너트(158)는 상기 타구부(140)의 솔레이트(S)를 통해 제 4 단차부(148)에 위치되는 것으로, 회전축(154)과 결합되어 조임 정도에 따라 상기 스프링(156)의 강도를 조절하는 것이다.
즉,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152)과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154)상에 스프링(156)이 끼워진 상태로 타구부(140)의 관통홈(141)에 삽입되고, 이후 타구부(140)의 솔레이트(S)를 통해 너트(158)가 회전축(154)과 결합되어 스프링(156)을 압축하는 구조이다. 이때, 바늘(152)은 중력 및 스프링(15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타구부(140)의 제 1 단차부(142) 바닥면에 밀착되고, 너트(158)는 제 4 단차부(148)의 상부 저면과 이격된 상태이다.
여기서, 회전축(154)의 말단과 결합되어 스프링(156)을 압축 탄성지지하는 너트(158)를 조여주면 바늘(152)과 제 1 단차부(142)의 바닥면과의 밀착 정도를 높힐 수 있게 된다.
이후, 본 고안에 따른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의 작용 상태를 설명하면, 도 5 및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100)는 최초 타구부(140)의 제 1 단차부(142) 바닥에 상기 바늘(152) 접촉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후, 그린의 기울기 및 거리를 파악한 후 타구 방향을 정밀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방향지시수단(150)의 바늘(152)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 타구할 방향으로 향하도록 한 후 바늘을 놓아 제 1 단차부(142)에 바늘(152)이 접촉되도록 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한다.
이후, 퍼팅 자세를 취한 후 바늘(152)이 지시한 방향으로 골프공을 타구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는 보다 확실하게 타구 방향을 유지할 수 있어 처음 목표한 방향으로 골프공을 정확하게 타격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본 고안의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변경 및 다양한 변형실시예가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골프 퍼터는 골퍼가 시각적으로 골프공이 진행할 방향을 확인함으로써, 골퍼가 의도한 퍼팅라인을 따라 골프공이 정확한 방향/위치로 굴러가게 되어 용이하게 홀 컵에 넣을 수 있게 된다.

Claims (3)

  1. 골프공을 타격하기 위한 클럽헤드(130)와, 클럽헤드(130)의 일측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샤프트(120)와, 샤프트(120)의 말단에 골퍼가 샤프트(120)를 파지하기 위한 그립(110)을 포함하는 퍼터(100)에 있어서,
    상기 클럽헤드(130)는 중심에 수직으로 관통되는 관통홈(141)이 형성된 타구부(140)와,
    상기 관통홈(141)에 결합되어 타구방향을 지시하는 방향지시수단(150)을 포함하되,
    상기 방향지시수단(150)은:
    상기 관통홈(141)에 결합되어 타구할 방향을 나타내는 바늘(152)과;
    일단이 상기 바늘(152)의 저면 일 부분과 결합되며, 타단에 외주면을 따라 나사산이 형성된 회전축(154)과;
    상기 회전축(154)상에 결합되는 스프링(156); 및
    상기 회전축(154)의 타단에 결합되어 스프링(156)을 가압하는 너트(1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100).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홈(141)은:
    상기 방향지시수단(150)의 바늘(152)이 좌우로 회동될 수 있도록 형성된 제 1 단차부(142)와;
    상기 바늘(152)을 파지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제 2 단차부(144)와;
    상기 방향지시수단(150)의 회전축(154) 및 스프링(156)이 삽입되는 제 3 단차부(146)와;
    상기 회전축(154)과 결합되는 너트(158)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 4 단차부(14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100).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152)은 발광기능을 갖는 발광체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100).
KR2020070012123U 2007-07-23 2007-07-23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 KR2004424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123U KR200442499Y1 (ko) 2007-07-23 2007-07-23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2123U KR200442499Y1 (ko) 2007-07-23 2007-07-23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2499Y1 true KR200442499Y1 (ko) 2008-11-13

Family

ID=416476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2123U KR200442499Y1 (ko) 2007-07-23 2007-07-23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2499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153B1 (ko) * 2015-08-28 2017-03-06 김영관 타격의 정확도를 향상시킨 퍼터헤드
KR101992994B1 (ko) * 2017-12-29 2019-06-26 주식회사 아화골프 퍼터
US11980794B1 (en) 2023-11-21 2024-05-14 David Sheridan Englefield Aiming key, putter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accuracy of aimi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7153B1 (ko) * 2015-08-28 2017-03-06 김영관 타격의 정확도를 향상시킨 퍼터헤드
KR101992994B1 (ko) * 2017-12-29 2019-06-26 주식회사 아화골프 퍼터
US11980794B1 (en) 2023-11-21 2024-05-14 David Sheridan Englefield Aiming key, putter and method for enhancing the accuracy of aiming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18304B2 (en) Putter head
US3519271A (en) Shaft and club head attaching means
US8192305B2 (en) Golf club head for putter, and golf putter
KR200442499Y1 (ko) 방향지시수단이 구비된 골프 퍼터
KR200393842Y1 (ko) 골프 퍼터
KR20150009037A (ko) 골프 퍼터
US6692372B1 (en) Putter head
US20100062870A1 (en) Golf club alignment markings
US20090176593A1 (en) Golf putter
US8257192B2 (en) Combination putter and chipper golf club
KR102469088B1 (ko) 퍼터 및 치퍼 겸용 골프 클럽
KR200445545Y1 (ko) 골프 퍼터
US20070066419A1 (en) Wood-type golf club
US20070293335A1 (en) Practice attachment for golf putter
US20040166958A1 (en) Flat shaft golf clubs and putters
US20170021238A1 (en) Golf Putter Shaft and Head Alignment System
KR20220089760A (ko) 라이각 조절이 가능한 퍼터
US20020072430A1 (en) Practice putter and head
KR101027652B1 (ko) 연습용 골프클럽
KR20090083839A (ko) 골프클럽용 퍼터
KR20070019916A (ko) 골프용 퍼터
KR101833751B1 (ko) 반발력이 향상된 골프클럽 헤드
KR200370462Y1 (ko) 할로우 헤드를 구비하는 퍼팅용 골프 클럽
KR200403038Y1 (ko) 골프 퍼터
KR200264463Y1 (ko) 골프 퍼팅용 보조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