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302B1 - 절토사면 녹화시공구조 및 절토사면 녹화방법 - Google Patents

절토사면 녹화시공구조 및 절토사면 녹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8302B1
KR101848302B1 KR1020170061185A KR20170061185A KR101848302B1 KR 101848302 B1 KR101848302 B1 KR 101848302B1 KR 1020170061185 A KR1020170061185 A KR 1020170061185A KR 20170061185 A KR20170061185 A KR 20170061185A KR 101848302 B1 KR101848302 B1 KR 1018483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slope
loess
cut
s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현
Original Assignee
박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현 filed Critical 박서현
Priority to KR1020170061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83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83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83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 E02D17/202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with flexible sec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4/00Growth substrates; Culture media;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3Seed or shoot recepta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Botan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ultivation Of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토사면을 효과적으로 녹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절토사면 녹화시공구조 및 절토사면 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녹화시공구조는, 절토사면(A)에 고정된 섬유망(B)과, 식물종자(1)의 생장에 도움이 되는 성분으로 구성된 토양합성물(2)과 식물종자(1)를 혼합하여 상기 절토사면(A)에 뿌려 적층된 식생층(C)과, 식생층(C)의 상면에 적층된 황토층(D)과, 녹색으로 착색된 다수개의 생분해성코드(50)를 상기 황토층(D)의 상면에 부착고정하여 구성된 코드층(E)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식생층(C)이 황토층(D)과 코드층(E)에 의해 가려지게 됨으로, 미관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절토사면 녹화시공구조 및 절토사면 녹화방법{revegetation construction structure for cut-slope and the method of thereof}
본 발명은 절토사면을 효과적으로 녹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절토사면 녹화시공구조 및 절토사면 녹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 또는 개발현장에서는 다양한 이류로 흙벽을 경사지게 깍아낸 절토사면이 발생된다.
그런데, 이러한 절토사면의 경우, 방지할 경우, 산사태 또는 토사유실이 발생될 수 이음으로, 이러한 절토사면이 발생되면, 절토사면에 다양한 식물종자와 영양성분을 뿌려 절토사면에서 식물이 자생되도록 하는 녹화작업을 실시함으로써, 식물에 의해 절토사면이 보강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절토사면의 경우, 식물종자가 잘 부착되기 어려울 뿐 아니라, 토질이 식물이 자라기에 적합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등록특허 10-1452938호를 비롯한 다수의 선행문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식물종자의 생장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유기질 성분이 포함된 토양합성물에 식물종자를 혼합하여 절토사면에 뿌림으로써, 식물종자가 절토사면에 원활히 부착되어 생장되도록 하는 다양한 방법이 개발되었다.
한편, 이러한 절토사면의 녹화방법에 따르면, 식물종자와 토양합성물을 혼합하여 절토사면에 부착시킴으로, 식물종자가 발아되어 자랄 때까지는 절토사면에 뿌려진 토양합성물이 외부로 노출된다.
그런데, 이러한 토양합성물은 대부분 퇴비와 같은 어두운 색을 띄게 됨으로, 미관상 좋지 않은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이와 같은 방법으로 식물종자를 토양합성물과 함께 절토사면에 뿌릴 경우, 식물종자가 토양합성물의 표면으로 노출되어, 새들의 먹이가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절토사면을 효과적으로 녹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절토사면 녹화시공구조 및 절토사면 녹화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절토사면(A)에 고정된 섬유망(B)과, 식물종자(1)의 생장에 도움이 되는 성분으로 구성된 토양합성물(2)과 식물종자(1)를 혼합하여 상기 절토사면(A)에 적층하여 구성된 식생층(C)과, 상기 식생층(C)의 상면에 적층된 황토층(D)과, 녹색으로 착색된 다수개의 생분해성코드(50)를 상기 황토층(D)의 상면에 부착고정하여 구성된 코드층(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사면 녹화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생분해성코드(50)는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녹색으로 착색된 볏짚을 일정한 길이로 잘라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사면 녹화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황토층(D)의 상면에는 일정량의 식물성접착체(40)가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사면 녹화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코드층(E)은 식물성접착제(40)를 이용하여 상기 생분해성코드(50)를 황토층(D)의 상면에 부착시켜 구성되며, 상기 식물성접착제(40)에는 캡사이신성분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사면 녹화시공구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절토사면(A)에 섬유망(B)을 고정하는 단계와, 식물종자(1)의 생장에 도움이 되는 성분으로 구성된 토양합성물(2)과 식물종자(1)를 혼합하여 상기 절토사면(A)에 뿌려 식생층(C)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식생층(C)의 상면에 황토를 뿌리려 황토층(D)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식생층(C)의 상면에 황토를 뿌리려 황토층(D)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황토층(D)의 상면에 식물성접착제(40)를 도포하는 단계와, 식물성접착제(40)를 이용하여 녹색으로 착색된 다수개의 생분해성코드(50)를 상기 황토층(D)의 상면에 부착고정하여 코드층(E)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사면 녹화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녹화시공구조는, 절토사면(A)에 고정된 섬유망(B)과, 식물종자(1)의 생장에 도움이 되는 성분으로 구성된 토양합성물(2)과 식물종자(1)를 혼합하여 상기 절토사면(A)에 적층하여 구성된 식생층(C)과, 식생층(C)의 상면에 적층된 황토층(D)과, 녹색으로 착색된 다수개의 생분해성코드(50)를 상기 황토층(D)의 상면에 부착고정하여 구성된 코드층(E)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식생층(C)이 황토층(D)과 코드층(E)에 의해 가려지게 됨으로, 미관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사면 녹화시공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토사면 녹화방법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토사면 녹화시공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절토사면(A)에 고정된 섬유망(B)과, 상기 절토사면(A)에 적층된 식생층(C)과, 상기 식생층(C)의 상면에 적층된 황토층(D)과, 상기 황토층(D)의 상면에 적층된 코드층(E)으로 구성된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섬유망(B)은 식물성 섬유질로 제작된 로프를 그물망 형태로 엮어서 제작되며, 도시 안된 앵커볼트에 의해 상기 절토사면(A)에 고정된다.
상기 식생층(C)은 식물종자(1)의 생장에 도움이 되는 성분으로 구성된 토양합성물(2)과 식물종자(1)를 혼합하여 상기 절토사면(A)에 적층하여 구성된다.
상기 토양합성물(2)은 밀가루와 퇴비, 황토, 액비, 목초액발효볏짚, 토양보습제인 테라코템 등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구성된 것으로, 식물종자(1)에 수분과 영양분을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토양합성물(2)은 적절한 점도와 유동성을 갖는 겔형태로 구성되어, 토양합성물(2)과 식물종자(1)를 혼합한 후 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절토사면(A)에 적절한 두께로 뿌리면, 상기 절토사면(A)에 고정된 섬유망(B)에 부착됨으로써, 절토사면(A)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식생층(C)은 상기 절토사면(A)에 1~15cm 두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혼합된 토양합성물(2)과 식물종자(1)를 절토사면(A)에 분사하는데 사용되는 공급장치는 다양한 것이 개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음으로, 이에 대한 더 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황토층(D)은 절토사면(A)에 고정된 토양합성물(2)의 상면에 건조한 황토가루를 뿌려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식생층(C)의 상면을 덮어 가림으로써 식생층(C)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이때, 상기 황토층(D)은 상기 식생층(C)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만 얇게 도포된다.
그리고, 상기 황토층(D)의 상면에는 일정한 양의 식물성접착제(40)가 도포되어 황토층(D)의 황토가 바람이나 비에 의해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황토층(D)은 건조한 황토가루를 토양합성물(2)의 상부에 뿌려서 형성됨으로, 바람이 불거나 비가 내릴 경우, 쉽게 쓸려 내려가서 유실된다.
그런데, 이와 같이, 황토층(D)의 상면에 식물성접착제(40)가 도포되어 건조되면, 황토층(D) 상면의 황토입자가 상호 견고하게 부착고정됨으로, 바람이나 비에 의해 쉽게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식물성접착제(40)는 쌀가루나 밀가루 등과 같이, 녹말이 포함된 가루를 물과 혼합하여 가열하여 만들어진 풀을 물에 섞어서, 분사용 스프레이장치로 분사할 수 있을 정도의 점도로 묽게 만든 것을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식물성접착제(40)에는 매운 향과 맛을 내는 캡사이신성분이 일정비율로 혼합된다.
상기 코드층(E)은 식물성접착제(40)를 이용하여 녹색으로 착색된 다수개의 생분해성코드(50)를 황토층(D)의 상면에 부착시켜 구성된다.
상기 생분해성코드(50)는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녹색으로 착색된 볏짚을 일정한 길이로 잘라낸 것을 이용한다.
따라서, 상기 생분해성코드(50)를 상기 황토층(D)에 적절히 분산되도록 뿌린 후, 상기 생분해성코드(50)의 상면에 전술한 식물성접착제(40)를 분사함으로서, 상기 생분해성코드(50)가 황토층(D)의 상면에 부착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생분해성코드(50)를 황토층(D)에 부착할 때 사용되는 식물성접착제(40)는 상기 황토층(D)의 상면에 도포되는 식물성접착제(40)와 동일하게 캡사이신이 포함된다.
따라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토사면(A)에 섬유망(B)을 고정하고,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토양합성물(2)과 식물종자(1)를 혼합하여 상기 절토사면(A)에 뿌려 식생층(C)을 형성한 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생층(C)의 상면에 황토를 뿌리려 황토층(D)을 형성하고, 상기 황토층(D)의 상면에 적정량의 식물성접착제(40)를 도포한 후,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식물성접착제(40)를 이용하여 녹색으로 착색된 다수개의 생분해성코드(50)를 상기 황토층(D)의 상면에 부착고정하여 코드층(E)을 형성함으로써, 녹화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녹화시공구조는, 절토사면(A)에 고정된 섬유망(B)과, 식물종자(1)의 생장에 도움이 되는 성분으로 구성된 토양합성물(2)과 식물종자(1)를 혼합하여 상기 절토사면(A)에 뿌려 적층된 식생층(C)과, 식생층(C)의 상면에 적층된 황토층(D)과, 녹색으로 착색된 다수개의 생분해성코드(50)를 상기 황토층(D)의 상면에 부착고정하여 구성된 코드층(E)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식생층(C)이 황토층(D)과 코드층(E)에 의해 가려지게 됨으로, 미관이 개선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생분해성코드(50)는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녹색으로 착색된 볏짚을 일정한 길이로 잘라내어 구성됨으로, 상기 황토층(D)의 상면에 코드층(E)을 형성하면, 생분해성코드가 서로 엉키면서 짧은 잡초나 잔디 등과 비슷하게 보이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식생층(C)에 혼합된 식물종자(1)가 자라기 전에, 상기 생분해성코드(50)에 의해 식물이 자라있는 것과 같은 시각적인 효과를 줌으로써, 시각적인 효과가 향상될 뿐 아니라, 생분해성코드(50)가 시간이 지나면 자연적으로 부패하여 소멸됨으로,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황토층(D)의 상면에는 일정량의 식물성접착체(40)가 도포되고, 상기 코드층(E)은 식물성접착제(40)를 이용하여 상기 생분해성코드(50)를 황토층(D)의 상면에 부착시켜 구성되며, 상기 식물성접착제(40)에는 캡사이신성분이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황토층(D)과 코드층(E)이 매운 맛을 갖게 됨으로, 새들이 상기 황토층(D)과 코드층(E)을 뚫고 식생층(C)에 포함된 식물종자(1)를 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절도사면 B. 섬유망
C. 식생층 D. 황토층
E. 코드층

Claims (5)

  1. 절토사면(A)에 식물성 섬유질의 로프를 그물망 형태로 엮어 앵커볼트에 의해 고정되는 섬유망(B)과,
    식물종자(1)의 생장에 도움이 되는 성분인 밀가루와 퇴비, 황토, 액비, 목초액발효볏짚, 토양보습제인 테라코템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일정한 점도와 유동성을 갖도록 겔형태로 구성되는 토양합성물(2)과 식물종자(1)를 혼합하여 상기 절토사면(A)에 뿌려지게 하여 상기 섬유망(B)의 상부로 적층되는 식생층(C)과,
    건조한 황토가루를 뿌려 상기 식생층(C)의 상면에 식생층(C)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만 도포되도록 적층시킨 황토층(D)과,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녹색으로 착색된 볏짚을 일정한 길이로 잘라낸 다수개의 생분해성코드(50)를 상기 황토층(D)의 상면에 분산시켜 뿌린 후 부착고정되도록 하여 짧은 잡초나 잔디와 같이 보여지도록 하는 코드층(E),
    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황토층(D)의 상면에서 황토가 바람이나 비에 의해 쉽게 유실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쌀가루나 밀가루 등의 녹말이 포함된 가루를 물과 혼합하여 가열해서 만들어지는 풀을 물에 섞은 식물성접착제(40)를 분사용 스프레이장치로 분사되도록 하고, 식물성접착제(40)의 상부에서 상기 생분해성코드(50)가 부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사면 녹화시공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드층(E)의 상기 식물성접착제(40)에는 캡사이신성분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사면 녹화시공구조.
  5. 절토사면(A)에 식물성 섬유질의 로프를 그물망 형태로 엮어 앵커볼트에 의해 섬유망(B)을 고정하는 단계와,
    식물종자(1)의 생장에 도움이 되는 성분인 밀가루와 퇴비, 황토, 액비, 목초액발효볏짚, 토양보습제인 테라코템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하여 일정한 점도와 유동성을 갖도록 겔형태로 구성되는 토양합성물(2)과 식물종자(1)를 혼합하여 상기 절토사면(A)에 뿌려 식생층(C)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식생층(C)의 상면에 건조한 황토가루를 상기 식생층(C)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도포되도록 하여 황토층(D)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황토층(D)의 상면에 쌀가루나 밀가루 등의 녹말이 포함된 가루를 물과 혼합하여 가열해서 만들어지는 풀을 물에 섞은 식물성접착제(40)를 도포하는 단계와,
    천연염료를 이용하여 녹색으로 착색된 볏짚을 일정한 길이로 잘라낸 복수개의 생분해성코드(50)를 상기 황토층(D)의 상면에 도포한 상기 식물성접착제(40)에 분산시켜 뿌려서 부착고정되도록 하여 짧은 잡초나 잔디와 같이 보여지도록 코드층(E)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토사면 녹화방법.
KR1020170061185A 2017-05-17 2017-05-17 절토사면 녹화시공구조 및 절토사면 녹화방법 KR1018483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185A KR101848302B1 (ko) 2017-05-17 2017-05-17 절토사면 녹화시공구조 및 절토사면 녹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185A KR101848302B1 (ko) 2017-05-17 2017-05-17 절토사면 녹화시공구조 및 절토사면 녹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8302B1 true KR101848302B1 (ko) 2018-04-13

Family

ID=61974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185A KR101848302B1 (ko) 2017-05-17 2017-05-17 절토사면 녹화시공구조 및 절토사면 녹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83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039A (ko) * 2018-12-12 2020-06-22 최봉순 법면 녹화시공구조
WO2021237218A1 (en) * 2020-05-22 2021-11-25 Proterra Ag, Inc. Gel-based horticultural substrate
KR20220051492A (ko) 2020-10-19 2022-04-26 한태웅 절개지사면 안정녹화구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292B1 (ko) * 1999-12-31 2001-12-24 문상곤 칼라볏짚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83514B1 (ko) * 2013-03-22 2013-07-15 이철우 보강재와 유기식생기반재를 이용한 생태복원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18292B1 (ko) * 1999-12-31 2001-12-24 문상곤 칼라볏짚 장식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283514B1 (ko) * 2013-03-22 2013-07-15 이철우 보강재와 유기식생기반재를 이용한 생태복원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72039A (ko) * 2018-12-12 2020-06-22 최봉순 법면 녹화시공구조
KR102161532B1 (ko) * 2018-12-12 2020-10-05 (주)영재조경 법면 녹화시공구조
WO2021237218A1 (en) * 2020-05-22 2021-11-25 Proterra Ag, Inc. Gel-based horticultural substrate
KR20220051492A (ko) 2020-10-19 2022-04-26 한태웅 절개지사면 안정녹화구조
KR102456962B1 (ko) * 2020-10-19 2022-10-21 주식회사 청조 절개지사면 안정녹화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960036B (zh) 一种华重楼的林下野生抚育方法
KR101848302B1 (ko) 절토사면 녹화시공구조 및 절토사면 녹화방법
CN102498900A (zh) 一种钩藤种子高效育苗的方法
KR101505563B1 (ko) 우수한 토양 결합력을 가진 친환경 습식 녹화 공법용 녹생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녹화 공법
CN109706944A (zh) 用于高陡岩石边坡的苔藓复绿方法
CN106465639A (zh) 一种天麻的种植方法
CN105340507A (zh) 一种佛甲草屋顶绿化种植方法及屋顶绿化种植结构
CN2907236Y (zh) 缓释型无土草坪
CN104429476B (zh) 北疆边坡防护草本植物播种方法
HU226599B1 (en) Vegetation element for greening artificial or natural surfaces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2009155964A (ja) 斜面の緑化方法
MX2012009347A (es) Elemento de vegetacion para enverdecer superficies artificiales o naturales que tienen plantas bajas y/o altas y metodo para producir el elemento de vegetacion.
CN105900777B (zh) 一种苗木合格率高的福建柏育苗方法
JP2987568B2 (ja) 乾燥地または沙漠地における緑化方法
CN108901725A (zh) 重楼种植方法及其病虫害防治方法
KR101203934B1 (ko) 사면 녹화재 조성물 및 그 시공방법
US20140130408A1 (en) Coir fiber and coir pith seed mat
CN101692779A (zh) 无土纤维草毯
CN105648999B (zh) 秸秆毯及其制造方法与应用
JP2008092917A (ja) マルチング工法及びマルチング構造
CN104303975B (zh) 乌天麻无土立体种植方法
CN204948899U (zh) 一种佛甲草屋顶绿化种植结构
CN106879424A (zh) 一种江南地区环保型反季节名优茶种植方法
CN1371595A (zh) 佛甲草屋顶绿化苗块及其一次成坪方法
DE102020114294A1 (de) Saatpake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