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146B1 - 온수요 - Google Patents
온수요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8146B1 KR101848146B1 KR1020160075260A KR20160075260A KR101848146B1 KR 101848146 B1 KR101848146 B1 KR 101848146B1 KR 1020160075260 A KR1020160075260 A KR 1020160075260A KR 20160075260 A KR20160075260 A KR 20160075260A KR 101848146 B1 KR101848146 B1 KR 1018481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water
- layer
- water hose
- fabric
- b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14—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with foamed material inlay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2220/00—Components of central heating installations excluding heat sources
- F24D2220/20—Heat consumers
- F24D2220/2081—Floor or wall heating panels
Landscapes
- Surface Heating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쉽게 접을 수 있고 간단한 구성을 가지는 온수요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온수요는, 상면이 외측에 노출되는 외측원단(12)과, 상기 외측원단(12)의 하부에 형성되는 스폰지층(14), 상기 스폰지층(14)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측원단(16)으로 구성되는 상부층(10)과; 저면이 외측에 노출되는 외측원단(22), 상기 외측원단(22)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폰지층(24), 상기 스폰지층(24)의 상부에 형성되는 내측원단(26)으로 구성되는 하부층(20)을 구비한다. 그리고상부층(10)의 내측원단(16)과 하부층(20)의 내측원단(26) 사이에는 온수 호스(30)가 배치된다. 이러한 상부층(10)과 하부층(20)은 각각 다수이고 교대로 형성되는 제1봉재선(40)과 제2봉재선(50)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1봉재선(40)과 제2봉재선(50) 사이에 온수 호스(30)가 지그재그 배열된다. 그리고 제1봉재선 및 제2봉재선의 일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온수 호스(30)가 벤딩되어 지지되며, 제1봉재선 및 제2봉재선의 타단부는 상부 또는 하부로 더 연장 성형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온수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순환하는 온수를 이용하여 충분한 난방을 제공할 수 있음과 동시에 편리하게 접을 수 있고 경량이어서 보관 및 이동, 그리고 관리가 편리한 온수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요'라고 함은 사람이 누울 때 방바닥에 까는 침구의 한 가지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요는 우리나라의 온돌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침구라고 할 수 있으며, 최근에는 온수를 순환시킴으로써 온돌과 유사한 난방을 수행하는 온수매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시판 중인 대부분의 온수매트는 온수 파이프를 내장시켜야 하고, 이렇게 내장된 온수 파이프가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내부에 견고한 구조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보면 중량이 무겁고 원하는 형태로 접는 것이 아주 불편한 단점이 제기되고 있다. 그 외에도 실질적으로 세탁도 쉽지 않은 사용 상의 단점도 불가피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온수 매트의 단점을 감안한 것으로, 경량이면서도 쉽게 접을 수 있어서, 보관 및 이동 등이 아주 편리한 온수요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장되는 온수 호스를 보다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온수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경량으로 구성될 수 있음과 같이 세탁도 쉽게 할 수 있는 온수요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층은, 상면이 외측에 노출되는 외측원단과, 상기 외측원단의 하부에 형성되는 스폰지층, 상기 스폰지층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측원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하부층은, 저면이 외측에 노출되는 외측원단, 상기 외측원단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폰지층, 상기 스폰지층의 상부에 형성되는 내측원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온수 호스는 상부층의 내측원단과 하부층의 내측원단 사이에 배치된다. 여기서 상부층과 하부층은 각각 다수이고 교대로 형성되는 제1봉재선과 제2봉재선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1봉재선과 제2봉재선 사이에 온수 호스가 지그재그 배열된다. 그리고 제1봉재선 및 제2봉재선의 일단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온수 호스가 벤딩되어 지지되며, 제1봉재선 및 제2봉재선의 타단부는 상부 또는 하부로 더 연장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봉재선 및 제2봉재선은, 그 사이에 삽입된 온수 호스에 대하여 근접한 근접부분과 이격된 이격부분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층과 하부층이 다수의 봉제선에 의하여 한번에 일체화되고 있으며, 그 사이에 온수 호스가 개재되도록 구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온수 호스는 봉재선에 의하여 정해진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간단한 봉재과정 및 봉재선을 통하여, 온수 호스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편리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부층과 하부층 자체가 부드러운 재질로 성형되기 때문에 원하는 형태로 접을 수 있는 등의 편리함이 있음도 당연히 이해될 것이다.
그리고 봉재선 자체도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기본적으로 그 사이에 배치되는 온수 호스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온수 호스는, 상부층과 하부층 사이에 삽입되는데, 상대적으로 마찰력이 작은 내측원단 사이에 개재되도록 함으로써, 온수 호스의 조립 작업이 더욱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온수요의 구성을 보인 평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온수요의 단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온수요의 단면 예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 예에 기초하면서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온수 매트는, 상부층(10)과 하부층(20) 사이에서 온수 호스(30)가 지그 재그 형태로 배열되도록 구성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부층(10)과 하부층(20)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유연하고 부드러운 재질로 성형되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경량이면서도 원하는 형태로 쉽게 접을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상부층(10)은, 요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원단(12)과, 이러한 외측원단(12)의 하부에 형성되는 스폰지층(14), 그리고 스폰지층(14)의 하부에 형성되는 내측원단(16)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하부층(20)도 상부층(10)과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데, 외측면을 형성하는 외측원단(22)과, 외측원단(22)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폰지층(24), 그리고 스폰지층(24)의 상부에 형성되는 내측원단(26)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각각의 외측원단(12,22)은 실질적으로 요의 외측면을 형성하는 원단으로, 상부층의 외측원단(12)은 요의 상면을 형성하고, 하부층(20)의 외측원단(22)은 요의 저면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각각의 스폰지층(14,24)은 쿠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만들어지는 층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스폰지층(14,24)의 내측(온수 호스 측)에서 접촉하는 상태로 제공되는 내측원단(16,26)은, 실질적으로 온수 호스(30)의 원활한 삽입 및 원래의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층이다.
이러한 내측원단(16,26)은, 마찰력이 아주 낮은 재질의 원단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예를 들어 내측원단(16,26)이 없다고 가정하면, 온수 호스(30)는 스폰지층(14,24) 사이로 삽입되어야 하는데, 스폰지는 마찰력이 너무 크기 때문에 온수 호스(30)가 원활하게 삽입되는 것이 아주 어렵다. 따라서 각각의 스폰지층(14,24)의 내측에 내측원단(16,26)을 제공함으로써, 온수 호스가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상부층(10)과 하부층(20) 사이에는 온수 호스(30)가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온수 매트(30)는 봉재선에 의하여 지지되도록 구성된다. 종래에는 온수 호스를 지지하기 위하여 온수 매트의 내부에 일정한 형상의 홈을 성형하는 등 복잡한 구성을 가지고 있었으며, 더욱이 전체적으로 유연하지 못한 단점이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층(10)과 하부층(20) 사이에 온수 호스(30)를 배치하고, 이러한 온수호스(30)의 위치 유지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봉재선에 의하여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스폰지층(14,24)을 포함하는 상부층(10)과 하부층(20) 자체는 유연하고 부드러운 특성을 그대로 살릴 수 있게 되어, 원하는 형태로 접을 수 있음은 물론이고 경량의 온수요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 호스(30)의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봉재선은, 제1봉재선(40)과 제2봉제선(5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제1봉재선(40)과 제2봉제선(50)은 서로 동일한 간격(도면 상 좌우 간격)을 가지고 있으나, 그 시점 및 종점이 상이한 위치를 가지고 있다.
제1봉재선(40) 및 제2봉제선(50)의 시점 및 종점의 위치를, 지그재그 배열되는 온수 호스(30)을 기준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봉재선(40,50)의 시점 및 종점은 실질적으로 퀼팅장치가 봉재를 시작하고 끝내는 점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 도 1을 기준으로 각 봉재선(40,50)의 상단과 하단을 의미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제1봉재선(40)의 상단(41)은 온수 호스(30)의 상부의 벤딩부분(32) 보다 상대적으로 위에 위치하고 있고(상대적으로 위에서부터 봉재가 시작되는 것을 의미함), 제1봉재선(40)의 하단(42)은 온수 호스(30)의 하부의 벤딩부분(34)의 지지부분이 된다. 즉, 제1봉재선(40)의 하단(42)은 온수 호스(30)의 하부의 벤딩부분(34)과 거의 일치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봉재선(50)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수로 성형되는 제1봉재선(40) 사이에서 만들어지는 것이고, 상단(51)(실제 봉재의 시작점)은 상부의 벤딩부분(32)과 일치하는 높이를 가지면서 상부 벤딩부분(32)의 지지점이 된다. 그리고 제2봉재선(50)의 하단(52)은 온수 호스(34)의 하부의 벤딩부분(34) 보다 상대적으로 하부까지 성형되고 있다.
이상과 같은 제1봉재선(40)과 제2봉재선(50)의 배열은 다음과 같이 정리될 수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온수 호스(30)의 시작부분(36)이 하부에서 상부로 시작하고 온수호스의 끝 부분(38)이 시작부분(36)과 동일한 위치를 가진다고 하면, 온수호스(30)의 상부의 벤딩부분(32)은 제2봉재선(50)의 상단(51)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벤딩된다. 그리고 온수 호스(30)의 하부의 벤딩부분(34)은, 제1봉재선(40)의 하단(42)에 의하여 지지되면서 벤딩된다.
그리고 제1봉재선(40)의 상단(41)은 제2봉재선(50)의 상단(51) 보다 상대적으로 더 상부까지 연장 성형되어 있고, 제2봉재선(50)의 하단(52)은 제1봉재선(40)의 하단(42) 보다 더 하방까지 연장 성형되어 있어서, 실질적으로 상부층(10)과 하부층(20)의 봉재를 더욱 견고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제1봉재선(40)과 제2봉재선(50)은, 서로 지그 재그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고도 할 수 있고, 모든 봉재선 중에서 내측단부[상부에 있어서는 밑에 있는 단부(51)를, 그리고 하부에 있어서는 위에 있는 단부(42)를 의미함]를 온수 호스(30)의 벤딩 시 지지점으로 이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봉재선(40,50)은 상부층(10)과 하부층(20)을 동시에 봉제하는 것이다. 종래의 전기 요에 있어서는 발열선은 매쉬형태의 원단이 부착된 하부층에 일단 고정시키고, 상부층도 별도의 봉제를 통하여 1차 가공된 후, 상부층과 하부층을 다시 봉제함으로 인하여 공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부층(10)과 하부층(20)을 같이 봉제함으로써, 퀼팅 처리 시 공정을 단순화시키도록 구성하고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시한 바와 같이, 상술한 봉재선(40,50)은 직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그재그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상술한 온수 호스(30)를 기준으로 할 때, 온수 호스(30)에 더 근접한 근접부분(46,56)과 온수 호스(30)에서 떨어진 이격부분(48,58)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형태의 봉재선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한 지점의 온수 호스(30)에 근접한 근접부분(46,56)은 인접한 온수 호스(30)에서는 이격부분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봉재선(40,50) 자체를, 온수 호스(30)에 대하여 근접부분과 이격부분이 연속하여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태로 처리함으로써, 온수 호스(30)의 지지에서도 유리함은 당연하고 시각적으로도 심미감을 창출할 수 있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근접부분은 온수 호스(30)에 더욱 근접한 상태이기 때문에 온수 호스(30)가 정해진 위치를 더욱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되고, 이격부분은 실질적으로 인접한 온수 호스에 대하여 근접부분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일자형의 봉재선에 비하여, 본 발명에서 적용하는 봉재선(30)은, 온수 호스(30)의 지지와 시각적 심미감의 측면에서 더욱 유리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 호스(30)는, 상부층(10)과 하부층(20)을 서로 연결하는 봉재선(40,50)의 형성이 완료된 후, 각 봉재선(40,50) 사이에 삽입되는 것에 의하여,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온수 호스(30)의 배치가 완료된다. 또한 도 1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부층(10)과 하부층(20) 사이에는 테두리 부분의 마감 봉제처리(웨빙)가 완료되면, 실질적으로 온수요의 제조 공정이 완료된다. 다른 실시 예로써 온수 호스(30)를 발연선으로 대체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경량이고 손쉽게 접을 수 있도록 온수요를 구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른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물론이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첨부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상부층
12, 22 ..... 외측원단
14, 24 ..... 스폰지층
16, 26 ..... 내측원단
20 ..... 하부층
30 ..... 온수 호스
40 ..... 제1봉제선
50 ..... 제2봉제선
12, 22 ..... 외측원단
14, 24 ..... 스폰지층
16, 26 ..... 내측원단
20 ..... 하부층
30 ..... 온수 호스
40 ..... 제1봉제선
50 ..... 제2봉제선
Claims (2)
- 상면이 외측에 노출되는 외측원단(12)과, 상기 외측원단(12)의 하부에 형성되는 스폰지층(14), 상기 스폰지층(14)의 하부에 형성되어 내측원단(16)으로 구성되는 상부층(10)과;
저면이 외측에 노출되는 외측원단(22), 상기 외측원단(22)의 상부에 형성되는 스폰지층(24), 상기 스폰지층(24)의 상부에 형성되는 내측원단(26)으로 구성되는 하부층(20); 그리고
상기 상부층(10)의 내측원단(16)과 하부층(20)의 내측원단(26) 사이에 배치되는 온수 호스(30)로 구성되고;
상기 상부층(10)과 하부층(20)은, 교대로 형성되는 다수의 제1봉재선(40)과 제2봉재선(50)에 의하여 결합되고, 상기 제1봉재선(40)과 제2봉재선(50) 사이에 온수 호스(30)가 지그재그 배열되며;
제1봉재선(40)의 상단(41)은 제2봉재선(50)의 상단(51)보다 상부로 더 연장되어 있고, 제2봉재선(50)의 하단(52)은 제1봉재선(40)의 하단(42)보다 하부로 더 연장되며;
제1봉제선의 하단 및 제2봉제선의 상단을 지지점으로 하여 온수 호스가 벤딩되며 지지되고;
상기 제1봉재선 및 제2봉재선은, 그 사이에 삽입된 온수 호스(30)에 대하여 근접한 근접부분과 이격된 이격부분이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지그재그 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측원단(16,26)은 그 사이에서 온수 호수의 원활한 삽입을 안내하기 위하여 개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요.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5260A KR101848146B1 (ko) | 2016-06-16 | 2016-06-16 | 온수요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75260A KR101848146B1 (ko) | 2016-06-16 | 2016-06-16 | 온수요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42044A KR20170142044A (ko) | 2017-12-27 |
KR101848146B1 true KR101848146B1 (ko) | 2018-04-11 |
Family
ID=60938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75260A KR101848146B1 (ko) | 2016-06-16 | 2016-06-16 | 온수요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8146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6901A (ko) * | 2019-01-10 | 2020-07-20 | 이홍석 | 워셔블 온수매트의 온수관 배치구조 및 그 배치방법 |
KR200497226Y1 (ko) * | 2022-09-19 | 2023-09-04 | 주식회사 네오코스텍 | Ir led를 이용한 근적외선 온열매트 |
-
2016
- 2016-06-16 KR KR1020160075260A patent/KR101848146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6901A (ko) * | 2019-01-10 | 2020-07-20 | 이홍석 | 워셔블 온수매트의 온수관 배치구조 및 그 배치방법 |
KR102185550B1 (ko) * | 2019-01-10 | 2020-12-02 | 이홍석 | 워셔블 온수매트의 온수관 배치구조 및 그 배치방법 |
KR200497226Y1 (ko) * | 2022-09-19 | 2023-09-04 | 주식회사 네오코스텍 | Ir led를 이용한 근적외선 온열매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42044A (ko) | 2017-12-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4546B1 (ko) | 슈즈 어퍼 및 슈즈 어퍼의 제조방법 | |
JP6488201B2 (ja) | シートカバー及び車両用シート | |
JP4857277B2 (ja) | 内部チャンバを備える自動展張テント | |
US7325262B2 (en) | Bedding hem with associated interlining | |
KR101848146B1 (ko) | 온수요 | |
JP2008520358A (ja) | 対角線状の弾性帯を有する嵌め込み式カバー | |
US7232184B2 (en) | Seat sock | |
KR200477127Y1 (ko) | 발열선 고정이 용이한 전기매트 | |
JP5476296B2 (ja) | 寝具張り伸ばし機構 | |
US1031656A (en) | Mattress-guard. | |
US20130012082A1 (en) | Pull belt for an inflatable device | |
KR100946429B1 (ko) | 태슬을 갖는 섬유제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섬유제품 | |
US10542825B1 (en) | Multi-zone mattress | |
JP7017703B2 (ja) | エプロン | |
RU2537825C1 (ru) | Верхний прорезной карман с листочкой для декоративного платка с фиксатором положения | |
US10040380B2 (en) | Seat cover for vehicle seat | |
EP3351231B1 (en) | Sliding sheet | |
JP7179275B2 (ja) | 飲料容器用カバー | |
JP6879696B2 (ja) | 電熱マット | |
JPH072310Y2 (ja) | 荷固定用マット | |
JP2017118987A (ja) | カーテンのセット加工機、及び、カーテン | |
JP2017206778A (ja) | スカート、衣服、テープ材、及び、スカートの製造方法 | |
JP3127158U (ja) | 畳縁無し畳用の畳表 | |
JP6000870B2 (ja) | 乗り物用シート | |
TWI720281B (zh) | 織物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