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732B1 - 밸브 상태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밸브 상태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732B1
KR101847732B1 KR1020160122461A KR20160122461A KR101847732B1 KR 101847732 B1 KR101847732 B1 KR 101847732B1 KR 1020160122461 A KR1020160122461 A KR 1020160122461A KR 20160122461 A KR20160122461 A KR 20160122461A KR 101847732 B1 KR101847732 B1 KR 1018477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support member
main body
discharge hole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2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3013A (ko
Inventor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서울특별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특별시 filed Critical 서울특별시
Priority to KR1020160122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732B1/ko
Publication of KR20180033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3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08Mechanical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00Gate valves or sliding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ing members having a sliding movement along the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16K3/30Details
    • F16K3/314Forms or constructions of slides; Attachment of the slide to the spind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7/00Special means in or on valves or other cut-off apparatus for indicating or recording operation thereof, or for enabling an alarm to be given
    • F16K37/0058Optical means, e.g. light transmission, observation 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Indication Of The Valve Opening Or Closing St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밸브 상태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밸브의 상태를 확인 가능한 밸브 상태 확인장치는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밸브에 형성된 설치공에 결합되고 타측에 유체가 토출 가능한 배출홀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의 디스크의 접촉에 따라 상기 밸브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가 상기 배출홀을 통해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개폐부재,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내측으로부터 상기 디스크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밸브 상태 확인장치{STATUS CHECK APPARATUS OF VALVE}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밸브 상태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밸브의 디스크와 밸브의 본체 사이의 밀착 상태 및 디스크의 개폐 상태를 작업자가 외부에서 확인 가능한 밸브 상태 확인장치에 관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밸브는 배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차폐시킨다. 구체적으로, 밸브는 배관의 내부를 개방시켜 배관을 통과하는 유체가 흐름을 유지하거나, 배관을 폐쇄시켜 배관을 통과하는 유체가 밸브 후단의 배관을 통과하는 것을 차단시킬 수 있다.
하지만, 밸브 내부의 디스크가 승강하며 유체의 흐름을 정상적으로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지를 밸브의 외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크의 작동 또는 개폐의 이상 여부를 밸브의 외부에 위치한 작업자가 밸브를 분해하지 않고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히, 밸브가 맨홀 내부에 설치된 경우, 작업자가 밸브 내부에 위치하는 디스크의 작동여부를 확인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밸브가 맨홀 내부에 설치된 경우, 작업자는 배관을 통과하는 유체를 채취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즉, 작업자는 배관을 통과하는 유체의 상태 또는 배관의 부식 정도에 따른 유체의 오염 정도의 판별을 위해 필요한 유체의 채취시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작업자가 밸브의 디스크와 밸브의 본체의 하부 사이의 밀착 상태를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밸브 상태 확인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의 상태를 확인 가능한 밸브 상태 확인장치는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밸브에 형성된 설치공에 결합되고 타측에 유체가 토출 가능한 배출홀이 형성된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의 디스크의 접촉에 따라 상기 밸브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가 상기 배출홀을 통해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개폐부재,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내측으로부터 상기 디스크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디스크가 하강 시, 상기 디스크가 상기 밸브의 본체와 접촉하는 최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밸브 상태 확인장치는 상기 밸브의 조작부에 의해 상기 디스크가 상기 밸브의 본체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우 상기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를 통해 상기 디스크가 상승 상태임을 확인하고, 상기 밸브의 조작부에 의해 상기 디스크가 상기 밸브의 본체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하강하는 경우 상기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의 중지를 통해 상기 디스크가 하강하여 상기 밸브의 본체와 밀착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는 외주면이 상기 설치공과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개폐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1 지지부재와, 상기 제1 지지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배출홀이 형성된 일영역이 상기 밸브 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재 내부를 상승 시 상기 걸림턱의 내주면과 대향하는 접촉영역과, 상기 접촉영역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의해 상기 디스크와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걸림영역, 그리고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돌출 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내주면에 배치된 지지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촉영역은 중심을 향해 함몰 형성되어 상기 밸브의 본체 내부의 유체가 상기 배출홀을 통해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밸브 상태 확인장치는 상기 접촉영역의 외주면에 설치된 제1 수밀부재와, 상기 걸림턱과 이웃하는 제1 지지부재의 일면과 대향 하도록 상기 걸림영역에 설치된 제2 수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밸브 상태 확인장치는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배출홀을 커버 가능한 커버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밸브 상태 확인장치는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3 수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밸브 상태 확인장치는 밸브의 디스크와 밸브의 본체의 하부 사이의 밀착 상태 및 밸브의 조작부에 의한 디스크의 승강시 디스크의 이동 상태를 밸브의 외부에 위치하는 작업자가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에 설치된 밸브 상태 확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밸브 상태 확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일부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개폐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개폐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연결부재가 설치된 밸브 상태 확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채취배관이 설치된 밸브 상태 확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11은 디스크의 승강에 따른 밸브 상태 확인장치의 동작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101)에 설치되어 밸브(101)의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밸브(101)는 본체(200)와 디스크(100) 그리고 조작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200)는 유체가 통과하는 배관(10) 상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본체(200)의 일측은 본체(200) 전방의 배관(10) 일단과 연결되고, 본체(200)의 타측은 본체(200)의 후방의 배관(10) 일단과 연결된다. 따라서, 본체(200) 전방의 배관(10)을 통과한 유체는 본체(200)을 통과 후 본체(200) 후방의 배관(10)으로 흘러간다.
디스크(100)는 본체(200)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디스크(100)는 배관(10)을 통과하는 유체의 흐름을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일예로, 디스크(100)는 본체(200)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는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300)는 디스크(100)의 이동을 조작한다. 사용자는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디스크(100)가 승강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본체(200) 내부에는 디스크(100)와 디스크(100)를 승강 시키는 이송부재(400)가 설치될 수 있다. 일예로, 이송부재(400)는 디스크(100)를 승강 시키는 회전샤프트 일 수 있다. 즉, 이송부재(400)는 디스크(100)와 조작부(300)를 연결한다.
즉, 디스크(100)가 본체(200) 내주면과 접촉되면, 본체(200) 전방의 배관(10)을 통과한 유체는 본체(200) 전방의 배관(10)과 디스크(100) 사이에 저유된다. 이때, 본체(200) 후방의 배관(10)으로 공급되는 유체가 차단된다.
또는, 디스크(100)가 본체(200) 내주면과 이격되며 이송부재(400)에 의해 본체(200) 내부와 배관(10)이 연통되도록 개방되면, 본체(200) 전방의 배관(10)을 통과한 유체는 본체(200)을 통과한 후 본체(200) 후방의 배관(10)을 통해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재(550)와 개폐부재(510) 그리고 탄성부재(54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550)는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550)의 일측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공(210)에 결합되고, 지지부재(550)의 타측에는 유체가 토출 가능한 배출홀(531)이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 설치공(210)은, 앞서 서술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설치공(210)은 디스크(100)의 일면과 대향하는 본체(200)의 최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5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중공부(522)가 형성된 중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550)는 설치공(210)에 삽입되어 본체(20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550)의 일측 보다 상대적으로 본체(200) 보다 멀게 위치하는 지지부재(550)의 타측에는 배출홀(531)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531)은 배관(10)을 통과하는 유체가 본체(200) 외부로 토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일예로, 지지부재(550)의 외주면과 설치공(210)의 내주면 사이는 설치가 용이한 나선 결합될 수 있다.
개폐부재(510)는 지지부재(55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개폐부재(510)는 지지부재(550)의 중공부(522)에 배치될 수 있다. 즉, 개폐부재(510)는 디스크(100)와의 접촉에 따라 중공부(522)의 일영역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본체(200)과 배출홀(531)이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탄성부재(540)는 지지부재(55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540)는 개폐부재(510)에 탄성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탄성부재(540)는 개폐부재(510)가 지지부재(550)로부터 상승하는 디스크(100)와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여 개폐부재(510)가 디스크(100)와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 상승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개폐부재(510)가 배출홀(531)과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하강은 디스크(100)와의 접촉에 의해 이뤄지고, 개폐부재(510)가 지지부재(550)로부터 일부 돌출되어 디스크(100)와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승은 탄성부재(540)가 팽창하며 이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는, 앞서 서술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 하부에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태 확인부(500)는 디스크(100)의 일면과 대향하는 본체(200) 하부에 설치된다. 또한,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는 디스크(100)와 본체(200)의 하부 사이의 밀폐 상태 또는 디스크(100)의 개폐 상태를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를 통해 디스크(100)와 본체(200) 하부 사이의 밀착 상태 또는 디스크(100)의 개폐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상태 확인장치(500)를 통해 밸브(101)의 외부에서 현재 디스크(100)와 본체(200)의 하부 사이의 밀착 상태가 효과적으로 이뤄져 있는지 또는 현재 디스크(100)와 본체(200)의 하부 사이의 밀착 상태에 문제가 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의 지지부재(550), 앞서 서술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의 조작부(300)의 조작에 의해 디스크(100)가 하강 시 디스크(100)가 본체(200)와 접촉하는 본체(200)의 최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지지부재(550)가 설치되는 설치공(210)이 디스크(100)가 하상 시 본체(200)와 접촉하는 본체(200)의 최저면에 형성될 수 있다.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가 본체(200)의 최저면에 설치되어 있어, 디스크(100)와 본체(200) 사이의 밀착 상태를 효과적으로 작업자에게 안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크(100)와 본체(200)가 이격된 상태를 본체(200)의 최저면에 설치된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에 의해 작업자가 효과적으로 밀착 상태를 효과적으로 인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는, 디스크(100)가 본체(200)의 하부와 이격되고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부재(510)가 본체(200) 내부로 이동되며 개폐부재(510)와 디스크(100)가 접촉이 유지되는 경우, 유체는 배출홀(531)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때, 개폐부재(510)는 지지부재(550)의 중공부(552)를 개방시켜, 본체(200)를 통과하는 유체가 배출홀(531)을 통해 유체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또는, 디스크(100)가 본체(200)의 하부를 폐쇄시키는 위치로 이동하였으나 디스크(100)에 문제가 생겨 디스크(100)와 개폐부재(510)가 접촉되었으나 디스크(100)와 본체(200)의 하부와 디스크(100)가 이격된 경우, 배출홀(531)을 통해 유체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디스크(100)가 본체(200)의 하부를 폐쇄시키는 위치로 이동한 경우에도, 배출홀(53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물을 통해 디스크(100)가 중공부(522)의 유로를 완전히 밀폐시켰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는 배출홀(531)을 통해 토출되는 물로부터 디스크(100)가 완전히 본체(200)의 하부와 밀착하였는지 또는 디스크(100)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의 배출홀(531)로부터 토출되는 물로부터 디스크(100)가 본체(200)의 하부와 완전히 밀착된 상태인지 밸브(101)의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체(200) 후방의 배관(10)의 유지보수를 인한 작업시, 디스크(100)가 본체(200)의 하부를 완전히 폐쇄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작업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 또는 유체의 누수 등의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는 조작부(300)에 의해 디스크(100)가 본체(200)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우, 디스크(100)가 본체(200)와 이격된 후 개폐부재(510)가 지지부재(550)로부터 상승되며 디스크(100)가 개폐부재(510)와 접촉을 해지할 때까지 배출홀을 통해 유체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작업자가 조작부(300)를 작동시켜 디스크(100)가 본체(200)의 최저면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승되는 경우, 작업자는 배출홀(531)을 통해 토출되는 물을 통해 현재 디스크(100)의 상승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유체는 배출홀(531)을 통해 디스크(100)가 본체(200)와 이격된 후부터 개폐부재(510)가 지지부재(550)로부터 상승되어 디스크(100)가 개폐부재(510)와 접촉이 해제될 때까지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본체(200) 내부의 개방상태를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의 배출홀(531)을 통해 토출되는 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또는,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는 조작부(300)에 의해 디스크(100)가 본체(200)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하강하는 경우, 디스크(100)가 개폐부재(510)와 접촉된 후 개폐부재(510)가 지지부재(550)로 하강되며 디스크(100)가 지지부재와 접촉될 때까지 배출홀(531)을 통해 유체가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작업자가 조작부(300)를 작동시켜 디스크(100)가 본체(200)의 최저면과 가까워 지는 방향으로 하강하는 경우, 작업자는 배출홀(531)을 통해 토출되는 물을 통해 현재 디스크(100)의 하강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유체는 배출홀(531)을 통해 디스크(100)가 개폐부재(510)와 접촉된 후부터 개폐부재(510)가 지지부재(550)로 하강되며 디스크(100)가 지지부재와 접촉될 때까지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본체(200) 내부의 폐쇄상태를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의 배출홀(531)을 통해 토출되는 물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의 지지부재(5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재(520)와 제2 지지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지부재(520)는 외주면이 설치공(210)의 내주면과 나선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지지부재(520)의 일단은 개폐부재(510)를 향해 돌출 형성된 걸림턱(521)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지지부재(520)의 일단은 개폐부재(510)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530)는 제1 지지부재(520)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제2 지지부재(530)는 제1 지지부재(520)의 타단과 나선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지지부재(530)의 일영역은 디스크(10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이의 일영역에 배출홀(531)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배출홀(531)은 지지부재(550)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550)가 제1 지지부재(520)와 제2 지지부재(530)를 포함하고 있어, 탄성부재(540)와 개폐부재(510)를 효과적으로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101)의 개폐부재(51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영역(511)과 걸림영역(512) 그리고 지지영역(513)을 포함할 수 있다.
접촉영역(511)은,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개폐부재(510)가 지지부재(550)로부터 상승 시, 걸림턱(521)의 내주면과 대향할 수 있다. 또한, 접촉영역(511)은 탄성부재(540)의 탄성력에 의해 상승 시, 본체(200)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즉, 접촉영역(511)의 외주면은 걸림턱(521)의 내주면과 마주보며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접촉영역(511)은 일면이 디스크(100)와 접촉가능하고, 일면과 이웃하는 외주면이 걸림턱(521)의 내주면과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걸림영역(512)은 접촉영역(511)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걸림영역(512)은 걸림턱(521)에 의해 개폐부재(510)가 디스크(100)와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걸림영역(512)은 걸림턱(521) 보다 하부에 배치되며, 걸림영역(512)의 일면이 걸림턱(521)과 이웃한 일면과 접촉하는 경우, 탄성부재(540)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에 의해 개폐부재(510)가 상승하는 방향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즉, 탄성부재(540)가 제공하는 탄성력에 의해 지지부재(550)로부터 이탈하여 접촉영역(511)이 본체(200) 내부로 삽입되는 길이를 걸림영역(512)이 제한할 수 있다.
지지영역(513)은 걸림영역(512)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영역(513)은 제2 지지부재(530)의 일영역의 돌출방향을 따라 걸림영역(512)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영역(513)의 직경은 걸림영역(512)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영역(513)의 외주면에는 탄성부재(540)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540)는 제2 지지부재(530)와 걸림영역(512) 사이에서 개폐부재(510)의 승강에 따라 신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확인 장치(101)의 개폐부재(51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안내유로(5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내유로(515)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영역(511)에 개폐부재(510)의 중심을 향해 서로 이격된 일영역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안내유로(515)는 본체(200) 내부의 유체가 배출홀(531)로 배출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즉, 본체(200) 내부의 유체는 중공부(522)와 접촉영역(511)에 형성된 안내유로(515) 사이를 통해 배출홀(531)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안내유로(515)는 본체(200) 내부의 유체가 배출홀(531)로 효과적으로 토출 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수밀부재(570)와 제2 수밀부재(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밀부재(570)는 접촉영역(511)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수밀부재(570)는 디스크(100) 보다 걸림영역(512)에 인접한 접촉영역(511)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개폐부재(510)가 상승하여, 제1 수밀부재(570)의 외주면과 걸림턱(521)의 내주면과 마주하면, 본체(200) 내부와 배출홀(531)의 연통이 차단될 수 있다.
제2 수밀부재(580)는 걸림영역(512)에 설치된다. 또한, 제2 수밀부재(580)는 걸림턱(521)과 이웃하는 제1 지지부재(520)의 일면과 대향 되도록 걸림영역(512)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수밀부재(580)는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접촉영역(511) 보다 상대적으로 돌출 형성된 걸림영역(512)의 일면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수밀부재(580)는 개폐부재(510)의 상승 시, 걸림턱(521)과 걸림영역(512) 사이의 수밀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수밀부재(580)는 개폐부재(510)의 상승 시, 걸림턱(521)과 이웃하는 일면과 마주하는 걸림영역(512)의 일면이 사이의 충돌로 인해 발생되는 소음 및 이로 인한 개폐부재(510)의 파손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확인 장치(5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버부재(5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560)는 배출홀(531)을 커버 할 수 있다. 또한, 커버부재(560)는 지지부재(550)와 나선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커버부재(560)의 내주면은 제2 지지부재(530)의 돌출된 일영역의 외주면과 탈착 가능하게 나선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홀(531)은 커버부재(56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걸림돌기(535)와 커버 걸림돌기(565) 그리고 지지 걸림돌기(535)와 커버 걸림돌기(565)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8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 걸림돌기(535)는 제2 지지부재(530)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 걸림돌기(565)는 커버부재(560)에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585)는 일측이 지지 걸림돌기(535)와 결합되고 타측이 커버 걸림돌기(565)와 결합되어, 제2 지지부재(530)로부터 탈거된 커버부재(560)가 제2 지지부재(530)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585)는 제2 지지부재(530)로부터 탈거된 커버부재(560)의 분실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확인 장치(5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수밀부재(5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수밀부재(590)는 커버부재(560)와 지지부재(5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수밀부재(590)는 커버부재(560)에 설치되어 배출홀(531)을 통해 토출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3 수밀부재(590)는 제2 지지부재(530)의 돌출된 일영역과 이웃하는 일면과 대향하는 커버부재(560)의 일면에 설치되어, 제2 지지부재(530)와 커버부재(560) 사이의 수밀이 효과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3 수밀부재(590)는 커버부재(560)에 의해 배출홀(531)이 폐쇄된 경우, 배출홀(531)을 통과한 물이 밸브(101)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의 고장 또는 수명저하로 밸브(101) 내의 유체가 배출홀(531)로 계속 토출되는 경우 수리를 위해 임시로 지수(止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는 본체(200)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유체를 채취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배출홀(531)을 통해 본체(200)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가 토출되는 경우, 이를 채취하여 본체(200)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본체(200)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성분 검사를 위해, 배출홀(53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를 효과적으로 채취할 수 있다. 따라서, 본체(200)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의 성분 검사를 위해 별도의 샘플링 장치 없이, 배출홀(53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를 효과적으로 채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는 채취배관(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채취배관(600)은 배출홀(53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채취배관(600)은 일측이 배출홀(531)에 결합되고 타측이 디스크(100)의 개방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채취배관(600)을 통과한 유체는 채취배관(60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채취배관(600)의 길이에 따라 작업자는 효과적으로 본체(200)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를 채취할 수 있다. 일예로, 배출홀(531)이 제2 지지부재(530)의 돌출된 일영역의 외주면에 형성되고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가 맨홀 내부에 설치된 경우, 채취배관(600)의 일측은 배출홀(531)과 결합되고 채취배관(600)의 타측은 맨홀의 개구부를 향하도록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절곡된 채취배관(600)에 의해 배출홀(531)으로부터 토출된 물이 맨홀 내부 벽체와 충돌로 인해 이물질 등이 채취코자 하는 유체에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즉, 채취배관(600)의 타측이 맨홀의 개구부를 향해 절곡 형성되어 있어, 채취배관(600)의 타측을 통과해 채취배관(600)의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는 중력에 의해 채취배관(600)의 타측 길이방향을 따라 흐를 수 있어, 채취배관(60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 유체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다시말해, 채취배관(600)의 타측을 통과해 채취배관(600)의 외부로 토출된 유체는 채취배관(600)의 타측 길이방향을 따라 하부로 흘러 넘쳐 채취코자 하는 유체가 맨홀 내부 벽체와 충돌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의 동작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0)는 본체(200)의 하부와 이격 배치되며 개폐부재(510)와도 접촉이 해제된 상태이다. 이때 본체(200) 내부의 유체(점선으로 표시)는 본체(200) 내부를 통과한다.
이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걸림영역(512)의 일면에 설치된 제2 수밀부재(580)와 걸림턱(521)의 일면과 이웃하는 일면이 접촉되고, 제1 지지부재(520)의 걸림턱(521)의 내주면과 제1 수밀부재(570)의 외주면이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본체(200)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는 제1 지지부재(520)의 중공부(522)를 통해 배출홀(531)로 토출될 수 없다. 또한, 개폐부재(510)가 상승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은 탄성부재(540)가 팽창되어 제공되는 탄성력 때문이다.
작업자는, 앞서 서술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부재(400)가 디스크(100)를 본체(200)의 하부와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조작부(300)를 작동한다. 즉, 디스크(100)는 본체(200)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가 차단되도록 이동된다.
이때, 디스크(10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200) 내부에 삽입된 개폐부재(510)의 접촉영역(511)의 일면과 접촉된다. 즉, 디스크(100)가 계속 하강하여 걸림영역(512)이 걸림턱(521)과 이웃하는 일면과 이격되기 전까지 본체(200) 내부와 배출홀(531)은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계속 디스크(100)를 하강 시키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0)와 개폐부재(510)의 접촉영역(511)의 일면과 접촉하고 탄성부재(540)가 가압되며 수축된다. 구체적으로, 제1 수밀부재(570)의 외주면과 걸림턱(521)의 내주면 사이의 접촉이 해제되고 제2 수밀부재(580)와 걸림턱(521)과 이웃하는 일면의 접촉이 해제되면, 걸림턱(521)의 내주면과 개폐부재(510)의 접촉영역(511)의 외주면이 서로 이격된다. 그리고 개폐부재(510)가 디스크(100)의 이동방향에 따라 하강되면, 탄성부재(540)는 압축될 수 있다.
이때, 본체(200)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는 제1 지지부재(520)의 중공부(522)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중공부(522)를 통과한 유체는 제2 지지부재(530)의 배출홀(53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배출홀(531)을 통해 토출되는 물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디스크(100)가 본체(200)의 하부에 거의 근접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가 계속 디스크(100)를 하강 시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0)는 제1 지지부재(520)의 중공부(522) 전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때, 본체(200)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는 제1 지지부재(520)의 중공부(522)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또한, 배출홀(53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은 점점 줄어들어 토출이 중지된다.
즉, 작업자는 배출홀(53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가 중지된 경우, 디스크(100)가 본체(200)의 하부와 밀착되어 본체(200) 내부의 유체의 흐름이 차단된 상태임을 알 수 있다.
만약, 작업자가 계속 디스크(100)를 하강 시켰음에도, 배출홀(531)을 통해 외부로 유체가 토출된다면, 작업자는 밸브(101)의 이상이 있음을 판단하여 유지보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커버부재(560)와 제2 지지부재(530)를 체결하여 배출홀(531)이 폐쇄되도록 하여 배출홀(531)로 토출되는 유체가 지수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디스크(100)를 본체(200)의 하부로부터 이격 시켜 본체(200)의 전방에 배치된 배관(10)과 본체(200)의 후방에 배치된 배관(10)이 연통되도록 하는 경우, 상술한 디스크(100)의 이송방향과 반대로 이송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가 조작부(300)를 조작하여 본체(200)의 하부로부터 디스크(100)가 멀어지는 방향으로 디스크(100)를 상승시키는 경우, 디스크(100)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탄성부재(540)의 팽창력에 의해 개폐부재(510)는 승강된다. 이때, 접촉영역(511)은 디스크(100)와 접촉을 유지하며 접촉영역(511)의 외주면과 중공부(522) 사이가 개방되어 배출홀(531)을 통해 외부로 본체(200)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가 토출된다.
이러한 배출홀(531)을 통한 유체의 토출은 걸림영역(512)이 걸림턱(521)에 걸려 지지부재(550)가 디스크(100)의 상승방향을 따라 이동되는 것이 제한될 때까지 계속된다. 이후, 걸림턱(521)과 걸림영역(512)의 접촉에 의해 본체(200)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는 제1 지지부재(520)의 중공부(522)로 유입되는 것이 차단된다. 따라서, 배출홀(53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은 점점 줄어들어 토출이 중지된다.
즉, 작업자는 배출홀(53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가 중지된 경우, 디스크(100)가 본체(200)의 하부와 이격되고 디스크(100)가 조작부(300)에 의해 상승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하, 도 1, 도 8 그리고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를 이용해 유체를 채취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크(100)는 제1 지지부재(520)의 중공부(522) 전체를 밀폐시켜 배출홀(53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의 유량은 점점 줄어들어 토출이 중지된 경우, 작업자는 디스크(100)를 상승되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디스크(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의 하부와 이격된다. 그리고, 제1 지지부재(520)의 중공부(522)와 배출홀(531)은 연통된다. 따라서, 본체(200) 내부의 유체가 배출홀(53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작업자는 배출홀(531)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를 채취하여 본체(200) 내부 및 배관(10)을 통과하는 유체의 성분검사에 활용할 수 있다.
유체의 채취가 완료된 경우, 작업자는 조작부(300)를 작동하여 디스크(100)를 상승시켜 접촉영역(511)과 디스크(100)를 이격시키면 중공부(522)와 접촉영역(511) 외주면 사이가 제1 수밀부재(570)와 제2 수밀부재(580)에 의해 폐쇄되어 배출홀(531)로 유체의 토출이 중지된다. 일예로, 배관(10)을 통과하는 유체가 상수도인경우, 작업자는 별도의 채취장치를 설치하지 않아도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로부터 배관(10)을 통과하는 물을 채취하여 이의 수질 검사에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는 디스크(100)와 본체(200) 하부 사이의 밀착 상태를 밸브(101)의 외부에서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작업자는 밸브 상태 확인장치(500)의 배출홀(531)을 통해 토출되는 유체로부터 디스크(100)와 본체(200)의 하부 사이의 밀착 상태를 효과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배관 100: 디스크
101: 밸브 200: 본체
210: 설치공 500: 밸브 상태 확인장치
510: 개폐부재 511: 접촉영역
512: 걸림영역 513: 지지영역
515: 안내유로 520: 제1 지지부재
521: 걸림턱 530: 제2 지지부재
531: 배출홀 540: 탄성부재
550: 지지부재 560: 커버부재
570: 제1 수밀부재 580: 제2 수밀부재
590: 제3 수밀부재 600: 채취배관

Claims (9)

  1. 밸브의 상태를 확인 가능한 밸브 상태 확인장치에 있어서,
    내부가 중공형으로 형성되며, 일측이 상기 밸브에 형성된 설치공에 결합되고 타측에 유체가 토출 가능한 배출홀이 형성된 지지부재;
    상기 지지부재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밸브의 디스크의 접촉에 따라 상기 밸브 내부를 통과하는 유체가 상기 배출홀을 통해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하는 개폐부재; 및
    상기 지지부재 내측에 배치되며, 상기 개폐부재가 상기 지지부재 내측으로부터 상기 디스크가 상승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밸브 상태 확인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디스크가 하강 시, 상기 디스크가 상기 밸브의 본체와 접촉하는 최저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상태 확인장치.
  3. 제1항에서,
    상기 밸브의 조작부에 의해 상기 디스크가 상기 밸브의 본체를 개방시키는 방향으로 상승하는 경우, 상기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를 통해 상기 디스크가 상승 상태임을 확인하고,
    상기 밸브의 조작부에 의해 상기 디스크가 상기 밸브의 본체를 폐쇄시키는 방향으로 하강하는 경우, 상기 배출홀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는 유체의 중지를 통해 상기 디스크가 하강하여 상기 밸브의 본체와 밀착된 상태임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브 상태 확인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지지부재는,
    외주면이 상기 설치공과 결합되며, 일단이 상기 개폐부재를 향해 돌출 형성된 걸림턱을 포함하는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지지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배출홀이 형성된 일영역이 상기 밸브 부재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지지부재
    를 포함하는 밸브 상태 확인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제1 지지부재 내부에서 상승 시 상기 걸림턱의 내주면과 대향하는 접촉영역;
    상기 접촉영역 보다 큰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어 상기 걸림턱에 의해 상기 디스크와 인접해 지는 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는 걸림영역; 및
    상기 제2 지지부재의 돌출 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영역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며, 상기 탄성부재의 내주면에 배치된 지지영역
    을 포함하는 밸브 상태 확인장치.
  6. 제5항에서,
    상기 접촉영역은,
    중심을 향해 함몰 형성되어 상기 밸브의 본체 내부의 유체가 상기 배출홀을 통해 토출되도록 안내하는 안내유로를 포함하는 밸브 상태 확인장치.
  7. 제5항에서,
    상기 접촉영역의 외주면에 설치된 제1 수밀부재; 및
    상기 걸림턱과 이웃하는 제1 지지부재의 일면과 대향 하도록 상기 걸림영역에 설치된 제2 수밀부재
    를 더 포함하는 밸브 상태 확인장치.
  8. 제1항에서,
    상기 지지부재와 결합되며 상기 배출홀을 커버 가능한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밸브 상태 확인장치.
  9. 제8항에서,
    상기 지지부재와 상기 커버부재 사이에 배치된 제3 수밀부재를 더 포함하는 밸브 상태 확인장치.
KR1020160122461A 2016-09-23 2016-09-23 밸브 상태 확인장치 KR101847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461A KR101847732B1 (ko) 2016-09-23 2016-09-23 밸브 상태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2461A KR101847732B1 (ko) 2016-09-23 2016-09-23 밸브 상태 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013A KR20180033013A (ko) 2018-04-02
KR101847732B1 true KR101847732B1 (ko) 2018-05-28

Family

ID=619762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2461A KR101847732B1 (ko) 2016-09-23 2016-09-23 밸브 상태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7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540B1 (ko) 2009-02-27 2009-06-15 주식회사 삼진정밀 제수밸브
KR200445557Y1 (ko) 2009-04-09 2009-08-14 주식회사 서일탑스코 유로 폐쇄 알림수단을 갖는 제수밸브
US20160040796A1 (en) 2013-03-15 2016-02-11 Emer, S.p.A. Integrated safety device for self-propulsion gas system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540B1 (ko) 2009-02-27 2009-06-15 주식회사 삼진정밀 제수밸브
KR200445557Y1 (ko) 2009-04-09 2009-08-14 주식회사 서일탑스코 유로 폐쇄 알림수단을 갖는 제수밸브
US20160040796A1 (en) 2013-03-15 2016-02-11 Emer, S.p.A. Integrated safety device for self-propulsion gas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3013A (ko) 2018-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97890B1 (en) Device for sealing pipelines
JP5908760B2 (ja) 空気弁
JP3796243B2 (ja) 液体貯蔵タンク通気管用の通気弁構造
KR101847732B1 (ko) 밸브 상태 확인장치
JP2016159252A (ja) ボールねじの洗浄乾燥装置及びボールねじの洗浄乾燥方法
KR101578022B1 (ko)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소화전 조립체
RU2550717C2 (ru) Клапанная система с уплотнительным элементом
JP3953480B2 (ja) 仕切り用弁装置
CN219492739U (zh) 一种先导式溢流阀
JP4558621B2 (ja) 孔あけ工具
KR101056147B1 (ko) 송수관의 부압 방지장치
KR101246328B1 (ko) Cdq의 장입구 워터 자켓의 이물질 유입 방지장치
KR101621769B1 (ko) 누수차단장치
KR100990026B1 (ko) 석유화학 반응기용 역류방지밸브
KR102408075B1 (ko)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가스류 공급설비에 적용되는 커플러
EP4040023A1 (en) High-pressure fluid discharge device
KR102109529B1 (ko) 유체 공급 기구
KR20170085407A (ko) 역방향 유체 공급 기능을 갖는 체크밸브
KR101832222B1 (ko) 크레인
KR100944149B1 (ko) 밸브 어셈블리 및 밸브 어셈블리 작동방법
KR101822138B1 (ko) 역방향 유체 공급 기능을 갖는 체크밸브
JP4206486B2 (ja) 止水栓
JP4421865B2 (ja) 加工物の着座確認装置
JP7449149B2 (ja) 流路切替弁、アタッチメント及び消火栓
JP7215799B2 (ja) 検査用継手部材及び検査用継手部材を用いた配管の漏れ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