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639B1 - 폐유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폐유 분리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7639B1 KR101847639B1 KR1020170069567A KR20170069567A KR101847639B1 KR 101847639 B1 KR101847639 B1 KR 101847639B1 KR 1020170069567 A KR1020170069567 A KR 1020170069567A KR 20170069567 A KR20170069567 A KR 20170069567A KR 101847639 B1 KR101847639 B1 KR 10184763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water
- waste oil
- main body
- was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유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장치의 마모방지 및 냉각을 위해 사용되었던 폐유에 포함된 물과 오일을 효율적으로 분리시켜 배출하기 위한 폐유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기계장치의 마모방지 및 냉각을 위해 사용되었던 폐유에 포함된 물과 오일을 효율적으로 분리시켜 배출하기 위한 폐유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유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폐유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수용되어 부상하는 오일을 이송시키는 오일 이송부; 상기 오일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폐유를 포집하는 오일 포집부; 상기 오일 포집부에 포집된 오일을 스크레이핑 하여 배출하는 스크레이퍼부; 상기 스크레이퍼부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을 수집하여 배출시키는 오일 배출부; 및 상기 본체 내에 수용된 폐유로부터 분리된 물을 배출시키는 물 배출부;를 포함하는 폐유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기계장치의 마모방지 및 냉각을 위해 사용되었던 폐유에 포함된 물과 오일을 효율적으로 분리시켜 배출하기 위한 폐유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폐유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폐유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수용되어 부상하는 오일을 이송시키는 오일 이송부; 상기 오일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폐유를 포집하는 오일 포집부; 상기 오일 포집부에 포집된 오일을 스크레이핑 하여 배출하는 스크레이퍼부; 상기 스크레이퍼부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을 수집하여 배출시키는 오일 배출부; 및 상기 본체 내에 수용된 폐유로부터 분리된 물을 배출시키는 물 배출부;를 포함하는 폐유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폐유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계장치의 마모방지 및 냉각을 위해 사용되었던 폐유에 포함된 물과 오일을 효율적으로 분리시켜 배출하기 위한 폐유 분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계장치의 마모방지용 또는 냉각용으로 물과 오일을 적정비율로 혼합시킨 에멀젼 오일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기계장치의 마모방지용 또는 냉각용으로 에멀젼 오일이 사용된 후 바로 하수관으로 흘러가 폐유에 의해 환경오염을 발생시키는 주범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폐유로부터 물과 오일을 분리하기 위한 폐유 분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폐유 분리장치의 한 형태로서 회전식 이송벨트를 활용한 분리제거장치를 들 수 있다. 이는 본체 내의 이송밸트에 오일을 유착시킨 후 이송밸트를 스크레이퍼를 이용하여 이송밸트로부터 오일을 분리한 후 배출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폐유 분리장치는 오일을 유착시키는 이송밸트만을 이용하여 폐유로부터 물과 오일을 분리시키므로 오일의 분리 및 회수율이 낮아 현장 적용에 어려움이 있으므로 현장에 설치만 되어있을 뿐 실질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은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유출된 폐유로부터 물과 오일을 효율적으로 분리시켜 오일의 회수율을 높여줄 수 있는 폐유 분리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에 의한 목적은, 폐유로부터 물과 오일을 효율적으로 분리함은 물론 오일의 회수율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한 폐유 분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은 폐유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폐유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수용되어 부상하는 오일을 이송시키는 오일 이송부; 상기 오일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폐유를 포집하는 오일 포집부; 상기 오일 포집부에 포집된 오일을 스크레이핑 하여 배출하는 스크레이퍼부; 상기 스크레이퍼부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을 수집하여 배출시키는 오일 배출부; 및 상기 본체 내에 수용된 폐유로부터 분리된 물을 배출시키는 물 배출부;를 포함하는 폐유 분리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오일 이송부는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 드럼과, 상기 구동 드럼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되는 이송밸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밸트의 외측에는 이송밸트의 회전방향으로 물살을 일으켜 부상하는 오일이 오일 포집부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해주는 복수 개의 가이드 날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일 포집부는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외측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돌출 설치되어 오일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오일을 포집하는 포집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에는 수용된 물의 높낮이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 설치되고, 상기 물 배출부에는 수위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배출되는 물의 유로를 차단 및 개방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 벽면에는 물과 오일의 이동경로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물과 오일의 이동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가로 격벽이 설치되며, 상기 가로 격벽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세로 격벽이 지그재그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에는 오일이 상향으로 원활하게 부상하도록 에어를 분사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는 에어분사기가 복수 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폐유로부터 물과 오일을 효율적으로 분리시켜 신속하고 원활하게 오일을 회수할 수 있어서 오일의 회수율을 높여줌은 물론 기존에 물과 오일이 섞인 상태로 하수관으로 흘러가 환경오염이 발생하였던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유 분리장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도 1을 평면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을 오일 포집부 방향으로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을 평면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3은 도 1을 오일 포집부 방향으로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를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유 분리장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도 1을 평면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을 오일 포집부 방향으로 측면에서 바라본 것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기계장치의 마모방지 및 냉각을 위해 사용되었던 폐유에 포함된 물과 오일을 효율적으로 분리시켜 배출하기 위한 폐유 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폐유 분리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 오일 이송부(20), 오일 포집부(30), 스크레이퍼부(40), 오일 배출부(50) 및 물 배출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10)는 폐유 유입관(11)을 통해 유입되는 폐유를 수용하도록 내부공간을 갖는다.
또한, 본체(10)의 내측 상부 벽면에는 물과 오일의 이동경로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물과 오일의 이동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가로 격벽(12a)(12b)(12c)이 설치된다.
이때, 가로 격벽(12a)과 가로 격벽(12b)의 사이에는 폐유로부터 분리된 물이 빠져나가 후술 되는 물 배출부(60)로 이동될 수 있도록 개구부(12d)가 형성된다.
또한, 가로 격벽(12b) 및 가로 격벽(12c)에는 각각 물 배출부(60)로 물과 함께 이동하는 오일이 부상하여 빠져나가는 구멍(12d)이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가로 격벽(12b)은 본체(10) 내에 수용되어 부상하는 오일이 후술 되는 오일 이송부(20)에 의해 오일 포집부(30) 방향으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며, 가로 격벽(12c)은 이송되는 오일이 후술 되는 오일 포집부(30)에 의해 원활하게 포집할 수 있도록 반원형의 형태로 굴곡지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로 격벽(12b)(12c)의 하부에는 개구부(12d)를 통해서 이동하는 물에 포함된 오일을 재차 분리시켜 걸러낼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세로 격벽(13a)(13b)(13c)이 지그재그로 설치된다.
즉, 세로 격벽 (13a)(13b)(13c)이 지그재그로 설치되는 이유는 물에서 오일을 분리하기 위함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 이송부(20)에 의해 오일 포집부(30)로 이송되지 못하고 개구부(12d)를 통해서 물과 함께 물 배출부(60)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물과 함께 이동하는 오일은 그 입자들이 완전히 뭉쳐지지 않고 물에 포함된 채로 서로 나누어져 있다가 세로 격판(13a)에 부딪히면서 나누어져 있는 일정량의 오일 입자들이 뭉쳐져 후술 되는 에어분사기(80)에 의해 부상하여 1차적으로 가로 격벽(12b)에 복수 개 형성된 구멍(12d)을 통해 빠져나가 오일 이송부(20)로 이동되고, 미처 부상하지 못한 오일 입자들은 세로 격판(13a)를 넘어간 다음 나머지 세로 격판(13b)(13c)들을 지그재그로 지나가면서 흩어진 오일 입자들이 완전히 뭉쳐져 물과 분리되어 물의 상단에 부상되고, 물의 상단에 부상되는 오일 입자들은 재차 가로 격판(12c)에 복수 개 형성된 구멍(12d)을 통해 빠져나가 오일 포집부(30)로 이동된다.
오일 이송부(20)는 전술한 폐유 유입관(11)과 근접한 위치에서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본체(10) 내에 수용되어 부상하는 오일을 오일 포집부(30) 방향으로 이송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오일 이송부(20)는 모터(M1)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 드럼(21) 및 이 구동 드럼(21)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되는 이송밸트(22)가 포함되어 구성된다.
여기서 이송밸트(22)의 외측에는 이송밸트(22)와 함께 회전되면서 물살을 일으켜 부상하는 오일이 오일 포집부(30)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 날개(23)가 복수 개 형성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 날개(23)는 강도가 높고 가벼운 스테인레스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가이드 날개(23)의 외측에는 폐유를 더욱 수월하게 이송시킬 수 있도록 폐유가 유착되는 부직포가 씌워질 수도 있다.
즉, 오일 이송부(20)는 폐유 유입부(11)를 통해 본체(10) 내에 수용되어 부상하는 오일을 후술 되는 오일 포집부(30)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이송시켜주어 오일 포집부(30)에서 효율적으로 오일을 포집할 수 있도록 하므로 오일의 회수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오일 포집부(30)는 후술 되는 오일 배출부(50)에 근접한 위치에서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어 전술한 오일 이송부(20)를 통해서 이송되는 오일을 포집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오일 포집부(30)는 모터(M2)와 연결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롤러(31)가 구비된다.
또한, 구동롤러(31)의 외측 둘레에는 오일 이송부(20)를 통해 이송되는 오일을 포집하는 포집날개(32)가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설치된다.
이때, 포집날개(32)는 오일이 용이하게 흡수 및 흡착되어 포집될 수 있도록 소정의 강성을 갖는 부직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오일 포집부(30)는 모터(M2)의 구동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오일 이송부(20)를 통해서 이송되는 오일을 신속하게 포집하여 수거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스크레이퍼부(40)는 전술한 오일 포집부(30)와 후술 되는 오일 배출부(50)의 사이에 경사지게 구비되어 오일 포집부(30)에 포집된 오일을 스크레이핑(scraping) 하여 오일 배출부(50)의 오일 수용함(51)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스크레이퍼부(40)는 전체적으로 구동롤러(31)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사각판의 형상을 갖는다.
또한, 스크레이퍼부(40)의 일단은 포집날개(32)를 스크레이핑(scraping) 하도록 회전되는 포집날개(32)의 내측 하단에 밀착되도록 구비되고, 타단은 오일 수용함(51)에 일정깊이 삽입된 상태로 구비된다.
즉, 스크레이퍼부(40)는 오일이 흡수 및 흡착된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포집날개(32)를 스크레이핑 해주어 포집날개(32)에 흡수 및 흡착된 오일을 오일 수용함(51)으로 이송시켜 주도록 한 것이다.
오일 배출부(50)는 전술한 스크레이퍼부(40)를 통해 오일이 수용되는 오일 수용함(51)과, 이 오일 수용함(51)에 수용된 오일을 배출시키는 오일 배출관(52)을 포함한다.
이때, 오일 배출관(52)에는 배출되는 오일의 유동을 임의로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5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개폐밸브(53)는 수동식 또는 자동식으로 구비될 수 있음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일 배출부(50)에는 오일 배출관(52)에서 배출되는 오일을 재사용 하기 위해서 오일을 저장하는 오일저장함(54)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물 배출부(60)는 전술한 본체(10) 내에 수용된 폐수로부터 분리된 물을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물 배출부(60)는 본체(10) 내에 수용된 물을 배출시키는 물 배출관(61)이 구비된다.
이때, 물 배출관(61)에는 후술 되는 수위감지센서(70)로부터 감지된 감지신호를 수신받음에 따라 물의 유로를 폐쇄하거나 개방해주는 솔레노이드밸브(62)가 설치된다.
그리고 본체(10)에는 수용된 물의 높낮이를 감지하여 전술한 물 배출부(60)에 구비된 솔레노이드밸브(62)에 감지신호를 전송하여 솔레노이드밸브(62)의 개폐작동을 자동으로 제어하는 수위감지부(70)가 구비된다.
즉, 수위감지부(70)는 본체(10) 내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높은 것을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71)와, 본체(10) 내에 수용된 물의 수위가 낮은 것을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72)가 구비된다. 따라서 제1감지센서(71)가 물의 수위가 높은 것을 감지하면 하이(high) 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62)에 전송하여 유로를 개방하므로 물을 배출시키고, 제2감지센서(72)가 물의 수위가 낮은 것을 감지하면 로우(low) 신호를 솔레노이드밸브(62)에 전송하여 유로를 폐쇄하므로 물이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본체(10) 내에 수용된 물의 수위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본체(10)의 내측 바닥에는 수용된 폐유로부터 분리된 오일이 상향으로 원활하게 부상할 수 있도록 에어를 분사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는 에어분사기(80)가 복수 개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분사기(80)를 전술한 개구부(12d)의 하부에 위치하는 바닥에 설치되고, 전술한 세로 격벽(13a)과 세로 격벽(13b)의 사이에 설치된다.
따라서 개구부(12d)에 위치하는 바닥에 설치되는 에어분사기(80)는 에어를 분사시켜 기포를 발생하므로 개구부(12d)를 통하여 물과 함께 오일이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함과 동시에 오일 이송부(20)로 오일이 보다 원활하게 부상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해주고, 세로 격벽(13a)과 세로 격벽(13b)의 사이에 설치되는 에어분사기(80)는 미처 부상하지 못하고 물과 함께 이동하는 오일을 재차 부상시켜 오일의 이동을 차단하도록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폐유 분리장치(1)는 폐유로부터 물과 오일을 효율적으로 분리시켜 신속하고 원활하게 오일을 회수할 수 있어서 오일의 회수율을 높여줌은 물론 기존에 물과 오일이 섞인 상태로 하수관으로 흘러가 환경오염이 발생하였던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 폐유 분리장치의 기술적 사상은 실제로 동일결과를 반복 실시 가능한 것으로, 특히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으로써 기술발전을 촉진하여 산업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어 보호할 가치가 충분히 있다.
1 : 폐유 분리장치
10 : 본체
11 : 폐유 유입관
12a,12b,12c : 가로 격벽
13a,13b,13c : 세로 격벽
20 : 오일 이송부
21 : 구동 드럼
22 : 이송벨트
23 : 가이드 날개
30 : 오일 포집부
31 : 구동롤러
32 : 포집날개
40 : 스크레이퍼부
50 : 오일 배출부
51 : 오일 수용함
52 : 오일 배출관
53 : 개폐밸브
54 : 오일저장함
60 : 물 배출부
61 : 물 배출관
62 : 솔레노이드밸브
70 : 수위감지센서
80 : 에어분사기
10 : 본체
11 : 폐유 유입관
12a,12b,12c : 가로 격벽
13a,13b,13c : 세로 격벽
20 : 오일 이송부
21 : 구동 드럼
22 : 이송벨트
23 : 가이드 날개
30 : 오일 포집부
31 : 구동롤러
32 : 포집날개
40 : 스크레이퍼부
50 : 오일 배출부
51 : 오일 수용함
52 : 오일 배출관
53 : 개폐밸브
54 : 오일저장함
60 : 물 배출부
61 : 물 배출관
62 : 솔레노이드밸브
70 : 수위감지센서
80 : 에어분사기
Claims (7)
- 기계장치의 마모방지 및 냉각을 위해 사용되었던 폐유에 포함된 물과 오일을 효율적으로 분리시켜 배출하기 위한 폐유 분리장치에 있어서,
폐유 유입관을 통해 유입되는 폐유를 수용하는 본체;
상기 본체 내에 수용되어 부상하는 오일을 이송시키는 오일 이송부;
상기 오일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폐유를 포집하는 오일 포집부;
상기 오일 포집부에 포집된 오일을 스크레이핑 하여 배출하는 스크레이퍼부;
상기 스크레이퍼부를 통해 배출되는 오일을 수집하여 배출시키는 오일 배출부; 및
상기 본체 내에 수용된 폐유로부터 분리된 물을 배출시키는 물 배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일 이송부는,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한 쌍의 구동 드럼과,
상기 구동 드럼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되는 이송밸트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밸트의 외측에는 이송밸트의 회전방향으로 물살을 일으켜 부상하는 오일이 오일 포집부로 원활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가이드 해주는 복수 개의 가이드 날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분리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 포집부는,
모터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구동롤러와,
상기 구동롤러의 외측 둘레에 일정간격으로 복수 개 돌출 설치되어 오일 이송부를 통해 이송되는 오일을 포집하는 포집날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수용된 물의 높낮이를 감지하는 수위감지센서 설치되고,
상기 물 배출부에는 수위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배출되는 물의 유로를 차단 및 개방하는 솔레노이드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 상부 벽면에는 물과 오일의 이동경로를 분리시킴과 동시에 물과 오일의 이동경로를 확보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가로 격벽이 설치되며,
상기 가로 격벽의 하부에는 복수 개의 세로 격벽이 지그재그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분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 격벽에는 복수 개의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분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내측 바닥에는 오일이 상향으로 원활하게 부상하도록 에어를 분사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는 에어분사기가 복수 개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유 분리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9567A KR101847639B1 (ko) | 2017-06-05 | 2017-06-05 | 폐유 분리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69567A KR101847639B1 (ko) | 2017-06-05 | 2017-06-05 | 폐유 분리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7639B1 true KR101847639B1 (ko) | 2018-04-10 |
Family
ID=61975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69567A KR101847639B1 (ko) | 2017-06-05 | 2017-06-05 | 폐유 분리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7639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2154Y1 (ko) * | 2007-06-15 | 2008-10-15 | 삼건세기(주) |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 |
US20150027946A1 (en) * | 2013-06-15 | 2015-01-29 | Brent D. Terrell | Oil water separator |
-
2017
- 2017-06-05 KR KR1020170069567A patent/KR10184763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42154Y1 (ko) * | 2007-06-15 | 2008-10-15 | 삼건세기(주) | 기름 및 슬러지 분리장치 |
US20150027946A1 (en) * | 2013-06-15 | 2015-01-29 | Brent D. Terrell | Oil water separa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77348B1 (ko) | 스크린, 와류, 여과 및 응집기능 복합형 종합 수처리장치 | |
KR101684633B1 (ko) | 폐배터리 해체용 수력분리기 및 폐배터리 해체 시스템 | |
KR101498072B1 (ko) | 빗물 처리 장치 | |
CN107619122A (zh) | 带集油回流装置的餐饮污水处理设备及其工作方法 | |
KR100922231B1 (ko) | 협잡물 처리기의 유분 제거장치 | |
KR102081851B1 (ko) | 스컴제거부를 구비한 선회류식 협잡물처리기 | |
KR101847639B1 (ko) | 폐유 분리장치 | |
US4287063A (en) | Apparatus for separating liquids | |
KR101053995B1 (ko) | 유수분리기 | |
KR100519680B1 (ko) | 역세척형 여과조를 갖는 수처리설비 | |
KR102211491B1 (ko) | 조류 제거 선박 | |
KR101632166B1 (ko) | 건설폐기물 습식 분류장치의 저류-정수조 | |
CN101023031A (zh) | 用于使浮渣从液体中分离的方法和装置 | |
JP5605490B1 (ja) | 加圧浮上式スカム分離処理装置 | |
JP2002263696A (ja) | 洗浄処理装置 | |
KR101460958B1 (ko) | 화력발전소 회사장 폐수처리장치 | |
US4200530A (en) | Rotary filter | |
CN204224331U (zh) | 一种印染污水污料的处理系统 | |
JP2004141818A (ja) | 沈砂池からの固形物の流体移送装置 | |
KR100952208B1 (ko) | 스크린을 구비한 쓰레기집하장치 | |
KR101642928B1 (ko) | 정수장치 | |
CN112627137A (zh) | 一种节能型水面漂浮垃圾打捞船 | |
JP2001098537A (ja) | 浮遊物回収装置 | |
KR101748431B1 (ko) | 골재 생산 과정의 부유물 제거장치 | |
KR100650524B1 (ko) | 소각로의 스컴 제거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