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478B1 -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478B1
KR101847478B1 KR1020170042274A KR20170042274A KR101847478B1 KR 101847478 B1 KR101847478 B1 KR 101847478B1 KR 1020170042274 A KR1020170042274 A KR 1020170042274A KR 20170042274 A KR20170042274 A KR 20170042274A KR 101847478 B1 KR101847478 B1 KR 1018474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substrate
hydrophilic
polymer
electrospinning
nanofi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2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태창
Original Assignee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42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4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4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4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61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electro-spinning apparatu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007Electro-spinning
    • D01D5/0015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 D01D5/003Electro-spinning characterised by the initial state of th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a polymer solution or dispersion

Abstract

본 발명은 절연기판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고 높은 습도를 형성하여 친수성 표면에 물분자가 흡착하면서 아주 얇은 물막을 형성한다. 이때 형성된 물막이 전해질로 작용을 하면서 전도성 수집전극 역할을 수행하여 안정적인 전기방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절연체 위에 전기방사를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친수성 표면 패턴을 이용하여 패턴된 전기방사 나노섬유를 제작할 수 있다.

Description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 및 그 제조방법{Nanofiber electrospinning device for spinning nanofibers on an insulating laye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절연기판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고 높은 습도를 형성하여 친수성 표면에 물분자가 흡착하면서 아주 얇은 물막을 형성할 때 형성된 물막이 전해질로 작용을 하면서 전도성 수집전극 역할을 수행하여 안정적인 전기방사가 가능하도록 하는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류는 최초 자연의 천연 재료에서 섬유를 획득한 이래로 섬유 산업을 꾸준히 발전시켜 왔다. 과거의 섬유는 의복 제작 등 제한적인 용도로 사용되었으나, 1940년대 화학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나일론 등 인공 합성섬유의 제작이 가능하게 되었고, 활용분야가 확대되었다.
1960년대 이후로 고강도 탄소섬유를 대량 생산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섬유의 발전은 최근 산업의 여러 분야에서 요구하는 나노직경을 갖는 섬유 제조의 기초가 되었다. 현재 나노섬유는 복합재료, 필터, 생체재료, 화장품, 군사 등 고부가가치산업의 첨단기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이러한 나노 직경을 갖는 섬유 제조하는 방법 중 하나인 전기방사는 1934년 Formhals에 의하여 제안된 것으로, 고분자 용액 등을 노즐을 통하여 토출시켜 반구형의 액체방울을 형성시킨 후에 노즐과 포집부 사이에 고전압을 인가하여 전기장을 형성시킨다. 형성된 전기장에 의하여 반구형의 액체방울이 콘(cone) 형태로 변형된 후 방사가 일어나게 된다. 방사된 용액은 나노직경을 갖는 섬유 형태로 제조되며, 포집부에 누적시켜 섬유를 제조한다.
전기방사를 통해 제조되는 나노 섬유는 직경이 수십 ~ 수백 nm 이하이고, 부직포로 형성되는 경우, 공극률이 50 ~ 90 %로 매우 높으며, 기공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 다공성 물질 중에서 면적 대 부피 비율이 가장 높은 섬유이다. 또한, 전기방사를 통해 누적된 섬유는 일반적으로 배열성이 존재하지 않는 그물형 구조를 갖는다.
또한, 나노섬유를 제조하는 방법은 전기방사 공정 이외에도 자가조립법(self-assembly), 주형법(template synthesis), 상분리법(phase separation) 등이 있다. 이러한, 공정들은 전기방사와 비교하면 공정이 까다롭고 복잡하며, 제조된 나노섬유의 길이가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범위로 제한된다.
전기방사는 기본적으로 고전압 소스, 방사노즐 및 수집전극(콜렉터)의 세 부분의 간단 구조로 구성된다. 특히, 수집전극(콜렉터)은 수집 전극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금속과 같은 전도성 기판을 사용하여 방사영역 내에 안정한 전기장을 형성하여야 한다.
상기 수집전극(콜렉터)를 비도체로 사용하는 경우 전도성 수집 전극을 비도체 표면에 설치해야만 한다.
전기방사에 의한 나노섬유를 다양한 산업 응용을 위해서는 절연기판, 특히 유연한 플라스틱 소재의 고분자 기판에 나노 섬유를 전기방사하는 것이 필요하다.
전기방사 기술은 액상을 폴리머 용액에 고전압 전기장을 인가하여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기술이다. 노즐과 수집전극 사이에 고전압이 형성되면서 힘들 받은 폴리머 용액이 수집전극 쪽으로 끌려 나오면서 연속적인 나노섬유가 수집전극에 모아진다. 따라서 수집전극은 전도성을 가지고 안정적인 전기장을 형성하여야 한다. 이와 같은 이유로 절연체 위에 전기방사를 하는 것은 매우 불안정하고 어려운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전기방사의 특징으로 인하여 고분자 기판 위에 전기방사를 하려면 기판이 두께가 100㎛ 미만이고, 높은 전기장을 유지하기에 충분히 얇은 경우에만 가능하다. AC 펄스 변조(electrohydrodynamic) 방법을 사용하여 절연 고분자 기판(폴리에틸렌 테레 프탈레이트)에 전기 방사를 한 사례가 있었지만, 이러한 AC 펄스 변조(electrohydrodynamic) 방법에 의한 전기방사를 위해서는 복잡한 형태의 AC 전기장이 필요하다. 이는 절연 고분자 기판 표면에서의 전기방사의 가능성을 보여 주지만, 여전히 산업적 적용에 대한 한계가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6-0001806호(2016.05.26 공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절연기판에 나노섬유를 전기방사하기 위해서는 절연기판의 두께가 얇아야 하고, AC 펄스 변조(electrohydrodynamic) 방법을 사용하여야만 절연기판에 나노섬유를 전기방사할 수 있었던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절연기판 표면을 친수성으로 개질하고 높은 습도를 형성하여 친수성 표면에 물분자가 흡착하면서 아주 얇은 물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형성된 물막이 전해질로 작용을 하면서 전도성 수집전극 역할을 수행하여 안정적인 전기방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특성을 활용하여 절연체 위에 전기방사를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친수성 표면 패턴을 이용하여 패턴화된 전기방사 나노섬유를 제작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는 나노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머 용액을 방사하기 위한 폴리머 용액 공급부; 절연기판; 상기 절연기판 위에 물분자를 공급시키기 위한 증발부; 상기 증발부에 수용된 물을 대전시키는 접지전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는 플라즈마처리 또는 폴리머 코팅에 의해 상기 절연기판 상에 친수성 표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의 상기 증발부는 흡습성 패드, 분무노즐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는 상기 증발부에서 증발된 증기를 절연기판의 친수성 표면으로 유도하기 위한 가이드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는 상기 절연기판의 친수성 표면은 상대습도 60 ~ 9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방법은 절연기판을 준비하는 단계(S1); 준비된 절연기판의 표면에 친수성 표면처리하는 단계S2); 상기 친수성 절연기판 위에 습도를 유지시키는 단계(S3); 상기 습도가 유지된 친수성 절연기판에 액상의 폴리머 전기방사단계(S4);의 순으로 나노섬유를 제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방법에서 상기 절연기판의 친수성 표면처리는 플라즈마처리 또는 폴리머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방법은 상기 친수성 절연기판의 접촉각 또는 표면습도를 제어하여 나노섬유의 형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방법은 상기 절연기판의 친수성 표면처리는 일정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 및 전기방사방법에 의하면, 절연기판 표면을 친수성 처리하고, 높은 습도를 형성하여 친수성 표면에 물분자가 흡착하면서 아주 얇은 물막을 형성하고, 이때 형성된 물막이 전해질로 작용을 하면서 전도성 수집전극 역할을 수행하여 안정적인 전기방사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 및 전기방사방법에 의하면, 절연기판 표면을 플라즈마 처리 또는 친수성 폴리머(PVP 등)를 코팅시 친수성의 정도인 접촉각을 제어하여 전기방사 나노섬유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 및 전기방사방법에 의하면, 절연기판 표면의 습도를 제어하여 전기방사 나노섬유의 형상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 및 전기방사방법에 의하면, 절연기판 표면에 친수성 표면처리시 원하는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패턴화된 전기방사 나노섬유를 제작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방법의 공정과정 개략도이다.
도 3은 플라즈마 처리를 이용한 표면 젖음성의 차이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원거리 전기방사에서 절연기판의 표면 젖음성에 따른 차이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근거리 전기방사에서 절연기판의 표면 젖음성에 따른 차이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 및 그 제조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방사방법의 공정과정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는 나노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머 용액을 방사하는 폴리머 용액 공급부(미도시); 방사노즐(10); 절연기판(20); 상기 절연기판(20) 위에 물분자를 공급시키기 위한 증발부(30); 상기 증발부(30)에 수용된 물을 대전시키는 접지전극(40);을 포함한다.
폴리머 나노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머 용액을 방사하는 폴리머 용액 공급부(미도시)에서 공급되는 폴리머 용액을 방사하는 방사노즐(10)에는 고전압을 인가하여 전기장을 형성시킨다. 형성된 전기장에 의하여 방사노즐(10)의 선단에 반구형의 액체방울이 콘(cone) 형태로 변형된 후 방사가 일어나게 된다.
상기 절연기판(20)에는 친수성 특성을 얻기 위하여 플라즈마처리를 하거나, 친수성을 갖는 폴리머 코팅하여 절연기판(20) 상에 친수성 표면(22)을 형성한다.
상기 절연기판(20) 상의 친수성 표면(22)에 소정습도를 유지시키기 위하여 물분자을 공급시키는 증발부(30)를 갖는다. 상기 증발부(30)는 흡습성 패드에 물을 적시고, 패드에 적셔진 물이 자연적으로 증발하고 증발된 물분자가 절연기판(20)의 친수성 표면에 흡착하면서 아주 얇은 물막을 형성하게 된다.
또 다른 증발부(30)는 초음파 가습장치(미도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초음파 가습장치에서 분사되는 물분자가 절연기판(20)의 친수성 표면에 흡착하면서 아주 얇은 물막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형성된 물막이 전해질로 작용을 하면서 전도성 수집전극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증발부(30)에서 증발된 증기를 절연기판(20)의 친수성 표면(22)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미도시)가 추가될 수 있다. 이 가이드는 증발기와 절연기판사이의 배치위치와 증발방식에 따라 그 형태를 달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증발부(30)에 수용된 물을 대전시키는 접지전극(40);을 포함한다. 상기 접지전극(40)을 증발부(30)에 수용된 물을 대전시킨 상태에서 증발시켜 물분자가 되어야 전연기판(20)의 표면 상에 흡착된 물 분자는 수집전극(콜렉터)으로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적절한 상대습도는 60 ~ 90%의 범위를 갖는다. 바람직하기는 상대습도는 65 ~ 85%의 범위를 갖는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방법은 절연기판을 준비하는 단계(S1); 준비된 절연기판의 표면에 친수성 표면처리하는 단계(S2); 상기 친수성 절연기판 위에 습도를 유지시키는 단계(S3); 상기 습도가 유지된 친수성 절연기판에 액상의 폴리머 전기방사단계(S4);의 순으로 나노섬유를 제조한다.
상기 준비된 절연기판의 표면에 친수성 표면처리하는 단계(S2)는 플라즈마처리를 하거나, 친수성을 갖는 폴리머 코팅하여 절연기판(20) 상에 친수성 표면(22)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 및 전기방사방법에 따르면 상기 친수성 절연기판(20)에 흡착하는 물분자의 접촉각을 높이거나 낮추는 방법을 통하여 친수성 절연기판(20)의 표면에 흡착되는 물분자의 크기를 제어할 수 있고, 물분자의 크기에 따라 방사되는 나노섬유의 형상이 달라진다.
따라서 상기 친수성 절연기판(20)에 흡착하는 물분자의 접촉각을 제어하게 되면 나노섬유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친수성 절연기판(20)에 흡착되는 표면습도의 높고 낮음에 따라 방사되는 나노섬유의 형상이 달라진다.
따라서 상기 친수성 절연기판(20)에 흡착하는 물분자의 표면습도는 제어하게 되면 나노섬유의 형상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절연기판의 친수성 표면처리시 원하는 형태의 패턴을 갖도록 표면처리한다. 플라즈마 처리시 마스크을 이용하여 마스크된 영역은 플라즈마 처리되지 않아 소수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마스크되지 않은 영역은 친수성으로 변화시키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이와 반대되는 방식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원하는 영역만을 친수성으로 제어함으로써 나노섬유가 방사되는 크기와 형상을 마음대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친수성 표면을 갖는 폴리머 절연기판 준비
콜렉터 기능을 하는 소수성 표면을 500μm 두께의 폴리머 절연기판을 제작하였다. 폴리머 절연기판상에 산소 플라즈마 처리하여 실라놀기(SiOH, silanol group)를 만들어 폴리머 절연기판에 친수성 표면을 갖도록 처리하였다. 상기 폴리머 절연기판의 접촉각이 81.3 °인 소수성 표면에서 산소 플라즈마 처리 후, 접촉각 36.7 ° 인 친수성 표면으로 변화시켰다. 이때 플라즈마 처리시 표면은 스텐실 마스크를 사용하여 소수성 고분자 기판을 친수성 표면으로 선택적으로 바꿨다(도 2참조).
2. 전기방사를 위한 준비
폴리머 용액인 폴리우레탄 폴리머를 테트라 뷰틸 푸란 (THF)과 디메틸 포름 아미드 (DMF)의 혼합물 부피비가 8:2인 용매에 질량비율 10%로 녹여서 제조된 폴리머 용액을 사용하여 실온 및 온습도 (상대 습도 40 ~ 50 %)에서 전기 방사를 수행 하였다. 친수성 표면과 소수성 표면을 모두 갖는 폴리머 절연기판을 절연체의 소수성 효과를 비교하기 위해 집전체로서 접지 전극 위에 두었다.
3. 국소적 습도 조절
폴리머 절연기판 주변의 습도를 높이기 위해 폴리머 절연기판과 접지 전극 사이에 흡습 패드를 두었다 (도 1a와 도 1b). 물분자는 수증기의 낮은 확산성으로 인해 폴리머 절연기판 주위에서만 비교적 높고, 폴리머 절연기판의 상부에서는 상태적으로 낮은 습도를 갖는다.
방사노즐 주변의 습도는 약 50 % 였고, 폴리머 기판 주변의 습도는 약 70 %였다 (도 3).
상대 습도가 50 %를 초과하면 친수성 고분자 표면의 물 분자 흡착이 급격히 증가하므로 바람직한 전기방사를 위해 50% 이상의 상대습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바람직하기는 상대습도는 70~80% 범위이다.
4. 전기방사
첫번째는 방사노즐과 폴리머 절연기판 사이의 이격거리가 8cm 인 원거리 전기방사이고, 방사노즐은 고정시켰다.
두번째는 방사노즐과 폴리머 절연기판 사이의 이격거리가 1cm 인 근거리 전기방사이고, 방사노즐이 이동하면서 방사하였다.
원거리 전기방사는 폴리머 절연기판을 접지 전극에 놓음으로써 수행되었다.
가. 표면이 소수성인 폴리머 절연기판의 경우 전기 방사가 일어나지 않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폴리머 용액이 선단부에 액적을 형성하고 중력에 의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나. 친수성 표면을 갖는 폴리머 절연기판이 접지전극 상에 배치되고 폴리머 절연기판의 친수성 표면에 물분자가 흡착하면, 통상적인 전기 방사와 같이 폴리머 절연기판 상에 방사된 나노섬유가 관찰되었다.
다. 소수성 표면을 갖는 폴리머 절연기판의 일부를 표면 처리하여 친수성 표면으로 만들고, 방사노즐을 고정하여 전기 방사를 수행하였다.
도 4는 원거리 전기방사에서 폴리머 절연기판과 방사노즐 사이의 거리가 8cm에서의 폴리머 절연기판의 표면 젖음성에 따른 차이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친수성 표면과 소수성 표면 모두를 가진 폴리머 절연기판 상의 전기 방사 나노 섬유의 도 4(a) 및 도 4(c)의 디지털 카메라 이미지와 도 4(b) 및 도 4(d)의 현미경 이미지를 보여준다. 방사된 나노섬유의 대부분은 친수성 표면에 방사되었다.
도 4(a) 및 (b)에서, 폴리머 절연기판의 우측 반쪽은 친수성 표면을 가지며, 좌측 표면은 소수성 표면을 갖는다. 방사노즐은 폴리머 절연기판의 중심에 고정되었다.
도 4(c) 및 (d)는 1mm의 폭을 갖는 다수의 소수성 직사각형 표면을 갖는 폴리머 절연기판 상의 전기방사된 결과를 나타낸다. 물분자는 친수성 표면에만 흡착되었고, 흡착된 물분자는 수집전극으로 작용하고 전기장에 고전압이 가해지면 방사노즐의 폴리머 표면과 물분자 사이에 전기장이 형성되었다.
반면, 폴리머 절연기판의 소수성 표면은 방사노즐과 수집전극 사이의 전기장이 형성되지 않았다. 전기방사는 대전된 용액이 반발력에 의해 방사노즐을 빠져 나와 폴리머 용액이 채워지는 현상이다. 따라서 대전된 폴리머 용액은 전기장에 의해 정전기력을 받게되어 친수성 표면으로만 이동된다. 따라서, 소수성 표면을 갖는 폴리머 절연기판에는 전기방사가 일어나지 않는다. 소수성 표면 가장자리에 약간 방사된 나노섬유는 폴리머 절연기판에 노출된 친수성 표면의 영향으로 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도 5는 근거리 전기방사에서 폴리머 절연기판과 방사노즐 사이의 거리가 1cm에서의 폴리머 절연기판의 표면 젖음성에 따른 차이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근거리 전기방사에서 방사노즐은 100cm/s의 속도로 움직였다. 도 5(a)와 (b)는 친수성 폴리머 절연기판 위에 직접 패턴화 된 폴리머 나노섬유를 비교한 것이다. 폴리머 절연기판에 소수성 표면이 존재하면, 나노섬유는 폴리머 절연기판 외부의 노출된 접지전극,쪽 다시말해 방사노즐의 하부방향인 폴리머 절연기판으로 방출되는 것이 아니라 도 5(a)와 같이 접지전극이 노출되는 폴리머 절연기판의 가장자리 방향으로 방출된다.
반면, 친수성 폴리머 절연기판의 친수성 표면에 물분자가 흡착되어 수집전극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도 5(b)와 같이 방사노즐의 하부방향인 폴리머 절연기판으로 직접 방출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일단 대전된 폴리머 용액이 폴리머 절연기판에 떨어지면, 폴리머 용액 내의 전하가 빠져 나가지 않는다. 따라서, 폴리머 절연기판 위의 폴리머의 전하와 전기방사된 나노섬유의 전하는 반발력을 갖는다. 도 5(c) 및 (d)는 폴리머 절연기판의 소수성 표면과 친수성 표면 모두에 직접 방사된 폴리머 나노섬유를 도시한 것이다.
수직선은 친수성 표면과 소수성 표면 사이의 경계선이다. 폴리머 절연기판의 오른쪽은 친수성 표면이고 왼쪽은 소수성 표면이다. 친수성 표면상의 나노섬유는 방사노즐의 경로를 따라 일직선으로 그려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반면, 소수성 표면상의 나노섬유는 불안정한 구불구불한 모양을 나타낸다.
방사노즐이 폴리머 절연기판의 친수성 표면 상에 있을 때에는 수집전극을 갖는 일반적인 근거리 전기방사와 유사하게 방사된다.
그러나, 방사노즐이 폴리머 절연기판의 소수성 표면 상에 있을 때에는 전기장은 인가되지 않지만, 방사노즐이 신속하게 이동하기 때문에, 폴리머 나노섬유는 친수성 표면 상에 분사되는 관성으로 인해 소수성 표면 상에 위치되고. 소수성 표면에 방사된 폴리머 나노섬유는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매우 불안정한 형태로 중합체 기판 상에 방사된다. 도 5(e)는 친수성 중합체 기판 상에 직접 방사 된 폴리머 나노섬유 방사상태 결과이고, 도 5(f)는 도 5(e)의 확대도이다.
도 5(f)에서 알 수 있듯이 나노섬유는 일반적으로 수집전극 위에 방사되는 것과 같이 폴리머 절연기판의 친수성 표면을 가진 절연체의 표면에서도 원활하게 방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친수성 표면을 갖는 폴리머 절연기판 위의 습도가 상승하면, 물분자가 흡착되어 얇은 층을 형성하고 이 얇은 물분자층은 수집전극으로서 작용하고, 전기방사된 나노섬유는 친수성 표면을 갖는 폴리머 절연기판의 상에 방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폴리머 절연기판의 전기 방사를 하려면 폴리머 절연기판의 표면의 습도 제어를 통해 폴리머 절연기판의 상에 전기방사방법으로 섬유를 방사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전기방사에서, 폴리머 절연기판의 상에 나노섬유를 방사시 폴리머 절연기판 표면의 접촉각과 습도를 조절하여 폴리머 절연기판의 두께에 관계없이 폴리머 절연기판의 위에 전기방사를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 : 방사노즐
20 : 절연기판
21 : 소수성 표면 22: 친수성 표면
30 : 증발부
40 : 접지전극
50 : 가이드

Claims (9)

  1. 나노섬유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머 용액을 공급하기 위한 폴리머 용액 공급부;
    절연기판;
    상기 절연기판 위에 물분자를 공급시키기 위한 증발부;
    상기 증발부에 수용된 물을 대전시키는 접지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방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연기판 상에 친수성 표면을 형성하되,
    상기 친수성 표면은 플라즈마처리 또는 폴리머 코팅에 의해 절연기판의 접촉각 또는 표면습도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는 흡습성 패드, 분무노즐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증발부에서 증발된 증기를 절연기판의 친수성 표면으로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기판의 친수성 표면은 상대습도 60 ~ 9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
  6. 절연기판을 준비하는 단계(S1);
    준비된 절연기판의 표면에 친수성 표면처리하는 단계(S2);
    상기 친수성 절연기판 위에 습도를 유지시키는 단계(S3);
    상기 습도가 유지된 친수성 절연기판에 액상의 폴리머의 전기방사단계(S4);순으로 나노섬유를 제조하되,
    상기 친수성 절연기판의 접촉각 또는 표면습도를 제어하여 나노섬유의 형상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기판의 친수성 표면처리는 플라즈마처리 또는 폴리머를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방법.
  8. 삭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기판의 친수성 표면처리는 일정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방법.
KR1020170042274A 2017-03-31 2017-03-31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474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274A KR101847478B1 (ko) 2017-03-31 2017-03-31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2274A KR101847478B1 (ko) 2017-03-31 2017-03-31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478B1 true KR101847478B1 (ko) 2018-04-10

Family

ID=61975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2274A KR101847478B1 (ko) 2017-03-31 2017-03-31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4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665A (ko) 2018-10-31 2020-05-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3d 인쇄를 이용한 다층 바이오 스캐폴드 제작 장치 및 방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4487A (ja) * 2007-04-27 2008-11-13 Tokyo Metropolitan Univ 1軸または多軸配向ナノファイバー集積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KR20110062216A (ko) * 2009-12-03 2011-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 방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렬된 나노 섬유 제조방법
JP5390274B2 (ja) * 2009-06-19 2014-01-15 帝人株式会社 繊維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5009560A (ja) * 2013-06-28 2015-01-19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ナノ繊維複合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81390A (ja) * 2013-10-22 2015-04-2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電界紡糸装置
KR20160120966A (ko) * 2015-04-09 2016-10-19 울산과학기술원 전기장을 이용한 전기 방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
KR20160121654A (ko) * 2015-04-09 2016-10-20 희성전자 주식회사 전기장을 이용한 전기 방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74487A (ja) * 2007-04-27 2008-11-13 Tokyo Metropolitan Univ 1軸または多軸配向ナノファイバー集積体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5390274B2 (ja) * 2009-06-19 2014-01-15 帝人株式会社 繊維積層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10062216A (ko) * 2009-12-03 2011-06-1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 방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렬된 나노 섬유 제조방법
JP2015009560A (ja) * 2013-06-28 2015-01-19 サムソン エレクトロ−メカニッ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ナノ繊維複合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5081390A (ja) * 2013-10-22 2015-04-27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電界紡糸装置
KR20160120966A (ko) * 2015-04-09 2016-10-19 울산과학기술원 전기장을 이용한 전기 방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
KR20160121654A (ko) * 2015-04-09 2016-10-20 희성전자 주식회사 전기장을 이용한 전기 방사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LASMA CHEM PLASMA PROCESS, VOLUME 32, ISSUE 2, 275?291 *
일본 특허공보 특허 제 5390274호(2014.01.15.) 1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3665A (ko) 2018-10-31 2020-05-19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3d 인쇄를 이용한 다층 바이오 스캐폴드 제작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ing et al. Electrospinning: nanofabrication and applications
US7592277B2 (en) Nanofiber mats and production methods thereof
Khan et al. Recent progress on conventional and non-conventional electrospinning processes
CN102691175B (zh) 一种具有单向透水性能的复合纤维膜及其制备方法
Subbiah et al. Electrospinning of nanofibers
US8282873B2 (en) Controlled electrospinning of fibers
US8342831B2 (en) Controlled electrospinning of fibers
Theron et al. Electrostatic field-assisted alignment of electrospun nanofibres
EP135567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olymer fiber shells via electrospinning
US8337742B2 (en) Bubble launched electrospinning jets
Kang et al. Advanced electrospinning using circle electrodes for freestanding PVDF nanofiber film fabrication
CN113249875B (zh) 一种基于近场直写与溶液电纺技术的双层单向导湿微纳米纤维膜的制备方法
Al-Hazeem Nanofibers and electrospinning method
Kim et al. Investigation of pore formation for polystyrene electrospun fiber: effect of relative humidity
Niu et al. Electrospinning: an advanced nanofiber production technology
KR101357483B1 (ko) 전기 방사 및 정전기 스프레이 방식을 이용한 혼합 코팅 장치
KR20110077915A (ko) 전기방사장치의 방사조건 제어방법
CN108385282A (zh) 一种三维立体纤维膜的制备方法
Haider et al. Electrohydrodynamic processes and their affecting parameters
KR20150040114A (ko) 부직포의 제조방법과 제조장치, 이 방법으로 제조된 부직포, 이 부직포를 포함하는 전지용 분리막 및 전기화학 전지
US20050048274A1 (en) Production of nanowebs by an electrostatic spinning apparatus and method
Babar et al. Introduction and historical overview
KR101847478B1 (ko) 절연층 위에 나노섬유를 방사하는 전기방사장치 및 그 제조방법
Amariei et al. Electrospinning polyaniline for sensors
KR100687786B1 (ko) 꼬여진 나노섬유 제조를 위한 전기방사 장치 및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