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353B1 - Apparatus for fabric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fabric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353B1
KR101847353B1 KR1020170113817A KR20170113817A KR101847353B1 KR 101847353 B1 KR101847353 B1 KR 101847353B1 KR 1020170113817 A KR1020170113817 A KR 1020170113817A KR 20170113817 A KR20170113817 A KR 20170113817A KR 101847353 B1 KR101847353 B1 KR 1018473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fabric
module
adhesive lay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38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글로벌티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글로벌티아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글로벌티아이
Priority to KR10201701138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35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3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35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3/00Making patterns or designs o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00Finishing or decoration of textile materials, except for bleaching, dyeing, printing, mercerising, washing or fulling
    • D06C2700/31Methods for making patterns on fabrics, e.g. by application of powder dye, moiréing, embo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which passes a fabric supplied from a fabric supplying module between a forward/backward roller module and a lifting/lowering roller module, and passes the fabric between the forward/backward roller module and an adhesive layer forming roller module to uniformly form an adhesive layer.

Description

원단 제조 장치{APPARATUS FOR FABRIC}{APPARATUS FOR FABRIC}

본 발명은 원단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원단 공급 모듈에서 공급된 원단이 전후진 롤러 모듈 및 승하강 롤러 모듈 사이를 통과한 후, 전후진 롤러 모듈과 접착층 형성 롤러 모듈 사이를 통과하여 균일한 접착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원단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to 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in which a fabric supplied from a fabric feed module passes between a forward / backward roller module and an up / down roller module, So that a uniform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원단 제조 과정에서, 원단에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고, 그 위에 접착층을 인쇄, 형성한 후, 그 위에 포일 등의 재료를 부착하여 패턴이 형성되는 공정을 거치게 된다.A predetermined pattern is formed on a raw fabric, and an adhesive layer is printed and formed thereon. Then, a material such as a foil is adhered on the pattern to form a pattern.

그러나, 종래의 원단 제조 장치는, 접착층 형성 과정에서 원단의 일부가 미끄러지거나 또는 울게 되어 접착층이 목적하는 바에 따라서 균일하게 형성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는 접착층 형성을 위해 원단이 접착층 형성 롤러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원단이 균일하게 통과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이다.However, the conventional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has a problem that a part of the fabric slips or cries in the process of forming an adhesive layer, so that the adhesive layer is not uniformly formed as desired. This is a problem that occurs because the fabric can not uniformly pass through the adhesive layer forming roller in order to form the adhesive layer.

즉, 기존의 원단 제조 장치는 어느 하나의 롤러만이 원단을 당김으로써 원단에 대해 접착제를 인쇄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접착제 인쇄기 앞쪽에서 권취되어진 원단이나 연폭되어진 원단에 대해서 접착제 인쇄기가 당기는 역할과 인쇄 역할을 병행함으로써, 원단이 장력을 많이 받게 된다. 이러한 장력으로 인해서 원단의 폭이 줄거나 원단이 울면 인쇄면이 고르게 인쇄되지 않게 되며, 양쪽 사이드의 변사 부분과 중앙 부분이 중량이나 무게의 차이로 인해 변사 부분의 접힘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다. 이는 원단에 대해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하며, 접착제 인쇄 작업을 마친 원단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인 불량을 발생시켜 원단을 폐기해야 하는 큰 경제적 손실로 이어지기도 한다.That is, a conventional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uses a method in which only one of the rollers pulls a fabric to print an adhesive on a fabric to form an adhesive layer. Accordingly, the tension of the fabric tends to be large by performing the role of pulling the adhesive printing machine against the fabric wound around the front side of the adhesive printing machine or the softened fabric and the printing role. This tension prevents the printing surface from being printed uniformly when the width of the fabric is reduced or the fabric is crooked, and the problem of deflection of the deformed por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weight or weight between the modified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on both sides occurs. This causes a fatal problem to the fabric, and may lead to a large economic loss in which the fabric is discarded due to partial or complete failure of the fabric after the adhesive printing operation.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의 원단 제조 장치의 접착제 인쇄 장치에서는 원단의 후단에서 소정의 인장 롤러로 원단을 당겨주는 방식을 채택하는 기술이 채택되었으나, 접착제가 인쇄된 면의 접착제가 건조가 되어 있지 않은 관계로 원단의 양 면에 대해 균일하고 일정한 인장을 가하기 어려우며, 인쇄에 사용되는 롤러와 인장에 사용되는 롤러의 회전속도를 맞추기가 어렵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technique of adopting a method of pulling a fabric with a predetermined tension roller at the rear end of the fabric has been adopted in the adhesive printing apparatus of the conventional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However, when the adhesive on the surface on which the adhesive is printed is not dried It is difficult to apply a uniform and constant tensile force to both sides of the fabric and it is difficult to match the rotation speed of the roller used for printing and the roller used for tensioning.

한편, 이 외에 롤러의 변사 쪽으로 핀이나 집게 등의 외력을 가하여 해결하는 방안도 고안되었으나, 이는 고가의 제작 비용이 들며, 협소한 인쇄 공간의 문제로 인해 불편함이 야기되고는 하였다. 특히, 인쇄액은 바인더나 접착제를 주 재료로 사용하기 때문에 핀이나 집게 등에 묻게 될 가능성이 높으며 상용화에 큰 문제를 발생시킨다.In addition, a method of solving the problem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such as a pin or a tongue to the roller side of the roller has been devised. However, this has been costly and costly due to the limited printing space. In particular, since a printing liquid uses a binder or an adhesive as a main material, there is a high possibility that the printing liquid is adhered to a pin or a tongue, and this causes a serious problem in commercialization.

따라서,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더욱 경제적이고 효과적인 수단을 마련하여 원단의 불량 발생을 방지하고, 원단의 제조 효율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provide a more economical and effective means for preventing such phenomenon from occurring, thereby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defects in the fabric and improving the fabrication efficiency of the fabric.

등록특허 제10-1530818호Patent No. 10-1530818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원단 공급 모듈에서 공급된 원단이 전후진 롤러 모듈 및 승하강 롤러 모듈 사이를 통과한 후, 전후진 롤러 모듈과 접착층 형성 롤러 모듈 사이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원단에 균일한 장력을 가하도록 하여 원단의 울림 등을 방지하고 원단에 균일한 접착층이 형성되도록 하는 원단 제조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onceiv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age forming apparatus in which a cloth supplied from a far-end supply module passes between a forward / backward roller module and an up / down roller modu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which prevents unevenness of the fabric by forming a uniform tension on the fabric and forms a uniform adhesive layer on the fabri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제조 장치는,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 모듈; 상기 원단의 진행 방향으로 상기 원단 공급 모듈보다 하류측에 배치되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원단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제1 롤러를 포함한 접착층 형성 롤러 모듈; 상기 제1 롤러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롤러를 포함한 승하강 롤러 모듈; 상기 원단의 진행 방향으로 상기 접착층 형성 롤러 모듈보다 상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롤러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된 제3 롤러를 포함한 전후진 롤러 모듈; 상기 원단의 진행 방향으로 상기 승하강 롤러 모듈보다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를 통과한 원단을 잡아 당기는 인장 롤러; 상기 원단의 진행 방향으로 상기 인장 롤러보다 하류측에 배치되는 건조 장치; 및 상기 접착층 형성 롤러 모듈의 상기 제1 롤러 아래에 위치하며 접착제가 담겨지는 수조; 를 포함하며, 상기 원단 공급 모듈에서 공급된 원단은 상기 제2 롤러와 상기 제3 롤러 사이를 통과한 후, 상기 제2 롤러와 상기 제1 롤러 사이를 통과하게 구성된다.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bric supply module for supplying a fabric; An adhesive layer forming roller module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ar-end feed modul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abric, and including a first roller rotating around a first rotation axis to form an adhesive layer on a far end; An ascending / descending roller modul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oller, the ascending / descending roller module including a second roller configured to be able to rotate up and down about a second rotation axis; And a third roller arrang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adhesive layer forming roller module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abric and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ller, being rotatable about the third rotary shaft and displaceable in the front- Gill Roller Module; A tension roller disposed downstream of the lifting and lowering roller module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fabric and pulling a fabric having passed between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A drying device disposed downstream of the tension roller in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fabric; A water tank located below the first roller of the adhesive layer forming roller module and containing an adhesive; Wherein the raw material supplied from the far-end supply module passes between the second roller and the third roller, and then passes between the second roller and the first roll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층 형성 롤러 모듈은,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켜서 상기 제1 롤러를 회전시키는 소정의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한다.Preferably, the adhesive layer forming roller module further comprises a predetermined driving device for rotating the first rotation shaft to rotate the first roll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1 롤러의 양 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Preferably, the first rotation axis is detachab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roll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회전축은 연장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며, 일 단에 상기 제1 롤러의 일 측과 탈착 가능한 연결 단부를 구비한다.Preferably, the first rotation shaft is displaceable in the extending direction, and at one end thereof, a connecting end detachable from the one side of the first roller is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하강 롤러 모듈은, 상기 제2 롤러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장치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ascending / descending roller module includes an ascending / descending device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the second roll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하강 장치는, 상기 제2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 이동 블록, 및 상기 상하 이동 블록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 축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elevating and lowering device includes a vertical moving block in which the second rotating shaft is rotatably supported, and a vertical moving axis for moving the up and down moving block in the vertical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하 이동 블록은, 상하로 관통되며 내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관통공을 갖고, 상기 상하 이동 축은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수나사부를 갖고 적어도 일 부분이 소정의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상하 이동 축이 상기 관통공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상하 이동축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상하 이동 블록이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게 구성된다.Preferably, the up-and-down movement block has a through-hole penetrating vertically and having a female thread formed therein, the up-and-down movement axis having a male thread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least a portion thereof being supported by a predetermined frame, And the shaft is screwed to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up-and-down moving block is displac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up-and-down moving shaft.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하강 장치는, 상기 상하 이동 축의 상하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된 소정의 간격 표시부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elevating and lowering device includes a predetermined interval display unit with a scale capable of measuring a vertical moving distance of the up-and-down moving axis.

바람직하게는, 전후진 롤러 모듈은, 상기 제3 롤러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장치를 포함한다.Preferably, the forward / backward roller module includes a forward / backward device for moving the third roller back and forth.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후진 장치는, 상기 제3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후 이동 블록, 및 상기 전후 이동 블록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모듈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forward / backward device includes a forward / backward moving block in which the third rotating shaft is rotatably supported, and a cylinder module for moving the forward / backward moving block in the forward / backward direction.

바람직하게는, 상기 실린더 모듈은, 소정의 공압 튜브와 연결되어 내부에 공기압을 주입받는 실린더 바디, 및 일단은 상기 실린더 바디 내에 위치하며 타단은 상기 전후 이동 블록에 연결되는 피스톤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cylinder module includes a cylinder body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neumatic tube to receive air pressure therein, and a piston having one end located in the cylinder bod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ack and forth moving block.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층 형성 모듈, 승하강 롤러 모듈, 및 전후진 롤러 모듈은, 각각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한다.Preferably, the adhesive layer forming module, the ascending / descending roller module,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roller modules each include power transmitting means for transmitting powe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착층 형성 모듈은 상기 제1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제1 사이드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롤러 모듈은 상기 제2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제2 사이드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진 롤러 모듈은 상기 제3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제3 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제3 사이드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이드 기어는 상기 제2 사이드 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제3 사이드 기어는 상기 제2 사이드 기어와 치합되는 구성을 갖는다.Preferably, the adhesive layer forming module includes a first side gear provided on the first rotating shaft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first roller, and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roller module is provided on the second rotating shaft, And a second side gear that rotates together, wherein the forward / backward roller module includes a third side gear provided on the third rotation shaft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third roller, wherein the first side gear includes a second side gear And the third side gear is engaged with the second side gear.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롤러의 시간당 회전 거리, 상기 제2 롤러의 시간당 회전 거리, 및 상기 제3 롤러의 시간당 회전 거리는 동일하게 구성된다.Preferably, the rotation distance per hour of the first roller, the rotation distance per hour of the second roller, and the rotation distance per hour of the third roller are the same.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장 롤러는, 상기 승하강 롤러 모듈 위쪽에 배치되며, 상기 원단의 이동 방향을 꺾고 상기 건조 장치에 전달한다.Preferably, the tension roller is disposed above the lifting / lowering roller module, fold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abric, and transfers the tension to the drying devi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원단은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3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진행 방향이 소정의 각도만큼 꺾이게 구성된다.Preferably, the fabric passes through between the first roller and the third roller so that the advancing direction is folded by a predetermined angl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축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회전축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한다.Preferably, the third rotation axis is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rotation axis or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rotation axis.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제조 장치는 승하강 롤러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원단에 묻는 접착제의 양 및 접착층의 두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apparatus for fabricating a fabri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appropriately adjust the amount of adhesive adhering to the fabric an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by including the lifting and lowering roller modu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제조 장치는 전후진 롤러 모듈을 구비함으로써, 접착층 형성 과정에서 원단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도록 하여 원단의 일부가 뜨거나, 또는 울게 되는 현상이 방지하며, 원단에 균일한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rward and backward roller modules, the tensile force applied to the fabric can be uniformly maintained during the adhesive layer formation process, thereby preventing a part of the fabric from floating or crying, A uniform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제조 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2,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제조 장치의 접착층 형성 모듈, 승하강 롤러 모듈, 및 전후진 롤러 모듈의 구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 는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제조 장치의 접착층 형성 모듈, 및 승하강 롤러 모듈의 조작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제조 장치의 접착층 형성 모듈, 승하강 롤러 모듈, 및 전후진 롤러 모듈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1 is a structural view of 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and 3 are views showing structures of the adhesive layer forming module, the ascending / descending roller module,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roller modules of 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rom different directions.
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mode of the adhesive layer forming module and the ascending / descending roller module of 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dhesive layer forming module, the ascending / descending roller module, and the forward / backward roller module of 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제조 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2,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제조 장치의 접착층 형성 롤러 모듈(200), 승하강 롤러 모듈(300), 및 전후진 롤러 모듈(400)의 구조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4 는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제조 장치의 접착층 형성 롤러 모듈(200), 및 승하강 롤러 모듈(300)의 조작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FIG. 1 is a structural view of 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3 are views showing an adhesive layer forming roller module 200, an ascending / descending roller module 300, 4 is a view showing an operation mode of the adhesive layer forming roller module 200 and the ascending / descending roller module 300 of 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단 제조 장치는, 원단 공급 모듈(100); 접착층 형성 롤러 모듈(200); 승하강 롤러 모듈(300); 전후진 롤러 모듈(400); 인장 롤러(500); 및 접착층 건조 장치(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각부를 연결하고 지지하며 전체 장치의 골조를 구성하는 프레임(10)이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abric supplying module 100; An adhesive layer forming roller module (200); A lifting roller module 300; A forward / backward roller module 400; A tension roller 500; And an adhesive layer drying apparatus 600. In addition, a frame 10 that connects and supports the respective parts and constitutes a frame of the entire apparatus may be provided.

원단 공급 모듈(100)은 예컨대 원단 공급 롤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단의 일면에 패턴이 형성된 입체 원단으로 구성된 원단(T)을 후방으로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원단 공급 모듈(100)의 위치를 상류측이라고 하고, 원단 공급 모듈(100)에서 공급되는 원단의 진행 방향(도 1 의 화살표 F)에 따라서 반대측을 하류측이라고 지칭한다.The far-end feeding module 100 may include, for example, a far-end feeding roller, and may continuously feed the rear end T composed of a three-dimensional fabric having a pattern formed on one side thereof. Hereinafter, the position of the far-end feed module 100 is referred to as the upstream side, and the opposite side is referred to as the downstream side in accordance with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raw material supplied from the far-end feed module 100 (the arrow F in Fig. 1).

접착층 형성 롤러 모듈(200)은 원단 공급 모듈(100)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The adhesive layer forming roller module 200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ar-end feed module 100.

접착층 형성 롤러 모듈(200)은, 제1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1 롤러(210), 상기 제1 회전축(22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1 롤러(210)의 외측에 구비되며 제1 롤러(210)와 함께 회전하는 제1 사이드 기어(2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축(220)은 프레임(10)에 의해서 지지되어 일정 높이에서 상기 제1 롤러(210)와 제1 사이드 기어(230)가 제1 회전축(220)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롤러(210)와 제1 사이드 기어(230)를 회전시키도록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소정의 구동 장치(미도시)가 제1 회전축(220)에 연결될 수 있다.The adhesive layer forming roller module 200 includes a first roller 210 rotating around a first rotating shaft 220 and a first roller 210 located outside the first roller 21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rotating shaft 220 extends And a first side gear 230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first roller 210. The first rotation shaft 220 is supported by the frame 10 so that the first roller 210 and the first side gear 230 rotate about the first rotation shaft 220 at a predetermined height. A predetermined driving device (not shown) for providing a rotational driving force to rotate the first roller 210 and the first side gear 23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rotation shaft 220.

바람직하게는, 제1 회전축(220)과 제1 롤러(210)는 서로 탈착 가능하게 연결된다. 즉,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회전축(220)의 일 단부에는 소정의 연결 단부(240)가 구비되며 제1 롤러(210)의 측 방향 단부에는 상기 연결 단부(240)와 연결되는 소정의 고정 수단(212)이 마련되어 서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아울러, 제1 회전축(220)의 타 단부에는 제1 회전축(220)을 측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1 롤러(210)와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소정의 핸들(250)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핸들(250)이 화살표 J 와 같이 회전함에 따라서 제1 회전축(220)이 화살표 K 와 같이 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롤러(210)가 제1 회전축(220)에 대해서 분리, 결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first rotation shaft 220 and the first roller 210 ar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4, a predetermined connection end portion 240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first rotation shaft 220 and a connection end portion 24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end portion 240 at a lateral end portion of the first roller 210 A predetermined fixing means 212 may be provided and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A predetermined handle 250 may be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rotation shaft 220 to move the first rotation shaft 220 in a lateral direction and separate the first rotation shaft 220 from the first roller 210. For example, as the handle 250 rotates as indicated by the arrow J, the first rotary shaft 220 can move laterally as indicated by the arrow K. Accordingly, the first roller 210 can be separated and engaged with respect to the first rotation shaft 220.

접착층 형성 롤러 모듈(200)의 아래에는 접착액이 담겨진 수조(20)가 배치된다. 수조(20)에 담겨진 접착액은 제1 롤러(210)의 외주면 밑부분에 닿는 수위를 갖는다. 따라서, 제1 롤러(210)가 회전하면 그 외주면에 걸쳐서 접착액이 묻을 수 있다.Below the adhesive layer forming roller module 200, a water tank 20 containing an adhesive liquid is disposed. The adhesive liquid contained in the water tank 20 has a water level reaching the bottom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210. Therefore, when the first roller 210 rotates, the adhesive liquid may be appli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승하강 롤러 모듈(300)은 제2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롤러(310), 상기 제2 회전축(32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제2 롤러(31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2 사이드 기어(330), 및 승하강 장치(3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scending and descending roller module 300 includes a second roller 310 that rotates about the second rotation axis 320 and a second roller 310 that is provided outside the second roller 31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rotation axis 320 extends. A two-side gear 330, and a lifting device 340.

제2 롤러(310)의 회전축이 되는 제2 회전축(320)은 제1 회전축(220)과 평행하되 제1 회전축(220)의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롤러(310)는 제1 롤러(210)의 위쪽에 위치하며 제1 롤러(210)와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단 공급 모듈(100)을 통해 공급된 원단은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310) 사이의 간격을 통과하여 하류측으로 진행한다. The second rotation axis 320 may be parallel to the first rotation axis 220 and may be positioned above the first rotation axis 220. [ Accordingly, the second roller 310 is positioned above the first roller 2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oller 2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1, the raw material supplied through the far-end feed module 100 passes through the gap between the first roller 210 and the second roller 310 and proceeds to the downstream side.

제2 사이드 기어(330)는 상기 제1 사이드 기어(230)와 치합된다. 따라서, 제1 사이드 기어(230)에 의해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 형성 모듈의 구동 장치에 의해서 제1 사이드 기어(230)가 회전하면 제2 사이드 기어(330) 및 제2 롤러(310)가 회전할 수 있다.The second side gear 330 is engaged with the first side gear 230. Accordingly, the first side gear 230 can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Therefore, the second side gear 330 and the second roller 310 can be rotated when the first side gear 230 is rotated by the driving device of the adhesive layer forming module.

제2 롤러(310)는 아래 방향, 즉 제1 롤러(210) 쪽으로 원단을 가압하여 제1 롤러(210)의 외주면에 묻은 접착액이 원단에 도포되도록 한다. The second roller 310 presses the fabric toward the downward direction, that is, toward the first roller 210, so that the adhesive liquid adher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first roller 210 is applied to the fabric.

제2 롤러(310)는 제1 롤러(210)와의 상하 간격이 조절 가능하게 구성된다. 즉, 제2 롤러(310)와 제1 롤러(210)와의 상하 간격이 작아지면 원단에 묻는 접착제(22)의 양이 많아질 수 있고, 상하 간격이 커지면 원단에 묻는 접착제(22)의 양이 적어질 수 있다. The second roller 310 is configured such that the vertical distance from the first roller 210 is adjustable. In other words, if the vertical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oller 310 and the first roller 210 is small, the amount of the adhesive 22 adhering to the fabric can be increased. If the gap between the second roller 310 and the first roller 210 is increased, Can be reduced.

승하강 장치(340)는 위와 같이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310) 사이의 간격 조절을 위해, 상기 제2 롤러(310)를 상하 방향으로 승강, 및 하강시키도록 구비된다. 승하강 장치(340)는 상기 제2 회전축(320)을 지지하는 상하 이동 블록(342), 상기 상하 이동 블록(342)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상하 이동 축(346)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e lifting device 340 is provided to vertically lift and lower the second roller 310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first roller 210 and the second roller 310 as described above. The lifting device 340 includes a vertical movement block 342 for supporting the second rotation axis 320 and a vertical movement axis 346 for vertically moving the vertical movement block 342 .

상하 이동 블록(342)은 상기 제2 사이드 기어(330)의 외측에 구비되어 프레임(10)과 제2 사이드 기어(3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아울러, 상하 이동 블록(342)은 프레임(10)에 연결되되 상하 방향으로 위치 가변할 수 있다. 상하 이동 블록(342)은 제2 회전축(320)이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는 소정의 연결 홀(미도시)을 가져서, 제2 롤러(310)가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하 이동 블록(342)은 상하로 관통되며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관통공(344)을 가질 수 있다. The vertical movement block 342 may be disposed outside the second side gear 330 an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rame 10 and the second side gear 330. In addition, the vertical movement block 342 is connected to the frame 10 and can be vertically moved. The vertical movement block 342 has a predetermined connection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second rotation shaft 320 pass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second roller 310 can be supported and rotated. The up-and-down moving block 342 may have a through-hole 344 penetrating vertically and having a female thread formed therein.

상하 이동 축(346)은 상기 상하 이동 블록(342)을 상하로 변위시키는 부재이다. 일 예로, 상하 이동 축(346)은 상단에 핸들(350)이 마련되고 외주면에는 수나사(348)가 형성되며 직립한 바 형태의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하 이동 축(346)의 상부는 소정의 지그(352)를 통해서 프레임(10)에 지지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하 이동 축(346)의 하부는 상기 상하 이동 블록(342)의 상기 관통공(344)에 나사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하 이동 축(346)의 회전에 따라서 상하 이동 블록(342), 제2 회전축(320), 제2 사이드 기어(330) 및 제2 롤러(310)가 상하로 이동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승하강 장치(340)는 반드시 이런 구성을 갖는 것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상기 상하 이동 블록(342), 제2 롤러(310), 및 제2 사이드 기어(330)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성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하 이동 축(346)의 상하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눈금이 표시된 간격 측정부(미도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간격 측정부는 프레임(10)에 상하 이동 축(346)을 연결하는 상기 지그(352)에 구비될 수 있다.The vertical movement shaft 346 is a member for vertically displacing the up-and-down movement block 342. For example, the vertically moving shaft 346 may have a handle 350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nd a male screw 348 formed at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may have an upright bar-shaped configuration. The upper portion of the vertical movement shaft 346 can be supported on the frame 10 through a predetermined jig 352. The lower part of the up-and-down moving shaft 346 may be screwed to the through-hole 344 of the up-and-down moving block 342. The vertical movement block 342, the second rotation shaft 320, the second side gear 330, and the second roller 310 mov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vertical movement shaft 346 have. However, the upward / downward movement device 340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may be any device capable of moving the up / down movement block 342, the second roller 310, and the second side gear 330 up and down. It can also have a configuration. Further, an interval measuring unit (not shown)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scale so as to measure the vertical moving distance of the vertical moving shaft 346. For example, the gap measuring unit may be provided on the jig 352 connecting the vertical movement shaft 346 to the frame 10.

아울러, 추가로 승하강 롤러 모듈(300)은, 추가로 상기 상하 이동 블록(342) 및 상하 이동 블록(342)에 의해서 지지되는 제2 롤러(310), 제2 회전축(320), 및 제2 사이드 기어(330)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가변 모듈(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10)의 일 측에 소정의 가변 핸들(360)이 구비되며, 상기 가변 핸들(360)을 화살표 M 과 같이 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상하 이동 블록(342)이 화살표 N 과 같이 상하로 변위할 수 있다. 예컨대, 이와 같은 가변 모듈은 상하 이동 블록(342), 제2 롤러(310), 제2 회전축(320), 및 제2 사이드 기어(330)를 큰 폭으로 상하 이동 시킬 때 사용되며, 상기 승하강 장치(340)는 상하 이동 블록(342), 제2 롤러(310), 제2 회전축(320), 및 제2 사이드 기어(330)를 미세하게 상하 이동 시켜서 제2 롤러(310)와 제1 롤러(21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때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scending / descending roller module 300 further includes a second roller 310, a second rotation shaft 320, and a second roller 320 supported by the up-and-down movement block 342 and the up- And a variable module (not shown) for moving the side gear 330 up and dow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a predetermined variable handle 360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rame 10, and the variable handle 360 is rotated as shown by the arrow M, ) Can be displaced up and down as indicated by an arrow N. For example, the variable module is used to vertically move the vertical movement block 342, the second roller 310, the second rotation shaft 320, and the second side gear 330, The apparatus 340 moves the upper and lower moving blocks 342, the second rollers 310, the second rotating shaft 320 and the second side gears 330 finely so as to move the second roller 310 and the first roller 330, (Not shown).

위와 같이,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310) 사이를 통과하면서, 원단에는 접착제가 묻어 접착층이 형성되게 된다. 이때, 원단에 미리 패턴 등이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서, 특정한 패턴 영역 내에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ile passing between the first roller 210 and the second roller 310, an adhesive is deposited on the fabric to form an adhesive layer. At this time, an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within a specific pattern area because the pattern or the like is previously formed on the raw fabric.

전후진 롤러 모듈(400)은 제3 회전축(420)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3 롤러(410), 상기 제3 회전축(420)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기 제3 롤러(410)의 외측에 구비되는 제3 사이드 기어(430), 및 전후진 장치(4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orward and backward roller module 400 includes a third roller 410 that rotates about a third rotational axis 420 and a second roller 420 that is provided outside the third roller 410 in a direction in which the third rotational axis 420 extends A third side gear 430, and a forward / backward device 440.

제3 롤러(410)의 회전축이 되는 제3 회전축(420)은 제2 회전축(320)과 평행하게 연장되며, 제2 회전축(320)보다 상류측에 위치한다. 또한, 제3 롤러(410)는 제2 롤러(310)와 전후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되어 나란하게 위치하되, 제1 롤러(210)보다 상류측에 위치한다. 따라서, 원단은 제2 롤러(310)와 제3 롤러(410) 사이의 간격을 지난 후,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310) 사이의 간격을 지나게 된다.The third rotating shaft 420, which is the rotating shaft of the third roller 410, extends parallel to the second rotating shaft 320 and is locat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second rotating shaft 320. The third roller 410 is positioned upstream of the first roller 210 and is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roller 31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us, after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roller 310 and the third roller 410 has passed,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oller 210 and the second roller 310 is exceeded.

바람직하게는, 원단이 제1 롤러(210)와 제3 롤러(410)사이를 지날 때, 원단은 각도가 꺾여질 수 있다. 즉, 바람직하게는, 제1 롤러(210)와 제3 롤러(410) 사이의 간격 부분은 제1 롤러(210)의 회전 중심축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접착층 형성을 위한 작동 시, 제3 롤러(410)의 제3 회전축(420)의 위치는 제1 롤러(210)의 제1 회전축(220)와 같은 높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그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이에 반드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Preferably, when the fabric passes between the first roller 210 and the third roller 410, the fabric may be angled. That is, preferably, the interval portion between the first roller 210 and the third roller 410 may be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rotational center axis of the first roller 210, or may be located at a higher position . The position of the third rotary shaft 420 of the third roller 410 may be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rotary shaft 220 of the first roller 210, It can be positioned higher than tha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제3 사이드 기어(430)는 상기 제2 사이드 기어(330)와 치합되어 제2 사이드 기어(330)에 의해서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따라서, 제2 사이드 기어(330)가 회전하면 제3 사이드 기어(430) 및 제3 롤러(410)가 회전할 수 있다.The third side gear 430 is engaged with the second side gear 330 and can receive the rotational force by the second side gear 330. Accordingly, when the second side gear 330 rotates, the third side gear 430 and the third roller 410 can rotate.

제3 롤러(410)는 제2 롤러(310) 쪽으로 원단을 가압하여 제2 롤러(310)와 제1 롤러(210) 사이에 투입되는 원단이 시간당 균일한 양만큼 투입되도록 할 수 있다. The third roller 410 may press the raw material toward the second roller 310 so that the raw material charged between the second roller 310 and the first roller 210 may be supplied by a uniform amount per hour.

전후진 장치(440)는 제3 회전축(420)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3 롤러(410) 및 제3 사이드 기어(430)를 전후 방향으로 전진 및 후진시키는 장치이다. 이에 따라서, 제3 롤러(410)와 제2 롤러(310) 사이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전진이라 함은 제3 롤러(410)가 제2 롤러(310)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의미하며, 제2 롤러(310)와 제3 롤러(410) 사이의 간격이 줄어드는 방향을 뜻한다. 또한, 후진이라 함은 그 반대 방향을 의미하여 제2 롤러(310)와 제3 롤러(410) 사이의 간격이 커지는 방향을 뜻한다. The forward / reverse gear device 440 is a device that moves the third roller 410 and the third side gear 430 forward and backward by moving the third rotation shaft 420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ccordingly, the interval between the third roller 410 and the second roller 310 can be adjusted. Here, the forward movement means that the third roller 410 moves in the direction of approaching the second roller 310 and means the direction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roller 310 and the third roller 410 is reduced do. Further, the reverse movement means the opposite direction, which means a direction in which the interval between the second roller 310 and the third roller 410 increases.

전후진 장치(440)는 전후 이동 블록(442), 및 실린더 모듈(444)을 포함할 수 있다.The forward and backward motion device 440 may include a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block 442, and a cylinder module 444.

전후 이동 블록(442)은 제3 회전축(420)을 지지하는 소정의 구조물이다. 전후 이동 블록(442)은 제3 회전축(420)이 수평 방향으로 통과하는 소정의 연결 홀(미도시)을 가져서, 제3 롤러(410)가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전후 이동 블록(442)은 프레임(10)에 연결되되 전후 방향으로 위치 가변할 수 있다. 따라서, 전후 이동 블록(442)이 전후 방향으로 변위하면 제3 사이드 기어(430) 및 제3 롤러(410)가 전후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다. The back and forth moving block 442 is a predetermined structure for supporting the third rotating shaft 420. The back and forth moving block 442 has a predetermined connection hole (not shown) through which the third rotation shaft 420 passe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third roller 410 can be supported and rotated. The back and forth moving block 442 is connected to the frame 10 and can be displac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herefore, when the back and forth moving block 442 is displac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the third side gear 430 and the third roller 410 can be displac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실린더 모듈(444)은, 예컨대 공기압에 의해서 작동하는 장치로서, 실린더 바디(446), 피스톤(448), 및 공압 튜브(4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cylinder module 444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ylinder body 446, a piston 448, and a pneumatic tube 450, for example, a device operated by air pressure.

실린더 바디(446)는 전후 이동 블록(442)의 후방에 위치하며, 공압 튜브(450)와 연결되어 내부에 압축 공기를 주입 받는다. 피스톤(448)은 일 단이 실린더 바디(446) 내에 위치하고 타 단은 상기 전후 이동 블록(442)에 연결된다. 따라서, 피스톤(448)은 실린더 바디(446) 내부의 압축 공기의 압력에 의해서 제3 롤러(410)의 제3 회전축(420)이 연결된 전후 이동 블록(442)을 전방 방향, 즉 제2 롤러(310)가 위치한 방향으로 밀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실린더 바디(446) 내의 압축 공기의 압력을 작게 하여 상기 전후 이동 블록(442)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3 롤러(410)는 공압에 의해서 제2 롤러(310)에 대해 인접한 위치를 유지하므로,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310) 사이의 간격 조절을 위해서 제2 롤러(310)가 승강하거나 하강할 때, 제3 롤러(410)가 후방으로 밀려지거나 또는 반대로 전방으로 당겨지도록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cylinder body 446 is located behind the back-and-forth moving block 442 and is connected to the pneumatic tube 450 to receive compressed air therein. One end of the piston 448 is located in the cylinder body 446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ack-and-forth moving block 442. Accordingly, the piston 448 is mov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at is, in the forward direction, that is, the second roller (second roller) 310 are located. It is also possible to reduce the pressure of the compressed air in the cylinder body 446 to move the back and forth moving block 442 backward. The third roller 410 maintains the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roller 310 by the air pressure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roller 210 and the second roller 310 is adjusted by the second roller 310 It is possible to move the third roller 410 to be pushed backward or vice versa.

아울러, 프레임에는 전후 이동 블록(442)이 프레임에 대해서 연결하며 전후 이동 블록(442)이 전후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안내하고, 실린더 모듈(444)을 연결하여 지지하는 소정의 지그(452)가 구비될 수 있다.The frame includes a predetermined jig 452 for guid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block 442 to connect with the frame and displacing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block 442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connecting and supporting the cylinder module 444 .

위 실시 형태에서는 접착층 형성 롤러 모듈(200), 승하강 롤러 모듈(300), 및 전후진 롤러 모듈(400)이 각각 제1 사이드 기어(230), 제2 사이드 기어(330), 및 제3 사이드 기어(430)에 의해서 연결되는 것으로 기재되었으나, 이에 반드시 한정하지 않는다. 즉, 다양한 형태의 동력 전달 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예컨대, 벨트-풀리 구조를 갖는 동력 전달 수단이 마련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adhesive layer forming roller module 200, the ascending / descending roller module 300,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roller modules 400 are provided with the first side gear 230, the second side gear 330, But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That is, various types of power transmission means may be provided, and for example, a power transmission means having a belt-pulley structure may be provided.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제조 장치의 접착층 형성 모듈, 승하강 롤러 모듈(300), 및 전후진 롤러 모듈(400)의 작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위와 같이, 동력 전달 수단에 의해서 접착층 형성 모듈, 승하강 롤러 모듈(300), 및 전후진 롤러 모듈(400)이 함께 작동하며,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원단이 접착층 형성 모듈, 승하강 롤러 모듈(300), 및 전후진 롤러 모듈(400)을 통과할 수 있다. 도 5 에서, 화살표 P, Q. R 은 각각 접착층 형성 모듈, 승하강 롤러 모듈(300), 및 전후진 롤러 모듈(400)의 제1 롤러(210), 제2 롤러(310), 및 제3 롤러(410)의 회전 방향을 나타낸다.5 is a view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adhesive layer forming module, the ascending / descending roller module 300, and the forward / backward roller module 400 of 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adhesive layer forming module, the ascending / descending roller module 300,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roller module 400 are operated together by the power transmitting means. In the form as shown in FIG. 5, The roller module 300, and the forward / backward roller module 400, respectively. 5, the arrows P and Q.R respectively denote the first roller 210, the second roller 310, and the third roller 310 of the adhesive layer forming module, the ascending / descending roller module 300 and the forward and backward roller module 400, And shows the rotating direction of the roller 410. Fig.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롤러(210)의 시간당 회전 거리, 상기 제2 롤러(310)의 시간당 회전 거리, 및 상기 제3 롤러(410)의 시간당 회전 거리는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롤러(410)와 제2 롤러(310) 사이를 먼저 통과한 원단이 균일하게 제2 롤러(310)와 제1 롤러(210) 사이에 투입됨으로써, 원단에 접착층이 형성될 때 원단이 부분적으로 뜨거나, 우는 현상이 방지되어 원단에 균일한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 The rotation distance of the first roller 210, the rotation distance of the second roller 310, and the rotation distance of the third roller 410 may be the same. Therefore, when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raw fabric by the raw material having passed first between the third roller 410 and the second roller 310 uniformly between the second roller 310 and the first roller 210, A partly floating or crying phenomenon can be prevented and a uniform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on the fabric.

이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The effect of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as follows.

종래의 원단 제조 장치의 접착제 형성 장치에서는 어느 하나의 롤러만이 원단을 당김으로써 원단에 대해 접착제를 인쇄하여 접착층을 형성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서, 접착제 인쇄기 앞쪽에서 권취되어진 원단이나 연폭되어진 원단에 대해서 접착제 인쇄기가 당기는 역할과 인쇄 역할을 병행함으로써, 원단이 장력을 많이 받게 된다. 이러한 장력으로 인해서 원단의 폭이 줄거나 원단이 울면 인쇄면이 고르게 인쇄되지 않게 되며, 양쪽 사이드의 변사 부분과 중앙 부분이 중량이나 무게의 차이로 인해 변사 부분의 접힘 등의 문제점들이 발생하였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롤러(310)와 같이 급격하게 원단의 각도가 꺾이는 부분에서 큰 장력이 걸려서 특히 원단의 울림 및 폭 줄음 현상이 많이 발생한다. 이것은 예컨대, 소정의 천의 중간 부분을 막대기에 대고 양 단을 세게 잡아 당겼을 때 생기는 현상과 비슷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e conventional adhesive manufacturing apparatus of 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only one of the rollers pulls the fabric to print an adhesive on the fabric to form an adhesive layer. Accordingly, the tension of the fabric tends to be large by performing the role of pulling the adhesive printing machine against the fabric wound around the front side of the adhesive printing machine or the softened fabric and the printing role. This tension prevents the printing surface from being printed uniformly when the width of the fabric is reduced or the fabric is crooked, and the problem of deflection of the deformed por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weight or weight between the modified portion and the central portion on both sides occurs. Particularly, as in the case of the second roller 310 of the present invention, a large tensile force is applied to the portion where the angle of the fabric is suddenly changed, so that there is a lot of ringing and width reduction of the fabric. This can be understood, for example, to be similar to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a middle portion of a predetermined cloth is pulled to both ends of the bar by a strong pull.

이러한 원단의 울림 및 폭 줄음 현상 등은 접착층이 원단에 대해 균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방해한다. 이는 원단에 대해 치명적인 문제를 야기하며, 접착제 인쇄 작업을 마친 원단의 부분적, 또는 전체적인 불량을 발생시켜 원단을 폐기해야 하는 큰 경제적 손실로 이어지기도 한다. 특히 원단의 경우 수십 ~ 수백 m 단위로 접착층 형성이 이루어지며, 어느 일 부분의 불량은 이러한 원단 전체의 폐기로 이어질 수도 있다. 특히, 좌우 방향의 울림의 경우 길이 전체에 걸쳐서 접착층 형성 불량으로 이어질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길이 방향 전체에 대해 불량이 발생하여 일 부분의 원단을 활용하는 것도 불가하게 될 수 있다.Such ringing and width reduction of the fabric prevents the adhesive layer from being uniformly formed with respect to the fabric. This causes a fatal problem to the fabric, and may lead to a large economic loss in which the fabric is discarded due to partial or complete failure of the fabric after the adhesive printing opera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fabric, an adhesive layer is formed in a unit of several tens to several hundreds of meters, and a defect in one part may lead to disposal of the entire fabric.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sou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the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in a bad manner over the entire length. In this case, defects may occur in the entire lengthwise direction, making it impossible to utilize a part of the fabric.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원단이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310) 사이에 투입되어 접착층을 형성하기 직전에, 제2 롤러(310)와 제3 롤러(410) 사이를 통과하도록 함으로써, 제2 롤러(310)와 제3 롤러(410)가 원단을 미리 당겨줄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310) 사이의 접착층 형성 지점에서 원단에 대해 국부적으로 큰 인장력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310) 사이에서 원단의 울림 및 폭 줄음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고, 원단에 대한 균일한 접착층 형성이 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원단은 제1 롤러(210)와 제3 롤러(410) 사이를 지나도록 함으로써, 원단의 일 면이 아닌 양 면에 대해 고르게 인장력이 가해지게 되므로 원단의 일 면에 대해 인장력이 걸리는 경우에 비해 원단의 울림 및 폭 줄음 현상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롤러(210)와 제3 롤러(410) 사이를 지나면서 양 면에 대해 인장력이 가해진 원단이 제1 롤러(210)와 제3 롤러(410) 사이를 지난 거의 직후에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310)사이를 지나 접착제 인쇄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균일한 접착층 형성이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However, in the present invention, by allowing the raw material to pass between the second roller 310 and the third roller 410 immediately before being inserted between the first roller 210 and the second roller 310 to form the adhesive layer, The second roller 310 and the third roller 410 can pull the fabric in advanc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a locally large tensile force from being generated on the fabric at the point of forming the adhesive layer between the first roller 210 and the second roller 310 as described abov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ringing and width reduction of the fabric between the first roller 210 and the second roller 310, and a uniform adhesive layer formation to the fabric can be achieved. In addition, when the cloth passes between the first roller 210 and the third roller 410, tensile force is uniformly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cloth, so that when a tensile force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cloth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sounding of the fabric and the reduction of the width. As a result, the first rollers 210 and the third rollers 410 are rotated together with the first rollers 210 and the third rollers 410. After the first rollers 210 and the third rollers 410 pass between the first rollers 210 and the third rollers 410, Since the adhesive printing process is performed between the second roller 210 and the second roller 310, a uniform adhesive layer formation can be more effectively achieved.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제1 롤러(210), 제2 롤러(310), 및 제3 롤러(410)가 비율을 맞춘 기어들에 의해서 서로 연동되게 작동함으로써, 접착층을 형성하고자 하는 양과 접착층 형성 높이, 및 원단의 투입 속도를 서로 유기적으로 조절하여 적절히 맞출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롤러의 높이와 회전 속도를 별도로 복잡하게 조절하지 않아도 원단이 늘어나거나, 줄거나, 또는 튕기는 것이 방지되므로 평활한 인쇄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Further, in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roller 210, the second roller 310, and the third roller 410 are operated by intermeshed gears, The height of the adhesive layer, and the feeding speed of the fabric can be suitably adjusted by organically controlling each other. Therefore, even if the height and the rotation speed of each roller are not complicatedly adjusted, it is prevented that the fabric is stretched, reduced, or bounced, so that smooth printing quality can be maintained.

인장 롤러(500)는 승하강 롤러 모듈(300)의 하류 측에 설치된다. 따라서,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310) 사이를 통과한 원단이 인장 롤러(500) 방향으로 진행한다. 아울러, 인장 롤러(500)에 회전을 부여하는 소정의 동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The tension roller 500 is install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ascending / descending roller module 300. Therefore, the fabric passed between the first roller 210 and the second roller 310 advances in the direction of the tension roller 500. In addition, a predetermined power unit (not shown) for imparting rotation to the tension roller 500 may be provided.

바람직하게는 인장 롤러(500)는 제2 롤러(310)보다 위쪽에 배치되고, 원단의 이동방향을 변경시키면서 원단을 상방향으로 팽팽하게 잡아당긴다. 따라서 원단이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310)를 통과할 때 높은 텐션을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원단은 인장 롤러(500)를 축으로 하여 꺾여서 건조 장치(600)로 공급된다.Preferably, the tension roller 500 is disposed above the second roller 310 and pulls the fabric upwardly in tension while chang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abric. Therefore,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high tension when the fabric passes through the first roller 210 and the second roller 310. Further, the fabric is folded around the tension roller 500 and supplied to the drying apparatus 600.

바람직하게는, 인장 롤러(500)는 회전 속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컨대 접착제(22)의 점성, 및 도포량에 따라서 인장 롤러(500)의 회전 속도가 조절될 수 있으며, 따라서 원단의 텐션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원단이 인장 롤러(500)의 잡아 당기는 작용에 의해서 높은 텐션을 갖는 상태로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310) 사이를 통과한다. 동시에, 제2 롤러(310)의 승강 및 하강에 의해서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310) 사이의 간격이 적절히 조절되어 원단에 접착제(22)가 적절하게 도포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otation speed of the tension roller 500 can be adjusted. For example, the rotational speed of the tension roller 500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viscosity and the application amount of the adhesive 22, so that the tension of the fabric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Therefore, the fabric passes between the first roller 210 and the second roller 310 in a state of high tension by the pulling action of the tension roller 500. At the same time, the gap between the first roller 210 and the second roller 310 is appropriately adjusted by raising and lowering the second roller 310, so that the adhesive 22 can be appropriately applied to the fabric.

건조 장치(600)는 인장 롤러(500)의 하류에 설치된다. 건조 장치(600)는 소정의 가열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원단에 도포된 접착층을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가열 장치는 접착층을 예컨대 90℃ 내지 110℃ 정도의 온도로 가열하여 접착층을 반건조 상태로 만들 수 있다.The drying apparatus 600 is installed downstream of the tension roller 500. The drying apparatus 600 may include a predetermined heating device and may be disposed to face the adhesive layer applied to the fabric. The heating device can heat the adhesive layer to a temperature of, for example, about 90 ° C to 110 ° C to make the adhesive layer semi-dry.

이어서, 건조 장치(600)를 통과한 원단은 소정의 후속 공정 모듈(700)로 투입될 수 있다. 후속 공정 모듈(700)은 예컨대 포일 등의 부재를 원단에 대해 공급하여 원단에 형성된 접착층에 포일이 부착되도록 하는 포일 공급 장치, 및 각종 마감 작업을 하는 마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Then, the fabric having passed through the drying apparatus 600 may be introduced into a predetermined subsequent process module 700. The subsequent process module 700 may include a foil feeder that feeds a foil, for example, a member such as a foil to the fabric so that the foil adheres to the adhesive layer formed on the fabric, and a finisher that performs various finishing operations.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제조 장치는 승하강 롤러 모듈(300)을 구비함으로써, 원단에 묻는 접착제(22)의 양 및 접착층의 두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lifting and lowering roller module 300 so that the amount of the adhesive 22 adhering to the fabric and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appropriately adjust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원단 제조 장치는 전후진 롤러 모듈(400)을 구비함으로써, 제1 롤러(210)와 제2 롤러(310) 사이에 투입되는 원단의 시간당 투입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층 형성 과정에서 원단의 일부가 뜨거나, 또는 울게 되는 현상이 방지되어 균일한 접착층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fabric manufactu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forward and backward roller module 400, the amount of the input per unit time between the first roller 210 and the second roller 310 can be kept constant. Therefore, a phenomenon that a part of the fabric is floated or cried in the process of forming the adhesive layer is prevented, and a uniform adhesive layer can be formed.

이상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10: 프레임
20: 수조
22: 접착제
100: 원단 공급 모듈
200: 접착층 형성 롤러 모듈
210: 제1 롤러
212: 고정 수단
220: 제1 회전축
230: 제1 사이드 기어
240: 연결 단부
250: 핸들
300: 승하강 롤러 모듈
310: 제2 롤러
320: 제2 회전축
330: 제2 사이드 기어
340: 승하강 장치
342: 상하 이동 블록
344: 관통공
346: 상하 이동 축
348: 수나사부
350: 핸들
352: 지그
400: 전후진 롤러 모듈
410: 제3 롤러
420: 제3 회전축
430: 제3 사이드 기어
440: 전후진 장치
442: 전후 이동 블록
444: 실린더 모듈
446: 실린더 바디
448: 피스톤
450: 공압 튜브
452: 지그
500: 인장 롤러
600: 건조 장치
700: 후속 공정 모듈
10: frame
20: Water tank
22: Adhesive
100: Fabric feeding module
200: Adhesive layer forming roller module
210: first roller
212: Fixing means
220: first rotating shaft
230: first side gear
240: connection end
250: Handle
300: Up and down roller module
310: second roller
320:
330: second side gear
340:
342: Up and down movement block
344: Through hole
346: Up and down movement axis
348: Male threads
350: Handle
352: jig
400: forward and backward roller module
410: third roller
420: third rotating shaft
430: Third side gear
440:
442: back and forth moving block
444: Cylinder module
446: Cylinder body
448: Piston
450: Pneumatic tube
452: Jig
500: tension roller
600: Drying device
700: Subsequent process module

Claims (17)

원단을 공급하는 원단 공급 모듈;
상기 원단의 진행 방향으로 상기 원단 공급 모듈보다 하류측에 배치되며,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원단에 접착층을 형성하는 제1 롤러를 포함한 접착층 형성 롤러 모듈;
상기 제1 롤러의 상측에 배치되며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승하강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롤러를 포함한 승하강 롤러 모듈;
상기 원단의 진행 방향으로 상기 접착층 형성 롤러 모듈보다 상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롤러에 대해서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하고 제3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전후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된 제3 롤러를 포함한 전후진 롤러 모듈;
상기 원단의 진행 방향으로 상기 승하강 롤러 모듈보다 하류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롤러와 제2 롤러 사이를 통과한 원단을 잡아 당기는 인장 롤러;
상기 원단의 진행 방향으로 상기 인장 롤러보다 하류측에 배치되는 건조 장치; 및
상기 접착층 형성 롤러 모듈의 상기 제1 롤러 아래에 위치하며 접착제가 담겨지는 수조; 를 포함하며,
상기 원단 공급 모듈에서 공급된 원단은 상기 제2 롤러와 상기 제3 롤러 사이를 통과한 후, 상기 제2 롤러와 상기 제1 롤러 사이를 통과하고,
상기 전후진 롤러 모듈은,
상기 제3 롤러를 전후진시키는 전후진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진 장치는,
상기 제3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전후 이동 블록, 및
상기 전후 이동 블록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모듈을 포함하는 원단 제조 장치.
A fabric supply module for supplying the fabric;
An adhesive layer forming roller module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far-end feed module in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abric, and including a first roller rotating around a first rotation axis to form an adhesive layer on a far end;
An ascending / descending roller module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roller, the ascending / descending roller module including a second roller configured to be able to rotate up and down about a second rotation axis;
And a third roller arrang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adhesive layer forming roller module in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abric and arranged in a horizont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roller, being rotatable about the third rotary shaft and displaceable in the front- Gill Roller Module;
A tension roller disposed downstream of the lifting and lowering roller module in the direction of travel of the fabric and pulling a fabric having passed between the first roller and the second roller;
A drying device disposed downstream of the tension roller in a traveling direction of the fabric; And
A water tub positioned below the first roller of the adhesive layer forming roller module and containing an adhesive; / RTI >
The raw material fed from the far-end feed module passes between the second roller and the third roller, then passes between the second roller and the first roller,
Wherein the forward / backward roller module comprises:
And a forward / backward device for moving the third roller back and forth,
Wherein the forward /
A back-and-forth moving block in which the third rotating shaft is rotatably supported, and
And a cylinder module for moving the front and rear moving block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형성 롤러 모듈은,
상기 제1 회전축을 회전시켜서 상기 제1 롤러를 회전시키는 소정의 구동 장치를 더 포함하는 원단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layer forming roller module comprises:
And a predetermined driving device for rotating the first roller by rotating the first rotation shaf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은 상기 제1 롤러의 양 측에 탈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원단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the first rotation axis is detachably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first roll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축은 연장 방향으로 변위 가능하게 구성되며,
일 단에 상기 제1 롤러의 일 측과 탈착 가능한 연결 단부를 구비하는 원단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rotation axis is configured to be displaceable in an extending direction,
And a connecting end detachable from one side of the first roller at one en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롤러 모듈은,
상기 제2 롤러를 승하강시키는 승하강 장치를 포함하는 원단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elevating roller module includes:
And an ascending / descending device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the second roll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장치는,
상기 제2 회전축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하 이동 블록, 및
상기 상하 이동 블록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하 이동 축을 포함하는 원단 제조 장치.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lifting /
A vertical movement block in which the second rotation axis is rotatably supported, and
And a vertical movement axis for moving the up-and-down movement block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 블록은, 상하로 관통되며 내측에 암나사부가 형성된 관통공을 갖고,
상기 상하 이동 축은 외측 둘레면에 형성된 수나사부를 갖고 적어도 일 부분이 소정의 프레임에 지지되며,
상기 상하 이동 축이 상기 관통공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상하 이동축의 회전에 따라서 상기 상하 이동 블록이 상하 방향으로 변위하는 원단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up-and-down moving block has a through-hole penetrating vertically and having a female threaded portion inside,
Wherein the vertical movement shaft has a male thread portion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supported by a predetermined frame,
Wherein the up-and-down moving shaft is screwed to the through-hole so that the up-and-down moving block is displaced in the up-down direction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up-down moving shaf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장치는,
상기 상하 이동 축의 상하 이동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눈금이 표시된 소정의 간격 표시부를 포함하는 원단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lifting /
And a predetermined interval display unit for displaying a scale capable of measuring a vertical movement distance of the up-and-down movement axi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모듈은,
소정의 공압 튜브와 연결되어 내부에 공기압을 주입받는 실린더 바디, 및
일단은 상기 실린더 바디 내에 위치하며 타단은 상기 전후 이동 블록에 연결되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원단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ylinder module includes:
A cylinder body connected to a predetermined pneumatic tube to receive air pressure therein,
And a piston, one end of which is located in the cylinder body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ack and forth moving bloc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형성 모듈, 승하강 롤러 모듈, 및 전후진 롤러 모듈은,
각각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원단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layer forming module, the ascending / descending roller module, and the forward /
And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power to the fabric.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층 형성 모듈은 상기 제1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제1 사이드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승하강 롤러 모듈은 상기 제2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제2 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제2 사이드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전후진 롤러 모듈은 상기 제3 회전축에 구비되어 상기 제3 롤러와 함께 회전하는 제3 사이드 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사이드 기어는 상기 제2 사이드 기어와 치합되며, 상기 제3 사이드 기어는 상기 제2 사이드 기어와 치합되는 원단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dhesive layer forming module includes a first side gear provided on the first rotation shaft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first roller,
Wherein the ascending / descending roller module includes a second side gear provided on the second rotation shaft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second roller,
Wherein the forward and reverse roller module includes a third side gear provided on the third rotation shaft and rotating together with the third roller,
Wherein the first side gear is engaged with the second side gear, and the third side gear is engaged with the second side gea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의 시간당 회전 거리, 상기 제2 롤러의 시간당 회전 거리, 및 상기 제3 롤러의 시간당 회전 거리는 동일한 원단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rotation distance per hour of the first roller, a rotation distance per hour of the second roller, and a rotation distance per hour of the third roller are the sam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롤러는, 상기 승하강 롤러 모듈 위쪽에 배치되며, 상기 원단의 이동 방향을 꺾고 상기 건조 장치에 전달하는 원단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ension roller is disposed above the lifting and lowering roller module and folds the moving direction of the fabric to transfer the fabric to the dry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단은 상기 제1 롤러와 상기 제3 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진행 방향이 소정의 각도만큼 꺾이게 구성되는 원단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abric is passed through between the first roller and the third roller so that the advancing direction is bent by a predetermined ang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회전축은,
상기 제1 회전축과 같은 높이에 위치하거나, 또는 상기 제1 회전축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는 원단 제조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third rotation shaft
And is located at the same height as the first rotation axis or at a position higher than the first rotation axis.
KR1020170113817A 2017-09-06 2017-09-06 Apparatus for fabric KR10184735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817A KR101847353B1 (en) 2017-09-06 2017-09-06 Apparatus for fabric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3817A KR101847353B1 (en) 2017-09-06 2017-09-06 Apparatus for fabric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353B1 true KR101847353B1 (en) 2018-04-09

Family

ID=619777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3817A KR101847353B1 (en) 2017-09-06 2017-09-06 Apparatus for fabric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353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568B1 (en) 2018-07-10 2018-12-28 김현옥 fabric inspection apparatu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436B1 (en) * 2005-08-02 2006-08-29 박찬수 Multi-functional apparatus for forming ornamental designs on textiles
KR101146291B1 (en) 2011-11-03 2012-05-16 최명헌 Laminating fabric and processing device thereof
KR101760414B1 (en) * 2016-08-11 2017-07-21 영풍화성(주) Apparatus of manufacturing retro-reflective fabric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6436B1 (en) * 2005-08-02 2006-08-29 박찬수 Multi-functional apparatus for forming ornamental designs on textiles
KR101146291B1 (en) 2011-11-03 2012-05-16 최명헌 Laminating fabric and processing device thereof
KR101760414B1 (en) * 2016-08-11 2017-07-21 영풍화성(주) Apparatus of manufacturing retro-reflective fabric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2568B1 (en) 2018-07-10 2018-12-28 김현옥 fabric inspection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353B1 (en) Apparatus for fabric
US2649131A (en) Machine and method for producing continuous honeycomb structures
DE3936038A1 (en) Changing intermittent to steady motion - in which double layer thermoplastic film is moved intermittently for welding and perforating is festooned and then drawn under tension
US2419694A (en) Method of stencilling pile fabrics by suction
CN106956499A (en) Towards the warp prints module of warp sizing machine
US1914801A (en) Machine for making reenforced sheet materials
US3126606A (en) Feeder for tubular knit fabrics
US1974209A (en) Method of forming articles of rubber material
CN104944192B (en) Intermittent leapfrog machine, the printing machine conveyer and printing machine for including it
US2710045A (en) Corrugated paper web guiding and tensioning apparatus
US2031063A (en) Continuous machine for printing floor and wall coverings
CN212920773U (en) Full-automatic double-sided roll-to-roll screen printing device
CN108327387B (en) Drum-type meshbelt polychrome lithography apparatus
CN113954508A (en) Environment-friendly plastic bag surface image-text printing machine and printing method
CN114249155A (en) Unidirectional cloth strip unwinding equipment capable of automatically correcting deviation and working method thereof
DE19844434C2 (en) Method for regulating the diameter of a tubular film web inflated between a pair of preferred rollers and a pair of pulling rollers to form a tubular film bubble
CN106364961A (en) Movable printing assembly line for cloth
DE2530871C2 (en) Device for the continuous production of rigid corrugated sheets
US3419453A (en) Machine for forming containers from thermoplastic webs or tubing
CN205631682U (en) Through -hole printing machine
US1790582A (en) op guyahoga palls
CN213325908U (en) Winding equipment
AT506191B1 (en) PRINTING
US2925035A (en) Register producing means for a roller printing machine
US2123646A (en) Method of producing felt base floor covering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