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018B1 -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018B1
KR101847018B1 KR1020110109595A KR20110109595A KR101847018B1 KR 101847018 B1 KR101847018 B1 KR 101847018B1 KR 1020110109595 A KR1020110109595 A KR 1020110109595A KR 20110109595 A KR20110109595 A KR 20110109595A KR 101847018 B1 KR101847018 B1 KR 101847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liner
oil
pressure vessel
productio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5117A (ko
Inventor
임흥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9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018B1/ko
Publication of KR20130045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51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BEARTH OR ROCK DRILLING; OBTAINING OIL, GAS, WATER, SOLUBLE OR MELTABLE MATERIALS OR A SLURRY OF MINERALS FROM WELLS
    • E21B21/00Methods or apparatus for flushing boreholes, e.g. by use of exhaust air from motor
    • E21B21/06Arrangements for treating drilling fluids outside the borehole
    • E21B21/063Arrangements for treating drilling fluids outside the borehole by separat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17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centrifugal for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4Breaking emulsions
    • B01D17/042Breaking emulsions by changing the 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 C02F1/385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centrifugal separation by centrifuging suspens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1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from quarries or from mining activi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1Build in apparatus for autonomous on board water supply and wastewater treatment (e.g. for aircrafts, cruiseships, oil drilling platforms, railway trains, space 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luid Mechanic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Production Of Liquid Hydrocarbon Mixture For Refining Petroleu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 및 가스를 생산하는 해양 플랫폼에서 시추 및 생산공정 중에 생산되는 생산수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되, 열교환 기능을 갖춰 해양으로 배출되는 물의 온도도 조절가능하고, 열교환기의 추가설치비용도 절감하는 생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생산수 처리장치는, 오일 및 가스를 생산하는 해양 플랫폼에서 생산되는 생산수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생산수 처리장치로서, 상기 생산수를 유입받고, 유입되는 상기 생산수의 압력을 견디는 압력용기(100); 상기 압력용기(1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용기(100)로 유입되는 생산수를 전달받아 원심력을 이용해 물과 오일을 분리하는 라이너(500); 상기 압력용기(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500)를 지지하면서 상기 라이너(500)에 의해 분리된 물을 상기 유입된 생산수와 분리 유동되도록 하는 서포트 플레이트(300); 상기 압력용기(100)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500)를 지지하면서 상기 라이너(500)에 의해 분리된 오일을 상기 유입된 생산수와 분리 유동되도록 하는 리젝트 플레이트(400); 및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00) 및 리젝트 플레이트(4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500)를 지지하면서 상기 유입된 생산수와 상기 압력용기(100)로 유입되는 냉매를 분리시키는 월플레이트(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Produced treatment apparatus with heat exchange}
본 발명은 생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일 및 가스를 생산하는 해양 플랫폼에서 시추 및 생산공정 중에 생산되는 생산수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되, 열교환 기능을 갖춰 해양으로 배출되는 물의 온도도 조절가능하고, 열교환기의 추가설치비용도 절감하는 생산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양 플랫폼(offshore platform)에서 오일(oil)과 가스(gas)를 생산하는 과정에서 생산수(produced water)가 부수적으로 생산되며, 이러한 생산수는 생산된 오일이 수반된 물로서, 현탁액(suspension)과 미세한 무기물 미립자들 안에 수용된 작은 오일 방울이 포함된 것이다.
해양 플랫폼의 공정에서는 생산수를 해양으로 배출하여 처리하는데, 환경문제로 인해 생산수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하여 오일 함량이 소정 ppm 이하가 되도록 하여 해양으로 배출한다.
생산수에 포함된 오일을 분리하는 방법으로는 일반적으로 부상시스템(floating system)의 몇몇 형태를 채용하는데, 그 중 하나는 석유산업에서 채용된 분리 기술의 하나로 API와 탈지탱크(skim tank)와 같은 중력 분리(gravity separation) 탱크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 기술은 중력분리가 가능하게 하는 오일과 물의 밀도차에 의한 것으로, 상대적으로 간단하고 저렴한데, 오염된 물이 미리 정해진 기간 동안 용기에 갇히고, 그 시간 동안 오일은 물로부터 분리되어 용기 표면으로 올라와 모여, 오일을 걷어낼 수 있도록 된다.
체류시간, 오일속성 및 유입 흐름(inlet stream) 특성과 같은 요소는 분리를 촉진시키기 위해 제어될 수 있으며, 탱크 치수도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분리기는 큰 오일방울을 제거하는데 상당히 효과적이지만, 20 마이크론 미만의 오일방울을 제거하는데는 상당히 덜 효과적이며, 상당한 체류시간이 요구된다.
다른 기술로는 주름판 인터셉터(corrugated plate interceptor, CPI)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CPI용기 내에서 경사진 판에 긴 유체 이동 통로를 제공하여 주름판에 밀도차를 증대시켜 오일을 분리하나 이 역시 50마이크론 미만의 석유방울들을 제거하는데는 일반적으로 비효율적이라는 동일한 한계를 가진다.
유도가스부상(induced gas floatation, IGF) 용기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는데, 여전히 제거할 수 있는 오일 방울의 크기 관점에서 한계가 있고, 화학적 처리도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과 달리, 오일 및 가스를 생산하는 해양 플랫폼에서 생산되는 생산수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되, 열교환 기능을 갖춰 해양으로 배출되는 물의 온도 조절이 가능하고, 열교환기의 추가설치 필요도 없으며, 설치공간의 활용성을 높이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오일 및 가스를 생산하는 해양 플랫폼에서 생산되는 생산수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생산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산수를 유입받고, 유입되는 상기 생산수의 압력을 견디는 압력용기(100); 상기 압력용기(1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용기(100)로 유입되는 생산수를 전달받아 원심력을 이용해 물과 오일을 분리하는 복수개의 라이너(500); 상기 압력용기(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500)를 지지하면서 상기 라이너(500)에 의해 분리된 물을 상기 유입된 생산수와 분리 유동되도록 하는 서포트 플레이트(300); 상기 압력용기(100)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500)를 지지하면서 상기 라이너(500)에 의해 분리된 오일을 상기 유입된 생산수와 분리 유동되도록 하는 리젝트 플레이트(400); 및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00) 및 리젝트 플레이트(4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500)를 지지하면서 상기 유입된 생산수와 상기 압력용기(100)로 유입되는 냉매를 분리시키는 월 플레이트(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00)는 상기 압력용기(100)의 일측에 상기 라이너(500)에 의해 분리된 물이 모이는 물 저장공간(720)을 형성하고; 상기 리젝트 플레이트(400)는 상기 압력용기(100)의 타측에 상기 분리된 오일이 모이는 오일 저장공간(730)을 형성하고; 상기 월 플레이트(600)는 상기 압력용기(100)의 중앙부에 상기 유입된 생산수가 흐르는 생산수 유동공간(750)과 상기 유입된 냉매가 흐르는 냉매 유동공간(850)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너(500)는, 상기 물 저장공간(720), 생산수 유동공간(750), 냉매 유동공간(850) 및 오일 저장공간(830)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물 저장공간(720)에 위치하는 라이저(500)에는 상기 분리된 물이 배출되는 물 출구(520)가 위치하고, 상기 오일 저장공간(730)에 위치하는 라이저(500)에는 상기 분리된 오일이 배출되는 오일 출구(530)가 형성되며, 상기 생산수 유동공간(750)에 위치하는 라이저(500)에는 상기 압력용기(100)로 유입된 생산수가 상기 라이너(500)의 내부로 전달되는 생산수 입구(510)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라이너(500)는, 테이퍼 형상을 하되, 상기 물 출구(520) 측 직경이 상기 오일 출구(530) 측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물 저장공간(720)에는 상기 분리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 배출구(721)를 형성하고; 상기 오일 저장공간(730)에는 상기 분리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되는 오일 배출구(73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산수 유동공간(750)에는 상기 생산수가 유입되는 생산수 유입구(710)를 형성하고, 상기 냉매 유동공간(850)에는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구(810) 및 상기 냉매가 유출되는 냉매 유출구(820)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산수 유입구(710)는 상기 생산수 유동공간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냉매 유입구(810)는 상기 냉매 유동공간(85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냉매 유출구(820)는 상기 냉매 유동공간(85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매는 상기 라이너(500) 내부를 흐르는 유체로부터 폐열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오일 및 가스를 생산하는 해양 플랫폼에서 생산되는 생산수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생산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산수와 냉매를 유입받아 서로 섞이지 않도록 분리시켜 유동되도록 하는 압력용기(100) 및
상기 압력용기(100) 내부에 설치되어 원심력을 이용해 상기 유입된 생산수를 전달받아 물과 오일을 분리하는 라이너(500);를 포함하되, 상기 냉매는 상기 라이너(500) 내부를 흐르는 상기 생산수, 물 및 오일로부터 폐열을 흡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압력용기(100)에는 상기 라이너(500)에 의해 분리된 물이 모이는 물저장공간(720)과 상기 라이너(500)에 의해 분리된 오일이 모이는 오일저장공간(730)이 형성되며, 각각의 공간에는 모인 물 및 오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721, 7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해양 플랫폼이 설치되는 국가의 환경법에 맞춰 플랫폼 밖으로 배출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열교환기의 설치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열교환기의 설치를 위한 공간을 절약할 수 있어 해양 플랫폼의 공간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100)는, 오일(oil) 및 가스(gas)를 생산하는 해양 플랫폼(offshore platform)에서 생산되는 생산수(produced water)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생산수 처리장치로서, 압력용기(100), 라이너(liner, 500), 서포트 플레이트(support plate, 300), 리젝트 플레이트(reject plate, 400), 월 플레이트(wall plate, 600)를 포함한다.
압력용기(100)는 생산수를 유입받고, 유입된 생산수의 압력을 견디도록 제작되며, 라이너(500)로 생산수를 전달한다.
라이너(500)는 압력용기(100) 내부에 복수개 설치되어 압력용기(100)로 유입되는 생산수를 전달받아 원심력을 이용해 물과 오일을 분리한다. 따라서, 생산수는 라이너(500) 내부로 공급될 때 라이너(500) 내부의 면을 따라 접선방향으로 공급되어야 더욱 빠른 원심력이 작용되어 물과 오일의 분리가 잘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라이너(5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 형상을 하여 물 출구(520) 측 직경을 오일 출구(530) 측 직경보다 작도록 제작하는데, 이는 라이너(500)로 들어온 생산수의 회전이 더욱 잘 발생할 수 있도록 하여 물과 오일의 분리효율을 높여줄 수 있다.
밀도가 높은 물은 분리되어 라이너(500)의 중심부로부터 멀어져서 라이너(500)의 내부 벽을 따라 회전하고, 밀도가 낮은 오일은 분리되어 라이너(500)의 중심부에 모여 각각 양측의 출구(520, 530)로 가게 된다.
서포트 플레이트(300)는 압력용기(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라이너(500)를 지지하면서 라이너(500)에 의해 분리된 물을 유입된 생산수와 분리 유동되도록 한다.
서포트 플레이트(300)에 의해 오일이 분리된 물이 생산수와 섞이지 않도록 차단되어 해양으로 배출하기에 적합한 물을 형성하게 된다.
리젝트 플레이트(400)는 압력용기(100)의 타측에 형성되어 라이너(500)를 지지하면서 라이너(500)에 의해 분리된 오일을 유입된 생산수와 분리 유동되도록 한다.
오일이 분리된 물은 압력용기(100)의 일측에 형성된 서포트 플레이트(300)에 의해 만들어지는 물 저장공간(720)에 모이도록 할 수 있고, 분리된 오일은 압력용기(100)의 타측에 형성된 리젝트 플레이트(400)에 의해 만들어지는 오일 저장공간(730)에 모이도록 할 수 있다.
물 저장공간(720)에는 분리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 배출구(721)를 형성하고, 오일 저장공간(730)에는 분리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되는 오일 배출구(731)를 형성하여 물 저장공간(720) 및 오일 저장공간(730)에 모인 물과 오일을 각각 압력용기(100)의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월 플레이트(600)는 서포트 플레이트(300) 및 리젝트 플레이트(400) 사이에 형성되어 라이너(500)를 지지하면서 유입된 생산수와 압력용기(100)로 유입되는 냉매를 분리시킨다.
월 플레이트(600)는 압력용기(100)의 중앙부에 유입된 생산수가 흐를 수 있는 생산수 유동공간(750)과 유입된 냉매가 흐를 수 있는 냉매 유동공간(850)을 형성한다.
따라서, 압력용기(100)는 압력용기의 일측 외벽과 서포트 플레이트(300) 사이에 형성되는 물 저장공간(720), 서포트 플레이트(300)와 월 플레이트(600) 사이에 형성되는 냉매 유동공간(850), 월 플레이트(600)와 리젝트 플레이트(400) 사이에 형성되는 생산수 유동공간(750), 리젝트 플레이트(400)와 압력용기의 타측 외벽 사이에 형성되는 오일 저장공간(730)을 형성하게 된다.
라이너(500)는 서포트 플레이트(300), 월 플레이트(600) 및 리젝트 플레이트(400)를 관통하여 물 저장공간(720), 냉매 유동공간(850), 생산수 유동공간(750) 및 오일 저장공간(830)에 걸치도록 형성되며, 라이너(500)에서 분리된 물이 물 저장공간(720)에 모일 수 있도록 분리된 물이 배출되는 물 출구(520)가 물 저장공간(720)에 위치하는 라이저(500)에 형성되고, 분리된 오일이 오일 저장공간(730)에 모일 수 있도록 분리된 오일이 배출되는 오일 출구(530)가 오일 저장공간(730)에 위치하는 라이저(500)에 형성된다.
또한, 압력용기(100)로 유입된 생산수가 라이너(500)의 내부로 전달될 수 있도록 생산수가 라이저(500)로 들어가는 생산수 입구(510)는 생산수 유동공간(750) 상에 있는 라이너(500)에 형성된다.
생산수 유동공간(750)에는 생산수가 유입되는 생산수 유입구(710)가 형성될 수 있고, 냉매 유동공간(850)에는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구(810) 및 냉매가 유출되는 냉매 유출구(820)가 형성될 수 있다.
생산수 유입구(710), 냉매 유입구(810) 및 냉매 유출구(820)는 상기 각각의 공간(750, 850) 어느 곳이나 외부와 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에 도시된 일실시예에서는, 생산수 유입구(710)를 생산수 유동공간의 상부에 형성되도록 하였고, 냉매 유입구(810)는 냉매 유동공간(850)의 상부에 형성되며, 냉매 유출구(810)는 냉매 유동공간(850)의 하부에 형성되도록 하였다.
냉매 유동공간(850)으로 공급되는 냉매는 냉매 유동공간 상을 지나는 라이너(500)의 내부를 흐르는 유체(생산수, 물, 오일)와 라이너(500)의 표면에서 열교환을 하여 유체가 지니는 폐열을 흡수하여 유체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산수 처리장치(100)는, 오일 및 가스를 생산하는 해양 플랫폼에서 생산되는 생산수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생산수 처리장치로서, 생산수와 냉매를 유입받아 서로 섞이지 않도록 분리시켜 유동되도록 하는 압력용기(100) 및 압력용기(100) 내부에 설치되어 원심력을 이용해 유입된 생산수를 전달받아 물과 오일을 분리하는 라이너(500)를 포함하되, 냉매는 라이너(500) 내부를 흐르는 생산수, 물 및 오일로부터 폐열을 흡수한다.
압력용기(100)에는 라이너(500)에 의해 분리된 물이 모이는 물저장공간(720)과 라이너(500)에 의해 분리된 오일이 모이는 오일저장공간(730)이 형성되며, 각각의 공간에는 모인 물 및 오일이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구(721, 731)가 형성되어 배출구를 통해 물과 오일이 배출되어 최종적으로 해양 플랫폼에서 생산된 생산수가 처리된다.
또, 앞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언급된 다양한 기술구성은 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하 본 발명에 열교환 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의 작용에 대해 도 1에 도시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해양 플랫폼에서 생산되는 생산수는 생산수 유입구(710)를 통해 압력용기(200)로 공급되고, 압력용기(200)로 공급된 생산수는 압력용기(200) 내부에 설치된 라이너(500)에 형성된 생산수 입구(510)를 통해 라이너(500) 내부로 들어간다.
생산수 입구(510)는 압력용기(200) 내에서 월 플레이트(600)와 리젝트 플레이트(400)에 의해 형성되는 생산수가 흐르는 공간인 생산수 유동공간(750)에 위치한다.
라이너(500) 내부로 들어간 생산수는 원심력을 이용해 밀도차가 나는 물과 오일로 분리되고, 고밀도인 물은 서포트 플레이트(300)와 압력용기의 내벽이 형성하는 물 저장공간(720)을 향하여 형성된 물 출구(520)를 통해 물 저장공간(720)으로 보내지고, 저밀도인 오일은 리젝트 플레이트(400)와 압력용기의 내벽이 형성하는 오일 저장공간(730)을 향하여 형성된 오일 출구(530)를 통해 오일 저장공간(730)으로 보내진다.
분리된 물은 물 배출구(721)를 통해 압력용기(200)의 외부로 배출되어 해양으로 버려지고, 분리된 오일은 오일 배출구(731)를 통해 압력용기(200)의 외부로 배출되어 후공정에서 사용된다.
이 때, 서포트 플레이트(300)와 월 플레이트(600)가 형성하는 냉매 유동공간(850)으로 냉매가 공급되며, 냉매 유입구(810)를 통해 공급된 냉매는 라이너(500) 내부를 흐르는 유체(물, 오일, 생산수)와 라이너(500)의 표면에서 열교환을 하여 유체가 가지는 폐열을 흡수하고, 냉매 유출구(820)를 통해 압력용기(200)외부로 나오게 된다.
또한, 해양으로 배출되는 물은 해당 국가의 환경법에 맞는 온도를 갖출 수 있도록 냉매 유동공간(850)으로 공급되는 냉매의 종류를 적절히 선택해 폐열을 적정 용량을 흡수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적절한 용량의 폐열을 흡수하기 위해 냉매를 재순환시키도록 시스템을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해양 플랫폼에서 생산되는 생산수를 처리하는 장치가 열교환기 기능도 할 수 있도록 하여 상술한 다양한 효과를 달성하는 생산수 처리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0: 생산수 처리장치 200: 압력용기
300: 서포트 플레이트 400: 리젝트 플레이트
500: 라이너 510: 생산수 입구
520: 물 출구 530: 오일 출구
600: 월 플레이트 710: 생산수 유입구
720: 물 저장공간 721: 물 배출구
730: 오일 저장공간 731: 오일 배출구
750: 생산수 유동공간 810: 냉매 유입구
820: 냉매 유출구 850: 냉매 유동공간

Claims (10)

  1. 오일 및 가스를 생산하는 해양 플랫폼에서 생산되는 생산수로부터 오일을 분리하는 것과 동시에 배출온도를 조절하는 생산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생산수를 유입받고, 유입되는 상기 생산수의 압력을 견디는 압력용기(100);
    상기 압력용기(100)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압력용기(100)로 유입되는 생산수를 전달받아 원심력을 이용해 물과 오일을 분리하는 복수개의 라이너(500);
    상기 압력용기(100)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500)를 지지하면서 상기 라이너(500)에 의해 분리된 물을 상기 유입된 생산수와 분리 유동되도록 하는 서포트 플레이트(300);
    상기 압력용기(100)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500)를 지지하면서 상기 라이너(500)에 의해 분리된 오일을 상기 유입된 생산수와 분리 유동되도록 하는 리젝트 플레이트(400); 및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00) 및 리젝트 플레이트(40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라이너(500)를 지지하면서 상기 유입된 생산수와 상기 압력용기(100)로 유입되는 냉매를 분리시키는 월 플레이트(600);를 포함하고,
    상기 압력용기(10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압력용기(100)의 일측에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00)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라이너(500)에 의해 분리된 물이 모이는 물 저장공간(720);
    상기 압력용기(100)의 타측에 상기 리젝트 플레이트(400)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라이너(500)에 의해 분리된 오일이 모이는 오일 저장공간(730);
    상기 압력용기(100)의 중앙부에 상기 월 플레이트(600), 서포트 플레이트(300) 및 리젝트 플레이트(400)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유입된 생산수가 유동하는 생산수 유동공간(750); 및
    상기 압력용기(100)의 중앙부에 상기 월 플레이트(600), 서포트 플레이트(300) 및 리젝트 플레이트(400)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유입된 냉매와 상기 라이너(500) 내부를 흐르는 유체가 열교환하는 냉매 유동공간(850);을 포함하며,
    상기 냉매 유동공간(850)은 상기 물 저장공간(720)과 생산수 유동공간(750)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냉매는 상기 라이너(500) 내부를 흐르는 유체의 폐열을 흡수하여 상기 분리되는 물의 온도를 조절하는,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500)는,
    상기 물 저장공간(720), 생산수 유동공간(750), 냉매 유동공간(850) 및 오일 저장공간(730)에 걸쳐 형성되며,
    상기 물 저장공간(720)에 위치하는 라이너(500)에는 상기 분리된 물이 배출되는 물 출구(520)가 위치하고,
    상기 오일 저장공간(730)에 위치하는 라이너(500)에는 상기 분리된 오일이 배출되는 오일 출구(530)가 형성되며,
    상기 생산수 유동공간(750)에 위치하는 라이너(500)에는 상기 압력용기(100)로 유입된 생산수가 상기 라이너(500)의 내부로 전달되는 생산수 입구(510)가 형성되는,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라이너(500)는,
    테이퍼 형상을 하되, 상기 물 출구(520) 측 직경이 상기 오일 출구(530) 측 직경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공간(720)에는 상기 분리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물 배출구(721)를 형성하고;
    상기 오일 저장공간(730)에는 상기 분리된 오일을 외부로 배출되는 오일 배출구(731)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생산수 유동공간(750)에는 상기 생산수가 유입되는 생산수 유입구(710)를 형성하고,
    상기 냉매 유동공간(850)에는 상기 냉매가 유입되는 냉매 유입구(810) 및 상기 냉매가 유출되는 냉매 유출구(820)를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생산수 유입구(710)는 상기 생산수 유동공간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냉매 유입구(810)는 상기 냉매 유동공간(850)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냉매 유출구(820)는 상기 냉매 유동공간(850)의 하부에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10109595A 2011-10-25 2011-10-25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 KR101847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595A KR101847018B1 (ko) 2011-10-25 2011-10-25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595A KR101847018B1 (ko) 2011-10-25 2011-10-25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117A KR20130045117A (ko) 2013-05-03
KR101847018B1 true KR101847018B1 (ko) 2018-05-28

Family

ID=486573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595A KR101847018B1 (ko) 2011-10-25 2011-10-25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701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28991B (zh) * 2015-05-07 2017-01-18 中国海洋石油总公司 一种用于海上平台的开排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333B1 (ko) 2013-11-14 2016-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기름 분리를 위한 일체형 수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9333B1 (ko) 2013-11-14 2016-03-04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기름 분리를 위한 일체형 수처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5117A (ko) 2013-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70080B1 (en) High pressure separator
US2420115A (en) Methods of and apparatus for treating oil well streams
EP2789396B1 (en) Vortex separator and separation method
US7270690B1 (en) Separator with vane assembly and filter arrangement
JP2767574B2 (ja) 小型で高効率のガス/液体分離方法及び装置
US9782699B2 (en) Liquid refinement
EP2800631B1 (en) Dynamic particle separator
WO2013024468A2 (en) Deaeration apparatus and method
US20130312609A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filtration of solid particles and separation of liquid droplets and liquid aerosols from a gas stream
JP2016198757A (ja) 熱効率の高い3相セパレーター
RU2338574C1 (ru) Способ разделения воды, нефтепродуктов и механических примесей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847018B1 (ko) 열교환기능을 갖는 생산수 처리장치
US7484627B2 (en) EIP pack for separating oil from water
CN106698722B (zh) 油水分离装置及应用
WO200604242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fluids from oil wells
US20220054956A1 (en) Fluid treatment separator and a system and method of treating fluid
CN110078161A (zh) 一种海上平台生产废水紧凑高效除油的装置及方法
CN104874206B (zh) 分离器管束旋流入口装置
KR101599333B1 (ko) 기름 분리를 위한 일체형 수처리 시스템
WO2013154436A1 (en) Inlet device for dehydration towers
RU2321547C2 (ru) Нефтеводяной центробежно-фильтрующий сепаратор
KR101652375B1 (ko) 유정유체 분리장치
KR101572442B1 (ko) 기름의 재분리 기능을 구비한 가스제거 장치
KR102217035B1 (ko) 압축공기 유수분 분리장치
JP6996696B2 (ja) 液体中の混入物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