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7009B1 - 인조모발 식립장치 - Google Patents

인조모발 식립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7009B1
KR101847009B1 KR1020170144416A KR20170144416A KR101847009B1 KR 101847009 B1 KR101847009 B1 KR 101847009B1 KR 1020170144416 A KR1020170144416 A KR 1020170144416A KR 20170144416 A KR20170144416 A KR 20170144416A KR 101847009 B1 KR101847009 B1 KR 101847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needle
placing
artificial hair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신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먼웰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먼웰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먼웰니스
Priority to KR1020170144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70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7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7009B1/ko
Priority to PCT/KR2018/006999 priority patent/WO2019088392A1/ko
Priority to US16/623,455 priority patent/US11452591B2/en
Priority to CN201821060770.5U priority patent/CN209153794U/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68Trocars; Puncturing needles for implanting or removing devices, e.g. prostheses, implants, seeds, wi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095Packages or dispensers for prostheses or other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0Hair or skin impl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367Details of actuation of instruments, e.g. relations between pushing buttons, or the like, and activation of the tool, working tip,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743Type of operation; Specification of treatment sites
    • A61B2017/00747Dermatology
    • A61B2017/00752Hair removal or transplant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969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used for transplant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Prosthe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조모발 식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조모발을 두피에 식립하기 위한 식립장치로서, 중공의 바디를 갖는 바디부; 바디에 결합 고정되는 헤드와, 헤드에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헤드에서 인출되는 단부에 인조모발이 끼임되는 식립바늘과, 식립바늘과 헤드 사이에 구비되어 헤드에서 인출된 식립바늘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갖는 헤드부; 및 바디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과, 버튼에 구비되어 바디 내로 출입되면서 식립바늘을 눌러 헤드에서 인출시키는 누름축을 갖는 버튼부;를 포함하는 인조모발 식립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인조모발 식립장치{Grafting device for transplanting hair}
본 발명은 인조모발 식립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두피에 인조모발을 식립하기 위한 인조모발 식립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머리나 탈모증은 외모를 망치면서 결국 심리적인 질병까지도 일으킬 수 있는 일반적인 증세이다.
알려진 바와 의하면, 대머리나 탈모증은 여성보다는 남성에게서 월등하게 그 발생 빈도가 높으며, 탈모증의 경우 남자의 70%와 여자의 25% 정도가 탈모증으로 고생한다고 한다.
원인으로는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요인이 가장 큰 것으로 알려져 있고, 그 밖에 내분비계 장애, 자율신경계의 이상, 알레르기, 모근의 영양결핍, 세균 감염, 노화 등이 원인으로 추측되고 있다.
최근 현대인들에게는 대기 오염과 같은 환경적인 요인과 정신적 스트레스, 그리고 스프레이, 왁스와 같은 헤어 미용 제품의 과다 사용으로 인해 대머리의 일종인 탈모증의 발생 빈도도 늘어나고 있으며 환자들의 연령도 점차 낮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대머리나 탈모증은 발생 초기에 치료 예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미 많이 진행이 된 경우에는 국내 등록특허 제10-1129313호(명칭 : 가발 제조방법 및 이에 따른 가발, 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에서 제안된 바 있는 가발을 착용하여 사용한다.
하지만, 이러한 가발은 착용 상태가 부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썼다 벗었다 해야하는 번거로움과 불편함이 있다.
이에, 가발의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국내 등록특허 제10-0406160호(명칭 : 모발이식 시스템, 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한다)에서는 모발이식이 제안된 바 있는데, 제안된 바와 같이 모발이식을 이용하고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2에 개시된 모발이식 시스템은 모근을 절단하여 환부에 이식하는 과정을 자동화할 수 있지만, 모발이식의 자동화에 따른 모발이식 시스템이 너무 크고 복잡하므로 인해 모발이식의 범용화가 어렵고, 모발이식에 따른 비용이 고가인 단점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129313호 국내 등록특허 제10-0406160호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두피에 인조모발을 식립하는 식립장치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소형화하여 두피에 인조모발을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식립할 수 있도록 한 인조모발 식립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조모발 식립장치는, 인조모발을 두피에 식립하기 위한 식립장치로서, 중공의 바디를 갖는 바디부; 바디에 결합 고정되는 헤드와, 헤드에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헤드에서 인출되는 단부에 인조모발이 끼임되는 식립바늘과, 식립바늘과 헤드 사이에 구비되어 헤드에서 인출된 식립바늘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갖는 헤드부; 및 바디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과, 버튼에 구비되어 바디 내로 출입되면서 식립바늘을 눌러 헤드에서 인출시키는 누름축을 갖는 버튼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헤드는 두피에 접하는 단부가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헤드의 경사면에서 출입되는 식립바늘은 헤드의 긴 단부 측으로 치우친 상태로 인출되게 구비될 수 있으며, 식립바늘은 헤드에서 출입되는 그 단부에 후크부가 형성되고, 후크부의 긴 단부가 헤드의 경사면의 짧은 단부 측으로 위치되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헤드에는 그 내측으로 식립바늘이 삽입되어 구비되고, 외측으로는 복귀스프링이 끼워져 구비되는 결합관부가 구비되고, 식립바늘에는 그 일단부가 결합 고정되어 복귀스프링에 지지되는 결합부재가 구비될 수 있으며, 식립바늘의 결합부재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동시 복귀스프링에 접하는 안내돌부가 형성되고, 안내돌부에 대응한 헤드의 결합관부에는 안내돌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한편 식립바늘의 회전을 방지하는 안내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조모발 식립장치에 따르면, 인조모발을 두피에 식립하는 식립장치를 바디부와, 버튼부 및 헤드부로 구성하여 작업자가 식립장치를 손에 쥘 수 있도록 소형화하여, 인조모발을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식립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조모발을 두피 내의 모상근막에 정확히 식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모발 식립장치의 결합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립장치의 헤드 단부를 보인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모발 식립장치의 분리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식립장치의 헤드와 식립바늘의 분리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식립장치의 식립바늘에 인조모발을 끼는 과정의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식립장치의 식립바늘에 인조모발이 끼임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인조모발이 결합된 식립장치의 식립바늘이 원위치로 복귀된 상태의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식립장치를 이용하여 두피에 인조모발을 식립하는 상태의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식립장치를 이용한 인조모발의 식립 후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일측" 및 "타측' 등과 같은 선택적인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상에 형성" 및 "측면에 형성" 등은, 당해 구성요소들이 직접 접하여 적층 형성되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당해 구성요소들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더 형성되어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에 형성된다" 라는 것은 제 1 구성요소에 제 2 구성요소가 직접 접하여 형성되는 의미는 물론, 제 1 구성요소와 제 2 구성요소의 사이에 제 3 구성요소가 더 형성될 수 있는 의미를 포함한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인조모발 식립장치 및 이의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인조모발 식립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펜과 같은 형태로서, 인조모발(500)을 두피에 식립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식립장치(10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바디부(200)와, 바디부(200)의 선단부에 구성되는 헤드부(400), 바디부(200)의 후단부에 구성되는 버튼부(300)를 포함한다.
먼저, 바디부(200)는 중공의 바디(210)를 포함하고, 바디(210)는 그 양단부 즉 선단부와 후단부가 개구된 상태로 서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바디(210)는 인조모발(500)의 식립시 작업자가 식립장치(100)를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으로서, 식립장치(100)를 파지하는데 불편함이 없도록 일정길이로 형성된다.
그리고, 헤드부(400)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10)의 선단부에 구성된다. 즉, 헤드부(400)는 바디(210)의 선단부에 결합 고정되는 헤드(410)와, 헤드(410)에 삽입되어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식립바늘(440)과, 식립바늘(440)과 헤드(410) 사이에 구비되어 헤드(410)에서 인출된 식립바늘(44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제 1 복귀스프링(430)을 포함한다.
헤드(410)는 그 선단부가 사선 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411)으로 형성되고, 후단부는 바디(210)의 선단부에 착탈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특히, 헤드(410)의 경사면은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고, 경사면(411)의 양측에는 긴 단부(411a)와 짧은 단부(411b)가 형성된다.
이러한 헤드(410)의 경사면(411)은 두피에 인조모발(500)을 식립할 때, 헤드(410)에서 인출되는 식립바늘(440)의 상태를 판별할 수 있는 최소한의 판별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즉, 인조모발(500)의 식립시는 도 8에서와 같이, 헤드(410)의 긴 단부(411a)를 두피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식립장치(100)를 두피 측으로 기울여 헤드(410)의 짧은 단부(411b)와 두피를 둔각 이상의 각도로 벌려 줌으로써 헤드(410)에서 인출되는 식립바늘(440)과 인조모발(500)이 제 위치를 유지하고 있는지를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헤드(410)의 후단부에는 바디(210)와 나사 결합되는 보스가 돌출 형성되고, 보스에는 결합관부(420)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보스 내에 결합관부(420)가 삽입 고정된 상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결합관부(420)는 그 내부가 빈 중공부재로 형성되고, 그 후단부에는 플랜지(421)가 축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와 같은 결합관부(420)의 후단부에는 식립바늘(440)에 결합되는 후술될 결합부재(450)의 안내돌부(451)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안내공(422)이 형성되고, 안내공(422)은 결합관부(420)의 후단부에서 선단부 측으로 축방향을 따라 길게 절개되어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결합관부(420)의 외주면에는 압축 코일스프링의 제 1 복귀스프링(430)이 끼워져 구비되고, 제 1 복귀스프링(430)은 그 양단부가 결합관부(420)의 플랜지(421)와 헤드(410)의 후면에 접하여 구비되지만, 식립바늘(440)의 이동시는 식립바늘(440)에 구비된 결합부재(450)의 안내돌부(451)에 의해 헤드(410) 측으로 압축된다.
그리고, 식립바늘(440)은 헤드(410)의 결합관부(420)에 삽입된 상태로 헤드(410)에서 출입되는 바늘로서, 그 선단부에는 후크부(441)가 형성되고, 후크부(441)의 양측에는 긴 단부(441a)와 짧은 단부(441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식립바늘(440)의 후크부(441)는 헤드(410)의 경사면(411)으로 출입되게 구비되되, 이때 식립바늘(440)의 후크부(441)는 헤드(410)의 긴 단부(411a) 측으로 치우진 상태로 인출되게 구비된다. 이를 위해, 헤드(410)의 경사면(411)에는 식립바늘(440)이 인출되는 구멍이 경사면(411)의 긴 단부(411a) 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식립바늘(440)의 후크부(441)는 긴 단부(441a)가 헤드(410)의 경사면(411)의 짧은 단부(411b) 측으로 위치되게 구비된다. 이는, 식립바늘(440)의 작동 전 도 2에서와 같이 식립바늘(440)이 헤드(410)에 인입된 상태에서 헤드(410)의 단부로 돌출되는 후크부(441)의 긴 단부(441a)의 길이를 최대한 확보하도록 한 것이다.
즉, 식립바늘(440)에 인조모발(500)을 구비하기 위해서는, 도 6에서와 같이 식립바늘(440)을 헤드(410)에서 인출시켜 인조모발(500)의 고리부(510)에 관통시킨 후, 인조모발(500)을 헤드(410)의 경사면(411)에 밀착시킨 상태로 인조모발(500)을 당겨 식립바늘(440)에 걸어 구비하고, 인조모발(500)이 구비된 식립바늘(440)은 다시 헤드(410) 내로 삽입되어 원위치로 복귀되지만, 이와 같은 식립바늘(440)의 원위치에도 후크부(441)의 긴 단부(441a)는 헤드(410)의 경사면(411)으로 충분히 돌출되므로 인조모발(500)은 도 7에서와 같이 헤드(410)의 경사면(411)에 밀착된 상태로 구비되어 있다가 원위치되어 헤드(410)의 단부로 돌출된 후크부(441)의 긴 단부(441a)에 용이하게 걸림되어 구비된다. 하지만, 식립바늘(440)의 후크부(441)가 전술한 반대방향 즉 후크부(441)의 긴 단부(441a)가 경사면(411)의 긴 단부(411a) 측으로 위치되면, 식립바늘(440)이 헤드(410)에 삽입된 원상태에서 헤드(410) 외측으로 돌출되는 후크부(441)의 긴 단부(441a)의 길이가 짧아 상기와 같은 작동시 인조모발(500)을 후크부(441)에 걸림되지 못하게 된다.
그리고, 식립바늘(440)의 후단부에는 식립바늘(440)에 결합 고정되는 결합부재(450)가 구비되고, 결합부재(450)는 그 양측에 수직하게 돌출된 안내돌부(451)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안내돌부(451)는 결합관부(420)의 안내공(422)에 삽입된 상태로 상하로 이동됨으로써 식립바늘(440)의 회전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이 방지된 식립바늘(440)은 반복되는 작동에도 불구하고 후크부(441)의 긴 단부(441a)가 헤드(410)의 짧은 단부(411b) 측에 정위치된 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식립바늘(440)이 삽입된 결합관부(420)의 후단부에는 제 1 링너트(460)가 체결되어, 절개된 안내공(422)의 단부를 막아 줌으로써 결합관부(420)에 삽입된 식립바늘(44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버튼부(300)는 바디(210)의 후단부에 구성된다. 즉, 버튼부(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210)의 후단부에 삽입되어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310)과, 버튼(310)의 선단부에 구비되어 바디(210) 내로 출입되면서 식립바늘(440)을 눌러 헤드(410)에서 인출시키는 누름축(311)을 포함한다.
버튼(310)은 누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판으로 형성되고, 바디(210)를 향하는 면에는 누름축(311)이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누름축(311)은 바디(210)의 후단부에 체결되는 제 2 링너트(320)를 관통하는 하나의 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제 2 링너트(320)를 기준으로 2개의 축으로 분할되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자의 경우에는 제 2 링너트(320)의 하부에 위치되는 축에 제 2 복귀스프링(330)에 접하여 지지되는 지지돌부가 형성될 수 있고, 후장의 경우에는 제 2 링너트(320)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의 축에 상기와 같은 지지돌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지지돌부는 제 2 링너트(320)에 걸림되어 버튼(310)의 이탈을 방지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바디(210)의 후단부에는 제 2 링너트(320)가 나사 결합되어 체결되고, 제 2 링너트(320)의 일면에는 바디(210)에 나사 결합되는 중공의 결합보스(321)가 돌출 형성된다.
또한, 제 2 링너트(320) 하부의 바디(210) 내에는 제 2 복귀스프링(330)이 구비되고, 제 2 복귀스프링(330)은 그 양단부가 각각 바디(210)와 버튼(310)의 누름축(311)에 지지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버튼(310)의 작동시는 바디(210) 내로 인입되는 누름축(311)에 의해 제 2 복귀스프링(330)이 압축되고, 압축된 제 2 복귀스프링(330)의 인장력은 버튼(31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원력으로 제공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비되는 버튼(310)의 누름축(311)은 바디(210)에 삽입된 그 하단부가 식립바늘(440)에 결합된 결합부재(450)의 상단부에 접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제 2 링너트(320)를 바디(210)에 체결하거나 또는 풀어내면, 이에 결합된 버튼(310)의 높이 즉 바디(210)로부터의 돌출되는 누름축(31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으므로 헤드(410)에서 인출되는 식립바늘(4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식립장치의 작동관계 및 인조모발의 시술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에서와 같이 식립장치(100)의 버튼(310)을 누르면, 버튼(310)과 함께 누름축(311)이 하강하여 바디(210) 내부로 인입되고, 바디(210) 내부로 인입되는 누름축(311)에 의해 식립바늘(440)이 눌려 결합관부(420) 내에서 하강되면서 식립바늘(440)의 후크부(441)가 헤드(410)의 경사면(411)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되어 인출된다.
이때, 제 1,2 복귀스프링(430)(330)은 각각 식립바늘(440)과 누름축(311)에 의해 압축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도 6에서와 같이 헤드(410)에서 인출된 식립바늘(440)을 인조모발(500)의 고리부(510)에 관통시킨 후, 인조모발(500)을 헤드(410)의 경사면(411)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당겨 인조모발(500)이 식립바늘(440)에 결합 고정되게 한다.
이후, 도 7에서와 같이 누르고 있던 버튼(310)에서 외력을 제거하면, 압축되어 있던 제 1,2 복귀스프링(430)(330)의 인장력에 의해 식립바늘(440)과 버튼(310) 및 누름축(311)이 각각 결합관부(420)와 바디(210) 내에서 상승되면서 원위치로 복귀된다.
특히, 이와 같은 복귀과정에서 식립바늘(440)이 결합관부(420) 내로 상승됨에 따라 헤드(410)에서 인출되었던 후크부(441)가 헤드(410) 내로 인입되지만, 후크부(441)의 긴 단부(441a)는 헤드(410)에 완전히 인입되지 않고 일정길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돌출된 후크부(441)의 긴 단부(441a)에는 인조모발(500)의 고리부(510)가 걸림되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이 인조모발(500)이 걸림되어 구비된 식립장치(100)를 환부로 가져간 후, 도 8에서와 같이 헤드(410)의 경사면(411) 중 긴 단부(411a)를 두피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식립장치(100)를 기울려 헤드(410)의 짧은 단부(411b)와 두피를 둔각 이상의 각도로 벌린 상태에서 다시 식립장치(100)의 버튼(310)을 눌러 식립바늘(440)을 인출시킨다.
그러면, 인출된 식립바늘(440)이 인조모발(500)의 고리부(510)를 결합한 채로 두피 즉 표피와 진피, 피하조직을 뚫고 모상근막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도 9에서와 같이 버튼(310)을 누르고 있던 외력을 제거하여 인출된 식립바늘(440)이 원위치로 복귀되면, 식립바늘(440)의 후크부(441)는 모상근막에서 빠져나와 복귀되지만, 모상근막에 삽입된 인조모발(500)의 고리부(510)는 모상근막에 박힌 상태로 고정되어 식립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식립장치(100)를 이용하여 인조모발(500)을 두피에 신속하면서도 간편하게 식립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식립장치 200 : 바디부
210 : 바디 300 : 버튼부
310 : 버튼 311 : 누름축
320 : 제 2 링너트 321 : 결합보스
330 : 제 2 복귀스프링 400 : 헤드부
410 : 헤드 411 : 경사면
411a : 긴 단부 411b : 짧은 단부
420 : 결합관부 421 : 플랜지
422 : 안내공 430 : 제 1 복귀스프링
440 : 식립바늘 441 : 후크부
441a : 긴 단부 441b : 짧은 단부
450 : 결합부재 451 : 안내돌부
460 : 제 1 링너트 500 : 인조모발
510 : 고리부

Claims (5)

  1. 인조모발을 두피에 식립하기 위한 식립장치로서,
    중공의 바디를 갖는 바디부;
    바디에 결합 고정되는 헤드와, 헤드에 출입가능하게 구비되는 한편 헤드에서 인출되는 단부에 인조모발이 끼임되는 식립바늘과, 식립바늘과 헤드 사이에 구비되어 헤드에서 인출된 식립바늘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복귀스프링을 갖는 헤드부; 및
    바디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버튼과, 버튼에 구비되어 바디 내로 출입되면서 식립바늘을 눌러 헤드에서 인출시키는 누름축을 갖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헤드는 두피에 접하는 단부가 경사진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헤드의 경사면에서 출입되는 식립바늘은 헤드의 긴 단부 측으로 치우친 상태로 인출되게 구비되는 인조모발 식립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식립바늘은 헤드에서 출입되는 그 단부에 후크부가 형성되고, 후크부의 긴 단부가 헤드의 경사면의 짧은 단부 측으로 위치되어 구비되는 인조모발 식립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헤드에는 그 내측으로 식립바늘이 삽입되어 구비되고, 외측으로는 복귀스프링이 끼워져 구비되는 결합관부가 구비되고,
    식립바늘에는 그 일단부가 결합 고정되어 복귀스프링에 지지되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인조모발 식립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식립바늘의 결합부재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이동시 복귀스프링에 접하는 안내돌부가 형성되고, 안내돌부에 대응한 헤드의 결합관부에는 안내돌부가 삽입되어 안내되는 한편 식립바늘의 회전을 방지하는 안내공이 형성되는 인조모발 식립장치.
KR1020170144416A 2017-11-01 2017-11-01 인조모발 식립장치 KR101847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416A KR101847009B1 (ko) 2017-11-01 2017-11-01 인조모발 식립장치
PCT/KR2018/006999 WO2019088392A1 (ko) 2017-11-01 2018-06-21 인조모발 식립장치
US16/623,455 US11452591B2 (en) 2017-11-01 2018-06-21 Artificial hair implant device
CN201821060770.5U CN209153794U (zh) 2017-11-01 2018-07-05 人造毛发种植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416A KR101847009B1 (ko) 2017-11-01 2017-11-01 인조모발 식립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7009B1 true KR101847009B1 (ko) 2018-04-10

Family

ID=619751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416A KR101847009B1 (ko) 2017-11-01 2017-11-01 인조모발 식립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452591B2 (ko)
KR (1) KR101847009B1 (ko)
CN (1) CN209153794U (ko)
WO (1) WO201908839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442B1 (ko) * 2020-12-23 2021-04-06 김두희 모낭 이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86939B1 (ko) 2017-07-31 2024-07-22 로리아 헤어 임플란트 컴퍼니 엘엘씨 향상된 고정 기능과 의료 안전 기능을 갖춘 모발 이식체
US11564789B2 (en) 2017-07-31 2023-01-31 Loria Products Llc Hair implants comprising enhanced anchoring and medical safety features
USD917050S1 (en) * 2019-08-26 2021-04-20 Loria Products Llc Hair implant
KR102540230B1 (ko) * 2020-10-30 2023-06-07 주식회사 오대 심축 이송부를 구비한 식모기
CN112494321B (zh) * 2020-12-21 2023-04-18 湖北理工学院 一种多功能皮肤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3668A (ja) * 2011-07-06 2013-01-24 Denso Corp 植毛針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06160B1 (ko) 2001-07-05 2003-11-17 황성주 모발이식 시스템
KR100512694B1 (ko) 2001-11-17 2005-09-08 (주)에이치비메디컬스 모발이식 장치
US20080033455A1 (en) 2006-08-03 2008-02-07 Rassman William R Hair extraction device and method for its use
ES2663831T3 (es) 2009-11-27 2018-04-17 Hairstetics Ltd. Anclajes y sistemas de implante capilar
KR101722029B1 (ko) 2014-08-14 2017-03-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자동 모낭 공급 기능을 갖는 모발 이식용 식모기
US9987041B2 (en) * 2014-11-03 2018-06-05 Follicular Technologies, Llc Disposable needle hair transplanter
KR102592485B1 (ko) * 2015-07-22 2023-10-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생착률 향상을 위한 수동식 모낭 이식 식모기
CA3022902C (en) * 2016-05-13 2021-06-01 Jae Hyun Park Punching needle and handpiece used for hair extraction
CN106618647B (zh) * 2016-10-25 2018-12-18 汕头大学 一种毛囊提取和种植一体化器械
US10945723B2 (en) * 2016-11-17 2021-03-16 SafePath Medical,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uturing tissue
US12070241B2 (en) * 2017-07-14 2024-08-27 The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air transplant
US10881431B2 (en) * 2017-08-18 2021-01-0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air implanter with automatically retracting needle
KR101891549B1 (ko) * 2017-11-01 2018-08-27 주식회사 휴먼웰니스 인조모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03698A (ko) * 2018-07-02 2020-01-10 오대금속 주식회사 방사형으로 배치된 복수개의 시침채널로 이루어진 모발 이식기
KR101990048B1 (ko) * 2018-07-10 2019-06-18 박재현 모발 추출용 펀칭니들 및 핸드피스
FR3086523B1 (fr) * 2018-09-27 2020-10-16 Pascal Boudjema Dispositif pour chargement de greffons capillaires dans un instrument d’implantation de greffons
US11564707B2 (en) * 2020-01-27 2023-01-31 BML Medical, LLC High capacity hair follicle implant instrument including staggered needles and associated method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13668A (ja) * 2011-07-06 2013-01-24 Denso Corp 植毛針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442B1 (ko) * 2020-12-23 2021-04-06 김두희 모낭 이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253716A1 (en) 2020-08-13
CN209153794U (zh) 2019-07-26
US11452591B2 (en) 2022-09-27
WO2019088392A1 (ko) 2019-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7009B1 (ko) 인조모발 식립장치
KR920002915B1 (ko) 새로운 주사기
US11464207B2 (en) Pet grooming tool
KR101806970B1 (ko) 식모기
EP2085053A1 (en) Intraocular lens injection instrument
CN110431319A (zh) 簧压式附件座
KR102102400B1 (ko) 모낭이식장치
KR200397315Y1 (ko) 주름제거 성형용 바늘장치
AU2018279296A1 (en) Adjustable handle for a pet grooming tool
CN105177883A (zh) 一种便于穿针结构及其工作方法
KR101891549B1 (ko) 인조모발 및 이의 제조방법
CN208317864U (zh) 一种扣扳式宠物梳毛刷
US6484729B1 (en) Hair sewing fastener
CN219593885U (zh) 一种胸针卡扣结构
KR200338830Y1 (ko) 속눈썹 성형기구
US4417370A (en) Pocket handkerchief clip
AU2018279298A1 (en) Locking apparatus
KR101396194B1 (ko) 인공수정체 주입장치
CN2488473Y (zh) 医用弹射器
CN209779153U (zh) 一种隐形安全钩针
CN213958127U (zh) 一种门禁安装结构
CN211355162U (zh) 一种带档扣的马桶刷
CN211484715U (zh) 锁式两用手术拉钩
US3016058A (en) Bobby pin spreader assembly
CN218999706U (zh) 一种卡扣式的金属徽章饰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