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863B1 - Reinforcement structure for front cabin of vehicle - Google Patents

Reinforcement structure for front cabin of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863B1
KR101846863B1 KR1020120107939A KR20120107939A KR101846863B1 KR 101846863 B1 KR101846863 B1 KR 101846863B1 KR 1020120107939 A KR1020120107939 A KR 1020120107939A KR 20120107939 A KR20120107939 A KR 20120107939A KR 101846863 B1 KR101846863 B1 KR 1018468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de seal
vertical
vehicle
dash panel
seal in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79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40041055A (en
Inventor
조현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7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863B1/en
Publication of KR201400410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05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8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86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1Cow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62D25/025Side sil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0Floors or bottom sub-units
    • B62D25/2009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 B62D25/2018Floors or bottom sub-units in connection with other superstructure subunits the subunits being front struc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021/003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characterised by occupant or pedestian
    • B60R2021/0039Body parts of the occupant or pedestrian affected by the accident
    • B60R2021/0053Le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카울 크로스 멤버와 사이드실 인너 멤버의 전방부를 연결하는 수직 멤버; 및 상기 사이드 실 인너 멤버의 전방부와 대시 크로스 멤버와 연결된 터널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수평 멤버;를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passenger compartment reinforcing structure of a vehicle,
A vertical member connecting the cow cross member provid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side seal inner member; And a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the front side of the side seal inner member and the tunnel side member connected to the dash cross member.

Description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REINFORCEMENT STRUCTURE FOR FRONT CABIN OF VEHICLE}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passenger < RTI ID = 0.0 >

본 발명은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ront passenger compartment reinforcing structure of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ront passenger compartment reinforcing structure of a vehicle capable of effectively dispersing a collision load.

윈드 실드 하단에 위치하며 차량 좌우를 연결하는 카울 크로스 멤버는 전방으로는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 후방으로는 프론트 필러 어퍼 멤버와 연결되어 있다. The cow cross member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windshield and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is connected to the upper member of the fender apron and the front filler upper member to the rear.

대시 판넬 외부에 위치하며 차량의 좌우를 연결하는 대시 크로스 멤버는 전방으로는 프론트 사이드 멤버와 연결되어 있으며, 후방으로는 터널 사이드 멤버와 연결되어 있다. The dash cross member located outside the dash panel and connecting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vehicle is connected to the front side member at the front side and to the side members of the tunnel at the rear side.

또한 실내 쪽으로는 센터 어퍼 멤버와 사이드 실 인너 멤버가 충돌 부재로서 적용되고 있다.Further, the center upper member and the side seal inner member are applied as collision members to the indoor side.

윈드 실드 하단의 카울 크로스 멤버와 대시 크로스 멤버는 대시 판넬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카울 크로스 멤버는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판넬을 통해 사이드 실 인너 멤버와 연결된다.The cow cross member and dash cross member at the bottom of the windshield are connected through a dash panel, and the cow cross member is connected to the side seal inner member through the front filler inner lower panel.

현 양산차에서 윈드 실드 하단의 멤버 연결 구조와 대시 하단의 멤버 연결 구조는 판넬을 통해 연결되어 있으며, 그 두 구조를 연결해 주는 멤버 구조는 적용되어 있지 않다. The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t the lower end of the windshield and the member connection structure at the lower end of the dash are connected through the panel in the current mass production car, and the member structure for connecting the two structures is not applied.

따라서, 스몰 오버랩 충돌 시 프론트 필러 하부와 대시 판넬이 분리되며, 이는 대시 판넬과 프론트 필러 하북가 판넬과 판넬로 연결되어 있어 하중이 가해졌 을 때 연결 부분이 취약하여 나타난 결과이다.Therefore, in the case of a small overlap collision, the lower part of the front filler and the dash panel are separated. This is because the dash panel and the front filler are connected to the panel by the panel, so that the connection part is weak when the load is applied.

또한 프론트 필러 어퍼 멤버의 변형이 큰 것에 비해 사이드 실 인너 멤버의 변형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음을 실험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를 통해 전달된 하중이 프론트 필러 어퍼로만 전달되고 사이드 실 인너 멤버로는 제대로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It can be experimentally confirmed that the deformation of the inner member of the side seal is not relatively large compared with the deformation of the front filler upper member because the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is transmitted only to the front filler upper, Because it is not delivered properly.

또한, 옵셋 충돌 시 더미 실험에서, 더미의 발목 꺾임량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대시 판넬 하단부의 변형이 크게 발생하여 나타난 현상으로 이 부분은 멤버 구조가 적용되어 있지 않다.In addition, in the dummy test, it is confirmed that the ankle bending amount of the dummy is large in the offset collision. This is because the deforma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dash panel is largely occurred.

즉, 일반적인 차량의 승객실 결합 구조는 대시 판넬과 프론트 필러 하단이 판넬과 판넬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연결성이 취약하며, 정면 충돌 시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로 들어오는 하중을 사이드실 인너 멤버에 전달할 수 있는 멤버 구조가 적용되어 있지 않다.In other words, the passenger compartment structure of a general vehicle is a member structure in which the dash panel and the lower part of the front pillar are combined with the panel and the panel, so that the connection is weak and the load to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is transmitted to the inner member Is not applied.

또한, 발목 상해의 원인이 되는 대시 판넬 하단부 변형을 억제할 수 있는 보강 구조가 적용되어 있지 않다.
Further, a reinforcing structure capable of suppressing the deformation of the lower end portion of the dash panel, which causes an ankle injury, is not applied.

본 발명은, 충돌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할 수 있는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forward passenger compartment reinforcing structure of a vehicle capable of effectively dispersing a collision loa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는 차량의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카울 크로스 멤버와 사이드실 인너 멤버의 전방부를 연결하는 수직 멤버; 및 상기 사이드 실 인너 멤버의 전방부와 대시 크로스 멤버와 연결된 터널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수평 멤버;를 포함할 수 있다.A front passenger compartment reinforcing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vertical member connecting a front portion of a cowl cross member provided in a lateral direction of a vehicle and a front portion of a side seal inner member; And a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the front side of the side seal inner member and the tunnel side member connected to the dash cross member.

상기 수직 멤버는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하부, 대시 판넬 및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멤버와 결합될 수 있다.The vertical member may be engag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owl cross member, the dash panel, and the front filler inner lower member.

상기 수직 멤버는 그 각 모서리 부분이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하부, 상기대시 판넬, 상기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멤버 및 상기 사이드 실 인너 멤버와 밀착 결합하여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Each of the vertical members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owl cross member, the dash panel, the front filler inner member, and the side seal inner member to form a closed end face.

상기 수직 멤버는 상기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멤버에 형성된 멀티박스 마운팅 홀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The vertical member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multi-box mounting hole formed in the front filler inner lower member.

상기 수평 멤버는 상기 대시 판넬 하부의 경사면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 멤버, 상기 사이드실 인너 멤버 및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구비되는 센터 어퍼 멤버와 연결될 수 있다.The horizontal member may be located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ash panel, and may be connected to the vertical member, the side seal inner member, and the center upper member provid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상기 수평 멤버는 그 각 모서리 부분이 상기 수직 멤버, 상기 사이드실 인너 멤버, 상기 터널 사이드 멤버 및 상기 센터 어퍼 멤버와 밀착 결합하여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Each of the horizontal members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vertical member, the side seal inner member, the tunnel side member, and the center upper member to form a closed end surface.

상기 수직 멤버가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하부, 사이드실 인너 멤버의 전방부, 상기 대시 판넬 및 상기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멤버와 결합된 후, 상기 수평 멤버가 상기 수직 멤버, 상기 사이드실 인너 멤버, 상기 센터 어퍼 멤버 및 상기 터널 사이드 멤버와 결합할 수 있다.
Wherein the vertical member is engaged with a lower portion of the cowl cross member, a front portion of the side seal inner member, the dash panel and the front filler inner lower member, the horizontal member includes the vertical member, the side seal inner member, The upper member and the tunnel side member.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에 의하면, 대시 판넬과 프론트 필러 하부를 멤버 구조로 결합시킴으로써 충돌 시 발생할 수 있는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for reinforcing the front passenger compartment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ash panel and the lower part of the front filler are joined together in a member structure, thereby preventing separation phenomenon that may occur during collision.

충돌 시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로 들어오는 하중을 수직 및 수평 멤버를 이용하여 대시 판넬 하부 및 센터 플로어에 위치한 멤버 구조로 분산시켜 프론트 필러 어퍼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다.In the event of a collision, the deformation of the front filler upper can be minimized by distributing the load from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to the member structure located below the dash panel and the center floor using vertical and horizontal members.

수평 멤버 구조 적용으로 대시 판넬 하부의 변형을 억제하여 발목 상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By adopting the horizontal member structure, it is possible to minimize the ankle injury by suppressing deformation of the lower part of the dash panel.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의 수직 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의 수평 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ont passenger compartment reinforcing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 member of a front passenger compartment reinforcing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rizontal member of a front passenger compartment reinforcing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의미한다.Like number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In the drawings, the thickness is enlarged to clearly represent the layers and regions.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It will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such as a layer, film, region, plate, or the like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반대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없는 것을 뜻한다.Conversely, when a part is "directly over" another part, it means that there is no other part in the middle.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의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의 수직 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의 수평 멤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rtical member of a forward passenger compartment reinforcing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ont passenger compartment reinforcing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horizontal member of a front passenger compartment reinforcing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는 차량의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카울 크로스 멤버(10)와 사이드실 인너 멤버(80)의 전방부를 연결하는 수직 멤버(110) 및 상기 사이드 실 인너 멤버(80)의 전방부와, 대시 크로스 멤버(40)와 연결된 터널 사이드 멤버(50)를 연결하는 수평 멤버(120)를 포함한다.1 to 3, a front passenger compartment reinforcing structure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wl cross member 10 provided in a lateral direction of a vehicle and a front portion of a side seal inner member 80 And a horizontal member 120 connecting a front portion of the vertical member 110 and the side seal inner member 80 to a tunnel side member 50 connected to the dash cross member 40.

상기 대시 크로스 멤버(40)는 대시 판넬(30)을 지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0)는 펜더 에이프론 어퍼 멤버(20)와 연결되어, 차량의 전방 충돌시 상기 펜더 에이프론 어퍼 멤버(2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하중을 전달 받아 이를 분산하게 된다.The dash cross member 40 is adapted to support the dash panel 30 and the cowl cross member 10 is connected to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20 so that when the vehicle is in a frontal collision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20, And receives the impact load transmitted from the loader 20 and disperses the impact load.

상기 펜더 에이프론 어퍼 멤버(20)는 프론트 필러 어퍼 멤버(60)와 연결되며, 차량의 전방 충돌시 상기 펜더 에이프론 어퍼 멤버(2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 하중이 상기 프론트 필러 어퍼 멤버(60)로 전달 되어 이를 분산하게 된다.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20 is connected to the front filler upper member 60 and the impact load transmitted from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20 at the time of a frontal collision of the vehicle is transmitted to the front filler upper member 60 And distributed.

상기 수직 멤버(110)는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0)의 하부, 상기 대시 판넬(30) 및 상기 프론트 필러 어퍼 멤버(60)의 하부에 구비되는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멤버(70)와 결합된다.The vertical member 110 is engaged with the front filler inner lower member 70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wl cross member 10, the dash panel 30 and the front filler upper member 60.

도2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 멤버(110)는 그 각 모서리 부분(110a, 110b, 110c, 110d)이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0)의 하부, 상기 대시 판넬(30), 상기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멤버(70) 및 상기 사이드 실 인너 멤버(80)와 밀착 결합하여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직 멤버(110)는 그와 결합된 각 부재와 견고하게 결합하여 충격에 대한 강성이 증대되고, 충격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 시킬 수 있다.2, each of the vertical members 110 is formed such that each corner portion 110a, 110b, 110c, and 110d of the vertical member 110 includes a lower portion of the cowl cross member 10, the dash panel 30, the front filler inner member (70) and the side seal inner member (80) to form a closed end face. Accordingly, the vertical member 110 is firmly engaged with each member coupled thereto, so that the rigidity against impact increases, and the impact load can be more effectively dispersed.

상기 수직 멤버(110)는 상기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멤버(70)에 형성된 멀티박스 마운팅 홀(130)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The vertical member 110 may be positioned in front of the multi-box mounting hole 130 formed in the front filler inner member 70.

도3을 참조하면, 상기 수평 멤버(120)는 상기 대시 판넬(30) 하부의 경사면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 멤버(110), 상기 사이드실 인너 멤버(80) 및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구비되는 센터 어퍼 멤버(90)와 연결될 수 있다.3, the horizontal member 120 is positioned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ash panel 30 and includes a vertical member 110, a side seal inner member 80, Member 90 as shown in FIG.

상기 수평 멤버(120)는 그 각 모서리 부분(120a, 120b, 120c, 120d)이 상기 수직 멤버(110), 상기 사이드실 인너 멤버(80), 상기 터널 사이드 멤버(50) 및 상기 센터 어퍼 멤버(90)와 밀착 결합하여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또한 차량의 플로워 멤버(100)와 밀착하여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평 멤버(120)는 그와 결합된 각 부재와 견고하게 결합하여 충격에 대한 강성이 증대되고, 충격 하중을 보다 효과적으로 분산 시킬 수 있다.The horizontal member 120 is configured such that its respective corner portions 120a, 120b, 120c and 120d are aligned with the vertical member 110, the side seal inner member 80, the tunnel side member 50, 90 to form a closed end face, and can be tightly engaged with the floor member 100 of the vehicle. Accordingly, the horizontal member 120 is firmly engaged with each member coupled thereto, so that the rigidity against the impact is increased, and the impact load can be more effectively dispers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는 상기 수직 멤버(110)가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0)의 하부, 사이드실 인너 멤버(80)의 전방부, 상기 대시 판넬(30) 및 상기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멤버(70)와 결합된 후, 상기 수평 멤버(120)가 상기 수직 멤버(110), 상기 사이드실 인너 멤버(80), 상기 센터 어퍼 멤버(90) 및 상기 터널 사이드 멤버(50)와 결합하여 조립될 수 있다.The front passenger compartment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vehic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vertical member 110 is dispos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wl cross member 10, the front portion of the side seal inner member 80, the dash panel 30, After joining with the front filler inner lower member 70, the horizontal member 120 is coupled to the vertical member 110, the side seal inner member 80, the center upper member 90 and the tunnel side member 50, respectively.

즉, 상기 수직 멤버(110)는 플랜지를 이용하여 상기 대시 판넬(30)과 먼저 용접되고,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0) 및 사이드 실 인너 멤버(80)와는 레이저 용접 또는 CO2 용접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That is, the vertical member 110 is first welded to the dash panel 30 using a flange, and is joined to the cowl cross member 10 and the side seal inner member 80 by laser welding or CO2 welding .

또한, 상기 수직 멤버(110)는 상기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멤버(70)와는 상기 멀티박스 마운팅 홀(130)을 이용하여 스팟 용접으로 결합하게 된다.The vertical member 110 is joined to the front filler inner lower member 70 by spot welding using the multi-box mounting hole 130.

상기 수평 멤버(120)는 상기 센터 어퍼 멤버(90)와 용접을 통해 선 조립되며, 상기 수직 멤버(110)와는 페단면 구조 형성으로 레이저 및 CO2 용접으로, 상기 터널 사이드 멤버(50)와는 스팟 용접을 이용 결합하게 된다.The horizontal member 120 is pre-assembled through welding with the center upper member 90. Laser and CO2 welding are performed with the vertical member 110 to form a face-to-face cross-sectional structure. Spot welding is performed with the tunnel side member 50, .

도1의 화살표는 차량의 전방 충돌시, 상기 펜더 에이프론 어퍼 멤버(2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 하중의 전달 및 분산을 나타낸다.The arrows in Fig. 1 show the transmission and dispersion of the impact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20 during a frontal impact of the vehicle.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펜더 에이프론 어퍼 멤버(20)를 통해 전달되는 충격 하중은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10), 상기 프론트 필러 어퍼 멤버(60)로 전달됨과 동시에, 상기 수직 멤버(110) 및 상기 수평 멤버(120)를 통해 상기 대시 크로스 멤버(40), 상기 사이드실 인너 멤버(80) 및 상기센터 어퍼 멤버(90)로 분산되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 할 수 있어 상기 프론트 필러 어퍼 멤버(60)의 변형을 줄일 수 있다.1, an impact load transmitted through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20 is transmitted to the cowl cross member 10 and the front filler upper member 60, and the vertical member 110 And the center member 90 and the center upper member 90 through the horizontal member 120 to effectively absorb the impact, so that the front filler upper member 60 can be reduced.

상기 대시 판넬(30)과 프론트 필러 하부, 즉, 상기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멤버(70) 및 상기사이드실 인너 멤버(80)를 멤버 구조로 결합시킴으로써 충돌 시 발생할 수 있는 분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The dash panel 30 and the front filler lower part, that is, the front filler inner lower member 70 and the side seal inner member 80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in a member structure, thereby preventing separation phenomenon that may occur in a collision.

충돌 시 펜더 에이프런 어퍼 멤버로 들어오는 하중을 수직 및 수평 멤버를 이용하여 대시 판넬 하부 및 센터 플로어에 위치한 멤버 구조로 분산시켜 프론트 필러 어퍼의 변형을 최소화 할 수 있다.In the event of a collision, the deformation of the front filler upper can be minimized by distributing the load from the fender apron upper member to the member structure located below the dash panel and the center floor using vertical and horizontal members.

상기 수평 멤버(120)의 적용으로 상기 대시 판넬(30) 하부의 변형을 억제하여 충돌시 발목 상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
By applying the horizontal member 120, deformation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ash panel 30 can be suppressed, thereby minimizing ankle injury in case of collision.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all changes to the scope that are deemed to be valid.

10: 카울 크로스 멤버 20: 펜더 에이프론 어퍼 멤버
30: 대시 판넬 40: 대시 크로스 멤버
50: 터널 사이드 멤버 60: 프론트 필러 어퍼 멤버
70: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멤버 80: 사이드실 인너 멤버
90: 센터 어퍼 멤버 100: 플로워 멤버
110: 수직 멤버 120: 수평 멤버
130: 멀티 박스 마운팅 홀
10: Cow Crossmember 20: Fender Apron Upper Member
30: Dash panel 40: Dash cross member
50: Tunnel side member 60: Front filler upper member
70: Front filler inner lower member 80: Side seal inner member
90: Center Upper Member 100: Floor Member
110: vertical member 120: horizontal member
130: Multi-box mounting hole

Claims (7)

차량의 횡방향으로 구비되는 카울 크로스 멤버와 사이드실 인너 멤버의 전방부를 연결하는 수직 멤버; 및
상기 사이드 실 인너 멤버의 전방부와 대시 크로스 멤버와 연결된 터널 사이드 멤버를 연결하는 수평 멤버;
를 포함하되,
상기 수직 멤버는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하부, 대시 판넬 및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멤버와 결합되며,
상기 수직 멤버는 그 각 모서리 부분이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하부, 상기대시 판넬, 상기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멤버 및 상기 사이드 실 인너 멤버와 밀착 결합하여 폐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
A vertical member connecting the cow cross member provided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the front portion of the side seal inner member; And
A horizontal member connecting a front portion of the side seal inner member and a tunnel side member connected to the dash cross member;
, ≪ / RTI &
The vertical member
A lower portion of the cowl cross member, a dash panel, and a front filler inner lower member,
Wherein the vertical member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cowl cross member, the dash panel, the front filler inner member, and the side seal inner member so that each corner portion forms a closed end face of the vehicle. Reinforced structur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수직 멤버는 상기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멤버에 형성된 멀티박스 마운팅 홀 전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vertical member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multi-box mounting hole formed in the front filler inner member.
제1항에서,
상기 수평 멤버는
상기 대시 판넬 하부의 경사면에 위치하고,
상기 수직 멤버, 상기 사이드실 인너 멤버 및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구비되는 센터 어퍼 멤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
The method of claim 1,
The horizontal member
A dash panel disposed on an inclined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dash panel,
Wherein the front passenger compartment is connected to the vertical member, the side seal inner member, and the center upper member provid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of the vehicle.
제5항에서,
상기 수평 멤버는 그 각 모서리 부분이
상기 수직 멤버, 상기 사이드실 인너 멤버, 상기 터널 사이드 멤버 및 상기 센터 어퍼 멤버와 밀착 결합하여 폐단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
The method of claim 5,
The horizontal member has an edge portion
And a closed end surface is formed in tight contact with the vertical member, the side seal inner member, the tunnel side member, and the center upper member to form a closed end surface.
제5항에서,
상기 수직 멤버가
상기 카울 크로스 멤버의 하부, 사이드실 인너 멤버의 전방부, 상기 대시 판넬 및 상기 프론트 필러 인너 로워 멤버와 결합된 후,
상기 수평 멤버가
상기 수직 멤버, 상기 사이드실 인너 멤버, 상기 센터 어퍼 멤버 및 상기 터널 사이드 멤버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전방 승객실 보강 구조.
The method of claim 5,
The vertical member
A lower portion of the cowl cross member, a front portion of the side seal inner member, the dash panel and the front filler inner lower member,
The horizontal member
The side member, the vertical member, the side seal inner member, the center upper member, and the tunnel side member.
KR1020120107939A 2012-09-27 2012-09-27 Reinforcement structure for front cabin of vehicle KR10184686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939A KR101846863B1 (en) 2012-09-27 2012-09-27 Reinforcement structure for front cabin of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7939A KR101846863B1 (en) 2012-09-27 2012-09-27 Reinforcement structure for front cabin of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055A KR20140041055A (en) 2014-04-04
KR101846863B1 true KR101846863B1 (en) 2018-04-09

Family

ID=506509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7939A KR101846863B1 (en) 2012-09-27 2012-09-27 Reinforcement structure for front cabin of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863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6004A (en) * 2005-11-04 2007-05-24 Honda Motor Co Ltd Automobile body structur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26004A (en) * 2005-11-04 2007-05-24 Honda Motor Co Ltd Automobile body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055A (en) 201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73457B2 (en) Vehicle skeleton structure
US9914484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US9187130B2 (en) Vehicle body lateral structure
JP5316566B2 (en) Vehicle superstructure
US9988089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KR101108451B1 (en) Vehicle front structure
US10850597B2 (en) Vehicle body lower structure
US10000239B2 (en) Automobile vehicle body structure
US7104596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7748774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20050082877A1 (en) Vehicle body structure
US20120119544A1 (en) Car body with reinforcing structure
US9873462B2 (en) Vehicle floor portion structure
US9764775B2 (en) Vehicle lower portion structure
US9090291B1 (en) Front pillar assemblies with front pillar lower reinforcement members having lower wrap reinforcement structures
JP6256518B2 (en) Vehicle side body structure
CN112477989B (en) Vehicle body structure of vehicle
JP6128558B2 (en) Body superstructure
US9751568B2 (en) Body frame structure for a vehicle
JP6590862B2 (en) Suspension arm support structure
US8960759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JP6256517B2 (en) Vehicle side body structure
JP6176227B2 (en) Front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JP6176228B2 (en) Front body structure of the vehicle
KR101846863B1 (en) Reinforcement structure for front cabin of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