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567B1 -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 - Google Patents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567B1
KR101846567B1 KR1020120108555A KR20120108555A KR101846567B1 KR 101846567 B1 KR101846567 B1 KR 101846567B1 KR 1020120108555 A KR1020120108555 A KR 1020120108555A KR 20120108555 A KR20120108555 A KR 20120108555A KR 101846567 B1 KR101846567 B1 KR 101846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oor
link portion
box
auxiliary ste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85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173A (ko
Inventor
이규환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85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567B1/ko
Publication of KR20140042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3/00Arrangements of steps or ladders facilitating access to or on the vehicle, e.g. running-boards
    • B60R3/02Retractable steps or ladders, e.g. movable under sh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3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Step Arrangements And Article Stor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로어 암에 마련된 도어 롤러에 의하여 로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도어와, 상기 로어 암의 단부에 연결되는 래치를 포함하는 도어부와; 일측에 링크 롤러가 마련되어 상기 로어 레일에 체결되는 제1 링크부와; 상기 제1 링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링크부의 움직임에 회동하는 제2 링크부와; 상기 도어부와 인접한 위치의 차량 플로어에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제2 링크부가 장착되며 양측에 슬라이드 가이드가 마련되는 박스와, 상기 박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링크부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에 따라 전후방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보조 스텝을 포함하는 보조 스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지 않고 도어와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구동되는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모터에 의하여 구동될 때 필요하던 모터, 센서 및 제어기 등을 삭제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기계적 작동으로 인하여 작동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Assistant Step Device For Bus}
본 발명은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스의 도어와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작동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종래 대비 재료비를 절감할 수 있는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합차량 및 버스와 같은 중대형 차량에는 슬라이드 도어를 적용한다. 이러한 슬라이드 도어는 차량의 외부 바디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도어를 후방으로 여닫는 미닫이 형식이다. 이러한 슬라이드 도어측, 즉 승차자가 탑승하는 바닥을 이루는 플로어의 일측으로 단차가 진 스텝을 구비하며 이를 승하차시 탑승자가 밟고 올라서게 된다. 국내 자동차 안전기준에 따르면 자동차의 첫번째 스텝이 지상으로부터 300mm 이하이어야 하며 이 이상의 차량은 이를 만족시키기 위하여 보조 스텝 장치를 차량에 장착하게 된다. 승합차량 및 버스와 같은 중대형차량은 대부분 이러한 보조 스텝 장치를 차량에 장착하고 있다.
이에, 한국 공개 특허 10-2009-0073287에는 어린이 보호차량용 보조발판이 개시되어있다. 이에 따르면, 어린이 보호 차량(101)의 승하차문 하부(111)에 고정 장착하기 위하여 상면에 형성되는 두 개의 고정브라켓(121)과, 내측 상부에는 상호 평행하게 장착되는 두 개의 슬라이드 가이드로 구성되는 전면이 개방된 납작한 박스형의 커버(102)와; 상기 커버(102) 내부에 장착되어 상부에는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122)에 삽입되어 전후방으로 슬라이드 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두 개의 슬라이드 플레이트가 장착된 보조발판(103)과; 상기 커버(102)의 내측 중앙 상부에 각각 전방과 후방에 형성되는 한 쌍의 폴리(141)와, 상기 폴리(141)를 연결하는 와이어벨트(142)와, 상기 와이어벨트(142)를 작동시키는 모터(143)와, 상기 보조발판(103)에 장착되고 상기 와이어벨트(142)의 일측을 고정하여 모터(143)의 작동에 따라 상대적으로 보조발판(103)이 슬라이드 되도록 하는 와이어고정부(144)로 구성되는 발판 동작부(104)와; 상기 보조발판(103)이 닫힌 상태와 열린 상태를 감지하는 두 개의 감지부(151)와, 상기 보조발판(103)의 전면에 길게 형성되는 안전스위치(152) 및 발판 동작부(104)를 제어하는 제어부(105)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어린이 보호차량용 보조발판에서는 보조발판(103)의 구동에 필요한 모터(143), 링크장치 및 도어와 연동되어 작동되도록 하는 감지부(151) 및 제어부(105)등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재료비가 비싸 생산 원가를 올리게 된다.
따라서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지 않고 도어와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구동되는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지 않고 도어와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구동되는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로어 암에 마련된 도어 롤러에 의하여 로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도어와, 상기 로어 암의 단부에 연결되는 래치를 포함하는 도어부와; 일측에 링크 롤러가 마련되어 상기 로어 레일에 체결되는 제1 링크부와; 상기 제1 링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링크부의 움직임에 회동하는 제2 링크부와; 상기 도어부와 인접한 위치의 차량 플로어에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제2 링크부가 장착되며 양측에 슬라이드 가이드가 마련되는 박스와, 상기 박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링크부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에 따라 전후방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보조 스텝을 포함하는 보조 스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도어가 움직이는 동안 상기 래치가 상기 제1 링크부를 밀어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링크부의 이동에 상기 제2 링크부가 회동되어 상기 보조 스텝을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기계적 결합만으로 도어가 이동할 때 보조 스텝을 움직일 수 있다.
상기 래치는 상기 도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링크 롤러와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래치에 탄성 부재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도어의 움직임에 따라 링크 롤러와의 연결 또는 분리 여부에 따라 도어의 여는 힘이 제1 링크부 및 제2 링크부에 전달시키거나 또는 도어만 움직이게 한다.
상기 제1 링크부는 일측이 상기 박스에 고정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제1 링크부와 연결되어 힘을 전달받는 전달 링크와; 상기 전달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전달 링크로부터의 힘을 받아 회전되는 캠 기어와; 일측이 상기 캠 기어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보조 스텝과 연결되어 상기 캠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보조 스텝을 진퇴시키는 스텝 링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제1 링크부로부터 전달링크가 힘을 받아 캠 기어를 회전시킴으로 인하여 캠 기어와 연결된 스텝 링크를 진퇴시켜 보조 스텝을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로어 레일에는 고정 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제1 링크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링크 롤러의 이동을 제한하여 도어의 이동에 따라 링크 롤러와 래치가 결합하거나 래치로부터 링크 롤러가 이탈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에 의하여 구동되지 않고 도어와 기계적으로 결합하여 구동되는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모터에 의하여 구동될 때 필요하던 모터, 센서 및 제어기 등을 삭제함으로써 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기계적 작동으로 인하여 작동의 신뢰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어린이 보호차량용 보조발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의 도어가 완전히 닫힌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의 도어가 80% 열린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의 도어가 95% 열린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의 도어가 완전히 열린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의 도어가 20% 닫힌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의 도어가 25% 닫힌 모습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는 크게 도어부(10); 제1 링크부(20); 제2 링크부(30) 및 보조 스텝부(40)로 이루어진다.
도어부는(10) 차량의 측면에 마련되어 승객이 승하차하는 곳이다. 도어부(10)는 슬라이드 이동되어 오픈되는 도어(14)와, 도어(14)가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도록 차량의 플로어에 마련되는 로어 레일(13)을 포함한다. 로어 레일(13)에는 고정 부재(17)가 마련된다. 고정 부재(17)는 두 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14)의 하부에는 차량의 내측으로 연장된 로어 암(11)이 장착되고, 로어 암(11)의 단부에는 래치(15)가 마련된다. 로어 암(11)과 래치(15)가 연결된 곳에는 도어 롤러(12)가 마련된다. 도어 롤러(12)는 로어 레일(13)을 따라 이동하여 도어부(10) 전체를 이동시킨다.
래치(15)는 로어 암(11)으로부터 차량의 길이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마련된다. 래치(15)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이 후술할 제1 링크부(20)와 연결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링크부(20)의 링크 롤러(21)가 삽입되도록 가운데가 집게와 같이 벌어진 형상으로 마련된다.
래치(15)의 벌어진 부분 사이에는 서로 마주보는 면에 탄성 부재(16)가 마련된다. 탄성 부재(16)는 후술할 제1 링크부(20)와의 연결 또는 분리를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1 링크부(20)는 링크 롤러(21), 고정 가이드(22), 가변 링크(23)를 포함한다. 링크 롤러(21)는 제1 링크부(20)의 단부에 마련되고 로어 레일(13)을 따라 이동되어 도어부(10)의 이동에 따라 래치(15)와 연결 또는 분리가 된다. 이때 로어 레일(13)의 고정 부재(17)에 의해 가변 링크(23)가 걸려 제1 링크부(20)의 이동 위치를 제한한다.
고정 가이드(22)는 일측이 가변 링크(23)가 결합되고, 타측은 제2 링크부(3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고정 가이드(22)는 가변 링크(23)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에 고정 가이드(22) 양측에는 슬라이딩 가이드 되도록 레일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변 링크(23)의 일측은 고정 가이드(22)에 연결되고 타측은 링크 롤러(21)와 연결된다. 이에, 링크 롤러(21)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가변 링크(23)는 고정 링크로부터 슬라이딩 이동되어 길이가 가변된다.
제2 링크부(30)는 보조 스텝부(40)의 후술할 박스(42)의 내부에 마련된다. 제2 링크부(30)는 전달 링크(31), 캠 기어(32), 스텝 링크(33)를 포함한다. 전달 링크(31)의 일측은 제1 링크부(20)의 고정 가이드(2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전달 링크(31)는 세 개의 링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측이 고정 가이드(2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타측이 박스(42)의 높이 방향으로 마련되어 박스(42)의 바닥과 고정되는 1링크(34)와, 이러한 1링크(34)와 일측이 연결되고 전달 받은 회전력을 전달하는 2링크(35)와, 일측이 2링크(35)와 연결되고 타측이 후술할 캠 기어(32)와 연결되는 3링크(36)를 포함한다. 고정 가이드(22)와 연결된 1링크(34)는 고정 가이드(22)와 일측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고 2링크(35)와 연결된 타측은 박스(42)에 고정되어 제1 링크부(20) 및 제2 링크부(30)의 위치를 규제함과 동시에, 제1 링크부(20)로부터 받은 회전력을 다른 두 개의 링크에 전달한다. 1링크(34)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은 2링크(35)와 3링크(36)는 이에 연동하여 운동하여 3링크(36)에 연결된 캠 기어(32)에 힘을 전달한다.
제1 링크부(20)로쿠터의 힘을 전달 링크(31)를 통해 전달 받아 캠 기어(32)는 회전하게 된다. 캠 기어(32)는 스텝 링크(33)와 연결되어 스텝 링크(33)에 힘을 전달한다.
스텝 링크(33)는 일측이 캠 기어(32)와 연결되고 타측이 보조 스텝(43)과 연결된다. 이에 캠 기어(32)로부터의 회전력에 의해 움직여 연결된 보조 스텝(43)을 직선 운동하게 한다. 스텝 링크(33)는 힘을 더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안정적으로 보조 스텝(43)이 직선 운동하게 하도록 캠 기어(32)의 양측에 하나씩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어부(10)가 마련된 위치의 차량 플로어에는 보조 스텝부(40)가 마련된다. 보조 스텝부(40)는 박스(42)와, 보조 스텝(43)을 포함한다.
박스(42)는 보조 스텝부(40)의 전체를 지지하며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다. 양측에는 보조 스텝의 이동을 가이드 하도록 레일이 마련된다. 박스(42)의 내부에는 제2 링크부(30)가 마련된다. 차량의 외측을 향하여 박스(42)에는 개구부가 마련된다.
보조 스텝(43)은 발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보조 스텝(43)은 도어(14)가 열리고 닫힐 때 박스(42)의 양측에 마련된 가이드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제2 링크부(30)로부터 힘을 받아 개구부를 통하여 직선 운동 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마련된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의 작동을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14)는 닫힘 상태이다. 이 때, 도어 롤러(12)는 로어 레일(13)의 끝에 위치한 상태이고, 제1 링크부(20)의 링크 롤러(21)는 로어 레일(13) 상의 전방측 고정 부재(17)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다.
도 4는 도어(14)가 80% 열렸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4)가 열림에 따라 도어 롤러(12)는 로어 레일(13)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래치(15)는 제1 링크부(20)의 링크 롤러(21)와 접촉된다. 이때 래치(15)가 제1 링크부(20)를 잡아 끌어 제1 링크부(20)와 도어부(10)가 함께 이동되어 제1 링크부(20) 및 제2 링크부(30)가 작동되게 된다. 즉, 래치(15)에 의한 제1 링크부(20)의 움직임에 제2 링크부(30)도 연동되어 움직이게 된다.
도 5는 도어(14)가 95% 열렸을 때의 모습을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15)와 링크 롤러(21)는 로어 레일(13)에 마련된 고정 부재(17)에 의하여 위치가 규제된다. 이때, 도어(14)를 여는 힘에 의하여 제1 링크부(20)의 가변 링크(23)는 고정 가이드(22)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어 보조 스텝부(40)의 외측으로 연장된다. 고정 가이드(22)의 일단은 제2 링크부(30)의 1링크(34)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고정 가이드(22)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1링크(3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의하여 박스(42)의 옆면과 인접하게 위치하던 2링크(35)와 3링크(36)의 연결부위는 박스(42)의 중앙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3링크(36)는 캠 기어(32)에 힘을 가하게 되고 캠 기어(32)가 회전하게 된다. 캠 기어(32)의 회전으로 인하여 캠 기어(32)에 연결된 스텝 링크(33)가 캠 기어(32)와 함께 움직이게 되고 이 힘에 의하여 보조 스텝(43)에 전진하는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보조 스텝(43)은 박스(42)의 슬라이드 가이드(41)를 따라 이동하여 전진하게 된다.
도 6은 문을 100% 열었을 때의 모습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4)를 95% 이상 열면 제1 링크부(20)는 로어 레일(13)에 마련된 고정 부재(17)에 의하여 더 이상 이동할 수 없다. 그러나 도어(14)는 더 이동하게 되고 래치(15)와 접촉하고 있는 링크 롤러(21)에 래치(15) 안쪽 방향의 힘을 가하게 된다. 이에 래치(15) 안쪽에 마련된 탄성 부재(16)가 변형되어 링크 롤러(21)가 래치(15)의 안쪽으로 삽입된다. 제2 링크부(30) 역시 힘을 더 받게 되고 보조 스텝(43)에 전진하는 힘을 가하여 보조 스텝(43)이 완전히 외부로 나오게 한다.
도 7은 도어(14)를 20% 닫았을 때의 모습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4)를 닫게 되면 래치(15)가 제1 링크부(20)를 잡아 끌게 된다. 이에 제1 링크부(20)는 도어(14)를 열 때와는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가변 링크(23)는 고정 가이드(22)를 따라 슬라이드 되어 다시 길이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제1 링크부(20)와 연결된 제2 링크부(30)에도 도어(14)를 열 때와는 반대 방향의 힘을 전달한다. 이에, 제2 링크부(30)의 1링크(34)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힘을 전달 받게 되고, 이에 의하여 도어(14)가 완전히 열린 상태일 때 박스(42)의 중앙에 위치하던 2링크(35)와 3링크(36)는 박스(42)의 옆면과 인접한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의하여 캠 기어(32)는 도어(14)를 열 때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캠 기어(32)와 연결된 스텝 링크(33)가 움직이고 보조 스텝(43)은 박스(42)의 슬라이드 가이드(41)를 따라 후진하게 된다.
도 8은 도어(14)를 25% 닫았을 때의 모습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4)를 20% 닫힌 상태에서 더 닫을 경우, 제1 링크부(20)의 가변 링크(23)는 로어 레일(13)에 마련된 고정 부재(17)에 의해 걸리게 된다. 이에, 제1 링크부(20)의 이동은 멈추게 되지만 도어 롤러(12)가 로어 레일(13)을 따라 닫힘 방향으로 더 이동하게 된다. 이에, 래치(15)의 내부의 탄성 부재(16)는 변형하게 되고, 위치가 고정된 링크 롤러(21)는 이동하는 래치(15)로부터 이탈되어 래치(15)와 제1 링크부(20)는 분리되게 된다. 이에, 제1 링크부(20), 제2 링크부(30) 및 보조 스텝부(40)의 위치는 도어(14)를 열기 전의 상태로 돌아가고 도어 롤러(12)는 계속 로어 레일(13)을 따라 이동하여 로어 레일(13)의 끝까지 가게 되면 도어(14)는 완전히 닫힘 상태가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로부터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 로어 암 13: 로어 레일
15: 래치 16: 탄성 부재
21: 링크 롤러 22: 고정 가이드
23: 가변 링크 34: 1링크
35: 2링크 36: 3링크
32: 캠 기어 33: 스텝 링크
42: 박스 43: 보조 스텝

Claims (6)

  1. 로어 암에 마련된 도어 롤러에 의하여 로어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도어와, 상기 로어 암의 단부에 연결되는 래치를 포함하는 도어부와;
    일측에 링크 롤러가 마련되어 상기 로어 레일에 체결되는 제1 링크부와;
    상기 제1 링크부와 연결되어 상기 제1 링크부의 움직임에 회동하는 제2 링크부와;
    상기 도어부와 인접한 위치의 차량 플로어에 마련되고 내부에 상기 제2 링크부가 장착되며 양측에 슬라이드 가이드가 마련되는 박스와, 상기 박스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링크부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를 따라 전후방으로 움직이도록 형성되는 보조 스텝을 포함하는 보조 스텝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 링크부는 상기 제1 링크부와 연결되어 힘을 전달받는 전달 링크와;
    상기 전달 링크와 연결되어 상기 전달 링크로부터의 힘을 받아 회전되는 캠 기어와;
    일측이 상기 캠 기어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보조 스텝과 연결되어 상기 캠 기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보조 스텝을 진퇴시키는 스텝 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움직이는 동안 상기 래치가 상기 제1 링크부를 밀어 이동시키고, 상기 제1 링크부의 이동에 상기 제2 링크부가 회동되어 상기 보조 스텝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래치는 상기 도어의 움직임에 따라 상기 링크 롤러와 연결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래치에 탄성 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부는 일측이 상기 박스에 고정되고 길이가 가변되는 구조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어 레일에는 고정 부재가 마련되어 상기 제1 링크부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
KR1020120108555A 2012-09-28 2012-09-28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 KR101846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555A KR101846567B1 (ko) 2012-09-28 2012-09-28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8555A KR101846567B1 (ko) 2012-09-28 2012-09-28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173A KR20140042173A (ko) 2014-04-07
KR101846567B1 true KR101846567B1 (ko) 2018-04-06

Family

ID=50651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8555A KR101846567B1 (ko) 2012-09-28 2012-09-28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5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029B1 (ko) * 2018-09-17 2020-03-17 황성공업 주식회사 전동식 스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15413B1 (en) 2017-06-15 2020-02-19 AIRBUS HELICOPTERS DEUTSCHLAND GmbH A vehicle with a foldable fairing integrated footstep uni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0029B1 (ko) * 2018-09-17 2020-03-17 황성공업 주식회사 전동식 스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173A (ko) 201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58578B2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TWI447290B (zh) Attachment of the opening and closing device
CN102661101B (zh) 一种客车用塞拉门
US6364396B1 (en) Package tray for vehicle
JP6264995B2 (ja) ドアポップアップ装置
CN107023228A (zh) 带有具备软打开功能的电力释放和电力扣紧的单马达闩锁组件
US9493059B2 (en) Drive system for a movable roof part of a motor vehicle roof module
US8292358B2 (en) Sunshade device for vehicle
CN113226852A (zh) 车辆用踏板结构
KR101846567B1 (ko) 버스용 보조 스텝 장치
CN107735280A (zh) 具有便捷进入功能的车辆座椅
CN108966647A (zh) 具有用于车顶的盖的布置结构
US6174024B1 (en) Device for actuating a lifting and sliding roof
US20210179149A1 (en) Conveyor system having a conveyor carriage
KR101744587B1 (ko) 자동차 도어 슬라이딩 자동 개폐장치
CN107206872A (zh) 用于车辆内部空间的保护装置
JPH03140583A (ja) 車両のスライドドア構造
KR101232075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JP6074506B2 (ja) 乗り物用パワーシートスライド装置
US7229125B2 (en) Sunshade device for vehicle
KR101466467B1 (ko) 선루프용 개폐장치
CN105064851B (zh) 用于控制车窗升降的装置
CA2579035C (en) Load floor with gear rack
KR101232076B1 (ko) 차량 시트용 레그 레스트 장치
KR101262149B1 (ko) 플러그 아웃 도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