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517B1 - 투광판의 탈착이 용이한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투광판의 탈착이 용이한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6517B1 KR101846517B1 KR1020170021048A KR20170021048A KR101846517B1 KR 101846517 B1 KR101846517 B1 KR 101846517B1 KR 1020170021048 A KR1020170021048 A KR 1020170021048A KR 20170021048 A KR20170021048 A KR 20170021048A KR 101846517 B1 KR101846517 B1 KR 10184651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e
- transparent plate
- hole
- plate
- coup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04—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using feather joints, e.g. tongues and grooves, with or without friction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5/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damage
- F21V15/01—Housings, e.g. material or assembling of housing par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 F21V17/166—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deformation of parts; Snap action mounting the parts being subjected to torsion, e.g. spiral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ecuring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등 케이스에 구비되는 투광판을 손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체결되는 투광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에 투광판을 탈착시키는 탈착유닛을 더 구비하여 상기 조명수단의 교체를 위하여 투광판을 보다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투광판과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도 볼트 등의 고정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미관이 수려하고, 원터치 방식으로 손쉽게 조립시킬 수 있는 투광판의 탈착이 용이한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명등 케이스에 구비되는 투광판을 손쉽게 탈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체결되는 투광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에 투광판을 탈착시키는 탈착유닛을 더 구비하여 상기 조명수단의 교체를 위하여 투광판을 보다 손쉽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투광판과 케이스를 결합시키는 경우에도 볼트 등의 고정장치가 필요하지 않아 미관이 수려하고, 원터치 방식으로 손쉽게 조립시킬 수 있는 투광판의 탈착이 용이한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정 등에 설치되는 조명등은 이물질 유입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광판이 구비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내부에 구비되는 조명등을 교체하는 등의 유지보수를 하기 위하여 이 투광판을 분리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이러한 케이스의 저면으로 개폐가 가능케 착설되는 투광판의 결합구조는 조명등이 내설된 케이스의 저면으로 케이스에 대응되는 형상의 투광판을 다수의 볼트로 상기 케이스에 천공된 볼트 삽입공에 나사로 체결시켜 결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쇼트 및 수명으로 인한 조명등의 교체 또는 이물질과 곤충들이 인입되어 청소를 할 경우에 케이스와 투광판을지지 체결하고 있는 다수의 볼트를 일일이 드라이버로 해체시켜 조명등의 교체 또는 청소 후 다시 투광판을 볼트로 케이스에 체결시켜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유지보수 및 교체작업은 작업자가 케이스의 하부에서 상향작업으로 수행함으로 작업이 불편하고 교체시간이 지연되는 단점과, 공구를 사용하여야 하며 볼트에 의해 미관이 수려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보다 손쉽게 투광판의 탈착이 가능한 구조에 대한 기술이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423493호 『직부형 천정형광등의 투광커버판 결합장치』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천정 형광등기구 본체의 플랜지의 네 모서리에 형성되는 요홈과, 상기의 요홈의 저면에 나사로 결합 고정되며, 힌지의 고정판과 이에 대접되고 핀에 의해 전개되는 전개판에 수직으로 고정된 나사축에 너트를 결합시키는 힌지형결합구와, 상기 힌지형결합구에 고정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투광커버판으로 구성되는 직부형 천정형광등기구의 투광커버판 결합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단수?? 볼트가 아닌 힌지결합구를 이용하여 투광커버판을 고정하는 것으로서, 볼트를 이용했을 경우보단 시간이 적게 소요될 수 있으나, 여전히 각각의 힌지결합구를 분리하여야 함으로서 작업이 번거롭고 소요시간이 증가할 수 있으며, 특히 외부로 돌출됨에 따라 미관을 해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326746호 『형광등 케이스 투광판의 결합구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형광램프가 삽입 설치되는 금속재 형광등 하우징의 하단에 개방부를 형성하고 개방부의 선단 양측에 가이드 레일을 설치하며, 그 상단으로 측판 결합홈을 형성시켜 양 측단에서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결합돌조가 설치된 측판을 삽입시키고, 상기 형광등 하우징과 양 측판의 가이드 레일과 가이드 홈으로 내측에 엠보싱 처리된 투광판을 슬라이딩 결합시키고 그 양측에서 마감재를 삽입시켜 이루어지는 형광등 케이스 투광판의 결합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나아가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320069호 『형광등 케이스 투광판의 결합구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다수의 소켓에 형광램프가 결합되고, 상기 소켓과 안정기가 도선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형광등 케이스에 있어, 합성수지 패널에 금속편으로 조합된 형광등 케이스의 저면으로 투광판 가이드홈에 투광판이 슬라이딩 결합되고, 투광판이 결합된 형광등 케이스의 양 측단으로 내측 상하부에 판스프링이 착설된 마감블럭을 삽입 설치된 형광등 케이스 투광판의 결합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들은 투광판을 슬라이딩 결합시키는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투광판 분리 및 조립 시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한 공간이 구비되어야 하며, 이 양측에 마감재 또는 마감블럭을 구성함에 따라 마감재를 먼저 분리 후 투광판을 분리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탈착이 번거롭고 시간이 오래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20-0298344호 『형광등 케이스의 투고아판 탈착구조』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형광등 케이스 양단에 볼트로서 체결되는 탈착커버의 내측 저면으로 착설홈이 형성된 홀더가 방열편이 다수 형성된 커버몸체와 일체형성되어 상기 홀더의 착설홈 상면으로 투명재질의 판상체인 투광판이 단순 거치되도록 하여 형광램프 교체에 따른 투광판의 분리 또는 고정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형광등 케이스의 투광판 탈착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커버몸체에 일체형성된 홀더를 구비하되, 이 홀더에 투광판이 자중에 의해 고정되는 기술로서, 탈착커버가 형광등 케이스의 양단에 볼트로 고정되어야 하고, 상기 투광판에 단순거치됨에 따라 진동이나 외부 충격에 상기 투광판이 흔들려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전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탈착커버가 형광등 케이스의 종류에 따라 매번 다르게 제작되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에 체결되는 투광판을 구비하되, 상기 투광판을 내측에서 밀어 탈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탈착유닛을 구비하여 별도의 볼트와 같은 고정부재를 구비할 필요가 없는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 탈착유닛을 케이싱과, 케이싱 내부에 구비되어 투광판의 내측면을 밀 수 있는 푸쉬부재 및 이 푸쉬부재를 동작하는 작동부재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작동부재를 잡아당기면 자연스럽게 푸쉬부재가 투광판을 내측에서 밀어 투광판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투광판과 케이스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결합으로 체결될 수 있도록 하여 원터치로 손쉽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투광판의 탈착이 용이한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는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발광부와, 조명수단의 빛이 발산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발광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방부에 체결되는 투광판;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투광판을 탈착시키는 탈착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탈착유닛은
상기 발광부에 구비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상기 투광판의 내측면에 인접하는 푸쉬부재 및 상기 푸쉬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투광판을 관통하여 일부가 노출되는 작동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작동부재를 당기면, 상기 푸쉬부재가 상기 투광판의 내측면을 밀어 투광판을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투광판의 탈착이 용이한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는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케이스와, 이 케이스에 탈착 결합되는 투광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투광판의 내측을 밀어 결합된 투광판을 케이스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탈착유닛을 구비함으로서, 조명수단의 교체 등을 위하여 투광판을 분리하는 경우, 작업시간을 줄이고,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투광판을 분리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탈착유닛을 케이싱과, 이 케이싱에 구비되어 투광판 내측면에 인접 위치하는 푸쉬부재, 상기 푸쉬부재를 동작시키되, 상기 투광판을 관통하여 일부 노출된 작동부재로 구성하여, 사용자가 작동부재를 잡아당기면, 자연스럽게 푸쉬부재가 상기 투광판의 내측면을 밀어, 투광판을 케이스로부터 손쉽게 분리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상기 투광판과 케이스는 결합돌기와 결합홈의 체결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결합구조가 외부로 돌출될 필요가 없으며 별도의 볼트 등을 이용하여 체결하지 않음으로서 미관이 수려하고,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의 일측단면 실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의 타측단면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의 탈착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의 변형례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의 타측단면 실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의 탈착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투광판(20)의 탈착이 용이한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A)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에 체결되는 투광판(20) 및 상기 투광판(20)을 탈착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탈착유닛(30)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케이스(10)는 천정에 매립 또는 부착되기 위한 일반적인 조명등 케이스(10)의 형상을 띄는 것으로서, 내부에 조명수단이 구비되고, 이에 따른 안정기, 반사판 등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종래의 조명등 케이스(10)의 구성요소와 유사한 것으로서, 내부에 구비되는 각각의 구성은 도시하지 않았다. 또한 이 조명수단은 형광등, LED 등 다양한 발광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조명수단이 내삽되는 발광부(11)가 케이스(10)에 구비되어 있으며, 케이스(10)의 일면은 개방부(12)가 형성되어 조명수단에서 발산되는 빛이 나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0)는 직사각형, 정사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일반적으로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케이스(10)에는 케이스(10) 내부, 즉 발광부(11)에 벌레,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투광판(20)이 구비되어, 상기 발광부(11)를 개폐하며 상기 케이스(10)의 개방부(12)에 체결되게 된다.
이 투광판(20)은 빛이 관통될 수 있는 플라스틱, 유리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반투명,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일반적으로 이러한 투광판(20)은 상기 케이스(10)에 볼트 등의 고정부재를 통하여 체결되는 바, 이에 따라 조명수단의 수명이 다하거나, 내부 청소를 하기 위하여 투광판(20)을 분리하는 경우, 사용자는 일일이 볼트를 제거하여 분리해야하고, 이에 따라 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상기 케이스(10)와 투광판(20)을 원터치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상기 투광판(20)에는 상부(도2를 기준으로 발광부(11) 방향을 말한다.)로 돌출되는 결합부재(2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면에는 상기 결합부재(21)가 체결될 수 있는 결합홈(14)이 형성되어 끼움결합을 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결합부재(21)는 상기 투광판(20) 상부로 돌출된 기둥부(211)와, 상기 기둥부(211) 단부에 구비되어 케이스(10)의 내측면 방향으로 반원형으로 돌출 형성되는 결합돌기(21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케이스(10)의 내측면에는 상기 반원형 모양으로 형성되는 결합돌기(213)가 삽입 결합될 수 있는 결합홈(14)이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투광판(20)을 상기 케이스(10)로 밀어 넣으면, 자연스럽게 상기 결합돌기(213)가 결합홈(14)에 안착되어 한 번에 투광판(20)을 케이스(10)에 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이 투광판(20)의 견고한 고정을 위하여, 상기 결합돌기(213)의 상부에는 지지돌기(15)가 구비되어, 상기 결합돌기(213)의 상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홈(14)의 하부에는 걸림단턱(16)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부재(21)가 임의로 결합홈(1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나아가 상기 결합돌기(213)가 반원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탄성력이 부여될 수 있어, 사용자가 상기 결합돌기(213)가 걸림단턱(16)을 넘을 정도의 외력을 가하기만 하면, 결합돌기(213)가 결합홈(14)에 끼워질 수 있어 사용의 편의성 및 안전성을 모두 확보하는 효과를 갖는다.
이렇게 투광판(20)이 케이스(10)에 결합된 경우에, 볼트 등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서 미관이 수려하다는 효과는 있으나, 케이스(10)와 투광판(20) 사이의 틈새가 없어 상기 투광판(20)을 케이스(10)로부터 분리시키 어렵다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탈착유닛(30)을 더 구비하고 있다.
상기 탈착유닛(30)에 대하여 도 3에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를 도시하였고, 도 1 및 도 2에 실시도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탈착유닛(30)은 케이싱(31)과, 상기 케이싱(31)에 구비되는 푸쉬부재(33) 및 상기 푸쉬부재(33)에 결합되어 푸쉬부재(33)의 동작을 유도할 수 있는 작동부재(35)로 이루어져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먼저 상기 케이싱(31)은 상기 케이스(10)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내부에 공간부(311a)를 형성하는 프레임(311)과, 이 프레임(311)의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케이스(10) 내측 상면에 결합되는 밀착부(313)로 구성된다.
먼저, 이 밀착부(313)는 상기 케이스(10) 내측 상면에 밀착 고정되는 것으로서, 볼트, 용접 등의 다양한 접착방식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상기 프레임(311), 구체적으로는 프레임(311)의 하부면에는 가이드공(311b) 및 관통홀(311c)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케이싱(31)에는 푸쉬부재(33) 및 작동부재(35)가 각각 구비되게 되는데, 먼저 상기 작동부재(35)는 상기 관통홀(311c)에 삽입되어 일단(상단)이 상기 공간부(311a)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작동부재(35)의 타단은 상기 투광판(20)에 구비되는 관통공(23)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푸쉬부재(33)는 상기 작동부재(35)와 결합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상기 작동부재(35)와 직교하여 결합되는 받침부(331)와, 상기 받침부(331)로부터 하향 절곡되어 구성되는 가압부(33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탈착유닛(30)의 결합도를 기준으로 결합관계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상기 케이싱(31)에 작동부재(35)가 결합되고, 이 작동부재(35)에 푸쉬부재(33)가 결합되며, 상기 푸쉬부재(33)의 받침부(331)가 상기 케이싱(31)의 프레임(311) 하면과 밀착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작동부재(35)에는 상기 푸쉬부재(33)의 받침부(331)를 지지하는 지지부재(351)를 더 구비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푸쉬부재(33)의 가압부(333)는 상기 밀착부(313)로부터 하향 절곡된 형상으로, 상기 밀착부(313)의 단부가 상기 투광판(20)의 내측면과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상기 투광판(20)의 관통공(23)을 통해 노출된 작동부재(35)를 잡아당기면, 상기 작동부재(35)와 결합되어 있는 푸쉬부재(33)가 하강하여, 상기 푸쉬부재(33)의 가압부(333) 단부가 상기 투광판(20)의 내측면을 아래로 밀게 되며, 이러한 외력에 의해 상기 투광판(20)의 결합돌기(213)가 상기 케이스(10)의 결합홈(14)으로부터 이탈되어 투광판(20)을 케이스(10)로부터 손쉽게 분리시키게 된다.
또한 보다 편리한 사용을 위하여 아래로 하강한 푸쉬부재(33)를 다시 원위치로 복원시킬 필요가 있는 바,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탈착유닛(30)에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원부재(353)를 더 구비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복원부재(353)는 상기 작동부재(35)의 외면에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서, 먼저 상기 작동부재(35)의 일단(상단)부에는 받침플랜지(35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받침프레임(311) 하부에 상기 복원부재(353)가 위치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복원부재(353)가 상기 케이싱(31)의 공간부(311a)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복원부재(353)의 양단부가 상기 받침프레임(311)과 케이싱(31)의 프레임(311)에 지지됨에 따라 탄성력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35)를 상승시켜 원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푸쉬부재(33)가 상승하여 원위치 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사용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작동부재(35) 및 푸쉬부재(33)가 승하강 동작을 하는 경우, 힘이 분산되는 것을 막기 위해 흔들림 없이 곧게 하강할 필요가 있는 바, 이를 위하여 상기 푸쉬부재(33), 구체적으로는 상기 푸쉬부재(33)의 받침부(331)에는 상향 돌출된 가이드봉(331a)이 더 구비되고, 상기 케이싱(31), 구체적으로 프레임(311)에 형성되는 가이드공(311b)에 내삽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가이드봉(331a)은 상기 푸쉬부재(33)가 완전히 하강하는 경우에도, 상기 가이드공(311b)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중요하다.
즉, 이러한 가이드공(311b)과 가이드봉(331a)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푸쉬부재(33)가 하강 및 상승하는 경우, 양측으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직선으로 승하강운동을 할 수 있어 힘의 분산을 방지하고, 결합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아울러 조명등 케이스(10)의 크기가 커지는 경우에는, 상기 투광판(20)과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상부면의 간격이 커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푸쉬부재(33)의 가압부(333)와 상기 투광판(20)간의 거리가 멀어져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푸쉬부재(33), 구체적으로는 상기 가압부(333)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도 4에 이러한 길이조절수단을 도시하였다.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가압부(333)는 제1 분체(H1)와, 상기 제1 분체(H1)에 삽입되는 제2 분체(H2)로 이루어지는 길이조절수단(H)으로 대체될 수 있으며, 이 제2 분체(H2)가 제1 분체(H1)로부터 돌출되는 정도에 따라 길이조절수단의 전체 길이가 변화되어, 상기 제1 분체(H1)의 하부 단부가 상기 투광판(20)에 인접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분체(H1)에는 내삽부(H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내삽부(H11)에 상기 제2 분체(H2)가 내삽되어 제1 분체(H1)의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분체(H2)와 제1 분체(H1)가 완전히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상기 제1 분체(H1)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내측돌기(H13)가 구비되고, 상기 제2 분체(H2)에는 상기 내측돌기(H13)에 걸릴 수 있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H21)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1 분체(H1)와 제2 분체(H2)로 구성되는 길이조절수단(H)에는 제1 분체(H1)에 구비되는 통과공(H40)과, 상기 제2 분체(H2)에 구비되는 이동공(H30) 및 상기 통과공(H40)을 관통하여 이동공(H30)을 따라 이동함으로서 제2 분체(H2)의 돌출정도를 변경하는 이동부재(H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제2 분체(H2)에는 이동공(H30)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이동공(H30)은 사선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부(H31)와 상기 경사부(H31)에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구성되는 수직부(H33)로 이루어지며, 이 수직부(H33)에서 다시 경사부(H31)가 반대방향으로 형성됨으로서 결과적으로 상기 경사부(H31)와 수직부(H33)가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복수번 구비됨에 따라 지그재그 형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이 이동공(H30)은 공의 형상 또는 홈의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아울러 상기 제1 분체(H1)에는 통과공(H40)이 구비되어 있는 바, 상기 통과공(H40)은 가로방향으로 형성된 가로공(H41)과, 상기 가로공(H41)의 양측에 연통되어 세로방향으로 구비되는 제1 세로공(H43) 및 제2 세로공(H44)으로 이루어져 그 형상이 'H' 모양을 이루도록 구성되게 된다.
나아가 상기 통과공(H40)을 관통하여 상기 이동공(H30)에 단부가 체결되는 이동부재(H50)가 더 구비되게 되며, 이 이동부재(H50)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상기 이동부재(H50)는 바디부재(H53)와, 상기 바디부재(H53) 단부에 구비되는 볼베어링(H51), 다른 단부에 구비되는 핸들부재(H55)로 이루어지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바디부재(H53)의 단부에는 볼베어링(H51)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 볼베어링(H51)은 상기 이동부재(H50)가 이동공(H30) 내에서 움직일 때 보다 움직임을 부드럽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바디부재(H53)의 단부에는 볼베어링삽입부(H533)가 구비되어 볼베어링(H51)을 안착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즉 상기 볼베어링삽입부(H533)는 상기 볼베어링(H51)의 절반 이상을 감쌀 수 있도록 구비되어 볼베어링(H51)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져, 이 볼베어링삽입부(H533) 내에서 상기 볼베어링(H51)이 자유롭게 회전하게 됨으로서 이동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바디부재(H53)의 반대쪽 단부에는 핸들결합부(H53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핸들결합부(H531)에 상기 핸들부재(H55)가 결합되어 하나의 이동부재(H50)를 형성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핸들결합부(H531)와 핸들부재(H55)에 구비되는 바디삽입부(H551)는 나사결합을 통하여 결합되어 있으며, 이 나사결합에 의해 핸들부재(H55)를 회전시키면 상기 핸들결합부(H531) 방향으로 조여지거나 반대방향으로 풀어지는 구조로서, 이 구조는 하기에 이동부재(H50)의 동작을 설명할 때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본 발명은 제1 분체(H1)로부터 제2 분체(H2)의 돌출정도를 조절하여 길이를 조절하게 되는데, 그 동작에 대하여 일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이동부재(H50)는 상기 통과공(H40)을 관통하여 이동공(H30)에 체결되는 바, 상기 통과공(H40)의 가로공(H41)을 따라 이동부재(H50)를 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경사부(H31)(우측방향으로 상승되는 경사를 갖는 경사부(H31))에 의해 제1 분체(H1)는 하강하게 된다. 이렇게 이동부재(H50)가 가로공(H41)의 좌측에 위치한 후, 다시 우측방향으로 바로 이동을 시키면, 상기 이동부재(H50)가 앞서 움직인 경사부(H31)를 따라 다시 이동하여 제1 분체(H1)가 원위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가로공(H41)의 좌측 및 우측에는 제1 세로공(H43) 및 제2 세로공(H44)이 각각 구비되는 바, 상기 이동부재(H50)를 상기 제1 세로공(H43)의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이동부재(H50)가 상기 이동공(H30)의 수직부(H33)에 의해 좀 더 상승하게 되고, 이렇게 상승된 후 다시 상기 이동부재(H50)를 아래로 내리면, 자연스럽게 이동공(H30)의 다음 경사부(H31)에 초입에 위치하며, 이동부재(H50)를 다시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두 번째 경사부(H31)를 따라 이동부재(H50)가 이동하여 제1 분체(H1)는 다시 한번 하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상기 통과공(H40)의 가로공(H41)을 따라 이동부재(H50)가 이동하는 경우에는 이동부재(H50)는 상기 이동공(H30)의 경사부(H31)를 따라 이동하고, 상기 통과공(H40)의 제1 및 제2 세로공(H44)을 따라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공(H30)의 수직부(H33)를 따라 이동함으로서 연속적으로 제1 분체(H1)를 제2 분체(H2)로부터 하강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으며, 상기 제1 분체(H1)를 상승시키는 경우에는 하강시키는 방식과 반대로 이동부재(H50)를 움직임으로서 해결하게 된다.
아울러 이렇게 길이가 조정된 제1 및 제2 분체(H1)(H2)를 고정하기 위하여 별도의 고정장치가 필요한데,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핸들부재(H55)에 고정플랜지(H553)를 구비하고 상기 통과공(H40)에 상기 고정플랜지(H553)가 결합되는 고정홈(H46)을 구비함으로서 이를 해결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핸들부재(H55)의 테두리에는 고정플랜지(H553)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고정플랜지(H553)는 상기 바디부재(H53)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홈(H46)은 상기 통과공(H40)의 가로공(H41) 양 단부에 반원의 형상을 이루도록 구비된 홈 또는 공 형상의 것으로 이 반원의 형상의 직경은 상기 핸들부재(H55)의 직경과 동일하게 구비되게 된다.
그 동작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바디부재(H53)와 핸들부재(H55)는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되어 있는 바, 핸들부재(H55)를 살짝 풀어 바디부재(H53)와 핸들부재(H55)의 내측이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면, 상기 고정플랜지(H553)가 상기 제1 분체(H1)의 외면과 떨어진 형상을 이루어 이동부재(H50)의 움직임에 간섭이 생기지 않도록 하며, 상기 이동부재(H50)를 상기 가로공(H41)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핸들부재(H55)를 조이게 되며, 이렇게 조이면 핸들부재(H55)가 자연스럽게 통과공(H40)방향으로 이동하여 고정플랜지(H553)가 통과공(H40)에 구비되는 고정홈(H46)에 삽입됨으로서 이동부재(H50)의 움직임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나아가 보다 완벽한 고정을 위하여 상기 고정플랜지(H553)에는 제1 마그넷(H555)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홈(H46)의 일측에는 제2 마그넷(H557)을 구비하여 고정플랜지(H553)가 고정홈(H46)에 체결되면 이 제1 마그넷(H555)과 제2 마그넷(H557)의 자력에 의해 임의로 핸들부재(H55)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고정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으나, 이는 하나의 일실시예로서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투광판의 탈착이 용이한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A :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
10 : 케이스 11 : 발광부
12 : 개방부 14 : 결합홈
15 : 지지돌기 16 : 걸림단턱
20 : 투광판 21 : 결합부재
211 : 기둥부 213 : 결합돌기
23 : 관통공
30 : 탈착유닛 31 : 케이싱
311 : 프레임 311a : 공간부
311b : 가이드공 311c : 관통홀
313 : 밀착부 33 : 푸쉬부재
331 : 받침부 331a : 가이드봉
333 : 가압부 35 : 작동부재
351 : 지지부재 353 : 복원부재
355 : 받침플랜지
H : 길이조절수단 H1 : 제1 분체
H11 : 내삽부 H13 : 내측돌기
H2 : 제2 분체 H21 : 걸림돌기
H30 : 이동공 H31 : 경사부
H33 : 수직부 H40 : 통과공
H41 : 가로공 H43 : 제1 세로공
H44 : 제2 세로공 H46 : 고정홈
H50 : 이동부재 H51 : 볼베어링
H53 : 바디부재 H531 : 핸들결합부
H533 : 볼베어링삽입부 H55 : 핸들부재
H551 : 바디삽입부 H553 : 고정플랜지
H555 : 제1 마그넷 H557 : 제2 마그넷
10 : 케이스 11 : 발광부
12 : 개방부 14 : 결합홈
15 : 지지돌기 16 : 걸림단턱
20 : 투광판 21 : 결합부재
211 : 기둥부 213 : 결합돌기
23 : 관통공
30 : 탈착유닛 31 : 케이싱
311 : 프레임 311a : 공간부
311b : 가이드공 311c : 관통홀
313 : 밀착부 33 : 푸쉬부재
331 : 받침부 331a : 가이드봉
333 : 가압부 35 : 작동부재
351 : 지지부재 353 : 복원부재
355 : 받침플랜지
H : 길이조절수단 H1 : 제1 분체
H11 : 내삽부 H13 : 내측돌기
H2 : 제2 분체 H21 : 걸림돌기
H30 : 이동공 H31 : 경사부
H33 : 수직부 H40 : 통과공
H41 : 가로공 H43 : 제1 세로공
H44 : 제2 세로공 H46 : 고정홈
H50 : 이동부재 H51 : 볼베어링
H53 : 바디부재 H531 : 핸들결합부
H533 : 볼베어링삽입부 H55 : 핸들부재
H551 : 바디삽입부 H553 : 고정플랜지
H555 : 제1 마그넷 H557 : 제2 마그넷
Claims (4)
- 조명수단이 구비되는 발광부와, 조명수단의 빛이 발산되는 개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발광부를 개폐하도록 상기 개방부에 체결되는 투광판;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투광판을 탈착시키는 탈착유닛;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탈착유닛은
상기 발광부에 구비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상기 투광판의 내측면에 인접하는 푸쉬부재 및 상기 푸쉬부재에 결합되되 상기 투광판을 관통하여 일부가 노출되는 작동부재로 이루어져,
상기 작동부재를 당기면, 상기 푸쉬부재가 상기 투광판의 내측면을 밀어 투광판을 상기 케이스로부터 분리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판의 탈착이 용이한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투광판에는 상기 결합홈에 끼움결합되는 결합돌기를 포함하는 결합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판의 탈착이 용이한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유닛의 작동부재에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복원부재가 더 구비되어, 투광판 분리 후 작동부재를 원위치시키도록 탄성력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판의 탈착이 용이한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 -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유닛의 케이싱에는 가이드공이 구비되고, 상기 푸쉬부재에는 상기 가이드공에 내삽되는 가이드봉이 형성되어, 푸쉬부재가 직선으로 승하강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광판의 탈착이 용이한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1048A KR101846517B1 (ko) | 2017-02-16 | 2017-02-16 | 투광판의 탈착이 용이한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1048A KR101846517B1 (ko) | 2017-02-16 | 2017-02-16 | 투광판의 탈착이 용이한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46517B1 true KR101846517B1 (ko) | 2018-04-09 |
Family
ID=6197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1048A KR101846517B1 (ko) | 2017-02-16 | 2017-02-16 | 투광판의 탈착이 용이한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6517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974706A4 (en) * | 2019-12-02 | 2022-07-20 | Suzhou Opple Lighting Co., Ltd. | LAMP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29102A (ja) * | 1990-09-19 | 1992-04-30 | Mitsubishi Denki Shomei Kk | 照明器具 |
JP3178553B2 (ja) * | 1992-03-31 | 2001-06-18 |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 照明器具 |
KR200344380Y1 (ko) * | 2003-12-01 | 2004-03-10 | 정상원 | 천정등 커버의 결합구조 |
KR101262232B1 (ko) * | 2012-03-12 | 2013-05-07 | 주식회사 위지트동도 | 개선된 구조를 갖는 주차장용 등기구 본체 |
KR101351359B1 (ko) * | 2013-03-04 | 2014-01-14 | 주식회사 린노 | 천장 매립형 라인 타입 조명장치 |
CN103511936A (zh) * | 2012-06-28 | 2014-01-15 |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 低顶灯 |
-
2017
- 2017-02-16 KR KR1020170021048A patent/KR10184651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4129102A (ja) * | 1990-09-19 | 1992-04-30 | Mitsubishi Denki Shomei Kk | 照明器具 |
JP3178553B2 (ja) * | 1992-03-31 | 2001-06-18 | 東芝ライテック株式会社 | 照明器具 |
KR200344380Y1 (ko) * | 2003-12-01 | 2004-03-10 | 정상원 | 천정등 커버의 결합구조 |
KR101262232B1 (ko) * | 2012-03-12 | 2013-05-07 | 주식회사 위지트동도 | 개선된 구조를 갖는 주차장용 등기구 본체 |
CN103511936A (zh) * | 2012-06-28 | 2014-01-15 | 海洋王照明科技股份有限公司 | 低顶灯 |
KR101351359B1 (ko) * | 2013-03-04 | 2014-01-14 | 주식회사 린노 | 천장 매립형 라인 타입 조명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974706A4 (en) * | 2019-12-02 | 2022-07-20 | Suzhou Opple Lighting Co., Ltd. | LAMP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77840B1 (ko) | 천정등 커버 탈착장치 | |
KR200392493Y1 (ko) | 미닫이 도어의 착탈구조 | |
KR102023123B1 (ko) | 등기구용 원터치 체결장치 | |
KR101846517B1 (ko) | 투광판의 탈착이 용이한 조명등 케이스 어셈블리 | |
EP2515029A2 (en) | Illumination device | |
KR20200132033A (ko) | 조명등 고정기구 어셈블리 | |
KR101322295B1 (ko) | 탈착이 용이한 조명 어셈블리 | |
KR101527755B1 (ko) | 천정패널용 조명등기구 | |
KR101114910B1 (ko) | 조명등 기구 | |
KR102267857B1 (ko) | 원터치 체결용 등기구 | |
KR200445409Y1 (ko) | 착탈클립을 갖는 실내 조명등 | |
KR101821150B1 (ko) | 엘이디 조명장치 | |
EP2458265B1 (en) | Recessed lighting apparatus and cover therefor | |
KR101322365B1 (ko) | 조명 푸쉬스위치 | |
KR20180001528U (ko) | 조명등의 투광판 고정구 장착장치 | |
KR20100004175U (ko) | 조명등 케이스의 투과창 장착구조 | |
KR101901176B1 (ko) | 암부 발생이 최소화되게 한 커버 착탈구조를 갖는 천정용 조명등 | |
CN109404803B (zh) | 灯组件和驱动器组件之间具有独立调节的嵌入式照明灯具 | |
KR101104855B1 (ko) | 빔 조절가능 벽등 | |
KR200486297Y1 (ko) | 결합 길이가 가변 되는 후면 커버 일체형 등기구 결합 장치 | |
KR101326740B1 (ko) | 등기구 | |
KR200382412Y1 (ko) | 조명기구 | |
KR20190139562A (ko) | 모듈 탈착식 led 조명등 | |
KR200442382Y1 (ko) | 형광등기구의 반사갓과 덮개의 체결구조 | |
KR20210000086U (ko) | 천장 장착용 조명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