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255B1 -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 - Google Patents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255B1
KR101846255B1 KR1020150138754A KR20150138754A KR101846255B1 KR 101846255 B1 KR101846255 B1 KR 101846255B1 KR 1020150138754 A KR1020150138754 A KR 1020150138754A KR 20150138754 A KR20150138754 A KR 20150138754A KR 101846255 B1 KR101846255 B1 KR 101846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t
cutting tool
clamping nut
head portion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87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9818A (ko
Inventor
최진호
최영훈
Original Assignee
최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10201501387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255B1/ko
Publication of KR201700398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98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2Chucks with simultaneously-acting jaws, whether or not also individually adjustable
    • B23B31/20Longitudinally-split sleeves, e.g. collet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31/00Chucks; Expansion mandrels; Adaptations thereof for remote control
    • B23B31/02Chucks
    • B23B31/10Chucks characterised by the retaining or gripping devices or their immediate operating means
    • B23B31/11Retention by threaded conn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51/00Tools for drilling machines
    • B23B51/12Adapters for drills or chucks; Tapered slee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0Collet ch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0Collet chucks
    • B23B2231/2089Slits of col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31/00Details of chucks, toolholder shanks or tool shanks
    • B23B2231/20Collet chucks
    • B23B2231/2089Slits of collets
    • B23B2231/2097Slits of collets having a special form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pping On Spind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콜릿의 헤드 부분 일측면에 요홈부의 외반경과 동일한 외반경을 갖도록 하는 절단면을 형성하여 별도의 추가적인 도구 없이도 직접 클램핑 너트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헤드부, 요홈부 및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콜릿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종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측이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Collet for fixing a cutting tool}
본 발명은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콜릿의 헤드 부분 일측면에 요홈부의 외반경과 동일한 외반경을 갖도록 하는 절단면을 형성하여 별도의 추가적인 도구 없이도 직접 클램핑 너트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 볼반, 프라이스반 등의 공작기계에는 드릴, 엔드밀 등의 절삭공구를 고정하기 위한 수단으로 콜릿(collet)이 사용된다.
이러한 콜릿은 본체부, 헤드부 및 요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중심부에는 절삭공구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즉, 절삭공구가 콜릿의 관통공을 통해 본체부 내측으로 삽입되어 콜릿과 함께 척에 결합되고, 콜릿의 헤드부에 결합되는 클램핑 너트의 가압력에 의해 척과 압착됨으로써 절삭공구를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상기 콜릿의 외주면에는 다수 개의 슬릿이 형성되어 클램핑 너트 및 척과의 결합시 콜릿의 외경이 변형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데, 콜릿을 클램핑 너트와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콜릿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콜릿의 외경을 축소시킨 상태에서 억지끼움 등의 방식에 의해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콜릿의 외경 축소에 많은 힘이 소요되므로 종래에는 콜릿 본체부의 테이퍼진 형상을 이용하여 콜릿의 외경을 축소시키기 위한 별도의 도구를 사용하였고, 그에 따라 콜릿과 클램핑 너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과정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작업 능률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4970호에는 "절삭공구 고정용 콜렛"이 게재되어 있는데, 그 주요 기술적 구성은 척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절삭공구를 수용할 수 있게 형성되는 수용부를 갖는 몸통; 상기 삽입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조임너트의 걸림턱이 걸릴 수 있도록 오목하게 형성되는 걸림목; 및 상기 걸림목에서 연장되고, 상기 몸통에 대해 상기 몸통의 중심축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걸림턱과 맞닿아 그의 외경이 줄어들도록 형성되는 제1 곡면부와, 상기 제1 곡면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중심축과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되어서, 상기 교차하는 방향을 따르는 외력이 가해지면 상기 외경이 줄어든 상태에서 상기 걸림턱의 선단면과 면접촉하여 슬라이딩하면서 상기 걸림턱으로부터 분리되는 편평부를 갖는 헤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종래기술은 콜릿의 헤드에 곡면부와 편평부를 포함하는 경사면을 형성하여 별도의 추출도구 없이도 슬라이딩 방식에 의해 콜릿을 조임너트(클램핑 너트)와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에 특징이 있으나, 단순히 헤드에 경사면을 형성시키는 것만으로는 헤드의 외경에 큰 변화가 발생되지 않으므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결합시킨다 하더라도 콜릿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콜릿 또는 조임너트의 제작시 발생되는 가공오차나 절삭작업시 발생되는 열에 의한 변형 등을 고려한다면 더더욱 콜릿과 조임너트의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지 않게 되고, 필요에 따라서는 곡면부와 편평부의 각도 및 길이를 달리하는 콜릿을 각각 제작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394970호(2014. 05. 14.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헤드 부분 일측면에 요홈부의 외반경과 동일한 외반경을 갖도록 하는 절단면을 형성하여 콜릿과 클램핑 너트의 가공오차 등과 관계없이 별도의 추가적인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직접 클램핑 너트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헤드부의 횡단면 형상이 타원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콜릿을 직접 클램핑 너트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헤드부에서의 절삭공구 가압력에 편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콜릿과 클램핑 너트사이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콜릿의 외경을 조절하기 위한 슬릿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삭공구의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슬릿을 통한 절삭유의 유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헤드부, 요홈부 및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콜릿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종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측이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헤드부의 일측은 횡단면이 반원 형상이고, 타측은 횡단면이 상,하 방향으로 장반경이 형성된 반타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헤드부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한 일측면에는 요홈부의 외반경과 동일한 외반경을 갖도록 하는 절단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절단면은 평면 또는 곡면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일측 단부가 개방되고 타측 단부는 본체부의 후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헤드부, 요홈부 및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6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슬릿과, 상기 제1슬릿의 사이에 위치되고, 일측 단부가 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고 타측 단부는 개방되도록 하여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2슬릿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헤드부, 요홈부 및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콜릿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의 횡단면 형상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헤드부 횡단면의 단반경은 요홈부의 외반경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 부분 일측면에 요홈부의 외반경과 동일한 외반경을 갖도록 하는 절단면을 형성하여 별도의 추가적인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콜릿과 클램핑 너트의 가공오차, 열변형 등과 관계없이 콜릿을 직접 클램핑 너트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뛰어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의 횡단면 형상이 타원형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콜릿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이고, 콜릿을 직접 클램핑 너트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면서도 헤드부에서의 절삭공구 가압력에 편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헤드부의 일측에 균열 또는 크랙이 발생한 콜릿을 헤드부의 횡단면 형상이 타원을 이루도록 가공하여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콜릿과 클램핑 너트사이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콜릿의 외경을 조절하기 위한 슬릿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삭공구의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슬릿을 통한 절삭유의 유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을 나타낸 측면도.
도 3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을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이 클램핑 너트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을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3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이 클램핑 너트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나타낸 본 발명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콜릿의 헤드부 일측면에 요홈부의 외반경과 동일한 외반경을 갖도록 하는 절단면을 형성하여 별도의 추가적인 도구 없이도 직접 클램핑 너트(2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100)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헤드부(110), 요홈부(130) 및 본체부(1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헤드부(110)는 콜릿(100)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콜릿(100)과 클램핑 너트(20)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후술하겠지만, 상기 헤드부(110)는 클램핑 너트(20)와 콜릿(100)을 체결시킬 수 있도록 하여 클램핑 너트(20)의 회전에 의한 조임작용에 의해 콜릿(100)의 내측에 형성된 관통공(140)에 삽입 결합된 절삭공구(10)를 견고히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다음, 상기 요홈부(130)는 헤드부(110)와 본체부(120)의 사이에 형성되는 것으로, 클램핑 너트(20)에 형성되는 단턱부(24)가 삽입 결합되어 콜릿(100)이 클램핑 너트(20)에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요홈부(130)는 헤드부(110)와 본체부(120)의 사이에 형성된 홈으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램핑 너트(20)에 형성된 단턱부(24)가 요홈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콜릿(100)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콜릿(100)의 헤드부(110)와 요홈부(130)는 콜릿(100)이 클램핑 너트(2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콜릿(100)의 헤드부(110)의 외경은 클램핑 너트(20)에 형성되는 관통홀(22)의 내경, 즉 클램핑 너트(20)의 단턱부(24)에 의해 형성되는 내경에 비해 크게 제작되므로 억지끼움 등의 방식에 의해 콜릿(100)을 클램핑 너트(20)에 결합시키게 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헤드부(110), 요홈부(130) 및 본체부(120)에는 후술할 제1슬릿(122)이 형성되어 콜릿(100)의 반경방향으로 외력을 가할 경우 헤드부(110)의 외경이 축소되고, 외경이 축소된 상태에서 헤드부(110)를 클램핑 너트(20)에 형성된 관통홀(22)을 통해 내측에서 외측으로 억지끼움 방식에 의해 결합시키면 클램핑 너트(20)의 단턱부(24)가 요홈부(130)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콜릿(100)이 클램핑 너트(20)에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콜릿(100)과 클램핑 너트(20)의 결합을 위해 콜릿(100)의 외경을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하는 별도의 기구를 사용하여 콜릿(100)의 헤드부(110) 외경을 축소시킨 상태에서 클램핑 너트(20)에 결합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번거로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콜릿(100)의 헤드부(110) 형상을 비대칭으로 형성한 것에 그 특징이 있다.
즉, 종래의 콜릿(100) 헤드부는 그 횡단면이 원형으로 좌,우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어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클램핑 너트(20)의 관통홀(22)을 통해 삽입시키기가 어려웠던 것임에 비해, 본 발명에서는 콜릿(100)의 종단면(L)을 기준으로 하여 일측은 원형, 즉 반원 형상을 유지하도록 하고, 타측은 그보다 크기가 작은 비대칭 형상으로 헤드부(110b)를 형성시킴으로써 콜릿(100)과 클램핑 너트(20)의 결합 및 분리가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콜릿(100)의 종단면(L)을 기준으로 한 헤드부(110a)의 일측은 그 횡단면이 반원 형상 이루도록 형성하고, 타측은 그 횡단면의 단면적이 일측의 반원 형상 보다 작은 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헤드부(110a)의 일측을 클램핑 너트(20)의 단턱부(24)를 통해 관통홀(22) 바깥쪽으로 삽입시킨 상태에서 헤드부(110b)의 타측을 단턱부(24)를 통해 관통홀(22) 바깥쪽으로 밀어 넣으면 일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으로 인해 별도의 도구 없이도 보다 용이하게 헤드부(110)가 관통홀(22)을 통과하게 되고, 클램핑 너트(20)의 단턱부(24)가 콜릿(100)의 요홈부(130)에 삽입되면서 콜릿(100)과 클램핑 너트(20)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비대칭으로 형성되는 헤드부(110b)의 타측은 헤드부(110a)의 일측에 비해 횡단면적이 좁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먼저 상,하 방향으로 장반경이 형성된 타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 및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콜릿(100)의 종단면(L)을 기준으로 하여 헤드부(110a)의 일측은 그 횡단면이 반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하고, 타측은 그 횡단면이 상,하 방향으로 장반경이 형성되고, 좌,우 방향으로 단반경이 형성된 타원 형상을 이루도록 형성함으로써 콜릿(100)과 클램핑 너트(20)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때, 타측 헤드부(110b)의 장반경은 일측 헤드부(110a)의 반경과 동일하게 형성하여 헤드부(110)의 외측면이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곡면을 이루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또한, 타측 헤드부(110b)의 단반경은 적어도 요홈부(130)의 외반경(콜릿(100)의 중심으로부터 요홈부(130)의 외측면까지의 거리)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타측 헤드부(110b)의 단반경이 작아질수록 콜릿(100)과 클램핑 너트(20) 사이의 결합이 용이해지기는 하지만, 타측 헤드부(110b)의 단반경이 요홈부(130)의 외반경보다 작아질 경우 클램핑 너트(20)의 단턱부(24)가 결합될 수 있는 요홈부(130)의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콜릿(100)의 헤드부(110)가 클램핑 너트(20)로부터 이탈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 상기 타측 헤드부(110b)의 다른 실시예로 헤드부 일측면에 절단면(112)을 형성할 수 있는데, 상기 절단면(112) 또한 타측 헤드부(110b)의 단면적을 줄임으로써 헤드부(110)가 클램핑 너트(20)에 보다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는 기존에 사용되고 있던 콜릿(100)을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원형으로 형성된 콜릿(100)의 타측 헤드부(110b) 측면에 요홈부(130)의 외반경과 동일한 외반경을 갖도록 하는 절단면(112)을 형성함으로써 콜릿(100)과 클램핑 너트(20)의 결합이 용이해지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절단면(112)은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곡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는데, 콜릿(100)과 클램핑 너트(20)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면서도 콜릿(100)이 클램핑 너트(2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타측 헤드부(110b)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절단면(112)이 콜릿(100)의 요홈부(130)와 일체를 이루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상기 본체부(120)는 내측으로 삽입된 절삭공구(10)를 압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그 외주면에는 후단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하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고, 본체부(120)가 삽입 결합되는 척(30)의 내부에도 본체부(120)의 테이퍼면과 동일한 기울기를 갖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콜릿(100)의 헤드부(110) 및 요홈부(130)에 클램핑 너트(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콜릿(100)을 척(30)의 내부에 삽입한 후, 클램핑 너트(2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클램핑 너트(20)의 내측면에 형성된 암나사(26)와 이에 결합되는 척(30)의 외주면에 형성된 수나사(32)의 작용에 의해 콜릿(100)이 하강하게 된다.
이때, 콜릿(100)의 본체부(120)는 외주면에 형성된 테이퍼면에 의해 척(30)의 내측으로 밀려 들어가면서 후술할 제1 및 제2슬릿(122,124)이 밀폐되어 외경 및 횡단면의 단면적이 줄어들게 되고, 그에 따라 절삭공구(10)가 삽입된 관통공(140)의 직경이 작아지게 되므로 절삭공구(10)를 압착 고정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헤드부(110), 요홈부(130) 및 본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콜릿(100)의 중심부에는 절삭공구(10)가 삽입되는 관통공(140)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40)의 외측 즉 콜릿(100)의 측면에는 반경방향으로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콜릿(100)이 확장하거나 수축될 수 있도록 하는 다수 개의 슬릿(122,124)이 형성되는데, 상기 슬릿(122,124)은 콜릿(100)의 전단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제1슬릿(122)과, 콜릿(100)의 후단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제2슬릿(124)으로 구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1슬릿(122)은 일측 단부 즉, 선단부가 개방되고, 타측 단부, 즉 후단부는 본체부(120)의 후단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되도록 하여 헤드부(110), 요홈부(130) 및 본체부(12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콜릿(100)의 반경 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에 의해 헤드부(110), 요홈부(130) 및 본체부(120)의 횡방향 단면적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콜릿(100)의 헤드부(110)와 클램핑 램프를 결합 및 분리시키거나 본체부(120)가 절삭공구(10)를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헤드부(110), 요홈부(130) 및 본체부(120)의 횡방향 단면적과 콜릿(100)의 관통공(140) 직경을 변화시킬 수 있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 헤드부(110), 요홈부(130) 및 본체부(120)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다수 개의 제1슬릿(122)이 형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슬릿(124)은 제1슬릿(122)과는 반대 방향 즉, 일측 단부는 본체부(120)의 상단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고 타측 단부는 본체부(120)의 후단에서 개방되도록 하는 본체부(12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본체부(120)에 가해지는 반경방향으로의 힘에 의해 본체부(120)의 횡방향 단면적 및 관통공(140)의 직경이 변화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제1슬릿(122)과 제2슬릿(124)은 종래의 절삭공구(10)를 고정시키기 위한 콜릿(100)에도 형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이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단, 본 발명에서는 헤드부(110)의 형상에 의해 종래에 비해 제1슬릿(122)과 제2슬릿(124)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데, 상기 제1슬릿(122)은 서로 60도 간격을 이루도록 하여 총 6개가 형성되고, 상기 제2슬릿(124)은 제1슬릿(122)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하여 120도 간격으로 총 3개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및 제2슬릿(122,124)은 콜릿(100)의 횡방향 단면적과 관통공(140)의 직경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단면적 및 직경의 변화가 많이 필요할 수록 제1 및 제2슬릿(122,124)의 형성 개수가 많아지게 되는데, 슬릿(122,124)의 형성 개수가 많아질수록 콜릿(100)의 구조적 강성은 떨어지게 되고, 특히 절삭유 공급홀을 구비한 절삭공구(10)를 사용하는 경우 절삭유가 슬릿(122,124)을 통해 유출될 우려가 있으므로 가급적이면 콜릿(100)에 형성되는 슬릿(122,124)의 개수를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헤드부(110)의 형상에 의해 콜릿(100)과 클램핑 너트(20)의 결합 및 분리를 위한 콜릿(100)의 단면적 변화가 최소화되므로, 제1 및 제2슬릿(122,124)의 형성 개수를 줄일 수 있어 콜릿(100)의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1 및 제2슬릿(122,124)의 폐쇄된 단부는 각각 본체부(120)의 하단과 상단의 인접한 지점까지 형성되는데, 이는 절삭유 공급홀을 구비한 절삭공구(10)를 사용하는 경우 절삭유가 제1 및 제2슬릿(122,124)을 통해 유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1 및 제2슬릿(122,124)의 폐쇄된 단부를 각각 본체부(120)의 하단과 상단의 인접한 지점,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부(120)의 하단과 상단으로부터 5mm 이내의 지점까지 형성시키는 경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콜릿(100)의 후단으로부터 전단에 이르기까지 개방된 구간이 없게 되므로 절삭유가 제1 및 제2슬릿(122,124)을 통해 유출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100)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부(110)의 횡단면 형상이 타원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는데 이 또한 별도의 추가적인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콜릿(100)과 클램핑 너트(20)의 가공오차, 열변형 등과 관계없이 콜릿(100)을 직접 클램핑 너트(2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콜릿(100)에 의한 절삭공구(10)의 가압력이 보다 균일하게 작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콜릿(100)에 의한 절삭공구(10)의 가압력은 주로 콜릿(100)의 본체부(120)에 의해 발생되므로, 헤드부(110)의 형상 차이에 의한 절삭공구(10)의 가압력 차이는 실제적으로 크게 발생되지 않지만,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헤드부(110)의 횡단면 형상이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일측 헤드부(110a)와 타측 헤드부(110b)에 의한 절삭공구(10)의 가압력에 미세한 차이가 발생되거나 일측 헤드부(110a)와 타측 헤드부(110b)에 발생되는 피로도에 차이가 발생될 수 있으므로 헤드부(110)의 횡단면 형상을 타원형으로 형성시킴으로써 콜릿(100)과 클램핑 너트(20)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헤드부(110)에서의 절삭공구(10) 가압력에 편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와 같이 타원형으로 이루어지는 헤드부(110)의 단반경(외측 단반경)은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마찬가지로 적어도 요홈부(130)의 외반경 이상이 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헤드부(110)의 양측면에 요홈부(130)와 일체를 이루도록 하는 절단면을 형성시킬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100)에 의하면, 헤드 부분 일측면에 요홈부(130)의 외반경과 동일한 외반경을 갖도록 하는 절단면(112)을 형성하거나, 헤드부(110)의 횡단면이 타원 형상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추가적인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서도 콜릿(100)과 클램핑 너트(20)의 가공오차, 열변형 등과 관계없이 콜릿(100)을 직접 클램핑 너트(20)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콜릿(100)과 클램핑 너트(20)사이의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콜릿의 외경을 조절하기 위한 슬릿(122,124)의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절삭공구(10)의 고정력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슬릿을 통한 절삭유의 유출을 최소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다양한 장점을 갖는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콜릿의 헤드 부분 일측면에 요홈부의 외반경과 동일한 외반경을 갖도록 하는 절단면을 형성하여 별도의 추가적인 도구 없이도 직접 클램핑 너트에 용이하게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에 관한 것이다.
10 : 절삭공구 20 : 클램핑 너트
22 : 관통홀 24 : 단턱부
26 : 암나사 30 : 척
32 : 수나사 100 : 콜릿
110 : 헤드부 110a : 일측 헤드부
110b : 타측 헤드부 112 : 절단면
120 : 본체부 122 : 제1슬릿
124 : 제2슬릿 130 : 요홈부
140 : 관통공

Claims (7)

  1. 헤드부, 요홈부 및 본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콜릿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는 종단면을 기준으로 하여 좌,우 양측이 비대칭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콜릿의 측면에는 다수 개의 제1 및 제2슬릿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되,
    상기 헤드부의 종단면을 기준으로 한 일측면에는 요홈부의 외반경과 동일한 외반경을 갖도록 하는 절단면이 평면 또는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슬릿은 일측 단부가 개방되고 타측 단부는 본체부의 후단으로부터 5mm 이내로 이격되도록 하여 헤드부, 요홈부 및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60도 간격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슬릿은 제1슬릿의 사이에 위치되고, 일측 단부가 본체부의 상단으로부터 5mm 이내로 이격되고 타측 단부는 개방되도록 하여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120도 간격으로 형성된 것을 하는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50138754A 2015-10-01 2015-10-01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 KR1018462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754A KR101846255B1 (ko) 2015-10-01 2015-10-01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8754A KR101846255B1 (ko) 2015-10-01 2015-10-01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818A KR20170039818A (ko) 2017-04-12
KR101846255B1 true KR101846255B1 (ko) 2018-04-09

Family

ID=5858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8754A KR101846255B1 (ko) 2015-10-01 2015-10-01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2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00619B2 (en) 2017-04-05 2019-05-28 Ideavillage Products Corporation Portable shaving apparatus
US11724410B2 (en) 2018-07-31 2023-08-15 Church & Dwight Co., Inc. Portable hair removal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4970B1 (ko) 2013-09-30 2014-05-14 주식회사 다인정공 절삭공구 고정용 콜렛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9818A (ko) 2017-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05458B2 (ja) 機械工具用のドリル工具及びドリル工具の製造方法
EP2734328B1 (en) An indexable drill insert
US982144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n enhanced driving bit
EP2832482B1 (en) Replaceable head cutting tool
KR101846255B1 (ko) 절삭공구 고정용 콜릿
ES2948634T3 (es) Matriz y portamatrices para la fabricación de cuerpos alargados
CN102741014A (zh) 钻头及其制造方法
CN103097061B (zh) 防滑夹紧系统
US11185933B2 (en) Drill body and drill
JP6052712B2 (ja) 切削工具
KR100554880B1 (ko) 칩제거 가공용 공구
US9289811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split link for use in a flexible tube-bending mandrel
WO2019073716A1 (ja) カートリッジ及び転削工具
JP6435231B2 (ja) 留め具
JP6428492B2 (ja) 固定構造および切削工具
US11484949B2 (en)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RU2753719C2 (ru) Корпус сверла и сверло
WO2019174488A1 (zh) 加工工具的组接中心定位结构
JP2009006442A (ja) 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およびこれを装着する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
TW201742700A (zh) 加工工具的組接結構
KR101902238B1 (ko) 나사가공용 다목적 가공 블레이드
TWM501316U (zh) 穩固結合高精度刀桿
JP6432704B1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回転切削工具
WO2016138810A1 (zh) 四合一螺丝孔沉头刀
KR20130067773A (ko) 절삭헤드와 공구홀더와 이들을 구비하는 절삭공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