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6032B1 - 식물 유래 정유 및 폴리페놀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식물 유래 정유 및 폴리페놀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6032B1
KR101846032B1 KR1020120031180A KR20120031180A KR101846032B1 KR 101846032 B1 KR101846032 B1 KR 101846032B1 KR 1020120031180 A KR1020120031180 A KR 1020120031180A KR 20120031180 A KR20120031180 A KR 20120031180A KR 101846032 B1 KR101846032 B1 KR 101846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sential oil
activity
plant
odor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1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09445A (ko
Inventor
송원섭
이숙영
차영주
민용태
강남석
Original Assignee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순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31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6032B1/ko
Publication of KR20130109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09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6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6032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물 유래 정유 및 폴리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식물 유래의 정유 및 폴리페놀 화합물은 체내 라디칼을 제거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타이로시나제 및 멜라닌 생성과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여 피부 미백 효과가 있으며, 피부 세포주에 대해 세포 독성을 유발시키지 않아 피부에 대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노인냄새의 원인이 되는 노넨알데히드와 배뇨 장애로 유발되는 암모니아로 인한 악취를 제거하는 소취제로서의 활성이 우수하여, 체취 제거를 위한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식물 유래 정유 및 폴리페놀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of deodorant comprising essential oil from plant and polyphenol compound}
본 발명은 식물 유래 정유 및 폴리페놀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제거를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람의 피부에 있는 피지선에서 피지가 모공을 통해 피부 표면으로 분비되어 수분 증발을 방지하고 피부의 탄력을 유지시켜주고 있다. 그러나 배출된 피지가 피부 표면에서 공기와 접하게 되면 피부에 상재하고 있는 미생물이 번식하고 이에 의해 피지를 산화시킴으로써 체취를 나쁘게 만든다. 특히 노년이 되면 피지 중의 지방산이 과산화지질이란 물질로 산화되면서 냄새가 발생되는데 중고연령층의 피지 중에서 증가하는 9-헥사데센산 등으로부터 생기는 휘발성 알데히드의 일종인 2-노넨알이 노인성 냄새(가령취)의 주원인이 된다.
이런 가령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생성된 체취 성분을 목욕이나 실내의 공기 순환을 통하여 제거하는 방법과 방향제와 탈취제 등을 통하여 매스킹 하는 방법, 체취성분을 그 전구물질과 함께 흡착하여 체취성분의 휘산을 방지하는 방법, 산화반응이나 박테리아의 활동 등에 의한 체취성분의 전구물질로부터의 생성 자체를 억제하는 것 등이 있다. 상기의 방향제와 탈취제를 이용하여 매스킹 하는 방법은 체취성분 자체를 억제하는 것이 아니고, 또한 문제가 되는 체취와 방향성분에 의한 혼재로 바람직하지 않은 새로운 냄새의 발생을 초래할 경우가 있어 근본적으로 체취발생을 해결한다고 하기 어려우며 체취성분의 생성 및 휘산을 억제하기 위하여 사용된 피부 상에 존재하는 일정량의 박테리아를 파괴, 제거함으로서 냄새를 최소화 할 수 있는 미생물 억제제, 효소억제제, 피지는 공기 중에서 산화되는 것을 막아주는 산화방지제 등의 화학성분들은 소취효과는 미약한데 비해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는 등의 심각한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어 안전성 및 효능이 확보된 조성물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또한, 체취에는 에크린땀(eccrine sweat), 아포크린땀(apocrine sweat), 피지, 오염물 등이 관여하며, 신체 부위에 따라 그 유발 원인 및 냄새가 다르다는 특이성을 갖는다. 체취 중 가장 고민스럽게 생각하는 액취의 경우, 무취인 아포크린땀이 겨드랑이 상재균 및 액취 원인균 들의 분해에 의해 생기는 것이다. 냄새와 관련된 미생물에 대한 보고는 많이 있지만 그 중 리포필릭 디프테로이드(Lipophilic diphtheroid)나 라지 콜로니 디프테로이드(Large colony diphtheroid)에 의해 악취가 발생한다는 설이 유력하다. 이와 같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어 휘발성의 악취 물질이 발생하게 되는데, 여기에는 저급 지방산인 카프로익산(caproic acid), 카프릴릭산(caprylic acid), 이소길초산(isovaleric acid), 부트릭산(butric acid)), 암모니아, 아민, 인돌(indole), 멀캅탄(mercaptan), 황화수소, 포스핀(phosphine), 스테로이드류 등이 관여하고, 특히 저급 지방산 중 이소길초산, 스테로이드류 중 5알파-안드로스트-16-엔-3알파-올(5α-androst-16-en-3α-ol)과 5알파-안드로스트-16-엔-3알파-온(5α-androst-16-en-3α-one)이 주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족취의 경우는 분비된 에크린땀에 미생물이 작용하여 생성된 이소길초산이 주요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인체용 소취제는 겨드랑이 냄새(액취), 발냄새(족취), 땀냄새, 요취 등의 음부 냄새와 같은 인체에서 발생되는 체취를 제거하거나 예방하는 제품을 말하며, 에어로졸형, 펌프형, 롤온형, 스틱형, 분말형, 과립형, 액상형 및 젤형 등 다양한 형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소취제가 악취를 제거하는 원리는 크게 다음 4가지로 분류된다.
(1)물리적 소취법: 환기, 확산에 의해 악취를 제거하거나, 활성탄,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등의 다공성 물질을 사용하여 악취를 흡착하는 방법.
(2)감각적 소취법: 방향성 물질(향료)에 의해 악취를 차단하는 방법.
(3)화학적 소취법: 소취제를 악취 성분과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중화반응, 부가반응, 축합반응, 산화반응 등으로 무취화시키는 방법.
(4)생물학적 소취법: 악취 발생의 원인이 되는 세균이나 박테리아를 살균하거나 부패를 방지하는 등 악취 발생의 원인을 근본적으로 막는 방법.
상기의 소취법 중 (1)의 물리적 소취법은 널리 사용되는 소취법 중 하나로, 인체 이외의 주거용 소취제로도 많이 응용되고 있으나 인체에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감 측면에서 비효과적이다. (2)의 감각적 소취법은 그 자체의 향기 등에 의해 악취를 차단하는 방법이지만, 향기와 악취의 균형을 조화있게 유지하기 어려울 뿐 아니라, 개인에 따라 소취제의 향기에 대한 기호가 다르기 때문에 일반적인 방법으로 사용하기에는 적절하지 않다. 또한, (3)의 화학적 소취법은 다양한 악취성분에 대해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지만, 사용 약제에 따라서 취급상 주의가 필요한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4)의 생물학적 소취법은 악취가 발생된 후에는 그다지 기대할 만한 효과를 얻어낼 수 없는 등, 4가지의 소취법 모두 완벽한 소취를 제공하지 못하여 사용 목적에 따라 선택, 적용하여 왔다.
이와 같은 소취제의 제한된 사용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그 주성분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진행되어 왔는데, 대표적인 것으로는 식물 추출물을 소취제로 적용하는 것이다. 이와 관련된 주요 선행기술로서는 자몽, 녹차, 키토산 혼합물의 추출물을 이용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8-0089893호; 비파엽 추출물, 갈근 추출물, 금은화 추출물, 죽여 추출물, 창포 추출물, 은행잎 추출물, 목단피 추출물, 감초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3-0043302호; 녹차 추출물과 작약 추출물을 이용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5-0104884호; 목초액을 이용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007714호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들 선행기술은 실제 체취 방지에 있어 그 효과가 한정되고 명확하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체취 제거 효과가 우수하고 체내 안정한 새로운 소취제 성분 및 이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인체 체취에 대해 탁월한 소취 효과를 가지면, 이 에외도 항산화 활성 및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 유래 정유 및 폴리페놀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식물 유래 정유 및 폴리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은 박하, 옥잠화, 비비추, 원추리, 은방울꽃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폴리페놀화합물은 산수유로부터 유래되고, 하기 화학식<1> 내지 <5>의 구조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중 어느 하나의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2024502381-pat00001
<화학식 2>
Figure 112012024502381-pat00002
<화학식 3>
Figure 112012024502381-pat00003
<화학식 4>
Figure 112012024502381-pat00004
<화학식 5>
Figure 112012024502381-pat00005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팔미트산의 산화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식물 유래 정유는 DPPH 라티칼 소거능을 가지며, 항산화 효소인 SOD 및 CAT을 활성시키고, 미백효과를 가지며, 세포독성이 없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누, 바디워시, 핸드워시, 에어졸, 스틱, 롤-온, 펌프, 시트, 패치, 크림, 로션, 젤 또는 파우더로 제형화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식물 유래 정유 및 폴리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식물 유래의 정유 및 폴리페놀 화합물은 체내 라디칼을 제거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어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고, 타이로시나제 및 멜라닌 생성과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여 피부 미백 효과가 있으며, 피부 세포주에 대해 세포 독성을 유발시키지 않아 피부에 대한 안정성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노인냄새의 원인이 되는 노넨알데히드와 배뇨 장애로 유발되는 암모니아로 인한 악취를 제거하는 소취제로서의 활성이 우수하여, 체취 제거를 위한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노인 냄새의 원인물질인 노넨알데히드와 배뇨장애로 유발되는 냄새를 탈취, 개선할 수 있는 식물유래 정유와 폴리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있어서, 체취 제거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원료로서 식물유래의 정유를 사용하였는데, 상기 식물은 박하, 옥잠화, 비비추, 원추리, 은방울꽃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군 중에서 선택되는 식물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노인들의 경우, 특유한 노인 냄새를 풍기며, 피부가 건조해짐에 따라 가려움증이 유발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특히 60세 이상의 고령자 전용 기초화장품(유연화장수, 스킨로션, 영양크림, 에센스, 바디로션, 수분보습 팩)으로 적합하다.
본 발명에 따른 체취 제거를 목적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유효성분인 상기 정유는 천연물로부터 정유(essential oil)을 수득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이라면 모두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수증기 증류법, 압착법, 흡수법 및 용매 추출법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수증기 증류법을 사용하여 박하, 옥잠화, 비비추, 원추리, 은방울꽃 및 산수유로부터 정유를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수득한 식물 유래 정유에 대해 본 발명자들은 이들 성분을 이용하여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먼저 이들 정유 성분을 대상으로 항산화 활성을 분석하였는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박하, 옥잠화, 비비추, 원추리, 은방울꽃 및 산수유로부터 추출한 정유는 모두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발명의 정유 성분이 피부에 대해 타이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통해 미백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한 결과, 타이로시나제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멜라닌 생성 또한 억제하는 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피부 세포주를 대상으로 세포 독성 테스트를 수행하였는데, 이는 아무리 천연물질을 사용하였다고 해서 체내 모두 안정성을 가지고 있다고 말할 수 없기 때문에, 피부에 사용할 시 안정성을 어느 정도 확보하고 있는지의 조사가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피부 세포를 대상으로 한 세포 독성 시험 결과, 세포에 대해 거의 독성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피부에 대해 비교적 높은 안정성을 가지고 있어 안심하고 화장료 조성물로 이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인체의 피부는 노화가 진행되고 많은 노폐물, 특히 노네날 알데히드와 같은 성분이 피부 표면으로 방출되는 이유로 인해 몸에서 안좋은 냄새가 나는 경향이 있다. 또한, 다수의 노인들은 배뇨장애로 인해 암모니아가 용이하게 방출되어 이 또한 악취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불쾌감을 유발하는 체취를 감소시키는 기능성 화장품의 개발을 위해, 상기 설명한 식물 유래의 정유 뿐만 아니라 체취 감소 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는 화합물로서 폴리페놀 화합물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체취 감소 특히 노인들이 전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체취 감소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를 위해 식물, 특히 박하, 옥잠화, 비비추, 원추리, 은방울꽃 및 산수유 유래의 폴리페놀 화합물을 연구하던 중, 산수유로부터 분리 및 동정한 5개의 화합물이 체취 억제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에서 동정한 5개의 화합물은 하기 실시예 6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는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멀티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 에멀젼, 마이크로 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클렌져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포말(foam)의 형태,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 또는 패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며, 본 발명의 유효 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을 기타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그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필수 성분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통상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되는 다른 성분을 포함할 수 있고, 이의 예로서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기타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또한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제형을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에센스,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팩, 젤, 메이크업 베이스, 파운데이션, 파우더, 립스틱, 패치, 분무제, 아이 크림, 아이 에센스,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져, 바디 로션, 바디 크림, 바디 오일 및 바디 에센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 실시예 1>
식물 유래의 정유 제조
식물로부터 정유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수증기 증류법을 사용하였는데, 깨끗하게 세척된 식물체인 박하, 옥잠화, 비비추, 원추리, 은방울꽃 및 산수유를 일정크기로 절단하여 원형플라스크에 증류수와 함께 넣은 후, 수증기 증류장치를 이용하여 5시간 동안 수증기 증류하였다. 증류되어 상층에 모아진 정유와 수용성 정유 성분을 함유한 하층의 floral water를 각각 분리하여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사용하였다. 이때, 박하의 전초로부터 20mL의 정유가 분리 되었으며, 원추리와 옥잠화는 꽃으로부터 정유를 추출하였다.
< 실시예 2>
항산화 활성 측정
식물은 고착생활을 하기 때문에 외부 스트레스에 대한 환경적응 능력이 다른 생물체보다 높은 것으로 생각되며, 다른 생물체보다 많은 종류의 항산화 물질을 생산한다. 세포는 세포의 구성성분을 보호하고 산화환원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효소학적 및 비효소학적 방어시스템을 지니고 있다. 식물에서 비효소학적 방어시스템에는 천연 항산화제로 알려진 ascorbic acid, glutathione, a-tocoperol, carotenoids 등이 있고, 효소적 방어시스템에는 superoxide dismutase, catalase, ascorbate peroxidase, glutathione reductase 등과 같은 효소들이 있다. 박하외 4종의 SOD, APX 그리고 CAT의 항산화 효소 활성 능력을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Figure 112012024502381-pat00006
-효소액 조제 : 각각의 생체시료를 extraction buffer (50mM phosphate buffer, pH 7.0;1% Tritox X-100; 1% PVP-40)에 1:4의 비율로 혼합한 후 균질화 시키고 12000rpm에서 20분동안 원심분리한 다음 상층액을 취하여 황산화 활성 측정에 사용하였다. 단백질 정량은 albumin을 표준물질로 사용하여 BCA protein assay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Catalase(CAT) 활성 측정 : Catalase활성은 Aebi (1984) 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50 mM potassium phosphate (pH 7.0)에 10 mM H2O2 와 반응 효소액을 가하였다. 240nm에서 2분간의 흡광도 변화를 관찰하고 1분동안에 1uM의 H2O2를 분해하는 효소의 양을 1 unit으로 하였다.
CAT는 생체내의 유해한 산소들을 신속히 처리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항산화계 효소로 APX와 함께 H2O2를 분해 소거하는 대표적인 효소이다. 산옥잠화잎에서 14.2U/mg protein으로 가장 높게 나왔고 산옥잠화 꽃에서 13.6U/mg protein, 박하와 원추리꽃에서 각각 8.9U/mg protein, 8.8U/mg protein, 원추리 잎에서 7.8U/mg protein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SOD (Superoxide dismutase) 활성측정 : SOD 활성은 Beauchamp and Fridovich(1971)의 방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50 mM carbonic buffer (pH 10.2), 0.1 mM EDTA,,0.1mM Xanthine, 0.025 mM nitroblue tetrazolium(NBT), 효소액이 포함된 용액을 25°C에서 10분간 반응한 후 Xanthine oxidase(3.310-6mM)를 참가하여 반응을 측정하였다. SOD 활성 측정은 550nm에 30초 단위로 5분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SOD 활성을 측정한 결과 옥잠화 꽃에서 16.8U/mg protein로 가장 높게 나왔고 박하 13.8U/mg protein, 옥잠화 잎과 원추리 꽃에서 각각 13.2U/mg protein, 12.4U/mg protein, 원추리 잎에서 10.9U/mg protein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 실시예 3>
미백효과 측정
나아가 본 발명자들은 백합과식물인 옥잠화, 비비추, 원추리, 은방울꽃의 미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타이로시나제 활성 제해효과(즉, 미백효과)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2024502381-pat00007
실험 결과, 산옥잠화 뿌리와 지상부 및 은방울꽃 전초의 추출물에서 비교적 좋은 in vitro tyrosinase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나아가 백합속 추출물의 in vitro tyrosinase 저해활성을 보완하기 위한 대체 식물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초향, 구절초, 삼백초, 레몬, 박하에서 분리한 정유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구절초, 레몬, 박하에서 유의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하기 표 3 참조).
Sample Concentration (%)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
Agastache rugosa flower 1 5.1
0.5 4.9
0.1 -
Agastache rugosa leaf 1 8.0
0.5 5.6
0.1 -
Saururus chinensis 1 25.7
0.5 14.9
0.1 11.9
Dendranthema zawadskii var. latilobum ( Maxim .) Kitam . 1 28.8
0.5 27.5
0.1 11.7
Citrus limon 1 23.3
0.5 22.5
0.1 22.0
Isodon inflexus 1 31.8
0.5 29.1
0.1 17.0
Vit .C 1 62.9
0.5 62.6
0.1 61.0
< 실시예 4>
멜라닌 생성 저해 효과
멜라닌 세포는 자외선 등과 같은 외적, 내적 자극에 의해 기미, 주근깨 흑색종 등의 피부질환을 일으킨다. 여성들은 이러한 피부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고 피부착색에 대한 관심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보다 안정적이면서 효과적으로 작용을 할 수 있는 미백 소재에 대한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옥잠화, 박하, 원추리, 산수유을 이용하여 B16F10 melanoma cell에 멜라닌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였다.
① 추출물의 세포에 대한 독성 실험
B16F10 흑색종세포주를 각 well에 1×104개의 농도로 넣어준 다음 1일 후 각 약물들을 일정농도로 넣어준다. 각 약물을 처리하여 2일째에 MTT 용액(0.5mg/mL)을 첨가하여 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살아있는 세포는 MTT와 반응하여 보라색 불용성 formazan침전물이 형성되며 이것을 용해시키기 위하여 상층액을 버리고 DMSO를 150㎕씩 넣어 용해하여 ELISA reader로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세포 농도가 70% 이상 생존 가능한 추출물의 농도는 100ug/mL 로 나타났으며, 이 농도를 기준으로 melanin 함량 저해능을 분석하였다.
② melanine 생성량 측정
멜라닌은 멜라닌 세포의 세포소기관인 멜라닌소체(melanosome)에서 일련의 효소 반응에 의해 생성된다. 본 실험은 상기의 실험에서 B16F10 세포의 생존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던 농도를 결정하여 산수유, 옥잠화, 원추리, 박하 추출물을 대상으로 세포내에서 멜라닌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멜라닌 정량은 Hosei등 (Hosoi et al., 1985)의 방법을 변형하여 사용하였다. 멜라닌 세포인 B16 흑색종세포를 배양하여 24well plate에 각 well당 세포를 1×104 cell/well로 각각의 세포생존율에 따라 농도를 처리한 후 48시간 배양하였다. 48시간 배양한 후 각 well를 PBS로 세척한 후 1% DMSO가 첨가된 1N NaOH 용액으로 60℃에서 1시간 동안 용해하였으며,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0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멜라닌 생성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실시예 5>
인간 각질세포( keratinocyte : HaCat Cell )의 세포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본 실험에 사용된 세포주는 Skin Keratinocyte의 Hacat cell로 DMEM(Dulbecco's odified Eagle Medium)에 10%(V/V) Fetal Bovine Serum와 항생제(Antibicotic antimycotic)을 첨가한 후 37℃의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산옥잠화(꽃, 잎, 뿌리), 원추리(전초, 뿌리) 추출물에 대한 세포성장 억제 활성효과는 MTT assay를 통해확인하였다. 96well에 3×104 cell/mL의 농도로 접종하여 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동안 배양시킨 후 25~800㎍/mL의 농도로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후 MTT를 처리하여 MTT가 생존 세포의 효소작용에 의해 환원되도록 4시간을 배양하였다. 그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각 well에 생성된 forman결정을 DMSO를 첨가하여 녹인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Cell의 생존율을 구하였다. 산옥잠화 추출물에 의한 효과는 저조하였으나 원추리(전초)추출물의 경우 800㎍/mL의 농도에서 약 30%의 세포생존율을 저해하였다.
< 실시예 6>
항산화 활성 화합물 분리
5종의 추출물 중, DPPH radical 소거능과 SOD 및 CAT 활성이 가장 우수한 산수유 열매 추출물로부터 노인물질(2-nonenal)의 원인물질인 palmitoleic acid의 산화를 억제할 수 있는 항산화 화합물을 분리하고, 구조를 분석하였다.
<6-1> EtOH 추출물의 조제 및 용매분획물 조제
산수유 열매 과육 900 g을 50 % Ethyl Alcohol (2ℓ)을 용매로 사용하고 Digital Heating Mantle를 이용하여 80℃상에서 3시간 가열하여 2회 추출한 다음 그 여액을 rotary evaporator로 감압 농축하여 총 추출물 307.5 g을 얻었다. 총 추출물을 증류수 1.7ℓ에 현탁시킨후 이로부터 용매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동량의 hexane 1.7 ℓ씩 3회 분획하고 hexane층은 다시 감압 농축하여 이와같은 방법(Fig. 2)으로 EtOAc, BuOH에 대하여 3회 반복하여 분획물을 조제하였다.
<6-2> EtOAc 분획물의 Silica column chromatography
추출물 EtOAc 분획 (78.3g)에 대해 CH2Cl2:MeOH 용매를 이용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30:1 ~ 0:1)를 실시하여 모두 7개의 소 분획을 얻었다.
<6-3> 활성분획물의 Sephadex LH -20 column chromatography
EtOAc 분획으로부터 분리된 7개의 Fraction들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Fraction 5를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MeOH:Water (1:9 ~ 1:0)의 조건으로 10 % ~ 100 %까지 10개의 분획을 얻었다.
<6-4> Compound HPLC profile 분석
7개의 분획물 중 활성이 가장 높은 분획물 2를 HPLC system, RP-C18 (20× 250mm, 4㎛ MeCN/H2O+0.1% Formic acid)을 이용하여 Compound 5를 분리하였다. 분획물 5는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얻은 50 % 분획을 HPLC system을 이용하여 Compound 1을 분리하였고, 60 %에서는 Compound 2와 Compound 3, 70 %에서는 Compound 4를 얻을 수 있었다.
<6-5> HPLC 에 의한 활성물질 분리, 정제
- Compound 1의 분리
EtOAc 분획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나눈 7개의 분획물 중 5번 분획물을 MeOH:Water 용매를 이용하여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시행하였다. 이후 10% ~ 100%까지 10가지 분획물 중 분리되어진 50% 분획물을 이동상 용매 MeCN:Water (33:67)로 HPLC를 이용하여 compound 1(Loganin; methyl (1S,4aS,6S,7R,7aS)-6-hydroxy-7-methyl-1-[(2S,3R,4S,5S,6R)-3,4,5-trihydroxy-6-(hydroxymethyl)oxan-2-yl]oxy-1,4a,5,6,7,7a-hexahydrocyclopenta[c]pyran-4-carboxylate; loganic acid)을 얻었으며, 이의 구조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H-NMR spectrum에서 δ 7.42 (1H, s)에서 특정적인 iridoid 골격의 H-3 peak 를 확인하였고, δ 3.70 (3H, s) 과 13C-NMR spectrum의 δ 52.4를 통해 C-11의 carboxyl 탄소가 methyl기로 치환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H-NMRspectrum에서 δ 4.67 (1H, d, J =8.0Hz)과 13C-NMR spectrum의 glucose singnal δ 100.8, 79.3, 78.8, 72.3, 63.5로부터 glucose 배당체임을 알 수 있었다 (Fig.9). 이상의 결과 문헌치와 비교하여 Loganin으로 동정하였다.
C17H26O10, White amorphous powder, m.p (℃) 235-240, [α]D -83 (H₂O). FABMS m/z 413 [M+Na] IR νmax (KBr, cm¹) 3460, 3300, 1710, 1650, 1430
1H-NMR (500 MHz, Acetone-d6) : δ 1.12 (3H, d, J = 6.8 Hz, H-10), 1.65 (1H, m, H-6 ). 1.90 (1H, m, H-8), 2.06 (1H, m, H-6ax ), 2.25 (1H, m, H-9), 3.15 (1H, m, H-5), 3.20-3.42 (4H, m, H-2, 3, 4, 5), 3.68 (1H, dd, J = 11.0, 5.2 Hz, H-6 a), 3.70 (3H, s, OCH₃), 3.93 (1H, dd, J= 11.0, 5.2Hz, H-6 b), 4.06 (1H, t, J = 4.8 Hz, H-7, 4.67 (1H, d, J = 8.0 Hz, H-1 ), 5.30 (1H, d, J = 4.4 Hz, H-1), 7.42(1H, s, H-3)
13C-NMR (125MHz, Acetone-d6) : δ 170.3 (C-11), 152.9 (C-3), 114.8 (C-4), 100.8 (C-1), 98.5 (C-1), 79.3 (C-5), 78.8 (C-3), 75.8 (C-7), 75.5 (C-2), 72.3 (C-4), 63.5 (C-6), 52.4 (OCH₃), 47.3 (C-9), 41.6 (C-6), 40.7 (C-8), 32.9 (C-5), 14.2 (C-10)
Figure 112012024502381-pat00008
<화합물 1의 구조식>
- Compound 2의 분리
EtOAc 분획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나눈 7개의 분획물 중 5번 분획물을 MeOH:Water 용매를 이용하여 Sephadex LH-20 column을 시행하였다. 이후 10% ~ 100%까지 10가지 분획물을 얻어 분리되어진 50% 분획물을 이동상 용매 MeCN:Water (35:65)로 HPLC를 compound 2((7S)-O-Methylmorroniside)를 얻었으며, 구조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1H- NMR spectrum 및 13C-NMR Spectrum에서 morroniside와 유사한 특징을 보였으며, 1H- NMR spectrum에서 δ 3.59 (3H,s)의 methoxyl group이 C-7에 치환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1H-NMR spectrum에서 δ 4.65 (1H, d, J =2.8Hz H-7)와 1.42 (1H, td, J =12.0, 3.6 Hz, H-6ax), 1.82 (1H, dd, J = 14.0, 4.4 Hz, H-6eq)을 문헌치와 비교하여 7S임을 확인하였다.
C18H28O11, Yellowish oil, m.p (℃) 103-104, FABMS m/z 443 [M+Na]+,
IR vmax (KBr, cm1)3395, 2939, 1705, 1638, 1077
1H- NMR (500 MHz, CD3OD): δ 1.25 (3H, d, J = 6.8 Hz, H-10). 1.42 (1H, td , J = 12.0, 3.6 Hz, H-6ax), 1.72 (1H, m, H-9), 1.82 (1H, dd, J = 14.0, 4.4 Hz,H-6eq), 2.95 (1H, dt, J = 12.4, 4.4 Hz H-5), 3.25 (3H, s, OCH3), 3.10-3.30 (4H, m, H-2,3, 4, 5), 3.59 (3H, s, OCH3), 3.79 (1H, m, H-6), 4.19 (1H, m, H-8), 4.65 (1H, d, J = 2.8 Hz, H-7), 4.70 (1H, d, J = 8.0 Hz, H-1), 5.80 (1H, d, J = 9.2 Hz, H-1, d, J = 9.2 Hz, H-1), 7.41 (1H, s, H-3)
13C-NMR (125 MHz, CD3OD): δ 167.3 (C-11), 153.0 (C-3), 110.2 (C-4), 98.7 (C-7), 98,1 (C-1), 94.2 (C-1), 77.2 (C-5), 76.6(C-3), 73.7 (C-3), 70.3 (C-4), 64.9(C-8), 61.4(C-6), 53.6 (7-OCH3), 50.3 (11-OCH3), 39.0 (C-9), 32.4 (C-6), 26.6 (C-5), 18,2 (C-10)
Figure 112012024502381-pat00009
<화합물 2의 구조식>
- Compound 3의 분리
EtOAc 분획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나눈 7개의 분획물 중 5번 분획물을 MeOH:Water 용매를 이용하여 Sephadex LH-20 column을 시행하였다. 이후 10% ~ 100%까지 10가지 분획물을 얻어 분리되어진 50% 분획물을 이동상 용매 MeCN:Water (35:65)로 HPLC를 compound 3( (7R)-O-Methylmorroniside)를 얻었으며 구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1H- NMR spectrum 및 13C-NMR Spectrum에서 morroniside와 유사한 특징을 보였으며, 1H- NMR spectrum에서 δ 3.59 (3H,s)의 methoxyl group이 C-7에 치환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1H-NMR spectrum에서 δ 4.65 (1H, d, J =8.5Hz H-7)와 1.07 (1H, td, J =13.1 Hz, H-6ax), 1.91 (1H, dd, J = 11.5 Hz, H-6eq)을 문헌치와 비교하여 7R임을 확인하였다 (Fig. 13). 이상의 결과를 문헌치와 비교하여 (7R)-O-Methylmorroniside로 동정하였다.
C18H28O11, Yellowish oil, m.p (℃) 144-145, FABMS m/z 443 [M+Na]+, 443
IR vmax (KBr, cm1)3396, 2923, 1702, 1640, 1407
1H- NMR (500 MHz, CD3OD): δ 1.07 (1H, q, J = 13.1 Hz, H-6ax). 1.31 (1H, d , J = 7.0, Hz, H-10), 1.70 (1H, m, H-9), 1.91 (1H, d, J = 11.5, Hz, H-6ax),2.73 (1H,dt, J = 13.0, 4.0 Hz H-5), 3.10-3.30 (4H, m, H-2,3, 4, 5), 3.40 (3H, s, OCH3), 3.60 (3H, s, OCH3), 3.79 (1H, d, J = 11.0 Hz, H-6), 3.86 (1H, d, J = 5.0 Hz, H-8), 4.40 (1H, d, J = 8.5 Hz, H-7), 4.70 (1H, d, J = 8.0 Hz, H-1), 5.70 (1H, d, J = 9.0 Hz, H-1), 7.41 (1H, s, H-3)
13C-NMR (125 MHz, CD3OD): δ 169.4 (C-11), 153.3 (C-3), 111.5 (C-4), 105.5 (C-7), 100.7 (C-1), 96.5 (C-1), 73.9 (C-5), 78.8(C-3), 75.9 (C-2), 75.0 (C-4), 72.5(C-8), 63.7(C-6), 57.7 (7-OCH3), 52.6 (11-OCH3), 41.0 (C-9), 36.5 (C-6), 32.5 (C-5), 20,5 (C-10)
Figure 112012024502381-pat00010
<화합물 3의 구조식>
- Compound 4의 분리
EtOAc 분획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나눈 7개의 분획물 중 5번 분획물을 MeOH:Water 용매를 이용하여 Sephadex LH-20 column을 시행하였다. 이후 10 % ~ 100 %까지 10가지 분획물을 얻어 분리되어진 50 % 분획물을 이동상 용매 MeCN:Water (43:57)로 HPLC를 compound 4( Cornuside (7-galloylsecologanol))를 얻었으며, 구조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1H-NMR spectrum에서 δ 7.39 (1H, s)에서 특정적인 iridoid 골격의 H-3 peak를 확인 하였고, δ 4.62 (1H, d, J = 8.0 Hz, H-1)의 anomeric protone과 13C-NMR spectrum의 glucose singnal로부터 glucose 배당체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1H-NMR spectrum에서 δ 7.03 (2H, s, H-2, 6)의 galloyl moeity와 δ 1.91 (1H, dq, J = 14.0, 6.5 Hz, H-6a), 2.00 (1H, dq, J = 14.0, 7.0 Hz, H-6b), 4.16 (2H, m, H-7)의 -O-CH2-CH2- system을 확인할 수 있었다.
C24H30O14 White amorphous powder, [a]D -91 (MeOH), FABMS m/z 565 [M+Na]+, IR vmax (KBr,cm-1) 3394, 1693, 1624, 1315, 1240, 1076
1H-NMR (500 MHz, CD3OD) : δ 1,91 (1H, dq, J = 14.0, 6.5 Hz, H-6a), 2.00 (1H, dq, J = 14.0, 7.0 Hz, H-6b), 2.58(1H,dt, J = 8.5, 6.5 Hz, H-9), 2.86 (1H, q, J =6.5, 4.9 Hz, H-5), 3.10 (1H, dd, J = 9.0, 8.0 Hz, H-2), 3.17 (1H, dd, J = 9.5, 9.0 Hz, H-4), 3.24 (1H, overlapped by the solvent signal, H-5), 3.29 (1H, t, J= 9.0 Hz, H-3), 3.52 (3H, s, CH3), 3.58 (1H, dd, J = 12.0, 6.0 Hz, H-6,a), 3.81 (1H, dd, J = 12.0, 2.0 Hz H-6b), 4.16 (2H, m, H-7), 4.62 (1H, d, J = 8.0 Hz,H-1), 5.17 (1H, d, J = 10.5 Hz, H-10), 5.20 (1H, d, J = 17.5 Hz, H-10), 5.48 (1H, d, J = 6.5 Hz, H-1), 5.72 (1H, ddd, J = 17.5, 10.5, 8.5 Hz, H-8), 7.03 (2H,s, H-2, 6), 7.39 (1H, s, H-3)
13C-NMR (125 MHz, CD3OD) : δ 31.0 (C-6), 32.4 (C-5), 46.1 (C-9), 52.5 (OCH3), 63.5 (C-6), 65.1 (C-7), 72.3 (C-4), 75.4(C-2), 78.7 (C-3), 79.1 (C-5), 98.4 (C-1), 100.9(C-1), 110.9 (C-2, 6), 112.2 (C-4), 120.4 (C-10), 112.4 (C-1), 136, 4 (C-8), 140.5 (C-4), 147.2 (C-3, 5), 154.5 (C-3), 169.2 (C-7), 170.0 (COOCH3)
Figure 112012024502381-pat00011
<화합물 4의 구조식>
- Compound 5의 분리
EtOAc 분획을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나눈 7개의 분획물 중 2번 분획물을 이동상 용매 MeCN:Water (9:92)로 HPLC를 이용하여 compound 5( Gallic acid (3,4,5-Trihydroxybenzoic acid))를 얻었으며 구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즉, 1H-NMR spectrum의 δ 7.11 (2H, s, galloyl-H)에서 singlet의 peak만을 확인하였다. 13C-NMR spectrum에서 모두 5개의 peak가 관찰되었으며 δ 146.4 (c-3,5), δ 110.6 (C-2,6)은 각각 2개의 탄소에 해당하는 integral을 보이므로 대칭구조의 aromatic 화합물임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13C-NMR spectrum에서 δ 168.6에서 carboxyl group을 확인하였고, δ 146.4 (C-3,5)과 δ139.2 (C-4)에서 3개의 oxygenated aromatic carbon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CHO, White amorphous powder, m.p (℃) 258-265, EIMS m/z 170 [M] IR νmax (KBr, cm¹) 3392, 1687, 1616, 1427, 1330
1H-NMR (500MHz, CD3OD) : δ 7.11 (2H, s, galloyl-H)
13C-NMR (125MHz, CD3OD) : δ 110.6 (C-2, 6), 122.3 (C-1), 139.2 (C-4), 146.4 C-3, 5), 168.6 (C=O)
Figure 112012024502381-pat00012
<화합물 5의 구조식>
< 실시예 7>
항산화 활성 화합물의 DPPH radical 소거능 분석
산수유 열매 4가지 용매 추출물 중 가장 높은 DPPH 소거 활성을 지닌 ethyl acetate 층을 구조 분석한 결과 총 5가지의 물질을 동정하였다. 동정된 물질의 항산화 효과를 비교 분석하기 위해 DPPH radical 소거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하기 표 4에 기재하였다.
[표 4]
Figure 112012024502381-pat00013

분석 결과, gallic acid (15.63 ug/ml), cornuside (33.82 ug/ml), (7R)-O-Methyl morroniside (250 ug/ml), (7S)-O-Methyl morroniside (250 ug/ml), 그리고 loganin (308 ug/ml)의 순으로 나타났다. gallic acid와 cornuside 가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는데 대조군으로 사용된 합성 비타민인 BHT의 소거능에 비교하여 월등히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여주었다.
항암제로 쓰이는 cisplatin 의 세포 독성에 gallic acid가 SOD 유사 활성을 증가시키고, 세포생존율도 증가시켰다. 또한 항산화 효과도 vitamin E와 거의 같게 나타났다고 보고 하였는데 이는 본 실험결과와도 일치하였다(Lim 2009).
DPPH-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하기 위하여 80 uM과 120 uM의 농도로 gallic acid가 포함된 시료를 분석한 결과 80uM의 gallic acid의 처리에서는 활성이 22.2% (p<0.05)로 나타난 반면, 120 uM의 gallic acid 처리에서는 57.6% (p<0.01)로 나타났다. 특히, 120 uM의 gallic acid의 활성은 비교군으로 사용한 30 uM의 vitaminE 활성인 58.8% (p<0.01)와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Seo et al ., 2009).
< 실시예 8>
항산화 화합물에 의한 palmitoleic acid 의 산화저해활성 분석
산수유 분획물 및 화합물의 항산화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palmitoleic acid에 대하여 0.1% BHT와 시료를 0, 10, 30 및 50ul 첨가한 후 50℃에서 7일간 저장하면서 과산화물가를 측정하였는데,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는 저장 1, 3, 5 및 7일 후에 과산화물기가가 60, 117, 140 및 187 meq/kg 이었는데, 0.1% BHT 10ul 첨가시는 9, 23, 30 및 36 meq/kg이었고, 시료를 첨가한 시험구에서는 10ul 첨가했을때 11, 33, 36 및 42 meq/kg, 30ul 첨가했을 때는 8, 22, 27 및 30 meq/kg, 50ul 첨가했을 경우엔 6, 20, 22 및 25 meq/kg로 나타났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식물 유래 정유 및 폴리페놀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식물 유래 정유는 은방울 꽃 정유, 옥잠화 잎 정유 및 옥잠화 꽃 정유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폴리페놀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1 내지 5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노인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105908881-pat00019

    <화학식 2>
    Figure 112017105908881-pat00020

    <화학식 3>
    Figure 112017105908881-pat00021

    <화학식 4>
    Figure 112017105908881-pat00022

    <화학식 5>
    Figure 112017105908881-pat00023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합물은 팔미톨레산(palmitoleic acid)의 산화 저해 활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 유래 정유는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가지며, 항산화 효소인 SOD 및 CAT을 활성시키고, 미백효과를 가지며, 세포독성이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비누, 바디워시, 핸드워시, 에어졸, 스틱, 롤-온, 펌프, 시트, 패치, 크림, 로션, 젤 또는 파우더로 제형화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인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31180A 2012-03-27 2012-03-27 식물 유래 정유 및 폴리페놀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460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180A KR101846032B1 (ko) 2012-03-27 2012-03-27 식물 유래 정유 및 폴리페놀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1180A KR101846032B1 (ko) 2012-03-27 2012-03-27 식물 유래 정유 및 폴리페놀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445A KR20130109445A (ko) 2013-10-08
KR101846032B1 true KR101846032B1 (ko) 2018-04-05

Family

ID=49631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1180A KR101846032B1 (ko) 2012-03-27 2012-03-27 식물 유래 정유 및 폴리페놀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603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882A (ko)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오스테온 알데히드계 악취 및 활성산소 제거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42442A (zh) * 2018-02-21 2018-05-18 曹文竹 Sod中医药护手洗手液
CN109512807A (zh) * 2018-12-10 2019-03-26 河南泰丰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28408B1 (ko) * 2021-02-10 2023-05-04 주식회사 엠에스코스팜 가령취 제거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2003A (ja) * 2006-03-13 2006-06-15 Kao Corp デオドラント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2003A (ja) * 2006-03-13 2006-06-15 Kao Corp デオドラント剤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59권,14호,7743-7751면 (2011.06.19.)*
논문(Evidence-Based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 201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2882A (ko) 2019-08-21 2021-03-04 주식회사 오스테온 알데히드계 악취 및 활성산소 제거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09445A (ko) 2013-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86133B1 (ko) 강화사자발쑥과 감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 항균 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1846032B1 (ko) 식물 유래 정유 및 폴리페놀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취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76528B1 (ko) 배암차즈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39491B1 (ko) 어성초 추출물의 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0742267B1 (ko) 서장채국화 추출물,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5716385B2 (ja) 3,5−ジヒドロキシ−2−メンテニルスチルベン、それを含む植物抽出物、及びその採取方法とその応用
KR100860605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60604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39209B1 (ko) 알바수련꽃 추출물, 레몬머틀잎 추출물 및 사과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항산화, 항염, 피부 자극완화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14500B1 (ko)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94733B1 (ko) 율피, 백지, 마치현, 행인, 및 상백피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미, 주근깨, 미백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854766B1 (ko) 미백 효능을 갖는 트리히드록시 이소플라본 및 감초 추출물의 복합체
KR20210134589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317433B1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KR20150034371A (ko) 닭의장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526200B1 (ko) 데쿠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및 미백용 조성물
KR102555418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j2k-351 균주를 이용하여 발효된 천심련 및 바위손의 혼합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64292A (ko) 루시놀 및 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82927B1 (ko) 꽃송이버섯 균사체를 이용한 불미나리 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항산화, 주름 개선, 탄력 개선 또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30592B1 (ko) 반대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항산화 조성물
KR20180061662A (ko) 아네모시드 a3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30055778A (ko) 토종다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JP2024019760A (ja) 皮脂中ビタミンe増加剤
KR100760585B1 (ko) 피부 미백 및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카네이션 추출물
KR20230080174A (ko) 미성숙 탱자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증 및 여드름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