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271B1 - 유축기 - Google Patents

유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271B1
KR101845271B1 KR1020170178122A KR20170178122A KR101845271B1 KR 101845271 B1 KR101845271 B1 KR 101845271B1 KR 1020170178122 A KR1020170178122 A KR 1020170178122A KR 20170178122 A KR20170178122 A KR 20170178122A KR 101845271 B1 KR101845271 B1 KR 1018452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st
milk
unit
data
col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8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흥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해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해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해님
Priority to KR1020170178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27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2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271B1/ko
Priority to PCT/KR2018/015231 priority patent/WO2019124823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06Milking pumps
    • A61M1/062Pump accessories
    • A61M1/064Suction c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06Optical measu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3Controlling, regulating or measuring
    • A61M2205/3379Masses, volumes, levels of fluids in reservoirs, flow r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35Communication
    • A61M2205/3576Communication with non implanted data transmission devices, e.g. using external transmitter or recei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모의 출산 후에 모유를 유축할 수 있도록 하는 유축기로서 유축과정에서 유축되는 모유의 양을 측정하여 기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유의 성분에 따른 종류를 파악하여 유축 중인 모유의 종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유축된 모유의 종류별 비율을 계산하고 기록하여 사용자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유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유축기 {BREAST PUMP APPARATUS}
본 발명은 유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산모의 출산 후에 모유를 유축할 수 있도록 하는 유축기로서 유축과정에서 유축되는 모유의 양을 측정하여 기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유의 성분에 따른 종류를 파악하여 유축 중인 모유의 종류를 사용자에게 알려주며, 유축된 모유의 종류별 비율을 계산하고 기록하여 사용자가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유축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축기는 산모가 출산 후에 모유를 유축하여 모유 저장통 또는 저장팩에 보관하기 위한 기기이다.
유축된 모유는 단기간의 저장을 위해서는 원통형의 저장통에 담아 냉장보관하게 되며, 장기간의 저장을 위해서는 저장팩에 담아 냉동보관하게 된다.
최종적으로 저장된 모유를 젖병에 담아 아기에게 수유하게 된다.
유축을 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산모의 신체적인 이유, 직장생활에 따라 직접 수유가 불가능한 경우 등 사회적인 이유, 직접 수유가 어려운 조산아 등 아기에게 원인이 있는 이유가 있다.
산모의 가슴은 지속적으로 모유가 생성되며 수유를 통해 모유가 비워지면 일정한 시간이 지난 후 다시 모유가 가득차게 된다. 따라서 산모는 주기적으로 유축 또는 직접 수유를 하게 되며, 모유가 가득 찬 상태에서 비우지 않게 되면 가슴에 통증이 발생하고 모유 생성량이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유축된 모유를 아기에게 수유하는 것은 아기가 산모의 가슴에서 직접 젖을 빨아 수유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다.
수유 초반에는 물과 탄수화물이 많은 전유가 나오고, 수유 후반에는 지방의 함량이 많은 후유가 나오게 된다.
전유는 수분이 많아 아기가 갈증의 해소를 느끼게 되며, 후유는 지방이 많고 칼로리가 높아서 포만감을 주게 된다.
그런데 직접 수유할 때는 아기가 전유로 시작하여 후반에는 후유를 섭취하게 되는데 아기의 필요에 따라 섭취시간을 늘려 후유를 충분히 섭취한 후 수유를 종료할 수 있다.
한편 직접 수유와 달리 유축된 모유의 경우 전유와 후유가 혼합되며, 유축과정에 따라 그 비율은 달라지게 되고 아기는 젖병을 통해 정해진 비율의 모유를 섭취하게 된다.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유축과정에서 전유만 유축하고 후유를 유축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 모유 저장통에는 전유만 저장되므로, 이 저장통의 모유를 섭취하는 아기는 전유만 섭취하게 되어 영양불균형이 될 수 있다. 또한 산모가 전유만 유축하고 유축을 종료하게 되는 경우 모유의 생성량이 줄어들어 젖이 마를 수 있다.
공개특허 제10-2010-0103152호와 같은 종래의 유축기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가지고 있다.
특히 종래 유축기들은 유축이 부드럽게 되도록 하거나 젖몸살을 완화시켜주거나 마사지 자극 기능을 통해 모유 생성이 원할하게 되도록 하는데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전유 후유에 대한 고려가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산모가 유축을 할 때 유축되고 있는 모유가 전유인지 후유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모유저장부에 저장된 모유의 양 중 전유의 양과 후유의 양이 어느정도인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유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산모의 가슴에 부착시켜 모유를 유축하기 위해 사용하는 유축기로
가슴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착유 깔때기와 상기 착유 깔때기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착유된 모유가 이동하도록 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착유된 모유를 저장하는 모유저장부와 상기 모유저장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모유저장부의 모유량을 측정하는 모유량측정부와 상기 흡입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조작부로 구성되며, 상기 흡입부에는 모유의 색상을 측정하여 색상데이터를 조작부로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색상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모유량측정부는 측정된 모유저장부의 모유량데이터를 조작부로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전송된 색상데이터가 초유 색상 범위인 경우 초유임을 표시하며, 전유 색상 범위인 경우 전유임을 표시하며, 후유 색상 범위인 경우 후유임을 표시하는 모유종류표시부와 전송된 모유량데이터를 표시하는 모유량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는 연속적으로 전송된 색상데이터와 모유량데이터를 결합하여 모유종류에 따른 종류별모유량데이터를 계산하여 저장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저장된 종류별모유량데이터를 표시하는 종류별모유량표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조작부는 스마트폰에 데이터를 무선전송하여 스마트폰 앱을 통해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에는 현재의 년월일시 정보를 측정하는 시계부와 상기 시계부의 년월일시 정보를 기초로 유축시기 정보와 유축종기 정보와 년월일시 정보와 결합된 종류별모유량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해결 수단으로 현재의 모유 종류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현재 유축된 모유량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모유량 정보를 각 모유 종류마다 구체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유축시기와 종기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다음 유축시기를 안내하거나 다음 유축시기가 되면 알림을 통해 사용자에게 유축 수행 시기를 통지할 수 있으며, 이전 유축시기와 종기의 시간 간격과 유축량을 토대로 유축과정에서 유축에 걸리는 잔여시간과 목표 유축량까지 남은 잔여 유축량을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작부의 블럭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1은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조작부의 블럭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수행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며,도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한편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유 깔때기(10), 흡입부(20), 모유저장부(30), 모유량측정부(40), 연결부(50), 조작부(6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산모의 가슴에 부착시켜 모유를 유축하기 위해 사용하는 유축기이며, 한쪽 가슴 혹은 양쪽 가슴을 동시에 유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전동식 유축기로 양쪽 가슴을 동시에 유축하는 경우는 두개의 착유 깔때기(10)를 포함하게 된다.
착유 깔때기(10)는 산모의 가슴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부분으로 인체에 무해한 연질 혹은 경질의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크기와 형상은 산모에 따라 적합하도록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부(20)는 상기 착유 깔때기(10)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착유된 모유가 이동하도록 하는 부분으로 상기 착유 깔때기(10)에 흡입력을 주어 모유가 유축될 수 있도록 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흡입부(20)의 일측부와 조작부(60)에 연결된 연결부(50)에 연통되는 흡입관(미도시)를 형성하여 조작부(60)에서 발생시킨 흡입력을 전달받아 흡입부(20)에 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하였으나 흡입부(20) 내부에 멤브레인 펌프를 내장하여 자체적으로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것도 다른 일실시예로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때 흡입부(20)에는 모유의 색상을 측정하여 색상데이터(D1)를 조작부로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색상센서(미도시)가 설치되며,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서는 색상센서로 적외선 광 색상센서를 설치하였다.
모유저장부(30)는 상기 흡입부(20)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착유된 모유를 저장하는 부분으로 착유된 모유가 착유 깔때기(10)를 통해 흡입부(20)로 내려오면 중력에 의해 다시 모유저장부(30)로 떨어지게 된다. 이때 모유저장부(30)는 젖병의 용기와 같은 통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연질의 비닐팩형태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모유량측정부(40)는 상기 모유저장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모유저장부의 모유량을 측정하는 부분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압력식 무게 센서를 구비하여 모유저장부에 저장된 모유의 무게를 측정하여 무게값을 연결부(50)에 포함된 전송선을 통해 조작부(6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다른 일실시예에서는 수위측정센서를 구비하여 모유저장부 내의 모유 수위를 측정하여 모유의 부피값을 조작부(60)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때 무게값을 모유량데이터로 하는 경우 조작부에서는 무게단위인 그램으로, 부피값을 모유량데이터로 하는 경우는 부피단위인 밀리리터로 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결부(50)는 상기 흡입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며, 조작부(60)에 타단부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흡입관을 포함하여 조작부 내에 펌프를 구비하고 여기서 발생한 흡입력을 전달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흡입부의 색상센서에서 색상데이터(D1) 모유량측정부(40)에서 모유량데이터(D2)를 전송받기 위한 전송케이블을 내장하였다.
조작부(60)는 상기 연결부(50)를 통해 흡입부(20)와 연결되는 부분으로 종래의 유축기와 마찬가지로 유축기의 작동을 제어하고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며, 펌프 등을 통해 흡입력을 발생시키고, 어댑터를 통해 전기를 제공받거나 내부에 전지를 포함하는 제어컨트롤러인 부분이다.
이때 조작부(60)는 전송된 색상데이터가 초유 색상 범위인 경우 초유임을 표시하며, 전유 색상 범위인 경우 전유임을 표시하며, 후유 색상 범위인 경우 후유임을 표시하는 모유종류표시부(61)와 전송된 모유량데이터를 표시하는 모유량표시부(62)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유종류표시단계(S1)와 모유량표시단계(S2)를 통해 상기 표시부에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초유 색상 범위와 전유 색상 범위, 후유 색상 범위는 사전에 설정된 색상 범위 데이터로써 초유의 색깔이 진한 노란색이며, 전유의 색깔이 진하지 않은 흰색이고, 후유의 색상이 흐린 노란색에 가까우므로 색상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색상의 범위가 특정이 가능하다. 한편, 추가적으로 각 사용자에 맞춤형태로 색상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데, 이는 유축 시작 시점의 모유는 전유이므로 이러한 전유의 색상 데이터를 기초로 색상이 일정한 값을 벗어나는 경우 후유가 유축되고 있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이다.
또한 조작부(60)는 연속적으로 전송된 색상데이터(D1)와 모유량데이터(D2)를 결합하여 모유종류에 따른 종류별모유량데이터를 계산하여 저장하는 처리부(63)와 상기 처리부에 저장된 종류별모유량데이터를 표시하는 종류별모유량표시부(64)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류별모유량 표시단계(S3)를 통해 상기 종류별모유량표시부(64)에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모유량데이터와 종류별모유량데이터의 비율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종류별모유량비율을 표시할 수도 있다.
한편 조작부에는 현재의 년월일시 정보를 측정하는 시계부와 상기 시계부의 년월일시 정보를 기초로 유축시기 정보와 유축종기 정보와 년월일시 정보와 결합된 종류별모유량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부(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저장부에 저장된 유축시기와 종기 정보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다음 유축시기를 안내하거나 다음 유축시기가 되면 알림을 통해 사용자에게 유축 수행 시기를 통지할 수 있으며, 이전 유축시기와 종기의 시간 간격과 유축량을 토대로 유축과정에서 유축에 걸리는 잔여시간과 목표 유축량까지 남은 잔여 유축량을 표시할 수 있게된다.
한편 조작부(60)는 전송된 데이터를 스마트폰 등의 무선단말기(100)에 무선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전송부(65)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조작부의 기능을 스마트폰에 설치된 앱을 통해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5와 같이 일부 구성의 위치를 변경한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도1의 실시예가 모유량측정부(40)와 흡입부(20)에 모유량센서를 포함하며 여기서 생성되는 정보가 전선 혹은 무선송신방법에 따라 조작부(60)로 전달되는 방식을 취하나 도5의 실시예는실시는 상기 구성을 결합하여 제조와 사용을 더욱 간편하게 하였다. 즉, 조작부(60)의 일측에 모유량측정부(40)를 설치하여 모유저장부(30)를 거치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색상센서(70)를 흡입부(20)가 아닌 거치된 모유저장부(30)와 이웃한 조작부(60)의 일부분에 설치하였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실시간으로 모유량과 모유종류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조작부(60)에 모유저장부(30)가 거치된 상태에서 유축을 진행해야하며, 조작부(60)를 바닥에 내려놓고 착유 깔때기(10), 흡입부(20), 모유저장부(30)가 결합된 일부만을 들고 유축하는 상태에서는 측정이 진행될 수 없으며 유축을 마치고 모유량저장부(30)를 조작부(60)의 모유량측정부(40)에 거치할 때 측정된 모유량과 모유종류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색상센서(70)는 도1의 실시예와는 달리 모유저장부(30) 내의 모유의 색상을 측정하게 되는 차이가 있다.
10 : 착유 깔때기
20 : 흡입부
30 : 모유저장부
40 : 모유량측정부
50 : 연결부
60 : 조작부
61 : 모유종류표시부
62 : 모유량표시부
63 : 처리부
64 : 종류별모유량표시부
65 : 전송부
70 : 색상센서
100 : 무선단말기
D1 : 색상데이터
D2 : 모유량데이터
S1 : 모유종류표시단계
S2 : 모유량표시단계
S3 : 종류별모유량 표시단계

Claims (8)

  1. 산모의 가슴에 부착시켜 모유를 유축하기 위해 사용하는 유축기에 있어서,
    가슴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착유 깔때기와;
    상기 착유 깔때기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착유된 모유가 이동하도록 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착유된 모유를 저장하는 모유저장부와;
    상기 모유저장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모유저장부의 모유량을 측정하는 모유량측정부와;
    상기 흡입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입부에는 모유의 색상을 측정하여 색상데이터를 조작부로 연속적으로 전송하는 색상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모유량측정부는 측정된 모유저장부의 모유량데이터를 조작부로 연속적으로 전송하며,
    상기 조작부는 전송된 색상데이터가 초유 색상 범위인 경우 초유임을 표시하며, 전유 색상 범위인 경우 전유임을 표시하며, 후유 색상 범위인 경우 후유임을 표시하는 모유종류표시부와;
    전송된 모유량데이터를 표시하는 모유량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작부는 연속적으로 전송된 색상데이터와 모유량데이터를 결합하여 모유종류에 따른 종류별모유량데이터를 계산하여 저장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저장된 종류별모유량데이터를 표시하는 종류별모유량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축기.
  2. 산모의 가슴에 부착시켜 모유를 유축하기 위해 사용하는 유축기에 있어서,
    가슴에 부착하도록 구성된 착유 깔때기와;
    상기 착유 깔때기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착유된 모유가 이동하도록 하는 흡입부와;
    상기 흡입부와 연통되게 연결되며, 착유된 모유를 저장하는 모유저장부와;
    상기 모유저장부의 하단에 결합되며, 모유저장부의 모유량을 측정하는 모유량측정부와;
    상기 흡입부에 일단부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유량측정부는 상기 조작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모유저장부와 이웃한 상기 조작부의 일측부에는 상기 모유저장부 내의 모유 색상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색상센서가 설치되며,
    상기 모유량측정부는 측정된 모유저장부의 모유량데이터를 조작부로 전송하며,
    상기 조작부는 전송된 색상데이터가 초유 색상 범위인 경우 초유임을 표시하며, 전유 색상 범위인 경우 전유임을 표시하며, 후유 색상 범위인 경우 후유임을 표시하는 모유종류표시부와;
    전송된 모유량데이터를 표시하는 모유량표시부를 구비하며,
    상기 조작부는 연속적으로 전송된 색상데이터와 모유량데이터를 결합하여 모유종류에 따른 종류별모유량데이터를 계산하여 저장하는 처리부와;
    상기 처리부에 저장된 종류별모유량데이터를 표시하는 종류별모유량표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축기.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센서는 적외선 광 색상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축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전송된 데이터를 무선단말기에 무선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전송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축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유량측정부는 압력식 무게 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축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현재의 년월일시 정보를 측정하는 시계부와 상기 시계부의 년월일시 정보를 기초로 유축시기 정보와 유축종기 정보와 년월일시 정보와 결합된 종류별모유량데이터가 연속적으로 저장되는 데이터저장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축기.

KR1020170178122A 2017-12-22 2017-12-22 유축기 KR1018452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122A KR101845271B1 (ko) 2017-12-22 2017-12-22 유축기
PCT/KR2018/015231 WO2019124823A1 (ko) 2017-12-22 2018-12-04 유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8122A KR101845271B1 (ko) 2017-12-22 2017-12-22 유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5271B1 true KR101845271B1 (ko) 2018-04-04

Family

ID=61975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8122A KR101845271B1 (ko) 2017-12-22 2017-12-22 유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5271B1 (ko)
WO (1) WO201912482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823A1 (ko) * 2017-12-22 2019-06-27 주식회사 해님 유축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1389B2 (ja) 2005-01-28 2011-01-12 メデラ ホールディング アーゲー 搾乳器セット
US20150051458A1 (en) * 2011-12-22 2015-02-19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for providing an indication as to the the amount of milk remaining in a breast during lactation
US20160022886A1 (en) 2013-03-13 2016-01-28 Medela Holding Ag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supply of breast milk
US20160082166A1 (en) * 2014-09-19 2016-03-24 Moxxly, Inc. Smart breast pump system
US20170220753A1 (en) 2015-01-30 2017-08-03 Moxxly, Inc. Sensor network for breast pumping mother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271B1 (ko) * 2017-12-22 2018-04-04 주식회사 해님 유축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11389B2 (ja) 2005-01-28 2011-01-12 メデラ ホールディング アーゲー 搾乳器セット
US20150051458A1 (en) * 2011-12-22 2015-02-19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for providing an indication as to the the amount of milk remaining in a breast during lactation
US20160022886A1 (en) 2013-03-13 2016-01-28 Medela Holding Ag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 supply of breast milk
US20160082166A1 (en) * 2014-09-19 2016-03-24 Moxxly, Inc. Smart breast pump system
US20170220753A1 (en) 2015-01-30 2017-08-03 Moxxly, Inc. Sensor network for breast pumping mothe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24823A1 (ko) * 2017-12-22 2019-06-27 주식회사 해님 유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24823A1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10921A1 (en) Sensor network for breast pumping mothers
US11357893B2 (en) Breast pump system
US11376351B2 (en) Smart breast pump system
US10220126B2 (en) Breast shield and breast pump device
US20150265753A1 (en) Breast pump system
US20230110029A1 (en) Breast pump systems and methods
KR101845271B1 (ko) 유축기
Tawade et al. Design and development of saline flow rate monitoring system using flow sensor, microcontroller and RF ZigBee module
US10037354B2 (en) System for optimizing guide values
CN108402538A (zh) 一种具有报警功能的智能按摩文胸
CN206729224U (zh) 一种具有报警功能的智能按摩文胸
KR20160051027A (ko) 모유 수유량 측정기
CN202061111U (zh) 一种奶嘴温度计
US20220288289A1 (en) Smart milk letdown expression system
CN215914081U (zh) 一种具有智能显示饮水量功能的水杯
CN202061109U (zh) 一种温度计奶瓶
CN106419503B (zh) 一种引导消费者健康摄入钙量的方法及炖煮系统
CN116612616A (zh) 一种防止患者呛咳的吞咽训练系统及方法
JP2022533829A (ja) スマート接続された乳房ポンプ
CN202437805U (zh) 针筒式吸奶器
CN202198850U (zh) 一种方便慢性病病人用服中药液器具
TWM560570U (zh) 無線監控自動給水裝置
CN102119914A (zh) 一种奶嘴温度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