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817B1 -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817B1
KR101843817B1 KR1020180006329A KR20180006329A KR101843817B1 KR 101843817 B1 KR101843817 B1 KR 101843817B1 KR 1020180006329 A KR1020180006329 A KR 1020180006329A KR 20180006329 A KR20180006329 A KR 20180006329A KR 101843817 B1 KR101843817 B1 KR 101843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xture
block
fumed silica
mixing
surfac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6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희 안
순곤 강
Original Assignee
(주) 에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에이티 filed Critical (주) 에이티
Priority to KR1020180006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817B1/ko
Priority to PCT/KR2019/000749 priority patent/WO2019143171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6/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6/0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16/08Macromolecular compounds porous, e.g. expanded polystyrene beads or microball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0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 B28B1/50Producing shaped prefabricated articles from the material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articles of expanded material, e.g. cellular concret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6Silica fum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1/0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 E04C1/40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 E04C1/41Building elements of block or other shape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built-up from parts of different materials, e.g. composed of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or stones with filling material or with insulating inserts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load-bearing 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40Surface-active agents, dispersa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20Resistance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11/28Fire resistance, i.e. materials resistant to accidental fires or high tempera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40Porous or lightweigh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3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heat transfer properties such as thermal insulation values, e.g. R-valu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Abstract

본 발명은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 흄드 실리카,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에 시멘트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을 형틀에 주입하고 양생하여 블록을 제조하는 단계, 양생된 블록을 형틀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불연성, 열 저항성이 높으며 열전도율이 낮아 내화성이 우수하며, 압축강도, 흡수율, 음향 감쇄 특성이 우수하여 건축물의 내외벽, 방화구획, 벽체, 이중벽 등의 다양한 부분에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LIGHTWEIGHT FIREPROOF INSULATING BLOCK}
본 발명은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내화성과 단열성이 향상된 시멘트계 경량 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은 빌딩, 주택 등의 건축물의 비내력 외벽과 내벽, 방화구획 벽체, 대피공간 내화 벽체, 각종 구조물의 내화 간막이 벽체, 에어 덕트, 파이프 덕트 벽체,이중벽 등에 적용될 수 있는 건축용 소재로서 최근 내화성능과 단열성능에 대한 요구의 증가와 함께 수요도 증가되고 있다.
종래에는 복수의 패널을 적층하여 패널을 제조하거나 시공하고 있으나, 이러한 패널은 경량화에 한계가 있고, 내화 성능이나 단열 성능이 불충분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40331호에서는 합성수지 발포제로 구성되는 단열재층과 섬유 강화 시멘트 보드로 구성되는 패널재층이 적층된 단열용 패널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34072호에서는 셀룰로오스 화이버 시멘트 보드와 보드 사이에 시멘트, 스티로폼 입자, 기포제, 유동화제, 조강제를 혼합하여 제조한 스티로폼 혼합 기포 콘크리트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 벽체 패널 구조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는 달리, 경량화와 내화, 단열 성능을 나타낼 수 있는 조성물로부터 직접 성형체를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13152호 및 10-0975644호에서는 저회와 시멘트 및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를 혼합한 혼합물을 형틀에 주입하고 양생하여 경량콘크리트 패널을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에서는 건설교통부고시 제2000-093호에 따른 고층 건물의 내화성능을 충족시키는 물성의 패널을 제조하고 있으나, 경량화, 내화성, 단열성 등의 각종 특성을 최적화하기 곤란하여 내외벽, 방화구획, 간막이, 이중벽 등의 다양한 건축물의 용도에 범용으로 적용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05-240331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5-003407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81315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97564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불연성, 열저항이 높으며 열전도율이 낮아 내화성이 우수하며, 압축강도, 흡수율, 음향 감쇄 특성이 우수하여 건축물의 내외벽, 방화구획, 벽체, 이중벽 등의 다양한 부분에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시멘트의 함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경량 블록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은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 흄드 실리카,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에 시멘트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을 형틀에 주입하고 양생하여 블록을 제조하는 단계; 양생된 블록을 형틀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흄드 실리카는 제2 혼합물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의 범위에서 함유되며,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는 제2 혼합물에 대하여 70 내지 80 부피%의 범위에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용매는 물과 알코올의 혼합 용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불연성, 열저항이 높으며 열전도율이 낮아 내화성이 우수하며, 압축강도, 흡수율, 음향 감쇄 특성이 우수하여 건축물의 내외벽, 방화구획, 벽체, 이중벽 등의 다양한 부분에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시멘트의 함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충분한 강도를 확보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경량 블록을 제조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경량내화단열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경량 내화 단열 블록에 대한 차음성능 시험 결과로서 100㎜ 두께의 블록(a)과 150㎜ 두께의 블록을 비교한 시험결과이다.
도 3은 내화시험시 시험체의 노 내 온도 변화에 관한 그래프로서 100㎜ 두께의 블록(a)과 150㎜ 두께의 블록의 측정시 노 내 온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내화시험시 시험체의 노 내 압력 변화에 관한 그래프로서 100㎜ 두께의 블록(a)과 150㎜ 두께의 블록의 측정시 노 내 온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내화시험시 시험체에 설치된 측정장치의 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내화시험시 시험체 6의 내화시험 전(a)과 내화시험 후(b)의 벽면 상태를 관찰한 사진이다.
도 7은 내화시험시 시험체 7의 내화시험 전(a)과 내화시험 후(b)의 벽면 상태를 관찰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시멘트계 블록의 경량화와 내화성 및 단열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 및 흄드 실리카를 혼합하여 블록을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 흄드 실리카,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에 시멘트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을 형틀에 주입하고 양생하여 블록을 제조하는 단계; 양생된 블록을 형틀에서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경량 블록은 시멘트의 양을 최소화하여 블록의 무게를 줄이면서 내화성과 단열성을 확보해야 하므로,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 및 흄드 실리카를 먼저 혼합하여 흄드 실리카가 분산된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의 제1 혼합물을 제조하고 여기에 시멘트를 부가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게 된다. 시멘트에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 및 흄드 실리카를 단순히 혼합하면 흄드 실리카의 분산도가 낮아 제조된 블록의 내화성과 단열성이 불충분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을 채용하여야 본 발명에서 목적하는 물성을 획득할 수 있게 된다.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는 입자 크기가 2 내지 5㎜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시멘트와 혼합한 후 비중이 0.2 내지 0.5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 제2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70 내지 80 부피%가 되도록 함유되어야 한다.
또한, 흄드 실리카는 제2 혼합물에 대하여 0.5 내지 3 중량%의 범위에서 함유되는데, 흄드 실리카의 양이 상기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열전도도 값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나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에 비해서도 현저히 낮은 열전도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흄드 실리카를 0,5 내지 3 중량%의 비교적 적은 양으로 포함하기 때문에 상기 흄드 실리카와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의 혼합 정도, 즉, 흄드 실리카의 분산 정도가 제조된 경량 블록의 물성을 결정하는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흄드 실리카와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를 혼합할 때 용매와 함께 계면활성제를 혼합하여 분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또한, 상기 계면활성제는 혼합물 내에서 공기에 연행하는 작용을 하여 공기연행제의 역할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혼합 과정에서 산도를 조절하지 않고 원료를 물에 혼합하여 분산시키기 때문에 계면활성제로는 중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로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테트라올레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페닐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알킬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고분자량의 지방산 알콜 에스테르, 다가 알콜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중성 계면활성제는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함유하는 양쪽성 고분자인데, 친수성기의 함량이 소수성기의 함량에 비해 2배 몰 이상인 양쪽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경우 특히 분산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적으로 분산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난 계면활성제는 Pluronic F127(친수성기(EO 블록) 200.45몰, 소수성기(PO 블록) 65.17몰), F68(친수성기 152.73몰, 소수성기 28.97몰), F87(친수성기 122.5몰, 소수성기 39.83몰),
또한,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분산성을 고려하여 용매로서 물과 알코올의 혼합물, 특히, 물과 에탄올, 또는 물과 이소프로판올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혼합용매를 사용할 경우, 물과 알코올의 중량비를 2:1 내지 5:1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과 알코올의 혼합 비율은 사용하는 계면활성제의 종류와 함량에 따라 달라지나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경량 블록의 물성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제1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 내지 5 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계면활성제의 양이 지나치게 적으면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았을 때와 물성의 차이가 없으며, 너무 많이 사용하면 분산성이 오히려 저하되어 물성이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상기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은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 흄드 실리카,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혼합할 때 혼합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먼저 혼합하고 여기에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를 혼합한 후 마지막으로 흄드 실리카를 부가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적절한 농도의 계면활성제 용액에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를 분산시킨 상태에서 흄드 실리카를 부가하면 흄드 실리카 입자가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와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흄드 실리카로는 소수성 흄드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경량 블록의 발수성을 부여하기 위해서이다. 소수성 흄드 실리카를 사용하는 경우 친수성 용매에서 분산이 어렵기 때문에 친수성 흄드 실리카를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와 계면활성제 분산 용액에 흄드 실리카를 부가할 때 친수성 흄드 실리카 및 소수성 흄드 실리카를 1:5 내지 1:15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1:12의 중량비로 배합하여 상기 분산 용액에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친수성 흄드 실리카는 소수성 흄드 실리카의 분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배합되는 것이기 때문에 가급적 적은 양을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범위를 벗어나 친수성 흄드 실리카의 양이 지나치게 많으면 경량 블록의 발수성이 저하되며, 지나치게 적으면 소수성 흄드 실리카의 분산이 불균일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와 계면활성제 분산 용액에 친수성 흄드 실리카를 먼저 배합한 후 충분히 혼합된 후 소수성 흄드 실리카를 부가하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공정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계면활성제를 용매에 녹이는 공정, 상기 계면활성제 분산액에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를 혼합하는 공정, 친수성 흄드 실리카를 혼합하는 공정, 소수성 흄드 실리카를 혼합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계면활성제의 분산액을 적용하기 때문에 상기 흄드 실리카를 혼합하는 시간은 소수성 흄드 실리카를 부가한 후 5분 이내,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분의 혼합으로도 충분히 분산성이 높은 혼합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 흄드 실리카,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혼합하여 제조된 제1 혼합물은 흄드 실리카가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에 매우 균일하게 분산되어 시멘트와의 혼합 후에도 물성, 특히, 우수한 열전도율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제1 혼합물에 시멘트를 부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제2 혼합물을 얻게 되는데,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와 흄드 실리카의 혼합물이 시멘트와 혼합되면서 구성되는 혼합물의 부피의 70 내지 80%를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가 차지하게 된다. 이러한 저밀도의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가 다량으로 함유됨으로써 제조되는 블록은 경량화가 가능하게 되며 시멘트의 혼합에 의해 충분한 강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수동 교반, 블랜더, 또는 혼합기를 사용할 수 있는데, 공정 효율의 향상을 위하여 혼합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혼합기로는 리본 블랜더, 휴대용 임펠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혼합기를 사용하는 경우 1차 혼합물은 5 내지 20분 간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고, 2차 혼합물 또한 5 내지 20분 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제1 혼합물의 균일한 혼합을 위하여 혼합기에서 1차 혼합한 후 이를 순환 라인을 통해 혼합기 밖으로 배출하면서 상기 순환 라인에 장착된 스태틱 믹서를 통과시켜 다시 혼합기 내로 유입함으로써 균일 혼합을 수행할 수도 있다. 스태틱 믹서를 통해 순환시키는 공정을 10 내지 30분간 수행하는 것만으로 분산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제조된 제2 혼합물은 블록의 형태를 구성할 수 있는 형틀에 부은 후 양생하는 것만으로 경량 블록을 제조할 수 있으며, 별도의 가압 또는 성형 공정은 불필요하므로 공정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양생은 실온에서 6 내지 12시간 두는 것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양생이 완료된 블록은 형틀에서 분리한 후 크기에 맞추어 절단 및 절삭 가공하여 최종적으로 원하는 형태의 블록을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블록은 성형이 간편하기 때문에 도 1에서와 같이 측면에 요철구조를 쉽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요철구조가 형성된 쪽매 형상의 블록은 4면 쪽매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다른 블록과 접합하여 쌓아 올릴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시공 현장에 맞추어 쉽게 시공할 수 있고, 시공 후의 강도를 확보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에서와 같은 형상의 경량 블록은 쪽매 형상의 성형틀을 사용하여 양생하는 것만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또한, 직육면체의 경량 블록을 제조한 후 이를 절삭 가공하여 쪽매 형상의 경량 블록을 제조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너비×높이×폭이 600×400×150㎜인 블록을 제조하여 3×3m 면적의 벽체를 시공할 경우, 37.5매의 블록이 소요되며 총 중량은 540㎏(14.4㎏×37.5매)로서, 시판되는 600×400×150㎜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 37.5매로 시공했을 때 총 중량이 878㎏(23.4㎏×37.5매)이며, 390×190×150㎜의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 122매가 필요하며 총 중량이 1,708㎏(14㎏×37.5매)이고, 190×57×90㎜의 시멘트 벽돌의 경우 826매가 필요하며 총 중량이 1,652㎏(2㎏×826매)로서 본 발명의 경량 블록을 사용할 경우 중량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경량 내화 단열 블록에 대하여 불연성, 열저항성, 열전도율, 압축강도, 흡수율, 음향감쇄계수, 내화성을 시험하였다.
시험체 1 내지 3을 제조하였다. 시험체 1은 제1 혼합물 제조 시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제조한 것이며, 시험체 2는 물과 에탄올을 4: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에 대하여 Pluronic F127을 제1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2 중량%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고, 시험체 3은 물과 에탄올을 4: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용매에 대하여 Pluronic F68을 제1 혼합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4 중량% 혼합하여 제조한 것이다.
불연성 시험은 시험체의 밀도 236.3㎏/㎥로 하여 온도 23±2℃, 상대습도 50±5%R.H.의 조건에서 KS F ISO 1182에 따라 실시하였고, 결과는 표 1과 같다.
시험체1 시험체2 시험체3
두께(㎜) 51.6 50.8 51.5
가열전 무게(g) 18.3 17.9 20.5
가열후 무게(g) 13.3 14.1 15.9
가열감량(g) 5.0 3.8 4.6
질량감소율(%) 27.3 21.2 22.4
로 최고온도(℃) 760.1 762.7 771.0
로 최종온도(℃) 744.6 759.0 767.0
로 온도차(℃) 15.5 3.7 4.0
시험체 1 내지 3에 대한 시험결과를 살펴보면, 가열전 후의 질량 감소율이 시험체 1 내지 3에 대하여 각각 27.3, 21.2, 22.4%로 질량 감소율 30% 이하의 불연성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최고온도와 최종평형온도와의 온도차가 시험체 1 내지 3에 대하여 각각 15.5, 3.7, 4.0℃로 20℃ 이하의 불연성 기준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험체 1 내지 3은 모두 불연성 기준을 충족하기는 했으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지 않고 제조된 시험체 1에 있어서는 상대적으로 불연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른 계면활성제의 사용이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 및 흄드 실리카의 균일 혼합을 촉진하며 이에 따라 물성의 향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시험체 2, 3의 가스 유해성을 시험하기 위하여 KS F 2271에 의거하여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와 같다.
시험체2 시험체3
두께(㎜) 104.7 102.1
무게(g) 1340.1 1437.9
8마리 평균 행동정지시간 14분30초 14분19초
표준편차 23초 55초
평균 행동정지시간 14분7초 13분24초
가스 유해성 시험결과 평균행동정지시간이 시험체 2 및 3에서 실험용 쥐의 평균행동정지시간이 9분 이상이어야 하는 가스 유해성 기준을 충족하는 결과를 얻었다.
다음으로 시험체 2에 대하여 열저항성, 열전도율, 압축강도, 흡수율, 및 절건비중을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표 3과 같다.
항목 시험방법 시험조건 결과
열저항성 KS L 9016:2010 20±2℃, 50±5%R.H. 1.80(㎡K)/W
열전도율 KS L 9016:2010 23±2℃, 50±5%R.H. 0.088W/(mK)
압축강도 SPS-KClC0001-0703:2015 20±5℃, 35±10%R.H. 3.0MPa
흡수율 KS F 2518:2015 20±5℃, 35±10%R.H. 4%
절건비중 KS F 2701:2017 20±5℃, 48±10%R.H. 0.45g/㎤
또한, 시험체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흄드 실리카의 배합량을 변경하여 열전도율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시험하였다. 시험은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하였으며, 표 3에서와 동일하게 KS L 9016:2010에 의거하여 23±2℃,50±5%R.H.의 조건에서 시험하였다. 그 결과는 표 4와 같다.
시험체 흄드실리카 함량(중량%) 열전도율(W/(mK))
시험체 2-1 0 0.100
시험체 2-2 0.5 0.088
시험체 2-3 1 0.091
표 4의 결과를 살펴보면, 흄드 실리카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흄드 실리카를 0.5 중량% 이상 포함함으로써 열전도율이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흄드 실리카의 배합에 의한 열전도율 감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두께에 따른 음향 감쇄 계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10.06㎡(3,620×2,780m)의 벽면에 600×400×100㎜의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을 시공한 시험체 4와 600×400×150㎜의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을 시공한 시험체 5에 대한 차음성능을 시험하였다. KS F 2862:2017에 따른 가중음향감쇄계수를 평가하기 위하여 KS F ISO 10140-2:2010의 시험방법에 따라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서 음향감쇄계수를 측정하였으며, 측정 주파수 대역은 1/3 옥타브밴드 중심 주파수로 100~5,000Hz였다. 차음성능 시험 잔향실은 철근콘크리트 구조의 직방형 6면체(ISO 10140-5 type)로서 벽두께가 250㎜, 음원실 용적 51.54㎥, 수음실 용적 57.02㎥이었다.
실내 평균음압레벨은 무지향성 마이크로폰을 마이크로폰 간 0.7m, 음원으로부터 1.0m, 실의 경계 및 확산체로부터 0.7m 이상 떨어진 5개의 위치에 고정하여 측정된 음압 레벨의 에너지 평균값(L)을 하기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Figure 112018005940427-pat00001
(단, Li는 I번째 고정 측정점에서 음압 레벨의 측정값(dB)이며, n은 고정 측정점 수이다.)
또한, 수음실 등가 흡읍력의 측정을 위하여 수음실 내 1점에 음원 스피커를 설치하고 3점 이상의 균등한 측정점에서 음원단속법으로 잔향시간을 측정하여 하기 식에 따라 등가 흡음력을 산출하였다.
Figure 112018005940427-pat00002
(단, A는 등가 흡음력(㎥), V는 수음식 체적(㎥), T는 수음실의 잔향 시간(s)이다.)
또한, 음향 감쇄 계수(R)의 산출은 음원실과 수음실의 평균음압레벨차를 구하고 수음실의 흡음력을 보정하여 하기 식에 따라 산출하였다.
Figure 112018005940427-pat00003
(단, L1은 음원실에서의 평균 음압레벨(dB), L2는 수용실에서의 평균 음압레벨(dB), S는 시료의 면적(㎡), A는 수음실의 음향 파워 흡음력(㎡)이다.)
또한, 가중음향감쇄계수는 1/3 옥타브 밴드를 측정하여 산출하였다. 100Hz에서 3,150Hz의 주파수 대역에서 측정 결과를 연결한 곡선에 대응하는 기준곡선을 1dB 단위로 이동시켜 기준곡선의 값을 하회하는 값의 총합이 32.0dB를 상회하지 않는 범위에서 기준곡선을 위로 이동시켜 500Hz에서의 기준곡선의 값을 단일 수치 평가량으로 하여 산출하였다.
시험체 4 및 5에 대한 음향감쇄계수 측정 결과는 도 2와 같다. 도 2의 결과를 살펴보면 블록의 두께가 100㎜인 경우 가중음향감쇄계수(Rw)는 38dB, 두께가 150㎜인 경우 41dB로서 우수한 차음성능을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내화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차열성과 차염성을 시험하였다. 내화시험은 비내력 벽체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KS F 2257-8:2015에 따라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체는 2400×2400×100㎜의 시험체 6과 2400×2400×150㎜의 시험체 7 두 종류로 하였다. 시험체의 노 내 온도 변화는 도 3과 같으며, 시험체의 노 내 압력 변화는 도 4와 같은 조건에서 시험을 실시하였고 120분 경과 후의 평균상승온도 및 최고상승온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측정장치는 도 5에서와 같은 위치에 9군데 설치하여 측정하였다.
차열성 및 차염성 시험결과는 표 5와 같다. 차열성 시험항목은 평균상승온도 및 최고상승온도이며 차염성은 6㎜ 및 25㎜ 균열게이지 및 화염발생유무, 면 패드 착화유무를 시험항목으로 하였다.
시험항목 시험체6 시험체7 성능기준
평균상승온도(℃) 40.3 11.5 140℃ 이하
최고상승온도(℃) 56.3 19.9 180℃ 이하
6㎜ 균열게이지 관통없음 관통없음 시험체를 관통한 경우 150㎜ 이상 수평 이동되지 않을 것
25㎜ 균열게이지 관통없음 관통없음 관통되지 않을 것
화염발생유무 없음 없음 10초 이상 지속되는 화염발생 없을 것
면패드착화유무 없음 없음 착화되지 않을 것
시험 결과 두께가 100㎜인 시험체 6과 150㎜인 시험체 7에 대하여 모두 차열성 및 차염성 성능기준을 충족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시험체 6에 대한 내화시험 전후의 사진(도 6)과 시험체 7에 대한 내화시험 전후의 사진(도 7)을 살펴보면 내화시험 전후에 있어서 비가열면에서 변화가 거의 관찰되지 않아 내화성이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항목 경량 내화 단열 블록 ALC 블록 콘크리트 블록
내화시간(시간) >2 >2 >2
열전도율(W/mK) 0.088 0.188 0.700
압축강도(MPa) 3.0 2.9 4.0
흡수율(%) 4 16 10
밀도(㎏/㎥) 400 500 1,700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경량 내화 단열 블록과 시판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 블록(ALC 블록) 및 콘크리트 블록의 성능을 비교하면 표 6과 같이 본 발명의 경량 내화 단열 블록에서 우수한 열전도율, 압축강도, 흡수율을 나타내며 낮은 밀도를 나타내어 경량 블록으로서의 성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열전도율이 0.088W/mK로 열전도율이 낮은 소재인 ALC 블록에 비해서도 현저히 낮은 열전도율을 나타내어 내화성에 장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는 본 발명의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을 방화문이나 방화구획에 설치함으로써 화재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우수한 건축 자재로 활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 흄드 실리카, 친수성기와 소수성기를 함유하는 양쪽성 고분자인 계면활성제 및 용매를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1 혼합물에 시멘트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2 혼합물을 형틀에 주입하고 양생하여 블록을 제조하는 단계;
    양생된 블록을 형틀에서 분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흄드 실리카는 친수성 흄드 실리카 및 소수성 흄드 실리카를 1:5 내지 1:15의 중량비로 배합한 것이며,
    상기 발포 폴리스티렌 비드는 제2 혼합물 전체 부피를 100 부피%라 했을 때 70 내지 80 부피%의 범위에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흄드 실리카는 제2 혼합물 전체 중량을 100 중량%라 했을 때 0.5 내지 3 중량%의 범위에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제조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면활성제는 친수성기의 함량이 소수성기의 함량에 비해 2배 몰 이상인 양쪽성 계면활성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제조방법.
KR1020180006329A 2018-01-18 2018-01-18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제조방법 KR101843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329A KR101843817B1 (ko) 2018-01-18 2018-01-18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제조방법
PCT/KR2019/000749 WO2019143171A1 (ko) 2018-01-18 2019-01-18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6329A KR101843817B1 (ko) 2018-01-18 2018-01-18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817B1 true KR101843817B1 (ko) 2018-05-14

Family

ID=62188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6329A KR101843817B1 (ko) 2018-01-18 2018-01-18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43817B1 (ko)
WO (1) WO2019143171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171A1 (ko) * 2018-01-18 2019-07-25 (주)에이티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제조방법.
KR101967334B1 (ko) * 2018-11-05 2019-08-14 (주)에이티산업 경량내화블록 제조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KR102527506B1 (ko) 2022-07-25 2023-05-04 주식회사 위드제이연구소 단열 블록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 블록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40281B (zh) * 2020-09-19 2021-11-23 山东阳光众泰机械工程有限公司 高强度轻质砖及其加工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1938A (ja) * 2009-07-01 2011-01-20 Kikusui Chemical Industries Co Ltd 断熱材
JP2017227114A (ja) 2016-06-16 2017-12-28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金庫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7426B1 (ko) * 2001-01-09 2004-11-16 박종원 내열성이 우수한 초경량의 난연성 단열재 조성물과 그제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제조방법
KR20110114342A (ko) * 2010-04-13 2011-10-19 권종길 단열·경량콘크리트 건축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603669B1 (ko) * 2014-04-18 2016-03-16 화인미셀공업(주) 모르타르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43817B1 (ko) * 2018-01-18 2018-05-14 (주) 에이티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11938A (ja) * 2009-07-01 2011-01-20 Kikusui Chemical Industries Co Ltd 断熱材
JP2017227114A (ja) 2016-06-16 2017-12-28 太平洋セメント株式会社 金庫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3171A1 (ko) * 2018-01-18 2019-07-25 (주)에이티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제조방법.
KR101967334B1 (ko) * 2018-11-05 2019-08-14 (주)에이티산업 경량내화블록 제조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블록 제조방법
KR102527506B1 (ko) 2022-07-25 2023-05-04 주식회사 위드제이연구소 단열 블록 제조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단열 블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43171A1 (ko) 2019-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817B1 (ko) 경량 내화 단열 블록의 제조방법
KR101814653B1 (ko) 단열 방음용 초경량 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N109956726B (zh) 一种原料组合物及柔性保温板
US20180257757A1 (en) System for manufacture of foam sheets rigidized with polymer infiltration
KR20090008122A (ko) 팽창 펄라이트와 폴리우레탄을 포함하는 단열재 및 그제조방법과 이를 포함하는 건축자재
RU2440314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строительной плиты на основе сульфата кальция/сульфата бария
KR101758308B1 (ko) 불연성 경량 건축 내·외장재 제조용 다공성 세라믹 성형체 및 그 제조방법
KR20050027712A (ko) 건축내장재용 흡음판넬의 조성, 그 제조방법 및 용도
KR101758309B1 (ko) 불연성 경량 건축 내·외장 복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2188608B1 (ko) 그래핀 옥사이드를 이용한 eps 준불연 단열재 및 이의 제조방법
CA2060519C (en) Heat insulator and structure using the same
KR101020653B1 (ko) 무기질 시멘트계 경량 판넬의 제조 방법
KR101339858B1 (ko) 발포 콘크리트 조성물, 발포 콘크리트 및 발포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2388626B1 (ko) 경량 기포 콘트리트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010625A (zh) 一种防火保温材料及其制备工艺
KR101637978B1 (ko) 발포체를 사용한 층간 바닥용 경량기포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로 이루어진 중간층을 포함하는 바닥구조
CN109956758B (zh) 一种柔性保温板的制作工艺
KR100344675B1 (ko) 스프레이형 내화피복재
RU2455252C2 (ru) Состав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тепло-, звукоизоляционного материала
KR102437102B1 (ko) 불연 단열재용 조성물.
KR20190035576A (ko) 열경화성 발포체 및 이의 제조방법
CN113956067A (zh) 一种泡沫水泥吸音板
CN116874266B (zh) 可拆式声学保温板及其制造方法
KR100616176B1 (ko) 난연제 발포로 강도를 향상시킨 조립식 패널용폴리에스테르 난연 심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146203B1 (ko) 건물 외벽용 불연 clc 몰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