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790B1 -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790B1
KR101843790B1 KR1020170017692A KR20170017692A KR101843790B1 KR 101843790 B1 KR101843790 B1 KR 101843790B1 KR 1020170017692 A KR1020170017692 A KR 1020170017692A KR 20170017692 A KR20170017692 A KR 20170017692A KR 101843790 B1 KR101843790 B1 KR 101843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tt
service providing
providing server
user terminal
p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7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길수
원훈희
Original Assignee
(주)티아이스퀘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티아이스퀘어 filed Critical (주)티아이스퀘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04M1/72547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42382Text-based messaging services in telephone networks such as PSTN/ISDN, e.g. User-to-User Signalling or Short Message Service for fixed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호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제2 사용자 단말기를 결정하고, PTT 서비스 제공 서버로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PTT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PTT 서비스를 위한 PTT 채널을 생성하고 PTT 채널 정보를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며,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PTT 서비스 제공 서버; 및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PTT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PTT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CALL SERVICES USING PTT SERVICES}
본 발명은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데이터 패킷망에 기초한 PTT 서비스를 이용하여 호출 서비스를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의 급속한 보급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한 다양한 호출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다. 예컨대, 택시 호출 서비스나 대리 기사 호출 서비스 등과 같은 호출 서비스를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제공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편의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호출 서비스는 그 특성상 서비스 이용자와 서비스 제공자가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폰을 이용한 호출 서비스는 서비스 이용자(고객)와 서비스 제공자(예컨대 기사)가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서비스 제공자 선택 등과 같은 기본적인 호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기는 하지만,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한 경우에는 별도의 전화 통화를 수행해야 한다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별도로 구동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전화 요금이 과금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화 번호가 노출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는 한계점도 있다.
한편, PTT(Push-To-Talk) 서비스는 무선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TRS : Trunked Radio System) 및 TRS 단말기를 이용하여 일대일 통신뿐만 아니라 일대다수의 그룹 통신을 특정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음성 메시지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하는데, 최근에는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이러한 종래의 TRS를 이용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이 알려져 있다. 이러한 데이터 패킷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는 데이터 패킷망을 이용하기 때문에 별도의 전화 통화 요금이 발생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PTT 서비스를 호출 서비스에 적용하면 전화 요금이 과금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호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적용시키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호출 서비스와 커뮤니케이션을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전화 번호를 노출시킬 필요가 없다는 장점이 있으나, 아직 이러한 기술은 제안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9713호(2016.09.21.공개)는 콜택시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으나, 이는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택시 요청을 수신하여 배차를 요청하고 배차 정보를 자동으로 제공하는 과정만을 개시하고 있을 뿐, 호출 서비스의 특성에 의한 전화 통화를 PTT 서비스로 제공한다는 점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6-0109713호(2016.09.21.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데이터 패킷망에 기초한 PTT 서비스를 이용하여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호출 서비스에 필요한 커뮤니케이션을 전화 통화 대신 데이터 패킷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전화 번호의 노출 염려가 없고 전화 요금 발생 문제가 없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PTT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여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필요없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간편하게 호출 서비스에 필요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호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제2 사용자 단말기를 결정하고, PTT 서비스 제공 서버로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PTT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PTT 서비스를 위한 PTT 채널을 생성하고 PTT 채널 정보를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며,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PTT 서비스 제공 서버; 및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PTT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PTT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여기에서, 상기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PTT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PTT 채널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 연동부; 호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제2 사용자 단말기를 결정하는 호출 대상 결정부; 및 PTT 서비스 제공 서버로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PTT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PTT 서비스 연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는, 사용자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호출 대상 결정부는, 상기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피호출자를 결정하고, 결정된 피호출자의 단말기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TT 서비스 제공 서버는,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PTT 서비스를 위한 PTT 채널을 생성하고 PTT 채널 정보를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채널 관리부; 및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PTT 서비스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PTT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PTT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는,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PTT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PTT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PTT 서비스 제공부는, 호출 서비스 제공부가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PTT 채널 정보를 호출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수신하는 요청/응답 처리부; PTT 서비스 제공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호출 서비스 제공부로 전송하는 이벤트 알림 처리부; PTT 서비스 제공 서버의 PTT 채널에 접속하고 접속된 PTT 채널을 관리하는 PTT 채널 관리부; PTT 서비스를 수행할 때 음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발언권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발언권 제어부; 음성 신호를 PTT 채널을 통해 PTT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음성 데이터 송수신부; 및 마이크 및 스피커를 제어하는 하드웨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상기한 바와 같은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수행되는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 단말기가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1 단계;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가 호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제2 사용자 단말기를 결정하는 제2 단계;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가 PTT 서비스 제공 서버로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는 제3 단계; PTT 서비스 제공 서버가 PTT 서비스를 위한 PTT 채널을 생성하고 PTT 채널 정보를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제4 단계;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가 PTT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PTT 채널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제5 단계; 및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가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PTT 서비스 제공 서버의 PTT 채널에 접속하여 음성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PTT 서비스를 수행하는 제6 단계를 포함하는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패킷망에 기초한 PTT 서비스를 이용하여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호출 서비스에 필요한 커뮤니케이션을 전화 통화 대신 데이터 패킷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를 통해 제공함으로써, 전화 번호의 노출 염려가 없고 전화 요금 발생 문제가 없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호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에 PTT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여 통합적으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로 전화 어플리케이션을 동작시킬 필요없이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내에서 간편하게 호출 서비스에 필요한 커뮤니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데이터 패킷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PTT 서비스를 통해 이루어지는 음성을 간편하게 녹취/저장 및 관리할 수 있으므로, 추후 확인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 이용자와 서비스 제공자 간에 호출 서비스를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상이한 경우에도 PT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 및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시스템(100)에서 이루어지는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전체적인 구성 및 연결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하, 간단히 "시스템(100)"이라 한다,100)은,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 사용자 단말기(30, 40)를 포함한다.
제1 사용자 단말기(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40)는 종래 알려져 있는 이동통신 단말기로서, 예컨대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30)은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를 의미하며, 제2 사용자 단말기(40)는 호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 즉, 피호출자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예컨대, 호출 서비스가 택시 호출 서비스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30)는 고객 단말기이며 제2 사용자 단말기(40)는 기사 단말기이다.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40)는 본 발명에 의한 호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구비한다. 여기에서, 전용 어플리케이션은 PTT 서비스 기능을 갖는 호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또는, PTT 서비스 어플리케이션과 호출 서비스 어플리케이션이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 제1 사용자 단말기(3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40)는 네트워크 즉, 인터넷 또는 이동 통신망의 결합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본 발명에 의한 호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신호 및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호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제2 사용자 단말기를 결정하고,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로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로부터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3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4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단말 연동부(11), 호출 대상 결정부(12) 및 PTT 서비스 연동부(13)를 포함한다.
단말 연동부(11)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40)와 연동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단말 연동부(11)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며,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로부터 수신한 PTT 채널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기(3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4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컨대, 호출 서비스가 택시 호출 서비스인 경우,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의 단말 연동부(11)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 즉, 고객 단말기로부터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택시 예약 신호)를 수신한다.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에 구비되는 본 발명에 의한 호출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전용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네트워크를 통해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로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의 호출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호출 서비스 관련 정보는, 사용자의 식별 정보(ID, 이름, 전화 번호 등)와 사용자의 위치 정보(예컨대 GPS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호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서 예컨대 택시 호출 서비스인 경우 목적지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호출 대상 결정부(12)는 호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제2 사용자 단말기(40)를 결정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호출 대상 결정부(12)는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호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호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피호출자를 결정하는데, 예컨대, 택시 호출 서비스인 경우, 호출 대상 결정부(12)는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에 포함된 호출 서비스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피호출자(택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출 서비스 관련 정보로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호출 대상 결정부(12)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가장 근접한 택시를 피호출자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종래 알려져 있는 방식 즉,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인근의 피호출자 단말기(제2 사용자 단말기(40))로 전송하고 이에 제일 먼저 응답한 제2 사용자 단말기(40)의 사용자를 피호출자로 결정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피호출자가 결정되면 피호출자의 단말기를 제2 사용자 단말기(40)로 결정한다.
PTT 서비스 연동부(13)는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와 연동하여 본 발명에 의한 호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단이다. 구체적으로, PTT 서비스 연동부(13)는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로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응답하여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로부터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수신된 PTT 채널 정보는 단말 연동부(11)로 전달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단말 연동부(11)는 PTT 채널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기(3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40)로 전송한다.
여기에서, 채널 생성 요청 신호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40) 사이에서 PTT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채널을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다음으로, 다시 도 1을 참조하여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에 대해 설명한다.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는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로부터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PTT 서비스를 위한 PTT 채널을 생성하고 PTT 채널 정보를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는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40) 사이에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기(3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40)로 PTT 서비스를 제공한다.
도 3은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는 채널 관리부(21) 및 PTT 서비스 수행부(22)를 포함한다.
채널 관리부(21)는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로부터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PTT 서비스를 위한 PTT 채널을 생성하고 PTT 채널 정보를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채널 생성 요청 신호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40) 사이에서 PTT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채널을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로서, 채널 관리부(21)는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사용자 단말기(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40)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채널을 생성한다.
일반적으로 PTT(Push-To-Talk) 서비스는 무선 주파수 공용통신 시스템(TRS : Trunked Radio System) 및 TRS 단말기를 이용하여 일대일 통신뿐만 아니라 일대다수의 그룹 통신을 특정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음성 메시지의 전송이 가능하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하는데, 본 발명에서 "PTT 서비스"라 함은 이러한 종래의 TRS를 이용한 PTT 서비스를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구현한 서비스를 말한다. 즉, 종래의 TRS를 이용한 PTT 서비스와 유사하게 다수의 사용자가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음성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데이터 패킷망을 통한 PTT 서비스는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져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는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미디어 채널을 생성하고 해당 채널에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40)가 접속(참여)하고, 이 미디어 채널 및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를 통해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40)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데이터 패킷망을 통한 PT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 패킷망을 통한 PTT 서비스 자체는 본 발명의 직접적인 목적은 아니며 종래 기술에 의해 알려져 있는 것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채널 관리부(21)는 이와 같이 PTT 서비스를 수행하기 위한 PTT 채널(미디어 채널)을 생성하고 관리하는 기능과 생성된 PTT 채널에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40)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PTT 채널 정보를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PTT 채널 정보는 예컨대 URL, 포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PTT 채널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기(3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40)로 전송한다.
한편, 채널 관리부(21)는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40) 간의 PTT 서비스가 종료되면 생성되어 있던 PTT 채널(미디어 채널)을 삭제하는 관리 기능도 포함한다.
PTT 서비스 수행부(22)는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40) 사이에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기(3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40)로 PTT 서비스를 제공한다.
즉, PTT 서비스 수행부(22)는 채널 관리부(21)에서 생성된 PTT 채널(미디어 채널) 정보를 수신한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40)가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에 접속(참여)하면, 해당 PTT 채널(미디어 채널)을 통해 음성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40) 사이에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데이터 패킷망을 이용한 PTT 서비스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PTT 서비스 수행부(22)는 발언권을 요청한 사용자 단말기에 대해 발언권을 부여하는 발언권 관리 기능 등과 같은 기능도 구비한다.
다음으로, 다시 도 1의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40)에 대해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기(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40)는 본 발명에 의한 호출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는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설치하여 실행할 수 있는 스마트폰인 것이 바람직하며, 본 발명에서 제1 사용자 단말기(30)는 호출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단말기이고 제2 사용자 단말기(40)는 호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 즉, 피호출자의 단말기를 의미한다.
도 4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 사용자 단말기(30)는, 호출 서비스 제공부(31)와 PTT 서비스 제공부(32)를 포함한다.
호출 서비스 제공부(31)는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로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로부터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의 사용자의 식별 정보(ID, 이름, 전화 번호 등)와 사용자의 위치 정보(예컨대 GPS 정보), 목적지 정보 등과 같은 호출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호출 서비스가 택시 호출 서비스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30)의 사용자(고객)은 원하는 목적지를 입력하여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로 전송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호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제2 사용자 단말기(40)를 결정한다. 그리고,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로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에서 생성된 PTT 채널에 대한 PTT 채널 정보를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로부터 수신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3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40)로 전송한다. 호출 서비스 제공부(31)는 이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여 PTT 서비스 제공부(32)로 전달한다.
PTT 서비스 제공부(32)는 호출 서비스 제공부(31)로부터 수신한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에 접속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는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로부터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PTT 채널(미디어 채널)을 생성하는데, 이 PTT 채널 정보는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를 통해 호출 서비스 제공부(31)로 수신되고, PTT 서비스 제공부(32)느느 이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에서 생성한 PTT 채널(미디어 채널)에 접속한다. 마찬가지로, 제2 사용자 단말기(40)도 PTT 채널에 접속하면, 제1 사용자 단말기(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40)는 PTT 채널을 통해 음성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PTT 서비스를 제공받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PTT 서비스 제공부(32)는 요청/응답 처리부(321), 이벤트 알림 처리부(322), PTT 채널 관리부(323), 발언권 제어부(324), 음성 데이터 송수신부(325) 및 하드웨어 제어부(326)를 포함한다.
요청/응답 처리부(321)는 호출 서비스 제공부(31)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수단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호출 서비스 제공부(31)가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로부터 수신한 PTT 채널 정보를 호출 서비스 제공부(31)로부터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호출 서비스 제공부(31)와 연동하여 호출 서비스 제공부(31)로의 요청을 수신하고 이에 대한 처리 결과를 응답하는 기능도 수행한다.
이벤트 알림 처리부(322)는 PTT 서비스 제공부(32)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호출 서비스 제공부(31)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에서 이벤트라 함은 예컨대 채널 연결(접속)/해제 이벤트, 사용자 참여/발언 이벤트, 발언권 부여 알림 이벤트 등과 같은 것일 수 있다.
PTT 채널 관리부(323)는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의 PTT 채널에 접속하고 접속된 PTT 채널을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요청/응답 처리부(321)가 수신한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에 생성된 PTT 채널로 연결(접속)하고, 해당 채널로의 입장, 퇴장, 참여자 추가/퇴장 등과 같은 채널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발언권 제어부(324)는, 발언권 요청, 획득, 해제, 대기열 관리 등과 같이 PTT 서비스를 수행할 때 음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발언권 관리 기능을 수행한다. 즉,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로 발언권을 요청하여 발언권을 획득할 수 있도록 하여 음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대방 단말기인 제2 사용자 단말기(40)가 발언권을 획득한 경우 발언권을 해제하도록 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음성 데이터 송수신부(325)는 음성 신호를 PTT 채널을 통해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로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음성 데이터 송수신부(325)는, PTT 채널 관리부(323)에 의해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와 연결된 PTT 채널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기(30)의 사용자 즉, 고객이 말하는 음성을 음성 신호로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PTT 채널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기(40)의 사용자 즉, 호출 대상의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담당한다.
하드웨어 제어부(326)는 마이크 및 스피커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을 캡쳐하여 음성 신호를 생성하여 음성 데이터 송수신부(325)로 전송하고, 음성 데이터 송수신부(325)를 통해 제2 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 수신된 제2 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스피커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제2 사용자 단말기(40)는 제1 사용자 단말기(40)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만, 제2 사용자 단말기(40)는 호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사용자의 단말기이므로, 호출 서비스 제공부(31)에서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로 전송하는 기능은 필요 없다.
도 4에서 호출 서비스 제공부(31)와 PTT 서비스 제공부(32)는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하거나 또는 별도의 독립적인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할 수 있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시스템(100)에서 이루어지는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우선 제1 사용자 단말기(30)가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로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00).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기(30)의 호출 서비스 제공부(31)가 제1 사용자 단말기(30)의 사용자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 등과 같은 호출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로 전송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예컨대, 호출 서비스가 택시 호출 서비스인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30)는 사용자로부터 목적지 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 식별 정보와 위치 정보와 함께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로 전송한다.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호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제2 사용자 단말기(40)를 결정한다(S110).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의 단말 연동부(11)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호출 대상 결정부(12)로 전달하고,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의 호출 대상 결정부(12)는 호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제2 사용자 단말기(40)를 결정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의 호출 대상 결정부(12)는 호출 서비스의 종류에 따라 호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피호출자를 결정하는데, 예컨대, 택시 호출 서비스인 경우, 호출 대상 결정부(12)는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에 포함된 호출 서비스 관련 정보에 기초하여 적절한 피호출자(택시)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호출 서비스 관련 정보로서,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호출 대상 결정부(12)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가장 근접한 택시를 피호출자로 결정할 수 있다.
호출 대상이 결정되면,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로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120).
이는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의 PTT 서비스 연동부(13)에 의해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채널 생성 요청 신호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사용자 단말기(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40) 사이에서 PTT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채널을 생성할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는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제1 사용자 단말기(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40)가 PTT 서비스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PTT 채널을 생성한다(S130).
이는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의 채널 관리부(21)에 의해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PTT 서비스는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구현된 서비스로서, 종래의 TRS를 이용한 PTT 서비스와 유사하게 다수의 사용자가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음성 신호를 동시에 송수신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하며,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의 채널 관리부(21)는 데이터 패킷망을 통해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PTT 채널(미디어 채널)을 생성한다.
PTT 채널이 생성되면,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의 채널 관리부(21)는 생성된 PTT 채널에 제1 및 제2 사용자 단말기(30,40)가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PTT 채널 정보를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로 전송한다(S140).
여기에서, PTT 채널 정보는 예컨대 URL, 포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는 PTT 채널 정보를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로 부터 수신하면, 수신된 PTT 채널 정보를 단말 연동부(11)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기(30) 및 제2 사용자 단말기(40)로 각각 전송한다(S150,S160).
제1 사용자 단말기(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40)는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면 각각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로 접속하여 PTT 채널에 참여한다(S170,S180).
전술한 바와 같이, PTT 채널 정보는 제1 사용자 단말기(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40)의 호출 서비스 제공부(31)로 전송되고, 호출 서비스 제공부(31)는 수신된 PTT 채널 정보를 PTT 서비스 제공부(32)의 요청/응답 처리부(321)로 전달한다.
PTT 서비스 제공부(32)의 요청/응답 처리부(321)는 PTT 채널 정보를 PTT 채널 관리부(323)로 전달하고, PTT 채널 관리부(323)는 수신된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에 생성된 PTT 채널에 접속함으로써 PTT 채널에 참여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가 되면, 제1 사용자 단말기(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40)는 음성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되며, 어느 쪽 사용자 단말기라도 발언권을 요청하여 획득한 사용자 단말기가 음성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대방 단말기는 음성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예를 들어, 제2 사용자 단말기(40)가 먼저 발언권을 요청하고 발언권을 획득하면, 제2 사용자 단말기(40)가 음성 신호를 PTT 채널을 통해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로 전송하고,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는 음성 신호를 제1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한다(S190,S200).
즉, 제2 사용자 단말기(40)의 PTT 서비스 제공부(32)의 발언권 제어부(324)가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로 발언권을 요청하고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가 이를 승인하면, 제2 사용자 단말기(40)의 하드웨어 제어부(326)가 마이크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음성을 캡쳐하여 음성 신호를 생성하고 음성 데이터 송수신부(325)가 음성 신호를 PTT 채널을 통해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로 전송한다.
그리고,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는 제2 사용자 단말기(40)로부터의 음성 신호를 PTT 채널을 통해 제1 사용자 단말기(30)로 전송하고, 제1 사용자 단말기(30)의 PTT 서비스 제공부(32)의 음성 데이터 송수신부(325)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하드웨어 제어부(326)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하게 된다.
제1 사용자 단말기(30)가 발언권을 획득하여 발언을 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기(30)로부터의 음성 신호가 전술한 바와 마찬가지 과정을 통해 제2 사용자 단말기(40)로 전송된다(S210,S220).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기(30)와 제2 사용자 단말기(40)는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면서 호출 서비스에 필요한 내용을 상대방에게 전달할 수 있다. 예컨대, 택시 호출 서비스인 경우, 택시 기사가 고객에게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도착 예정 시간을 알려줄 수 있으며, 고객은 택시 기사에게 필요한 사항을 요청하거나 질의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대리기사 호출 서비스인 경우, 대리 기사와 고객이 PTT 서비스를 수행하면서 원하는 위치에서 대리 기사를 만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PTT 서비스를 수행하는 도중, 예컨대 고객이 택시에 탑승하게 되면, PTT 서비스를 종료하는데, 이는 예컨대 제2 사용자 단말기(40)가 PTT 서비스를 종료할 것을 요청하는 PTT 종료 요청 신호를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로 전송하고(S230),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10)가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로 PTT 종료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가 생성되어 있던 PTT 채널을 삭제하는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S230,S240,S250).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PTT 서비스 제공 서버(20)는 생성된 PTT 채널을 통해 이루어지는 음성 신호를 간편하게 녹취(저장)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별도로 음성 신호를 저장할 필요가 없으며 추후 문제 발생시 음성 신호의 내용을 간편하게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100...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20...PTT 서비스 제공 서버
30...제1 사용자 단말기
40...제2 사용자 단말기

Claims (8)

  1.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으로서,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호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제2 사용자 단말기를 결정하고, PTT 서비스 제공 서버로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PTT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PTT 서비스를 위한 PTT 채널을 생성하고 PTT 채널 정보를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며,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PTT 서비스 제공 서버; 및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PTT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PTT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제2 사용자 단말기
    를 포함하고,
    상기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는,
    제1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PTT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PTT 채널 정보를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말 연동부;
    호출 서비스의 대상이 되는 제2 사용자 단말기를 결정하는 호출 대상 결정부; 및
    PTT 서비스 제공 서버로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PTT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PTT 서비스 연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는, 사용자 식별 정보, 위치 정보 및 목적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호출 대상 결정부는, 상기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에 기초하여 피호출자를 결정하고, 결정된 피호출자의 단말기를 제2 사용자 단말기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TT 서비스 제공 서버는,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채널 생성 요청 신호를 수신한 경우, PTT 서비스를 위한 PTT 채널을 생성하고 PTT 채널 정보를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 전송하는 채널 관리부; 및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접속하는 제1 사용자 단말기와 제2 사용자 단말기 사이에서 음성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기 및 제2 사용자 단말기로 PTT 서비스를 제공하는 PTT 서비스 수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기는,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 호출 서비스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PTT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PTT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기는,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PTT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호출 서비스 제공부; 및
    상기 PTT 채널 정보에 기초하여 PTT 서비스 제공 서버에 접속하여 제2 사용자 단말기와 음성 신호를 송수신하는 PTT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PTT 서비스 제공부는,
    호출 서비스 제공부가 호출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PTT 채널 정보를 호출 서비스 제공부로부터 수신하는 요청/응답 처리부;
    PTT 서비스 제공부에서 발생하는 이벤트를 호출 서비스 제공부로 전송하는 이벤트 알림 처리부;
    PTT 서비스 제공 서버의 PTT 채널에 접속하고 접속된 PTT 채널을 관리하는 PTT 채널 관리부;
    PTT 서비스를 수행할 때 음성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발언권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발언권 제어부;
    음성 신호를 PTT 채널을 통해 PTT 서비스 제공 서버로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음성 데이터 송수신부; 및
    마이크 및 스피커를 제어하는 하드웨어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삭제
KR1020170017692A 2016-11-24 2017-02-08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8437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57384 2016-11-24
KR1020160157384 2016-1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790B1 true KR101843790B1 (ko) 2018-03-30

Family

ID=61900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7692A KR101843790B1 (ko) 2016-11-24 2017-02-08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79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453B1 (ko) * 2005-06-11 2006-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Ptt 서비스 시스템 및 sms를 이용한 수신 거부 상태처리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5453B1 (ko) * 2005-06-11 2006-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Ptt 서비스 시스템 및 sms를 이용한 수신 거부 상태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6129B1 (en) Adaptive audio conferencing based on participant location
KR100682297B1 (ko) 관련된 그룹들로의 가입을 위한 무선 통신 디바이스 및네트워크 제어기와 방법
US7587216B2 (en) Method and communications unit for selective receipt of group calls
US20040082352A1 (en) Enhanced group call implementation
US7463900B2 (en) Discontinuous reception method for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device
US20070281724A1 (en) Group communication server
US20070160192A1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nd connection apparatus
EP1768437A2 (en) System and method for group session communication
US20090017842A1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Telephone Calling Method and Program Software for The Same
KR100711141B1 (ko) 가입자 유닛들 간 통신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
US20070004439A1 (en) Character/data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terminal management apparatus and character/data transmitting/receiving method used therein
KR20080073889A (ko) 통신 시스템에서 발언권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2176716B (zh) 在PoC系统中删除发言权的方法和系统
JP4650626B2 (ja) 発言権管理システム、発言権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2204160B (zh) 用于确定活跃的通信会话的方法、通信会话信息服务器、用于提供关于活跃的通信会话的信息的方法以及文档管理服务器
KR101843790B1 (ko) Ptt 서비스를 이용한 호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2001352341A (ja) パケット通信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1104704B1 (ko) Ptt 서비스에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발언자 표시 방법
JP2008072195A (ja) 通話管理装置、通話管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KR100723673B1 (ko) Ptt 서비스에서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발언자 표시 방법및 시스템
KR100848013B1 (ko) 방송 수신 단말을 이용한 회의 통화 시스템 및 방법
WO2024065116A1 (zh) 资源选择方法、装置、用户设备、基站、存储介质与芯片
JP4614127B2 (ja) PoC/W通信システム、PoCサーバ、PoC/W通信方法及びPoC/W通信プログラム
US8509834B1 (en)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social circle push-to-talk service
KR100591905B1 (ko) 콜택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