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531B1 -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531B1
KR101843531B1 KR1020170153938A KR20170153938A KR101843531B1 KR 101843531 B1 KR101843531 B1 KR 101843531B1 KR 1020170153938 A KR1020170153938 A KR 1020170153938A KR 20170153938 A KR20170153938 A KR 20170153938A KR 101843531 B1 KR101843531 B1 KR 101843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ating connector
connector
trigger memb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훈
이무헌
유재관
한창수
임동환
문현기
이병규
노준규
정진현
최민준
황순근
문명철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주)헥사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주)헥사시스템즈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3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5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상대커넥터의 내부에 삽입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대커넥터를 체결하거나 또는 체결 해제하는 체결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체결 부재를 회전 구동 가능한 트리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대커넥터를 체결가능한 후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체결 및 체결 해제가 간편한 구조의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커넥터(connector)는 전원과 기기, 기기와 기기, 기기의 내부 유닛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부품이다. 케이블의 단부에 설치된 커넥터를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라 하고, 기기의 패널에 설치된 커넥터를 리셉터클 커넥터(receptacle connector)라 한다.
리셉터클 커넥터의 내부에는 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커넥터의 결합 시 플러그 커넥터가 수용공간에 삽입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의 내부에는 전류 및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핀(pin) 단자 또는 소켓(socket) 단자가 마련된다.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는 전기적 연결과 기계적 결합을 통해 전류 및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종래의 커넥터에는 기계적 결합을 위하여 다양한 결합구조가 적용되고 있다.
한편, 군사현장, 재난현장, 구조현장, 소방현장에서 사용되는 근력지원장치 또는 그리퍼 등의 지원 장비들은 외부전원 및 제어신호 등을 공급받기 위해 커넥터 구조를 갖추고 있다. 지원 장비에 적용되는 커넥터 구조는 현장상황 및 취급 대상자들의 소방장갑, 보호수갑 등의 보호장비 수준을 고려해야 하므로 단순하고 직관적인 조작 취급성과 견고한 체결 성능이 요구된다.
종래의 커넥터는 단순 마찰체결 방식, 밴딩/구부러짐을 이용한 영구변형 체결방식 또는 나사체결 방식 등을 이용하여 체결되도록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체결 방식은 체결성이 좋지 않아 위급한 상황의 현장에서 돌발 상황 발생시 커넥터 체결이 해제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47158호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재난현장, 군사현장, 구조현장, 소방현장 등의 위급한 환경에서 이용되는 지원 장비에 단단히 체결되어 전원 및 신호를 공급 가능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는 상대커넥터의 내부에 삽입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대커넥터를 체결하거나 또는 체결 해제하는 체결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체결 부재를 회전 구동 가능한 트리거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대커넥터를 체결가능한 후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후크 구조를 가지는 걸림부; 막대 형상의 레버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걸림부와 상기 레버부를 연결하는 회전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 구조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ㄷ'자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걸림부는 일단이 상기 회전축부와 연결되고, 상기 일단 반대편의 타단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부의 타단은, 상기 상대커넥터에 삽입되는 상기 하우징 일단부의 외주부분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상대커넥터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상대커넥터의 외측면을 타고 넘어 상기 상대커넥터의 내측면에 맞닿을 수 있다.
상기 레버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트리거 부재와 가까운 방향으로 편향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과 상기 레버부 사이에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레버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 트리거 부재는, 상기 상대커넥터에 삽입되는 일단부와 반대편인 상기 하우징 타단부의 후면을 수직하게 관통하여 위치하며, 일단에 상기 체결 부재를 향해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 부재를 마주보는 면의 소정 부분이 절삭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상대커넥터에 삽입되는 일단부와 반대편인 상기 하우징의 타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트리거 부재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트리거 부재를 슬라이딩 구동 가능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대커넥터에 삽입되는 일단부에 전원 또는 신호 전송을 위한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위한 케이블 통로가 내부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후크 구조를 이용하여 재난현장, 군사현장, 구조현장, 소방현장 등의 위급한 환경에서 이용되는 지원 장비의 상대커넥터에 단단히 체결되어 외부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전원 및 신호를 공급 가능하다.
또한, 체결 해제가 간단히 이루어지는 구조이므로 외부 전원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빠른 교체가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사용자의 조작없이 지원 장비로부터 쉽게 체결 해제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위급한 환경에서 임의의 상황(걸림, 충돌 등)에 대하여 높은 안전성을 가지게 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내부가 보이도록 한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체결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체결 해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며,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임을 나타낸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내부가 보이도록 한 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측단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0)는, 전기로 동작하는 각종 지원 장비(예컨대, 근력지원장치, 그리퍼 등)에 장착되는 상대커넥터(200)에 기계적으로 단단히 체결되고, 외부 전원과 상대커넥터(200)의 소켓단자(2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전원 및 신호를 지원 장비에 전달하기 위한 것으로서, 하우징(110), 체결 부재(120), 트리거 부재(130), 탄성부재(140), 손잡이부(150) 및 핀단자(16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조립체(100)는, 체결 부재(120)가 하우징(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후크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트리거 부재(130)가 하우징(110)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며, 하우징(110)이 상대커넥터(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후크 구조의 체결 부재(120)가 상대 커넥터(200)의 내측면에 걸림으로써 상대커넥터(200)와 단단히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커넥터 조립체(100)의 핀단자(160)는 상대커넥터(200)의 소켓단자(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커넥터 조립체(100)는, 상대커넥터(200)와 체결된 상태에서 트리거 부재(130)가 슬라이딩 구동하는 경우, 체결 부재(110)가 트리거 부재(130)에 의해 회전하여 상대커넥터(200)의 내측면으로부터 걸림 해제됨으로써 상대커넥터(200)와 체결 해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0)는, 후크 구조의 체결 부재(120)를 이용하여 재난현장, 군사현장, 구조현장, 소방현장 등의 위급한 환경에서 이용되는 지원 장비의 상대커넥터(200)와 단단히 체결되어 외부 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킴으로써 전원 및 신호를 공급 가능하고, 체결 해제가 간단히 이루어지는 구조이므로 외부 전원의 교체가 필요한 경우 빠른 교체가 가능하다. 또한, 커넥터 조립체(100)는 지원 장비로부터 쉽게 체결 해제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위급한 환경에서 임의의 상황(걸림, 충돌 등)에 대하여 높은 안전성을 가지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0)의 구성에 대해 상세 설명한다.
하우징(110)은 상대커넥터(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구성이다. 하우징(110)은 대체로 사각 박스 형상일 수 있다. 하우징(110)은 일단부(111)가 타단부(113)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우징(110)의 일단부(111)가 상대커넥터(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하우징(110)의 타단부는 상대커넥터(200)의 외측면에 위치하게 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다수의 빈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 내부의 빈 공간에는 체결 부재(120), 트리거 부재(130), 핀단자(160) 등이 수용될 수 있다. 여기서, 핀단자(160)를 위한 빈 공간은 하우징(110)의 일단부(111) 전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핀단자(160)를 위한 빈 공간은 핀단자(160)의 형상과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케이블을 위한 케이블 통로(CP)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통로(CP)는 하우징(110)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통로(CP)는 상기한 바 있는 하우징(110) 내부의 빈 공간 중에서 핀단자(160)가 수용되는 빈 공간과 연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케이블(미도시)과 핀단자(160)의 연결을 위함이다. 여기서, 케이블은 외부 전원과 연결되어 외부 전원의 전원 및 신호를 핀단자(160)에 전달한다.
하우징(110)은 일단부(113) 후면으로부터 내측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내벽면(113a)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내벽면(113a)은 체결 부재(120)와 트리거 부재(130)가 수용되는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내벽면(113a)은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내벽면(113a) 각각은 체결 부재(120)와 트리거 부재(130)가 수용되는 빈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체결 부재(120)는 내벽면(113a)에 의해 형성되는 하우징(110)의 내부 빈 공간에 구비될 수 있다. 체결 부재(120)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체결 부재(120)는 하우징(110) 상부에 두 개가 구비되고, 하우징(110) 하부에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더 많이 구비되거나 더 적게 구비될 수 있다. 이하, 하우징(110) 상부에 구비되는 체결 부재(12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체결 부재(120)는 하우징(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체결 부재(120)는 하우징(110)이 상대커넥터(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경우, 하우징(110)과 상기 상대커넥터(200)를 체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체결 부재(120)는 걸림부(121), 회전축부(123) 및 레버부(1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걸림부(121)는 후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후크 구조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ㄷ'자 형상일 수 있다. 걸림부(121)는 일단이 회전축부(123)와 연결되고, 일단 반대편의 타단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걸림부(121)의 타단은 상대커넥터(200)를 마주보는 면이 경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121)의 일단 및 중심부는 하우징(110)의 내측면에 면접할 수 있다. 걸림부(121)의 타단은 하우징(110)의 일단부(111) 외주부분을 관통하여 하우징(11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걸림부(121)의 타단은, 하우징(110)이 상대커넥터(200)에 삽입되는 경우, 상대커넥터(200)의 외측면을 타고 넘어 상대커넥터(200)의 내측면에 맞닿게 된다. 이는 하우징(110)이 상대커넥터(200)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대커넥터(200)는 하우징(210)과 소켓단자(220)를 포함하고, 상대커넥터(200)의 하우징(210)은 커넥터 조립체(100)의 하우징(110)과 결합을 위해 적절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컨대, 상대커넥터(200)의 하우징(210)은 베이스부(211), 한 쌍의 수평부재(213) 및 한 쌍의 수직부재(21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211)는 평판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부(211)는 중앙부에 소켓단자(220)를 위한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켓단자(220)는 베이스부(211) 중앙 구멍에 구비되어 지원 장비의 내부 전기 소자와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수평부재(213)는 베이스부(211) 상하부 각각으로부터 커넥터 조립체(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부재(215)는 수평부재(213) 각각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수직부재(215)는 베이스부(211)와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대커넥터(200)의 하우징(210) 상하부에는, 베이스부(211), 한 쌍의 수평부재(213) 및 한 쌍의 수직부재(215)에 의해 걸림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홈에는 걸림부(121)가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베이스부(211)와 수직부재(215) 사이의 간격(걸림홈의 폭)은 커넥터 조립체(100)의 하우징(110) 전면과 걸림부(121)의 타측 사이의 간격과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직부재(215)의 길이는 걸림부(121)의 타측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커넥터 조립체(100)의 하우징(110)과 상대커넥터(200)의 하우징(210)이 거림부(121)에 의해 체결된 이후 흔들림이 없도록 한다.
회전축부(123)는 하우징(11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회전축부(123)는 걸림부(121)와 연결되는 부분이 하우징(110) 상단에 맞닿도록 구비될 수 있다. 회전축부(123)는 반시계 방향(도3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다. 여기서, 회전축부(123)는 반시계 반향으로 회전을 통해 걸림부(121)의 타단을 하우징(110) 외부에서 하우징(110) 내부로 위치 변경 가능하다.
레버부(125)는 길이가 긴 막대 형상일 수 있다. 레버부(125)는 회전축부(123)의 외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레버부(125)는 트리거 부재(130)와 가까운 방향으로 편향되게 연장될 수 있다. 레버부(125)는 하우징(110)을 마주 보는 면에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레버부(125)의 홈에는 탄성부재(140)가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하우징(110)과 레버부(125)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일단이 레버부(125)의 홈에 위치하고, 타단이 하우징(110)의 홈에 위치할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코일형 스프링일 수 있다. 탄성부재(140)는 탄성력을 레버부(125)에 전달하여 레버부(125)를 이동시킬 수 있다. 레버부(125)는 탄성부재(140)의 탄성력에 의해 회전축부(123) 및 걸림부(121)와 함께 회전된다. 즉, 체결 부재(120)의 걸림부(121)와 회전축부(123)는 탄성부재(140)에 의해 하우징(110)에 맞닿은 상태로 유지된다.
트리거 부재(130)는 하우징(110)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트리거 부재(130)는 슬라이딩을 통해 체결 부재(120)를 회전 구동 가능하다.
트리거 부재(130)는 하우징(110)의 상하부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트리거 부재(130)는 하우징(110)의 상부에 두 개가 구비되고, 하우징(110)의 하부에 두 개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더 많이 구비되거나 더 적게 구비될 수 있다. 트리거 부재(130)는 체결 부재(120)와 동일한 갯수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하우징(110) 상부에 구비되는 트리거 부재(130)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트리거 부재(130)는 대체로 막대 형상일 수 있다. 트리거 부재(130)는 하우징(110)의 타단부(113)의 후면을 수직하게 관통하여 위치할 수 있다. 트리거 부재(130)는 하우징(110)의 내벽면(113a)에 누이도록 위치할 수 있다. 트리거 부재(130)는 하우징(110)의 내벽면(113a)에 면접한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다.
트리거 부재(130)는 일단에 체결 부재(120)를 향해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131)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31)는 체결 부재(120)를 마주보는 면의 소정 부분이 절삭된 형태일 수 있다. 이는 트리거 부재(130)가 체결 부재(120)를 회전 구동하는 경우 체결 부재(120)의 급격한 회전을 방지한다.
트리거 부재(130)는 타단 중심부가 내측으로 파여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트리거 부재(130)의 타단 홈에는 손잡이부(15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트리거 부재(130)는 손잡이부(150)의 동작에 따라 하우징(110)의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손잡이부(150)는 하우징(110)의 타단부(113)를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손잡이부(150)는 일단이 개방되고 소정 부피를 가지는 박스 형상일 수 있다. 손잡이부(150)는 개방된 일단을 통해 하우징(110)의 타단부(113)를 내부에 수용 가능하다. 손잡이부(150)는 중심부에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50)의 구멍은 하우징(110)의 케이블 통로(CP)와 연통된다.
손잡이부(150)는 트리거 부재(130)에 끼움 결합되는 고정부(151)를 구비할 수 있다. 고정부(151)는 손잡이부(150)의 내측 바닥면으로부터 수직하게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고정부(151)는 트리거 부재(130)에 맞춰 복수개 형성될 수 있다.
손잡이부(150)는 사용자에 의해 하우징(110)의 벽면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손잡이부(150)는 트리거 부재(130)를 통해 체결 부재(120)를 회전시켜 하우징(110)과 상대커넥터(200)의 하우징(210)을 체결 해제 가능하다. 이하, 도4 및 도5를 참고하여 커넥터 조립체(100)의 체결 및 체결 해제 과정을 설명한다.
도4는 커넥터 조립체(100)와 상대커넥터(200)가 체결된 상태를 보여주고, 도5는 커넥터 조립체(100)와 상대커넥터(200)가 체결 해제된 상태를 보여준다.
도4에서, 하우징(110)은 상대커넥터(200)의 하우징(210) 내부에 삽입된다. 이때 핀단자(160)는 상대커넥터(200)의 소켓단자(220)에 끼움 결합된다. 이를 통해 핀단자(160)와 소켓단자(220)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또한, 핀단자(160)는 케이블(미도시)를 통해 외부 전원의 전원 및 신호를 소켓단자(220)에 전달한다. 여기서, 소켓단자(220)는 상대커넥터(200)가 장착되어 있는 지원 장비의 내부 전기 부품에 전원 및 신호를 전달한다. 한편, 핀단자(160)와 소켓단자(220)는 서로 반대로 상대커넥터(200)와 커넥터 조립체(100) 각각에 구비되는 것이 가능하다.
체결 부재(120)는 하우징(110)과 상대커넥터(200)의 하우징(210)을 단단히 체결한다. 체결 부재(120)가 하우징(110)과 상대커넥터(200)의 하우징(210)을 체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하우징(110)이 상대커넥터(200)의 하우징(210)에 삽입될 때, 체결 부재(120)의 걸림부(121)는 상대커넥터(200)의 수직부재(215)에 맞닿게 된다. 이후 사용자의 압력이 가해지면, 체결 부재(121)의 걸림부(121)는 수직부재(215)에 의해 밀려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회전축부(123)와 레버부(12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탄성부재(140)를 압축한다. 탄성부재(140)는 압축되어 탄성력을 보유한다.
이후 하우징(110)이 상대커넥터(200)의 하우징(210)의 내측면에 밀착되고 수직부재(215)로부터 연장된 수평선상에서 걸림부(121)의 타단이 완전히 벗어나게 되면, 탄성부재(140)에 보유되고 있던 탄성력이 레버부(125) 및 회전축부(123)에 전달된다. 이때 레버부(125) 및 회전축부(123)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걸림부(121)는 회전축부(123)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110) 외부로 노출된다. 또한 걸림부(121)는 수직부재(215)의 내측면에 맞닿게 되고, 걸림부(121)와 수직부재(215) 사이에는 힘 작용점(PP)이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힘 작용점(PP)은 걸림부(121)와 수직부재(215)가 서로를 향해 나아감으로써 나타나게 된다. 힘 작용점(PP)은 회전중심선에서 어느정도 벗어난 위치에 나타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하우징(110)과 상대커넥터(200)의 하우징(210)이 단단히 결합되도록 한다. 여기서, 회전중심선은 수직부재(215)에 수직하고 회전축부(123)의 중심축을 지나는 선을 말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0)는 체결 부재(120)에 의해 상대커넥터(200)에 기계적으로 단단히 결합됨과 동시에 핀단자(160)를 통해 외부 전원을 상대커넥터(20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이후 도5를 참고하여, 커넥터 조립체(100)의 체결 해제 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손잡이부(150)를 잡고 당기게 되면, 손잡이부(150)는 하우징(110)의 벽면을 따라 상대커넥터(200)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손잡이부(150)에 연결되어 있는 트리거 부재(130)는 손잡이부(150)의 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트리거 부재(130)는 슬라이딩 도중에 돌출부(131)가 레버부(125)에 맞닿게 된다. 이후 레버부(125)는 트리거 부재(130)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회전축부(123)는 레버부(125)의 회전에 따라 연동 회전하게 되고, 걸림부(121)는 회전축부(123)의 회전에 따라 연동 회전하게 된다. 걸림부(121)는 상대커넥터(200)의 걸림홈에서 벗어나 하우징(110) 내부에 위치하게 되고, 힘작용점(PP)은 사라지게 된다. 이때 커넥터 조립체(100)와 상대커넥터(200)는 체결 해제된 상태가 된다. 이후 사용자는 커넥터 조립체(100)를 상대커넥터(200)로부터 손쉽게 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100)는 상대커넥터(200)로부터 손쉽게 체결 해제 가능하므로, 위급한 상황이 발생한 환경에서 지원 장비(상대커넥터(200))에 연결된 외부 전원(커넥터 조립체(100))을 빠르게 교체 가능하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커넥터 조립체
110: 하우징
111: 일단부
113: 타단부
120: 체결 부재
121: 걸림부
123: 레버부
125: 회전축부
130: 트리거 부재
131: 돌출부
140: 탄성부재
150: 손잡이부
151: 고정부
160: 핀단자
200: 상대커넥터
210: 하우징
220: 소켓단자

Claims (13)

  1. 상대커넥터의 내부에 삽입가능한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대커넥터를 체결하거나 또는 체결 해제하는 체결 부재;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체결 부재를 회전 구동 가능한 트리거 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하우징과 상기 상대커넥터를 체결가능한 후크 구조를 가지고,
    상기 체결 부재는, 상기 후크 구조를 가지는 걸림부, 막대 형상의 레버부, 및 상기 하우징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걸림부와 상기 레버부를 연결하는 회전축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레버부는, 상기 회전축부의 외주로부터 연장 형성되되, 상기 트리거 부재와 가까운 방향으로 편향되게 연장되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크 구조는,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ㄷ'자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일단이 상기 회전축부와 연결되고, 상기 일단 반대편의 타단이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의 타단은,
    상기 상대커넥터에 삽입되는 상기 하우징 일단부의 외주부분을 관통하여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하우징이 상기 상대커넥터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상대커넥터의 외측면을 타고 넘어 상기 상대커넥터의 내측면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레버부 사이에 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레버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부재는,
    상기 상대커넥터에 삽입되는 일단부와 반대편인 상기 하우징 타단부의 후면을 수직하게 관통하여 위치하며, 일단에 상기 체결 부재를 향해 돌출된 형태의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체결 부재를 마주보는 면의 소정 부분이 절삭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대커넥터에 삽입되는 일단부와 반대편인 상기 하우징의 타단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트리거 부재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트리거 부재를 슬라이딩 구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대커넥터에 삽입되는 일단부에 전원 또는 신호 전송을 위한 단자를 구비하고, 상기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을 위한 케이블 통로가 내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
KR1020170153938A 2017-11-17 2017-11-17 커넥터 조립체 KR101843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938A KR101843531B1 (ko) 2017-11-17 2017-11-17 커넥터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938A KR101843531B1 (ko) 2017-11-17 2017-11-17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3531B1 true KR101843531B1 (ko) 2018-03-30

Family

ID=61900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938A KR101843531B1 (ko) 2017-11-17 2017-11-17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5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8595A1 (zh) * 2022-11-07 2024-05-16 宁波高松电子有限公司 一种连接器及应用有该连接器的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7735A (ja) * 1993-05-31 1994-12-06 Mitsubishi Electric Corp Icカード型入出力装置、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端末機
JPH09266043A (ja) * 1996-03-27 1997-10-07 Enplas Corp Icソケット
JP2000113934A (ja) * 1998-10-01 2000-04-21 Harness Syst Tech Res Ltd 電気自動車充電用コネクタ装置
CN201069125Y (zh) * 2007-08-09 2008-06-04 何坤明 一种灯的连接结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7735A (ja) * 1993-05-31 1994-12-06 Mitsubishi Electric Corp Icカード型入出力装置、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端末機
JPH09266043A (ja) * 1996-03-27 1997-10-07 Enplas Corp Icソケット
JP2000113934A (ja) * 1998-10-01 2000-04-21 Harness Syst Tech Res Ltd 電気自動車充電用コネクタ装置
CN201069125Y (zh) * 2007-08-09 2008-06-04 何坤明 一种灯的连接结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98595A1 (zh) * 2022-11-07 2024-05-16 宁波高松电子有限公司 一种连接器及应用有该连接器的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576440B (zh) 杠杆式连接器
US8205847B2 (en) Connection system for mounting a device onto a support arm
EP3132507B1 (en) Connector having coupling mechanism
US7632130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having inner and outer plug housings
EP2795739B1 (en) Connector arrangement with self alignment
EP3582338B1 (en) Coupling structure of cable connector
US8905769B2 (en) Housing for a computer system and a computer system with such a housing
US6336822B1 (en) Handle operated power connector
US11710926B2 (en) Self-locking connector
CA2278910C (en) Handle operated power connector
KR101843531B1 (ko) 커넥터 조립체
KR20110008466A (ko) 레버타입 커넥터 어셈블리
US9203180B2 (en) Connector having coupling mechanism
US6935871B2 (en) Electrical cord plug lock
JPH06236772A (ja) 電気器具
US10700466B2 (en) Double touch-safe connector system
US4743207A (en) Space compatible electrical connector
JP6334672B2 (ja) ラッチコネクタアセンブリ
US9948030B1 (en) Lever-type electrical connector body and relat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CN110829130B (zh) 电源转接组件
US20180337503A1 (en) Electrical Outlet Assembly with Rotational Connect and Disconnect Feature
CN111971858B (zh) 电插头插座装置
JP2004319394A (ja) 速結端子装置
US6986678B1 (en) Lockable electrical connector
TWI749863B (zh) 用於連接埠之保護蓋以及相關的連接埠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