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393B1 - 수온 유지가 가능한 조립식 물탱크 - Google Patents

수온 유지가 가능한 조립식 물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393B1
KR101843393B1 KR1020150178922A KR20150178922A KR101843393B1 KR 101843393 B1 KR101843393 B1 KR 101843393B1 KR 1020150178922 A KR1020150178922 A KR 1020150178922A KR 20150178922 A KR20150178922 A KR 20150178922A KR 101843393 B1 KR101843393 B1 KR 1018433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tank
water
panels
shielding member
air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78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1051A (ko
Inventor
김상효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789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393B1/ko
Publication of KR201700710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10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3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3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02Large container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8/00Large containers
    • B65D88/74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 B65D88/742Large containers having means for heating, cooling, aerating or other conditioning of contents using ventilating she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11/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tanks for water supp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별 단위의 패널을 조립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에 물을 저장하되, 특히 야외에 설치되는 이유로 태양열, 지열 등에 의해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온 유지가 가능한 조립식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상호 결합되어 바닥면, 측벽면 및 천장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패널과, 측벽면을 형성하는 상기 패널 중 인접한 두 패널의 수직 방향 결합 부위에 구비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바닥면의 하부이면서, 지표면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면을 지탱하는 다수의 기둥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수온 유지가 가능한 조립식 물탱크{WATER TANK}
본 발명은 개별 단위의 패널을 조립하여 형성된 내부 공간에 물을 저장하는 조립식 물탱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야외에 설치되는 이유로 태양열, 지열 등에 의해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온 유지가 가능한 조립식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립식 물탱크라 함은 다수의 개별 단위의 패널들을 조립하여 육면체 형상으로 내부에 물을 저장할 수 있도록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저수조의 일종이다.
이러한 물탱크는 건물, 농지, 공장 등 필요한 곳에 적절하게 용수를 공급할 수 있도록 물을 저장하는데, 조립식 물탱크는 각 종 크기의 개별 단위 패널을 용량, 용도, 설치환경 등에 맞추어 그 크기와 형태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설치가 가능하고 분해 및 재조립의 용이성 때문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조립식 물탱크에 사용되는 단위패널은 주로 SMC(Sheet Molding Compound), BMC(Bulk Molding Compound)와 같은 FRP(Fiber Reinforced Plastics; 섬유강화플라스틱) 수지를 소재로 하여 제조된 합성수지 패널, 또는 철판으로 절곡한 패널을 사용하며, 대개 직사각형 또는 정사각형 형상을 갖고, 인접한 단위패널들 간의 결합을 위하여 단위패널의 테두리에 플랜지부가 구비되어 플랜지들이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체결볼트를 통해 조립, 완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조립식 물탱크를 실내에 설치할 수도 있지만, 공간적 한계에 의해 실외에 설치하는 경우, 태양광, 기후, 기온, 날씨 등 환경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특히 아프리카, 중동 등과 같이 지역적으로 고온의 기후를 갖거나 또는 여름철과 같이 계절적 특성에 의해 높은 기온을 갖는 경우, 태양열, 지열 등에 의해 물탱크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이 가열되어 미생물이 번식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고, 또는 용수의 목적에 따라 저온의 용수를 공급해야 하는 경우 별도의 냉각 장치 또는 온도 유지 장치를 구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 제10-0787142호 (2007년12월12일) [이중 벽면구조를 가진 에스엠씨 패널을 이용한 조립식물탱크](이하 종래기술)에는 패널 내부에 보온재를 삽입하여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의 온도를 유지시키는 기술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보온재를 삽입한 패널만으로는 수온의 유지가 어렵기 때문에, 온도유지장치 또는 냉각장치들을 구비할 필요가 있고, 이는 물탱크의 운영비용 증가의 부담을 발생시킬 수밖에 없고, 특히 종래기술의 경우, 패널 내부가 침습될 가능성도 예상해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바닥면 하부에 하부공간을 구비하고, 바닥면을 지탱하는 기둥부재를 하부공간 내에 배치하여, 하부공간의 냉온 공기와 가열된 내부 공간의 물과의 열교환을 통해 일정 수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조립식 물탱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하부공간의 냉온 공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함과 더불어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차폐부재를 통해 강화된 수온 유지 특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공기통로에 팬부재를 구비하여 냉온 공기의 이동을 원할하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수온 유지 효과 증대에 기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차폐부재의 결합 및 결합해제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독특한 조립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갖는 본 발명은
상호 결합되어 바닥면, 측벽면 및 천장면을 형성하는 다수의 패널과, 측벽면을 형성하는 상기 패널 중 인접한 두 패널의 수직 방향 결합 부위에 구비되는 결합부재와, 상기 바닥면의 하부이면서, 지표면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공간과, 상기 하부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면을 지탱하는 다수의 기둥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측벽면 또는 천장면 또는 둘 모두와 이격되게 결합되어, 이격된 공간에 공기통로를 형성하는 차폐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공기통로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공간의 공기를 상기 공기통로로 이송하는 팬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나아가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인접한 두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웨브재, 이 웨브재와 직교하며 상기 측벽면에 이격되어 외부에 배치된 플랜지재로 이루어져,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플랜지재 외측에 밀착 결합되고, 상기 플랜지재 및 상기 차폐부재에 형성된 고정공, 이 고정공에 삽입되는 고정볼트 및, 이 고정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플랜지재 또는 상기 차폐부재에 밀착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는 고정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기온 상승 및 일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이 일정한 수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고온의 수질에서 발생 우려가 있는 미생물의 번식을 억제함과 더불어 용수의 용도에 맞는 적절한 온도의 용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하부공간의 냉온 공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공함과 더불어 직사광선을 차단하는 차폐부재를 통해 강화된 수온 유지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아울러 공기통로 내 원활한 냉온 공기 흐름을 제공하여 보다 강화된 수온 유지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차폐부재의 결합 및 결합해제가 용이하여, 패널의 조립성과 더불어 시공의 간편성을 제공하고, 공간의 제약성을 극복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
도 4는 제2실시예에 관한 상세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야외에 설치되는 이유로 태양열, 지열 등에 의해 내부에 저장된 물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온 유지가 가능한 조립식 물탱크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온 유지가 가능한 조립식 물탱크(이하 본 물탱크(T))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대략적인 방향을 특정하면, 도 1에 도시된 그대로의 상태에서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따라 상하를 구분하며, 타 도면 및 청구범위에서도 특별한 언급이 없는 이러한 방향 기준을 따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하부공간 구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물탱크(T)는 상호 결합되는 다수의 패널(1)에 의해 바닥면(10A), 측벽면(10B) 및 천장면(10C)이 형성된다.
(도 1의 시점 상 바닥면(10A)의 확인은 어려우나, 통상의 기술자의 예측 범위에 해당하는 것이고, 또한 도 3을 통해 바닥면(10A)의 구성을 확인 가능하다.)
이렇게 다수의 패널(1)에 의해 형성된 바닥면(10A), 측벽면(10B) 그리고 천장면(10C)으로 이루어진 내부 공간에는 물이 저장되고, 일 측에 개폐구, 유입구, 유출구 등이 구비되어 저장된 물을 각종 용수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패널(1)은 볼록형, 오목형, 평판형 등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고, 각 면을 이루는 패널(1)들이 모두 동일 형태를 취할 필요는 없다. 예를 들면 바닥면(10A)은 설치의 용이성을 위해 평평형을 사용하고, 측벽면(10B)은 내부 수압을 견디기 위해 오목형을 사용하는 등의 실시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측벽면(10B)을 이루는 패널(1)은 내부 수압을 견디기 위해 오목형으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물탱크(T)는 측벽면(10B)을 형성하는 패널 중 인접한 두 패널(1)의 수직 방향 결합 부위에 구비되는 결합부재(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패널(1)들의 조립을 통한 바닥면(10A), 측벽면(10B), 천장면(10C)의 형성은 인정한 두 패널(1)을 상호 결합시키는 결합부재(2)를 통해 이루어진다.
특히 측벽면(10B)을 구성하는 패널(1)에 구비된 결합부재(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과 그 반대면에 구비된 두 결합부재(2)가 와이어에 의해 상호 지지결합되어 측벽면(10B)을 외측에서부터 조이는 형태로 잡아주어 내부 공간의 수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물탱크(T)는 바닥면(10A) 하부이면서, 지표면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공간(3)과, 이 하부공간(3) 내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면(10A)을 지탱하는 다수의 기둥부재(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물탱크는 실외 또는 실내에 설치되는데, 특히 실외에 설치되는 경우에는 태양열, 지열 등에 의해 저장된 물이 가열될 수 있다. 특히 아프리카와 같이 지역적으로 높은 기온을 갖거나 또는 여름철과 같이 계절적 특성으로 인해 높은 기온을 갖는 경우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이 가열되어 용수로써의 활용이 어렵거나 또는 미생물 번식에 의해 수질 오염이 발생하거나 하는 등의 문제에 대한 우려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지표면에 접촉하는 바닥면(10A)의 하부, 즉 지표면 하부에 하부공간(3)을 구비하여 지면에 접촉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하부공간(3)의 냉각된 공기에 의해 저장된 물의 수온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이 경우, 패널(1)들에 의해 형성된 바닥면(10A), 측벽면(10B), 천장면(10C)은 하부공간(3)에 그늘을 형성하여 하부공간(3) 내 공기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여 수온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 차가운 공기에 의해 본 물탱크(T)의 수온 유지 특성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아울러 본 물탱크(T)의 바닥면(10A)과 기둥부재(4) 사이에는 지지플레이트(9)가 구비되어 바닥면(10A)을 이루는 패널(1)들의 결합을 지지함은 물론, 기둥부재(4)와 바닥면(10A) 간의 결합을 지지한다.(이러한 지지플레이트(9)의 구성은 도 3을 통해 확인 가능하다.)
도 2는 본 차폐부재(5)를 구비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물탱크(T)는 측벽면(10B) 또는 천장면(10C) 또는 둘 모두와 이격되게 결합되어 이격된 공간에 공기통로(50)를 형성하는 차폐부재(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차폐부재(5)는 상기한 수온 유지 특성을 보다 강화하는 구성으로, 도 3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태양광이 측벽면(10B), 천장면(10C)에 직접 조사되는 것을 막아주어,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이 가열되는 것을 방지하고, 아울러 하부공간(3)의 냉온 공기가 통과하면서 가열된 물을 냉각할 수 있도록 하는 공기통로(50)를 측벽면(10B)과 천장면(10C)의 외면에 형성한다.
이러한 차폐부재(5)는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을 충분히 냉각시킬 수 있으면서도 공기통로(50)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이 충분히 보장될 수 있을 정도로 측벽면(10B)과 천장면(10C)에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폐부재(5)는 태양광의 직접적인 조사를 막기 위해 차광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천장면 차광을 위한 차폐부재(5)(이하 '상부 차폐부재'라 한다)는 상부 중앙에 열교환이 끝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공(500)을 구비함으로써, 공기통로(50)에 머무르면서 데워진 공기가 차폐부재(5)의 외부로 원할히 배출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울러, 상부 차폐부재(5)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에서 중앙부를 향해 나아갈수록 높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통로(50) 안에서 데워진 공기는, 별도의 공기배출용 팬 수단이 없더라도, 대류원리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배출공(500)을 통해 밖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
상기 상부 차폐부재(5)의 중앙부 높이가, 가장자리 높이보다 높아지는 경사를 갖도록 하기 위해, 그리고, 상부 차폐부재(5)의 중앙부를 견고하게 고정하기 위해, 배출공(500) 인접 부위에 배치되는 지지부재(도면참조부호 미 병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부 기온(열기 또는 냉기)이 물탱크 내부로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물탱크 하부공간(3)의 공기가 상기 공기통로(50)를 따라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상승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하부공간(3)의 공기를 공기통로(50)를 따라 이송시키는 팬부재(6)를 추가로 도입함으로써, 물탱크 하부공간(3)의 공기를 상기 공기통로(50)를 따라 지속적으로 원활하게 상승시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이러한 팬부재(6)의 실시를 확인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물탱크(T)는 공기통로(5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하부공간(3)의 공기를 공기통로(50)로 이송하는 팬부재(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아울러 도 1에서는 이러한 패부재가 두 결합부재(2) 사이에 배치됨을 추가로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팬부재(6)의 도입을 통해 상기한 바와 같이 하부공간(3)의 냉온 공기가 공기통로(50)를 따라 상승하고, 이 과정에서 냉온 공기와 물탱크 간의 열 교환이 이루어지면서 물탱크는 항시 수온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냉온 공기와 물탱크 간의 열 교환에 의해 온도가 상승한 공기는 상승 기류를 형성하고 이 후 천장면(10C) 측의 공기통로(50)를 따라 배기구를 통해 빠져나가게 되는데, 상기한 팬부재(6)는 이러한 냉온 공기의 순환 흐름을 도와주어 효율적인 수온 유지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확대 도시한 상세도(상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4를 통해, 상기 특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더불어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물탱크(T)는 결합부재(2)가 인접한 두 패널(1) 사이에 배치되는 웨브재(21), 이 웨브재(21)와 직교하며 측벽면(10B)에 이격되어 외측으로 배치된 플랜지재(22)로 이루어져 차폐부재(5)가 플랜지재(22) 외측에 밀착 결합되고, 차폐부재(5)와 결합부재(2)를 결합 고정시키는 고정수단(7)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고정수단(7)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재(22) 및 차폐부재(5)에 형성된 고정공, 이 고정공에 삽입되는 고정볼트(71) 및, 이 고정볼트(71)에 결합되어 플랜지재(22) 또는 차폐부재(5)에 밀착하는 고정너트(73)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고정공은 플랜지재(22)와 차폐부재(5)의 동일 수직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고정너트(73)는 고정력 강화를 위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부재(5)와 플랜지재(22) 둘 다에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조는 공기통로(50)의 형성을 위한 스페이서(공간 형성 부재)를 생략할 수 있도록 하여 차폐부재의 결합 및 결합해제를 손쉽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차폐부재(5)는, 수직방향 가장자리가 상기 결합부재(2)의 플랜지재(22)에 결합되는 다수 개의 단위 분체(單位 分體)들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물론, 서로 인접한 두개의 단위 분체들의 수직방향 가장자리 부분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중첩된 상태에서 고정수단(7)에 의해 상기 플랜지재(22)의 외측에 밀착 결합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4를 기준으로 상측 차폐부재(5)를 제1차폐부재(51), 하측 차폐부재(5)를 제2차폐부재(52)로 명명하기로 한다.
단일 차폐부재(5)를 물탱크의 외측에 결합하는 것은 대형 물탱크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어려움이 따른다. 이에 설치 편의성을 위해 차폐부재(5)를 제1차폐부재(51) 및 제2차폐부재(52)로 구비하고 상기한 고정공을 제1차폐부재(51) 및 제2차폐부재(52)의 수직방향 가장자리부분이 서로 중첩되는 중첩부(500)에 형성하여 제1차폐부재(51), 제2차폐부재(52), 그리고 결합부재(2) 간의 결합을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
도 4의 실시에서는 중첩부(500)에 두 개의 고정공을 구비하여 두 개의 고정부를 통해 제1차폐부재(51)와 제2차폐부재(52)와 결합부재(2) 간의 결합을 지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차폐부재(5)의 분체 구성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치 용이성을 제공한다는 효과를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물탱크(T)의 각 패널(1)은 절곡부(11),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부(13) 및, 절곡부(11)와 플랜지부(13) 사이의 편평부(1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곡부(11)는 내부 공간에 저장된 물에 의한 수압을 지탱하기 위해 오목부 또는 볼록부를 형성하기 위한 부분이고, 플랜지부(13)는 두 패널(1)을 결합할 때 결합부재(2)와 접촉하는 부분이고, 편평부(15)는 상측으로부터의 하중을 지지하는 부분이다. 도 4에서는 절곡부(11)에 의해 볼록부(17)가 형성되는 실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패널(1)은 결합부재(2)에 의해 쉽게 결합되는데, 이에 본 물탱크(T)는 두 패널(1)과 결합부재(2) 간의 결합을 제공하는 결합수단(8)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결합수단(8)은 결합부재(2)의 웨브재(21)와 패널(1)의 플랜지부(13)에 형성된 결합공, 이에 관통 삽입되는 결합볼트(81) 및, 결합볼트(81)와 결합하고 플랜지부(13)에 밀착되는 결합너트(8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패널(1)의 구조 및 결합수단(8)의 구비는 본 물탱크(T)의 조립 용이성을 제공하여 보다 쉽게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 본 물탱크
1: 패널
10A: 바닥면 10B: 측벽면
10C: 천장면
2: 결합부재
21: 웨브재 22: 플랜지재
3: 하부공간
4: 기둥부재
5: 차폐부재 50: 공기통로
6: 팬부재
7: 고정수단
71: 고정볼트 73: 고정너트

Claims (4)

  1. 삭제
  2. 상호 결합되어 바닥면(10A), 측벽면(10B) 및 천장면(10C)을 형성하는 다수의 패널(1);
    측벽면(10B)을 형성하는 상기 패널 중 인접한 두 패널의 수직방향 결합 부위에 구비되는 결합부재(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립식 물탱크에 있어서,

    상기 조립식 물탱크의 바닥면(10A) 하부이면서, 지표면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공간(3); 및
    상기 하부공간(3) 내에 배치되어 상기 바닥면(10A)을 지탱하는 다수의 기둥부재(4);
    상기 측벽면 또는 천장면 또는 둘 모두와 이격되게 결합되어, 이격된 공간에 공기통로(50)를 형성하는 차폐부재(5);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되,

    상기 결합부재(2)는,
    상기 인접한 두 패널 사이에 배치되는 웨브재(21)와, 이 웨브재와 직교하며 상기 측벽면에 이격되어 외측으로 배치된 플랜지재(22)로 이루어지며,

    상기 차폐부재(5)는,
    다수 개의 단위 분체(單位 分體)들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단위 분체들의 수직방향 가장자리 부분은 고정수단(7)에 의해 상기 플랜지재(22)의 외측에 밀착 결합되어 구성됨으로써,

    직사광선이 물탱크 외표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지표면 하부의 상기 하부공간(3)의 공기가, 상기 차폐부재(5)와 물탱크 외표면 사이에 형성되는 공기통로(50)를 통과하면서, 물탱크 내부의 물과 열교환을 통해 수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온 유지가 가능한 조립식 물탱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기통로(5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하부공간(3)의 공기를 상기 공기통로(50)로 이송하는 팬부재(6);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수온 유지가 가능한 조립식 물탱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7)은,
    상기 플랜지재(22) 및 상기 차폐부재(5)에 형성된 고정공, 이 고정공에 삽입되는 고정볼트(71) 및, 이 고정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플랜지재 또는 상기 차폐부재에 밀착하는 고정너트(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온 유지가 가능한 조립식 물탱크.
KR1020150178922A 2015-12-15 2015-12-15 수온 유지가 가능한 조립식 물탱크 KR1018433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922A KR101843393B1 (ko) 2015-12-15 2015-12-15 수온 유지가 가능한 조립식 물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78922A KR101843393B1 (ko) 2015-12-15 2015-12-15 수온 유지가 가능한 조립식 물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051A KR20170071051A (ko) 2017-06-23
KR101843393B1 true KR101843393B1 (ko) 2018-03-29

Family

ID=59283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78922A KR101843393B1 (ko) 2015-12-15 2015-12-15 수온 유지가 가능한 조립식 물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3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099B1 (ko) * 2022-06-30 2023-02-10 한삼코라(주) 방열효율이 향상된 물탱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0557B1 (ko) * 2020-07-31 2021-02-01 (주)이앤이시스템 응축수 배출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4346A (ja) * 2004-11-18 2006-06-08 Kumagai Gumi Co Ltd 建物の免震構造
KR101232378B1 (ko) * 2012-03-13 2013-02-13 박삼식 동결 방지용 저수장치 및 물탱크의 동결 방지 보강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44346A (ja) * 2004-11-18 2006-06-08 Kumagai Gumi Co Ltd 建物の免震構造
KR101232378B1 (ko) * 2012-03-13 2013-02-13 박삼식 동결 방지용 저수장치 및 물탱크의 동결 방지 보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8099B1 (ko) * 2022-06-30 2023-02-10 한삼코라(주) 방열효율이 향상된 물탱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1051A (ko) 2017-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01676B2 (en) Solar photovoltaic-thermal collector assembly and method of use
US7604003B2 (en) Solar panel
JP2014510255A5 (ko)
EP3249331B1 (en) Improved suction hood flume apparatus and method for modular heat exchange tower
KR101843393B1 (ko) 수온 유지가 가능한 조립식 물탱크
US7810490B2 (en) Solar air conditioning device
US8430155B2 (en) Modular insulated water tank
US20170343306A1 (en) Flume apparatus and method for modular heat exchange tower
JP2016017648A (ja) 空調システム
US20190086005A1 (en) Fastening system for a pipe passing through a panel of an air handling unit, and air handling unit comprising such a system
CN108682461B (zh) 一种用于小型堆的安全壳非能动空气冷却系统
WO2013017962A1 (en) Bearing structure for photovoltaic or solar modules or panels
EP2048453B1 (en) Solar panel
KR200230379Y1 (ko) 가온공기순환식 에어튜브 비닐하우스
US20140112648A1 (en) Air-handling unit for use in a greenhouse
KR200454046Y1 (ko) 장방형 환기덕트의 단부벽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는 보강링
US5513696A (en) Passive temperature regulating system for a building
US11283400B2 (en) Solar energy system
CN210195599U (zh) 一种隔热腔体门
CN107965166B (zh) 一种用于低能耗集装箱房的复合围护结构
KR101578398B1 (ko) 태양집열판 지붕패널의 구조
ES2716889A1 (es) Estructura modular para la construcción de edificaciones
CN109113532B (zh) 一种隔热腔体门
AU2008205426B2 (en) A Solar Heating System for a building
JP5374133B2 (ja) 円柱水槽を用いた貯氷施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