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3137B1 -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성목재 - Google Patents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성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3137B1
KR101843137B1 KR1020150081190A KR20150081190A KR101843137B1 KR 101843137 B1 KR101843137 B1 KR 101843137B1 KR 1020150081190 A KR1020150081190 A KR 1020150081190A KR 20150081190 A KR20150081190 A KR 20150081190A KR 101843137 B1 KR101843137 B1 KR 101843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gment
group
synthetic wood
weight
par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1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5227A (ko
Inventor
이재춘
김현진
하상훈
Original Assignee
(주)웹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웹스 filed Critical (주)웹스
Priority to KR1020150081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3137B1/ko
Publication of KR20160145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52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3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313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7/00Compositions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L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NMANUFACTURE BY DRY PROCESSES OF ARTICLES, WITH OR WITHOUT ORGANIC BINDING AGENTS, MADE FROM PARTICLES OR FIBRES CONSISTING OF WOOD OR OTHER LIGNOCELLULOSIC OR LIKE ORGANIC MATERIAL
    • B27N3/00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 B27N3/02Manufacture of substantially flat articles, e.g. boards, from particles or fibres from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1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e.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9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lignin-containing materials
    • C08J2497/02Lignocellulosic material, e.g. wood, straw or bagass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성목재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은 올레핀 수지; 상기 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목분, 목펠렛, 목섬유, 지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필러 5 내지 300중량부; 올레핀계 고무가 가교제 및 가교촉진제에 의해 일부 가교된 동적가교고무 0.1 내지 50중량부; 무기필러 10 내지 30중량부; 적외선 투과성 안료 또는 적외선 반사성 안료 중 적어도 하나의 안료 0.05 내지 10중량부; 및 실리콘 수지 0.0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내마모성 및 고온에 대한 안정성이 우수하여 건축용 외장재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성목재{SYNTHETIC WOOD COMPOSITION AND SYNTHETIC WOOD MANUFACTURING THEREFROM}
본 발명은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성목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고온에서의 표면 온도 변화율이 작은 우수한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성목재에 관한 것이다.
합성목재는 가벼우면서 우수한 내구성, 가공성, 미생물에 대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어 울타리, 창틀, 데크, 외벽재, 마루판. 가드레일, 지붕 등 특히 옥외용 건축자재로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고 있으며, 목재방부제의 환경규제가 단계적으로 진행되면서 그 시장성 또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는 각광받는 소재 중 하나이다.
한국특허출원번호 제2010-0023087호에는 열가소성 수지인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resin, ABS), 폴리염화비닐(polyvinyl chloride, PVC) 등과 혼합하여 압출 가공으로 제조되는 합성목재가 기재되어 있는데, 이러한 합성목재는 플라스틱 수지의 고유 성질로 인하여 낮은 내미끄럼성의 문제 등이 있었다.
삭제
내미끄럼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합성목재의 마찰계수를 높이면 오히려 내마모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는 요철무늬와 같은 형태의 흠을 새기어 내미끄럼성을 개선하는 방식을 주로 사용하고 있으나, 데크와 같이 사람들의 통행이 잦은 곳에 사용되는 야외용 복합목재 건축물들은 마모에 의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야외에 설치되는 합성목재는 외부의 온도, 특히 고온의 환경에서 열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 합성목재가 뒤틀리거나 크랙이 발생할 수 있으며, 변색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합성목재의 낮은 내마모성과 열 변형을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삭제
따라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고온에서 표면 온도의 변화율이 작은 합성목재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는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고온에서 표면 온도의 변화율이 작은 합성목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목재 조성물은 올레핀 수지; 상기 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목분, 목펠렛, 목섬유, 지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필러 5 내지 300중량부; 올레핀계 고무가 가교제 및 가교촉진제에 의해 일부 가교된 동적가교고무 0.1 내지 50중량부; 무기필러 10 내지 30중량부; 적외선 투과성 안료 또는 적외선 반사성 안료 중 적어도 하나의 안료 0.05 내지 10중량부; 및 실리콘 수지 0.0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고무는 에틸렌-프로필렌(EPM)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고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과산화물계 가교제일 수 있다.
상기 가교촉진제는 1,6-헥사메틸렌 비스말레이미드(1,6-Hexamethylene bismaleimide, HMBMI), 1,10-데카메틸렌 비스말레이미드(1,10-Decamethylene bismaleimide, DMBMI), N-페닐말레이미드(N-Phenylmaleimide, NPMI), 1,4-페닐렌 비스말레이미드(1,4-Phenylene bismaleimide, PBMI), 메타크릴산((meta)acrylic acid), 디메타크릴산(di(meta)acrylic acid), 아연 디메타크릴레이트(zinc di(meta)acrylate),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납, p-퀴논디옥심(p-quinone dioxime), p-디벤조일퀴논디옥심, 테트라클로로-p-벤조퀴논, 폴리-p-디니트로소벤젠, 메틸렌디아닐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무기필러는 탈크, 탄산칼슘, 월라스토나이트, 카오리나이트, 활석, 운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투과성 안료는 700 내지 1,200nm의 파장에서 투과도가 2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적외선 투과성 안료는 크롬-철 헤마타이트 구조를 갖는 브라운 또는 블랙 색상의 안료, 스피넬 구조를 갖는 브라운 색상의 산화아연 안료, 그린 쉐이드 색상의 산화코발트, 옐로우 색상의 비스무스 바나듐, 산화티타늄의 결정격자에 니켈이 포함된 구조를 가지는 옐로우 색상의 안료, 산화티타늄의 결정격자에 크롬이 포함된 구조를 가지는 브라운 색상의 안료, 산화티타늄의 결정격자에 망간이 포함된 브라운 색상의 안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투과성 안료는 탄산칼슘, 결정성 또는 비정질의 실리카, 탈크, 카올린, 장석(feldspar), 마이카, 소결된 클레이, 울라스토나이트(wollastonite), 네펠린(nepheline), 사이에나이트(syenite), 애터펄자이트(attapulgite) 클레이, 벤토나이트(bentonite), 유기적으로 변성된 벤토나이트, 알루미나 트리하이드레이트(삼수화물), 산화알루미늄, 바라이트(barite) 및 리소폰(lithop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희석재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반사성 안료는 산화티타늄, 유무기 복합체 또는 유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중공성 미세구 상에 코팅 또는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반사성 안료는 700 내지 1,200nm의 파장에서 반사도가 2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적외선 반사성 안료는 산화티타늄, 레드 또는 옐로우 색상의 산화철, 프탈로 시아닌 블루, 팔리오겐 블랙, 니켈 망간 철 블랙, 브라운 블랙 색상의 철-크로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수지는 하기 화학식 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R1-(R2R3Si-O)n-R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는 독립적으로 C1 내지 C30의 탄소수를 가지는 알킬기, 페닐기, 하이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에폭시기, 에스터기 또는 아민기이고, 상기 n은 중합도이다.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은 결합제, UV 안정제, 산화방지제 또는 활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상기 결합제는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 또는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수말렌인산 변성 수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목재는 상술한 합성목재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합성목재는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이 단일층 또는 복수층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은 상기 합성목재의 최외피층을 구성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합성목재는 초기 무게와 ASTM D3884:09 규정에 의거하여 마모륜 H18, 하중 1kg, 60rpm의 조건에서 1,000회 후의 무게 차이가 10 내지 40mg이고, 2,000회 후의 무게 차이가 50 내지 100mg일 수 있다.
상기 합성목재는 초기 표면온도(A0) 대비 조사각도 65도, 35cm의 거리에서 500W 할로겐 램프로 빛을 조사하여 180시간 후의 표면온도(A1)의 변화율((A1/A0)×100)은 200 내지 310%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목재 조성물은 적외선 투과성 안료 또는 적외선 반사성 안료를 첨가함으로써 표면 온도의 변화가 낮아 고온의 환경에서도 합성목재가 변형되거나 변색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의한 합성 목재 조성물은 광 에너지를 흡수해도 표면 온도의 상승이 적기 때문에 인체에 접촉시 고온으로 인한 불쾌감이나 피부의 손상 위험을 낮추어 준다. 즉, 본 발명에 의한 합성 목재 조성물은 표면 온도가 변화가 작아 고온에 오랜 시간 노출되더라도 안전하다.
또한, 합성목재 조성물에 실리콘 수지를 첨가함으로써 합성목재를 제조하여 외부 자극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마모되는 정도가 작아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하다.
또한, 적외선 투과성/반사성 안료와 실리콘 수지의 함량을 최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내모마성 및 표면 온도의 변화율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고온의 환경에서 자주 사용되는 야외 수영장, 리조트 발코니 또는 해안가 산책로 등에 설치되는 건출물의 외장재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합성목재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목재 조성물은 올레핀 수지, 유기필러, 동적가교고무, 무기필러, 안료 및 실리콘 수지를 포함한다.
올레핀 수지란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과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및 이들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 중합체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을 혼합하는 경우, 상기폴리프로필렌 100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에틸렌이 20 내지 300중량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30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틸렌은 고밀도폴리에틸렌(high density polyethylene, HDPE), 저밀도폴리에틸렌(low density polyethylene, LDPE) 또는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LLDPE) 등의 에틸렌 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 수지는 타 수지에 비하여 외부 충격에 강하여 고강도의 합성목재를 제조할 수 있다.
유기필러는 목분(wood flour), 목펠렛(wood pellet), 목섬유(wood fiber) 또는 지분일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단독 2종 또는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목분은 칩, 셰이빙 및 톱밥과 같은 재활용 물질을 미세한 가루의 형태로 파쇄시켜 만들어질 수 있다. 목분은 20 내지 120메시(mesh)일 수 있으며, 길이 대 직경의 비는 3:1 내지 5:1일 수 있다. 목분의 입자 크기 또는 길이 대 직경의 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동일 중량의 배합이라도 목분 입자의 개수에 차이가 있어 혼련이 어렵거나, 합성목재로 제조시에 기계적 강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유기필러의 원료는 침엽수 또는 활엽수에서 얻을 수 있으며, 활엽수는 펜토산(pentosan)의 함유량이 침엽수보다 많이 함유하고 있어 화학적 경합을 방해하므로 침엽수인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유기필러는 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5 내지 300중량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중량부일 수 있다. 유기필러가 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강도가 낮아질 수 있으며, 3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강도는 높아지나 합성목재로서의 가공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동적가교고무는 올레핀계 고무가 가교제 및 가교촉진제 의해 일부 가교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올레핀계 고무는 에틸렌-프로필렌(EPM) 고무 또는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고무일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제는 과산화물계 가교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과산화물계 가교제는 벤조일퍼옥시드(benzoyl peroxide), 디벤조일 퍼옥시드(dibenzoyl peroxide), 터트-부틸히드로퍼옥시드(tert-butyl hydro peroxide), 2,4-디클로로벤조일퍼옥시드(2,4-dichloro benzoyl peroxide), 2,5-다이메틸-2,5-디(t-부틸퍼옥시드)헥산(2,5-dimethyl-2,5-di(tert-butylperoxy)hexyne), 2,5-디메틸헥산-2,5-디(퍼옥실벤조에이트), 디큐밀퍼옥시다제(Dicumyl peroxide), 다이-(2,4-다이클로로벤조일)-퍼옥시드(Di-(2,4-dichlorobenzoyl)-peroxide), 터트-부틸 퍼옥시벤조에이트(tert-Butyl peroxybenzoate), 1,1-다이-(터트-부틸퍼옥시)-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1,1-di-(tertbutylperoxy)-3,3,5-trimethylcyclohexane), 다이-(2-터트-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di-(2-tert-butylperoxyisopropyl)-benzene), 터트-부틸큐밀퍼옥시드(tert-Butylcumylperoxide), 다이-터트-부틸퍼옥시드(Di-tertbutylperoxide) 및 2,5-다이메틸-2,5-다이(터트-부틸퍼옥시-헥산-3)(2,5-dimethyl-2,5-di(tert-butylperoxy)hexane-3)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가교촉진제는 1,6-헥사메틸렌 비스말레이미드(1,6-Hexamethylene bismaleimide, HMBMI), 1,10-데카메틸렌 비스말레이미드(1,10-Decamethylene bismaleimide, DMBMI), N-페닐말레이미드(N-Phenylmaleimide, NPMI), 1,4-페닐렌 비스말레이미드(1,4-Phenylene bismaleimide, PBMI), 메타크릴산((meta)acrylic acid), 디메타크릴산(di(meta)acrylic acid), 아연 디메타크릴레이트(zinc di(meta)acrylate),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납, p-퀴논디옥심(p-quinone dioxime), p-디벤조일퀴논디옥심, 테트라클로로-p-벤조퀴논, 폴리-p-디니트로소벤젠 또는 메틸렌디아닐린일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교촉진제는 상기 올레핀 수지 및 상기 올레핀계 고무 총합 100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7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동적가교고무는 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0중량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중량부일 수 있다. 동적가교고무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합성목재의 내구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무기필러는 탈크, 탄산칼슘, 월라스토나이트, 카오리나이트, 활석 또는 운모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산칼슘, 활석 또는 운모일 수 있다.
상기 무기필러는 수분에 강하여 표면 활성효과를 높여서 수축 변화방지 효율이 우수하며 합성수지 제조시 성형성을 현저하게 개선시킬 수 있어, 합성목재 조성물의 물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무기필러는 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중량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중량부일 수 있다.
안료는 적외선 투과성 안료 또는 적외선 반사성 안료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외선 투과성 안료 및 적외선 반사성 안료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유기물, 무기물 또는 유?무기물의 혼합을 통해 적외선의 투과성을 낮추거나 적외선 반사성을 높인 안료일 수 있다.
이는 종래에 사용된 카본블랙 등은 일사반사율(Total Solar Reflectance, TSR)은 5% 미만으로 적외선 반사율이 낮아 열 흡수율(적외선 흡수율)이 높아, 본 발명은 이에 비하여 고온에서의 표면 온도에 크게 상승되는 정도를 현저히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합성목재 조성물에 안료를 첨가함으로써, 합성목재가 고온의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합성목재의 표면 온도를 낮춤으로써 열 변형이 일어나거나 내후성이 떨어지거나 색이 탈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여름철 에너지 소비감소 및 야외 건축자재로부터 화상의 위험을 줄이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상기 적외선 투과성 안료는 700 내지 1,200nm의 파장에서 투과도가 20% 이상인 적외선 투과성 안료는 종류에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외선 투과성 안료는 크롬-철 헤마타이트 구조를 갖는 브라운 또는 블랙 색상의 안료, 스피넬 구조를 갖는 브라운 색상의 산화아연 안료, 그린 쉐이드 색상의 산화코발트, 옐로우 색상의 비스무스 바나듐, 산화티타늄의 결정격자에 니켈이 포함된 구조를 가지는 옐로우 색상의 안료, 산화티타늄의 결정격자에 크롬이 포함된 구조를 가지는 브라운 색상의 안료 또는 산화티타늄의 결정격자에 망간이 포함된 브라운 색상의 안료일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외선 투과성 안료는 탄산칼슘, 결정성 또는 비정질의 실리카, 탈크, 카올린, 장석(feldspar), 마이카, 소결된 클레이, 울라스토나이트(wollastonite), 네펠린(nepheline), 사이에나이트(syenite), 애터펄자이트(attapulgite) 클레이, 벤토나이트(bentonite), 유기적으로 변성된 벤토나이트, 알루미나 트리하이드레이트(삼수화물), 산화알루미늄, 바라이트(barite) 또는 리소폰(lithopone)일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적외선 투과성 안료는 희석재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반사성 안료는 700 내지 1,200nm의 파장에서 반사도가 20% 이상인 적외선 반사성 안료는 종류에 무관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적외선 반사성 안료는 산화티타늄, 유무기 복합체(organic-inorganic composites) 또는 유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중공성 미세구 상에 코팅 또는 적층될 수 있다.
상기 유무기 복합체는 중공 형태의 미세구로, 내부층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등의 유기물로 구성되고, 외부층은 실리카, 티타니아 또는 지르코니아 등의 무기물로 이루어진 복합체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적외선 반사성 안료는 산화티타늄, 레드 또는 옐로우 색상의 산화철, 프탈로 시아닌 블루, 팔리오겐 블랙(Paliogen black, 또는 페릴렌 블랙(perylene black)이라고도 함), 니켈 망간 철 블랙(Ni-Mn ferrite black) 또는 브라운 블랙 색상의 철-크로마이트일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블랙 색상의 적외선 투과성 안료 또는 적외선 반사성 안료를 사용할 수 있으며, 안료가 블랙의 색상 가지는 경우 일사반사율(TSR)을 30% 이상으로 끌어올려, 합성목재의 표면 온도를 20℃ 이상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안료는 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10중량부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중량부일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5중량부일 수 있다. 상기 안료가 0.05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합성목재를 제조하였을 때 고온의 환경에서 쉽게 열 변형이 일어나는 문제가 있으며, 1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합성목재를 제조 시에 내구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비경제적이다.
실리콘 수지는 하기 화학식 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올레핀 수지, 유기필러, 무기필러 및 동적가교고무를 압출함에 있어 실리콘 수지를 첨가함으로써 내마모성 및 내스크래치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화학식 1]
R1-(R2R3Si-O)n-R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는 독립적으로 C1 내지 C30의 탄소수를 가지는 알킬기, 페닐기, 하이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에폭시기, 에스터기 또는 아민기이고, 상기 n은 중합도이다.
상기 실리콘 수지는 바람직하게 에틸기를 가질 수 있으며, 더 바람직하게는 메틸기를 가질 수 있다.
메틸기를 가지는 실리콘 수지의 구체적인 예로서, 폴리디메틸실론산, 폴리메틸페닐실록산, 폴리메틸하이드로겐실록산 등이 있으며, 폴리디메틸실론산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수지는 액체 또는 고체 상태의 실리콘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고체 상태의 실리콘 수지는 다양한 입도 크기나 분자량을 가질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초고분자량 실리콘을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SAN), 폴리아미드(PA),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PS), 열가소성 폴리우레판(TPU),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등의 다양한 수지에 분산시킨 실리콘 마스터 배치(master batch)형태의 실리콘 수지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실리콘 수지는 올레핀 수지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0.05 내지 10중량부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실리콘 수지의 함량이 0.05 중량부 미만이면 내마모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다른 성분과의 혼련이 어려운 문제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은 결합제, UV 안정제, 산화방지제, 활제 또는 향균제 등을 첨가제로서 첨가할 수 있으며, 제조되는 합성목재의 특성에 따라 선택되어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실란 수지 또는 무수 말레인산 변성 수지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무수 말레인산 변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다량 사용되는 올레핀 수지, 동적가교고무 및 유기필러로 인한 제품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고 천연 목재 수준의 탄성과 강도를 갖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실란 수지는 아미노 실란, 에폭시 실란, 메르캅토 실란, 우레이도 실란, 메타크릴록시 실란, 비닐 실란, 글리시독시 실란 및 설파이도 실란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무수 말레인산 변성 수지는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 또는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UV 안정제는 합성목재가 태양광선으로부터 자외선을 차단하여 합성목재를 보호함으로써 기계적 성질이 저하되거나 변색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UV 안정제는 라디칼 제거제와 히드로과산화물 분해제인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hindered amine light stabilizer, HALS)와 같은 유기합성물이 사용될 수 있다.
산화방지제는 합성목재의 제조, 가공, 저장과 사용단계에서 공기 중의 산소작용으로 열화해 착색과 기계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히드로과산화물 분해제인 유리기 제거제와 아인산염으로 작용하는 페놀 수지류가 사용될 수 있다.
활제(lubricant)는 합성목재 가공 중에 유기필러의 분산을 높이기 위하여 활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합성목재의 표면 성질이 개선되어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활제는 에틸렌 비스-스테아라미드(ethylene bis-stearamide, EBS), 아연 스테아라미드(zinc stearate), 파라핀 왁스 또는 산화 폴리에틸렌(oxidized polyethylene)일 수 있으며,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향균제는 합성목재가 곰팡이나 노균병에 의해 부후되는 것을 막고 수분 흡착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향균제의 종류와 함량은 유기필러의 종류, 유기필러의 함량, 설치 장소에서 보여지는 생물체의 종류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1 내지 15중량부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합성목재는 상술한 합성목재 조성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은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고온 환경에서도 표면 온도 변화가 작은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합성목재는 초기 무게와 ASTM D3884:09 규정에 의거하여 마모륜 H18, 하중 1kg, 60rpm의 조건에서 1,000회 후의 무게 차이가 10 내지 40mg이고, 2,000회 후의 무게 차이가 50 내지 100mg일 수 있다.
상기 합성목재는 초기 표면온도(A0) 대비 조사각도 65도, 35cm의 거리에서 500W 할로겐 램프로 빛을 조사하여 180시간 후의 표면온도(A1)의 변화율((A1/A0)×100)은 200 내지 310%일 수 있다.
상기 합성목재는 압출 성형, 프레스 성형 또는 사출 성형 등 공지의 방법으로 제한없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합성목재는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이 단일층 또는 복수층을 형성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층은 내피층과 하나 또는 그 이상이 외피층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합성목재는 상기 합성목재의 최외피층을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이 형성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합성목재는 건축용 내장재 또는 외장재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기존의 합성목재에 비하여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고온 환경에서도 표면 온도의 변화가 적어 여름철에 주요 사용되는 야외 수영장, 리조트 발코니 또는 해안가 산책로 등에 설치되는 건축물 외장재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합성목재 조성물의 우수한 효과를 입증하기 위한 실험을 실시한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합성목재 조성물은 하기 표 1에 기재된 성분 함량비에 따라 제조되었다. 올레핀 수지 총합 100중량부에 대하여, 각 성분의 중량부를 표시하였다.
표 1에 기재된 성분을 6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건조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동적가교고무와 실리콘 수지는 니더(kneader)기를 사용하여 50℃의 온도에서 70rpm의 속도로 10~30분 동안 혼합하여 마스터배치를 제조하였다. 이 후, 나머지 성분을 첨가하여 압출기 온도 160~200℃, 스크류 속도 300rpm으로 압출한 후 프레스에서 190~210℃ 온도에서 80~160초동안 프레스에서 압출 성형하거나 동일한 조건으로 사출기에서 사출 성형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1 2
올레핀 수지 100 100 100 100 100
목분 30 30 30 30 30
동적가교고무 7 7 7 7 7
탈크 20 20 20 20 20
안료 블랙의
적외선
반사성 안료
1.3 1.3 2.3 1.3 0
카본블랙 0 0 0 0 1.3
실리콘 수지 2 4 2 0 2
첨가제 결합제 1.5 1.5 1.5 1.5 1.5
UV 안정제 0.4 0.4 0.4 0.4 0.4
산화방지제 0.2 0.2 0.2 0.2 0.2
활제 5 5 5 5 5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합성수지 조성물에 대해 내마모성 및 표면 온도를 평가하였다. 각 평가 항목의 평가 방법은 아래와 같으며, 내마모성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에 기재하였고, 표면 온도 평가 결과는 하기 표 3에 기재하였다.
<내마모성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의 합성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하여 제조된 시편에 ASTM D3884:09 규정에 의거하여 마모륜 H18, 하중 1kg, 60rpm의 조건에서 2,000회 측정하여 1,000회마다 무게를 측정하였다.
<표면온도 평가>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2의 합성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하여 제조된 30cm×30cm 크기의 시편에 조사각도 65도, 시편 중심으로부터 35cm의 거리에서 500W 할로겐 램프로 빛을 조사하여 시간에 따른 온도를 측정하였다. 단위는 ℃이다.
실시예 비교예
1 2 3 1
초기 무게(g) 44.6015 45.1369 43.3425 46.1925
1,000회 후 무게(g)
(무게감량(mg))
44.5783
(23.2)
45.1165
(20.4)
43.3195
(23.0)
46.1006
(91.9)
2,000회 후 무게(g)
(무게감량(mg))
44.5394
(62.1)
45.0772
(59.7)
43.2801
(62.4)
46.0646
(127.9)
실시예 비교예
시험 시간 1 2 3 2
0 21.2 21.8 21.4 22.1
30 48.0 47.6 40.5 58.3
60 53.8 52.4 48.3 66.5
90 55.4 54.5 49.2 69.7
120 56.1 55.1 50.4 70.8
150 56.9 55.9 51.7 71.4
180 55.7 54.8 50.6 72.9
180시간 후 온도변화율 263 % 251 % 236 % 330 %
상기 표 1, 표 2 및 표 3으로부터 실시예에 의한 합성목재 조성물은 내마모성이 우수하고 낮은 표면온도를 가짐을 알 수 있었다.
적외선 투과성 안료 또는 적외선 반사성 안료 중 적어도 하나의 안료와 실리콘 수지를 동시에 포함하는 합성목재는 표면 온도가 낮아지는 특성을 가짐으로서 열변형이 개선되고, 내스크래치성(내마모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동일한 함량의 안료(적외선 투과성 안료 또는 적외선 반사성 안료 중 적어도 하나의 안료)를 포함하는 합성목재 조성물에 실리콘 수지의 함량을 달리하였을 때, 표면온도가 안료만을 포함하는 경우에 비하여 낮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실리콘 수지가 합성목재의 낮은 표면 온도를 가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Claims (20)

  1. 올레핀 수지;
    상기 올레핀 수지 100중량부에 대하여,
    목분, 목펠렛, 목섬유, 지분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유기필러 5 내지 300중량부;
    올레핀계 고무가 가교제 및 가교촉진제에 의해 일부 가교된 동적가교고무 0.1 내지 50중량부;
    무기필러 10 내지 30중량부;
    적외선 투과성 안료 또는 적외선 반사성 안료 중 적어도 하나의 안료 0.05 내지 10중량부; 및
    실리콘 수지 0.05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하는 조성물로부터 제조되고,
    초기 표면온도(A0) 대비 조사각도 65도, 35cm의 거리에서 500W 할로겐 램프로 빛을 조사하여 180시간 후의 표면온도(A1)의 변화율((A1/A0))이 200 내지 310%인 합성목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올레핀계 고무는 에틸렌-프로필렌(EPM) 고무, 에틸렌-프로필렌-디엔(EPDM) 고무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목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과산화물계 가교제인 합성목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촉진제는 1,6-헥사메틸렌 비스말레이미드(1,6-Hexamethylene bismaleimide, HMBMI), 1,10-데카메틸렌 비스말레이미드(1,10-Decamethylene bismaleimide, DMBMI), N-페닐말레이미드(N-Phenylmaleimide, NPMI), 1,4-페닐렌 비스말레이미드(1,4-Phenylene bismaleimide, PBMI), 메타크릴산((meta)acrylic acid), 디메타크릴산(di(meta)acrylic acid), 아연 디메타크릴레이트(zinc di(meta)acrylate),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납, p-퀴논디옥심(p-quinone dioxime), p-디벤조일퀴논디옥심, 테트라클로로-p-벤조퀴논, 폴리-p-디니트로소벤젠, 메틸렌디아닐린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목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필러는 탈크, 탄산칼슘, 월라스토나이트, 카오리나이트, 운모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합성목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투과성 안료는 700 내지 1,200nm의 파장에서 투과도가 20% 이상인 합성목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투과성 안료는 크롬-철 헤마타이트 구조를 갖는 브라운 또는 블랙 색상의 안료, 스피넬 구조를 갖는 브라운 색상의 산화아연 안료, 그린 쉐이드 색상의 산화코발트, 옐로우 색상의 비스무스 바나듐, 산화티타늄의 결정격자에 니켈이 포함된 구조를 가지는 옐로우 색상의 안료, 산화티타늄의 결정격자에 크롬이 포함된 구조를 가지는 브라운 색상의 안료, 산화티타늄의 결정격자에 망간이 포함된 브라운 색상의 안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합성목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투과성 안료는 탄산칼슘, 결정성 또는 비정질의 실리카, 탈크, 카올린, 장석(feldspar), 마이카, 소결된 클레이, 울라스토나이트(wollastonite), 네펠린(nepheline), 사이에나이트(syenite), 애터펄자이트(attapulgite) 클레이, 벤토나이트(bentonite), 유기적으로 변성된 벤토나이트, 알루미나 트리하이드레이트(삼수화물), 산화알루미늄, 바라이트(barite) 및 리소폰(lithop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희석재와 혼합되어 형성되는 합성목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반사성 안료는 산화티타늄, 유무기 복합체 또는 유리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중공성 미세구 상에 코팅 또는 적층되는 것인 합성목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반사성 안료는 700 내지 1,200nm의 파장에서 반사도가 20% 이상인 합성목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반사성 안료는 산화티타늄, 레드 또는 옐로우 색상의 산화철, 프탈로 시아닌 블루, 팔리오겐 블랙, 니켈 망간 철 블랙, 브라운 블랙 색상의 철-크로마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합성목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수지는 하기 화학식 1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합성목재.
    [화학식 1]
    R1-(R2R3Si-O)n-R4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R4는 독립적으로 C1 내지 C30의 탄소수를 가지는 알킬기, 페닐기, 하이드록시기, 카르복시기, 에폭시기, 에스터기 또는 아민기이고, 상기 n은 중합도이다.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은 결합제, UV 안정제, 산화방지제 또는 활제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진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합성목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제는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폴리프로필렌,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폴리에틸렌 또는 무수말레인산이 그라프트된 에틸렌-프로필렌-디엔-모노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수말렌인산 변성 수지인 합성목재.
  15. 삭제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목재는 상기 합성목재 조성물이 단일층 또는 복수층을 형성하여 구성되는 것인 합성목재.
  17.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합성목재의 최외피층을 구성하는 것인 합성목재.
  18.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목재는 초기 무게와 ASTM D3884:09 규정에 의거하여 마모륜 H18, 하중 1kg, 60rpm의 조건에서 1,000회 후의 무게 차이가 10 내지 40mg이고, 2,000회 후의 무게 차이가 50 내지 100mg인 합성목재.

  19. 삭제
  20. 삭제
KR1020150081190A 2015-06-09 2015-06-09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성목재 KR101843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190A KR101843137B1 (ko) 2015-06-09 2015-06-09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성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1190A KR101843137B1 (ko) 2015-06-09 2015-06-09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성목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227A KR20160145227A (ko) 2016-12-20
KR101843137B1 true KR101843137B1 (ko) 2018-03-29

Family

ID=57734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1190A KR101843137B1 (ko) 2015-06-09 2015-06-09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성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313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111B1 (ko) * 2019-05-15 2019-09-11 경동산업 주식회사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합성목재-금속프레임 복합체
KR102040507B1 (ko) * 2019-05-15 2019-11-05 경동산업 주식회사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합성목재 조성물
KR102136095B1 (ko) * 2019-08-20 2020-07-23 주식회사 더우드 친환경 항곰팡이성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48573B (zh) * 2018-04-21 2020-08-04 阜南县明强柳编工艺品有限公司 一种耐温耐冲击的木编箱的加工方法
CN110054852A (zh) * 2019-05-10 2019-07-26 株洲广瑞环保新材料有限公司 一种环保集成墙板的制作方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6294A (ja) 2002-09-17 2004-04-08 Shigeru Ito 難燃剤及びその難燃剤を含浸させた建築用木質部材
KR100868432B1 (ko) 2008-03-28 2008-11-11 이재춘 동적 가교된 인조잔디용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KR101073378B1 (ko) 2011-01-12 2011-10-13 주식회사 피.엔.케이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3114B1 (ko) * 2011-10-13 2012-02-07 (주) 웹스 Wpc용 올레핀계 조성물
WO2014107878A1 (en) 2013-01-11 2014-07-1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urethane dispersion based synthetic leathers
KR101450764B1 (ko) 2014-01-16 2014-10-17 현우공업 주식회사 미끄럼 방지 및 물성성능이 향상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463945B1 (ko) * 2014-01-15 2014-11-27 (주) 웹스 친환경성, 고기능의 실리콘계 인조잔디 충전 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4055B1 (ko) 2012-10-25 2013-05-29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Bim을 이용한 개산견적을 위한 물량산출 연산 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6294A (ja) 2002-09-17 2004-04-08 Shigeru Ito 難燃剤及びその難燃剤を含浸させた建築用木質部材
KR100868432B1 (ko) 2008-03-28 2008-11-11 이재춘 동적 가교된 인조잔디용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KR101073378B1 (ko) 2011-01-12 2011-10-13 주식회사 피.엔.케이 인조잔디용 탄성 충진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3114B1 (ko) * 2011-10-13 2012-02-07 (주) 웹스 Wpc용 올레핀계 조성물
WO2014107878A1 (en) 2013-01-11 2014-07-17 Dow Global Technologies Llc Polyurethane dispersion based synthetic leathers
KR101463945B1 (ko) * 2014-01-15 2014-11-27 (주) 웹스 친환경성, 고기능의 실리콘계 인조잔디 충전 칩
KR101450764B1 (ko) 2014-01-16 2014-10-17 현우공업 주식회사 미끄럼 방지 및 물성성능이 향상된 합성목재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1111B1 (ko) * 2019-05-15 2019-09-11 경동산업 주식회사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합성목재-금속프레임 복합체
KR102040507B1 (ko) * 2019-05-15 2019-11-05 경동산업 주식회사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합성목재 조성물
KR102136095B1 (ko) * 2019-08-20 2020-07-23 주식회사 더우드 친환경 항곰팡이성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5227A (ko)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3137B1 (ko)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합성목재
KR101595241B1 (ko) 라미네이트 유리/폴리올레핀 필름 구조물의 제조 방법
KR102040507B1 (ko)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합성목재 조성물
US20210331368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reducing the surface temperature of composite articles
US7348371B2 (en) Cellulosic-reinforced composites having increased resistance to water absorption
KR101855362B1 (ko) 내마모성 및 미끄럼방지성이 우수한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1466542A (zh) 透明的塑料复合材料
KR101416517B1 (ko) 제올라이트가 함유된 고강도 난연성 합성목재
KR100991506B1 (ko) 합성목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US20030198813A1 (en) Polymeric membranes
KR102021111B1 (ko) 표면온도를 저감시키는 합성목재-금속프레임 복합체
KR101607153B1 (ko) Uv 마스터 배치를 이용한 산업 포장재 필름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보호필름 제조방법
KR101012829B1 (ko) 합성 목재의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목재의 제조방법
KR101283927B1 (ko) 데코시트 표면보호용 코팅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데코시트
KR101113114B1 (ko) Wpc용 올레핀계 조성물
KR101463945B1 (ko) 친환경성, 고기능의 실리콘계 인조잔디 충전 칩
KR101338322B1 (ko) 데코시트 표면보호용 코팅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데코시트
KR102360258B1 (ko) 항균 및 영구대전방지가 가능한 합성목재
KR102136095B1 (ko) 친환경 항곰팡이성 합성목재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65041B1 (ko) 내구성 및 내미끄럼성이 우수한 친환경 합성목재
WO2012109489A2 (en) Low gloss ionomer-based capstock
KR101915085B1 (ko) 내마모성 및 대전방지성이 우수한 합성 목재용 조성물
US20160053075A1 (en) Extrudable capstock compositions
KR102016880B1 (ko) 폐자원의 재활용을 통한 친환경 합성목재 제조방법
KR102484917B1 (ko) 접착성 코팅액 조성물 및 이를 도포하여 제조된 건축용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