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843B1 - 옥상 방수 시공 공법 - Google Patents

옥상 방수 시공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843B1
KR101842843B1 KR1020170126921A KR20170126921A KR101842843B1 KR 101842843 B1 KR101842843 B1 KR 101842843B1 KR 1020170126921 A KR1020170126921 A KR 1020170126921A KR 20170126921 A KR20170126921 A KR 20170126921A KR 101842843 B1 KR101842843 B1 KR 1018428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f
support frame
shape
waterproofing
bottom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훈
Original Assignee
한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훈 filed Critical 한상훈
Priority to KR1020170126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8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8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8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of Covering Using Slabs Or Stiff She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옥상 상부에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와, 두 개 이상의 상기 수직프레임 상부로 지지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로 단면상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소정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 형상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닥부 두 개 이상을 일측 바닥부의 타측부 영역이 타측 바닥부의 일측부 영역과 서로 폴딩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옥상 방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옥상 방수 시공 공법{WATERPROOFING CONSTRUCTING METHOD FOR ROOF OF BUILDING}
본 발명은 건물 옥상 등의 방수시공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속적 파형을 가지는 바닥부를 이용하여 보다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바닥부의 폴딩 구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킨 옥상 방수 시공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 및 건물의 옥상은 바닥이 평평한 평슬라브와 평슬라브의 외곽 둘레에 설치되는 난간으로 이루어진다.
보통 평슬라브의 옥상 바닥을 시공할 경우 옥상 바닥을 통해 물이 건물의 내부로 스며드는 누수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옥상 바닥에 방수처리를 하며, 이때 이러한 방수처리는 통상적으로 우레탄, 에폭시 등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액체상태의 방수재를 바닥에 발라 소정의 두께를 가진 방수층을 형성시키는 도막방수가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도막방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태양광에 의한 열적 균열 또는 평슬라브와 방수층과의 박리 등으로 인해 방수층이 손상되면서 누수현상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평슬라브 옥상은 여름철 뜨거운 태양열이 그대로 전달되어 건물의 실내로 열이 전달되고, 겨울철 냉기가 옥상의 균열된 틈 사이로 유입되어 실내에 차가운 공기가 유입되어 실내의 온도를 저하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630151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 및 제결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옥상 상부로 별도의 방수 구조물이 적용되도록 하되, 방수 구조물의 내구성 및 결합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수공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옥상 상부에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두 개 이상의 상기 수직프레임 상부로 강직성의 메인지지프레임과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며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보조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로 단면상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소정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 형상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닥부 두 개 이상을 일측 바닥부의 타측부 영역이 타측 바닥부의 일측부 영역과 서로 폴딩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두 개 이상의 바닥부를 옥상에 설치한 후에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우레탄 등과 같은 방수재를 추가 도포하는 단계; 상기 방수재 도포 후 경화 가능한 표면 코팅이 추가 적용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는 일측부 기 설정된 영역에 구비되는 "∧" 형상에 있어서 상부로 돌출된 꼭지점 부분에 하측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홈부가 구비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바닥부 영역에 상기 "∧" 형상의 삼각 파형이 연속 배치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홈부에 본딩재를 주입한 후 상기 일측 바닥부와 타측 바닥부가 폴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며, 상기 보조지지프레임의 상부는 상기 바닥부의 "∧"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옥상 방수 시공 공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옥상 상부에 설치되는 바닥부는 전체적으로 옥상의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다.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 방수 시공 공법에 의하면, 옥상에 기초 방수공법을 수행한 후 다시 상측으로 추가 방수 구조물을 적용함으로써 방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 방수 시공 방법에 의하면, 바닥부를 연속적인 삼각 파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일측 영역부에는 본딩재 등의 주입이 용이한 홈부가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두 개의 바닥부의 접합과정이 용이하게 되도록 하며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옥상 방수 시공 공법에 의하면, 열전달로드를 이용하여 본딩재의 도포작업은 물론 바닥부의 해체작업 또한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옥상이 구비된 건물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건물 옥상에 수직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을 설치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탄내 사시도;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된 지지프레임 상측으로 바닥부를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바닥부의 설치가 완료된 건물 옥상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옥상 상측으로 경사구배를 주면서 바닥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지지프레임 상측으로 바닥부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옥상 방수 공법에 적용되는 바닥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닥부 두 개를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요부사시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물 옥상 방수 공법에 적용되는 바닥부 및 열전달로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일반적인 건물의 옥상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상기 도 1의 건물 옥상에 수직프레임 및 지지프레임을 설치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것처럼, 본 실시예에 따른 옥상 방수 시공 방법은 먼저 건물의 옥상 상부에 소정 간격마다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30)을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두 개 이상의 상기 수직프레임(30) 상부를 연결하는 형태로 대략 수평하게 지지프레임(40)을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수직프레임(30)과 지지프레임(40)은 나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양부재(30, 40)는 못이나 볼트 등과 같은 공지된 결합부재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다음으로는, 도 3 및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40) 상부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바닥부(100)를 설치하는 단계를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부(100)는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소정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단면상 일측에서 타측으로 삼각 파형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시된 바와 같이 "∧" 형상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바닥부(100) 두 개 이상을 일측 바닥부(100)의 타측부 영역이 타측 바닥부(100)의 일측부 영역과 상기 "∧" 형상의 파형이 서로 겹치어 폴딩된 상태를 이루도록 배치된다.
상기 바닥부(100)는 강직성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자세히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상기 지지프레임(40)과 일정 위치로 결합볼트 등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옥상(20) 상부에 설치되는 바닥부(100)는 전체적으로 옥상(20)의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높이가 다르게(h<H) 경사져 형성되며, 이는 상기 바닥부(100)를 기준으로 일측 및 타측에 설치되는 수직프레임(30)의 상하 높이를 달리 함으로써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높이(h)가 낮은 측으로는 옥상(20) 둘레를 이루는 난간과 상기 바닥부(100) 사이가 소정 이격되도록 하거나 또는 바닥부(100)에 별도의 물 낙하홈(미도시)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바닥부(100)로 빗물이 떨어지는 경우 높이가 낮은 측으로 낙하한 후 별도로 옥상에 마련된 배수구(미도시)를 통하여 물이 기 설정된 위치로 흘러 내려가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40)은 강직성의 메인지지프레임(41)과 상기 메인지지프레임(41)의 상부에 위치되며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보조지지프레임(4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상기 보조지지프레임(42)에 상기 "∧" 형상을 가지는 바닥부(100)가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완충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바닥부(100)의 자중에 의하여 보조지지프레임(42) 상측이 바닥부(100)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로 변형된 상태를 이룰 수도 있으며, 상기 보조지지프레임(42)이 미리 바닥부(100)의 "∧"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8은 상기 도 7에 도시된 바닥부 두 개를 결합하는 모습을 나타낸 요부사시도이다.
도 7에서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바닥부(100)는 일측부 영역의 "∧" 형상에 있어서 상부로 돌출된 꼭지점 부분에 하측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홈부(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술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홈부(110)가 구비된 부분을 제외하고는 바닥부(100)의 나머지 부분은 "∧" 형상의 삼각 파형이 연속 배치된 형태를 이룬다.
이와 같은 바닥부(100)는, 도 8에서와 같이, 일측부 영역 홈부(110)가 구비된 부분 상측으로 인접하는 바닥부(100)의 "∧" 형상을 가지는 바닥부(100)가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양측 폴딩되는 영역의 바닥부(100)에 실리콘 등과 같은 본딩재(150)가 주입되는데 상기 홈부(110)에 충분한 양의 본딩재(150)를 주입한 후 두 개의 바닥부(100)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인 결합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때,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홈부(110)에는 바닥부(100) 전체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서 열전달로드(180)를 설치하고 본딩재(150)를 주입한 후, 두 개의 바닥부(100)를 결합한 후에 차후에 상기 열전달로드(180)로 외부로부터 열을 공급함으로써 본딩재(150)를 용융시키어 바닥부의 재결합 또는 해체 작업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실시예들에 있어서 두 개 이상의 바닥부(100)를 옥상(20)에 설치한 후에 상기 바닥부(100)의 상면에 우레탄 등과 같은 방수재를 추가 도포함으로써 바닥부(100) 자체의 방수 및 결합력을 보다 증대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방수재 도포 후 경화 가능한 표면 코팅이 추가 적용되도록 함으로써 빗물이 낮은 지역으로 유동하는 것을 보다 원활하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30: 수직프레임
40: 지지프레임
41: 메인지지프레임
42: 보조지지프레임
100: 바닥부
110: 홈부
150: 본딩재
180: 열전달로드

Claims (4)

  1. 옥상 상부에 복수 개의 수직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두 개 이상의 상기 수직프레임 상부로 강직성의 메인지지프레임과 상기 메인지지프레임의 상부에 위치되며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진 보조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지지프레임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지지프레임 상부로 단면상 전방측에서 후방측으로 소정 길이를 가짐과 동시에 일측에서 타측으로 "∧" 형상이 연속적으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바닥부 두 개 이상을 일측 바닥부의 타측부 영역이 타측 바닥부의 일측부 영역과 서로 폴딩된 상태를 이루도록 설치하는 단계;
    상기 두 개 이상의 바닥부를 옥상에 설치한 후에 상기 바닥부의 상면에 우레탄 등과 같은 방수재를 추가 도포하는 단계;
    상기 방수재 도포 후 경화 가능한 표면 코팅이 추가 적용되도록 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바닥부는 일측부 기 설정된 영역에 구비되는 "∧" 형상에 있어서 상부로 돌출된 꼭지점 부분에 하측으로 라운드진 형태로 이루어지는 홈부가 구비되고 상기 홈부가 구비된 부분을 제외한 상기 바닥부 영역에 상기 "∧" 형상의 삼각 파형이 연속 배치된 형태를 이루며,
    상기 홈부에 본딩재를 주입한 후 상기 일측 바닥부와 타측 바닥부가 폴딩된 상태를 이루도록 하며,
    상기 보조지지프레임의 상부는 상기 바닥부의 "∧"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옥상 방수 시공 공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옥상 상부에 설치되는 바닥부는 전체적으로 옥상의 후방측에서 전방측으로 갈수록 경사지게 설치되는,
    옥상 방수 시공 공법.
  3. 삭제
  4. 삭제
KR1020170126921A 2017-09-29 2017-09-29 옥상 방수 시공 공법 KR1018428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921A KR101842843B1 (ko) 2017-09-29 2017-09-29 옥상 방수 시공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921A KR101842843B1 (ko) 2017-09-29 2017-09-29 옥상 방수 시공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843B1 true KR101842843B1 (ko) 2018-05-14

Family

ID=6218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921A KR101842843B1 (ko) 2017-09-29 2017-09-29 옥상 방수 시공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84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566B1 (ko) * 2008-01-23 2008-06-19 건융건설 주식회사 조경 또는 방수를 위한 상부 패널, 이를 이용한 옥상 이중바닥 구조물 및 옥상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566B1 (ko) * 2008-01-23 2008-06-19 건융건설 주식회사 조경 또는 방수를 위한 상부 패널, 이를 이용한 옥상 이중바닥 구조물 및 옥상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1116B2 (en) Roof solar panel for conventional sloping roof and shingle integration
CN105507432A (zh) 一种节能房及节能幕墙、装饰墙、粉刷墙
KR101521626B1 (ko) 복합아트패널 제조방법 및 복합아트패널
CN105256998B (zh) 一种现场混凝土竖向结构循环用水的自动养护方法
US20150129016A1 (en) Modular roof solar panel for conventional roof and roofing integration
US11643824B2 (en) Floor frame
CN205189282U (zh) 光伏建筑一体化房顶
KR101842843B1 (ko) 옥상 방수 시공 공법
US9322177B2 (en) Skylight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614935B1 (ko) 조립식 경량 패널
JP4384725B1 (ja) 屋根用防水シート、棟用防水シート、棟用防水シートの設置方法、棟用防水シートを用いた棟施工ユニット
CN206495424U (zh) 一种暗扣式超长金属屋面直立锁边
CN103924745B (zh) 一种零应力缝宽自适应式屋面预留缝防水系统及其施工方法
CN109853985A (zh) 仿古建筑屋面修复防水结构及其施工方法
JP2010037930A (ja) 多層防水シート、屋根用防水シート、棟用防水シート、棟用防水シートの設置方法、棟用防水シートを用いた棟施工ユニット
CN210738078U (zh) 用于多个坡面的坡屋面支模体系
JP5827351B2 (ja) 分割式屋根材
CN205134785U (zh) 一种防开裂挑檐构造
CN109610743A (zh) 一种传统建筑屋面的防水保温做法
JP3667972B2 (ja) 外部床の防水方法
JP2011144574A (ja) 太陽光発電パネル設置屋根の構造及びその施工法
JPH0216242A (ja) 軒瓦及び瓦屋根
WO2022083016A1 (en) Floor frame
KR102536755B1 (ko) 지붕 조립체
CN215406717U (zh) 一种土坯砖墙体及与墙体连贯的保温屋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