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778B1 - 피부 자극 장치 - Google Patents

피부 자극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778B1
KR101842778B1 KR1020160096159A KR20160096159A KR101842778B1 KR 101842778 B1 KR101842778 B1 KR 101842778B1 KR 1020160096159 A KR1020160096159 A KR 1020160096159A KR 20160096159 A KR20160096159 A KR 20160096159A KR 101842778 B1 KR101842778 B1 KR 101842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lectrode pad
skin stimulator
layer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6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1399A (ko
Inventor
김유신
Original Assignee
김유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유신 filed Critical 김유신
Publication of KR201800013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13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7/007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characterised by electric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70Web, sheet or filament bases ; Films; Fibres of the matrix type containing drug
    • A61K9/702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 A61K9/703Transdermal patches and similar drug-containing composite devices, e.g. cataplasms characterised by shape or structure; Details concerning release liner or backing; Refillable patches; User-activated patches
    • A61K9/7038Transdermal patches of the drug-in-adhesive type, i.e. comprising drug in the skin-adhesive lay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72Structure-related aspects
    • A61N1/0492Patch electrodes
    • A61N1/0496Patch electrodes characterised by using specific chemical compositions, e.g. hydrogel compositions, adhes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8Arrangements or circuits for monitoring, protecting, controlling or indicat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21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for treatment of pa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G06F19/3418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4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e.g. scheduling maintenance or upgr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86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with a thermost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7/00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 A61F2007/0093Heating or cooling appliances for medical or therapeutic treatment of the human body programm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Neurology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피부 자극 장치는, 전기 자극 신호 또는 열을 생성하여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피부 자극기; 및 사용자의 신체 피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피부 자극기로부터 수신된 전기 자극 신호 또는 열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피부에 전기 자극 또는 열을 가하는 전극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부 자극 장치{A SKIN STIMULATING DEVICE}
아래의 실시 예는, 유연한 패드를 통해 피부에 전기적인 자극 또는 열을 가하기 위한 피부 자극 장치에 관한 것이다.
신체에 느껴지는 통증 완화를 한 화학적 약물 요법으로써 진통 및 소염 효과가 있는 성분이 포함된 약물을 경피를 통해 인체 내부로 전달 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화학적 요법 중 대표적으로 파스를 이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약물 효과의 지속성을 위해 부직포 등의 시트 위에 진통 소염 효과가 있는 약물과 접착 물질을 함께 도포하여 피부에서 파스가 떨어지지 않게 한다.
이와 다른 방법으로, 통증 완화를 위한 비약물적 물리적 요법이 있으며, 예를 들어, 환부에 저주파 전기 자극을 통한 감각 둔화 방법이 고려된다. 이는 전기 전달을 위해 접착성 물질이 있는 전극이나 음압을 형성하는 전극을 환부에 부착하는 방법이다.
구체적으로, 통증 완화를 위한 저주파 전기 자극은 경피신경자극(TENS)을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관문 조절 이론에 따라 신경 전달 속도가 빠른 A형 구심성 신경 자극을 통한 통증 완화를 주요 목적으로 한다. 게다가, 선택적으로 신경 자극의 강도를 높여 근육을 수축시키고 환부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수 있기 때문에 면역 물질 이동 및 신진 대사를 돕는 기능을 가진다.
또 다른 방법으로, 테이핑 요법은 통증 완화를 위하여 접착 성분이 도포된 시트를 부착하는 방법이 있다. 이는 파스를 바르는 방법과 유사하지만 접착 물질 외에 약물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며, 단순 물리적 경피 자극을 통해 통증을 완화시킨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4-0143938 (공개일자 2014.12.18.) 선행문헌 2 :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15-0062757 (공개일자 2015.06.08.)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피부 자극기를 신체의 굴곡이 있는 부분에도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목적은, 신체의 넓은 범위를 테이핑 하는 전극 패드를 통해 전기 자극 신호 또는 열을 전달하는 것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피부 자극 장치는, 전기 자극 신호 또는 열을 생성하여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피부 자극기; 및 사용자의 신체 피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피부 자극기로부터 수신된 전기 자극 신호 또는 열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피부에 전기 자극 또는 열을 가하는 전극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피부 자극기는, 상기 전기 자극 신호를 생성하는 전기 자극 신호 생성부; 상기 전기 자극 신호를 외부로 방출하는 전달부; 상기 전기 자극 신호의 크기와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전극 패드에 고정되기 위한 접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전극 패드는, 상기 피부 자극기의 일 면과 접하는 제1 층; 상기 전달부에 의하여 전기 자극 신호가 전달되기 위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층; 및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 가능한 제3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2 층은, 사용자에게 전기 자극을 가하는 한 쌍의 전극층; 및 상기 한 쌍의 전극층을 절연시키는 절연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한 쌍의 전극층은, 상기 전극 패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절연층은 상기 한 쌍의 전극층 사이를 가로지를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1층 및 제2 층은 상기 전달부를 관통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틈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자극 신호는 상기 전달부와 상기 제2 층의 전도성 물질이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전달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제3 층은, 사용자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파스 물질; 및 사용자의 피부와의 접촉을 강화시키는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전극 패드를 관통하는 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피부 자극기는, 상기 전달부의 말단에 부착되고 비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피부 자극기는, 상기 열을 상기 전극 패드로 전달하는 열 전달부; 및 상기 열 전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자극기는, 상기 열 전달부의 작동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열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 센서에서 감지된 전극 패드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수준을 벗어난 경우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 전달부의 작동을 ON 또는 OFF 시킬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피부 자극기는, 상기 피부 자극기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동작 감지 센서; 및 상기 동작 감지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피부 자극기의 움직임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전기 자극 신호 또는 열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상기 피부 자극기는, 외부 무선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극 물질을 포함하는 테이프의 상면에 피부 자극기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통증이 있는 신체 부위에 전극 패드를 감고 전기 자극 신호 또는 열을 전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자극 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자극 장치의 중앙을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 패드의 제2 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자극기의 하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자극 장치의 중앙을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캡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기의 중앙을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자극 장치를 실제 신체 부위에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자극 장치(1)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피부 자극 장치(1)는, 전기 자극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피부 자극기(10), 및 사용자의 신체 피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피부 자극기(10)로부터 수신된 전기 자극 신호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피부에 전기 자극을 가하는 전극 패드(20)를 포함한다.
피부 자극기(10)는, 전극 패드(20)의 상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고정 방식은 예를 들어, 벨크로 또는 자석 방식이 이용될 수 있다. 피부 자극기(10)는 근육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저주파 전기 자극 신호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를 전극 패드(20)를 통해 사용자의 신체의 넓은 범위에 전기 자극을 투과시킬 수 있다.
전극 패드(20)는, 예를 들어, 피부에 밀착 가능한 롤 형태로 될 수 있고, 사용자의 편의에 맞게 잘라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허리와 같은 인체의 넓은 부위와 손목과 같은 굴곡이 많은 부위를 가리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극 패드(20)는, 사용자의 신체 부분의 둘레 전체를 감싸도록 연장하는 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자극 장치(1)의 중앙을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피부 자극기(10)가 전극 패드(20) 상에 고정되어 있는 모습을 나타낸다.
피부 자극기(10)는, 저주파 전기 자극 신호를 생성하는 전기 자극 신호 생성부(G, 12), 전기 자극 신호를 외부로 방출하는 전달부(14), 전기 자극 신호의 크기와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C, 13), 전극 패드(20) 상에 고정되기 위한 접착부(15)를 포함할 수 있다.
피부 자극기(10)의 전기 자극 신호 생성부(12), 제어부(13), 및 작동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1)는 일정한 형태를 가지는 케이스 내에 수용될 수 있고, 전달부(14)는 상기 케이스 밖으로 노출되어, 전극 패드(20)로 삽입된다.
디스플레이(11), 전기 자극 신호 생성부(12), 제어부(13), 및 전달부(14)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피부 자극기(10)는 외부의 전원 공급없이 구동될 수 있도록 내부에 충전가능한 배터리가 수용될 수 있다.
전달부(14)는 부드러운 재질의 전극 패드(20)를 관통하는 핀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핀의 단면은 원형 또는 다각형이 될 수 있다. 전달부(14)는, 복수 개의 핀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 핀에는 전달부(14)에 의하여 동일한 전기 자극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전극 패드(20)는, 피부 자극기(10)의 하면과 접하는 제1 층(21), 전달부(14)에 의하여 전기 자극 신호가 전달되기 위한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제2 층(22), 및 사용자의 피부에 밀착되도록 접하는 제3 층(23, 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층(21)의 상면은 피부 자극기(10)의 접착부(150)와 접하고, 벨크로 재질 또는 자석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층(21)의 상면은 접착부(15)와 탈부착 될 수 있다. 제1 층(21)의 하면은, 제2 층(22)의 상면과 접하고, 이를 덮을 수 있다. 전달부(14)는 제1 층(21)을 완전히 관통한다.
제3 층(23, 24)은 피부에 접착되는 층으로써 접착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층(23, 24)은, 예를 들면, 겔(gel) 형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층(23, 24)은, 근육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물질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3 층(23, 24)은, 파스 물질이 접착 물질과 혼합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3 층(23, 24)은, 근육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물질이 도포되는 내층(23) 및, 피부와의 접촉을 강화시키는 물질이 도포되는 외층(24)으로 서로 분리된 2개의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근육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물질은 소위 파스 물질이라고 불리우는 진통 및 소염 효과가 있는 멘톨 캡사이신, 살리실산글리콜 등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와의 접촉을 강화시키는 물질은 끈적한 접착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피부 자극기(10), 전극 패드(20) 상에 부착 후 피부 자극기(10)에 내장된 제어부(13)을 통해 전원의 ON/OFF 또는 전기 자극 신호의 세기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자극기(10)는, 리모컨이나 스마트폰 등 외부 무선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직접 조작하기 어려운, 다시 말하면, 사용자의 손이 닿지 않는 부위에 피부 자극기(10)를 부착한 경우에도, 외부 무선 단말기를 이용하여 쉽게 피부 자극기(10)를 제어하거나, 새로운 신호 패턴 등을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피부 자극기(10)의 상단에 설치되는 램프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작동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극 패드(20)의 제2 층(22)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제2 층(22)은 세 개의 스트립이 평행하게 일렬로 붙어있는 형상을 가진다.
제2 층(22)은, 사용자에게 전기 자극을 가하는 한 쌍의 전극층(221, 223), 및 상기 한 쌍의 전극층을 절연시키는 절연층(222)을 포함한다. 한 쌍의 전극층(221, 223)은, 전극 패드(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절연층(222)은 한 쌍의 전극층(221, 223) 사이를 가로지를 수 있다. 한 쌍의 전극층(221, 223)은, 절연층(222)에 의해 절연되며, 한 쌍의 전극층(221, 223)에 각각 삽입되는 한 쌍의 전달부(14)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절연층(222)의 폭은, 2 개의 전극층(221, 223)을 갈라 놓을 수준이면 충분하므로, 각각의 2 개의 전극층(221, 223)의 폭의 절반보다 작도록 결정될 수 있다.
제2 층의 전극층(221, 223)은 예를 들어, 전달부(14)를 관통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틈(2211, 2231)을 포함하고, 전기 자극 신호 생성부(12)에서 생성된 전기 자극 신호는 전달부(14)의 측면과 제2 층의 전극층(221, 223)의 전도체 물질이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전달된다.
이러한 틈(2211, 2231)과 동일한 위치에 대응하는 구멍들이, 전극 패드(20)의 제1 층(21)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전달부(14)가 제1 층(21) 자체를 꿰뚫어야 할 만큼 날카롭지 않더라도, 전극 패드(20) 전체를 관통할 수 있다. 제3 층(23, 24)의 경우에는, 화학 물질로 도포되는 층에 해당하기 때문에 틈(2211, 2231)에 대응하는 구멍이 형성될 필요가 없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자극기(30)의 하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다른 실시 예에 피부 자극기(30)가 적용된 피부 자극 장치(2)의 중앙을 관통하는 단면도이고, 도 4에 도시된 A 방향으로부터 바라본 방향이고, 전극 패드(20)의 너비를 바라본 방향이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자극기(10)에 적용된 구성은,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자극기(30)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서, 전달부(34, 35)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고, 전기 자극 신호를 전극 패드(20)로 전달하는 전기 전달부(34), 및/또는 열을 전극 패드(20)로 전달하는 열 전달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전극 패드(20)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패드로써, 전극 패드(20)를 통하여 열이 전달될 경우, 전극 패드(20)를 열 전달 패드라고 할 수도 있다. 접착부(36)는 벨크로 또는 자석 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끈적한 접착 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와 달리 피부 자극기(30)는, 전기 전달부(34) 및 열 전달부(35)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고, 둘 중 어느 하나의 전달부만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자극기(30)는 열 전달부(35)만 포함하고, 전기 전달부(34) 및 전기 자극 신호 생성부(321) 등은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하 2개의 전달부(34, 35)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전기 전달부(34)와 열 전달부(35)는 선택적으로 작동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전기 전달부(34)와 열 전달부(35) 중 어느 하나만 작동되는 경우, 및 전기 전달부(34) 및 열 전달부(35)가 동시에 작동되는 경우가 모두 가능하다.
또한, 전기 전달부(34)와 열 전달부(35)는 예를 들어, 하나의 핀으로 통합될 수 있으며, 별개의 핀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하나의 핀으로 통합되는 경우에는, 전달부는 전기 자극 신호 및 열을 동시에 전극 패드(20)로 전달할 수 있다.
피부 자극기(30)는, 디스플레이(31), 전기 자극 신호 생성부(321), 가열부(322), 및 이들을 제어하는 제어부(33)를 포함할 수 있고, 디스플레이(31), 전기 자극 신호 생성부(321), 가열부(322), 제어부(33)는 일정한 형태의 케이스에 수용된다.
전기 자극 신호 생성부(321)는 전기 전달부(3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가열부(322)는 열 전달부(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어부(33)는 전기 자극 신호 생성부(321)의 전기 자극 신호의 강도와 주파수를 조절하고, 열 전달부(35)의 가열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전기 전달부(34) 및/또는 열 전달부(35)의 형상은 핀 형상 보다 직경이 큰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전극층(221, 223)과의 접촉 면적이 향상되므로, 원통형 전달부들(34, 35)는 핀 형 전달부에 비하여 전기 자극 신호 또는 열을 보다 잘 전달할 수 있다.
피부 자극기(30)는, 센서부(S, 3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S, 37)는 피부 자극기(30)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동작 감지 센서, 및/또는 열 전달부(35)의 작동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열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센서부(36)는 제어부(33)와 연결되어서 피부 자극기(30)의 동작에 변화를 줄 수 있다.
동작 감지 센서는, 예를 들어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또는 압전 센서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피부 자극기(30)의 기울어진 정도, 피부 자극기(30)가 떨리는 진동, 피부 자극기(30)에 가해지는 충격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감지 센서에서 측정된 피부 자극기(30)의 기울기가 미리 정해진 수준 이상을 넘어서는 경우, 제어부(33)는 전기 전달부(34)와 열 전달부(35)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부 자극기(30)가 사용자의 어깨에 부착된 경우, 피부 자극기(30)가 지면에 대하여 제 1 설정 각도, 예를 들면, 45 내지 90도를 이루는 경우에는 제어부(33)가 전기 전달부(34)와 열 전달부(35)를 작동시킬 수 있고, 사용자가 팔을 들어서 피부 자극기(30)가 지면에 대하여 제 2 설정 각도, 예를 들면, 0 내지 45도를 이루는 경우에는 제어부(33)가 전기 전달부(34)와 열 전달부(35)의 작동이 중단될 수 있다.
또한, 열 센서의 경우에는, 열 센서에서 감지된 전극 패드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수준 이하인 경우, 제어부(33)는 열 전달부(35)를 작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열 센서에서 감지된 전극 패드의 온도가 30도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에는, 치료 효과가 감소될 수 있기 때문에 열 전달부(35)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열 센서에서 감지된 전극 패드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피부에 화상을 입힐 수 있으므로, 제어부(33)는 열 전달부(35)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도 6은 캡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기(10)의 중앙을 관통하는 단면도이다. 피부 자극기(10)의 나머지 부분은 도 2에 도시된 피부 자극기(10)의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피부 자극기(10)에는, 핀 형태로 형성되는 전달부(14)의 말단에 부착되고 비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캡(16)이 제공될 수 있다. 전달부(14)는 접착부(15), 제1 층(21), 제2 층(22)을 관통하고, 제3 층(23, 24) 부분에 캡(16)이 배치될 수 있다.
전달부(14)가 핀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끝이 날카롭기 때문에 제3 층(23, 24)를 넘어서 전극 패드(20)를 관통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피부를 찔러서 상처를 입힐 수 있다. 또한, 전달부(14)가 사용자의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경우에, 전기 자극 신호가 피부에 화상을 입힐 수 있고, 넓은 범위에 걸쳐 근육을 자극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캡(16)을 통해 이러한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전기 자극 신호가 제2 층(22)을 통해, 전극 패드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는 면적에 걸쳐서 전기 자극을 전달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피부 자극 장치(1)를 실제 신체 부위에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우선, 사용자의 피부에 전극 패드(20)를 부착한 후, 전극 패드(20) 상의 원하는 위치에 피부 자극기(10)을 부착한다. 이때, 피부 자극기(10)의 전달부(140)가 전극 피드(20)의 제1 층(21)을 관통하여 제2 층(22)에 도달한다. 이를 통해 전극 패드(20)의 부착 부위가 자유로워 적용의 다양성과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7(a)는 전극 패드(20)를 사용자의 팔을 둘러서 감은 후에, 팔의 위쪽 부분의 전극 패드(20) 상에 피부 자극기(10)을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b)는 전극 패드(20)를 사용자의 다리를 둘러서 감은 후에, 다리의 위쪽 부분의 전극 패드(20) 상에 피부 자극기(10)을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c)는 전극 패드(20)를 사용자의 목으로부터 등까지 전극 패드(20)를 부착한 후에, 목의 중간 부분의 전극 패드(20) 상에 피부 자극기(10)을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다.
도 7(d)는 전극 패드(20)를 사용자의 손목을 둘러서 감은 후에, 손목 관절의 전극 패드(20) 상에 피부 자극기(10)을 부착한 모습을 나타낸다.
앞서 설명한 경우 이외에도, 사용자의 등, 어깨 발목 등의 다양한 부위에 전극 패드(20)를 감고 피부 자극기(10)를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신체 전체의 걸쳐서 사용자의 근육의 통증을 완화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이 잘 닿지 않는 신체 부위에 피부 자극기(10)가 배치된 경우, 전기 자극의 세기 또는 전극 패드의 가열 온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몸을 비틀거나 다른 사람의 도움을 빌려야 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무선 통신 방식으로 피부 자극기(10)에 제어 신호를 전달하는 리모컨이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리모컨으로, 피부 자극 장치(1)를 몸에 착용한 상태에서, 피부 자극기(30)를 분리하지 않고도 피부 자극기(30)의 전기 전달부(34)를 통해 전달되는 전기 자극 신호의 세기 또는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고, 피부 자극기(30)의 열 전달부(35)를 통해 전달되는 발열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저주파 피부 자극기, 파스 물질, 테이핑의 장점 및 효과가 혼합되어 보다 효과적인 통증 완화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전극 패드를 사용자 편의에 맞게 전극 길이를 조절하거나 가운데를 잘라 붙이는 형태로 이용이 가능하며 테이핑 요법으로 응용할 수 있다.
또한, 전극 패드의 하면에 파스 물질이 도포된 경우 피부 자극기만을 탈착한 상태에서 화학적 진통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자극기의 부착 위치가 전극 패드의 특정 위치로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피부 자극기의 부착 위치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전극 패드의 부착 위치가 정해져 있지 않으므로, 신체의 어느 부분에도 상관없이 부착 위치 변경이 가능하다.
또한, 전기 자극 강도를 피부 자극기에서 직접 조절하거나 무선으로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원하는 강도로 자극 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전달부 말단에 비전도성 물질의 캡을 부착하여, 전달부가 피부에 직접 접촉하지 않으므로 피부에 전류가 흐르는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전달부를 전기 전달부 및 열 전달부로 구성하므로, 전기와 열 전도 기능을 동시에 사용하여 전극 패드에 발열 기능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피부 자극기 자이로 센서를 배치하여 피부 자극기가 특정 각도로 기울어 졌을 때 전기 자극이 사용자의 피부에 전달되도록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전극 패드 상에 절연층이 길이 방향으로 중앙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이루어져, 절연층이 위치하는 전극 패드의 중앙 부분의 일부를 절개하는 등의 방식으로도 사용이 가능하므로, 무릎 관절 등 다양한 부위에 적합한 형태로 자유롭게 변형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실시 예들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30: 피부 자극기
11: 디스플레이
12: 전기 자극 신호 생성부
13: 제어부
14: 전달부
15: 접착부
20: 전극 패드
21: 제1 층
22: 제2 층
23, 24: 제3 층

Claims (13)

  1. 전기 자극 신호 또는 열을 생성하여 외부로 방출하기 위한 피부 자극기; 및
    사용자의 신체 피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피부 자극기로부터 수신된 전기 자극 신호 또는 열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신체 피부에 전기 자극 또는 열을 가하는 전극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전극 패드는,
    상기 전극 패드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고, 상기 전극 패드의 너비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피부 자극기로부터 사용자에게 전기 자극을 가하는 한 쌍의 전극층; 및
    상기 한 쌍의 전극층 사이를 가로지르도록 배치되는 절연층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 패드는 상기 절연층의 일부를 절개함으로써, 신체의 굴곡진 형상에 적합한 형태로 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자극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자극기는,
    상기 전기 자극 신호를 생성하는 전기 자극 신호 생성부;
    상기 전기 자극 신호를 외부로 방출하는 전달부;
    상기 전기 자극 신호의 크기와 패턴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 및
    상기 전극 패드에 고정되기 위한 접착부를 포함하는 피부 자극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드는,
    상기 피부 자극기의 일 면과 접하는 제1 층;
    상기 전달부에 의하여 전기 자극 신호가 전달되기 위한 상기 한 쌍의 전극층과, 상기 한 쌍의 전극층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절연층을 을 포함하는 제2 층; 및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 접착 가능한 제3 층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층 및 제2 층은 상기 전달부를 관통시키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틈을 포함하고,
    상기 전기 자극 신호는 상기 전달부와 상기 제2 층의 상기 한 쌍의 전극층이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전달되는 피부 자극 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층은,
    사용자의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는 파스 물질; 및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는,
    상기 전극 패드를 관통하는 핀 형태로 형성되는 피부 자극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자극기는,
    상기 전달부의 말단에 부착되고 비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캡을 더 포함하는 피부 자극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자극기는,
    상기 열을 상기 전극 패드로 전달하는 열 전달부; 및
    상기 열 전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피부 자극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자극기는,
    상기 열 전달부의 작동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열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열 센서에서 감지된 전극 패드의 온도가 미리 정해진 수준을 벗어난 경우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 전달부의 작동을 ON 또는 OFF 시키는 피부 자극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자극기는,
    상기 피부 자극기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동작 감지 센서; 및
    상기 동작 감지 센서에서 측정된 상기 피부 자극기의 움직임이 미리 정해진 수준 이상인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전기 자극 신호 또는 열을 조절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피부 자극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자극기는,
    외부 무선 단말기와 통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장치.
KR1020160096159A 2016-06-24 2016-07-28 피부 자극 장치 KR10184277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54254P 2016-06-24 2016-06-24
US62/354,254 2016-06-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99A KR20180001399A (ko) 2018-01-04
KR101842778B1 true KR101842778B1 (ko) 2018-03-27

Family

ID=6099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6159A KR101842778B1 (ko) 2016-06-24 2016-07-28 피부 자극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77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0148A (zh) * 2018-11-28 2019-04-02 华东交通大学 一种柔性多功能电刺激装置及其制备方法
CN109939347A (zh) * 2019-04-01 2019-06-28 华东交通大学 一种融合功能电刺激的感知增强装置设计及其实现方法
EP3949775A1 (en) * 2019-04-02 2022-02-09 M20 Co., Ltd. Sportswear capable of providing electrical stimulation
TWI765626B (zh) * 2021-03-26 2022-05-21 國立陽明交通大學 用於慢性傷口照護之智慧型貼片
KR102489896B1 (ko) * 2021-07-13 2023-01-1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척추 분절의 상태를 분석할 수 있는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598Y1 (ko) * 2004-03-12 2004-06-22 이상홍 전기 자극용 도전성 패드가 부착된 시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3598Y1 (ko) * 2004-03-12 2004-06-22 이상홍 전기 자극용 도전성 패드가 부착된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1399A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2778B1 (ko) 피부 자극 장치
US10661083B2 (en) Cutaneous field stimulation with disposable and rechargeable components
US11839763B2 (en) Synergistic muscle activation device
ES2942487T3 (es) Tratamiento de cefaleas mediante estimulación eléctrica
US10426945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dermal stimulation of the outer ear
US5601618A (en) Stimulation and heating device
US20130338729A1 (en) Self-contained adhesive patch for electrical stimulation for pain relief and muscle fatigue
KR20120032489A (ko) 경피식 전기 신경자극 장치를 고정하는 밴드용 조립체
CN111818964A (zh) 电刺激设备
US11534608B2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transdermal stimulation of the outer ear
WO2010107751A8 (en) Implantable device and tissue anchor
WO2007134288A2 (en) Electrode-battery assembly for tens device
US20150335887A1 (en) Integrated bandage and electrical stimulation transcutaneous electrical neuron-stimulation (tens) device
KR101533403B1 (ko) 이온토포레시스 패치
JP2021513378A (ja) 加熱および/または冷却パッド
KR101826733B1 (ko) 미세전류 발생 구조의 다기능 마사지 기기
KR20180022146A (ko) 온열 밴드
JP7390028B2 (ja) 電磁波を送信するための装置
US2021005286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pain relief from stimulation of thermal fibers
KR20140146914A (ko) 휴대 단말기의 이어폰 잭 접속단자에 연결시켜 피부 표면에 부착된 전극 패드로 전기 자극을 인가하는 커넥터 기기
KR20210074502A (ko) 선택적 제어가 가능한 미세전극을 포함하는 패치형 통증 치료기
KR200252062Y1 (ko) 저주파 치료기용 전극 패드 시트
KR102234264B1 (ko) 저주파 및 고주파 전기 자극을 이용하는 패치형 물리치료기
KR102234268B1 (ko) 물리 치료 기능을 구비한 보호대
KR102053496B1 (ko) 전기 자극 시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