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704B1 -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과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과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704B1
KR101842704B1 KR1020170038736A KR20170038736A KR101842704B1 KR 101842704 B1 KR101842704 B1 KR 101842704B1 KR 1020170038736 A KR1020170038736 A KR 1020170038736A KR 20170038736 A KR20170038736 A KR 20170038736A KR 101842704 B1 KR101842704 B1 KR 1018427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lfur
latex
weight
concrete
aqueous solu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8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광균
Original Assignee
문광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광균 filed Critical 문광균
Priority to KR1020170038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7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7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7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2El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02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accelerators, shrinkage compensating agents
    • C04B22/06Oxides, Hydroxides
    • C04B22/062Oxides, Hydroxides of the alkali or alkaline-earth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02Alcohols; Phenols; 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4/00Use of organic materials as active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e.g. plasticisers
    • C04B24/24Macromolecular compounds
    • C04B24/2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조성물에 첨가되어 콘크리트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내부 공극에 피막을 형성하는 라텍스와 내약품성이 우수한 유황 또는 개질유황을 가성소다 수용액에 일체로 포함시킨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과 이의 제조 방법{Mixed liquor comprising sulfur and latex,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과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성소다 수용액에 유황과 라텍스 모두를 혼합한 혼합액을 콘크리트 첨가제로 사용함으로써, 콘크리트 강도를 향상시키고 또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과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는 콘크리트는 염해 및 동결융해 저항성이 취약하여, 내구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콘크리트 열화의 대부분은 물을 통해 이물질이 콘크리트 내부에 침투하여 발생하지만, 콘크리트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방수필름층을 콘크리트 포장 상판에 인위적으로 설치하거나, 또는 라텍스 입자를 첨가하여 콘크리트 내부 공극에 보호 필름막을 형성시키는 방법 등으로 이를 해결하고 있었다.
또한 최근에는 내화학성이 우수한 유황을 시멘트 대신 바인더로 사용하거나 또는 첨가제로 사용하여 콘크리트의 열화를 방지하는 방법 등도 있다.
그런데 라텍스를 콘크리트 첨가제로 사용하는 경우, 기존 콘크리트의 단점인 휨강도와 염화물에 대한 저항성을 개선할 수 있지만, 단가가 높아 원가상승의 원인으로 된다. 또한, 라텍스 생산에 사용되는 음이온성 계면 활성제에 의해 라텍스는 그 표면에 보호 콜로이드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를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재료인 물, 시멘트 등과 혼합할 경우에, 시멘트로부터 나오는 수산화칼슘에 의해 라텍스 표면의 콜로이드 보호층이 파괴되어 라텍스 입자의 응집이 발생하므로, 가사 시간이 매우 짧아 레미콘 등의 기존 설비의 이용이 어려워서, 현장에서 이동식 모바일 믹서 등을 사용하여야 하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또한, 유황 또는 개질유황을 콘크리트 첨가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부착성, 균열저항성 등의 물리적 성질과 내염해성, 동결융해 저항성, 내마모성이 우수하면서 제조 원가가 낮은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온도 상승에 의해 용융되고 온도 저하에 의해 고화되는 유황의 특성상, 콘크리트 타설 전까지 항상 일정 온도 이상을 유지시켜서 유황의 고화를 방지하여야 하므로, 상기 라텍스를 사용하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현장에서 이동식 모바일 믹서를 사용하여야 하는 기술적 한계가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특허공보 10-1408204에는 유황과 가성소다와 PMMA 수지를 건배합하고, 여기에 배합수를 투입하여 유황 혼화액을 제조하여 콘크리트 첨가제로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유황 혼화액 중의 유황 입자가 콘크리트 공극에 채워져서 콘크리트 열화를 방지하는 것으로, 콘크리트 타설 시에 별도의 유황 용융 공정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공극이 유황이나 시멘트 또는 플라이애쉬 등의 필러 등에 의하여 치밀하게 충전되지 않으면, 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부착성, 내염해성, 동결융해 저항성이 떨어지는 경향이 있다.
또한, 한국특허공보 10-1138669에는 시멘트와 골재와 폴리머 에멀젼과 물로 이루어진 폴리머 개질 콘크리트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특히 폴리머 에멀젼은 시멘트 응집 방지용 계면활성제가 필수적으로 포함되어 있다. 이 방법은 폴리머 에멀젼의 고형분이 공극 사이에 피막을 형성하여 수분 등의 침투를 차단하여 콘크리트 열화를 방지하는 것이지만, 시멘트 응집을 방지하기 위하여 폴리칼본산계, 우레탄계 또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필수적으로 사용하여야 하며, 또한, 폴리머와 계면활성제 간의 마이셀(micelle) 구조가 시멘트 수화반응 시에 생성되는 알칼리 성분인 수산화칼슘 등에 의해 파괴됨으로써, 폴리머 입자의 응집이 발생하여 콘크리트 공극 사이에 피막이 불균일하게 되고, 또한 제조 원가가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저가이면서 콘크리트 공극 사이에 균일한 피막을 형성할 수 있는 콘크리트 첨가제용 첨가제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유황을 가성소다 수용액에 혼화시켜서 유황 혼화액을 얻은 후, 여기에 비이온성 합성고무 라텍스를 분산시켜 유황과 합성고무 라텍스가 일체로 포함되어 있는 혼화액을 제조하여 이를 콘크리트 첨가제로 사용하면, 시간이 경과하여도 열화가 좀처럼 일어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가 얻어짐을 알아내서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가성소다 수용액에 유황과 합성고무 라텍스를 함께 혼화시켜 이를 콘크리트 첨가제로 사용함으로써, 시간이 경과하여도 열화가 좀처럼 일어나지 않아 내구성이 우수하고 강도가 우수한 콘크리트를 제조할 수 있는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크리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물질인 유황 및 라텍스를 가성소다 수용액에 혼화시켜 사용함으로써, 고온에서 유황의 재용융이 필요없고, 또 라텍스 첨가에 의한 가사 시간의 단축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우수하고 비용이 저렴한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은 가성소다 5~15 중량%와 물 95~85 중량%를 혼합하여 가성소다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가성소다 수용액 80~92 중량%에 유황 단체 8~20 중량%을 70~90℃에서 교반하여 유황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고형분이 40~60중량%인 라텍스 40~60 중량%에 상기 유황 수용액 40~60 중량%를 50~70℃에서 적하 교반하여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황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유황의 개질제를 더 첨가하여 개질유황 수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황의 개질제로 디시클로펜타디엔과 필요에 따라 전자 공여기가 치환된 방향족 화합물 내지 방향족 헤테로 고리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형분이 40~60중량%인 비이온계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를 유황 수용액에 혼화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황:라텍스(고형분):가성소다:물이 중량비로 8~20:20~30:5~15:45~77인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콘크리트 공극에 유황 입자가 포함된 라텍스 필름막이 형성되어 있어, 라텍스 필름막의 방수기능과 유황 입자의 내약품성으로 인해, 콘크리트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포함된 수분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어 콘크리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라텍스와 유황을 가성소다 수용액에 일체로 포함시킴으로써, 유황을 용융할 필요가 없으며, 또 종전의 라텍스 첨가에 의한 가사 시간 단축을 방지할 수 있어 작업성이 개선되고, 또 현장에서 모바일 믹서와 크레인 사용 없이 배치 생산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 제조방법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개질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 제조방법의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황 함유 수용액의 사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의 사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의해 제조된 개질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을 포함하여 제작한 콘크리트 공시체(1~4)의 압축강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의해 제조된 개질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을 포함하여 제작한 콘크리트 공시체(1~4)의 휨강도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4에 의해 제조된 개질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을 포함하여 제작한 콘크리트 공시체(1~4)의 물흡수 계수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은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 조성물에 첨가되어 콘크리트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콘크리트 첨가제에 관한 것으로, 콘크리트 내부 공극에 피막을 형성하는 라텍스와 내약품성이 우수한 유황 또는 개질유황을 가성소다 수용액에 일체로 포함시킨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일반 콘크리트에 라텍스를 첨가한 라텍스 개질 콘크리트(LMC)를 표면 포장에 사용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라텍스를 혼화한 콘크리트는 굳지 않은 상태에서 일반 콘크리트에 비해서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되어 같은 슬럼프 조건에서도 물-시멘트 비의 절감과 더불어 이에 따른 건조수축의 감소와 균열저항 증진 등의 효과를 나타내게 된다. 또 경화 후의 상태에서는 라텍스 입자의 불투수성 필름막에 의해 콘크리트의 투수성을 현저히 감소시켜 염분 및 수분침투를 방지하여 철근 부식 등으로부터 콘크리트 슬래브를 보호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휨과 인장에 대한 강도를 크게 증진시키고 염화물에 대한 저항성을 크게 개선하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현재 많이 사용되고 있는 LMC 혼화용 라텍스로는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멀젼, 폴리아크릴 에멀젼 등이 사용되지만, 이들은 제조시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유화제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시멘트 수화 반응에 의해 생긴 수산화칼슘에 의해 라텍스 입자(폴리머) 주위에 생긴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마이셀 구조가 파괴되어 라텍스 입자 간에 응집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콘크리트 기공 내에 안정적인 필름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라텍스 입자가 수산화칼슘에 의해서도 마이셀 구조가 유지되는 라텍스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자들은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제조된 라텍스 입자가 염기성 수용액 내에서도 안정적인 마이셀 구조가 유지됨을 지득하여, 그 라텍스를 가성소다 수용액에 황과 함께 혼화시켜 사용하였다.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는 라텍스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와 물을 분산매로 사용하여 제조한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멀젼 및 폴리아크릴 에멀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 중에서도 콘크리트, 금속, 목재 등에 강력한 접착력을 가지면서, 동결융해 저항성이 우수하고 염화칼슘 등의 침투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비이온계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황 또는 개질유황 수용액에 대하여 설명한다.
포틀랜드 시멘트를 사용하여 제조된 보통의 콘크리트는 알칼리 특성을 나타내서 산에 매우 취약한 특성을 나타내는바.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포틀랜드 시멘트 대신에 내약품성이 우수한 유황 또는 개질유황을 바인더로 한 유황 콘크리트가 개발되어 시공되고 있다. 그런데 유황 콘크리트는 화재 발생시에 바인더인 유황 단체 또는 개질유황이 타서 없어져서 콘크리트 자체의 붕괴로 이어지는바, 주로 화재 위험성이 없는 지중, 해중 및 수중 구조물에 한정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유황 단체는 융점이 119℃이고, 개질유황도 유황보다는 다소 저하되지만 100℃ 근방의 융점을 가지므로,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융점 이상의 온도로 용융시킨 후 사용하여야 하는 한계가 있다. 특히 유황을 바인더가 아닌 내약품성 첨가제 용도로 하여 포틀랜드 시멘트와 물과 함께 사용할 경우에는, 용융 유황이 물에 의해 급속히 냉각되고 응집되어 콘크리트 내에 고르게 분산되지 않는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유황을 가성소다 수용액에 혼합하여 사용하면, 용융하지 않고도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 유황 입자가 물에 의해 냉각되어 응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을 알아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황은 유황 단체이고, 이러한 유황으로는 천연 유황, 석유나 천연가스의 탈황에 의해 생성되는 유황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황단체 대신에 유황을 개질제와 반응시켜 얻은 반응 생성물(개질유황)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개질유황을 사용하면, 그것의 융점이 유황 단체보다 낮고, 또 결정화 속도가 낮아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개질제의 양은 유황 총중량 대비 0.1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2~7 중량%이다.
상기 개질제로는 디시클로펜타디엔과 그것의 유도체가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전자 공여기가 치환되어 있는 방향족 화합물 또는 방향족 헤테로고리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공여기가 치환되어 있는 방향족 화합물로는 페놀, 스티렌, 아닐린, 하이드록시 피리딘, 비닐 피리딘, 피콜린 및 루티딘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유황 수용액에 개질제를 첨가하여 중합시켜 개질유황 수용액을 제조할 수 있고, 먼저 유황과 개질제를 별도로 중합하여 개질유황을 얻고, 이를 가성소다 수용액에 용해시켜 개질유황 수용액을 제조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은 아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실시예 1>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
1) 가성소다 수용액 제조:
1000ml 비이커에 물 500ml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가성소다(NaOH) 30g을 5분에 걸쳐 마그네틱 스터러를 사용하여 교반하면서 서서히 투입한 후, 30분간 더 교반하여 가성소다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2) 유황 수용액 제조:
4구 둥근플라스크 1000ml에 유리교반봉을 장착한 후 히팅맨틀 (K Type 온도센서가 연결된 것) 속에 위치시키고, 상기 가성소다 수용액 500ml와 유황 단체 50g을 투입한 다음 유리교반기를 가동하면서 85℃까지 점진적으로 승온하였다. 그 온도를 유지하면서 유황분말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유리교반기를 약 90분간 더 가동하였다. 그 후 필요에 따라 소량의 유황분말 침전물을 와트만필터 #4로 필터링하여 액상의 유황 수용액을 수득하였다.
3)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 제조:
4구 둥근플라스크 1000ml에 유리교반봉을 장착한 후 히팅맨틀에 위치시키고, 콘크리트용 SBR 라텍스(금호화학산 KSL 363, 고형분 47중량%) 250g을 투입하고, 공기접촉을 피하기 위해 질소가스로 퍼지하였다. 약 60℃를 유지하면서 상기 유황 수용액 250g을 드롭핑 펀넬을 이용하여 20분간 교반 하에 투입하고, 약 30분간 더 교반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콘크리트 첨가제용 개질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
1) 가성소다 수용액 제조:
1000ml 비이커에 물 500ml를 투입하고, 상온에서 가성소다(NaOH) 30g을 5분에 걸쳐 마그네틱 스터러를 사용하여 교반하면서 서서히 투입한 후, 30분간 더 교반하여 가성소다 수용액을 제조하였다.
2) 개질유황 수용액 제조:
4구 둥근플라스크 1000ml에 유리교반봉을 장착한 후 히팅맨틀 (K Type 온도센서가 연결된 것) 속에 위치시키고, 상기 가성소다 수용액 500ml와 유황 단체 150g을 투입한 다음 유리교반기를 가동하면서 85℃까지 점진적으로 승온하였다. 그 온도를 유지하면서 유황 단체가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유리교반기를 약 90분간 더 가동하였다. 여기에 디시클로펜타디엔 1.5g을 투입한 후 동일온도(85℃)에서 3시간 교반하고, 상온으로 냉각한 다음, 필요에 따라 소량의 유황 침전물을 와트만필터 #4로 필터링하여 액상의 개질유황 수용액을 수득하였다.
3) 개질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 제조:
4구 둥근플라스크 1000ml에 유리교반봉을 장착한 후 히팅맨틀에 위치시키고, 콘크리트용 SBR 라텍스(금호화학산 KSL 363, 고형분 47중량%) 250g을 투입하고, 공기접촉을 피하기 위해 질소가스로 퍼지하였다. 약 60℃를 유지하면서 상기 개질유황 수용액 250g을 드롭핑 펀넬을 이용하여 20분간 교반 하에 투입하고, 약 30분간 더 교반한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콘크리트 첨가제용 개질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콘크리트 첨가제용 개질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 제조:
유황의 개질제로 디시클로펜다디엔(1.5g)과 피콜린(0.5g)을 함께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콘크리트 첨가제용 개질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을 제조하였다.
<콘크리트 공시체 제조>
1. 유황 및 라텍스 함유 콘크리트 공시체(1) 제조:
입경 3~10mm 모래 276g과 입경 10~18mm 굵은 골재 228g을 투입하여 수저를 사용하여 손으로 약 2~3분간 격렬하게 혼합한 후에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 10g을 투입하면서 격렬하게 혼합한다. 여기에 포틀랜드 시멘트 112g과 물 47g과 계면활성제 1g를 투입하여 혼합한 후, 지름 10cm 길이 20cm의 원주형 몰드에 장입하고 하루 양생한 후, 몰드를 해체하여 유황 및 라텍스를 함유한 콘크리트 공시체(1)를 제작하였다.
2. 개질유황 및 라텍스 함유 콘크리트 공시체(2) 제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개질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개질유황 및 라텍스를 함유한 콘크리트 공시체(2)를 제작하였다.
3. 개질유황 및 라텍스 함유 콘크리트 공시체(3) 제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개질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개질유황 및 라텍스를 함유한 콘크리트 공시체(3)를 제작하였다.
<콘크리트 공시체 물성평가>
상기 공시체 1 내지 3에 대하여, 본 발명의 유황 및 라텍스를 함유하지 않은 시료를 대조구로 하여, 압축강도, 휨강도, 물흡수 계수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냈다. 본 발명의 유황 및 라텍스를 함유한 콘크리트 공시체 1 내지 3 모두가 대조구에 비하여 압축강도, 휨강도, 물흡수 계수가 우수함을 알았다. 특히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한 콘크리트 공시체는 대조구에 비해 물흡수 계수가 적어 수분에 포함된 염류 등의 이물질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어, 콘크리트 내구성이 향상됨을 알았다.

Claims (12)

  1. 가성소다 5~15 중량%와 물 95~85 중량%를 혼합하여 가성소다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가성소다 수용액 80~92 중량%에 유황 단체 8~20 중량%을 70~90℃에서 교반하여 용해시시키고 필터링 하여 유황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고형분이 40~60중량%인 비이온성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40~60 중량%에 상기 유황 수용액 40~60 중량%를 50~70℃에서 적하 교반하여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의 제조 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가성소다 5~15 중량%와 물 95~85 중량%를 혼합하여 가성소다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가성소다 수용액 80~92 중량%에 유황 단체 8~20 중량%을 70~90℃에서 교반하여 용해시키고 필터링 하여 유황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유황 수용액 중에 유황 단체 함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유황 개질제 3~50 중량부를 투입하고 70~90℃에서 교반 하에 반응시켜 개질유황 수용액을 제조하는 단계;
    고형분이 40~60중량%인 비이온성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40~60 중량%에 상기 개질유황 수용액 40~60 중량%를 50~70℃에서 적하 교반하여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의 제조 방법.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황 개질제는 디시클로펜타디엔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의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황 개질제는 전자 공여기가 치환되어 있는 방향족 화합물 또는 방향족 헤테로고리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의 제조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화합물 또는 방향족 헤테로고리 화합물은 페놀, 스티렌, 아닐린, 하이드록시 피리딘, 비닐 피리딘, 피콜린 및 루티딘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의 제조 방법.
  12. 제1항, 제5항, 제9항 내지 제11항의 어느 한 방법으로 제조되며, 유황:라텍스(고형분):가성소다:물이 중량비로 8~20:20~30:5~15:45~7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
KR1020170038736A 2017-03-27 2017-03-27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과 이의 제조 방법 KR1018427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736A KR101842704B1 (ko) 2017-03-27 2017-03-27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과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8736A KR101842704B1 (ko) 2017-03-27 2017-03-27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과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704B1 true KR101842704B1 (ko) 2018-05-14

Family

ID=62187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8736A KR101842704B1 (ko) 2017-03-27 2017-03-27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과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70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116B1 (ko) * 2012-07-27 2013-10-23 최진성 유황폴리머시멘트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1116B1 (ko) * 2012-07-27 2013-10-23 최진성 유황폴리머시멘트 및 그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74621B1 (ko) 비산회 기반 기포화 경량 결합제 및 방법
RU2629387C2 (ru) Добавка и способ для сопротивления вредному воздействию замерзания и оттаивания и сопротивления вредному воздействию расслаивания вяжущих составов
KR101534217B1 (ko) 플라이애시, 고로슬래그 및 분말형 알칼리 활성화제를 이용한 건식 무시멘트 콘크리트 및 그 제조 방법
CA2985958C (en) Concrete composition with very low shrinkage
CZ25794A3 (en) Light additive in lightweight concrete, emulsion for producing thereof and process of its preparation
NZ522616A (en) Highly fluid concrete composition containing a silica sol and a polycarboxylate superplastciser and its preparation method
KR101343803B1 (ko) 고로슬래그를 이용한 콘크리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Hosseini et al. Use of nano-SiO 2 to improve microstructure and compressive strength of recycled aggregate concretes
KR101470307B1 (ko) 콘크리트용 화학 혼화제 및 레미콘 회수수를 사용한 무독성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RU2378218C2 (ru) Сырьев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роительных материалов и изделий
US6231665B1 (en) Efflorescence control in cementitious compositions and masonry units
CN106517864A (zh) 环氧树脂乳液改性防水抗渗剂及其混凝土制备方法
JP5278265B2 (ja) 自己修復コンクリート混和材、その製造方法及び該混和材を用いた自己修復コンクリート材料
KR101842704B1 (ko) 콘크리트 첨가제용 유황 및 라텍스 함유 혼화액과 이의 제조 방법
US4022626A (en) Structural material
JP2020158348A (ja) ポリマーセメントグラウトモルタル組成物及びポリマーセメントグラウトモルタル
JP4843271B2 (ja) アルカリシリカ反応抑制用セメント組成物及びセメント含有組成物
JPH01261250A (ja) 高吸水性樹脂を用いたセメント・コンクリートおよびモルタルの混和材料
KR100548172B1 (ko) 콘크리트구조물용 다기능성혼화제
KR101017523B1 (ko) 동해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한 고성능 콘크리트의 제조방법
KR100498784B1 (ko) 실라카졸 제조방법
US8815005B2 (en) Sulphur cement product
JPH11217563A (ja) 地盤改良方法
KR102189147B1 (ko) 균열방지용 시멘트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균열방지용 건축물의 시공방법
CN116964019A (zh) 地聚合物固化物的制造方法、地聚合物固化物、地聚合物组合物的制造方法、及地聚合物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