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693B1 -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693B1
KR101842693B1 KR1020160066622A KR20160066622A KR101842693B1 KR 101842693 B1 KR101842693 B1 KR 101842693B1 KR 1020160066622 A KR1020160066622 A KR 1020160066622A KR 20160066622 A KR20160066622 A KR 20160066622A KR 101842693 B1 KR101842693 B1 KR 101842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nanoliposome
peptide
galloyl
stabil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66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3385A (ko
Inventor
이경록
홍일
이현화
모상현
김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미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60066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693B1/ko
Publication of KR20170003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3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6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ALLOYL-PEPTIDE STABILIZED IN NANOLIPOSOME}
본 발명은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노화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갈로일 펩타이드를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하여 피부 침투효과가 현저히 향상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환경 오염이 심각해지고, 피부의 노화 방지, 미백 등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특히, 사람의 피부는 끊임없이 변화를 겪게 되는데, 가장 대표적인 변화가 노화에 의한 피부 기능 저하 및 시각적 아름다움의 감소이다. 피부 노화의 결과 나타나는 최종적인 피부 외관에서의 현상은 주름의 형성, 피부 탄력 저하, 노인성 반점 형성 등이 있으며, 주름의 형성이 가장 대표적인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 노화를 설명하는 이론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그 중에서도 체내외의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서 발생되는 자유라디칼에 의해서 피부가 노화된다는 자유라디칼 이론이 가장 타당성이 있는 이론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자유라디칼은 화학적으로 반응성이 매우 큰 화학물질로서, 인체 내에서는 여러 가지 원인 즉, 자외선, 방사선, 배기가스, 담배연기, 스트레스 등의 외부적 요인과 체내의 미토콘드리아 및 백혈구의 대사과정에 의해서 생성되어, 다단계의 연쇄반응을 통하여 세포막의 구성성분인 지질의 과산화를 일으키게 된다.
피부 노화와 관련있는 자유라디칼의 대부부은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으로, 그 종류로는 수퍼옥사이드 라디칼(Super oxide radical), 과산화수소(H2O2), 하이드록시 라디칼(Hydroxy radical), 단일상태의 산소(Singlet oxygen) 등이 있다. 이들에 의해 일어나는 지질의 과산화는 라디칼, 과산화물, 알데히드(aldehyde) 및 에폭사이드(epoxide)의 다양한 활성 산소종을 발생시키고, DNA, RNA, 단백질, 세포막 및 세포 구조에 손상을 입힌다.
상기 활성 산소종들은 암, 조직 손상, 노화 등의 주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Black HS, Photochemphotobiol. 46(2):213(1987)). 예를 들어, 세포를 구성하는 막지질의 과산화는 세포막의 구조와 유동성 변화, 세포질 물질의 투과성 증가, 라이소좀 효소의 누출, 막효소와 운반 단백질의 불활성화, 지질과 단백질의 공유 가교결합 생성, 단백질 사슬 절단, DNA 손상, 돌연변이 등을 유발시키며, 이들 반응 중 피부 구성 세포막의 과산화와 진피 구성 단백질들의 변형이 피부 노화와 가장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호기성 생물체들은 이러한 산화제의 생성과 지질 과산화를 막기 위한 보호 기구를 보유하고 있다. 상기 보호 기구에는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 oxide dismutase, SOD), 카탈라아제(catalase) 등의 효소와 토코페롤(tocopherol, vitamin E), beta-카로틴(carotene), 아스코르빈산(ascorbic acid, vitamin C) 및 글루타치온(glutathione)과 같은 지용성 및 수용성 항산화제 또는 라디칼 소거제들이 포함된다.
한편, 지금까지 알려진 피부 항노화 물질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하여 개발되었다. 첫째, 피부에 수분 공급, 둘째, 항산화 효능, 셋째, 피부세포의 활성화에 관여하는 섬유아세포의 증식 촉진, 넷째, 피부를 구성하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을 분해하여 주름의 생성 및 탄력 손실을 가속화하는 효소인 콜라게나아제와 엘라스타아제의 화성 억제, 다섯째, 콜라겐 및 엘라스틴 합성의 촉진 등이다.
즉, 자유라디칼형 산소 또는 활성 산소종은 피부 노화와 관련성이 크기 때문에 종래에는 화장료에 수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 비타민 E 유도체, 비타민 C 및 그 유도체, 플라보노이드(flavonoid) 등을 화장료에 배합함으로써 피부 노화 방지 효과를 달성하려는 노력이 많이 있었으나, 화장료에 상기 성분들을 배합하는 경우 안전성(safety), 안정성(stability) 등이 미흡하여 실질적인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한편, 피부에 유용한 비타민, 단백질 등 다양한 생리활성물질들은 원료 자체의 안정성이 일정 기간 유지될 수 있지만, 다른 성분들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제형에 첨가되면 시간의 경과 및 보관온도에 따라 색상, 점도, pH 등 물성의 경시변화가 심하게 나타나는 등의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화장료가 에센스나 저점도의 스킨로션 등 수성베이스인 경우에는 비타민 E 등의 유용성 생리활성물질 등을 첨가하는데 있어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는 에멀젼 입자의 크기가 피부 지질의 간극보다 훨씬 더 크기 때문에 유용한 생리활성물질들이 피부로의 침투가 용이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종래의 화학적으로 합성된 유화제들을 이용하여 에멀젼을 제조할 때 피부 친화성이 미흡하여 민감한 피부에 자극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약뿐만 아니라, 화장품 및 식품 산업에 있어서 생리활성 성분이 파괴되지 않고 안정하게 전달될 수 있으며, 지용성 또는 수용성 물질을 모두 내포시킬 수 있는 나노리포좀 기술이 적극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나노 기술의 발달과 함께 피부 침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나노리포좀에 대한 연구 개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갈로일 펩타이드를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하여 항노화 및 항산화 효과가 더욱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하기 화학식 1의 갈로일 펩타이드 및 비타민 C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51945207-pat00001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3 중 하나의 정수이고, L은 서열번호 1의 올리고 펩타이드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하기 화학식 1의 갈로일 펩타이드 및 비타민 C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51945207-pat00002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3 중 하나의 정수이고, L은 서열번호 1의 올리고 펩타이드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리포좀은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대두 유래의 레시틴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리포좀은 상기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0 중량%의 비타민 C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리포좀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포함하여 항염, 항산화, 콜라겐 합성능이 우수하며, 나노리포좀에 포접된 갈로일 펩타이드는 피부 침투 효과가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하기 화학식 1의 갈로일 펩타이드(Galloyl pept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화학식 1]
Figure 112016051945207-pat00003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3 중 하나의 정수이고, L은 TYR-GLY-GLY-PHE-LEU-ARG-LYS-TYR-PRO로 구성된 올리고 펩타이드이다.
상기 펩타이드를 명명하는 일반적인 규칙은 구체적으로 지시된 예외사항이 없는 경우 3문자 또는1문자 아미노산 코드를 기초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아미노산 구조의 중심부를 3문자 코드(예를 들어, Ala, Lys)로 표시하며, 3문자 코드의 앞에 "D-"를 적음으로써 D-입체형태(예를 들어, D-Ala, D-Lys)를 구체적으로 지시하지 않은 경우라면L-입체형태로 가정한다. 상기 펩타이드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잔기는 천연 또는 비-천연아미노산 잔기가 모두 가능하다.
상기 갈로일 펩타이드는 갈릭산이 결합된 펩타이드를 지칭하며, 상기 펩타이드는 N말단에 갈로일 기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는 TYR-GLY-GLY-PHE-LEU-ARG-LYS-TYR-PRO로 구성된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하는 올리고 펩타이드일 수 있다.
상기 올리고 펩타이드는 티로시나아제 억제능 및 항산화 활성을 보유하여 우수한 미백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생체친화도가 뛰어나 피부에 자극이 없고 장시간 보관시에도 안정성이 우수하다.
상기 갈로일 펩타이드는 펩타이드를 합성한 후 갈릭산 유도체와 결합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는 생체 내의 단백질을 추출한 다음 단백질 분해효소로 처리하여 저분자량화하거나, 유전자 재조합과 단백질 발현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펩타이드 합성기 등을 이용한 화학 합성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올리고 펩타이드는 (a)통상의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법(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SPPS)으로 NH2-보호된 펩타이드-레진을 수득하는 단계; (b)수득된 NH2-보호된 펩타이드-레진을 벤조산 유도체와 반응시키는 단계; 및 (c)레진을 제거하는 단계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올리고 펩타이드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에 작용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작용기가 보호된 아미노산을 사용하여 펩타이드를 합성할 수 있으며, 상기 작용기에 결합된 보호기는 (c)단계에서 제거될 수 있다.
즉, 상기 올리고 펩타이드는 Fmoc을 이용한 고체상 합성법(Solid Phase Peptide Synthesis)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고체상 합성법은 coupling-deprotection을 반복하여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체 지지체에 결합해있는 펩타이드의 보호되어 있지 않은 N-terminal인 아미드 그룹에 N-terminal이 보호되어 있는 다음 amino acid의 C-terminal인 카르복시 그룹과 반응할 수 있다. 그 후, 탈보호시켜 그 다음 amino acid가 반응할 수 있도록 N-terminal을 노출시킨다.
상기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법은 Fmoc 그리고 tert-butoxycarbonyl(Boc) 두 개의 전략이 주로 사용된다. 리보솜 단백질 합성과 다르게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법은 C-terminal에서 N-terminal로 합성될 수 있다. 아미노산의 N-terminal은 이들 보호기로 보호되어 있어 Fmoc-아미노산 및 Boc-amino acid형태로 이루어져 있고 전략에 따라 탈보호 과정이 상이하다. 그 중 Fmoc 전략은 아미노산의 N-terminal 끝에는 염기에 쉽게 제거되는 Fmoc 보호기와 산에서 쉽게 제거되는 tertiary-butyl(tBu) 보호기가 곁사슬을 보호하고 있다. 첫 번째 Fmoc-아미노산을 레진의 linker에 결합시킨 후에 Fmoc은 Piperidine을 사용하여 제거한다.
Kaiser test로 Fmoc 보호기가 제거되었는지 확인한 후 Fmoc-아미노산의 카로복실기를 활성화시켜 두 번째 반응을 수행한다. Kaiser test를 통해 레진에 free 아민을 확인하여 반응완료 여부를 확인한다. 합성은 Fmoc 보호기의 제거 그리고 다음 Fmoc-아미노산의 반응을 한 싸이클로 하여 펩타이드 서열에 따라 합성될 수 있다. 합성 완료된 펩타이드는 TFA를 처리하여 레진으로부터 떨어지고 곁사슬의 보호기도 제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올리고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항산화 또는 피부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피부 개선 효과는 피부 보호 및 피부 상태 개선, 피부 미백, 피부 노화 및 주름의 예방 또는 개선, 피부 보호 및 피부의 염증 반응의 완화, 면역질환 개선능, 또는 피부 장벽 기능 개선, 피부자극 완화, 피부 세포 증식 및 재생능, 항산화능, 콜라겐 합성 증진능 등 피부에 유익한 효과를 모두 포괄 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은 화장료 조성물로서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예컨대, 주름개선효능과 관련된 콜라겐 합성, 탄력 개선 또는 항산화 활성 등을 나타낼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능에 따른 항산화능을 보유하며, 특히, 콜라겐 생합성 증가능, 콜라겐 분해 방지능이 우수하므로, 피부 노화 방지, 피부 주름 개선, 피부 탄력 증진 개선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올리고 펩타이드는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될 수 있으며, 나노리포좀에 의해 포접된 상기 올리고 펩타이드는 피부 침투가 용이하여 피부 개선 효과가 비약적으로 개선될 수 있다.
상기 “나노리포좀”은 통상적인 리포좀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평균 입자 지름이 1 내지 150nm인 리포좀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리포좀의 평균 입자 지름은 90 내지 130nm일 수 있다. 상기 나노리포좀의 평균입자 지름이 130nm 초과이면 피부침투 효과가 저하되고 제형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90nm 미만이면 나노리포좀 내에 유효 성분이 적절히 내포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나노리포좀은 폴리올, 유성 성분, 계면활성제, 인지질, 지방산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예컨대,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솔비톨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폴리올은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일 수 있으며, 상기 폴리올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7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성 성분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오일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헥사데칸 및 파라핀 오일과 같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에스테르계의 합성오일; 디메치콘 및 사이크로메치콘계과 같은 실리콘 오일;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대두유, 아보카도유, 참깨유 및 어유와 같은 동식물성 오일; 에톡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계오일; 프로폭시레이티드알킬에테르계 오일; 피토스핑고신, 스핑고신 및 스핑가닌과 같은 스핑고노이드 지질;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콜레스테릴설페이트; 시토스테릴설페이트 또는 C10-40 지방알코올일 수 있다. 상기 유상 성분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20.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음이온 계면활성제는 알킬아실글루타메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알킬락틸레이트, 디알킬포스페이트 또는 트리알킬포스페이트일 수 있으며, 상기 비이온계면활성제는 알콕시레이티드알킬에테르, 알콕시레이티드알킬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에스테르 및 슈가에스테르일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지질은 양쪽친화성 지질로 이용된 것으로서, 천연 인지질(예컨대, 난황 레시틴 또는 대두 레시틴, 스핑고마이엘린) 및 합성 인지질 (예컨대,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또는 수첨 레시틴)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수첨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을 사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리포좀은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대두 유래의 레시틴에 의해 안정화될 수 있으며, 상기 대두 유래의 레시틴은 수화 단계를 거쳐 임의적으로 수소가 첨가된 수첨 레시틴일 수 있다.
상기 대두 유래의 수첨 레시틴은 안정성이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으며, 피부 침투능이 우수하므로 상기 갈로일 펩타이드의 피부 흡수를 촉진할 수 있다. 상기 대두 유래의 수첨 레시틴은 단단하게 결합된 분자들 사이에 물분자가 도입되어 팽윤되므로 유화시 오일입자를 둘러쌓음으로써 안정한 에멀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리포좀은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이 70 중량% 미만인 경우 불순물이 과도하게 포함되어 평균입자크기가 증가할 수 있으므로, 피부 흡수가 용이하도록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을 적정 비율 이상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리포좀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나노리포좀의 함량이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인 경우 상기 갈로일 펩타이드에 의한 피부 개선 효과가 충분히 구현되지 않을 수 있고, 20.0 중량% 이상인 경우 첨가량 대비 피부 개선효과가 증가되지 않아 비용 효율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적정 비율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지방산은 고급 지방산으로서, 바람직하게는 C12-22 알킬 체인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이며, 예컨대,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인산 또는 리놀레산일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사용되는 물은 일반적으로 탈이온화된 증류수일 수 있으며,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20.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노리포좀은 비타민 C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비타민 C 유도체는 상기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C는 피부 노화를 억제시키는 효과가 있는 성분으로 자외선(UV) 차단 효과, 항산화 효과, 콜라겐 형성 촉진을 통한 피부 주름 개선, 색소 침착개선 효과, 면역 체계 강화 효과가 우수하다. 그러나, 상기 비타민 C는 수용성 물질로 수용액이 아닌 피부와 같은 유기적인 환경에서는 흡수가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타민 C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용매, 예컨대,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다양한 지방 등에 잘 녹지 않으며, 비타민C가 이온화 되지 않았을 때 피부 장벽을 통과하여 흡수시 비이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pH가 4.2 이하로 유지되어야 하는 한계점이 있다.
상기 비타민 C는 경구 투여보다 외용제로 사용하였을 때 피부 축적량이 20배 내지 40배 정도 증가하지만, 안정성 및 피부 흡수율이 낮으므로 경피 흡수율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상기 갈로일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나노리포좀은 리포좀 제조 과정에서 비타민 C를 함께 투입함으로써 비타민 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C는 상기 나노리포좀에 포접되어 안정성 및 피부 흡수율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비타민 C는 상기 갈로일 펩타이드와 피부에 동시에 적용되는 경우 피부 광택, 피부색 개선, 주름 감소, 피부 탄력 증가 등의 상승효과를 발휘할 수 있으며, 상기 비타민 C 및 갈로일 펩타이드를 내포하는 나노리포좀에 의해 두 성분 모두 피부 흡수율이 증가함으로써 상승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상기 나노리포좀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적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나노리포좀은 목적하는 나노 입자 크기에 따라 다양한 조건(예: 압력, 횟수 등)으로 균질화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200bar의 압력 하에서 1 내지 5회 고압 호모게나이저를 통과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개선용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세포의 증식 촉진, 항산화 효능, 콜라겐 합성의 촉진에 의한 피부 주름 개선과 피부 탄력 개선, 보습력 향상 및 피부 면역 증강을 통하여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상기 효과는 하기 실시예에 의해 뒷받침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제조예 1-1: 노나펩타이드(YGGFLRKYP)의 합성
노나펩타이드는 9-플루오레닐메톡시카르보닐(9-fluorenylmethoxycarbonyl; Fmoc)을 아미노산의 보호기로 사용하여 통상의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법(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SPPS)에 의해 합성하였으며, N-히드록시벤조 트리아졸(N-hydroxybenzotriazole; HOBt)와 N,N-디아이소프로필카보 디이미드(N,N'-diisopropylcarbodiimide; DIC)를 활성화제로 사용하여 아미노산 잔기를 연장하였다[참고문헌 : Wang C. Chan, Perter D. White, 'Fmoc-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Oxford].
구체적으로, 유리 반응기에서 아미노기가 Fmoc으로 보호된His(Trt) 레진(Nova Biochem, Inc) 0.04g을 용매인 N,N-디메틸포름아마이드(N,N-Dimethylformamide; DMF) 3ml에서 20분 동안 부풀린(swelling) 다음, 용매를 제거하고, 20% 피페리딘(piperidine) 3ml로 2회 처리하여 Fmoc를 제거하였다.
상기 Fmoc이 제거된 His 레진을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DCM)으로 3회, DMF로 3회 처리하고, HOBt-DIC로 활성화된 Fmoc-Val-OH(발린)용액과 실온에서 약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루신을 연속적으로 반응시켜 수득한 NH2-보호된 펩타이드(YGGFLRKYP) 레진을 DCM으로 3회, DMF로 3회 세척하였다.
제조예 1- 2: 3 ,4,5- 트리하이드록시벤조일 ( 갈로일 )- 노나펩타이드(YGGFLRKYP)의 합성
상기에서 합성된 NH2-보호된 펩타이드(YGGFLRKYP 레진을DMF와 DCM으로 세척한 후 3,4,5-트리하드록시벤조산(3,4,5-Trihydroxybenzoic acid) 5당량과 HOBt(5당량), DIC(5당량)을 혼합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동안 커플링 반응시켰다. 반응이 종료된 후 DMF와 DCM으로 각각 3회 세척한 다음 건조시켰다.
건조된 3,4,5-트리하이드록시벤조일(갈로일)-노나펩타이드(YGGFLRKYP) 레진을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 페놀 : 티오아니솔 : 물 : 에탄디티올(82.5 : 5: 5 : 5 : 2.5 (v/v))의 혼합 용액으로 실온에서 2 내지 3시간 동안 반응시켜, 펩타이드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에 존재하는 작용기의 보호기인 Boc기를 제거하고 레진으로부터 3,4,5-트리하이드록시벤조일(갈로일)-노나펩타이드(YGGFLRKYP)을 분리시킨 다음, 차가운 디에틸에테르로 상기 펩타이드를 침전시켰다.
수득된3,4,5-트리하이드록시벤조일(갈로일)-노나펩타이드(YGGFLRKYP)을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이 포함된 물과 아세토니트릴을 용매로 역상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reverse phase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lumn: Gemini, C18 110A 25021.2mm)에서 정제 하였다.
상기 펩타이드는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정제되었으며 동결 건조되어 수득되었다.
제조예 2-1: 나노리포좀의 제조
나노리포좀의 제조를 위해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A상에 B상을 첨가하고, 균일하게 습윤 시켰으며, 이후 C 상을 첨가하고 70-80℃에서 가열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 용액은 600-1000 bar의 조건으로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3회 통과 후 냉각되었으며 평균 입자 지름 약 100nm 의 나노리포좀을 수득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A 프로필렌 글리콜 40
B 레시틴 5
콜레스테롤 2.5
세라마이드 2.5
쇼듐스테아로일 락테이트 0.5
폴리솔베이트-80 0.5
스테아린산 0.5
C 갈로일 펩타이드 10.0
수산화칼륨 미량
비타민C 15.0
정제수 잔량
제조예 2-2: 나노리포좀의 제조
상기 제조예 2-1과 동일한 방법으로 나노리포좀을 제조하되, C상의 비타민 C는 제외하였다.
제조예 3: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하기 표 2의 조성비에 따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은 갈로일 펩타이드 및 비타민 C가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화장료 조성물이며, 비교예 1은 갈로일 펩타이드는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되었으나, 비타민 C는 별개로 첨가되었다.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양자를 비교하면, 비타민 C를 나노리포좀에 함께 포접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개선 효과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하기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갈로일 펩타이드는 하기 실시예 1 및 2의 나노리포좀에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와 동일량이 첨가될 수 있도록 함량이 조절되었다.
성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나노리포좀(제조예 2-1) 10.0 - - - - -
나노리포좀(제조예 2-2) - 10.0 10.0 - - -
비타민 C - - 1.0 1.0 - -
갈로일 펩타이드 - - - 1.0 1.0 -
세토스테아릴알콜 2.0 2.0 2.0 2.0 2.0 2.0
친유형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1.5 1.5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SE 1.5 1.5 1.5 1.5 1.5 1.5
피토스쿠알란 4.0 4.0 4.0 4.0 4.0 4.0
하이드로지네이티드폴리데센 3.0 3.0 3.0 3.0 3.0 3.0
디메치콘 0.5 0.5 0.5 0.5 0.5 0.5
폴리소르베이트 60 1.0 1.0 1.0 1.0 1.0 1.0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0.5 0.5 0.5 0.5 0.5 0.5
메틸파라벤 0.1 0.1 0.1 0.1 0.1 0.1
프로필파라벤 0.1 0.1 0.1 0.1 0.1 0.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부틸렌글리콜 5.0 5.0 5.0 5.0 5.0 5.0
폴리아크릴레이트-13 0.5 0.5 0.5 0.5 0.5 0.5
실험예 1: 피부 보습 효과 평가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의 피부 보습력 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다.
피부 질환이 없는 20~40대 40명을 대상으로 1조당 20명씩 2개 조로 나누고, 각 조별로 상기 표 2의 화장료를 매일 2회씩 1개월간 얼굴 및 전반부에 도포하게 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으로서 동일한 양의 정제수를 사용하였다.
도포 전 항온, 항습 조건(24℃, 습도 40%)에서 수분측정기(Corneometer, CM820 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 값으로 삼고, 2분 단위로 피부 전도도 증가율(%)을 측정하였다.
[Moisturising activity(%)]
구분 2 4 6 8 10 12 14 16 18 20
실시예 1 46.43 41.63 32.95 31.22 19.31 13.25 11.84 10.92 11.11 9.27
실시예 2 29.72 21.15 19.26 8.84 5.91 5.33 4.89 4.56 3.55 3.03
비교예 1 37.63 29.81 22.40 15.27 10.52 8.88 8.37 8.45 7.88 6.91
비교예 2 24.82 18.89 17.21 7.66 5.81 4.96 4.81 4.01 3.22 2.86
비교예 3 22.21 16.77 14.09 6.67 5.88 4.59 4.05 2.92 2.38 1.03
비교예 4 19.32 9.66 8.45 6.68 5.74 4.26 3.51 2.59 2.27 1.59
대조군 16.22 10.11 7.12 5.17 4.81 4.66 2.27 1.55 1.38 0.76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 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비타민 C 및 갈로일 펩타이드가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은 비타민 C가 나노리포좀에 함유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 보다 보습 효과가 현저히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비타민 C가 나노리포좀에 의해 상기 갈로일 펩타이드와 함께 포접되는 경우 피부 개선 효과는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실험예 2: 피부 장벽 개선 효과 평가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의 피부 장벽 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하였다.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적용에 따른 피부의 경피 수분 손실량(TEWL: Trans-Epidemal Water Loss)을 Tewameterr(TM300, 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0 ~ 40대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오른쪽과 왼쪽 얼굴에 각 시료를 도포하고 눈가에서 3cm 우측으로 1cm 아래에 떨어진 부위에서 도포 전 및 도포 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후 Tewameterr(TM300, Courage and Khazaka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경피 수분 손실량을 3회 측정하였다.
시료를 바르기 전 수분량 측정 결과는 대조군으로 설정하였으며, 상기 대조군과 비교한 경피 수분 손실량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 of control]
구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실시예 1 12.7% 11.8% 9.6% 6.3%
실시예 2 13.5% 12.5% 10.7% 7.1%
비교예 1 13.1% 12.3% 10.1% 6.8%
비교예 2 15.1% 14.0% 11.6% 7.9%
비교예 3 16.8% 15.6% 14.2% 10.5%
비교예 4 18.4% 16.6% 15.9% 12.1%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장벽 개선효과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비타민 C 및 갈로일 펩타이드가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은 비타민 C가 나노리포좀에 함유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 보다 피부 장벽 개선효과가 우수하였으며, 갈로일 펩타이드만 안정화된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2) 보다 장벽 개선효과가 현저히 우수하였다.
실험예 3: 피부 탄력 개선 효과 평가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의 피부 탄력 증진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다.
온도 24-26℃, 습도 75의 조건에서 2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 60명(평균연령 37세)을 5 그룹으로 나누고, A 그룹에는 실시예 1을, B 그룹에는 실시예 2를, C 그룹에는 비교 실시예 1을, D 그룹에는 비교 실시예 2를, E 그룹에는 비교 실시예 3을, F 그룹에는 비교 실시예 4의 제형을 눈가를 중심으로 하루 2회씩 (아침 및 저녁) 12주간 도포한 후, 피부탄력 측정기(Cutometer MPA580, Conrage + Khazaka사, 독일연방국)를 이용하여 피부 탄력을 측정하였다. 
시험결과는 cutometer MPA580의 R8(R8(12주)-R8(0주)) 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8 값은 피부 점탄성 (Vicoelasticity)의 성질을 나타내며,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피부 탄력 효과
실시예 1 0.91
실시예 2 0.83
비교예 1 0.85
비교예 2 0.81
비교예 3 0.77
비교예 4 0.41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탄력 개선효과는 비교예 2 내지 4와 비교하여 증가되었다.
실험예 4: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평가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다.
피시험자는 30세 이상의 성인 여성 2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피시험자는 4주 동안 매일 아침, 저녁 세안 후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를 안면에 고르게 도포하여 충분히 흡수되도록 하였다.
주름개선 평가를 위하여 ANTERA 3D (Miravex, Ireland)를 적용하였으며, 기기측정은 시험물질 사용 전과 2주 사용 후, 4주 사용 후의 시점에서 이루어졌다. 동일한 시험담당자가 모든 피시험자의 왼쪽 눈꼬리부위를 측정하였고, 측정의 재현성을 위하여 시험 물질 사용 전에 측정한 이미지와 오버랩시켜 동일부위를 측정하였다. 촬영된 이미지는 ANTERA 3D 전용 소프트웨어인 ANTERA pro software를 이용하여 매칭시킨 후 일치된 측정부위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측정값은 측정변수인 Indentation index를 이용하여 피부의 주름을 나타내는 Wrinkles small값을 분석하였다. 하기 표 6에서는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사용에 따른 피시험자의 4주 후의 Wrinkles small값의 변화량을 나타내었다. 즉,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할수록 Wrinkles small 값의 변화량은 크게 나타난다.
피시험자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1 0.74 0.56 0.67 0.54 0.74 0.14
2 1.22 0.99 1.05 0.95 0.55 0.15
3 0.94 0.77 0.89 0.71 0.61 0.06
4 1.14 1.04 1.05 0.99 0.59 0.29
5 0.58 0.61 0.61 0.93 0.43 0.13
6 1.70 1.52 1.61 0.86 0.46 0.06
7 1.94 1.62 1.74 0.87 0.37 0.17
8 0.23 0.32 0.28 0.42 0.62 0.22
9 2.01 1.75 1.84 0.87 0.67 0.17
10 0.45 0.43 0.51 0.53 0.31 0.11
11 1.95 1.64 1.54 0.65 0.55 0.05
12 0.44 0.52 0.37 0.32 0.29 0.09
13 0.68 0.65 0.65 0.75 0.37 0.07
14 0.92 0.93 0.86 0.73 0.31 0.07
15 1.09 1.15 1.04 0.63 0.25 0.09
16 1.69 1.21 1.54 0.96 0.27 0.13
17 1.23 0.84 1.25 0.84 0.17 0.21
18 2.36 1.64 1.85 0.62 0.29 0.13
19 3.10 2.21 2.75 0.56 0.36 0.07
20 1.51 1.13 1.19 0.65 0.55 0.06
21 1.19 1.32 1.32 0.74 0.24 0.08
22 0.65 0.56 0.61 0.76 0.46 0.11
평균 1.26 1.06 1.15 0.72 0.43 0.12
표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비타민 C 및 갈로일 펩타이드가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은 비타민 C가 나노리포좀에 함유되지 않은 화장료 조성물(비교예 1) 보다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험예 5: 피부 침투 효과 평가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의 피부 침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다.
Dermal Equivalent (DE)-인체 정상 섬유아세포 1 X 105 cell/㎖를 인체의 결합조직을 이루는 섬유조직과 유사한 겔 구조에 콜라겐 수용액 3 mg/㎖:5 X DEM : 2:2 소듐바이카보네이트와 200 mM Hepes 완충액이 포함된 0.05 N 수산화나트륨이 7:2:1로 혼합된 배지에 접종하여 5CO2, 37℃에서 7일 동안 배양하였다. 이를 3 ㎛ 다공성폴리카보네이트 (porous polycarbonate) 재질로 된 막 (membrane)에 의해 안쪽과 바깥쪽이 구분된 플레이트의 안쪽에 넣고 섬유아세포가 배양된 Derma Equivalent(DE) 표면 위에 표피각질형성세포 (Epidermal Keratinocyte) 1 X 105 cell/㎖ 세포를 접종하여 EGF와 BPE가 함유된 K-SFM 배지를 안쪽과 바깥쪽에 넣고 7일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플레이트 안쪽의 배지를 버려 공기가 배양세포의 표면에 접촉되도록 하고 바깥쪽에 10% FBS가 함유된 K-SFM과 EGF가 들어있지 않은 DMEM이 동량으로 혼합된 배지를 넣고 2주간 배양하여 다층의 표피와 진피가 형성된 인공피부를 얻었다. 여기에 본 발명의 실험예 및 비교예를 맨 위층의 인공피부 조직에 적용하여 4시간 배양 후 콜라겐 펩타이드 함량을 분석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배지 중의 갈로일 펩타이드의 양 (㎍/㎖)
실시예 1 46.8
실시예 2 41.2
비교예 1 40.8
비교예 2 5.4
비교예 3 5.7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는 나노리포좀화 하지 않은 갈로일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와 비교하여 피부 침투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상기 갈로일 펩타이드는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되어 피부 침투능이 극대화될 수 있다.
실험예 6: 제형의 안정성 평가
나노리포좀에 의해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제형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실험을 하였다.
화장료의 안정성을 시험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불투명초자 용기에 담아 45℃ 및 4℃로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12주간 보관한 후, 변색 및 변취, 분리정도를 비교 측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구분 변색 변취 분리
실시예 1 45℃ 0.3 0.2 0
4℃ 0 0 0
실시예 2 45℃ 0.5 0.4 0
4℃ 0 0 0
비교예 1 45℃ 0.4 0.5 0
4℃ 0 0 0
비교예 2 45℃ 2.5 1.6 1.1
4℃ 0 0 0
비교예 3 45℃ 2.7 1.7 1.5
4℃ 0 0 0
<평가기준>
0: 변화없음 / 1: 극히 조금 분리(변색) / 2: 조금 분리(변색) / 3: 조금 심하게 분리(변색) / 4: 심하게 분리(변색) / 5: 극히 심하게 분리(변색)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화장료(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는 45℃에서 변색이나 변취, 분리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고 안정한 상태로 존재하였으나, 나노리포좀화 하지 않은 갈로일 펩타이드를 제형화한 화장료(비교예 2, 3)는 분리 및 변색이 일어나 갈로일 펩타이드의 불안정성뿐만 아니라, 제형 자체가 불안정해진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AMI COSMETIC CO., LTD. <120>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GALLOYL-PEPTIDE STABILIZED IN NANOLIPOSOME <130> 2015PP10839 <160> 1 <170> KopatentIn 2.0 <210> 1 <211> 9 <212> PRT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lloyl peptide <400> 1 Tyr Gly Gly Phe Leu Arg Lys Tyr Pro 1 5

Claims (6)

  1. 하기 화학식 1의 갈로일 펩타이드 및 비타민 C 유도체를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나노리포좀은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대두 유래의 수첨 레시틴에 의해 안정화된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91004051-pat00004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3 중 하나의 정수이고, L은 서열번호 1의 올리고 펩타이드이다.
  2. 하기 화학식 1의 갈로일 펩타이드 및 비타민 C 유도체를 안정화한 나노리포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나노리포좀은 포스파티딜콜린의 함량이 70 중량% 이상인 대두 유래의 수첨 레시틴에 의해 안정화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17091004051-pat00005

    상기 식에서 n은 1 내지 3 중 하나의 정수이고, L은 서열번호 1의 올리고 펩타이드이다.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상기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0 중량%의 비타민 C 유도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리포좀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20.0 중량%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크림,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스프레이 및 파우더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66622A 2016-05-30 2016-05-30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42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622A KR101842693B1 (ko) 2016-05-30 2016-05-30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6622A KR101842693B1 (ko) 2016-05-30 2016-05-30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3686 Division 2015-06-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385A KR20170003385A (ko) 2017-01-09
KR101842693B1 true KR101842693B1 (ko) 2018-03-28

Family

ID=57811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6622A KR101842693B1 (ko) 2016-05-30 2016-05-30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69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3385A (ko) 2017-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89460B2 (en) Use of natural active substances in cosmetic or therapeutic compositions
ES2285859T3 (es) Utilizacion cosmetica o dermofarmaceutica de peptidos para la cicatrizacion, la hidratacion y la mejora del aspecto cutaneo durante el envejecimiento natural o acelerado (heliodermia, contaminacion).
EP3648784B1 (en) Compounds useful for the treatment and/or care of the skin, hair, nails and/or mucous membranes
KR10226573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EP2555743B1 (en) Cosmetic use of geranylgeranyl-2-propanol
CN106083996B (zh) 没食子酰肽衍生物以及含有该衍生物的抗老化皮肤外用剂组合物
KR20190010795A (ko) 신규한 하이알폴 매트릭스 혼합물이 함유된 피부 보습 강화, 주름 개선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24316A (ko) 인태반 유래 성장인자 및 사이토카인을 함유하는 유사 인태반 조성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81606B1 (ko)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주름 및 피부탄력 개선,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등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842693B1 (ko)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된 갈로일 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20820B1 (ko) 진세노사이드 Rh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외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45188B1 (ko) 효과적인 피부재생 및 안티에이징을 위한 미세침, 저분자 펩티드,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마이크로 앤 리커버리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3622A (ko) 로도크로사이트 추출물, 스미스소나이트 추출물 및피토스테릴 유도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32887B1 (ko) 피부용 화장품 및 식용 필름을 포함하는 피부건강 개선용 세트 및 이를 이용한 피부미용방법
KR101733618B1 (ko) 신규 커큐민―트리펩타이드 복합체 및 이를 함유한 항산화 또는 피부개선용 항노화 피부외용제 조성물
KR20160017891A (ko) 상피세포성장인자와 플라센타를 함유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KR102382002B1 (ko) 펩타이드 복합체 및 천연 성분을 함유하는 주름 및 피부탄력 개선, 타이로시네이즈 억제 등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EP3366273A1 (en) Moisturizer and cosmetic containing same
KR102566925B1 (ko) 함박꽃나무, 자목련꽃나무, 천궁뿌리, 동아씨, 복숭아씨, 황기뿌리 및 복령의 유효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61289B1 (ko) 미백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경피 흡수가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KR102533208B1 (ko) 노화방지용 펩타이드 및 이를 포함하는 경피 흡수가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
KR102038697B1 (ko) 피부 항산화 및 미백 효능을 갖는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Fotini et al. Functional Peptides for Skin Disorders
KR20230041260A (ko) 경단구슬모자반 아임계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ES2396582T3 (es) Nuevo péptido y composición cosmética y/o farmacéutica que lo contie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