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588B1 -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사진을 기반으로 한 정책 수립용 맵핑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 - Google Patents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사진을 기반으로 한 정책 수립용 맵핑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588B1
KR101842588B1 KR1020160021151A KR20160021151A KR101842588B1 KR 101842588 B1 KR101842588 B1 KR 101842588B1 KR 1020160021151 A KR1020160021151 A KR 1020160021151A KR 20160021151 A KR20160021151 A KR 20160021151A KR 101842588 B1 KR101842588 B1 KR 101842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anagement server
data management
information
data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1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9147A (ko
Inventor
장윤영
Original Assignee
장윤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윤영 filed Critical 장윤영
Priority to KR1020160021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588B1/ko
Publication of KR20170099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9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7/30268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06F17/30241
    • G06F17/3070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사진을 기반으로 지도상에 맵핑된 정보로 출력될 수 있도록 형성된 데이터베이스를 정책이나 계획 수립시 의사결정에 활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진을 용이하게 수집, 분류, 저장하고, 또한 이러한 사진들로부터 추출된 데이터로 이루어지는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단위 지역별 정책 수립 등 의사결정에 요구되는 신뢰도 높은 데이터를 수집 및 관리하는 방법, 및 그에 적합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Description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사진을 기반으로 한 정책 수립용 맵핑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 {Method and system of collecting and managing mapping data for establishing policies based on pictures having meta-data}
본 발명은 촬영된 사진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정책 수립 등 의사결정단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진은 촬영 위치 및 시간 등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하고,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사진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로 축적되도록 한다. 이때 사진 정보가 지도 정보와 동기화되어 사진 촬영 시의 위치 등이 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맵핑 작업이 진행되도록 한다. 맵핑 데이터를 통하여 지도상 지역 또는 지점 별 사진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진 데이터가 보여주는 정보를 확인하고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지도상 단위 지역 또는 지점 별로 맵핑된 축적된 정보들은 실제 지역 또는 지점 별 시설물이나 민원 사항 등의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근거가 될 수 있고, 나아가 향후의 시설물 관리나 민원 해결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위 지역은 국가 행정의 편의성을 목적으로 구분된 형태를 의미하는 것이지만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데이터 수집의 필요성이나 활용의 목적에 따라 임의로 정해진 지역적인 범위를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국가의 행정관리를 위해 나누어진 지역 단위 체계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우리나라의 경우, 가장 소형 단위는 읍, 면, 동 등이며, 소형 단위들을 아우르는 중형 단위는 구, 시 등이고, 중형 단위들을 아우르는 대형 단위는 도, 국가(중앙정부) 등으로 단위 지역을 구분하고 있으며, 각 행정 단위는 상위와 하위 관계로 수직적인 구도로 조직되어 있다. 이러한 조직 구도에 의하여 하위 행정 단위들은 상위 행정 단위들에 정보를 공유 또는 이관함으로써 상위 행정 단위들은 필요한 정책을 수립하고 예산을 책정하고 집행하는 업무가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인 과정이다.
그런데 현실적으로 하위 지역 단위의 현황을 보여주는 데이터의 수집, 관리, 공유가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점이 빈번히 지적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부의 정책 수립이나 일반 기관의 계획 수립 및 예산 책정 등의 의사결정이 이루어질 때 그 근거로써 객관적이고 정확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확보하거나 공유하고 있지 못한 문제점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최근의 단적인 일례로서 성남 판교 환기구 추락사고(2014. 10. 14. 발생) 당시, 중앙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 환기구 실태 파악에 대한 구체적인 자료가 없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사고 발생 이후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전국을 대상으로 환기구 실태에 대해 전수 조사가 실시되었다. 그러나 그 조사결과는 단지 텍스트 자료로 정리되었을 뿐으로, 사고가 발생된 지역을 포함한 각 동사무소, 구청, 시청 등에서 자료를 공유하여 활용하기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지역별로 필요한 정보를 전자적인 데이터로 관리하면서 그 데이터를 중요한 의사결정에 직접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위치 및 시간을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진을 용이하게 수집하고 분류하며 거리오차를 보정 한 후 저장하고, 이 때 획득된 정보로부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관리하고 활용함으로써 단위 지역별 자료수집 뿐 아니라 민원해결이나 정책수립에 신뢰도 높은 정보를 제시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고 발생과 같은 극단적인 예 외에도, 인도 블럭 교체 또는 차도 포장 공사가 불필요하게 이루어진다거나, 치안 강화를 위한 CCTV 설치가 반드시 필요한 지역에 대해 올바르게 파악되지 못하여 어떤 지역에는 CCTV 설치가 과잉으로 이루어지는 반면 어떤 지역에는 CCTV 설치가 부족하다거나 하는 등과 같이, 지역별 공공시설의 관리, 운영이 민의의 반영이나 자료근거 없이 불합리하게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단위 지역별 공공 시설의 관리, 운영 등과 같은 정책, 즉 지역 사회 발전, 시민 편의 향상 등을 위한 행정 정책이 수립되는 과정을 살펴보건대, 현재까지는 사실상 이러한 정책 수립 과정이 체계적이고 객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단위 지역별 시설물 관리나 민원 해결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데이터의 수집 및 관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그 적용 분야로 공공 행정 분야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일반적인 산업 분야 및 교육 분야 등을 포함한 타 산업분야에까지 확대하여 정책 수립이나 의사결정이 필요한 경우라면 모든 영역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지역 사회 발전 및 시민 편의 향상을 위한 지방자치 단체를 포함한 정부 및 공공기관 등에서 행정 정책 수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데에는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있다. 무엇보다도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정보가 갖추어져 있지 않다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 요인이며, 또한 갖추어져 있는 정보로부터 용이하고 직관적인 분석 결과를 도출해 내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지역별로 구체적인 시설물 현황이나 민원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인력 투입이 요구되나, 투입 가능한 인력 자원(공무원 또는 대체인력 등)과 비용은 언제나 한정적이어서 원활한 업무수행을 기대하기 어려운 것에 현실적인 문제가 있기도 하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한정된 공무원에 의하여 자료가 수집되는 것이 아닌, 일반 시민에 의하여 자료가 수집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한 예로 한국특허등록 제1048522호("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및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을 탑재한 휴대용 사용자 단말", 2011.07.05. 등록, 이하 선행기술 1)와 같은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선행기술 1에서는, 민원을 제기하고자 하는 사람이 본인 인적정보, 민원 영상정보, 민원 내용정보, (휴대용 사용자 단말 위치 정보로부터 획득되는) 위치정보 등을 수집하여 원격 및 실시간으로 민원 요청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또한 최근 국민안전처에서 개발 및 운용 중인 '안전신문고' (http://www.safepeople.go.kr, 이하 선행기술 2)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스마트폰에 설치된 안전신문고 전용 앱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사진을 촬영하고 GPS를 가동시켜 스마트폰 위치 정보를 습득하며, 사진 및 위치 정보와 함께 사용자가 입력한 내용이 신고되도록 하는 시스템이 개시되었다.
그런데 선행기술 1, 2 모두 민원을 제기하거나 문제 상황을 신고함에 있어, 입력해야 하는 과정이 지나치게 복잡하고 많아서 사용자 편의성이 낮아서 이러한 기술들은 자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낮다는 문제가 있다. 실제로 상기 안전신문고 시스템은, 처음 배포된 앱 버전의 경우 한 번의 신고가 이루어지기 위해서 사진 촬영, GPS 가동, 내용 작성, 주소 입력 등을 포함하여 20여 단계를 거쳐야만 했으며, 이러한 수많은 단계가 사용자 편의성을 극히 저하시킨다는 문제가 지적되어 이후 버전에서는 필수 단계를 줄이는 개선이 이루어지기도 했으나 여전히 일반 시민들이 부담없이 사용하기에는 단계 수가 많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술한 선행기술들의 경우, 수집된 자료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직관적으로 유의미한 정보를 분석해 내는 수단이 불분명하고, 의사결정을 위한 데이터가 아닌 사례중심의 민원해결 방식이어서 문제점이 여전히 해결되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일반인이 시설물 등과 관련된 신고나 민원 제기를 할 때에 겪게 되는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한 기술로써,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 및 등록된 한국특허등록 제1494157호("자료 수집용 단말기 및 그 방법", 2015.02.11. 등록, 이하 선행기술 3)가 있다. 선행기술 3에서는,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로 촬영된 사진을 제공함에 있어서 사진 촬영 시 민원 폴더 지정 메뉴가 우선적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는 사진을 촬영하고 원하는 민원 폴더 분류만을 선택하면 되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을 최대화하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촬영된 사진 데이터가 유관 기관의 서버에 민원 폴더 별로 자동 분류 저장됨으로써, 유관 기관에서 이러한 사진 데이터를 용이하게 모아 관리할 수 있게 되어 있어, 자료의 체계적인 분석과 관리에 있어 부분에 있어 종래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행기술 3에서는 사용자 단말에서 촬영된 사진 및 폴더 분류가 유관 기관 서버의 해당 폴더와 동기화되어 저장되게 할 뿐이어서, 선행기술 1, 2와 마찬가지로 수집된 정보를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활용 가능한 형태로 체계화된 데이터 분석 결과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인지가 불분명한 문제가 있다. 또한, 선행기술 3에서는 수집된 위치 정보에서 발생하는 거리 오차를 개선해야 할 필요가 발견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된 선행기술 1 내지 3의 문제점을 개선하였을 뿐만 아니라 신뢰도와 활용도를 더욱 향상시킨 데이터 획득 및 데이터베이스의 현실적인 활용 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것이다.
1. 한국특허등록 제1048522호("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 시스템 및 시민 참여형 공공질서 감시용 앱을 탑재한 휴대용 사용자 단말", 2011.07.05. 등록) 2. 한국특허등록 제1494157호("자료 수집용 단말기 및 그 방법", 2015.02.11. 등록)
1. 안전신문고 공식 웹사이트 : http://www.safepeople.go.kr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촬영된 사진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정책 수립 등 의사결정단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진은 촬영 위치 및 시간 등의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도록 하고,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사진 정보는 데이터베이스로 축적되도록 한다. 이때 사진 정보가 지도 정보와 동기화되어 사진 촬영 위치가 지도 상에 표시되도록 하는 맵핑 작업이 진행되도록 한다. 맵핑 데이터를 통하여 지도 상 지역 또는 지점 별 사진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게 됨으로써 사진데이터가 보여주는 정보를 확인하고 종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지도 상 지역 또는 지점 별로 맵핑된 축적된 정보들을 기반으로 실제 시설물이나 민원 사항 등의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효율적으로 관리하는데 필요한 근거 자료를 제공하고, 나아가 향후의 시설물 관리나 민원 해결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데 활용될 수 있는 중요한 근거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진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정책 수립 등 의사결정단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은, 휴대형 자료 수집용 단말기; 자료 관리용 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료 수집 및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자료 수집 및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자료 수집용 단말기에 의하여 위치 및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가 포함된 사진이 촬영되어, 분류메뉴에 따라 분류되어 자료 관리용 서버로 송신되는 자료 수집 및 송신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진이 수신되며, 상기 사진이 분류메뉴, 위치, 시간을 포함하는 항목들과 결합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자료 수신 및 데이터베이스 형성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진이 분류메뉴, 위치, 시간에 따라 지도 상에 맵핑되어 출력되는 맵핑 출력 단계; 추가적으로 상기 맵핑 출력 단계에서 출력되는 데이터가 단위 지역 또는 지점 별로 통합 관리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자료 수집 및 송신 단계는, 휴대형 자료 수집용 단말기에 의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가 포함된 사진이 촬영되는 단계;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사진이 설정된 분류 메뉴에 따라 분류되는 단계;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에 의하여 분류메뉴 정보와 결합된 상기 사진이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로 송신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료 수신 및 데이터베이스 형성 단계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분류메뉴 정보와 결합된 상기 사진이 수신되는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진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위치 및 시간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진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보정되는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진이 분류메뉴, 위치, 시간을 포함하는 항목들과 결합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진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보정되는 단계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가 외부 오차 보정 시스템과 연계되어,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오차 보정이 필요한 위치 정보가 상기 외부 오차 보정 시스템으로 송신되는 단계; 상기 외부 오차 보정 시스템에 의하여 위치 정보의 오차가 보정되어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로 송신되는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진에 오차가 보정된 위치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결합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 오차 보정 시스템은, DMB(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전파에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며, 정확한 위치가 미리 알려진 기준국의 위치를 기준으로 오차를 보정하는 DGPS(Differential GPS, 차등 GPS) 방식에 따른 시스템이거나, 정지 위성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SBAS(Satellite Based Augmentation System, 위성기반 오차보정시스템, 위성기반보강시스템)방식에 따른 시스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사진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보정되는 단계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GPS 수신기 및 송수신 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의 GPS 위치 정보가 확인되는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미리 저장된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의 정확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의 GPS 위치 정보 보정값이 산출되는 단계;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에 GPS 수신기 및 송수신 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의 GPS 위치 정보가 확인되는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GPS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의 GPS 위치 정보 및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GPS 위치 정보가 비교되어 상대 위치가 산출되는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GPS 위치 정보가 상기 보정값으로 보정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이터베이스 형성 단계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오차가 보정된 위치 정보가 주소 정보로 자동 변환되어 상기 사진에 더 결합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맵핑 출력 단계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분류메뉴 선택, 위치 범위, 시간 범위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분류메뉴 선택, 위치 범위, 시간 범위에 따라 선택된 상기 사진들이 지도 상에 맵핑되는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선택된 시간 범위에 해당하며 분류메뉴 표식 기호로 표시되는 상기 사진이 해당 위치별로 맵핑된 지도 이미지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때, 분류메뉴와 위치가 명기된 텍스트 형태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하였을 경우 해당 위치 별로 맵핑된 지도 이미지가 출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서술한 자료 수집 및 관리 방법은, 상기 휴대형 자료 수집용 단말기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시판되는 기기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적합한 형태로 개발된 전용 단말기일 수 있고, 본 발명을 구현하는데 적합한 애플리케이션 등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형태의 것을 포함한다.
상기 자료 수집용 서버는 행정 단위 별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행정 단위는, 하위 행정 단위 및 복수 개의 하위 행정 단위를 포괄하는 상위 행정 단위로 이루어지는 행정 단위 체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행정 단위 체계는 적어도 두 단계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자료 수집 및 관리 방법은 상기 행정 단위 체계가 읍, 면, 동을 포함하는 최하위 행정 단위인 소형 행정 단위, 구 또는 시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소형 행정 단위를 포괄하는 상위 행정 단위인 중형 행정 단위, 광역시, 도 또는 중앙정부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중형 행정 단위를 포괄하는 최상위 행정 단위인 대형 행정 단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분류메뉴는 고정 메뉴 및 가변 메뉴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고정 메뉴로는 사회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항목을 우선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안전-위험, 주차-교통, 환경-오물, CCTV설치, 보수요청 등의 항목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변 메뉴는 지역 단위의 특수한 상황과 사용자의 자유성, 상황의 돌발성이 반영될 수 있도록 메뉴를 가변적으로 설정할 수 있는 기능에 의해 작동하는 것이고, 관리자가 임의로 메뉴를 입력하여 설정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고정 메뉴와 가변 메뉴는 예시적인 것일 뿐 상기 기재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은, 하위 행정 단위에 구비되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로부터 선택적 일부의 고정메뉴에 관련된 정보가 상위 행정 단위에 구비되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로 전달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은, 상위 행정 단위에 의사결정 권한이 있는 사안인 경우 관련 데이터 정보를 공유할 목적으로 하위 행정 단위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상위 행정 단위의 자료 관리 서버로 전달되도록 데이터베이스화 및 관리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소형 행정 단위에 구비되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안전-위험, 주차-교통, 환경-오물, CCTV설치, 보수요청 등 항목을 포함하는 고정메뉴에 따라 상기 사진이 분류되어 데이터베이스화 및 관리되는 단계; 소형 행정 단위에 구비되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로부터 안전-위험, 주차-교통, CCTV설치, 보수요청 등 항목을 포함하는 고정메뉴에 해당되는 상기 사진 정보가 중형 행정 단위에 구비되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로 전달되어 데이터베이스화 및 관리되는 단계; 중형 행정 단위에 구비되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로부터 안전-위험, 주차-교통 항목을 포함하는 고정메뉴에 해당되는 상기 사진 정보가 대형 행정 단위에 구비되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로 전달되어 데이터베이스화 및 관리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위 행정 단위에서 상위 행정 단위로의 정보 전달 및 공유를 통하여 데이터를 개방적으로 활용하고 이를 통하여 정책 및 계획 수립의 효율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에 의한 사진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정책 수립 등 의사결정단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은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을 기반으로 하여 바텀-업(bottom-up) 방식으로 단위 지역 별 로 거주하는 주민 등과 같은 최종 사용자(엔드유저)의 의사가 반영된 데이터를 효율적이고 정확하게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사진 데이터에 포함되어 있는 위치, 시간 등의 메타데이터 정보가 추출되고, 이로부터 주소 변환 및 지도 상으로의 맵핑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수집된 사진으로부터 텍스트 자료 형식의 주소 및 분류 별로 저장된 정보, 그리고 이미지 형식의 위치 현황 지도가 동시에 제공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집된 자료를 통하여 체계적이고 직관적인 분석이 훨씬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사진에 포함된 GPS 위치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에서, DGPS, SBAS 등과 같은 외부 GPS 보정 시스템을 이용하거나, 또는 단위 지역 별로 구비되는 보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GPS 위치 정보의 오차를 보정하는 단계를 거치도록 함으로써, 종래에 위치 정보 수집 시 위치 정보 오차가 발생하던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지 형태로 제공되는 분류 메뉴에 따른 위치 현황 지도를 통하여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파악 가능한 정보를 제공해 줌으로써, 지역 사회 발전, 시민 편의 향상 등의 목적을 위한 행정 정책 수립에 대한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기반을 마련해 주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분류메뉴에 고정 메뉴 및 가변 메뉴가 포함되도록 함으로써, 고정 메뉴 분류 정보를 이용하여 통상적으로 관리되어야 하는 부분에 대한 분석정보를 제공함과 동시에, 가변 메뉴 분류 정보를 이용하여 단위 지역별로 특화된 분석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단위 지역 별로 공통적이고 통상적인 행정 정책의 수립 뿐만 아니라 지역 별로 특성을 감안한 특화된 행정 정책 수립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의 데이터 수집 단말기의 일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에 의해 형성된 데이터베이스의 일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에 의해 출력된 사진 맵핑 지도의 일 실시예.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위치 정보 오차 보정 방법의 일 실시예.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위치 정보 오차 보정 방법의 다른 실시예.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에서의 분류메뉴의 일 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에서의 행정 단위 별 분류메뉴의 선택적 적용을 나타낸 일 실시예.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한 촬영된 사진을 기반으로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정책 수립 등 의사결정단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의 취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책 또는 계획 수립시 의사결정에 요구되는 데이터를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형태로 얻기 위한 것이며, 또한 이러한 자료를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데이터 수집 및 획득은 공무원 등에 한정되지 않고 지역을 파악하고 조직화되어 있는 통장, 주민자치위원 등 거버넌스와 일반 시민 등 다양한 사람이 용이하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하고, 자료의 관리는 수집된 자료로부터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용이한 자료를 산출해 낼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취지에 따른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은, 스마트폰 등과 같은 휴대형 자료 수집용 단말기; 자료 관리용 서버;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의 기본 구성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의 흐름도를 간략하게 도시하고 있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은, 기본적으로 휴대형 자료 수집용 단말기에 의하여 위치 및 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가 포함된 사진이 촬영되어, 분류메뉴에 따라 분류되어 자료 관리용 서버로 송신되는 자료 수집 및 송신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진이 수신되며, 상기 사진이 분류메뉴, 위치, 시간을 포함하는 항목들과 결합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자료 수신 및 데이터베이스 형성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진이 분류메뉴, 위치, 시간에 따라 지도 상에 맵핑되어 출력되는 맵핑 출력 단계;로 이루어진다. 이하에서, 먼저 각 단계의 세부 단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 보다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데이터 수집 단계는 다음과 같은 세부 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에 의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가 포함된 사진이 촬영된다.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는, 스마트폰을 포함한 시판되는 기기뿐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에 적합한 형태로 개발된 전용 단말기로서 보정신호를 직접 수신할 칩을 내장하고 냄새와 소음 등 기능센서를 장착하여 별도로 제작된 것이어도 된다. 또는 일반 시민의 참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는 앱이 설치된 일반 스마트폰 형태이어도 된다. 도 2는 이와 같이 앱이 설치된 일반 스마트폰 형태로 된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의 데이터 수집 단말기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용 디지털 카메라나 스마트폰에 내장된 디지털 카메라의 경우, EXIF(Exchangeable Image File) 표준에 따르는 이미지 파일 형태로 사진이 저장된다. EXIF란 이미지 파일의 정보 저장 표준 규약으로서, EXIF 표준에 따르는 이미지 파일은 파일 이름, 파일 크기, 카메라 제조사, 카메라 모델명 등과 같은 다양한 메타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메타데이터 중에는 사진이 촬영된 위치 및 시간 정보가 포함되며, 본 발명에서는 이를 이용하여 자료의 체계적인 데이터베이스화를 실현한다.
다음으로,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사진이 선택된 분류메뉴에 따라 분류된다. 여기에서 분류메뉴는, 데이터베이스화된 자료가 행정 정책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상기 사진에 반드시 결합되어야 하는 정보이다. 일반적인 사진 촬영 앱의 경우 사진이 촬영되면 곧바로 자동 저장이 이루어지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분류메뉴 정보가 사진에 결합되어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 입력에 의해 분류메뉴가 선택되지 않으면 사진이 저장되지 않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은, 지역별 공공 시설의 관리, 운영 등과 같은 정책, 즉 지역 사회 발전, 시민 편의 향상 등을 위한 행정 정책을 객관적인 자료를 바탕으로 수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 분류메뉴는 이와 같은 행정 정책과 관련되는 항목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자료 수집용 단말기에 의하여 분류메뉴 정보와 결합된 상기 사진이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로 송신된다.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는, 행정 단위 기관(예를 들어 동사무소, 시청 등)에 구비되며 정보의 송수신이 가능한 컴퓨터 형태로 이루어지면 된다.
이와는 별도로, 분류메뉴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자료를 촬영하여 전송할 필요가 있는 경우를 대비하여, 이러한 자료를 미리 지정된 한 명 이상의 분야별 담당자에게 전송될 수 있도록 상기 담당자의 스마트폰 등 휴대형 정보통신 기기를 미리 설정해 둘 수 있다.
상기 자료 수신 및 데이터베이스 형성 단계는 다음과 같은 세부 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분류메뉴 정보와 결합된 상기 사진이 수신되며,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진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위치 및 시간 정보가 추출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진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보정되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GPS 위치 정보가 갖고 있는 오차가 포함된 채로 사진이 데이터베이스화 될 경우 이 데이터베이스는 상당한 오류가 누적되는 문제로 데이터의 부정확성이 발생하게 되므로, 이러한 오차가 보정되어야만 정확한 데이터 확보가 가능하다. 사진의 위치 정보 오차 보정에 대해서는 이후 별도의 항목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으로,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진이 분류메뉴, 위치, 시간을 포함하는 항목들과 결합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된다. 이 때, GPS 위치 정보는 정확한 지도 상의 위치를 지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해당 위치가 어디인지 파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오차가 보정된 위치 정보가 주소 정보로 자동 변환되어 상기 사진에 더 결합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에 의해 형성된 데이터베이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들은, 사용자가 지정하여 준 분류메뉴 정보와, 사진이 찍힌 시간 정보와, 주소 정보로 변환된 위치 정보 등과 결합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다. 또한 도 3에는 상기 분류메뉴의 예시가 일부 나타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류메뉴는, 안전-위험 관련 신고, 환경-오물 관련 신고, CCTV설치 요청, 보수 요청 등과 같은 항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분류메뉴에 대해서는 이후 별도의 항목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맵핑 출력 단계는 다음과 같은 세부 단계들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분류메뉴 선택, 위치 범위, 시간 범위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받게 된다.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 설명하자면 다음과 같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에서, [CCTV설치] 분류메뉴에 대한 정보만 뽑아서 보고 싶을 수도 있고, [수정구 산성동 100~199] 위치 범위에 대한 정보만 뽑아서 보고 싶을 수도 있고, [2014년 12월 10일에서 15일까지] 시간 범위에 대한 정보만 뽑아서 보고 싶을 수도 있다. 물론 [CCTV 설치] + [수정구 산성동 100∼199]의 정보를 보고 싶을 수도 있는 등, 다양한 선택의 조합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분류메뉴 선택, 위치 범위, 시간 범위에 따라 선택된 상기 사진들이 지도 상에 맵핑되도록 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에 의해 전송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된 사진 자료들은, 기본적으로 GPS 위치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지도 상에 맵핑될 수 있다. 분류메뉴 선택, 위치 범위, 시간 범위 등은 지도 상에 맵핑될 사진 자료들 중 어떤 사진 자료들을 뽑아서 보여줄 것인가에 영향을 준다.
다음으로,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선택된 시간 범위에 해당하며 분류메뉴 표시 기호로 표시되는 상기 사진이 해당 위치별로 맵핑된 지도 이미지가 출력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에 의해 출력된 사진 맵핑 지도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도 4(A)는 각 지시 표식에 의하여 나타낸 모든 분류메뉴를 실제 지도 상에 표시한 맵핑 결과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 4(B)는 [CCTV 설치] 분류메뉴에 대한 맵핑 지도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예시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에 의하면, 지도 상에 표시되는 분류메뉴 표시 기호를 통하여 해당 지역의 다양한 현황을 직관적으로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기존에는 지역 시설물 관리 등이 텍스트로 된 자료에 의존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텍스트 자료는 예를 들어 [어느 동에 설치된 CCTV가 몇 개] 등과 같은 식의 단순하고 불명확한 정보 밖에는 얻을 수 없었다. 이에 따라 어느 지역에 CCTV를 더 설치해야 할 것인지, CCTV가 적절하게 분산되어 설치되어 있는지 등과 같은 정보를 얻기 위해서는 별도로 현장 조사를 다시 실시해야만 하였다. 이러한 조사를 새롭게 벌이기 위해서는 인력 및 시간 등의 자원이 필요하기 때문에, 해당 지역 주민들이 민원을 제기하는 등과 같이 필요성을 인식할 계기가 없으면 이러한 조사가 이루어지기 힘들었다. 그런데 정말로 CCTV가 필요한 지역의 주민들이 민원을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이미 충분히 CCTV가 설치되어 있는 지역의 주민들이 민원을 제기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단지 주민들이 요구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과잉임에도 불구하고 CCTV를 더 설치하겠다는 행정 정책을 세우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행정 정책은 지역 현황 파악이 올바르게 이루어지지 못함에서 오는 불합리한 행정 정책으로서, 설치 비용이 불필요하게 낭비되고 나아가 지역 간 발전에 차등이 발생하게 되는 좋지 않은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처럼 기존의 텍스트 자료에 의존하여 행정 정책을 수립하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이고 불합리하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한 지역 현황의 직관적이고 용이한 파악은 행정 정책 수립에 있어 체계성과 객관성을 부여할 수 있게 해 준다. 도 4(B)의 예시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특별한 주민 민원 등이 없다 하더라도 언제든지 용이하게 지도 상에 CCTV가 설치되어 있는 현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분류메뉴 표시 기호를 클릭함으로써 해당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CCTV의 실물 사진을 확인할 수 있으며, 따라서 해당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CCTV가 구형 또는 신형 모델인지, 교체가 필요할 만큼 파손되었는지 등과 같은 정보를 매우 손쉽고도 즉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어느 지역에 CCTV를 더 설치할 것인지, 또는 CCTV 교체 작업을 해야 할 것인지 등과 같은 행정 정책을 매우 효율적이고 합리적으로 수립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적인 예시로서 CCTV 설치 관련 행정 정책 수립 과정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물론 이러한 예시뿐 아니라, 다양한 분류메뉴에 따라 다양한 관점에서의 지역 현황 파악 역시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CCTV 설치 현황의 경우 공무원에 해당하는 사용자들에 의해 사진 자료가 수집될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한 번 설치된 CCTV의 위치가 바뀌는 것도 아니고 CCTV가 자주 새롭게 설치되는 것도 아니므로, 그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필요는 없으며 상당히 장기간에 걸쳐 현황 파악을 하여도 된다. 한편 다른 예로, [환경-오물] 분류메뉴의 경우 일반 시민에 해당하는 사용자들에 의해 사진 자료가 수집될 가능성이 높으며, 또한 실시간으로 현황이 자주 변동될 수 있는 정보이다. 즉 [환경-오물] 분류메뉴를 선택하여 [환경-오물] 표시 기호가 표시된 지도를 확인함으로써, 어느 지역에서 쓰레기가 많이 발생하는지, 얼마나 쓰레기가 누적되어 잘 치워지지 않는지 등과 같은 환경-오물 관련 현황 파악이 실시간으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지역에 환경미화원 인력을 보강하거나 환경미화차량의 투입을 늘리는 등과 같은 발빠른 대처가 가능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에 의하면, 실제 지역에서 발생되는 각종 현황들을 직관적이고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역 이기주의 등의 악영향을 제거하고 편향되지 않은 지역 발전 및 시민 편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행정 정책 수립이 가능하게 된다.
■ 본 발명의 위치 정보 오차 보정 방법
이처럼 본 발명은 위치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를 포함하는 사진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고, 이를 목록 형태로도 볼 수 있음과 동시에 지도 상에 사진들이 맵핑됨으로써 직관적인 현황 파악이 가능하게 해 준다. 그런데 이러한 지도 상의 사진 맵핑 시 사진이 가지고 있는 위치 정보가 부정확할 경우, 결과적으로 데이터베이스 자체에 오류가 누적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GPS 신호는 대략 10∼30m 가량의 오차가 발생된다는 점이 잘 알려져 있으며, 흑점 폭발 등과 같은 상황이 발생할 경우 100∼150m 가량까지의 커다란 오차가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오차를 보정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발명에서는, 외부 오차 보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과, 자료 수집용 단말기 및 자료 관리용 서버에 별도의 모듈을 더 구비하여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 두 가지를 제시한다. 이 두 가지 방법은 둘 중 하나가 채용될 수도 있으며, 오차의 보다 정확한 보정을 위하여 둘 모두가 병렬적으로 채용될 수도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서의 위치 정보 오차 보정 방법의 한 실시예인, 외부 오차 보정 시스템을 이용하여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5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외부 오차 보정 시스템을 사용하여 오차를 보정하는 경우,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단계들을 통해 오차가 보정될 수 있다. 즉, 먼저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가 외부 오차 보정 시스템과 연계되어,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오차 보정이 필요한 위치 정보가 상기 외부 오차 보정 시스템으로 송신되면, 상기 외부 오차 보정 시스템에 의하여 위치 정보의 오차가 보정되어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로 송신된다. 그러면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진에 오차가 보정된 위치 정보가 업데이트되어 결합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외부 오차 보정 시스템에 대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외부 오차 보정 시스템은, DMB(디지털 멀티미디어 방송) 전파에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며, 정확한 위치가 미리 알려진 기준국의 위치를 기준으로 오차를 보정하는 DGPS 방식에 따른 시스템이거나, 정지위성을 통해 위치 정보를 전송하도록 이루어지는 SBAS 방식에 따른 시스템일 수 있다.
DGPS 방식은 해양수산부가 전국에 17개 기준국을 세워 기준국 위치를 기준으로 GPS 신호를 보정함으로써 GPS 신호의 오차를 줄인 고정밀 위치 정보 획득 기술로서, 그동안 선박 항해, 연구, 측량 등 특수 목적에 주로 이용돼 왔던 기술이다. 해양수산부는 YTN, MBC 등과 함께 DGPS 정보를 DMB 전파에 실어 보내는 기반 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현재 일반인들도 별도 수신기 없이 스마트폰이나 차량용 내비게이션 단말기에서 DGPS 정보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DGPS 방식에 의하면 GPS 오차 범위를 1m 급으로 줄일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에 적용하였을 때 큰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BAS 방식은 국토교통부에서 주관하여 개발되고 있는 GPS 위치 오차 보정 방식으로, 역시 1m 급으로 오차 범위를 줄일 수 있는 고정밀 위치 정보 획득 기술이다. DGPS 방식과의 차이점은, DGPS 방식은 DMP 전파에 위치 정보를 실어 보내는 반면 SBAS 방식은 정지 위성을 통해 정보를 전송한다는 점이다. 다만 SBAS 방식의 경우 아직까지 개발이 완료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현재 관측으로는 2022년에 상용화 가능할 것으로 예상) 당장 적용될 수는 없겠으나, 추후 SBAS 방식이 상용화된다면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에 얼마든지 적용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위치 정보 오차 보정 방법의 다른 실시예인, 자료 수집용 단말기 및 자료 관리용 서버에 별도의 보정신호 수신모듈을 더 구비하여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을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도 8의 실시예에서는, 먼저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GPS 수신기 및 송수신 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의 GPS 위치 정보가 확인된다. 이 때,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미리 저장된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의 정확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의 GPS 위치 정보 보정값이 산출된다.
다음으로,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에 GPS 수신기 및 송수신 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의 GPS 위치 정보가 확인된다. 이 때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GPS 위치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의 GPS 위치 정보 및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GPS 위치 정보가 비교되어 상대 위치가 산출될 수 있게 된다.
이 때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GPS 위치 정보가 상기 보정값으로 보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의 위치 정보가 정확하게 보정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두 가지 방법 중 어느 방법을 사용하여 오차가 보정되도록 하여도 무방한데, 첫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가 전용 앱이 설치된 일반 스마트폰 형태인 경우에 적용하기가 보다 유리하며, 두 번째 실시예의 경우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가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시스템 전용으로 별도 제작되는 경우에 적용하기가 보다 유리하다.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 정보의 보정은, 실시간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으며, 또는 촬영 시간으로부터 얼마간 시간이 지난 후라 하더라도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진에 포함된 촬영 시간 정보는 정확한 정보이므로, 해당 시간의 GPS 보정값을 검색하여 해당 보정값을 적용함으로써 오차가 보정된 위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 본 발명의 분류메뉴 구성 및 행정 단위별 행정 처리 방법
앞서 도 3의 예시로 간략하게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은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행정 정책 수립을 위한 것이므로, 행정 정책 수립과 관련된 지역 현황 파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항목들로 분류메뉴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취지에 따라,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에서의 분류메뉴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분류메뉴는, 안전-위험, 주차-교통, 환경-오물, CCTV설치, 보수요청 등과 같은 항목들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항목들은 지역에 관계없이 통상적으로 어디에서나 필요한 항목들이므로, 이러한 분류메뉴들은 고정적으로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안전-위험, 주차-교통, 환경-오물, CCTV설치, 보수요청 항목은 고정메뉴가 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지역 특성이나 한시적인 상황에 따라 특별히 현황 파악이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특정 지역에서 한시적으로 광고 업체들이 많이 생겨서 광고전단지가 지나치게 많이 붙어 지역 미화 환경을 불량하게 만드는 문제가 발생한다고 가정하면, 이 특정 지역에서는 [전단지신고] 분류메뉴 항목이 더 필요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를 위해 상기 분류메뉴는, 상기 고정메뉴 외에도,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가변적으로 설정 가능한 가변메뉴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다양한 분류메뉴 항목들을 이용하여 지역 현황을 파악하고 정책을 수립함에 있어서, 실무적인 부분을 고려할 때 읍, 면, 동 차원에서 처리할 수 있는 일, 구, 시 차원에서 처리할 수 있는 일, 광역시, 도, 중앙정부 차원에서 처리할 수 있는 일 등에는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쓰레기 처리 등과 같은 환경-오물 관련 문제는 읍, 면, 동 차원에서 처리하면 충분하지만, CCTV 설치 등과 같은 문제는 읍, 면, 동 단독으로 처리되기는 어렵고 최소한 구, 시 차원에서 처리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은 행정 단위 체계에 따라 등급별로 현황 파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인 개념으로 설명하자면,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가 행정 단위별로 구비되되, 상기 행정 단위는, 하위 행정 단위 및 복수 개의 하위 행정 단위를 포괄하는 상위 행정 단위로 이루어지는 행정 단위 단계 체계로 이루어지며, 상기 행정 단위 체계는 적어도 두 단계 이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자면, 상기 행정 단위 체계가, 읍, 면, 동을 포함하며 최하위 행정 단위인 소형 행정 단위, 구, 시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소형 행정 단위를 포괄하는 상위 행정 단위인 중형 행정 단위, 광역시, 도, 중앙정부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중형 행정 단위를 포괄하는 최상위 행정 단위인 대형 행정 단위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행정 단위 체계의 등급 예시는 2016년 현재 대한민국의 행정 단위 체계에 따른 것으로, 다른 국가의 경우에는 적절하게 현지에 맞게 변형되어 등급을 책정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에서의 행정 단위별 분류메뉴의 선택적 처리의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행정 단위 체계 등급에 따른 현황 파악 및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은, 하위 행정 단위에 구비되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로부터 선택적 일부의 고정메뉴에 관련된 정보가 상위 행정 단위에 구비되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로 전달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0의 예시를 기반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소형 행정 단위(예를 들어 읍, 면, 동)에 구비되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안전-위험, 주차-교통, 환경-오물, CCTV설치, 보수요청 항목을 포함하는 고정메뉴에 따라 상기 사진이 분류되어 데이터베이스화 및 관리되게 한다. 또한 상기 가변메뉴는, 최하위 행정 단위(즉 이 예시의 경우 소형 행정 단위)에 구비되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를 통하여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설정되도록 한다. 이 때 소형 행정 단위에서 처리되는 것이 효율적인 환경-오물 항목, 가변메뉴 항목은 소형 행정 단위에서 현황 파악 및 적절한 행정 정책 수립을 통한 처리가 이루어지게 한다.
다음으로, 소형 행정 단위에 구비되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로부터 안전-위험, 주차-교통, CCTV설치, 보수요청 항목을 포함하는 고정메뉴에 해당되는 상기 사진 정보가, 중형 행정 단위(예를 들어 구, 시)에 구비되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로 전달되어 데이터베이스화 및 관리되게 한다. 즉 소형 행정 단위에서 처리되는 항목들(환경-오물, 가변메뉴)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들이 중형 행정 단위에서 관리되게 하는 것이다. 물론 중형 행정 단위 이상의 등급에서 관리되어야 할 필요가 있는 항목들이 존재하며, 이는 이보다 상위 행정 단위로 전달하여 관리되게 한다.
즉, 중형 행정 단위에 구비되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로부터 안전-위험, 주차-교통 항목을 포함하는 고정메뉴에 해당되는 상기 사진 정보가, 대형 행정 단위(예를 들어 광역시, 도, 중앙정부)에 구비되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로 전달되어 데이터베이스화 및 관리되게 한다. 이에 따라 대형 행정 단위에서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안전-위험, 교통 관련 행정 정책을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효율적으로 수립할 수 있게 된다.
위 상술한 바와 같이 상하위 행정 단위 간의 자료 관리용 서버를 공유하여 수집된 데이터를 공유하거나 통합관리하는 형태의 것은, 단지 행정 단위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수집된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어떠한 기관과도 자료 공유가 가능한 형태로 운영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갖출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서 단위 지역 별 행정 분야를 예시적으로 기재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일반적인 산업 및 교육 분야를 포함하여 그 적용 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을 그 범위로 포함한다.

Claims (14)

  1. 휴대형 자료 수집용 단말기; 자료 관리용 서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수집 및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자료 수집용 단말기에 의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가 포함된 사진이 촬영되어, 분류메뉴에 따라 분류되어 자료 관리용 서버로 송신되는 자료 수집 및 송신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진이 수신되며, 상기 사진이 분류메뉴, 위치, 시간을 포함하는 항목들과 결합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는 자료 수신 및 데이터베이스 형성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진이 분류메뉴, 위치, 시간에 따라 지도 상에 맵핑되어 출력되는 맵핑 출력 단계;
    상기 맵핑 출력 단계에서 출력되는 데이터가 단위 지역별 또는 지점별로 통합 관리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자료 수집 및 송신 단계는, 휴대형 자료 수집용 단말기에 의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메타데이터가 포함된 사진이 촬영되는 단계;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에 의하여 촬영된 상기 사진이 설정된 분류 메뉴에 따라 분류되는 단계;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에 의하여 분류메뉴 정보와 결합된 상기 사진이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로 송신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자료 수신 및 데이터베이스 형성 단계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분류메뉴 정보와 결합된 상기 사진이 수신되는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진에 포함된 메타데이터로부터 위치 및 시간 정보가 추출되는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진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보정되는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진이 분류메뉴, 위치, 시간을 포함하는 항목들과 결합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자료 수신 및 데이터베이스 형성 단계의 사진의 위치 정보의 오차가 보정되는 단계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GPS 수신기 및 송수신 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의 GPS 위치 정보가 확인되는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미리 저장된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의 정확한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의 GPS 위치 정보 보정값이 산출되는 단계;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에 GPS 수신기 및 송수신 모듈이 구비되어,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의 GPS 위치 정보가 확인되는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GPS 위치 정보가 수신되는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의 GPS 위치 정보 및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GPS 위치 정보가 비교되어 상대 위치가 산출되는 단계; 상기 자료 수집용 단말기의 GPS 위치 정보를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의 GPS 위치 정보 보정값을 사용하여 보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사진의 위치 정보의 오차를 보정할 때, 사진 정보에 포함된 시간 정보와 동시간에 산출된 자료 관리용 서버의 GPS 위치 정보 보정값을 사용하여 사진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 출력 단계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분류메뉴 선택, 위치 범위, 시간 범위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입력을 받는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따른 분류메뉴 선택, 위치 범위, 시간 범위에 따라 선택된 상기 사진들이 지도 상에 맵핑되는 단계;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선택된 시간 범위에 해당하며 분류메뉴 표식 기호로 표시되는 상기 사진이 해당 위치 별로 맵핑된 지도 이미지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료 수신 및 데이터베이스 형성 단계는,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에 의하여 오차가 보정된 위치 정보가 주소 정보로 자동 변환되어 상기 사진에 추가적으로 결합되어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맵핑 출력 단계는,
    분류메뉴와 위치가 명기된 텍스트 형태의 별도의 데이터베이스를 연동함으로써 해당 위치 별로 맵핑된 지도 이미지가 출력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은,
    상기 자료 관리용 서버가 행정 단위 별로 구비되되,
    상기 행정 단위 별 자료 관리용 서버는, 하위 행정 단위 또는 복수 개의 하위 행정 단위를 통합관리하는 형태의 상위 행정 단위에 추가적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수집된 데이터가 적어도 두 단계 이상의 행정 단위체계 간에 공유되고 관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은,
    상기 행정 단위가,
    읍, 면, 동을 포함하며 최하위 행정 단위인 소형 행정 단위,
    구, 시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소형 행정 단위를 포괄하는 상위 행정 단위인 중형 행정 단위,
    광역시, 도, 중앙정부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중형 행정 단위를 포괄하는 최상위 행정 단위인 대형 행정 단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은,
    상기 분류메뉴가,
    안전-위험, 주차-교통, 환경-오물, CCTV설치, 보수요청 항목을 포함하는 고정메뉴와, 가변적으로 설정 가능한 가변메뉴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
  13. 삭제
  14. 삭제
KR1020160021151A 2016-02-23 2016-02-23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사진을 기반으로 한 정책 수립용 맵핑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 KR101842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151A KR101842588B1 (ko) 2016-02-23 2016-02-23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사진을 기반으로 한 정책 수립용 맵핑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151A KR101842588B1 (ko) 2016-02-23 2016-02-23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사진을 기반으로 한 정책 수립용 맵핑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147A KR20170099147A (ko) 2017-08-31
KR101842588B1 true KR101842588B1 (ko) 2018-05-14

Family

ID=59760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1151A KR101842588B1 (ko) 2016-02-23 2016-02-23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사진을 기반으로 한 정책 수립용 맵핑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5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6310A (ja) 2000-02-01 2001-08-10 Yoshida Printing Inc 物件検索装置
JP2001228232A (ja) * 2000-02-21 2001-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ps受信機
KR101494157B1 (ko) * 2013-11-04 2015-02-17 장윤영 자료 수집용 단말기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16310A (ja) 2000-02-01 2001-08-10 Yoshida Printing Inc 物件検索装置
JP2001228232A (ja) * 2000-02-21 2001-08-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Gps受信機
KR101494157B1 (ko) * 2013-11-04 2015-02-17 장윤영 자료 수집용 단말기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9147A (ko)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4259B1 (ko)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US8384742B2 (en) Virtual white lines (VWL) for delimiting planned excavation sites of staged excavation projects
CN101334292A (zh) 通过服务器共享电子地图兴趣点(poi)的方法和设备
CN102169508A (zh) 基于云计算的交通信息查询方法及其系统
JP4627719B2 (ja) 防災情報共有システム
DK178501B1 (en) Construction site imag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1842588B1 (ko)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사진을 기반으로 한 정책 수립용 맵핑 데이터 수집 및 관리 방법
Dumedah et al. The case of electoral polling station data for geocoding in facilitating accessibility to social, economic and cultural opportunities in Ghana
JP6726831B1 (ja) 不動産鑑定評価システム
FIG Rapid urbanization and mega cities: The need for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JP2009282693A (ja) 登記情報取得方法および登記情報取得システム
Das et al. Geospatial Technologies for Development of Cadastral Information System and its Applications for Developmental Planning and e-Governance
JP4649669B2 (ja) 災害情報収集管理方法
CN101729974A (zh) 事件通报系统及其运作方法
Adithama et al. Mobile Application for Locating Nearby Garbage Collection Sites
JP2004357222A (ja) 位置情報収集システム
Yakubu et al. Development of a GIS-Based Land Records Management: A Case Study
Shamsi et al. A Computer Mapping Program for Sewer Systems.
Mueller Spatial information management, an effective tool to support sustainable urban management
JP2020204912A (ja) 配達情報更新システム、及び配達情報更新方法
WO202001838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active searching
US20160292607A1 (en) Utility Pole Staking System and Method
JP2007225685A (ja) 情報表示システム、情報表示端末及び情報表示方法
Boos et al. Current use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in megacity management
Allan et al. Limiting Interpretative Error in Analogue-Derived Digital Map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