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510B1 - 기액혼합기 - Google Patents

기액혼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510B1
KR101842510B1 KR1020170126274A KR20170126274A KR101842510B1 KR 101842510 B1 KR101842510 B1 KR 101842510B1 KR 1020170126274 A KR1020170126274 A KR 1020170126274A KR 20170126274 A KR20170126274 A KR 20170126274A KR 101842510 B1 KR101842510 B1 KR 101842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gas
mixer
pipe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일동
Original Assignee
김일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일동 filed Critical 김일동
Priority to KR1020170126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5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1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by bubbling
    • B01F3/04106
    • B01F15/0035
    • B01F15/0042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66Parts; Accessories
    • B01F23/2368Mixing receptacles, e.g. tanks, vessels or reactors, being completely closed, e.g. hermetically clos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B01F23/2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 B01F23/237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 B01F23/2373Mixing gases with liquids by introducing gases into liquid media, e.g. for producing aerated liquid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of gases or vapours introduced in the liquid media for obtaining fine bubbles, i.e. bubbles with a size below 100 µm
    • B01F3/0483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2Level of the material in the mix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8Weight of at least one component to be mixed
    • B01F2003/0485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anotechnology (AREA)
  • Accessories For Mix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스 또는 공기를 나노크기 기포로 형성하여 액체에 혼합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기액혼합기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이 개구된 저장용기(101);,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관(102);,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액체를 송출하는 송출관(103);, 상기 흡입관 및 송출관 사이에 형성되는 송출펌프(104);, 상기 송출관에 형성되는 기포발생기(10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기액혼합기 {Device for mixing Air and Liquid}
본 발명은 가스 또는 공기를 나노크기 버블로 형성하여 액체에 혼합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특허발명 001은 수중 나노버블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나노 사이즈의 다공이 형성되고, 수조의 내부에 배치되는 나노필름과; 상기 나노필름에 압축공기를 통과시켜 나노버블을 발생시키는 압축공기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중 나노버블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나노 사이즈의 다공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수조의 내부에 배치된 상기 나노필름에 상기 압축공기 발생부로부터 배출된 압축공기를 통과시켜 나노버블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수중의 용존산소량을 증가시킬 수 있고, 증가된 용존산소량을 포화상태로 장기간 유지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2는 수조의 바닥에 설치된 산기관으로 산소가 포함된 나노 기공크기의 초미세 기포(버블)를 수조 내에 공급하여 나노 버블수를 생성하는 수조내 미세 기포 생성 방식의 종래 나노 버블수 발생장치와는 달리, 수처리 현장의 원수 공급처에 배관 연결되고 수배관의 파이프 라인 관로상에 저가로 생산할 수 있는 단순하면서도 에너지 절약적인 구성의 원관 형상 다공성 나노 필름 멤브레인 벤튜리 튜브를 장착하는 것만으로도, 주입되는 주변공기로 취수원에서 공급되는 원수를 나노 필름 멤브레인 벤튜리 튜브를 이용하여 살균 세정 기능의 기능수인 나노 버블수로 변화시켜 토출시키게 하는 관로 장착용의 내부 삽입 다공성 나노 필름 멤브레인 벤튜리 튜브를 이용한 다용도 나노 버블수 발생장치로서, 수배관 관로상에서 산소가 용존되거나 나노버블상태로 존재하게 되어 기능이 활성화되고 살균과 세정기능이 향상되게 변환되어 산소공급은 물론 수질정화와 무 항생제 방식으로 생물의 성장에 도움을 주는 나노 버블이 함유된 기능수(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미세한 산소 버블이 함유된 물)를 어류양식장이나 축사 및 비닐하우스를 비롯한 농업용 시설등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관로 장착용의 내부삽입 다공성 나노 필름 멤브레인 벤튜리 튜브를 이용한 다용도 나노 버블수 발생장치에 관한 것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3은 나노 크기의 미세 기포를 발생시킬 수 있는 나노 버블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각각 유체와 기체를 혼합, 가압함으로써 상기 기체를 전단시켜서 미세기포를 발생시키며, 상기 미세기포가 순차적으로 더 미세화될 수 있도록 상호 일렬로 연결되는 복수의 믹싱펌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노버블 발생장치를 제시하고 있다.
특허발명 004는 다량의 마이크로 및 나노 버블을 효과적으로 생성시킬 수 있도록하며,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쉬우면서도 내구성이 뛰어나 유지보수등의 추가 비용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 마이크로 및 나노 버블 발생장치에 관한것으로, 청수를 공급하는 피드 펌프, 상기 피드 펌프에 공급되는 청수에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인젝터, 에어가 혼입된 버블수를 가압하여 공급하는 프레셔 펌프, 가압된 버블수를 고속 회전시키면서 원심력과 비중차에 의해 대형 버블들을 중앙으로 이동시켜 상측으로 배출하는 회전식 분리기, 상기 회전식 분리기의 상부와 결합되어 승강되는 대형 버블들을 제거하여 외부로 분리하는 버블 분리기 및 상기 회전 분리기로부터 배출되는 버블수로부터 마이크로 및 나노 버블을 형성하는 다이아프램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KR 10-1157713 B1 (등록일자 2012년06월12일) KR 10-1188644 B1 (등록일자 2012년09월28일) KR 10-1203117 B1 (등록일자 2012년11월14일) KR 10-2016-0068530 A (공개일자 2016년06월15일)
본 발명은 가스 또는 공기를 나노크기 버블로 형성하여 액체에 혼합하는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이 개구된 저장용기(101);,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관(102);,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액체를 송출하는 송출관(103);, 상기 흡입관 및 송출관 사이에 형성되는 송출펌프(104);, 상기 송출관에 형성되는 기포발생기(10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102) 중간에 형성되며, 가스가 공급되는 혼합기(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앞에서 제시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와 연통되는 가스공급부(4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앞에서 제시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에 형성되며, 외부 액체가 추가로 보충되는 추가액체공급부(5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앞에서 제시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610);, 상기 저장용기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2수위센서(620);, 상기 송출관에 결합되는 각각의 제3밸브(630);, 상기 로드셀 및 제2수위센서의 신호를 감지하며, 제3밸브(630)를 제어하는 기포제어기(64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기체 또는 가스를 액체속에 나노크기의 버블로 형성하여 보관하며, 사용하므로 장시간 버블을 수용하는 액체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액체공급기는 정압으로 액체의 송출압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일정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가스를 기체로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공기를 수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혼합기는 액체의 유동속도를 이용하여 기체를 혼합하므로 기체를 수용시키기 위한 별도의 동력이 요구되지 않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저장용기에 나노버블발생기를 통해 저장하며, 상기 나노버블발생기는 복수로 수용되므로 버블량을 급속도로 형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저장용기는 액체 속에 수용된 버블량을 측정할 수 있으며, 버블량을 제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기액혼합기의 실시개념도.
도 2는 본 발명 기액혼합기의 혼압기 및 가스공급부 적용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 기액혼합기의 혼합기 내부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 기액혼합기의 가스공급부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 기액혼합기의 추가액체공급부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 기액혼합기의 추가액체공급부 상세 구조도.
도 7은 본 발명 기액혼합기의 기포제어기 및 사용공급 작동개념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1-1)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이 개구된 저장용기(101);,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관(102);,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액체를 송출하는 송출관(103);, 상기 흡입관 및 송출관 사이에 형성되는 송출펌프(104);, 상기 송출관에 형성되는 기포발생기(10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액체를 순환시키며, 순환과정 중 액체가 기포발생기를 통과하여 기포를 생성시킨다. 순환 용이성을 위해, 송출관 및 흡입관 사이에는 송출펌프를 장착한다. 또한, 기포발생기는 송출관에 형성된다. 즉, 액체는 흡입관을 통해 흡입되며, 송출관을 통해 배출되며, 배출과정 중 기포발생기에 의해 액체에 기포를 생성하며, 액체의 순환은 송출펌프에 의해 이루어진다.
(실시예 1-2)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기는 저장용기 내부 또는 외부에 수용되며, 나노크기의 버블을 형성하는 나노버블발생기(110);를 포함한다. 상기 기포발생기는 기포를 생성하며, 기포 크기를 조절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기포의 크기가 나노크기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나노크기의 기포는 액체속에 존속되는 시간을 늘릴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기포발생기는 송출관에 장착되나 필요에 따라 저장용기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 1-3)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기포발생기는 복수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기포 생성효율 향상을 위해 기포발생기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송출관에 형성된 기포발생기는 복수의 기포발생기가 병렬로 형성되어 필요에 따라 작동수를 조절할 수 있다.
(실시예 2-1)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102) 중간에 형성되며, 가스가 공급되는 혼합기(300);를 포함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본 발명 혼합기(300)는 양측이 직선으로 관통되는 직진도관(310);,일측이 상기 직진도관 중간에 연통되며, 타측이 외부의 가스공급관(440)과 연통되는 공급도관(320);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혼합기는가스와 액체를 혼합하는 장치이다. 혼합된 유체는 송출펌프를 통해 저장용기로 공급된다. 액체를 공급하는 흡입관은 직진도관과 연결되며, 가스는 가스공급관을 통해 직진도관 중간에서 공급된다.
(실시예 2-3)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직진도관은 내부에 단차를 형성하며, 단차 전후로 직경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 2-4)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2-3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은 저장용기와 혼합기에 형성되는 제1흡입관(102a); 및 상기 혼합기와 송출펌프 사이에 형성되는 제2흡입관(102b);으로 형성되며, 제1흡입관과 결합되는 직진도관 직경은 제2흡입관과 결합되는 직진도관 직경보다크게 형성한다. 직진도관을 통해서 액체속도가 증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직진도관 중간은 단차를 형성하며, 단차 전보다 단차 이후의 면적이 작다. 따라서, 액체가 진입되는 과정보다 토출되는 과정의 속도가 더 빠르다. 상기 공급도관의 위치는 직경이 작은 부위에 형성된다. 이는 속도가 빨라지므로 압력을 저하시키며, 부압을 발생시켜 가스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다.
(실시예 2-5)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직진도관 내부에 결합되며, 공급도관 위치에 형성되며, 판재형상으로 형성되는 유동가이드판(330)을 포함한다. 기체 흡입효율 향상 및 액체 층류 형성을 위해, 유동가이드판이 공급도관 내부에 결합된다. 상기 유동가이드판은 판재형상이므로 액체유동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2-6)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2-5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판은 복수로 형성되며, 평행 또는 십자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유동가이드는 하나 또는 2개 이상을 형성한다. 2개 이상의 유동가이드판이 형성될 경우, 십자형상으로 교차된 판이 진직도관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되며, 공급도관의 가스분출홀(370)은 상기 유동가이드 판들의 사이에 형성된다.
(실시예 2-7)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2-5에 있어서, 상기 유동가이드판은 단면이 유선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동가이드판이 유선형이면, 액체의 유속이 빨라지므로 가스분출홀로부터 분출된 가스의 흡입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예 3-1)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와 연통되는 가스공급부(400);를 포함한다. 기액혼압기는 특정가스를 추가로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가스공급부를 형성하며, 상기 가스공급부는 가스공급관을 통해 혼합기와 연통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가스공급부(400)는 가스공급통(410) 개구부(411)와 결합되는 결합부(420);,가스공급부 및 혼합기를 연통되는 가스공급관(440);을 포함한다. 기포는 가스로 이루어진다. 특정가스가 상기 기포를 형성하기 위해서, 특정가스가 가스공급부에 공급 되어야 한다. 다양한 가스가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다양한 가스공급통을 별도로 준비하며, 선택된 가스공급통 개구부를 가스공급부 결합부와 결합하여 가스를 공급한다.
(실시예 3-3)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부에 형성되는 공기진입구(431);, 상기 공기진입구에 형성되는 필터(430);를 포함한다. 대기중의 공기가 특정가스를 대신하여 공급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대기중의 공기가 진입되는 공기진입구를 형성한다. 상기 공기진입구는 가스공급관에 연결되며, 공기 중의 오염물질 및 불순물을 거르기 위해 필터를 장착한다.
(실시예 3-4)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3-3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 및 상기 공기진입구에 형성되는 기체방향제어밸브(450);를 포함한다. 실시예 3-4의 가스공급부는 특정가스를 공급하며, 필요한 경우, 대기중의 공기가 공급되는 경우를 제시하고 있다. 대기중의 공기가 특정가스와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결합부에는 기체방향제어밸브를 장착한다. 상기 기체방향제어밸브는 가스공급통이 결합된 경우, 가스공급통의 가스만 가스공급관으로 공급되며, 가스공급통이 결합부터 분리된 경우, 대기중의 공기만 공급되는 구조를 형성한다.
(실시예 3-5)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3-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에 형성되며, 결합부 및 개구부 사이를 밀폐시키는 실링(421);을 포함한다. 가스공급통개구부가 기체공급기와 결합되는 경우, 외부 공기가 상기 결합부로 진입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결합부 및 개구부 사이에는 실링을 장착한다. 상기 실링은 오링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균등한 대상이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3-6)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3-3에 있어서, 내부에 상기 필터를 수용하며, 공기진입구에 결합되는 필터카트리지(432);를 포함한다.
통상의 공기필터는 소모품 이므로, 일정한 주기로 교체해야 된다. 상기 필터를 교체하기 위해 필터를 수용하는 필터카트리지를 형성하며, 상기 필터카트리지가 공기진입구에 결합된다. 상기 필터카트리지는 공기진입구와 체결되기 위해, 체결수단을 형성하며, 상기 체결수단은 홈과 돌기에 의해 탄성 결합되거나, 판 스프링에 의해 결합되거나,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실시예 3-7)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가스공급관 중간에 형성되는 체크밸브(460);를 포함한다. 가스공급부의 가스 역류 방지를 위해, 가스공급관에는 체크밸브를 장착한다. 혼합기 내부의 액체속도가 이상 저하되는 경우, 액체는 공급도관을 통해 가스공급관으로 역류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체크밸브를 장착하여 일방향의 흐름만 가능하게 한다.
(실시예 4-1)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에 형성되며, 외부 액체가 추가로 보충되는 추가액체공급부(500);를 포함한다.
(실시예 4-2) 실시예4-1에 있어서, 추가액체공급부는 액체공간(511) 및 공기압충전공간(512)으로 구분되는 밀폐용기(510);, 상기 공기압충전공간과 연통되는 액체공급관(520);, 상기 공기압충전공간과 연통되는 공기압충전관(530);, 상기 액체공간 및 상기 흡입관을 연통하는 추가액체공급관(540);을 포함한다. 추가액체공급부는 기액혼합기에 액체를 추가로 보충한다. 상기 액체는 일정한 압력 및 온도를 유지해야 한다. 일정한 압력 공급을 위해, 액체공급기는 밀폐용기를 형성하며, 상기 밀폐용기는 액체공간 및 공기압충전공간으로 구분한다. 상기 액체공간에는 혼합기 투입용 액체를 수용하며, 상기 공기압충전공간은 공기압을 발생시켜, 상기 액체에 압력을 부여한다. 액체는 일정한 압력으로 추가액체공급관을 통해 흡입관으로보충액체를 공급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액체공급관(520) 에 형성되며, 액체 공급량을 제어하는 액체공급제어밸브(521);, 상기 액체공간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1수위센서(522);, 상기 제1수위센서 신호를 입력 받으며, 상기 액체공급제어밸브를 작동하는 수위제어기(523);를 포함한다. 액체공급기 공급용 액체는 액체공급관을 통해 투입된다. 상기 액체공급관에는 액체공급제어밸브를 형성하여 투입되는 액체량을 실시간으로 제어한다. 제1수위센서가 밀폐용기 내부에 장착되며, 이는 밀폐용기에 수용된 액체량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 제1수위센서 및 액체공급제어밸브는 수위제어기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된다.
(실시예 4-4)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액체공간에 수용되는 가열기(551);, 상기 액체공간에 결합되는 온도센서(552);, 상기 온도센서 신호를 입력 받으며, 상기 가열기를 작동하는 온도제어기(553);를 포함한다. 버블 온도는 섭씨 10도 내지 20도를 유지해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섭씨 15도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다. 이는 버블크기를 일정하게 유지하며, 버블의 생산효율을 최대한 높일 수 있는 임계적 의미를 가진다. 액체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가열기가 액체공간에 형성되며, 액체 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밀폐공간의 액체공간에 온도센서를 장착한다. 상기 온도제어기는 온도센서 신호를 입력받아 가열기 작동을 제어한다. 써머커플이 상기 온도센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와 유사한 목적과 효과를 달성하는 다른 구성이 치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냉각기를 장착할 수 있다. 이는 외부기온이 높은 경우, 액체의 온도를 저하시켜야 되며, 액체의 온도저하를 위해 냉각기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는 냉매를 순환시키거나, 또는 텔티어 소자를 이용하여 냉각할 수 있다.
(실시예 4-5)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충전관 중간에 형성되며, 공급유량을 제어하는 충진압제어밸브(531);, 상기 공기압충진관일측에 형성되며, 공기압을 발생시키는 에어컴프레서(532);를 포함한다. 상기 액체공간에 형성되며, 액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533);, 상기 압력센서 신호를 입력 받으며, 상기 충진압제어밸브를 작동하는 압력제어기(534);를 포함한다.흡입관에 일정한 액체압력 공급을 위해, 밀폐용기 내부는 일정한 압력을 유지해야 된다. 밀폐용기 압력 유지를 위해, 공기압충전공간에 공기를 충전한다. 즉, 공기압력에 의해 밀폐용기 액체는 압력을 발생하며, 일정한 압력유지를 위해 공기압력을 제어한다. 상기 공기압충전공간의 공압 발생을 위해, 공기압충전관에는 에어컴프레서를 장착하며, 이는 대기중의 공기를 공급한다. 액체압력의 측정은 액체공간에 장착된 압력센서에 의해 측정된다. 측정된 액체압력은 압력제어기에 의해 실시간으로 입력되며, 제어기는 충진압제어밸브를 작동시켜, 공압을 일정하게 유지한다. 다른 실시예로서, 밀폐용기의 공기압충전공간에 릴리프밸브를 장착하여 최고압력을 제한할 수 있다.
(실시예 5-1) 앞에 제시된 모든 실시예에 있이서, 상기 저장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610);, 상기 저장용기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2수위센서(620);, 상기 송출관에 결합되는 각각의 제3밸브(630);, 상기 로드셀 및 제2수위센서의 신호를 감지하며, 제3밸브(630)를 제어하는 기포제어기(640);를 포함한다. 저장용기에 수용되는 액체 중 기포량을 정확하게 계산해야 된다. 이를 위해, 수면높이를 측정하여 액체와 기포의 전체체적을 계산하며, 무게를 측정하여 액체의 무게를 계산한다. 따라서, 기포량을 환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저장용기 하부에는 로드셀을 장착하여 액체 무게를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저장용기 수위는 제2수위센서에 의해 측정하여 액체의 수용량을 실시간으로 측정한다. 송출관에는 제3밸브를 장착하며, 제3밸브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형성한다. 상기 솔레노이드밸브는 기포제어기에 의해 자동으로 작동되어 기포공급량을 제어한다. 또한 기포제어기는 로드셀 및 제2수위센서의 입력신호를 이용하여 제3밸브의 작동을 제어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저장용기의 하부와 연통되는 사용공급관(650);을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사용공급관에 형성되며, 공급량을 제어하는 사용공급제어밸브(660);를 포함한다.
(실시예 5-4) 본 발명의 기액혼합기는 실시예 5-3에 있어서, 상기 사용공급관에 형성되는 사용공급펌프(670);를 포함한다. 저장용기에는 액체 내부에 나노크기의 버블을 수용하고 있다. 수용된 버블을 사용처로 공급하기 위해 저장용기에는 사용공급관을 형성하며, 상기 사용공급관에는 사용공급제어밸브 및 사용공급펌프를 장착한다. 사용자가 나노버블이 포함된 액체를 사용하기 위해, 사용공급관을 통해 공급할 수 있다.
101 : 저장용기 102 : 흡입관
102a : 제1흡입관 102b : 제2흡입관
103 : 송출관 104 : 송출펌프
105 : 기포발생기
300 :혼합기 310 : 직진도관
320 : 공급도관 330 : 유동가이드판
370 :가스분출홀
400 :가스공급부 410 : 가스공급통
411 :개구부 420 : 결합부
421 :실링 430 : 필터
431 :공기진입구 432 : 필터카트리지
440 : 가스공급관 460 : 체크밸브
500 :추가액체공급부 510 : 밀폐용기
511 : 액체공간 512 : 공기압충전공간
520 : 액체공급관 521 : 액체공급제어밸브
522 : 제1수위센서 523 : 수위제어기
551 : 가열기 552 : 온도센서
553 : 온도제어기 531 : 충진압제어밸브
532 : 에어컴프레서 533 : 압력센서
534 : 압력제어기 540 : 추가액체공급관
610 :로드셀 620 : 제2수위센서
630 :제3밸브 640 : 기포제어기
650 :사용공급관 660 : 사용공급제어밸브
670 :사용공급펌프

Claims (5)

  1. 기액혼합기에 있어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일측이 개구된 저장용기(101);,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액체를 흡입하는 흡입관(102);,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되며, 액체를 송출하는 송출관(103);,
    상기 흡입관 및 송출관 사이에 형성되는 송출펌프(104);,
    상기 송출관에 형성되는 기포발생기(105);,
    상기 저장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로드셀(610);,
    상기 저장용기의 수위를 측정하는 제2수위센서(620);,
    상기 송출관에 결합되는 각각의 제3밸브(630);,
    상기 로드셀 및 제2수위센서의 신호를 감지하며, 제3밸브(630)를 제어하는 기포제어기(640);를 포함하는 기액혼합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102) 중간에 형성되며, 가스가 공급되는 혼합기(300);를 포함하는 기액혼합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와 연통되는 가스공급부(400);를 포함하는 기액혼합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입관에 형성되며, 외부 액체가 추가로 보충되는 추가액체공급부(500);를 포함하는 기액혼합기.
  5. 삭제
KR1020170126274A 2017-09-28 2017-09-28 기액혼합기 KR101842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274A KR101842510B1 (ko) 2017-09-28 2017-09-28 기액혼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274A KR101842510B1 (ko) 2017-09-28 2017-09-28 기액혼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510B1 true KR101842510B1 (ko) 2018-03-27

Family

ID=61874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274A KR101842510B1 (ko) 2017-09-28 2017-09-28 기액혼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5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326A (ko) * 2019-06-10 2020-12-1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버블수 생성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2472B2 (ja) * 2010-03-30 2015-02-18 国立大学法人三重大学 微細気泡形成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72472B2 (ja) * 2010-03-30 2015-02-18 国立大学法人三重大学 微細気泡形成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1326A (ko) * 2019-06-10 2020-12-18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버블수 생성장치
KR102379024B1 (ko) * 2019-06-10 2022-03-25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나노버블수 생성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Y166230A (en) Liquid container, liquid consuming apparatus, liquid supply system and liquid container unit
KR101080708B1 (ko) 미세기포 발생장치
JP2004527091A5 (ko)
CN201704092U (zh) 超微气泡水产生机
KR20170116255A (ko) 기체용해장치 및 기체용해방법
IL172625A0 (en) Inkjet device and method
US20210348106A1 (en) Gas dissolution device and algae cultivation device
US20230416125A1 (en) High-efficiency airlift pump
KR101842510B1 (ko) 기액혼합기
KR102128202B1 (ko) 자동제어가 적용된 나노버블발생장치
CN210103576U (zh) 一种低能耗高溶氧装置
CN114288883B (zh) 一种气泵式微气泡发生装置及热水器
CN102249361B (zh) 一种臭氧供气压力稳定装置及使用该装置的气浮反应器
CN109211643A (zh) 基于反复沉淀制备胶结钙质砂土的试验系统及其方法
CN211445245U (zh) 一种市政污水处理设备
KR101631867B1 (ko) 병렬공기순환형 해수의 이산화탄소분압 연속 측정 장치
US11603323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fresh water using a reverse osmosis membrane system
CN112656213A (zh) 一种可避免饮用水反复加热的饮水机及其使用方法
TW201726560A (zh) 氫水生成裝置及氫水生成方法
CN214765330U (zh) 一种二氧化碳反应装置
CN216756008U (zh) 一种带储气室的微气泡发生装置及热水器
CN201107670Y (zh) 精密液体稳压装置
CN114288884B (zh) 一种带储气室的微气泡发生装置及热水器
KR20150085862A (ko) 수처리용 기액혼합 장치
CN220276893U (zh) 一种高压均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