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2157B1 - 오파란 처리기 - Google Patents

오파란 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2157B1
KR101842157B1 KR1020160150346A KR20160150346A KR101842157B1 KR 101842157 B1 KR101842157 B1 KR 101842157B1 KR 1020160150346 A KR1020160150346 A KR 1020160150346A KR 20160150346 A KR20160150346 A KR 20160150346A KR 101842157 B1 KR101842157 B1 KR 101842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gg
crushing
drying
hopper
dry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50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종철
Original Assignee
손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종철 filed Critical 손종철
Priority to KR1020160150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21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2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2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of meat, fish waste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NMACHINES OR APPARATUS FOR TREATING HARVESTED FRUIT, VEGETABLES OR FLOWER BULBS IN BULK, NOT OTHERWISE PROVIDED FOR; PEELING VEGETABLES OR FRUIT IN BULK; APPARATUS FOR PREPARING ANIMAL FEEDING- STUFFS
    • A23N17/00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 A23N17/004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reparing animal feeding-stuffs for treating by application of heat, e.g. by means of potato cook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two or more co-operating rotors
    • B02C13/205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with two or more co-operating rotors arranged concentr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286Feeding or dischar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3/00Disintegrating by mills having rotary beater elements ; Hammer mills
    • B02C13/26Details
    • B02C13/30Driv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3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 F26B3/3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evelopment of heat within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e.g. by fermentation or other microbiological action by using electrical effects
    • F26B3/347Electromagnetic heating, e.g. induction heating or heating using microwave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i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파란이 투입되는 투입구 및 상기 오파란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오파란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공간을 제공하는 건조챔버; 상기 건조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챔버의 건조공간 내로 투입된 오파란을 건조시키기 위해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조사기; 및 상기 건조챔버에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는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과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오파란을 상하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를 가지며, 상기 오파란을 교반시키는 복수의 교반날개와, 상기 교반축에 정역회전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를 구비하는 교반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오파란 처리기{poor egg processing equipment}
본 발명은 오파란 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좀 더 상세하게는 건조챔버에 마이크로파 조사기가 설치되며, 교반축과 이에 형성된 이송부를 가지는 유선형의 교반날개가 교반모터로부터 정역회전력을 제공받음으로써 교반날개의 정역회전에 의해 오파란이 건조챔버 내에서 상하측으로 교반되면서 순환됨에 따라 오파란 전체에 마이크로파가 균일하게 조사되어 건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조처리 시간을 단축시키고, 입도 및 함수율 등의 품질이 우수한 사료용 원료를 획득할 수 있는 오파란 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료는 가축의 생명을 유지하고 젖·고기·알·털가죽 등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유기 또는 무기 영양소를 공급하는 물질로서, 좋은 사료는 영양소의 함량이 많고 가축에게 유해한 성분이 없으며 생산량이 많을 뿐 아니라 항상 쉽게 구할 수 있고 언제나 신선하고 소화율이 높은 것이어야 한다.
한편, 계란은 영양성분 및 면역성분이 매우 풍부하고 맛이 우수하여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중요한 식품 또는 식재료 중 하나로써 널리 이용되어 왔으며, 그 조리방법 역시 매우 다양하여 각종 식품의 소재로서 또는 2차 가공식품의 원료로서 산업상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해마다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계란의 수요 증가에 따라 많은 계란 생산농가는 하루에도 엄청난 양의 계란을 생산하고 있는데, 이 중 정상적인 계란 이외에 기형란인 오란, 껍질이 파손된 파란 등과 같이 식용으로 부적합한 불량란들이 다량으로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한 불량란들의 경우에도 영양학적으로 볼 때 정상란과 차이가 크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이고, 버려지는 난각(계란 껍질) 역시 칼슘을 다량으로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재활용하여 사료용 원료로서 사용을 권장하는 추세이다.
이에, 종래에는 난각을 제외한 난백(계란 흰자) 및 난황(계란 노른자)의 함수율이 각각 대략 89.9% 및 56.8%에 이르기 때문에 이를 건조 처리하여 사료용 원료로 사용하기 위한 오파란 처리기를 개시한 바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건조드럼 내에서 교반기를 통해 오파란을 교반시키면서, 열풍을 이용하여 건조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오파란이 투입되는 건조드럼의 내부 공기도 함께 가열되어 열손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으며, 이와 더불어 건조드럼 내에 투입된 오파란 전체에 균일한 열전달이 이루어지지 않아 건조 효율이 떨어지고, 건조 처리시간이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58836호(공고일자 2015.10.08.)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챔버에 마이크로파 조사기가 설치되며, 교반축과 이에 형성된 이송부를 가지는 유선형의 교반날개가 교반모터로부터 정역회전력을 제공받음으로써 교반날개의 정역회전에 의해 오파란이 건조챔버 내에서 상하측으로 교반되면서 순환됨에 따라 오파란 전체에 마이크로파가 균일하게 조사되어 건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조처리 시간을 단축시키고, 입도 및 함수율 등의 품질이 우수한 사료용 원료를 획득할 수 있는 오파란 처리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른 오파란 처리기는, 오파란이 투입되는 투입구 및 상기 오파란이 배출되는 배출구가 형성되며, 내부에 상기 오파란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공간을 제공하는 건조챔버; 상기 건조챔버에 설치되어 상기 건조챔버의 건조공간 내로 투입된 오파란을 건조시키기 위해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조사기; 및 상기 건조챔버에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는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과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오파란을 상하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를 가지며, 상기 오파란을 교반시키는 복수의 교반날개와, 상기 교반축에 정역회전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를 구비하는 교반기;를 포함하되, 상기 교반날개의 정역회전에 의해 상기 오파란이 상하측으로 교반되면서, 상기 건조챔버의 건조공간 내에서 순환됨에 따라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기에서 조사되는 마이크로파가 상기 오파란 전체에 균일하게 조사되어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교반축 방향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좁아지며 둘레가 곡선으로 이루어진 유선형으로 마련되는 구성이다.
상기 오파란 처리기는, 상기 건조챔버의 투입구에 설치되며, 상기 오파란의 난각을 파쇄하면서 난백 및 난황을 고형화시키기 위한 제 1 파쇄유닛 및 제 2 파쇄유닛이 일정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호퍼;를 더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호퍼에는 상기 오파란이 투입되는 호퍼 투입구 및 상기 호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오파란이 상기 제 1 파쇄유닛 및 제 2 파쇄유닛을 통해 파쇄된 난각과 고형화된 난백 및 난황을 배출시키는 호퍼 배출구가 형성되며, 상기 호퍼 배출구는 상기 건조챔버의 투입구와 연통되어 상기 제 1 파쇄유닛 및 제 2 파쇄유닛을 통과하면서 파쇄된 난각과 고형화된 난백 및 난황이 상기 건조챔버의 투입구 측으로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제 1 파쇄유닛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호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오파란의 난각을 파쇄시키기 위해 외측면에 복수의 제 1 파쇄날이 형성되는 제 1 파쇄기; 상기 제 1 파쇄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파쇄모터; 및 상기 제 1 파쇄기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 파쇄기를 통해 상기 오파란의 난각이 파쇄될 때에 상기 오파란의 난백 및 난황을 고형화시키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제 1 히터;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2 파쇄유닛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상기 호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오파란의 난각을 파쇄시키기 위해 외측면에 복수의 제 2 파쇄날이 형성되는 제 2 파쇄기; 상기 제 2 파쇄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2 파쇄모터; 및 상기 제 2 파쇄기 내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파쇄기를 통해 상기 오파란의 난각이 파쇄될 때에 상기 오파란의 난백 및 난황을 고형화시키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제 2 히터;를 포함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 1,2 파쇄기는 상기 제 1,2 파쇄모터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의 회전력을 각각 제공받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제 1,2 파쇄기의 사이로 통과되는 상기 오파란의 난각을 파쇄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호퍼에는 일측이 상기 제 1 파쇄기와 연결되며, 타측이 상기 제 2 파쇄기와 연결되어 상기 제 1 파쇄기 및 제 2 파쇄기의 사이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가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호퍼에는 상기 제 1,2 파쇄유닛과 상기 호퍼 배출구의 사이에 복수의 미세통공이 형성된 걸름망이 설치되며, 상기 걸름망은 상기 제 1,2 파쇄유닛을 통해 파쇄된 난각 중 상기 미세통공의 크기보다 큰 난각을 걸러내면서,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기에서 조사되는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폐시키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건조챔버에 마이크로파 조사기가 설치되며, 교반축과 이에 형성된 이송부를 가지는 유선형의 교반날개가 교반모터로부터 정역회전력을 제공받음으로써 교반날개의 정역회전에 의해 오파란이 건조챔버 내에서 상하측으로 교반되면서 순환됨에 따라 오파란 전체에 마이크로파가 균일하게 조사되어 건조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건조처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둘째, 건조챔버의 투입구에 파쇄기 및 히터를 구비하는 호퍼를 설치하여 난각을 미세하게 파쇄시키면서, 난백 및 난황을 고형화시키는 선행 공정이 이루어진 이후에 건조챔버로 투입되는 오파란의 건조 공정이 이루어지므로, 입도 및 함수율 등의 품질이 우수한 사료용 원료를 획득할 수 있다.
셋째, 호퍼 내 제 1,2 파쇄유닛과 호퍼 배출구의 사이에는 복수의 미세통공 및 표면에 차폐층이 형성된 걸름망이 설치됨으로써 제 1,2 파쇄유닛을 통해 파쇄된 난각 중 미세통공의 크기보다 큰 난각을 걸러내면서, 마이크로파 조사기에서 조사되는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폐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파란 처리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파란 처리기 내 교반기의 정역회전 및 오파란의 이동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파란 처리기 내 호퍼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파란 처리기의 호퍼 내 구성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파란 처리기의 제 1,2 분쇄유닛 및 간격조절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도록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들을 의미하며, 도면들에 있어서 층 또는 영역의 길이와 두께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덧붙여, 제 1 구성 요소가 제 2 구성 요소 "상"에 있다고 기재되는 경우, 상기 제 1 구성 요소가 상기 제 2 구성 요소와 직접 접촉하는 상측에 위치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구성 요소와 상기 제 2 구성 요소 사이에 제 3 구성 요소가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는 제 1 구성 요소와 제 2 구성 요소는 당업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파란 처리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2 및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파란 처리기 내 교반기의 정역회전 및 오파란의 이동방향을 나타내기 위해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파란 처리기 내 호퍼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파란 처리기의 호퍼 내 구성요소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파란 처리기의 제 1,2 분쇄유닛 및 간격조절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 내지 도6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파란 처리기(10)에 대해 설명하면, 오파란 처리기(10)는 건조챔버(100), 마이크로파 조사기(200), 교반기(300) 및 호퍼(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건조챔버(100)는 일측에 오파란이 투입되는 투입구(110) 및 타측에 오파란이 배출되는 배출구(120)가 형성되며, 내부에 오파란을 건조시키기 위한 건조공간(130)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투입구(110)를 통해 투입된 오파란을 건조공간(130)에서 건조 처리하여 함수율을 낮춘 이후에 배출구(120)를 통해 수거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마이크로파 조사기(200)는 건조챔버(100)에 설치되어 건조챔버(100)의 건조공간(130) 내로 투입된 오파란을 건조시키기 위해 마이크로파(microwave)를 조사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마이크로파 조사기(200)를 통해 건조챔버(100)의 건조공간(130) 내에서 오파란의 함수율을 낮추기 위한 건조공정이 진행되게 된다.
여기서, 마이크로파 조사기(200)는 실시하기에 따라 건조챔버(100)의 건조공간(130)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건조공간(130)의 전체에 마이크로파를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다.
교반기(300)는 건조챔버(100)에 설치되며, 마이크로파 조사기(200)를 통한 오파란의 건조공정시 오파란을 교반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이를 위해 정역회전하는 교반축(310)과, 교반축(310)과 수직으로 결합되어 오파란을 상하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321)를 가지며, 오파란을 교반시키는 교반날개(320)와, 교반축(310)에 정역회전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330)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교반모터(330)를 통한 이송부(321)를 가지는 교반날개(320)의 정역회전에 의해 오파란이 상하측으로 교반되면서, 건조챔버(100)의 건조공간(130) 내에서 순환됨에 따라 마이크로파 조사기(200)에서 조사되는 마이크로파가 오파란 전체에 균일하게 조사됨으로써 오파란의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교반날개(32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역회전을 통해 건조챔버(100)의 건조공간(130) 내에서 오파란을 교반시키면서 원활하게 순환시킬 수 있도록 교반축(310) 방향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좁아지며 둘레가 곡선으로 이루어진 유선형으로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반축(310)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번갈아가며 회전할 수 있도록 교반축(310)에 정역회전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330)를 이용함으로써 건조공간(130) 내에서 교반날개(320)의 정역회전에 의해 교반될 때에, 오파란이 상하측으로 이송되면서 도2의 A방향 및 도3의 B방향으로 번갈아가며 전후로 이송됨에 따라 건조공간(130) 내에서 순환되기 때문에 마이크로파가 오파란 전체에 균일하게 조사되는 건조공정이 이루어지므로, 오파란에 열전달이 균일하게 이루어져 건조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조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호퍼(400)는 도4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챔버(100)의 투입구(110)에 설치되며, 내부에 오파란의 난각을 파쇄(분쇄)하면서 난백 및 난황을 고형화시키기 위한 제 1 파쇄유닛(430) 및 제 2 파쇄유닛(440)이 일정 간격을 두고 평행하게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러한 호퍼(400)에는 오파란이 투입되는 호퍼 투입구(410)와 및 호퍼 투입구(410)를 통해 투입된 오파란이 제 1 파쇄유닛(430) 및 제 2 파쇄유닛(440)을 통해 파쇄된 난각과 고형화된 난백 및 난황을 배출시키는 호퍼 배출구(42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호퍼 배출구(420)는 건조챔버(100)의 투입구(110)와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건조챔버(100)의 투입구(110)로 제 1 파쇄유닛(430) 및 제 2 파쇄유닛(440)을 통해 파쇄된 난각과 고형화된 난백 및 난황을 건조챔버(100)의 투입구(110) 측으로 배출시킴으로써 파쇄 및 고형화 공정을 거친 오파란이 건조챔버(100)의 건조공간(130)에 투입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 1 파쇄유닛(430)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호퍼 투입구(410)를 통해 투입된 오파란의 난각을 파쇄시키기 위해 외측면에 복수의 제 1 파쇄날(432)이 형성되는 제 1 파쇄기(431), 제 1 파쇄기(4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파쇄모터(433) 및 제 1 파쇄기(431) 내에 구비되어 제 1 파쇄기(431)를 통해 오파란의 난각이 파쇄될 때에 오파란의 난백 및 난황을 고형화시키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제 1 히터(43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파쇄유닛(440)은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어 호퍼 투입구(410)를 통해 투입된 오파란의 난각을 파쇄시키기 위해 외측면에 복수의 제 2 파쇄날(442)이 형성되는 제 2 파쇄기(441), 제 2 파쇄기(44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2 파쇄모터(443) 및 제 2 파쇄기(441) 내에 구비되어 제 2 파쇄기(441)를 통해 오파란의 난각이 파쇄될 때에 오파란의 난백 및 난황을 고형화시키기 위한 열을 발생시키는 제 2 히터(4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2 파쇄기(431, 441)는 제 1,2 파쇄모터(433, 443)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의 회전력을 각각 제공받아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2 파쇄기(431, 441)의 사이로 통과되는 오파란의 난각을 효율적으로 파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파쇄기(431)가 제 1 파쇄모터(433)로부터 정방향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정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제 2 파쇄기(441)는 제 2 파쇄모터(443)로부터 역방향의 회전력을 제공받아 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2 파쇄기(431, 441)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호퍼(400)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제 1 파쇄기(431)와 연결되며, 타측이 제 2 파쇄기(441)와 연결되어 제 1 파쇄기(431) 및 제 2 파쇄기(441)의 사이간격(D)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450)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간격조절부(45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450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제 1,2 파쇄기(431, 441)의 사이로 오파란이 통과될 때에 제 1,2 파쇄기(431, 441)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모터(450a)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따라 상기 간격조절부(450)를 통해 제 1,2 파쇄기(431, 441)의 사이 간격(D)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사료용 원료로서 적합하도록 미세한 크기로 난각을 파쇄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파란의 크기에 따라 이에 알맞은 사이간격(D)을 조절할 수 있어 좀 더 효율적인 파쇄공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호퍼(400)에는 제 1,2 파쇄유닛(430, 440)과 호퍼 배출구(420)의 사이에 해당하는 오파란의 배출경로에 복수의 미세통공(H)이 형성된 걸름망(46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름망(460)은 제 1,2 파쇄유닛(430, 440)을 통해 파쇄된 난각 중 미세통공의 크기보다 큰 난각을 걸러내면서, 마이크로파 조사기(200)에서 조사되는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걸름망(460)은 마이크로파를 차폐하기 위해 실시하기에 따라 금속 재질의 차폐층(461)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파란 처리기(10)의 전반적인 처리공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오파란은 호퍼 투입구(410)를 통해 호퍼(400) 내로 투입되어 제 1,2 파쇄유닛(430, 440) 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제 1,2 파쇄모터(433, 443)로부터 서로 다른 방향의 회전력을 제공받은 제 1,2 파쇄기(431, 441)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모터(450a)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에 따라 간격조절부(450)를 통해 제 1,2 파쇄기(431, 441)의 사이간격(D)이 조절되기 때문에 난각을 효율적으로 파쇄시킴은 물론, 사료용 원료로서 적합한 크기(입도)로 난각을 미세하게 파쇄시킬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파쇄 공정이 진행되는 동시에 제 1,2 파쇄기(431, 441) 내에 구비되는 제 1,2 히터(434, 444)를 통해 난백 및 난황이 고형화되고, 파쇄된 난각과 고형화된 난백 및 난황이 호퍼 배출구(420)를 통해 배출될 때에, 그 배출경로에 설치된 걸름망(460)을 통과하면서 난각 중 미세통공(H)의 크기보다 큰 난각이 걸러져 미세한 난각과 난백 및 난황이 호퍼 배출구(420)와 연통되는 건조챔버(100)의 투입구(110)로 투입된다.
즉, 본 발명은 건조챔버(100)의 투입구(110)에 제 1,2 파쇄유닛(430, 440)을 구비하는 호퍼(400)를 설치하여 난각을 미세하게 파쇄시키면서, 난백 및 난황을 고형화시키는 선행 공정이 이루어진 이후에 건조챔버(100) 내로 투입되는 오파란의 건조 공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건조 공정에서의 열전달 효율을 더욱 높이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건조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후에, 건조챔버(100)의 투입구(110)를 통해 건조챔버(100)의 건조공간(130) 내로 투입된 오파란(난각, 난백 및 난황)은 교반기(300)에 의한 교반되면서, 마이크로파 조사기(300)에 의한 건조 공정이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건조챔버(100)의 건조공간(130) 내에서 교반축(310)에 정역회전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330)에 의해 교반축(310) 및 교반축(310)에 형성된 복수의 교반날개(320)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오파란의 교반 공정이 이루어지면서, 건조챔버(100)의 건조공간(130) 내에서 오파란이 정역방향으로 번갈아가며 이동함에 따라 순환이 이루어짐으로써, 마이크로파 조사기(200)에서 조사되는 마이크로파를 내부에 위치한 오파란까지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어 열전달 효율이 높은 오파란의 건조 공정이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파란이 건조챔버(100)의 투입구(110)에 설치되는 호퍼(400) 내에서 제 1,2 파쇄유닛(430, 440)을 통해 1차적으로 파쇄 및 고형화 공정이 이루어진 이후에, 건조챔버(100)의 투입구(110)를 통해 건조챔버(100)의 건조공간(130)으로 파쇄된 난각과 난백 및 난황이 투입되어 교반기(300)를 통해 교반 및 건조 공정이 2차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입도 및 함수율 수준이 적합한 고품질의 사료용 원료를 획득할 수 있게 된다.
10 : 오파란 처리기
100 : 건조챔버 110 : 투입구
120 : 배출구 130 : 건조공간
200 : 마이크로파 조사기 300 : 교반기
310 : 교반축 320 : 교반날개
321 : 이송부 330 : 교반모터
400 : 호퍼 410 : 호퍼 투입구
420 : 호퍼 배출구 430 : 제 1 파쇄유닛
431 : 제 1 파쇄기 432 : 제 1 파쇄날
433 : 제 1 파쇄모터 434 : 제 1 히터
440 : 제 2 파쇄유닛 441 : 제 2 파쇄기
442 : 제 2 파쇄날 443 : 제 2 파쇄모터
444 : 제 2 히터 450 : 간격조절부
460 : 걸름망 461 : 차폐층

Claims (9)

  1. 오파란이 투입되는 투입구 및 상기 오파란 파쇄에 따른 난백과 난황을 배출하는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오파란을 건조시키는 건조공간이 제공되는 건조챔버; 상기 건조챔버에 설치되고, 상기 건조공간 내로 투입된 난백 및 난황을 건조시키기 위한 마이크로파를 조사하는 마이크로파 조사기; 및, 상기 건조챔버에 설치되어 정역회전하는 교반축과, 상기 교반축과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난백 및 난황을 상하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부를 가지며, 상기 난백 및 난황을 교반시키는 교반시키는 복수의 교반날개와, 상기 교반축에 정,역회전력을 제공하는 교반모터를 구비하는 교반기; 를 포함하되,
    상기 건조챔버 투입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오파란이 투입되는 호퍼 투입구와, 상기 호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오파란의 난각 파쇄시 그 파쇄에 따른 난각과 고형화된 난백 및 난황을 상기 건조챔버의 투입구 측으로 배출하기 위한 호퍼 배출구가 형성되는 호퍼;
    상기 호퍼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호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오파란의 난각을 파쇄하면서 난백 및 난황을 고형화시키도록 열을 발생시키는 제 1 히터가 내장되는 제 1 파쇄유닛;
    상기 제 1 파쇄유닛과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는 것으로, 상기 호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는 오파란의 난각을 파쇄하면서 난백 및 난황을 고형화시키도록 열을 발생시키는 제 2 히터가 내장되는 제 2 파쇄유닛;
    상기 제 1 파쇄유닛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제 2 파쇄유닛에 타측이 연결되면서 모터의 구동력을 제공받는 것으로, 난각을 사료용 원료에 적합한 미세한 크기로 파쇄시키거나 오파란 크기에 따라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 1,2 파쇄유닛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간격조절부;
    상기 제 1,2 파쇄유닛을 통해 파쇄된 난각 중 미세통공의 크기보다 큰 난각을 걸러내면서 난백 및 난황을 통과시키는 복수의 미세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2 파쇄유닛과 상기 호퍼 배출구 사이에 설치되는 걸름망; 및,
    상기 미세통공과 동일한 미세통공을 가지면서 상기 걸름망의 하면에 적층 결합되며, 상기 마이크로파 조사기에서 상기 건조공간으로 조사되는 마이크로파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도록 차폐시키는 금속재질의 차폐층; 을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파란 처리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날개는 상기 교반축 방향으로 갈수록 면적이 점차 좁아지며 둘레가 곡선으로 이루어진 유선형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파란 처리기.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파쇄유닛은,
    상기 제 1 히터가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호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오파란의 난각을 파쇄시키기 위해 외측면에 복수의 제 1 파쇄날이 형성되는 제 1 파쇄기; 및,
    상기 제 1 파쇄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1 파쇄모터;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파란 처리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파쇄유닛은,
    상기 제 2 히터가 내부에 구성되는 것으로서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상기 호퍼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오파란의 난각을 파쇄시키기 위해 외측면에 복수의 제 2 파쇄날이 형성되는 제 2 파쇄기; 및,
    상기 제 2 파쇄기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 2 파쇄모터;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파란 처리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150346A 2016-11-11 2016-11-11 오파란 처리기 KR101842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346A KR101842157B1 (ko) 2016-11-11 2016-11-11 오파란 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50346A KR101842157B1 (ko) 2016-11-11 2016-11-11 오파란 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2157B1 true KR101842157B1 (ko) 2018-05-14

Family

ID=62187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0346A KR101842157B1 (ko) 2016-11-11 2016-11-11 오파란 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215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2266Y1 (ko) * 2005-01-26 2005-04-19 (주)웨이브트로닉스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처리장치
JP2006105447A (ja) * 2004-10-01 2006-04-20 Osaka Gas Co Ltd 真空乾燥装置
KR101558836B1 (ko) * 2015-01-13 2015-10-08 박성규 오파란 처리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05447A (ja) * 2004-10-01 2006-04-20 Osaka Gas Co Ltd 真空乾燥装置
KR200382266Y1 (ko) * 2005-01-26 2005-04-19 (주)웨이브트로닉스 마이크로파를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건조처리장치
KR101558836B1 (ko) * 2015-01-13 2015-10-08 박성규 오파란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3022A (en) Method of grinding and cooking whole grain
JP6531333B2 (ja) 低塩キムチの製造システム
JP2772200B2 (ja) 予め調理されたセリアル食品の製造方法
CN207546671U (zh) 一种畜牧业用饲料粉碎烘干筛选装置
AU776707B2 (en) Rotor disperser and use thereof for manufacturing foodstuffs from vegetal materials
KR101842157B1 (ko) 오파란 처리기
JPS62228233A (ja) 動物飼料の製造方法及び装置
KR101655880B1 (ko) 신속 낱잎 김치 제조시스템
KR101655883B1 (ko) 신속 세절 맛김치 제조시스템
RU2660906C1 (ru) Сверхвысокочастотная установка со сферическим резонатором для термообработки сырья животн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в непрерывном режиме
JP2001321146A (ja) 米飯残渣の乾燥方法及び回転ドラム式乾燥機
CN105771775A (zh) 气泡型混滚式筛选型饲料混料机
CN206498930U (zh) 一种效率高的宠物饲料搅拌装置
JPS5621566A (en) Preparation of bifun from homegrown rice and apparatus used for it
CN210206501U (zh) 一种新型除湿搅拌装置
CN102599620A (zh) 宠物食品的制作装置及宠物食品的制作方法
JP2710546B2 (ja) 鶏卵を主原料とした飼料の製造装置
KR20220157082A (ko) 해조류 및 탈지분유를 함유하는 인조미의 제조방법.
RU2641076C2 (ru) Способ приготовления корма и/или кормовой добавки для сельскохозяйственных животных, птиц и рыб
KR20080097531A (ko) 생콩의 미세분말 제조시스템
RU2729153C2 (ru) Микроволновая установка с коническими резонаторами для термообработки непищевых отходов животн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в непрерывном режиме
CN216738243U (zh) 一种食用油制作用快速加热烘炒装置
CN216409621U (zh) 一种生物工程用产品快速干燥装置
CN211794229U (zh) 一种瓜子的烘干设备
CN114209075B (zh) 一种宠物食品生产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