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691B1 -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 - Google Patents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691B1
KR101841691B1 KR1020160140330A KR20160140330A KR101841691B1 KR 101841691 B1 KR101841691 B1 KR 101841691B1 KR 1020160140330 A KR1020160140330 A KR 1020160140330A KR 20160140330 A KR20160140330 A KR 20160140330A KR 101841691 B1 KR101841691 B1 KR 1018416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nted circuit
circuit board
vortex
metal
valuable me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0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순표
Original Assignee
홍순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순표 filed Critical 홍순표
Priority to KR1020160140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6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6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6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7/00Working up raw materials other than ores, e.g. scrap, to produce non-ferrous metals and compounds thereof; Methods of a general interest or applied to the winning of more than two metals
    • C22B7/001Dry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7/00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 B07B7/04Selective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carried by, or dispersed in, gas currents by impingement against baffle sepa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00Preliminary treatment of ores or scrap
    • C22B1/005Preliminary treatment of scrap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1/00Obtaining noble metals
    • C22B11/02Obtaining noble metals by dry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BPRODUCTION AND REFINING OF METALS; PRETREATMENT OF RAW MATERIALS
    • C22B15/00Obtaining copper
    • C22B15/0026Pyrometallurgy
    • C22B15/0056Scrap tr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 Y02W30/82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는, 투입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이 강제 송풍력에 의해 이송관의 경사진 굴곡 통로를 따라 상승될 때 와류 형성에 의해 불순물으로부터 큰 입자의 유가금속이 분리되면서 이송관의 일측에 형성된 유가금속배출구를 통해 1차 배출되어 회수되고, 이송관을 통해 와류통으로 공급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은 와류통에서 발생되는 와류 형성에 의해 불순물으로부터 작은 입자의 유가금속이 분리되면서 와류통의 하부에 형성된 유가금속배출구를 통해 2차 배출되어 회수되며, 유가금속을 제외한 불순물은 와류통 내에 설치된 상부 및 하부측 중앙흡입관과 다수의 측면흡입관을 통해 집진흡입기로 흡입되어 집진되는 건식 구조이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나 폐수 등의 환경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으면서 친환경적으로 용이하게 유가금속을 회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APPARATUS FOR RECOVERING HIGH-VALUE METALS FROM WASTE PRINTED CIRCUIT BOARDS}
본 발명은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파쇄 및 분쇄된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건식에 의해 구리 등의 유가금속을 분리 및 회수할 수 있는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기/전자제품의 대량생산 및 대량소비가 이루어짐에 따라 전기/전자 폐기물이 대량 발생되고 있으며, 아울러 이러한 전기/전자제품에는 전자회로의 신호처리를 위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 내지 실장인쇄회로기판(PCBA;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이하에서는 편의상 "폐인쇄회로기판"이라고 함)가 필수적으로 사용되고 있어 폐인쇄회로기판 또한 폐기물로 대량 발생됨에 따라 생산 업체에서는 이로 인하여 폐전자기기의 처리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으며, 환경오염 또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폐인쇄회로기판은 기판재와 기판에 장착된 각종 전자부품으로 구성되며, 인쇄회로기판 폐기물의 구성 성분은 일반적으로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스테르(Polyester) 및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로 되는 약 30%의 플라스틱 성분, 실리카, 알루미나 및 알칼리-알카리토산화물로 되는 약 40%의 난용성산화물(이하에서는 편의상 "비유가금속"이라고 함)로 이루어져 있으며, 구리(Cu), 철(Fe), 니켈(Ni), 주석(Sn), 납(Pb), 알루미늄(Al), 아연(Zn), 금(Au), 은(Ag), 팔라듐(Pd)과 같은 약 30%의 금속(이하에서는 편의상 "유가금속"이라고 함)이 함유되어 있다.
이러한 폐인쇄회로기판에 함유되어 있는 유가금속을 회수하여 재이용할 수 있으며, 이는 자원의 활용과 환경오염의 예방 측면에서 대단히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폐인쇄회로기판은 1Kg 당 수백 mg의 금(Au)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금광에서 채굴되는 금광석에 함유된 금의 평균량인 10 mg/Kg 에 비하여 상당히 많다. 이들은 상당한 고가의 금속 또는 귀금속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들 유가금속을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효하게 회수하여 재활용하기 위한 기술이 활발히 제안되고 있다.
현재 상용화된 폐인쇄회로기판 처리방법은 비철제련소의 고온 용융로에 폐인쇄회로기판을 정광과 함께 투입하여 용융 및 습식제련에 의해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 소각로에 폐인쇄회로기판을 투입하여 유기물질을 소각하여 제거하고 남아 있는 재 속의 유가금속을 산화 분해하거나 고온 용융로에서 용융시킨 후 습식처리방법에 의해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이 있다.
습식처리방법으로 널리 사용하는 종래의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03-0006792호(특허문헌)는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폐인쇄회로기판의 분쇄, 풍력선별, 정전선별 및 자력선별 후, 황산과 과산화수소수를 이용하여 구리, 철, 아연, 니켈 및 알루미늄성분을 용해 분리시키고, (NH4)2S2O3, CuSO4 및 NH4OH 용액을 이용하여 금 및 은을 용해 분리시키고, 염수를 이용하여 납을 용해 분리시키고, 황수를 이용하여 팔라듐을 용해 분리시키는 기술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종래의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은 산을 이용하여 금속성분을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침출시켜 회수하는 방법이므로, 침출율을 판단할 수 있는 기준이 없어 경험에 의존할 수밖에 없으며, 또한 이산화탄소나 폐수 등의 환경 오염물질 배출이 과다한 단점이 있어 아직 상업화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3-0006792호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유가금속을 회수하는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서, 분쇄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건식에 의해 구리 등의 유가금속과 그 외의 불순물을 분리할 때 이산화탄소나 폐수 등의 환경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으면서 친환경적으로 빠른 시간에 많은 량의 유가금속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는, 점차 높아지면서 일정 거리마다 일정 각도로 굴곡 형성된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의 하부 입구측 상단에 설치되어 이송관의 내부로 분쇄 가공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을 투입하는 호퍼와, 상기 이송관의 하부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를 통해 투입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이송관을 따라 흐르도록 강제 송풍하는 송풍기와, 상기 이송관의 상부 출구측과 상부가 연결되어 이송관으로부터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을 공급받아서 와류 형성에 의해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에 포함된 작은 입자의 유가금속은 자중에 의해 벽면을 타고 흘러내려 외부로 회수되도록 하부에 유가금속배출구가 형성된 와류통과, 상기 와류통의 내부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중앙에 각각 설치되어 와류 형성에 의해 와류통의 중앙으로 분산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유가금속을 제외한 불순물을 하부에서 상부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상부 및 하부측 중앙흡입관과, 상기 와류통의 내부 하부 높이 가장자리에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각각 설치되어 와류 형성에 의해 와류통의 가장자리 하부로 분산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유가금속을 제외한 불순물을 하부에서 상부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다수의 측면흡입관과, 상기 상부 및 하부측 중앙흡입관 및 다수의 측면흡입관과 연결되어 흡입되는 불순물을 여과시킨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흡입기를 구성하되,
상기 이송관은, 상기 호퍼와 송풍기가 설치되도록 하부에 수평으로 지지되는 870~1500㎜ 길이의 제1 몸통과, 상기 제1 몸통의 출구단과 통로가 연결되면서 45~60°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지지되는 870~1500㎜ 길이의 제2 몸통과, 상기 제2 몸통의 출구단과 통로가 연결되면서 45~60°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지지되는 870~1500㎜ 길이의 제3 몸통과, 상기 제3 몸통의 출구단과 통로가 연결되면서 45~60°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지지되는 870~1500㎜ 길이의 제4 몸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몸통에는, 중간 길이측 바닥에 이송관을 따라 송풍 바람에 의해 흐르면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으로부터 선별된 큰 입자의 유가금속이 1차 배출되도록 하부로 개구되게 형성된 유가금속배출구와, 출구측에 이송관을 따라 흐르는 송풍 바람이 충돌되어 와류 형성을 유도함에 따라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에 포함된 큰 입자의 유가금속의 흐름이 정체되어 상기 유가금속배출구 쪽으로 밀려 나가도록 천정 쪽 부분만 일부 개방되면서 제2 몸통의 입구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고 유가금속배출구의 중심과 40-150㎜ 거리를 두고 설치된 선별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는, 투입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이 강제 송풍력에 의해 이송관의 경사진 굴곡 통로를 따라 상승될 때 와류 형성에 의해 불순물으로부터 큰 입자의 유가금속이 분리되면서 이송관의 일측에 형성된 유가금속배출구를 통해 1차 배출되어 회수되고, 이송관을 통해 와류통으로 공급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은 와류통에서 발생되는 와류 형성에 의해 불순물으로부터 작은 입자의 유가금속이 분리되면서 와류통의 하부에 형성된 유가금속배출구를 통해 2차 배출되어 회수되며, 유가금속을 제외한 불순물은 와류통 내에 설치된 상부 및 하부측 중앙흡입관과 다수의 측면흡입관을 통해 집진흡입기로 흡입되어 집진되는 건식 구조이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나 폐수 등의 환경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으면서 친환경적으로 용이하게 유가금속을 회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를 도시한 전체 정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에 대한 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는, 점차 높아지면서 일정 거리마다 일정 각도로 굴곡 형성된 이송관(10)과, 상기 이송관(10)의 하부 입구측 상단에 설치되어 이송관(10)의 내부로 분쇄 가공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을 투입하는 호퍼(20)와, 상기 이송관(10)의 하부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20)를 통해 투입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을 이송관(10)을 따라 흐르도록 강제 송풍하는 송풍기(30)와, 상기 이송관(10)의 상부 출구측과 상부가 연결되어 이송관(10)으로부터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을 공급받아서 와류 형성에 의해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에 포함된 작은 입자의 유가금속(3)은 자중에 의해 벽면을 타고 흘러내려 외부로 회수되도록 하부에 유가금속배출구(42)가 형성된 와류통(40)과, 상기 와류통(40)의 내부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중앙에 각각 설치되어 와류 형성에 의해 와류통(40)의 중앙으로 분산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으로부터 유가금속(3)을 제외한 불순물을 하부에서 상부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상부 및 하부측 흡입관(50a)(50b)과, 상기 와류통(40)의 내부 하부 높이 가장자리에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각각 설치되어 와류 형성에 의해 와류통(40)의 가장자리 하부로 분산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으로부터 유가금속(3)을 제외한 불순물을 하부에서 상부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다수의 제2 흡입관(52)과, 상기 상부 및 하부측 중앙흡입관(50a)(50b) 및 다수의 측면흡입관(52)과 연결되어 흡입되는 불순물을 여과시킨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흡입기(60)로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이송관(10)은 지면으로부터 다수의 지지프레임(70)에 의해 일정 높이에 지지되도록 일정 거리마다 일정 각도로 꺽이면서 점차 높아지게 연결된 굴곡 형상으로서, 상기 호퍼(20)와 송풍기(30)가 설치되도록 하부에 수평으로 지지되는 제1 몸통(10a)과, 상기 제1 몸통(10a)의 출구단과 통로가 연결되면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지지되는 제2 몸통(10b)과, 상기 제2 몸통(10b)의 출구단과 통로가 연결되면서 일정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지지되는 제3 몸통(10c)과, 상기 제3 몸통(10c)의 출구단과 통로가 연결되면서 일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지지되는 제4 몸통(10d)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상기 제1 몸통(10a), 제2 몸통(10b), 제3 몸통(10c), 제4몸통(10d)의 길이는 870~1500㎜를 각각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들 연결 각도는 45~60°를 각각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몸통(10b)의 중간 길이측 바닥에는 이송관(10)을 따라 송풍 바람에 의해 흐르면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으로부터 선별된 큰 입자의 유가금속(3)이 1차 배출되도록 하부로 개구된 유가금속배출구(1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 몸통(10b)의 출구측에는 이송관(10)을 따라 흐르는 송풍 바람이 충돌되어 와류 형성을 유도함에 따라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에 포함된 큰 입자의 유가금속(3)의 흐름이 정체되어 상기 유가금속배출구(12) 쪽으로 밀려 나가도록 천정 쪽 부분만 일부 개방되면서 제2 몸통(10b)의 입구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된 선별필터(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유가금속배출구(12)의 중심과 선별필터(14)의 거리는 40-150㎜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송풍기(30)는 상기 이송관(10)의 하부 입구측에 설치되어 송풍 바람을 이송관(10)의 내부로 강제 흡입시키도록 챔버, 모터, 팬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와류통(40)은 지면으로부터 다수의 지지프레임(70)에 의해 일정 높이에 지지되는 원통 형상으로서, 그 상부에서 하부 일정 높이까지는 이송관(10)을 통해 공급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이 벽면을 타고 회전되면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같은 지름을 이루도록 수직되게 형성되고, 그 하부 일정 높이에서 유가금속배출구(42)까지는 작은 입자의 유가금속(3)이 가장자리측 벽면을 타고 흐르면서 한가운데로 모아져 유가금속배출구(42)를 통해 배출되도록 깔때기 모양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및 하부측 중앙흡입관(50a)(50b)은 그 흡입구가 하부로 향하도록 상기 와류통(40)의 내부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중앙에 수직으로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부측 제1 중앙흡입관(50a)의 흡입구는 와류통(40)의 측면에 연결된 이송관(10)의 출구측 높이보다 낮게 위치되고, 하부측 중앙흡입관(50b)의 흡입구는 상기 유가금속배출구(42)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 위치됨과 동시에 상기 다수의 측면흡입관(52)과 같은 높이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측면흡입관(52)의 흡입구는 상기 와류통(40)의 하부 가장자리 둘레에 대하여 상기 유가금속배출구(42)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 위치되면서 와류통(40)의 내벽 및 하부측 중앙흡입관과 일정 거리 이격된 높이에 위치되어 있다.
상기 집진흡입기(60)는 상기 상부 및 하부측 중앙흡입관(50a)(50b)과 다수의 측면흡입관(52)으로부터 흡입된 불순물을 여과시킨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챔버, 여과필터, 모터, 팬의 조립체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 80은 유가금속배출구(12)(42)에서 배출되는 유가금속(3)을 회수하는 대차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를 이용하여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으로부터 건식에 의해 불순물을 분리하여 순수한 구리 등의 유가금속(3)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존 분쇄기(미도시)에 의해 파쇄 및 분쇄 가공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을 도 1과 같이 호퍼(20)에 투입하면, 송풍기(30)의 가동에 따라 발생된 송풍 바람이 호퍼(20)를 통해 이송관(10)의 하부 입구측으로 투입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을 이송관(10)의 출구측으로 흐르도록 밀어 올리게 된다.
즉, 이송관(10)은 일정 거리마다 일정 각도로 굴곡 형성되면서 점차 높아지도록 지지프레임(70)에 의해 지지되는 제1 몸통(10a), 제2 몸통(10b), 제3 몸통(10c), 제4 몸통(10d)의 연결체로 이루어져 있고, 이들 중 제2 몸통(10b)의 출구측에 유가금속배출구(12)와 선별필터(14)가 설치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이송관(10)의 하부 입구측을 통해 공급된 송풍 바람은 굴곡 부분과 선별필터(14)의 충돌에 의해 강한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에 포함된 큰 입자의 유가금속(3)은 비중차이에 따라 이송관(10)의 바닥을 타고 흐르게 되고, 작은 입자의 유가금속(3)과 그 외의 불순물과 함께 와류를 타고 이송관(10)의 출구측을 통해 와류통(40)의 내부로 분사된다.
이때, 이송관(10)의 바닥을 타고 흐르는 큰 입자의 유가금속(3)은 자중에 의해 제1 몸통(10a)에서 제2 몸통(10b)의 바닥을 타고 흐르다가 출구측 높이에 설치된 선별필터(14)에 충돌하면서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고 선별필터(14)의 앞쪽에 위치한 유가금속배출구(12)를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유가금속배출구(12)의 하부에 위치한 대차(80)에 낙하되어 회수된다.
그리고 이송관(10) 내의 와류를 타고 흐르는 작은 입자의 유가금속(3)과 그 외의 불순물은 선별필터(14)의 상부 개방 통로를 통과하여 와류통(40)의 내부 상측으로 경사지게 분사(공급)될 때 와류통(40)의 내부에서 와류를 형성함으로써 작은 입자의 유가금속(3)과 그 외의 불순물이 다시 분리된다.
이때, 작은 입자의 유가금속(3)은 자중에 의해 와류통(40)의 하부로 떨어지거나 와류통(40)의 내벽을 타고 흘러내리면서 와류통(40)의 하부에 형성된 유가금속배출구(42)을 통해 배출됨과 동시에 유가금속배출구(12)의 하부에 위치한 대차(80)에 낙하되어 회수된다.
그리고 와류통(40)에서 와류 형성에 의해 중앙으로 비산된 불순물은 대부분 상부 및 하부측 중앙흡입관(50a)(50b)의 흡입구를 통해 집진흡입기(60)로 보내어지고, 와류통(40)에서 와류 형성에 의해 내벽으로 비산된 불순물은 작은 입자의 유가금속(3)과 함께 낙하되다가 와류통(40) 내의 하부 둘레에 일정 거리를 두고 각각 설치된 다수의 측면흡입관(52)의 흡입구를 통해 집진흡입기(60)로 보내어진다.
이때, 집진흡입기(60)는 상부 및 하부측 중앙흡입관(50a)(50b)과 다수의 측면흡입관(52)에서 보내온 불순물을 여과시킨 후 순수한 공기만을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는 투입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이 강제 송풍력에 의해 이송관(10)의 경사진 굴곡 통로를 따라 상승될 때 와류 형성에 의해 불순물으로부터 큰 입자의 유가금속(3)이 분리되면서 이송관(10)의 일측에 형성된 유가금속배출구(12)를 통해 1차 배출되어 회수되고, 이송관(10)을 통해 와류통(40)으로 공급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은 와류통(40)에서 발생되는 와류 형성에 의해 불순물으로부터 작은 입자의 유가금속(3)이 분리되면서 와류통(40)의 하부에 형성된 유가금속배출구(42)를 통해 2차 배출되어 회수되고, 유가금속(3)을 제외한 불순물은 와류통(40)의 내부에 설치된 상부 및 하부측 중앙흡입관(50a)(50b)과 다수의 측면흡입관(52)을 통해 집진흡입기(60)로 흡입되어 집진되는 건식 구조이기 때문에 이산화탄소나 폐수 등의 환경 오염물질을 배출하지 않으면서 친환경적으로 빠른 시간에 많은 량의 유가금속(3)을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 3 : 유가금속
10 : 이송관 10a,10b,10c,10d : 제1 내지 제4 몸통
12 : 유가금속배출구 14 : 선별필터
20 : 호퍼 30 : 송풍기
40 : 와류통 42 : 유가금속배출구
50a : 상부측 중앙흡입관 50b : 하부측 중앙흡입관
52 : 측면흡입관 60 : 집진흡입기
70 : 지지프레임

Claims (8)

  1. 점차 높아지면서 일정 거리마다 일정 각도로 굴곡 형성된 이송관(10)과, 상기 이송관(10)의 하부 입구측 상단에 설치되어 이송관(10)의 내부로 분쇄 가공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을 투입하는 호퍼(20)와, 상기 이송관(10)의 하부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호퍼(20)를 통해 투입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이 이송관(10)을 따라 흐르도록 강제 송풍하는 송풍기(30)와, 상기 이송관(10)의 상부 출구측과 상부가 연결되어 이송관(10)으로부터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을 공급받아서 와류 형성에 의해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에 포함된 작은 입자의 유가금속(3)은 자중에 의해 벽면을 타고 흘러내려 외부로 회수되도록 하부에 유가금속배출구(42)가 형성된 와류통(40)과, 상기 와류통(40)의 내부 상하 일정 거리를 두고 중앙에 각각 설치되어 와류 형성에 의해 와류통(40)의 중앙으로 분산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으로부터 유가금속(3)을 제외한 불순물을 하부에서 상부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상부 및 하부측 중앙흡입관(50a)(50b)과, 상기 와류통(40)의 내부 하부 높이 가장자리에 둘레방향을 따라 일정 거리를 두고 각각 설치되어 와류 형성에 의해 와류통(40)의 가장자리 하부로 분산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으로부터 유가금속(3)을 제외한 불순물을 하부에서 상부로 흡입하여 배출시키는 다수의 측면흡입관(52)과, 상기 상부 및 하부측 중앙흡입관(50a)(50b) 및 다수의 측면흡입관(52)과 연결되어 흡입되는 불순물을 여과시킨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집진흡입기(60)를 구성하되,
    상기 이송관(10)은, 상기 호퍼(20)와 송풍기(30)가 설치되도록 하부에 수평으로 지지되는 870~1500㎜ 길이의 제1 몸통(10a)과, 상기 제1 몸통(10a)의 출구단과 통로가 연결되면서 45~60°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지지되는 870~1500㎜ 길이의 제2 몸통(10b)과, 상기 제2 몸통(10b)의 출구단과 통로가 연결되면서 45~60° 각도로 상향 경사지게 지지되는 870~1500㎜ 길이의 제3 몸통(10c)과, 상기 제3 몸통(10c)의 출구단과 통로가 연결되면서 45~60°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지지되는 870~1500㎜ 길이의 제4 몸통(10d)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몸통(10b)에는, 중간 길이측 바닥에 이송관(10)을 따라 송풍 바람에 의해 흐르면서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으로부터 선별된 큰 입자의 유가금속(3)이 1차 배출되도록 하부로 개구되게 형성된 유가금속배출구(12)와, 출구측에 이송관(10)을 따라 흐르는 송풍 바람이 충돌되어 와류 형성을 유도함에 따라 분말상태의 폐인쇄회로기판(1)에 포함된 큰 입자의 유가금속(3)의 흐름이 정체되어 상기 유가금속배출구(12) 쪽으로 밀려 나가도록 천정 쪽 부분만 일부 개방되면서 제2 몸통(10b)의 입구측으로 볼록하게 만곡되고 유가금속배출구(12)의 중심과 40-150㎜ 거리를 두고 설치된 선별필터(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60140330A 2016-10-26 2016-10-26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 KR1018416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330A KR101841691B1 (ko) 2016-10-26 2016-10-26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0330A KR101841691B1 (ko) 2016-10-26 2016-10-26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1691B1 true KR101841691B1 (ko) 2018-03-26

Family

ID=61910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0330A KR101841691B1 (ko) 2016-10-26 2016-10-26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6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230B1 (ko) 2002-04-12 2004-11-09 신상오 호퍼로다의 집진장치
KR100496199B1 (ko) * 2004-11-19 2005-06-20 주식회사 광산기공 부유비중차를 이용한 모래 선별장치
KR101466887B1 (ko) * 2013-06-07 2014-12-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쇄회로기판의 금속 단체분리장치
KR101521245B1 (ko) 2013-12-23 2015-05-18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코팅용 세라믹 분말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6230B1 (ko) 2002-04-12 2004-11-09 신상오 호퍼로다의 집진장치
KR100496199B1 (ko) * 2004-11-19 2005-06-20 주식회사 광산기공 부유비중차를 이용한 모래 선별장치
KR101466887B1 (ko) * 2013-06-07 2014-12-04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쇄회로기판의 금속 단체분리장치
KR101521245B1 (ko) 2013-12-23 2015-05-18 주식회사 포스코 방향성 전기강판 코팅용 세라믹 분말 분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3444B2 (en) Process for the recycling of waste batteries and waste printed circuit boards in molten salts or molten metals
Kaya Current WEEE recycling solutions
WO2015098232A1 (ja) 電気・電子部品屑の処理方法
KR101691011B1 (ko) 철 분리 효율이 향상된 유가금속 회수장치
JP6785243B2 (ja) 使用済み電子回路基板のリサイクル方法およびそのリサイクル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140021552A (ko) 백금족 금속 농축물의 정제 방법
US10058894B2 (en) Device for cleaning and fine-sorting grain metallurgical waste fines and method for cleaning and fine-sorting grain metallurgical waste fines
KR101691014B1 (ko) 유가금속 회수장치
JP2007050354A (ja) 粉取り装置
CN104785500A (zh) 一种电路板干式分离回收系统和工艺
CN205095945U (zh) 一种提取废矿渣中铁精粉的装置
KR101841691B1 (ko) 폐인쇄회로기판에서 유가금속 회수장치
KR101779126B1 (ko) 회수효율을 향상시킨 유가금속 회수장치
CN108405553A (zh) 线路板分类回收装置
CN205797513U (zh) 一种用于起尘点扬尘处理的定点除尘装置
JP2006150196A (ja) 酸化In系スクラップ粉からブラスト粉を分離する粉末濃縮方法
WO2018198042A1 (en) Process and device for recovering metal
KR101779123B1 (ko) 청소가 용이한 고효율적 유가금속 회수장치
CN108889431A (zh) 一种废旧金属破碎机用除尘装置
KR102253624B1 (ko) 기판 부품 탈거장치
JP2012246546A (ja) 金属の回収方法
CN105463198A (zh) 一种综合回收烟气中有价金属的除尘装置和方法
CN109092531A (zh) 一种破碎系统及破碎方法
CN215142941U (zh) 一种热浸镀锌锌灰中金属锌分离提取装置
CN217807538U (zh) 一种高温合金粉末加工用防扬尘的输送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