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641B1 -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 - Google Patents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641B1
KR101841641B1 KR1020160017066A KR20160017066A KR101841641B1 KR 101841641 B1 KR101841641 B1 KR 101841641B1 KR 1020160017066 A KR1020160017066 A KR 1020160017066A KR 20160017066 A KR20160017066 A KR 20160017066A KR 101841641 B1 KR101841641 B1 KR 101841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album
photo
im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7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5543A (ko
Inventor
유정열
Original Assignee
(주)유신당피씨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유신당피씨에스 filed Critical (주)유신당피씨에스
Priority to KR1020160017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641B1/ko
Publication of KR201700955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5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F17/30241
    • G06F17/30268
    • G06F17/30705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기기에 탑재되는 어플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로 저장된 사진 이미지를 포토앨범관리서버에 저장 보관하여, 보관된 이미지에 재처리 기술을 더하여 출력된 횟수 및 촬영순서, 촬영장소, 촬영일시 및 시각, 파일포맷, 사진크기, 사용자의 메모 등을 사진 이미지 내에 기록하여 수많은 이미지들을 분류하고, 검색하기에 용이하게 하며, 필요시 레이아웃을 이용하여 전자앨범으로 구성하고, 전자앨범을 기념 앨범으로 인쇄 출력하여 실제 앨범을 오프라인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또한 히스토리별 사진군을 관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별, 날짜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도맵을 활용하여 사진이미지들을 화면에 출력시킬 수 있는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Automatic layout photo album Processing System using history}
본 발명은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마트기기에 탑재되는 어플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로 저장된 사진 이미지를 포토앨범관리서버에 저장 보관하여, 보관된 이미지에 재처리 기술을 더하여 출력된 횟수 및 촬영순서, 촬영장소, 촬영일시 및 시각, 파일포맷, 사진크기, 사용자의 메모 등을 사진 이미지 내에 기록하여 수많은 이미지들을 분류하고, 검색하기에 용이하게 하며, 필요시 레이아웃을 이용하여 전자앨범으로 구성하고, 전자앨범을 기념 앨범으로 인쇄 출력하여 실제 앨범을 오프라인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며, 또한 히스토리별 사진군을 관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별, 날짜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도맵을 활용하여 사진이미지들을 화면에 출력시킬 수 있는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또는 오프라인의 포토앨범을 제작하기 위한 소정의 앨범 제작 시스템에 대한 기술적 사상이 널리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앨범 제작 시스템은 앨범의 각 페이지를 구성함에 있어, 각 페이지별로 수록될 수록사진이나 수록사진의 배치형태, 수록사진의 수 등을 사용자가 일일지 직접 설정하고 편집해야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로는 한국공개특허(공개번호 10-2011-0092414, "개인화된 대량의 포토앨범 제작 시스템 및방법", 이하 '선행기술')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를 통해 포토앨범 제작용 사진들을 업로드하고, 업로드된 사진들을 이용하여 개인화된 대량의 포토앨범을 제작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포토앨범의 전체 페이지를 각각의 용도(예컨대, 공통 페이지, 그룹 페이지, 개인 페이지 등)에 따라 구분하고, 각각의 용도별 페이지 분량에 따라 개인화된 포토앨범을 제작하여 제공하고 있으나, 상기 포토 앨범에 포함되는 각 페이지별로 수록될 수록사진, 상기 수록사진의 수, 상기 각 페이지별 레이아웃 등 개별 페이지의 구성은 자동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며, 작업자에 의해 일일이 편집되어야 하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하나의 포토앨범을 제작하는데 그 시간과 비용이 증가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상기 선행기술이 개인화된 포토앨범을 제작하는 만큼 각각의 개인별로 포토앨범의 각 페이지마다 편집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진다.
따라서, 포토앨범을 제작함에 있어 상기 포토앨범에 포함되는 각 페이지별 구성(예컨대, 수록사진, 수록사진의 수, 레이아웃 등)이 자동으로 결정될 수 있어 보다 간편하고 용이하게 포토앨범을 제작할 수 있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된다.
또한, 개인별 포토앨범을 제작하는데 있어서도 각 개인별로 번거로운 별도의 편집작업을 수행하지 않고도 편리하게 개인별 포토앨범이 제작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사상이 요구되며, 사진 이미지마다 세로 사진, 가로 사진 등이 혼재되어 있을 경우에 일일히 작업자에 의해 가로 앨범 레이아웃 혹은 세로 앨범 레이아웃에 맞게 회전을 시키는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작업 시간이 상당히 지연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10-2011-0092414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히스토리별 사진군을 관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별, 날짜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도맵을 활용하여 사진이미지들을 화면에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마트기기에 탑재되는 어플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로 저장된 사진 이미지를 포토앨범관리서버에 저장 보관하여, 보관된 이미지에 재처리 기술을 더하여 출력된 횟수 및 촬영순서, 촬영장소, 촬영일시 및 시각, 파일포맷, 사진크기, 사용자의 메모 등을 사진 이미지 내에 기록하여 수많은 이미지들을 분류하고, 검색하기에 용이하게 하며, 필요시 레이아웃을 이용하여 전자앨범으로 구성하고, 전자앨범을 기념 앨범으로 인쇄 출력하여 실제 앨범을 오프라인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진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헤더 정보를 분석하여 일반 스마트기기에서 촬영된 사진인지 전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인지를 판단하여 이에 따라 자이로센서 탑재 유무를 분석한 후 탑재 유무에 따라 사진 이미지의 재처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이로센서가 탑재되지 않은 카메라로 촬영된 사진 이미지 상의 윤곽선을 추출한 후 얼굴 부위가 존재하는 지를 분석한 후, 얼굴 부위가 존재할 경우에 얼굴 부위의 위치에 따라 회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얼굴 부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평선 추출을 통해 수평선 요소가 다수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회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은,
포토 앨범에 포함될 사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사진이미지획득부(110)와;
사진 이미지에 메모 삽입 유무를 설정하거나, 가로 앨범 혹은 세로 앨범 중 어느 하나의 앨범 타입을 설정하기 위한 포토앨범설정부(120)와;
상기 포토앨범설정부에 의해 메모 삽입 설정시, 해당 메모 설정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메모설정페이지제공부(130)와;
상기 메모 설정 페이지에 기입된 메모 정보와 포토앨범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앨범 타입 정보 및 사진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여 포토앨범관리서버(300)로 제공하기 위한 어플설정정보제공부(140)와;
히스토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장소 혹은 날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히스토리설정부(150)와;
상기 설정된 장소 혹은 날짜 정보를 포토앨범관리서버(300)에 제공한 후, 해당 장소 혹은 날짜 정보에 해당하는 사진이미지 정보들을 획득하기 위한 히스토리정보획득부(160)와;
상기 히스토리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사진이미지 정보들을 참조하여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화면출력처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히스토리분류어플(100),을 탑재하고 있는 스마트기기(200),
스마트기기에서 송출된 메모 정보와 앨범 타입 정보 및 사진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포토앨범정보획득부(310)와;
상기 포토앨범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정보 중 앨범 타입 정보를 추출하여 가로 앨범 제작인지, 세로 앨범 제작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앨범타입분석부(320)와;
상기 포토앨범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사진 이미지 내 헤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앨범타입분석부에 의해 판단된 가로 앨범 혹은 세로 앨범에 맞추어 해당 사진이미지를 회전시킬 것인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포토앨범제작부로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헤더분석부(330)와;
상기 이미지헤더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헤더 정보 중 사진이 촬영된 기기의 모델명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사진촬영기기모델명추출부(340)와;
상기 사진 촬영 기기별 제조사명, 모델명 정보, 모델별 자이로센서 유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조사정보디비(350)와;
상기 추출된 모델명 정보를 획득하여 제조사정보디비에 저장된 모델명 정보와 대비하여 자이로센서 탑재 유무를 분석하기 위한 자이로센서유무분석부(360)와;
상기 자이로센서유무분석부에 의해 분석 결과, 자이로 센서가 존재할 경우에는 사진 이미지 정보를 포토앨범제작부에 제공하며, 자이로 센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사진 이미지 상에서 윤곽선을 추출하여 얼굴 부위를 판단한 후, 얼굴 부위가 설정된 방향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방향에 존재할 경우에는 사진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며,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설정된 각도로 사진 이미지를 회전시키기 위한 분석결과처리부(370)와;
원본 사진 이미지 혹은 변경된 사진 이미지 정보, 메모 정보, 헤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진이미지정보디비(380)와;
상기 이미지헤더분석부에 의해 제공된 판단 결과값을 획득하여 해당 사진이미지를 페이지 레이아웃에 매칭시키거나, 사진 이미지를 회전시켜 페이지 레이아웃에 매칭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거나, 상기 분석결과처리부에 의해 제공된 사진 이미지를 페이지 레이아웃에 매칭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포토앨범제작부(3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토앨범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본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게 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을 지니는 본 발명에 따른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은,
히스토리별 사진군을 관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별, 날짜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도맵을 활용하여 사진이미지들을 화면에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자신이 촬영한 사진이미지들을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기기에 탑재되는 어플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로 저장된 사진 이미지를 포토앨범관리서버에 저장 보관하여, 보관된 이미지에 재처리 기술을 더하여 출력된 횟수 및 촬영장소, 촬영일시 및 시각, 사용자의 메모 등을 사진 이미지 내에 기록하여 수많은 이미지들을 분류하고, 검색하기에 용이하게 하며, 필요시 레이아웃을 이용하여 전자앨범으로 구성하고, 전자앨범을 기념 앨범으로 인쇄 출력하여 실제 앨범을 오프라인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복합한 조작없이도 어플을 통해 제공된 다수의 사진 이미지들을 설정된 방향에 맞게 자동적으로 매칭시켜 포토 앨범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진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헤더 정보를 분석하여 일반 스마트기기에서 촬영된 사진인지 전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인지를 판단하여 이에 따라 자이로센서 탑재 유무를 분석한 후 탑재 유무에 따라 사진 이미지의 재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이로센서가 탑재되지 않은 카메라로 촬영된 사진 이미지 상의 윤곽선을 추출한 후 얼굴 부위가 존재하는 지를 분석한 후, 얼굴 부위가 존재할 경우에 얼굴 부위의 위치에 따라 회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하며, 얼굴 부위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평선 추출을 통해 수평선 요소가 다수 존재하는 위치에 따라 회전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설정된 방향에 맞게 자동적으로 매칭시켜 포토 앨범을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포토앨범관리서버에서 획득된 메모 정보와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저장시킴에 있어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저장된 헤더 정보에 고객 아이디, 장소, 날짜, 사진 이미지별 메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추가하여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갱신하여 저장하게 된다.
상기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갱신 저장된 사진 이미지별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키워드 정보가 존재하는 사진 이미지들을 추출하여 포토 앨범을 제작할 수 있게 되어 추후에 사용자가 필요한 사진들을 언제든지 자유롭게 추출하여 키워드별 포토 앨범 제작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의 히스토리분류어플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의 포토앨범관리서버 블록도이다.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에 의해 가로앨범 레이 아웃에 세로 방향 사진 혹은 가로 방향 사진이 배치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에 의해 스마트기기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 이미지가 자이로센서에 의해 보정되는 예시도이며, 도 6은 전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 이미지가 자이로센서에 의한 보정이 아닌 시스템 처리에 의해 보정되는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에 의해 얼굴 윤곽선 추출이 안될 경우에 수평 요소에 의해 보정되는 예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에 의해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저장되는 데이터 필드 예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히스토리별 이미지들을 지도맵을 통해 표시되는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의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의 전체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은, 크게 히스토리분류어플(100)을 탑재하고 있는 다수의 스마트기기(200), 포토앨범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하게 된다.
상기 스마트기기와 포토앨범관리서버는 네트워크망을 통해 서로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게 된다.
상기 히스토리분류어플은 스마트기기에 설치되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히스토리분류어플은 포토앨범 제작을 위한 사진을 획득하거나, 포토앨범의 구성을 결정할 수 있도록 소정의 툴을 제공하고, 상기 스마트기기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이용하여 포토앨범을 제작할 수 있는 정보를 포토앨범관리서버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스마트기기는 각종 모바일 단말기(예컨대, 스마트 폰, 태블릿(tablet) PC 등)와 같이 소정의 애플리케이션 시스템이 설치될 수 있거나 소정의 서버 및/또는 웹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스마트기기로 설명하였으나, 일반 컴퓨터단말기 혹은 노트북을 통해 포토앨범 제작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본 발명이 추구하고자 하는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한 것이다.
상기 포토앨범관리서버(300)는 다수의 스마트기기들로부터 제공되는 포토앨범 제작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의 히스토리분류어플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히스토리분류어플은 스마트기기에 탑재되어 사진이미지 및 각종 설정 정보를 포토앨범관리서버로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히스토리분류어플(100)은,
포토 앨범에 포함될 사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사진이미지획득부(110)와;
사진 이미지에 메모 삽입 유무를 설정하거나, 가로 앨범 혹은 세로 앨범 중 어느 하나의 앨범 타입을 설정하기 위한 포토앨범설정부(120)와;
상기 포토앨범설정부에 의해 메모 삽입 설정시, 해당 메모 설정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메모설정페이지제공부(130)와;
상기 메모 설정 페이지에 기입된 메모 정보와 포토앨범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앨범 타입 정보 및 사진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여 포토앨범관리서버(300)로 제공하기 위한 어플설정정보제공부(140)와;
히스토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장소 혹은 날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히스토리설정부(150)와;
상기 설정된 장소 혹은 날짜 정보를 포토앨범관리서버(300)에 제공한 후, 해당 장소 혹은 날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히스토리정보획득부(160)와;
상기 히스토리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정보를 참조하여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화면출력처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사진이미지획득부(110)는 포토 앨범에 포함될 사진 이미지를 획득하게 되는데, 사진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하여 어플 상에 사용자가 해당 이미지들을 선택하기 위한 설정 페이지를 제공하게 되며 이러한 기술은 일반적인 기술이므로 사진 이미지를 선택하는 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겠다.
또한, 상기 포토앨범설정부(120)는 사진 이미지에 메모 삽입 유무를 설정하거나, 가로 앨범 혹은 세로 앨범 중 어느 하나의 앨범 타입을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포토 앨범을 제작할 때,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 즉, 가로 앨범으로 제작할 것인지, 아니면 세로 앨범으로 제작할 것인지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창 혹은 설정 아이콘을 어플 상에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메모설정페이지제공부(130)는 포토앨범설정부에 의해 메모 삽입 설정시, 해당 메모 설정 페이지를 제공하게 된다.
즉, 사진 이미지에 대한 설명을 사용자가 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하여 메모 삽입 유무를 설정할 수 있는 설정 아이콘과 설정시 메모를 작성할 수 있는 작성페이지 등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어플설정정보제공부(140)는 메모 설정 페이지에 기입된 메모 정보와 포토앨범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앨범 타입 정보 및 사진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여 포토앨범관리서버(300)로 제공하게 된다.
상기 앨범 타입 정보는 사용자가 설정한 것이 세로 앨범이면 세로 앨범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히스토리설정부(150)는 히스토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장소 혹은 날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페이지를 제공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2015년 1월 1일부터 2016년 1월 1일까지를 설정하게 되면, 해당 1년 동안의 모든 사진이미지 리스트들을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장소를 설악산으로 설정하게 되면 날짜와는 무관하게 설악산에서 촬영한 모든 사진이미지 리스트들을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장소 및 날짜 모두 적용하게 되면 사진이미지 리스트를 줄어들게 될 것이다.
상기 히스토리정보획득부(160)는 상기 설정된 장소 혹은 날짜 정보를 포토앨범관리서버(300)에 제공한 후, 해당 장소 혹은 날짜 정보에 해당하는 사진이미지 정보들을 획득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화면출력처리부(170)는 히스토리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사진이미지 정보들을 참조하여 화면에 출력하게 된다.
즉,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촬영된 장소에 따라 사진이미지들을 분류하고, 시간의 순서에 따라 화살표 방향을 표시하게 되면 사용자가 2007년부터 2015년까지 포토앨범 제작을 위하여 제공된 사진이미지 정보들을 직관적으로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지도맵에 상기 설정된 장소 위치를 맵핑시켜 해당 사진이미지들을 썸네일 형태로 출력하거나, 지도맵에 상기 설정된 날짜에 획득된 사진이미지들을 촬영한 장소 위치를 맵핑시켜 썸네일 형태로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지도맵 이외에도 사용자가 지정한 기호나 형상에 맵핑시켜 제공할 수도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사진을 어디서 찍었는지, 언제 찍었는지를 자동으로 분류하여 정리해주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의 포토앨범관리서버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포토앨범관리서버(300)는 포토앨범정보획득부(310)와; 앨범타입분석부(320)와; 이미지헤더분석부(330)와; 사진촬영기기모델명추출부(340)와; 제조사정보디비(350)와; 자이로센서유무분석부(360)와; 분석결과처리부(370)와; 사진이미지정보디비(380)와; 포토앨범제작부(39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된다.
상기 포토앨범정보획득부(310)는 스마트기기에서 송출된 메모 정보와 앨범 타입 정보 및 사진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앨범타입분석부(320)는 포토앨범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정보 중 앨범 타입 정보를 추출하여 가로 앨범 제작인지, 세로 앨범 제작인지를 판단하게 된다.
예를 들어, 가로 앨범은 001, 세로 앨범은 011 라는 식별번호를 부여하고, 스마트기기로부터 001 이라는 식별번호를 획득하게 되면 가로 앨범 레이아웃을 이용하여 포토 앨범을 제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이미지헤더분석부(330)는 상기 포토앨범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사진 이미지 내 헤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앨범타입분석부에 의해 판단된 가로 앨범 혹은 세로 앨범에 맞추어 해당 사진이미지를 회전시킬 것인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포토앨범제작부로 제공하게 된다.
즉, 도 4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 앨범이라면 해당 레이 아웃 상에 사진 이미지를 배치하게 될 것이다.
그런데, 제공받은 사진 이미지가 세로 방향 사진이라면, 설정 방향 즉, 관리자에 의해 반시계 방향 90도 회전으로 설정해놓게 되면, 해당 설정 방향으로 사진 이미지를 회전시켜 가로 앨범 레이 아웃 상에 매칭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설정 방향에 따라 자동으로 변환이 가능하므로 종래처럼 작업자가 일일히 사진을 보면서 회전을 시키는 번거로운 단순 작업을 생략하게 되어 작업 공정 시간이 대폭적으로 축소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로앨범 레이아웃에 사진 이미지가 가로 방향 사진이라면 그래도 적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듯,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포토 앨범의 방향이 가로 앨범인지 세로 앨범인지에 따라 제공받은 사진 이미지를 그대로 적용할 것인가, 아니면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시켜 적용할 것인가를 판단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사진촬영기기모델명추출부(340)는 이미지헤더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헤더 정보 중 사진이 촬영된 기기의 모델명 정보를 추출하게 된다.
헤더 정보에는 촬영 시간, 너비, 높이, 파일 크기, 제조업체, 모델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해당 헤더 정보를 분석하여 사진을 촬영한 기기의 모델명 정보를 추출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삼성 갤럭시 5 등과 같은 모델명 정보를 추출하는 것이다.
상기 제조사정보디비(350)에는 사진 촬영 기기별 제조사명, 모델명 정보, 모델별 자이로센서 유무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삼성전자, 삼성 갤럭시 5, 자이로센서 있음 등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며, 캐논, 캐논 100D, 자이로센서 없음 등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자이로센서유무분석부(360)는 추출된 모델명 정보를 획득하여 제조사정보디비에 저장된 모델명 정보와 대비하여 자이로센서 탑재 유무를 분석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삼성 갤럭시 5라면 자이로센서는 있다는 것을 분석해내는 것이다.
이후, 상기 분석결과처리부(370)는 자이로센서유무분석부에 의해 분석 결과, 자이로 센서가 존재할 경우에는 사진 이미지 정보를 포토앨범제작부에 제공하게 된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자면, 스마폰의 경우에는 카메라가 왼쪽에 위치하면 정면으로 촬영하게 되는 것이지만, 만약 오른쪽에 위치하면 촬영되는 사진은 거꾸로 뒤집어지게 되지만, 실제 저장된 사진 이미지는 정면으로 처리하게 된다.
이는 자이로센서가 존재하므로 이를 통해 보정되어 정면으로 처리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일반적인 스마트폰의 경우에는 사진 이미지가 거꾸로 뒤집히는 일이 발생할 수 없지만, 전문 카메라의 경우에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를 뒤집어서 촬영하게 되면 자이로센서가 존재하지 않는 전문 카메라라면 설정된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는데, 예를 들어 180도 회전으로 설정하게 되면 180도 회전시켜 사진 이미지를 보정하여 정면으로 촬영한 것처럼 처리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자이로센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다른 문제점은 사람이 존재하느냐에 따라 처리되는 방식을 달리하여 처리하게 된다.
즉, 자이로 센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사진 이미지 상에서 윤곽선을 추출하여 얼굴 부위를 판단한 후, 얼굴 부위가 설정된 방향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방향에 존재할 경우에는 사진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즉, 얼굴 부위의 윤곽선은 눈, 코, 입 등을 추출하는 것이며, 얼굴 부위가 설정된 방향 예를 들어, 중앙선을 기준으로 상측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사진 이미지는 정면(정방향) 즉, 거꾸로 배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사진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얼굴 이미지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설정된 각도로 사진 이미지를 회전시키게 된다.
즉, 180도 회전으로 설정하면 180도 회전을 시켜 정방향으로 위치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분석결과처리부(370)는, 사물이미지판단모듈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는데, 이는 얼굴 부위에 대한 판단이 불가능할 경우에,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선 요소를 분석하여 수평선 요소가 하측에 다수 존재할 경우에는 설정된 방향에 인체 이외의 사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사진 이미지 정보를 포토앨범제작부로 제공하게 된다.
즉, 정방향(거꾸로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함.)이므로 사진 이미지를 포토앨범제작부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반면에 수평선 요소를 분석하여 수평선 요소가 중앙선을 기준으로 상측에 다수 존재할 경우에는 관리자에 의해 180도 회전으로 설정하였다면,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킨 후 회전된 사진 이미지 정보를 포토앨범제작부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사진이미지정보디비(380)에는 원본 사진 이미지 혹은 변경된 사진 이미지 정보, 메모 정보, 헤더 정보를 저장하고 있게 된다.
상기 변경된 사진 이미지 정보는 회전 발생시, 회전 발생된 사진 이미지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포토앨범제작부(390)는 이미지헤더분석부에 의해 제공된 판단 결과값을 획득하여 해당 사진이미지를 페이지 레이아웃에 매칭시키거나, 사진 이미지가 원하는 방향이 아닐 경우에 사진 이미지를 회전시켜 페이지 레이아웃에 매칭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분석결과처리부에 의해 제공된 사진 이미지를 페이지 레이아웃에 매칭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포토앨범관리서버(300)는,
획득된 메모 정보와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저장시키기 위한 추가정보처리부(395)와;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저장된 헤더 정보에 고객 아이디, 장소, 날짜, 사진 이미지별 메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추가하여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갱신하여 저장시키기 위한 헤더정보변경처리부(396);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추가정보처리부(395)는 획득된 메모 정보와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저장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어플 상에 메모를 입력하는 페이지에 정보를 입력하게 되면 해당 입력 정보를 획득하게 되는 것이며,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저장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헤더정보변경처리부(396)는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저장된 헤더 정보에 고객 아이디, 장소, 날짜, 사진 이미지별 메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추가하여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갱신하여 저장시키게 된다.
즉,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아이디, 성명, 장소, 날짜, 메모 정보 등을 저장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포토앨범관리서버(300)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설정된 키워드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갱신 저장된 사진 이미지별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키워드 정보가 존재하는 사진 이미지들을 추출하여 포토앨범제작부로 제공하기 위한 설정키워드별사진이미지추출부(397)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설정키워드별사진이미지추출부(397)는 스마트기기로부터 설정된 키워드 정보를 획득할 경우에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갱신 저장된 사진 이미지별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해당 키워드 정보가 존재하는 사진 이미지들을 추출하여 포토앨범제작부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키워드를 가족이라 설정하면 해당 키워드 정보를 획득하여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저장된 헤더 정보 상에 가족이라는 데이터 필드를 추출하여 다수의 사진 이미지들을 추출하여 포토앨범제작부로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또 다른 부가적인 양상에 따라 상기 포토앨범관리서버(300)는,
스마트기기에서 제공된 장소 혹은 날짜 정보를 참조하여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저장된 헤더 정보에 포함된 고객 아이디, 장소, 날짜, 사진이미지별 메모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장소 혹은 날짜에 해당하는 사진이미지들을 추출하기 위한 히스토리정보추출부(398);를 더 포함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즉, 히스토리정보추출부는 장소 혹은 날짜 정보를 참조하여 히스토리별 사진군을 자동 분류하는 방식으로서, 상기한 키워드별 추출과는 다른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사진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때는 장소를 주로 사용하게 되며, 날짜의 경우에는 실제 사진이미지 정보에 저장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널리 이용하고 있는 장소와 날짜를 가지고 히스토리별 사진군을 만들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 및 동작을 통해, 히스토리별 사진군을 관리할 수 있도록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장소별, 날짜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도맵을 활용하여 사진이미지들을 화면에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자신이 촬영한 사진이미지들을 화면을 통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스마트기기에 탑재되는 어플을 이용하여 디지털 이미지로 저장된 사진 이미지를 포토앨범관리서버에 저장 보관하여, 보관된 이미지에 재처리 기술을 더하여 출력된 횟수 및 촬영장소, 촬영일시 및 시각, 사용자의 메모 등을 사진 이미지 내에 기록하여 수많은 이미지들을 분류하고, 검색하기에 용이하게 하며, 필요시 레이아웃을 이용하여 전자앨범으로 구성하고, 전자앨범을 기념 앨범으로 인쇄 출력하여 실제 앨범을 오프라인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복합한 조작없이도 어플을 통해 제공된 다수의 사진 이미지들을 설정된 방향에 맞게 자동적으로 매칭시켜 포토 앨범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또한, 사진 이미지 정보에 포함된 헤더 정보를 분석하여 일반 스마트기기에서 촬영된 사진인지 전문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사진인지를 판단하여 이에 따라 자이로센서 탑재 유무를 분석한 후 탑재 유무에 따라 사진 이미지의 재처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내용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된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히스토리분류어플
200 : 스마트기기
300 : 포토앨범관리서버

Claims (5)

  1.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에 있어서,
    포토 앨범에 포함될 사진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사진이미지획득부(110)와;
    사진 이미지에 메모 삽입 유무를 설정하거나, 가로 앨범 혹은 세로 앨범 중 어느 하나의 앨범 타입을 설정하기 위한 포토앨범설정부(120)와;
    상기 포토앨범설정부에 의해 메모 삽입 설정시, 해당 메모 설정 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메모설정페이지제공부(130)와;
    상기 메모 설정 페이지에 기입된 메모 정보와 포토앨범설정부에 의해 설정된 앨범 타입 정보 및 사진 이미지 정보를 획득하여 포토앨범관리서버(300)로 제공하기 위한 어플설정정보제공부(140)와;
    히스토리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장소 혹은 날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페이지를 제공하기 위한 히스토리설정부(150)와;
    상기 설정된 장소 혹은 날짜 정보를 포토앨범관리서버(300)에 제공한 후, 해당 장소 혹은 날짜 정보에 해당하는 사진이미지 정보들을 획득하기 위한 히스토리정보획득부(160)와;
    상기 히스토리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사진이미지 정보들을 참조하여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화면출력처리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히스토리분류어플(100),을 탑재하고 있는 스마트기기(200),
    스마트기기에서 송출된 메모 정보와 앨범 타입 정보 및 사진이미지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포토앨범정보획득부(310)와;
    상기 포토앨범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정보 중 앨범 타입 정보를 추출하여 가로 앨범 제작인지, 세로 앨범 제작인지를 판단하기 위한 앨범타입분석부(320)와;
    상기 포토앨범정보획득부에 의해 획득된 사진 이미지 내 헤더 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앨범타입분석부에 의해 판단된 가로 앨범 혹은 세로 앨범에 맞추어 해당 사진이미지를 회전시킬 것인지를 판단하여 판단 결과를 포토앨범제작부로 제공하기 위한 이미지헤더분석부(330)와;
    상기 이미지헤더분석부에 의해 분석된 헤더 정보 중 사진이 촬영된 기기의 모델명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사진촬영기기모델명추출부(340)와;
    상기 사진 촬영 기기별 제조사명, 모델명 정보, 모델별 자이로센서 유무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조사정보디비(350)와;
    상기 추출된 모델명 정보를 획득하여 제조사정보디비에 저장된 모델명 정보와 대비하여 자이로센서 탑재 유무를 분석하기 위한 자이로센서유무분석부(360)와;
    상기 자이로센서유무분석부에 의해 분석 결과, 자이로 센서가 존재할 경우에는 사진 이미지 정보를 포토앨범제작부에 제공하며, 자이로 센서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 사진 이미지 상에서 윤곽선을 추출하여 얼굴 부위를 판단한 후, 얼굴 부위가 설정된 방향에 존재하는지를 판단하여 해당 방향에 존재할 경우에는 사진 이미지 정보를 제공하며,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는 설정된 각도로 사진 이미지를 회전시키기 위한 분석결과처리부(370)와;
    원본 사진 이미지 혹은 변경된 사진 이미지 정보, 메모 정보, 헤더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사진이미지정보디비(380)와;
    상기 이미지헤더분석부에 의해 제공된 판단 결과값을 획득하여 해당 사진이미지를 페이지 레이아웃에 매칭시키거나, 사진 이미지를 회전시켜 페이지 레이아웃에 매칭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거나, 상기 분석결과처리부에 의해 제공된 사진 이미지를 페이지 레이아웃에 매칭시키는 과정을 수행하기 위한 포토앨범제작부(39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포토앨범관리서버(3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앨범관리서버(300)는,
    획득된 메모 정보와 헤더 정보를 추출하여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저장시키기 위한 추가정보처리부(395)와;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저장된 헤더 정보에 고객 아이디, 장소, 날짜, 사진 이미지별 메모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정보를 추가하여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갱신하여 저장시키기 위한 헤더정보변경처리부(39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앨범관리서버(300)는,
    스마트기기에서 제공된 장소 혹은 날짜 정보를 참조하여 사진이미지정보디비에 저장된 헤더 정보에 포함된 고객 아이디, 장소, 날짜, 사진이미지별 메모 정보를 분석하여 해당 장소 혹은 날짜에 해당하는 사진이미지들을 추출하기 위한 히스토리정보추출부(39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석결과처리부(370)는,
    얼굴 부위에 대한 판단이 불가능할 경우에, 수평선 요소를 분석하여 수평선 요소가 하측에 다수 존재할 경우에는 설정된 방향에 인체 이외의 사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해당 사진 이미지 정보를 포토앨범제작부로 제공하며, 수평선 요소를 분석하여 수평선 요소가 상측에 다수 존재할 경우에는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킨 후 회전된 사진 이미지 정보를 포토앨범제작부로 제공하기 위한 사물이미지판단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출력처리부(170)는,
    지도맵에 상기 설정된 장소 위치를 맵핑시켜 해당 사진이미지들을 썸네일 형태로 출력하거나, 지도맵에 상기 설정된 날짜에 획득된 사진이미지들을 촬영한 장소 위치를 맵핑시켜 썸네일 형태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

KR1020160017066A 2016-02-15 2016-02-15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 KR101841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066A KR101841641B1 (ko) 2016-02-15 2016-02-15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7066A KR101841641B1 (ko) 2016-02-15 2016-02-15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543A KR20170095543A (ko) 2017-08-23
KR101841641B1 true KR101841641B1 (ko) 2018-03-26

Family

ID=59759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7066A KR101841641B1 (ko) 2016-02-15 2016-02-15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6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128B1 (ko) 2020-02-04 2020-09-25 주식회사 더우리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앨범 생성 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4300B1 (ko) * 2017-11-22 2019-12-10 (주)스냅스 맞춤형 포토북 서비스를 추천하는 포토북 제작 장치 및 그 방법
KR102447444B1 (ko) * 2020-11-17 2022-09-26 최시은 장례식을 위한 사진 공유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0128B1 (ko) 2020-02-04 2020-09-25 주식회사 더우리 인공지능 기반 스마트 앨범 생성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543A (ko) 2017-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23465B2 (ja) アルバム作成プログラム、アルバム作成方法およびアルバム作成装置
WO2015144043A1 (en) Photo collection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JP2017531950A (ja) 撮影テンプレートデータベースを構築し、且つ撮影推薦情報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US9336442B2 (en) Selecting images using relationship weights
US20120027311A1 (en) Automated image-selection method
WO2014086287A1 (zh) 文本图像自动切分方法及装置,自动切分手写条目的方法
WO2013049374A2 (en) Photograph digitization through the use of video photography and computer vision technology
US20120030575A1 (en) Automated image-selection system
CN106454064A (zh) 图像处理装置以及图像处理方法
US20170293637A1 (en) Automated multiple image product method
JP2007094990A (ja) 画像分類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10057073A (ja) アルバム作成装置及びアルバム作成プログラム
JP7336211B2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841641B1 (ko) 히스토리별 사진군 포토앨범 자동 분류시스템
US9081801B2 (en) Metadata supersets for matching images
CN105630791B (zh) 网络相册浏览方法和装置
JP2023129448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120027303A1 (en) Automated multiple image product system
JP7336209B2 (ja) 画像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13836334A (zh) 图像处理装置、图像处理方法及记录介质
US20130050745A1 (en) Automated photo-product specification method
US20130050744A1 (en) Automated photo-product specification method
KR101641910B1 (ko) 포토앨범 자동 레이아웃 처리시스템
JP2005210369A (ja)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US20180189602A1 (en) Method of and system for determining and selecting media representing event divers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