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1198B1 -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 - Google Patents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1198B1
KR101841198B1 KR1020150074645A KR20150074645A KR101841198B1 KR 101841198 B1 KR101841198 B1 KR 101841198B1 KR 1020150074645 A KR1020150074645 A KR 1020150074645A KR 20150074645 A KR20150074645 A KR 20150074645A KR 101841198 B1 KR101841198 B1 KR 1018411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magnification
image
optical axis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46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1102A (ko
Inventor
김현규
Original Assignee
(주)토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핀스 filed Critical (주)토핀스
Priority to KR10201500746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1198B1/ko
Publication of KR201601411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1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11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11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4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2B13/143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for use with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5/48Thermography; Techniques using wholly visual means
    • G02B15/161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28Systems for automatic generation of focusing signals
    • G02B7/282Autofocusing of zoom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ive components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30Transforming light or analogous information into electric information
    • H04N5/33Transforming infrared radi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5/00Radiation pyrometry, e.g. infrared or optical thermometry
    • G01J2005/0077Imag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와 대향하며 상기 물체의 원적외선을 수광하여 상을 포착하는 대물렌즈; 및 상기 대물렌즈의 후측 광축방향을 따라 배율렌즈, 고정렌즈, 보상렌즈, 결상렌즈가 순차로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 광학계이며, 상기 배율렌즈는 광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의 배율을 변환하고, 상기 보상렌즈는 광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물체의 거리 변화 및 온도 변화시 발생되는 디포커스를 보정하고, 상기 결상렌즈는 상기 대물렌즈가 수광한 상을 결상하며, 상기 결상렌즈의 후측 광축방향을 따라 위치하여 상기 결상렌즈가 결상한 상을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계의 F-수는 1.4이고 유효초점거리는 25∼1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UN-COOLED THERMAL IMAGING CAMERA ×6 MAGNIFICATION OPTICAL ZOOM LENS SYSTEM}
본 발명은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유효초점거리 150mm 이하에서 초점조절과 영상획득이 탁월한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원적외선은 8㎛~13㎛의 파장대의 광으로서 인간이 내는 적외선의 파장대를 포함한다. 원적외선 카메라는 야간에 인간이나 사물이 발생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촬상할 수 있는 카메라이다.
인간이나 동물의 체온은 310K 정도로 흑체복사(black-body radiation)의 310K에서의 피크 파장이 8~13㎛ 정도이다. 따라서, 인간이나 사물이 내는 원적외선을 원적외선 카메라로 포착하면 그 존재를 알 수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5436호 "비냉각 열화상카메라용 연속줌 렌즈모듈"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65436호 "비냉각 열화상카메라용 연속줌 렌즈모듈"
본 발명의 목적은 유효초점거리 150mm 이하에서 초점조절과 영상획득이 탁월한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체와 대향하며 상기 물체의 원적외선을 수광하여 상을 포착하는 대물렌즈; 및 상기 대물렌즈의 후측 광축방향을 따라 배율렌즈, 고정렌즈, 보상렌즈, 결상렌즈가 순차로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 광학계이며, 상기 배율렌즈는 광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의 배율을 변환하고, 상기 보상렌즈는 광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물체의 거리 변화 및 온도 변화시 발생되는 디포커스를 보정하고, 상기 결상렌즈는 상기 대물렌즈가 수광한 상을 결상하며, 상기 결상렌즈의 후측 광축방향을 따라 위치하여 상기 결상렌즈가 결상한 상을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계의 F-수는 1.4이고 유효초점거리는 25∼1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대물렌즈 및 상기 보상렌즈는 물체측 전면이 볼록면이고 후면이 오목면이며, 상기 배율렌즈는 물체측 전면과 후면이 오목면이고, 상기 결상렌즈는 물체측 전면이 오목면이고 후면이 볼록면이며, 상기 고정렌즈는 제1 및 제2 렌즈가 한쌍을 이루어 구성되되, 상기 제1 렌즈는 물체측 전면이 오목면이고 후면이 볼록면이며, 상기 제2 렌즈는 물체측 전면이 볼록면이고 후면은 오목면일 수 있다.
상기 대물렌즈, 상기 배율렌즈 및 상기 보상렌즈는 게르마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상렌즈는 셀렌화아연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렌즈에서 상기 제1 렌즈는 셀렌화아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렌즈는 게르마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유효초점거리 150mm 이하에서 초점조절과 영상획득이 탁월하다. 즉, 최소 물체거리는 2.5m로서, 최소 물체거리부터 무한대 영역의 중간 어느 위치에 물체가 놓이더라도 모두 초점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최소 물체거리를 짧게 하더라도 영상 획득이 탁월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주변광량비(Relative illumination)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 및 도 4는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유효초점거리가 25mm(f=25mm)인 수차 특성과 광선 수차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 및 도 6은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유효초점거리가 150mm(f=150mm)인 수차 특성과 광선 수차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 및 도 8은 물체와의 거리가 2.5mm이고 유효초점거리가 25mm(f=25mm)인 수차 특성과 광선 수차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 및 도 10은 물체와의 거리가 5.0mm이고 유효초점거리가 150mm(f=150mm)인 수차 특성과 광선 수차를 각각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 및 도 12는 유효초점거리가 25mm(f=25mm)인 변조전달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1은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12는 물체와의 거리가 2.5mm를 나타낸다.
도 13 및 도 14는 유효초점거리가 150mm(f=150mm)인 변조전달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3은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14는 물체와의 거리가 5.0mm를 나타낸다.
도 15 및 도 16은 유효초점거리가 25mm(f=25mm)인 스폿 디아그램(Spot diagram)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3는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16은 물체와의 거리가 2.5mm를 나타낸다.
도 17 및 도 18은 유효초점거리가 150mm(f=150mm)인 스폿 디아그램(Spot diagram)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7은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18은 물체와의 거리가 5.0mm를 나타낸다.
도 19 및 도 20은 유효초점거리가 25mm(f=25mm)에서 줌위치별 물체거리 변화에 따라 이동되는 보상렌즈의 초점 조절 궤적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9은 물체거리에 따른 MTF를, 도 20은 물체 거리에 따른 초점 조절 궤적을 나타낸다.
도 21 및 도 22는 유효초점거리가 150mm(f=150mm)에서 줌위치별 물체거리 변화에 따라 이동되는 보상렌즈의 초점 조절 궤적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1 물체거리에 따른 MTF를, 도 22는 물체 거리에 따른 초점 조절 궤적을 나타낸다.
도 23 및 도 24는 환경변화분석에서 온도변화에 따른 디포커스(defocus)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3은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24은 물체와의 거리가 유한(Finite)을 나타낸다.
도 25 및 도 26은 비열화에서 온도변화에 따른 디포커스(defocus)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5는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26은 물체와의 거리가 유한(Finite)을 나타낸다.
도 27 및 도 28은 비열화의 보상변위(displacement of compensator)에서 온도변화에 따른 디포커스(defocus)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7은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28은 물체와의 거리가 유한(Finite)을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는 5군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물체(피사체)가 위치하는 좌측으로부터 적외선검출기(60)가 위치하는 우측을 향해 1군의 대물렌즈(10), 2군의 배율렌즈(20), 3군의 고정렌즈(30), 4군의 보상렌즈(40), 5군의 결상렌즈(50)가 순차로 배열되는 구조이며, 고정렌즈(30)는 2개의 제1 및 제2 렌즈들(31)(33)로 이루어진다.
적외선검출기(60)는 640 × 480 배열의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이며 이하,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60)라고 한다. 본 발명은 유효초점거리는 25mm에서 150mm까지 변화되며, 초점거리 25mm인 경우 광시야위치(wide field position), 150 mm인 경우 협시야위치(narrow field position)으로 할 때 광시야(wide)와 협시야(narrow)에서의 시야각은 각각 가로 24.55°× 세로 18.41° 와 가로 4.15° × 세로 3.12°를 갖는다.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60)의 1-픽셀 크기는 17㎛로 640 × 480 배열에서 가로 10.88 mm × 세로 8.16 mm의 크기를 가지며, 검출기(60) 1-픽셀이 바라보는 시야각은 광시야(wide)에서 0.700 mrad이고, 협시야(narrow)에서 0.113 mrad의 값을 갖는다.
스펙트럼 레인지 7.7 ~ 12.8㎛
유효초점거리 25 ~ 150 mm
F-수 1.4
시야각 @ 무한대 광시야 : 가로 24.55°× 세로 18.41°
협시야 : 가로 4.15° × 세로 3.12°
순간시야 @ 무한대 광시야 : 0.700 mrad
협시야 : 0.113 mrad
픽셀 포멧 640 × 480 픽셀(17.0㎛ 피치)
본 발명은 광학계의 한계 분해능이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60)에 의해 결정되므로, 요구되는 광학계의 성능은 회절한계를 만족하도록 설계되었고, 광학계의 F/수는 모든 줌배율에서 F/1.4를 가지는데 이는 에어리 원반(airy disk) 크기를 고려하여 결정되었다.
대물렌즈(10)는 물체와 대향하며 물체의 원적외선을 수광하여 상을 포착하고, 배율렌즈(20)는 광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의 배율을 변환하며, 보상렌즈(40)는 광축을 따라 이동하며 물체의 거리 변화 및 온도 변화시 발생되는 디포커스를 보정 즉, 초점 조절하고, 결상렌즈(50)는 대물렌즈(10)가 수광한 상을 결상한다.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60)는 결상렌즈(50)의 후측 광축방향을 따라 위치하여 결상렌즈(50)가 결상한 상을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배율렌즈(20)와 보상렌즈(40)의 축상 이동은 수동 또는 모터 등에 의한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물렌즈(10), 배율렌즈(20), 고정렌즈(30), 보상렌즈(40) 및 결상렌즈(50)의 굴절능 분포는 P-N-P-P-P 형태를 갖는다. 최소 물체거리는 광시야(wide)에서 2.5m로 최소 물체거리부터 무한대 영역의 중간 어느 위치에 물체가 놓이더라도 모두 초점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보상렌즈(40)가 광축을 따라 이동하며 물체의 거리 변화 및 온도 변화시 발생되는 디포커스를 보정함으로 인해, 최소 물체거리를 짧게 하더라도 영상 획득이 탁월하다.
렌즈들(10~50)은 게르마늄(Ge) 또는 셀렌화아연(ZnSe) 재질로 이루어진다. 대물렌즈(10), 배율렌즈(20) 및 보상렌즈(40)는 게르마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결상렌즈(50)는 셀렌화아연 재질로 이루어진다. 고정렌즈(30)에서 제1 렌즈(31)는 셀렌화아연으로 이루어지고, 제2 렌즈(33)는 게르마늄 재질로 이루어진다.
대물렌즈(10) 및 보상렌즈(40)는 물체측 전면이 볼록면이고 후면이 오목면으로 전체적으로 음의 배율을 형성한다. 배율렌즈(20)는 물체측 전면과 후면이 오목면으로 전체적으로 양의 배율을 형성한다. 결상렌즈(50)는 물체측 전면이 오목면이고 후면이 볼록면으로 전체적으로 양의 배율을 형성한다.
고정렌즈(30)에서 제1 렌즈(31)는 물체측 전면이 오목면이고 후면이 볼록면으로 전체적으로 양의 배율을 형성하고, 제2 렌즈(33)는 물체측 전면이 볼록면이고 후면은 오목면으로 전체적으로 음의 배율을 형성한다.
본 발명은 배율렌즈(20)가 배율 변환을 위해 축상 이동되고, 보상렌즈(40)가 배율 변환시 성능 보상과 물체 거리 및 온도 변화에 따라 발생되는 디포커스(defocus)를 보정하는 가변 파라미터이다.
주변 광량비는 전체 필드와 파장에 대한 값을 모두 정리하고 최종적으로 파장에 대한 평균값을 취하여 각 필드별로 살펴보면 도 2와 같다.
적외선 광학계의 경우 한정된 광학 재질과 렌즈 매수의 제한으로 최적화시 색수차와 광선 수차를 모두 줄이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처음 최적화시 비축수차를 줄이는데 중점을 두며 그 후 종 색수차와 횡 생수차를 주로 줄이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최적화가 진행됨에 따라 광선 수차 또한 무시할 수 없으므로 어느 정도의 색수차는 허용하며 최종 설계되었다. 설계에 대한 광선 수차는 에어리 원반(airy disk)이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60) 1-픽셀 내에 최대한 집광되고 최종 설계된 줌렌즈의 수차 특성을 도 3 내지 도 10에 나타내었다.
광학계의 성능의 한 가지 척도로 사용되는 변조전달함수(Modulation Transfer Function, MTF)는 도 11 내지 도 14에 나타내었다.
도 15 및 도 16은 유효초점거리가 25mm(f=25mm)인 스폿 디아그램(Spot diagram)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3는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16은 물체와의 거리가 2.5mm를 나타내며, 도 17 및 도 18은 유효초점거리가 150mm(f=150mm)인 스폿 디아그램(Spot diagram)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7은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18은 물체와의 거리가 5.0mm를 나타낸다.
도 19 및 도 20은 유효초점거리가 25mm(f=25mm)에서 줌위치별 물체거리 변화에 따라 이동되는 보상렌즈의 초점 조절 궤적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19은 물체거리에 따른 MTF를, 도 20은 물체 거리에 따른 초점 조절 궤적을 나타내며, 도 21 및 도 22는 유효초점거리가 150mm(f=150mm)에서 줌위치별 물체거리 변화에 따라 이동되는 보상렌즈의 초점 조절 궤적을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1 물체거리에 따른 MTF를, 도 22는 물체 거리에 따른 초점 조절 궤적을 나타낸다. MTF는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60)의 사양에 맞춰 29 cycles/mm을 갖는다.
도 23 및 도 24는 환경변화분석에서 온도변화에 따른 디포커스(defocus)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3은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24은 물체와의 거리가 유한(Finite)을 나타낸다.
도 25 및 도 26은 비열화에서 온도변화에 따른 디포커스(defocus)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5는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26은 물체와의 거리가 유한(Finite)을 나타낸다.
도 27 및 도 28은 비열화의 보상변위(displacement of compensator)에서 온도변화에 따른 디포커스(defocus)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도 27은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Infinity)이고, 도 28은 물체와의 거리가 유한(Finite)을 나타낸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대물렌즈
20: 배율렌즈
30: 고정렌즈
40: 보상렌즈
50: 결상렌즈
60: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

Claims (3)

  1. 물체와 대향하며 상기 물체의 원적외선을 수광하여 상을 포착하는 대물렌즈; 및
    상기 대물렌즈의 후측 광축방향을 따라 배율렌즈, 고정렌즈, 보상렌즈, 결상렌즈가 순차로 배열되는 구조를 갖는 광학계이며,
    상기 배율렌즈는 광축방향을 따라 이동하며 상의 배율을 변환하고,
    상기 보상렌즈는 광축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물체의 거리 변화 및 온도 변화시 발생되는 디포커스를 보정하고,
    상기 결상렌즈는 상기 대물렌즈가 수광한 상을 결상하며,
    상기 결상렌즈의 후측 광축방향을 따라 위치하여 상기 결상렌즈가 결상한 상을 디지털 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원적외선 비냉각 검출기를 포함하며,
    상기 광학계의 F-수는 1.4이고 유효초점거리는 25∼15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 및 상기 보상렌즈는 물체측 전면이 볼록면이고 후면이 오목면이며,
    상기 배율렌즈는 물체측 전면과 후면이 오목면이고,
    상기 결상렌즈는 물체측 전면이 오목면이고 후면이 볼록면이며,
    상기 고정렌즈는 제1 및 제2 렌즈가 한쌍을 이루어 구성되되, 상기 제1 렌즈는 물체측 전면이 오목면이고 후면이 볼록면이며, 상기 제2 렌즈는 물체측 전면이 볼록면이고 후면은 오목면인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 상기 배율렌즈 및 상기 보상렌즈는 게르마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결상렌즈는 셀렌화아연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렌즈에서 상기 제1 렌즈는 셀렌화아연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렌즈는 게르마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
KR1020150074645A 2015-05-28 2015-05-28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 KR1018411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645A KR101841198B1 (ko) 2015-05-28 2015-05-28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4645A KR101841198B1 (ko) 2015-05-28 2015-05-28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102A KR20160141102A (ko) 2016-12-08
KR101841198B1 true KR101841198B1 (ko) 2018-03-23

Family

ID=57577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4645A KR101841198B1 (ko) 2015-05-28 2015-05-28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11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8098B1 (ko) * 2017-12-11 2018-06-15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렌즈를 이용한 줌 렌즈 광학계
CN107991763B (zh) * 2018-01-16 2020-08-11 山东神戎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高清长焦距长波红外镜头
CN109186760A (zh) * 2018-08-22 2019-01-11 中国北方车辆研究所 一种中波红外高光谱光学成像系统
CN111367063B (zh) * 2018-12-25 2021-09-17 中国科学院长春光学精密机械与物理研究所 一种中波红外连续变焦镜头及成像装置
CN110543001B (zh) * 2019-09-29 2021-08-03 凯迈(洛阳)测控有限公司 一种小型化大变倍比中波制冷红外连续变焦光学系统
KR102476794B1 (ko) * 2020-10-16 2022-12-12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적외선 줌 광학모듈
CN114460729B (zh) * 2022-01-25 2023-07-21 凯迈(洛阳)测控有限公司 一种大相对孔径、大靶面非制冷红外连续变焦光学系统
CN115406836A (zh) * 2022-09-27 2022-11-29 威海华菱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图像检测装置
CN115824417A (zh) * 2022-11-17 2023-03-21 四川省星时代智能卫星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非制冷探测器的快照式星载热红外光学系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4283A (ja) 2000-06-28 2002-01-18 Fuji Photo Optical Co Ltd 赤外線ズームレンズまたは赤外線多焦点レンズ、赤外線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およびパノラマ観察光学系
JP2012173562A (ja) 2011-02-22 2012-09-10 Tamron Co Ltd 赤外線レンズ
JP2014081444A (ja) 2012-10-15 2014-05-08 Nitto Kogaku Kk レンズ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5436B1 (ko) 2011-08-31 2013-05-16 (주)토핀스 비냉각 열화상카메라용 연속줌 렌즈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14283A (ja) 2000-06-28 2002-01-18 Fuji Photo Optical Co Ltd 赤外線ズームレンズまたは赤外線多焦点レンズ、赤外線イメージングシステム、およびパノラマ観察光学系
JP2012173562A (ja) 2011-02-22 2012-09-10 Tamron Co Ltd 赤外線レンズ
JP2014081444A (ja) 2012-10-15 2014-05-08 Nitto Kogaku Kk レンズ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102A (ko) 2016-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1198B1 (ko) 비냉각 열화상카메라 6배율 연속줌 광학계
AU2010215048B2 (en) Dual field-of-view optical imaging system with dual focus lens
CN102062932B (zh) 非制冷双视场红外光学系统
EP2417479B1 (en) Variable power optical system
US9507129B2 (en) Apparatus comprising a compact catadioptric telescope
KR101741602B1 (ko) 고배율 연속줌 원적외선 광학계
JP5382565B2 (ja) レンズシステム
KR20190128900A (ko) 이미지 센서용 장파장 적외선 카메라 렌즈 및 그 카메라 렌즈를 포함하는 광학계
KR101841200B1 (ko) 냉각 열화상카메라 중적외선 10배율 연속줌 광학계
KR101265436B1 (ko) 비냉각 열화상카메라용 연속줌 렌즈모듈
KR102380994B1 (ko) 적외선 카메라 렌즈 모듈
KR102209218B1 (ko) 원거리 감시용 단적외선 카메라 광학계
WO2017154827A1 (ja) 撮像装置
Akram Design of a dual field-of-view optical system for infrared focal-plane arrays
KR101039105B1 (ko) 열화상카메라용 이중배율 렌즈모듈
KR101554130B1 (ko) 고해상도 광시야각 원적외선 광학계
CN108366185A (zh) 一种可变焦距红外成像终端
RU2621366C1 (ru) Компактный объектив среднего ик диапазона
KR102476794B1 (ko) 적외선 줌 광학모듈
CN114137699B (zh) 一种小型高分辨率无热化中波红外光学系统
CN107907977B (zh) 一种应用于光电探测领域的双变焦段光学系统
Akram Design of a dual field-of-view imaging system for infrared focal plane arrays
Gadiparthi et al. Design of 2.4 X Dual Field of View MWIR (3-5µm) Zoom Lens
KR101810969B1 (ko) 영상왜곡이 최소화된 원적외선 광시야각 광학계
Nguyen et al. Multi-functional optical design for IRST system using high-definition de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