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0969B1 - 영상왜곡이 최소화된 원적외선 광시야각 광학계 - Google Patents

영상왜곡이 최소화된 원적외선 광시야각 광학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0969B1
KR101810969B1 KR1020160163310A KR20160163310A KR101810969B1 KR 101810969 B1 KR101810969 B1 KR 101810969B1 KR 1020160163310 A KR1020160163310 A KR 1020160163310A KR 20160163310 A KR20160163310 A KR 20160163310A KR 101810969 B1 KR101810969 B1 KR 101810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ear surface
image distortion
optical system
curv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63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현규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주)토핀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핀스 filed Critical (주)토핀스
Priority to KR1020160163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0969B1/ko
Priority to PCT/KR2016/014218 priority patent/WO2018101520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0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0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8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designed for infrared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4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02B13/146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with corrections for use in multiple wavelength bands, such as infrared and visible light, e.g. FLIR syste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G02B3/04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with continuous faces that are rotationally symmetrical but deviate from a true sphere, e.g. so called "aspheric"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34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four components on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Len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왜곡이 최소화된 원적외선 광시야각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로 배열된 4개의 렌즈들(L1)(L2)(L3)(L4)을 포함하며, 상기 각 렌즈들(L1)(L2)(L3)(L4)은 비구면을 형성하여 영상왜곡을 최소화하고, 상기 비구면은 상기 렌즈(L1)의 전면(S1), 상기 렌즈(L2)의 전면(S1) 및 후면(S2), 상기 렌즈(L3)의 후면(S2) 및 상기 렌즈(L4)의 후면(S2)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영상왜곡율이 2% 미만으로 영상왜곡에 의한 물체의 형상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상왜곡이 최소화된 원적외선 광시야각 광학계{Wide Field of View Long Wave Length Infrared Optical System with the Minimized Image Distortion}
본 발명은 영상왜곡이 최소화된 원적외선 광시야각 광학계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영상왜곡율이 2% 미만으로 영상왜곡에 의한 물체의 형상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는 원적외선 광시야각 광학계에 관한 것이다.
원적외선은 8㎛~13㎛의 파장대의 광으로서 인간이 내는 적외선의 파장대를 포함한다. 원적외선 카메라는 야간에 인간이나 사물이 발생하는 적외선을 감지하여 촬상할 수 있는 카메라이다.
인간이나 동물의 체온은 310K 정도로 흑체복사(black-body radiation)의 310K에서의 피크 파장이 8~13㎛ 정도이다. 따라서, 인간이나 사물이 내는 원적외선을 원적외선 카메라로 포착하면 그 존재를 알 수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4130호 "고해상도 광시야각 원적외선 광학계"가 있다. 상기 선행기술을 포함한 수평시야각이 90도 이상의 기존의 원적외선 광시야각 렌즈모듈은 영상왜곡율이 10% 이상으로 영상왜곡에 의한 물체의 형상이 과다하게 왜곡되어 실물과 다르게 보이는 문제가 있고, 원적외선 렌즈 재질의 특성상 온도 변화시 초점거리 변화를 보상하기 위해 구동모터를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전력공급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54130호 "고해상도 광시야각 원적외선 광학계"
본 발명의 목적은 영상왜곡율이 2% 미만으로 영상왜곡에 의한 물체의 형상 변화를 최소화하고, 초점거리 변화가 최소화되어 구동모터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영상왜곡이 최소화된 원적외선 광시야각 광학계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로 배열된 4개의 렌즈들(L1)(L2)(L3)(L4)을 포함하며, 상기 각 렌즈들(L1)(L2)(L3)(L4)은 비구면을 형성하여 영상왜곡을 최소화하고, 상기 비구면은 상기 렌즈(L1)의 전면(S1), 상기 렌즈(L2)의 전면(S1) 및 후면(S2), 상기 렌즈(L3)의 후면(S2) 및 상기 렌즈(L4)의 후면(S2)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구면이 형성된 상기 렌즈(L3)의 후면(S2) 및 상기 렌즈(L4)의 후면(S2)에는 회절패턴이 더 형성되어 -40℃ ~ 6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초점거리의 변화를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렌즈(L1)의 전면(S1)의 곡률반경이 38.94mm 이고, 후면(S2)의 곡률반경은 19.87mm 이며, 상기 렌즈(L2)의 전면(S1)의 곡률반경이 21.67mm 이고, 후면(S2)의 곡률반경은 30.27mm 이며, 상기 렌즈(L3)의 전면(S1)의 곡률반경이 -145.29mm 이고, 후면(S2)의 곡률반경은 -81.87mm 이며, 상기 렌즈(L4)의 전면(S1)의 곡률반경이 -260.36mm 이고, 후면(S2)의 곡률반경은 -21.70mm 일 수 있다.
상기 렌즈(L1)는 게르마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들(L2)(L3)(L4)은 셀렌화아연 재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평시야각이 90도 이상의 광시야각을 갖는 광학계로서 영상왜곡 현상이 거의 없으며, 넓은 온도범위에서 사용하더라도 구동모터가 필요없기 때문에 전력공급이 필요없고, 수명이 길다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은 영상왜곡률이 2% 미만인 경우에 사람이 인지할 수 없는 범위의 영상왜곡이어서 실물과 같은 형상으로 보이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영상왜곡이 최소화된 원적외선 광시야각 광학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대(Infinity)에 대한 LSA(LONGITUDINAL SPHERICAL ABER), 상면만곡(field curvature), 왜곡(distortion)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물체와의 거리가 5m에 대한 LSA(LONGITUDINAL SPHERICAL ABER), 상면만곡(field curvature), 왜곡(distortion)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대에 대한 MTF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물체와의 거리가 5m에 대한 MTF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왜곡이 최소화된 원적외선 광시야각 광학계(이하, "본 발명의 광학계"라고 한다)는 4개의 렌즈들(L1~L4)로 이루어지고, 물체(피사체) 측으로부터 제1 렌즈(L1), 제2 렌즈(L2), 제3 렌즈(L3), 제4 렌즈(L4)가 순차로 배열된다.
제1 렌즈(L1)는 물체측 전면(S1)을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을 형성하고, 후면(S2)을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음의 배율을 형성한 렌즈이다.
제1 렌즈(L1)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2 렌즈(L2) 또한 물체측 전면(S1)을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을 형성하고, 후면(S2)을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음의 배율을 형성한 렌즈이다.
제2 렌즈(L2)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3 렌즈(L3)는 물체측 전면(S1)을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을 형성하고, 후면(S2)을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배율을 형성한 렌즈이다.
제3 렌즈(L3)의 후방에 배치되는 제4 렌즈(L4)는 물체측 전면(S1)을 음의 굴절력을 갖는 오목면을 형성하고, 후면(S2)을 양의 굴절력을 갖는 볼록면을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양의 배율을 형성한 렌즈이다.
제1 렌즈(L1), 제2 렌즈(L2), 제3 렌즈(L3), 제4 렌즈(L4)를 순차로 투과한 적외선은 검출기 윈도우(Detector Window)(W)을 거쳐 촬상소자의 수광면에 입사되고, 그 수광면 상에 물체의 이미지를 형성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광학계는 각 렌즈들(L1~L4)이 비구면을 갖는다. 즉, 렌즈(L1)의 전면(S1), 렌즈(L2)의 전면(S1) 및 후면(S2), 렌즈(L3)의 후면(S2) 및 렌즈(L4)의 후면(S2)이 비구면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렌즈(L3)의 후면(S2) 및 렌즈(L4)의 후면(S2)에는 회절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회절패턴은 렌즈(L3)의 후면(S2) 및 렌즈(L4)의 후면(S2)의 비구면 상에 형성되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동심원 형태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광학계는 렌즈(L1)의 전면(S1), 렌즈(L2)의 전면(S1) 및 후면(S2), 렌즈(L3)의 후면(S2) 및 렌즈(L4)의 후면(S2)이 비구면으로 형성됨으로써 영상왜곡이 최소화되고, 또한 렌즈(L3)의 후면(S2) 및 렌즈(L4)의 후면(S2)의 비구면에 회절패턴이 더 형성됨으로써 -40℃ ~ 6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초점거리의 변화가 최소화된다.
특히, 본 발명의 광학계는 렌즈(L1)의 전면(S1)의 곡률반경(Radius of Curvature)이 38.94mm 이고 후면(S2)의 곡률반경은 19.87mm 이며, 렌즈(L2)의 전면(S1)의 곡률반경이 21.67mm 이고 후면(S2)의 곡률반경은 30.27mm 이며, 렌즈(L3)의 전면(S1)의 곡률반경이 -145.29mm 이고 후면(S2)의 곡률반경은 -81.87mm 이며, 렌즈(L4)의 전면(S1)의 곡률반경은 -260.36mm 이고 후면(S2)의 곡률반경은 -21.70mm 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영상왜곡율이 2% 미만으로 영상왜곡에 의한 물체의 형상 변화를 더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광학계는 수평시야각이 90도 이상의 광시야각을 갖는 광학계로서 영상왜곡 현상이 거의 없으며, 넓은 온도범위에서 사용하더라도 구동모터가 필요없기 때문에 전력공급이 필요없고, 수명이 길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광학계는 영상왜곡률이 2% 미만인 경우에 사람이 인지할 수 없는 범위의 영상왜곡이어서 실물과 같은 형상으로 보이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본 발명의 광학계는 물체와 대향하는 렌즈(L1)는 게르마늄(Ge) 재질을 이루고, 렌즈들(L2)(L3)(L4)은 셀렌화아연(ZnSe) 재질을 이루어, 영상왜곡 및 -40℃ ~ 6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초점거리의 변화의 최소화가 더 효과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광학계는 스펙트럼 레인지(Spectral Range)가 8.0 ~ 12.0㎛이고, 실효 초점길이(Effectiv Focal Length)는 7.05mm이며, F수는 1.2이고, 초점범위는 5mm~무한대(Infinity)(고정된 초점)이고, 시야(field of view)가 93.0°× 75.0°이상 이다. 픽셀 포멧(Pixel Format)은 1024 × 768 pixels(15.0㎛ pitch) 이다.
F수가 1.2 미만이거나 초과하면 렌즈들(L1~L4)을 근접 배열하거나 떨어뜨려 배열해야 하기 때문에 영상왜곡 및 -40℃ ~ 6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초점거리의 변화의 최소화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도 2는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대(Infinity)에 대한 LSA(LONGITUDINAL SPHERICAL ABER), 상면만곡(field curvature), 왜곡(distortion)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물체와의 거리가 5m에 대한 LSA(LONGITUDINAL SPHERICAL ABER), 상면만곡(field curvature), 왜곡(distortion)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물체와의 거리가 무한대에 대한 MTF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물체와의 거리가 5m에 대한 MTF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의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 범위 내에서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을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본질적 기술범위는 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L1: 제1 렌즈
L2: 제2 렌즈
L3: 제3 렌즈
L4: 제4 렌즈
S1: 전면
S2: 후면
W: 검출기 윈도우

Claims (4)

  1. 물체 측으로부터 순차로 배열된 4개의 렌즈들(L1)(L2)(L3)(L4)을 포함하며,
    상기 각 렌즈들(L1)(L2)(L3)(L4)은 비구면을 형성하여 영상왜곡을 최소화하고,
    상기 비구면은 상기 렌즈(L1)의 전면(S1), 상기 렌즈(L2)의 전면(S1) 및 후면(S2), 상기 렌즈(L3)의 후면(S2) 및 상기 렌즈(L4)의 후면(S2)에 형성되며,
    상기 렌즈(L1)의 전면(S1)의 곡률반경이 38.94mm 이고, 후면(S2)의 곡률반경은 19.87mm 이며,
    상기 렌즈(L2)의 전면(S1)의 곡률반경이 21.67mm 이고, 후면(S2)의 곡률반경은 30.27mm 이며,
    상기 렌즈(L3)의 전면(S1)의 곡률반경이 -145.29mm 이고, 후면(S2)의 곡률반경은 -81.87mm 이며,
    상기 렌즈(L4)의 전면(S1)의 곡률반경이 -260.36mm 이고, 후면(S2)의 곡률반경은 -21.70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왜곡이 최소화된 원적외선 광시야각 광학계.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비구면이 형성된 상기 렌즈(L3)의 후면(S2) 및 상기 렌즈(L4)의 후면(S2)에는 회절패턴이 더 형성되어 -40℃ ~ 60℃의 온도 범위 내에서 초점거리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왜곡이 최소화된 원적외선 광시야각 광학계.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L1)는 게르마늄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렌즈들(L2)(L3)(L4)은 셀렌화아연 재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왜곡이 최소화된 원적외선 광시야각 광학계.
KR1020160163310A 2016-12-02 2016-12-02 영상왜곡이 최소화된 원적외선 광시야각 광학계 KR101810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10A KR101810969B1 (ko) 2016-12-02 2016-12-02 영상왜곡이 최소화된 원적외선 광시야각 광학계
PCT/KR2016/014218 WO2018101520A1 (ko) 2016-12-02 2016-12-06 영상왜곡이 최소화된 원적외선 광시야각 광학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63310A KR101810969B1 (ko) 2016-12-02 2016-12-02 영상왜곡이 최소화된 원적외선 광시야각 광학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0969B1 true KR101810969B1 (ko) 2017-12-21

Family

ID=60936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63310A KR101810969B1 (ko) 2016-12-02 2016-12-02 영상왜곡이 최소화된 원적외선 광시야각 광학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10969B1 (ko)
WO (1) WO201810152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7947A (ja) 2007-08-21 2009-03-05 Fujinon Corp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US20150168680A1 (en) 2013-12-16 2015-06-18 Sintai Optical (Shenzhen) Co., Ltd. Near Infrared Lens Assembly
KR101554130B1 (ko) * 2014-05-27 2015-09-21 (주)토핀스 고해상도 광시야각 원적외선 광학계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2702B1 (ko) * 2006-04-04 2014-04-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용 렌즈 시스템
KR101049883B1 (ko) * 2008-07-21 2011-07-15 (주)미래광기술 광각 렌즈계와 이를 구비한 전자기기
WO2015190783A1 (ko) * 2014-06-09 2015-12-17 주식회사 소모비전 광각 렌즈
KR101838988B1 (ko) * 2015-05-22 2018-03-16 주식회사 소모비전 광시야 비열화 적외선 렌즈모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47947A (ja) 2007-08-21 2009-03-05 Fujinon Corp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US20150168680A1 (en) 2013-12-16 2015-06-18 Sintai Optical (Shenzhen) Co., Ltd. Near Infrared Lens Assembly
KR101554130B1 (ko) * 2014-05-27 2015-09-21 (주)토핀스 고해상도 광시야각 원적외선 광학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1520A1 (ko) 2018-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88922B1 (ko) 어안 렌즈
Marks et al. Gigagon: a monocentric lens design imaging 40 gigapixels
KR101214601B1 (ko) 비열화 적외선 렌즈모듈
KR101289797B1 (ko) 줌 조명 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촬상 장치
KR101741602B1 (ko) 고배율 연속줌 원적외선 광학계
RU2663313C1 (ru) Телеобъектив с двумя полями зрения для средней ИК области спектра
CN102879890B (zh) 一种长焦距大相对孔径变焦距光学系统
KR101265436B1 (ko) 비냉각 열화상카메라용 연속줌 렌즈모듈
EP3015902B1 (en) Compact multispectral wide angle refractive optical system
KR101554130B1 (ko) 고해상도 광시야각 원적외선 광학계
KR101810969B1 (ko) 영상왜곡이 최소화된 원적외선 광시야각 광학계
KR101235579B1 (ko) 적외선 현미경 렌즈모듈
CA2466788A1 (en) Optical apparatus
KR102209218B1 (ko) 원거리 감시용 단적외선 카메라 광학계
US20210278639A1 (en) Optical imaging module having a hyper-hemispherical field and controlled distortion and compatible with an outside environment
RU2621366C1 (ru) Компактный объектив среднего ик диапазона
KR101127907B1 (ko) 비균등렌즈가 적용된 비대칭 광각 적외선 광학계 및 상기 광학계를 포함하는 열영상장비
RU2722623C1 (ru) Оптическая система тепловизионного прибора с двумя полями зрения
RU2672703C1 (ru) Двухканальная зеркально-линзовая система
KR20110037450A (ko) 열화상카메라용 이중배율 렌즈모듈
KR101730030B1 (ko) 적외선 렌즈모듈
KR20150096265A (ko) 비열화 대물 광학계
KR102476794B1 (ko) 적외선 줌 광학모듈
RU2726262C1 (ru) Инфракрасный объектив с двумя полями зрения и вынесенной апертурной диафрагмой
CN109445066B (zh) 一种中波红外与激光共光路成像光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