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589B1 -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589B1
KR101840589B1 KR1020170019957A KR20170019957A KR101840589B1 KR 101840589 B1 KR101840589 B1 KR 101840589B1 KR 1020170019957 A KR1020170019957 A KR 1020170019957A KR 20170019957 A KR20170019957 A KR 20170019957A KR 101840589 B1 KR101840589 B1 KR 1018405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neal dystrophy
tgfbi
corneal
protein
mut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9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7610A (ko
Inventor
김응권
최승일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PCT/KR2017/005823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209577A1/ko
Publication of KR201701376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76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5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5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48Eye, e.g. artificial tea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Y10S514/912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4-페닐부티르산(4-phenylbutyr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ER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UPR의 활성을 감소시키며, ERAD 경로를 통해 TGFBI 이상단백질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나타내며 이에 의해 TGFBI 이상단백질에 의한 각막이상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CORNEAL DYSTROPHY}
본 발명은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TGFBI 유전자 변이 각막이상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TGFBI(transforming growth factor β-induced) 이상단백질로 인한 각막이상증은 TGFBI 유전자 이상으로 인하여 각막에 혼탁이 나타나는 질환을 통칭하며 혼탁으로 시력저하를 동반한다. TGFBI 이상단백질로 인한 각막이상증은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증상이 심화되며, 증상이 심한 환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있다.
특히,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GCD2; Avellino corneal dystrophy)은 한국인에서의 유병률이 인구 870명당 1명이므로, TGFBI 이상단백질로 인한 각막이상증을 치료할 수 있는 의약품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에 기재된 사항들이 선행기술로 존재한다고 인정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TGFBI 이상단백질로 인한 각막이상증은 현재까지 정상 각막을 이식하는 방법 외에 적절한 치료법이 없는 상태이다. 하지만 각막이식을 받아도 시간이 경과하면서 TGFBI 이상단백질이 다시 각막에 축적되어,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증상의 약화에 의해 반복되는 각막이식에 들어가는 비용과 이식용 각막의 극심한 부족 등의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근본적인 치료법 개발이 요구된다.
특히, TGFBI 이상단백질로 인한 각막이상증 환자가 라식, 라섹과 같은 첨단 시력회복 수술 후 증상이 악화되어 실명하였다고 국내외에서 보고되고 있다. 이는 앞으로도 잠재적 TGFBI 이상단백질로 인한 각막이상증 환자들이 시력회복 수술 후 증상의 악화 및 실명할 수 있는 위험에 처할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낸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TGFBI 이상단백질로 인한 각막이상증 환자의 각막세포를 이용하여 TGFBI 단백질의 발현과 응집, 융해와 관련된 메커니즘을 밝혀내고, 질병의 원인이 되는 이상단백질의 생성과 침착을 막아 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발명하였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TGFBI 이상단백질로 인한 각막이상증의 원인이 되는 단백질인 TGFBI 단백질이 ER 스트레스를 일으키고 세포사멸을 유도하고 이 ER 스트레스는 TGFBI 유전자 변이각막이상을 악화시킬 수 있음 규명하였다.
TGFBI 이상단백질에 의한 각막질환의 진행 과정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막이상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가진 TGFBI 단백질 발현의 억제 및 TGFBI 단백질의 제거에서의 역할을 확인하였다.
TGFBI의 기능에 관한 연구는 크게 암과 관련한 부분과 각막이상증과 관련된 부분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나 각막이상증과 관련된 TGFBI의 기능과 비교하여 암 관련 연구에서 그 기능이 더 많이 밝혀져 있다. TGFBI의 발현이 세포막에 위치한 다양한 인테그린(integrin)과 같은 수용체를 통하여 하류의 신호전달 체계를 조절하여 세포부착, 세포이동, 암전이(cancer metastasis)와 같은 현상에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결과가 최근에 보고되었지만 TGFBI의 명확한 세포내 기능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한편, TGFBI 이상단백질로 인한 각막이상증에서 TGFBI 돌연변이 단백질의 침착이 원인이라고 보고되었으나, TGFBI의 돌연변이 단백질이 어떠한 기전을 통해서 각막의 세포외 기질에 축적되는지에 대한 명확한 발병 메카니즘은 알려져 있지 않다. 즉, TGFBI 단백질의 침착의 억제 또는 단백질 분해 등과 같은 조절 기전에 대해서는 규명되지 않았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각막이상증, 특히 TGFBI 유전자 변이 각막이상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ER)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UPR(unfolded protein response)의 활성을 감소시키며, ERAD(ER-associated degradation) 경로를 통해 TGFBI 이상단백질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나타내며 이에 의해 TGFBI 이상단백질에 의한 각막이상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각막이상증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각막의 세포외 기질에 축적되어 각막이상증을 야기할 수 있는 변이 TGFBI 단백질의 레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고, 나아가 변이 TGFBI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함으로써 TGFBI 이상단백질에 의한 각막이상증의 병변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각막이상증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투여량이 실제 임상적용이 가능한, 각막이상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각막이상증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4-페닐부티르산(4-phenylbutyric acid: 4-PBA)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예방"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각막이상증 증상을 억제하거나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기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여 각막이상증 증세가 호전되도록 하거나 이롭게 되도록 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4-페닐부티르산이 변이 TGFBI(transforming growth factor β-induced) 단백질을 억제하는 것을 밝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각막이상증”은 각막에 이상소견이 나타나며 증상이 심화되는 질환을 통칭하며 시력저하를 동반하는 모든 증상을 의미하며, 시력이 저하된 상태뿐 아니라 저하될 가능성이 있거나 이를 예방할 필요가 있는 모든 상태를 의미한다.
각막이상증 환자에서는 각막표면에 흰점과 같은 혼탁이 나타나는데 이것은 나이가 들면서 증가하고, 진단은 이학적인 검사에서 나타나는 소견과 이에 해당되는 유전자이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각막표면에 나타나는 혼탁은 원인 물질이 되는 이상단백질의 응축 및 축적, 분해 저하 등에 의한 것일 수 있다.
각막의 조직학적 특성상 투명성의 유지는 각막 고유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반드시 필요한데 창상치유과정에서 증가한 세포외 기질과 불규칙한 콜라겐의 배열은 각막의 투명성을 저해시킬 뿐만 아니라 특히 이 과정에서 많이 생성되는 것으로 알려진 TGFBI 단백질은 TGFBI 이상단백질로 인한 각막이상증의 임상적 악화에 결정적인 원인임이 밝혀졌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TGFBI 이상단백질로 인한 각막이상증”은 TGFBI 유전자의 이상으로 인하여 각막에 이상소견이 나타나며 증상이 심화되는 질환을 나타내며 시력저하를 동반하는 질환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상기 각막이상증은 각막이상증은 TGFBI 유전자 변이로 인한 각막이상증이라면, 그 구체적인 증상의 종류나 증상의 정도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TGFBI 이상단백질로 인한 상기 각막이상증은 제1형 과립형 각막이상증(ranular corneal dystrophy type 1),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Avellino corneal dystrophy), 제1형 격자형 각막이상증(lattice corneal dystrophy type 1), 제3형 격자형 각막이상증(lattice corneal dystrophy type 3); RBCD(Reis-Buchler corneal dystrophy), 및 TBCD(Thiel-Behnke corneal dystrophy)을 포함하며, 모두 상염색체 우성유전을 하며 5q31염색체의 TGFBI 단백질의 유전자 돌연변이가 원인이다.
바람직하게, 각막이상증은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일 수 있다.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의 변이 TGFBI 단백질 또는 TGFBI 이상단백질은 TGFBI 유전자(TGF-β induced gene)의 R124H에서의 점 돌연변이가 발생한 TGFBI 유전자로부터 발현된다. 특히, 돌연변이 TGFBI 유전자로부터 발현된 변이 TGFBI 단백질이 각막의 세포외 기질에서 응집되고, 축적되는 것은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의 큰 병인일 수 있다. 이에 따라, 각막의 세포외 기질에 축적된 변이 TGFBI 단백질의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 나아가, 돌연변이 TGFBI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여 변이 TGFBI 단백질의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즉, 각막의 세포외 기질에서 효과적으로 변이 TGFBI 단백질의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는 각막이상증 치료물질의 개발이 요구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의 4-페닐부티르산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특히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의 증상을 개선하는 데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GCD2) 마우스 모델의 각막 세포외 기질에서 변이 TGFBI 단백질의 레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조성물들은 각막이상증, 특히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각막이상증 치료제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siRNA 또는 anti-TGFBI 단백질 항체를 사용하여 TGFBI 유전자 전체를 억제하면 각막에서의 TGFBI 발현을 조절할 수 있으나, 이는, 수많은 생체기전의 중심에 있는 TGFBI 유전자의 작용 범위를 고려할 때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것이라 예측되었다.
소포체(endoplasmic reticulum: ER)의 주요 기능은 새롭게 합성된 단백질의 품질 관리이다. 생리적이거나 병리학적 조건들이 소포체 항상성을 방해할 수 있으며, 이는 폴딩되지 않거나 잘못 폴딩된 단백질의 축적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축적을 ER 스트레스라고도 한다. ER 스트레스는 UPR(unfolded protein response)을 활성화하여 이러한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며 항상성을 회복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적응반응은 ERAD(ER-associated degradation)을 통해 전사 감소와 잘못 폴딩된 단백질의 제거를 야기하며, 단백질 폴딩에 도움을 주는 ER 샤페론 전사 상향조절을 야기한다. 이러한 ERAD 등은 초기에는 유익할 수 있으나 오래 지속되는 UPR은 결국 세포 사멸로 이어진다.
ERAD는 ER 스트레스와 매우 밀접하게 연결되며, 소포체에서 잘못 폴딩된 단백질을 제거한다. ERAD의 타겟 단백질은 ER 루멘 내의 품질관리 시스템에 의해 선택되며, 세포질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에 의해 분해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각막이상증을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GCD2)을 예시적으로 하여 설명하나 TGFBI 단백질과 연관된 각막이상증과 관련하여 제한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서의 각막이상증은 GCD2에서와 점 돌연변이의 위치가 상이하거나 상이한 변이의 변이 또는 이상 TGFBI 단백질과 연관된 각막이상증을 모두 포함한다.
GCD2는 TGFBI 단백질의 유전자에서 124 코돈(R124H)에서 아르기닌이 히스티딘으로의 치환에 의해 야기되는 상염색체우성 질환이다. GCD2는 각막 상피와 기질에서 변이 TGFBI 단백질(mutant-TGFBI protein)의 축적에 이은 각막 투명도 감소를 증상으로 한다. 산화 스트레스, 변화된 미토콘드리아 기능, 결함있는 자식작용(autophagy) 및 TGFBI 단백질 축적, 지연된 TGFBI 단백질 분비 등이 GCD2 발병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GCD2의 발병 매커니즘으로서 ER 스트레스와 ERAD의 변이 TGFBI 단백질의 제거 역할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4-페닐부티르산이 각막의 소포체에서의 질병과 연관된 단백질들의 잘못된 폴딩을 리버스(reverse)함으로써 ER 스트레스와 세포 사멸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었다.
변이 TGFBI 단백질은 각막 섬유아세포에서 ER 스트레스를 야기할 수 있다. UPR은 ER 항상성을 회복하기 위한 주요 적응 응답일 수 있으며, GCD2 각막 섬유아세포는 ER 스트레스에 대응하여 UPR 경로를 활성화한다. 지속된 UPR은 이는 GCD2 각막 섬유아세포에서 XBP1와 CHOP를 증가시키며,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4-페닐부티르산은 저분자량 지방산이며 샤프론 유사 활성을 갖는다. 4-페닐부티르산은 ER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UPR 활성화를 감소시킨다. 즉, 4-페닐부티르산은 ER 스트레스로 인한 GCD2 세포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4-페닐부티르산은 GCD2 각막 섬유아세포에서 TGFBI 이상단백질의 레벨을 감소시킨다. 특히, 4-페닐부티르산은 GCD2 마우스 모델의 각막 세포의 세포외 기질에서의 TGFBI 이상단백질의 레벨을 감소시켜, 각막이상증 치료에 대한 임상적 의의가 있다. 나아가, 4-페닐부티르산은 ERAD 경로와 같은 TGFBI 단백질 분해와 연관된 기전을 통해 TGFBI 단백질 분해를 유도하고, TGFBI 단백질 레벨을 감소시킨다. 또한, 4-페닐부티르산은 안정적이며 눈에서의 높은 투과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상기 4-페닐부티르산의 유효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각막이상증 치료제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거나 전체 함량으로도 포함될 수 있다. 각막이상증 개선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4-페닐부티르산의 유효 함량은 전체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병의 진행 정도,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각막이상증 치료제는 4-페닐부티르산에 더하여,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각막이상증 치료제는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점안제, 안연고의 형태로, 또는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멸균 주사 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메틸 셀룰로오스,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광물유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 혼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각막이상증 치료제를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 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각막이상증 치료제는 바람직하게는 점안제 또는 안연고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콜로이달 제형(Colloidal Dosage Form)을 이용한 점안액일 수 있다. 콜로이달 제형의 장점은 눈으로의 약물 전달 시 타겟 부위에서의 약물 방출을 조절할 수 있으며 상피 장벽 및 유출량과 연관된 투과 장벽도 극복할 수 있다. 또한 콜로이달 제형은 불안정한 의약품의 안정화에도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사용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그리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각막이상증 치료제가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 제조되는 경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 건조 제제, 외용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각막이상증 치료제의 약학적 유효량, 유효 투여량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투여 시간 및/또는 투여 경로 등에 의해 다양해질 수 있으며,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로 달성하고자 하는 반응의 종류와 정도, 투여 대상이 되는 개체의 종류,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상태, 질병의 증세나 정도, 성별, 식이, 배설, 해당 개체에 동시 또는 이시에 함께 사용되는 약물 기타 조성물의 성분 등을 비롯한 여러 인자 및 의약 분야에서 잘 알려진 유사 인자에 따라 다양해질 수 있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목적하는 치료에 효과적인 투여량을 용이하게 결정하고 처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각막이상증 치료제의 투여는 하루에 1 회 투여될 수 있고, 수회에 나누어 투여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각막이상증 치료제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은 각각 독립적일 수 있으며, 그 방식에 있어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목적하는 해당 부위에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도달할 수 있는 한 임의의 투여 경로 및 투여 방식에 따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경구 투여 방식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하는 방법으로는, 예를 들어 눈에 직접 투여하는 방법을 포함하나 이들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4-페닐부티르산을 함유하는, 변이 TGFBI 단백질 억제제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변이 TGFBI 단백질 억제제에서의 4-페닐부티르산의 유효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4-페닐부티르산은 변이 TGFBI 단백질 억제제의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20 중량%로 포함되거나 전체 함량으로도 포함될 수 있다. TGFBI 단백질 억제제에 있어서, 보다 효과적인 4-페닐부티르산의 유효 함량은 전체 억제제의 총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개체의 종류, 변이 TGFBI 단백질의 레벨에 따라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변이 TGFBI 단백질 억제제"는 각막에서의 변이 TGFBI 단백질의 축적을 억제하는 작용을 하는 물질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4-페닐부티르산은 변이 TGFBI 단백질의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명세서에서 "개체"는 쥐, 가축, 인간 등을 포함하는 포유 동물을 비롯한 모든 동물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막이상증을 개선시키는 방법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각막이상증 치료제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바람직한 동물 모델은 각막이상증 동물 모델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한 동물 모델은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 동물 모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 동물 모델은 마우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 마우스는 R124H 돌연변이를 갖는 사람의 TGFBI 유전자가 knock-in된 마우스로, 각막에서 변이 TGFBI 단백질을 발현하는 마우스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각막이상증 치료제에 대한 TGFBI 이상 단백질의 레벨의 조절 효과를 검정하는 방법으로는 웨스턴 블랏(Western blot), ELISA(enzyme linked immunosorbent assay), 방사선면역분석(RIA, Radioimmunoassay), 방사 면역 확산법(radioimmunodiffusion), 오우크테로니(Ouchterlony) 면역확산법, 로케트(rocket) 면역전기영동, 조직 면역 염색, 면역침전 분석법(Immunoprecipitation Assay), 보체 결합 분석법(complement fixation assay), 유세포분석(FACS, fluorescence activated cell sorter) 및 단백질 칩(protein chip)의 방법이 이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TGFBI 돌연변이 유전자의 발현 레벨은 역전사 중합효소반응(reverse transcription-PCR), 경쟁적 역전사 중합효소반응(competitive reverse transcription-PCR),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반응(realtime reverse transcription-PCR), RNase 보호 분석법(RPA, RNase protection assay), 노던 블랏팅(Northern blotting) 및 DNA 칩(DNA chip) 의 방법으로 측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동물 모델 및 TGFBI 이상 단백질의 레벨 또는 유전자 발현의 레벨을 측정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각막이상증 치료제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 동물 모델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또는 각막이상증 치료제를 투여하고, 동물 모델의 각막 세포를 취해 TGFBI 이상 단백질의 레벨 또는 유전자 발현의 레벨을 측정함으로써 본 평가가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물 모델의 각막 세포로부터의 세포 용해물에는 TGFBI 이상 단백질이 포함될 수 있기 때문에, 세포 용해물 내의 TGFBI 이상 단백질의 레벨 또는 유전자 발현의 레벨을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특히, 세포 용해물을 원심분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침전물 내에 존재하는, TGFBI 단백질의 레벨은 각막 세포외, 즉 각막의 세포외 기질에 존재하는 TGFBI 단백질의 레벨과 상응할 수 있다. 즉, 각막이상증 동물 모델에서 수득한 각막 세포의 침전물 내의 변이 TGFBI 단백질의 레벨은, 각막의 세포외 기질에 축적되어 각막이상증과 직접적으로 연관될 수 있는, 변이 TGFBI 단백질의 레벨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또는 각막이상증 치료제의 처리에 따른, 각막 세포의 침전물 내의 변이 TGFBI 단백질 레벨의 조절 여부를 확인하는 것은, 각막이상증의 증상에 대하여 개선 효과를 평가하는데 있어서 핵심일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은 4-페닐부티르산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막이상증, 특히 TGFBI 유전자 변이 각막이상증의 예방 또는 치료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은 ER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UPR의 활성을 감소시키며, ERAD 경로를 통해 TGFBI 이상단백질을 감소시키는 효능을 나타내며 이에 의해 TGFBI 이상단백질에 의한 각막이상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BIP, IRE1α 및 XBP1s의 레벨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결과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TGFBI 단백질의 레벨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결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시간에 따른 TGFBI 단백질의 감소를 나타낸 실험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TGFBI mRNA의 레벨에는 영향이 없음을 나타낸 실험 결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TGFBI 단백질의 레벨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 결과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ER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를 확인하기 위한 실험 결과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ER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를 방지하는 것을 나타내는 실험 결과이다.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각막의 섬유아세포에서 세포독성이 없음을 나타내는 실험 결과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GCD2 마우스 모델의 각막세포 내의 TGFBI 이상 단백질의 레벨을 나타내는 실험 결과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처리하였을 때, GCD2 마우스 모델의 각막의 세포외 기질에서의 TGFBI 이상 단백질의 레벨을 나타내는 실험 결과이다.
도 9는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후보 물질을 처리하였을 때, TGFBI 이상 단백질의 레벨을 나타내는 실험 결과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각막이상증을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GCD2)을 예시적으로 하여 설명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각막이상증 이상의 개선은 TGFBI 이상단백질의 감소함으로써 각막이상증이 개선되는 한 다양한 각막이상증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 1 내지 4에서의 in-vitro 실험에서는 와일드타입(WT) 및 1차 GCD2 동형접합성 변이의 (homozygous: HO) 인체 각막 섬유아세포를 이용하였다. 각막이상증의 개선에 대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상기 두 종류의 인체 각막세포에 4-PBA를 처리하였고, 이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실험에서 이용된 1차 각막 섬유아세포들과 세포 라인들은 37°C 5% CO2 인큐베이터에서 10% 소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Gibco, Gaithersburg, MD, USA), 100 IU/ml 페니실린(Corning) 및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Corning)이 보충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Corning, Cambridge, MA, USA)를 사용하여 유지되었다.
세포 추출은 프로테아제 억제 타블렛을 함유하는 RIPA (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버퍼 (RIPA; 150 mM NaCl, 1% NP-40, 0.5% deoxycholate, 0.1% sodium dodecyl sulfate, 50 mM Tris-HCl, pH 7.4) 에서의 1차 각막 섬유아세포로부터 수행되었다. 웨스턴 블랏이 수행되고, 스캐닝된 면역 반응성 단백질 밴드의 강도와 광학 밀도는 ImageJ version 1.37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Bethesda, MD, USA)를 사용하여 정량화되었으며, β-actin 밴드에 대한 정규화와 배경 제거 방식으로 수정되었다.
적응적 UPR은 세포의 생존을 향상시키지만 만성적인 UPR 활성화는 특히 GCD2 각막 섬유아세포에서 세포 사멸을 트리거한다. 세포 사멸 경로 활성화는 ER 스트레스로 야기될 수 있다. GCD2 각막 섬유아세포가 튜니카마이신(tunicamycin)에 의해 자극되어 ER 스트레스가 유도된 경우, 와일드타입 세포들과 비교하여 GCD2에서의 세포사가 약 20배정도 증가하였다.
실시예 1 - 4-PBA로 인한 ER 스트레스 감소
4-PBA로 처리되거나 처리되지 않은 세포들은 ER 스트레스 유도체로 처리되었다. IRE1α(inositol-requiring enzyme 1α)는 주요한 ER 스트레스 키니아제이며, XBP1(X box-binding protein 1)은 UPR의 활성화와 연관된 타겟이다. BiP, IRE1α, 및 XBP1는 튜니카마이신에 의해 지속적이고 주요하게 상향조절된다(도 1의 (a)). 이러한 유도는 WT 세포들에서보다 HO 세포들에서 보다 크게 나타난다. 한편, 4-PBA 처리는 튜니카마이신에 의한 BiP 유도를 크게 저감시킨다(도 1의 (a) 및 (b)). 나아가, HO 세포들의 IRE1α 및 XBP1도 10 mM 4-PBA로 처리되는 경우 크게 감소한다(도 1의 (a), (c) 및 (d)). 나아가, 튜니카마이신-매개된 IRE1α 및 XBP1 조절은 HO 세포들에서 4-PBA 처리에 의해 현저하게 억제된다(도 1의 (a), (c) 및 (d)).
실시예 2 - 4-PBA로 인한 TGFBI 단백질 레벨 감소 - in vitro
TGFBI 단백질의 분비 또는 발현에 대한 4-PBA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웨스턴 블랏에 의해 분석된 TGFBI 단백질 레벨은 24시간동안의 5, 10, 또는 20 mM 4-PBA 처리에 의해 WT 및 HO 세포들에서 모두 크게 감소되었다(도 2의 (a) 및 (b)). 또한, 20 mM 4-PBA 처리된 세포들은 4시간후 TGFBI 단백질이 약 40% 감소되었으며 24시간이 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감소되었다(도 3). 또한, TGFBI 단백질 분해 시스템인 자식 작용(autophagy)과의 연관성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도 수행하였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도 2의 (a) 및 (b)). 또한, 4-PBA는 TGFBI 전사 조절(도 4) 또는 TGFBI 단백질 분비(secretion)(도 2의 (d))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TGFBI mRNA 레벨은 real-time qRT-PCR로 분석되었다.
실시예 3 - ER 스트레스하에서 TGFBI 단백질의 ERAD를 통한 분해 및 4-PBA의 ERAD 활성화 유도
ERAD가 유도되어 유비퀴틴-프로테아좀 시스템을 통해 소포체 내에서 잘못 폴딩된 단백질 분해가 활성화된다. 이는 TGFBI 단백질이 ERAD 시스템에 의해 분해될 수도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ER 스트레스 하에서 TGFBI 단백질의 레벨을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WT 및 HO 세포들은 18시간동안 10 μM의 튜니카마이신 그리고 20 mM 4-PBA, 0.1 mM Baf A1, 또는 1 mM MG132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고 배양되었다. 웨스턴블랏 분석은 TGFBI 이상단백질 레벨(Mutant-TGFBI 단백질)이 ER 스트레스 유도물질에 의해 감소되는 것을 나타낸다(도 5의 (a) 및 (b)). 나아가, 이러한 감소는 ERAD 억제제인 MG132(ubiquitin proteasome inhibitor)와 자식 작용 억제제인 bafA1(bafilomycin A1)에 의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도 5의 (a) 및 (b)). ERAD를 통한 4-PBA이 TGFBI 단백질 레벨을 조절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4-PBA, MG132, 또는 bafA1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고 TGFBI 이상단백질의 레벨을 측정하였다(도 5의 (a) 및 (b)). 튜니카마이신은 지속적으로 이상TGFBI 단백질의 레벨을 감소시켰으나(도 5의 (a) 및 (b)의 lane 1, 2), MG132 또는 bafA1과 함께 처리되는 경우, ER 스트레스 하에서 TGFBI 이상단백질 레벨이 현저하게 상향 조절되었다(도 5의 (a) 및 (b)의 lane 3, 4). 이러한 높아진 TGFBI 이상단백질 레벨은 4-PBA에 의해 현저하게 억제되었다(도 5의 (a) 및 (b)의 lane 3, 4, 6 및 7). 이는 TGFBI 이상단백질이 ERAD에 의해 분해될 수 있으며, 4-PBA가 ERAD 시스템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예 4 - 4-PBA처리에 의한 GCD2 세포사 감소
ER 스트레스-매개된 GCD2 세포사가 4-PBA 처리에 의해 방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6a 및 도 6b). 도 6a는 기재된 물질로 24시간동안 처리된 각막 섬유아세포의 위상차 현미경 사진(320X)이다. 이러한 결과는 ER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세포사에서 4-PBA가 억제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마우스의 눈에 처리된 수양액(10 μM) 및 유리액(5 μM)에서 4-PBA는 안정적이며 높은 안구 투과성을 갖는다. 수양액이 각막 바로 뒤에 위치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4-PBA는 예를 들어 10 μM 이하의 허용가능한 치료 도즈 레벨에서 GCD2 세포들에서 독성에 대한 우려 없이 TGFBI 단백질 레벨을 약 60%까지 감소시킬 수 있다(도 7). 도 6b 및 도 7은 다양한 4-PBA 농도하에서 WT와 GCD2 각막 섬유아세포에 대한 유세포 분석을 나타낸다. 세포들은 FITC(annexin V-fluorescein isothiocyanate)로 라벨링되었다. 보여지는 세포들은 PI 염색(좌하부 사분면)이고, 아넥신에 대해서 이중-음성(double-negative)이다. 초기의 사멸 단계 세포는 낮은-PI 염색(우하부 사분면)이며 높은-아넥신으로 나타내어지고, 후기의 사멸 단계 세포는 PI 염색(우상부 사분면)이고 아넥신에 대해 이중-양성(double-positive)이다. 괴사성(necrotic) 세포들은 PI 염색(좌상부 사분면)이고 낮은-아넥신으로 나타내어진다.
이상의 실시예 1 내지 4의 결과를 참조하면, 4-PBA 처리에 따라 GCD2 HO 인체 각막 섬유아세포 및 와일드타입의 인체 각막 섬유아세포 내의 TGFBIp의 레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TGFBI 이상단백질의 레벨이 감소는 4-PBA가 ERAD 시스템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4-PBA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각막세포 내의 변이 TGFBIp의 레벨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ERAD 시스템을 활성화시켜 각막내의 TGFBIp 이상단백질의 축적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TGFBI 유전자 변이 각막이상증의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더 나아가, 각막이상증 치료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 5에서의 in-vivo 실험에서는 GCD2 마우스 모델인 GCD2 Tg 마우스를 이용하였다. 이때, GCD2 Tg 마우스는 TGFBI 유전자 상에 R124H 돌연변이를 갖고 있어, TGFBI 이상단백질을 발현할 수 있다. 각막이상증의 개선에 대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효과를 입증하기 위해, GCD2 마우스 모델의 눈에 15 중량%의 4-PBA를 하루에 세 번, 3 방울(총량, 약 50㎕)씩, 14일 동안 처리하였고, 이에 따른 변화를 관찰하였다. 이때, 한 마리의 GCD2 마우스 모델에 대하여 오른쪽 눈에는 4-PBA를, 왼쪽 눈에는 4-PBA 처리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PBS를 처리하였다. 즉, PBS를 처리한 GCD2 마우스 모델의 왼쪽 각막은 4-PBA 처리한 오른쪽 각막에 대한 음성 대조군으로 이용하였고,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GCD2 마우스 모델의 각막을 양성 대조군으로 이용하였다.
구체적으로, 20 마리의 4-PBA 및 PBS 처리 마우스 모델 및 양성 대조군 마우스 모델의 각막의 상피조직은 해부용 칼을 이용해 획득하였다. 그 다음, 동일한 방향(왼쪽 또는 오른쪽)의 2 마리의 각막 상피조직을 하나로 합쳐, 하나의 샘플로 만들었다. 이에 따라, 최종적으로 10 개의 샘플이 만들어졌다. 그 다음, RIPA 버퍼를 20㎕ 첨가하고, 1분간 볼텍싱(vortexing)함으로써, 각막세포 용해물을 획득하였다. 획득한 용해물은 4℃, 12000g으로 원심분리되어 상층액 시료와 침전물 시료로 획득되었다. 그 다음, 상층액 시료의 7㎍ 및 전체 침전물 시료를 취해 단백질 전기영동(SDS-PAGE)를 이용하여 각각의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마지막으로, 분리된 단백질 각각을 PVDF(polyvinylidene fluoride)에 전이시킨 후, TGFBIp 항체를 이용하여 웨스턴 블랏으로 TGFBIp 이상단백질의 레벨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5 - 4-PBA로 인한 TGFBI 단백질 레벨 감소 - in vivo
PBS 처리의 상층액에 비하여 4-PBA 처리의 상층액 시료내의 변이 TGFBIp의 레벨은 약 2.5배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도 8a의 (b)). 특히, 8a의 (a)를 참조하면, 1번, 3번, 4번, 7번 및 10번 샘플에서의 변이 TGFBIp의 레벨의 감소 수준은 다른 샘플보다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때, 각막세포 용해물의 상층액 내의 변이 TGFBIp의 레벨은 각막세포내에 존재하는 변이 TGFBIp의 레벨과 상응할 수 있다. 즉, 8a의 (a) 및 (b)에서의 변이 TGFBIp의 레벨은 각막의 세포외 기질에 축적되기 이전에, 세포 내에서 변이 TGFBIp이 만들어진 양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8a의 (a) 및 (b)의 결과는, 4-PBA가 각막세포 내의 변이 TGFBIp의 레벨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나아가, 음성 대조군인 PBS 처리의 침전물 및 양성 대조군(PC)과 대조적으로 4-PBA 처리의 침전물 시료내의 변이 TGFBIp의 레벨 또한 감소한다(도 9a의 (a) 및 (b)). 도 9a의 (b)를 참조하면, 4-PBA 처리의 침전물내의 TGFBIp의 레벨은 PBS 처리의 침전물에 비하여 약 2.5 배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 9a의 (a)를 참조하면, 1 내지 10번 샘플 모두에서 변이 TGFBIp의 레벨은 크게 감소하였고, 특히 4번 샘플 내의 변이 TGFBIp의 레벨의 감소는 다른 샘플보다 크게 나타났다. 이때, 각막세포 용해물의 침전물 내의 변이 TGFBIp의 레벨은 각막 세포외, 즉 각막의 세포외 기질에 존재하는 변이 TGFBIp의 레벨과 상응할 수 있다. 즉, 9a의 (a) 및 (b)에서의 변이 TGFBIp의 레벨은 각막의 세포외 기질에 축적되어, 각막이상증과 직접적으로 연관될 수 있는, 변이 TGFBIp의 레벨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9a의 (a) 및 (b)의 결과는, 4-PBA가 각막의 세포외 기질에서의 변이 TGFBIp의 레벨을 감소시키는데 효과적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4-PBA 처리에 따른, 각막의 세포외 기질에서의 변이 TGFBIp의 레벨을 감소의 결과는 4-PBA가 ERAD 시스템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즉, 이상의 결과는 TGFBI 유전자 변이에 따른 각막이상증의 예방 또는 치료에 있어서, 임상적으로 보다 중요한 결과일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 5의 결과로, 4-PBA 처리에 따라 GCD2 마우스 모델의 각막에서 발현하는 변이 TGFBIp의 레벨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각막세포 내의 이상 TGFBIp의 레벨이 감소는 4-PBA가 ERAD 시스템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각막의 세포외 기질에서의 변이 TGFBIp의 레벨의 감소는 4-PBA가 TGFBI 단백질의 축적, 나아가 TGFBI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4-PBA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각막세포 내 또는 각막의 세포외 기질에서 TGFBIp의 레벨을 감소시키고, 나아가 ERAD 시스템을 활성화시켜 각막세포 내 또는 각막세포 외 기질에서의 TGFBIp 이상단백질의 축적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은 TGFBI 유전자 변이 각막이상증의 개선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 조성물, 더 나아가, 각막이상증 치료제로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의 비교예 1의 실험에서는 전술한 실시예 1 내지 4에서 이용되었던 인체 각막세포와 동일한 인체 각막세포를 이용하였다. 나아가, 각막이상증 개선에 대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유효성분인 4-PBA를 포함하는, 다양한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후보 물질을 평가하였다. 이때, 후보 물질은 구체적으로 PBS, 50 mM의 리튬 클로라이드(LiCl), 10 mM의 발프로산(VA), 20 mM의 4-PBA(4-PBA), 0.5 μm의 트리코스타틴 A(TSA), 5 μm의 보리노스탯(SAHA), 300 μm의 멜라토닌(Mel) 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에 대한 대조군은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 인체 각막세포(CNT) 이다. 이들 후보 물질을 인체 각막세포에 처리한 후, 웨스턴 블랏을 이용하여 TGFBIp의 레벨을 측정하였다.
비교예 1 -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후보 물질 처리에 따른 TGFBIp의 레벨의 감소
PBS를 제외한 6 개의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후보 물질은 대조군(CNT)과 비교하여, 변이 TGFBIp 레벨의 감소가 나타났다(도 9의 (a) 및 (b)). 이때, 변이 TGFBIp 레벨 감소의 기작은 히스톤 탈아세틸효소의 저해와 연관 있을 수 있다. 즉, 이상의 후보 물질들은 히스톤 탈아세틸효소 억제제(Histone deacetylases inhibitors, HDACis)로서, 각막세포 내의 히스톤 탈아세틸효소를 저해할 수 있고, 이의 결과는 변이 TGFBIp 레벨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의 유효성분인 4-PBA처리에 따른 변이 TGFBIp의 레벨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약 5 배 감소하였다. 또한, 다른 후보 물질과 비교하였을 때, 변이 TGFBIp의 레벨의 감소 수준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4-PBA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들은 변이 TGFBIp의 레벨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고, 그 결과 각막이상증의 개선 또는 예방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4-페닐부티르산(4-phenylbutyr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4-페닐부티르산은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20 중량%인,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이상증은 TGFBI(transforming growth factor β-induced) 유전자 변이 각막이상증인,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TGFBI 유전자 변이 각막이상증은 제1형과립형각막이상증(ranular corneal dystrophy type 1),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Avellino corneal dystrophy), 제1형격자형각막이상증(lattice corneal dystrophy type 1), 제3형격자형각막이상증(lattice corneal dystrophy type 3); RBCD(Reis-Buchler corneal dystrophy), 및 TBCD(Thiel-Behnke corneal dystrophy) 중 하나인,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TGFBI 유전자 변이 각막이상증은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인,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4-페닐부티르산(4-phenylbutyr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각막이상증 치료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4-페닐부티르산은 치료제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5 중량% 내지 20 중량%인, 각막이상증 치료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이상증은 TGFBI 유전자 변이 각막이상증인, 각막이상증 치료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TGFBI 유전자 변이 각막이상증은 제1형과립형각막이상증(ranular corneal dystrophy type 1),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Avellino corneal dystrophy), 제1형격자형각막이상증(lattice corneal dystrophy type 1), 제3형격자형각막이상증(lattice corneal dystrophy type 3); RBCD(Reis-Buchler corneal dystrophy), 및 TBCD(Thiel-Behnke corneal dystrophy) 중 하나인, 각막이상증 치료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TGFBI 유전자 변이 각막이상증은 제2형 과립형 각막이상증인, 각막이상증 치료제.
  11. 제6항 내지 제1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막이상증 치료제는 점안제 또는 안연고의 제형인, 각막이상증 치료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70019957A 2016-06-03 2017-02-14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8405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5823 WO2017209577A1 (ko) 2016-06-03 2017-06-02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69662 2016-06-03
KR1020160069662 2016-06-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610A KR20170137610A (ko) 2017-12-13
KR101840589B1 true KR101840589B1 (ko) 2018-03-20

Family

ID=60944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9957A KR101840589B1 (ko) 2016-06-03 2017-02-14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5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1611A (ja) 2006-06-28 2008-01-17 Victor Co Of Japan Ltd モータ
EP2599481A1 (en) 2011-11-30 2013-06-05 Lunamed AG 4-phenylbutyric acid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various diseases
WO2015064768A1 (ja) 2013-10-31 2015-05-07 京都府公立大学法人 角膜内皮の小胞体細胞死関連疾患治療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11611A (ja) 2006-06-28 2008-01-17 Victor Co Of Japan Ltd モータ
EP2599481A1 (en) 2011-11-30 2013-06-05 Lunamed AG 4-phenylbutyric acid for the treatment or prevention of various diseases
WO2015064768A1 (ja) 2013-10-31 2015-05-07 京都府公立大学法人 角膜内皮の小胞体細胞死関連疾患治療薬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ging Cell, 2011년, 10권, 페이지 418-428
Investigative Ophthalmology & Visual Sci, 2012년, 53권, 페이지 1557-156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7610A (ko) 2017-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285500A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Gene Therapy for Corneal Endothelium Disorders
US8182841B2 (en) Amniotic membrane preparations and purified compositions and anti-inflammation methods
Procino et al. Combination of secretin and fluvastatin ameliorates the polyuria associated with X-linked nephrogenic diabetes insipidus in mice
McLaughlin et al. Cellular stress signaling and the unfolded protein response in retinal degeneration: mechanisms and therapeutic implications
JP5701183B2 (ja) Tgfbi遺伝子変異角膜異常症の予防又は治療用薬剤学的組成物及びそ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Wang et al. Galangin ameliorated pulmonary fibrosis in vivo and in vitro by regulating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US20220273692A1 (en) Therapeutic agent for nervous system disease
JP2015533790A (ja) ミトコンドリア関連疾患の治療に使用するためのα−1−ミクログロブリン
Chen et al. Methotrexate prevents epidural fibrosis through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signalling pathway
RU2733432C1 (ru) Лечение вирусного конъюнктивита с применением ранпирназы и/или амфиназы
US20200138806A1 (en) Nutlin-3a for Treatment of Proliferative Vitreoretinopathy
Ren et al. Thioredoxin upregulation delays diabetes-induced photoreceptor cell degeneration via AMPK-mediated autophagy and exosome secretion
WO2017180841A1 (en) Treatment of cerebral cavernous malformations
US20230172994A1 (en) Methods of promoting vasculogenesis
JP2008504228A (ja) Amp活性化プロテインキナーゼの薬理学的阻害による新規神経保護方法
WO2011097577A2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treating or preventing retinal degeneration
KR101840589B1 (ko)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20210379078A1 (en) Killing Senescent Cells And Treating Senescence-Associated Conditions Using A Bcl Inhibitor And An Mcl-1 Inhibitor
Sun et al. Long-term L-3-n-butylphthalide pretreatment attenuates ischemic brain injury in mice with permanent distal 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through the Nrf2 pathway
US20180200279A1 (en) Inhibition of hsv-1-associated corneal neovascularization using inhibitors of cyclin-dependent kinase 9
US20220110953A1 (e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treating human papillomavirus (hpv)-induced cancers
KR20170036928A (ko) IKKε 억제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만성 부비동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조성물
Liu et al. Anti-apoptosis effects of vascular endothelial cadherin in experimental corneal neovascularization
WO2017209577A1 (ko) 각막이상증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US8921312B2 (en) Combination of insulin and ascorbate to enhance wound heal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