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564B1 - 공기입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564B1
KR101840564B1 KR1020160134638A KR20160134638A KR101840564B1 KR 101840564 B1 KR101840564 B1 KR 101840564B1 KR 1020160134638 A KR1020160134638 A KR 1020160134638A KR 20160134638 A KR20160134638 A KR 20160134638A KR 101840564 B1 KR101840564 B1 KR 101840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ncture
tire
rubber
shielding film
bon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46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규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346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5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5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12Puncture preventing arrangements
    • B60C19/122Puncture preventing arrangements disposed inside of the inner l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00Tyre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composition or the physical arrangement or mixture of the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7/00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 B60C17/0009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comprising sidewall rubber inserts, e.g. crescent shaped inserts
    • B60C17/0045Tyres characterised by means enabling restricted operation in damaged or deflated condition; Accessories therefor comprising sidewall rubber inserts, e.g. crescent shaped inserts comprising grooves or ribs, e.g. at the inner side of the inse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5/0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 B60C5/12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 B60C5/14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with impervious liner or coating on the inner wall of the ty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행 중 못과 같이 예리한 물건에 의해 타이어가 손상되더라도 타이어 내부의 공기가 순간적으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타이어 펑크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공기입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트레드(100)와 사이드월(200) 및 비드부(300)로 구성되는 공기입타이어에 있어서, 양측의 각 비드부(300)에 일단이 접합되며, 타이어 내부에 전체에 원주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펑크차단막(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타이어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공기입타이어는 펑크가 나더라도 공기가 급격히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타이어의 하중이 증가하거나 타이어의 안락성이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공기입타이어{A PNEUMATIC TIRE}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 중 못과 같이 예리한 물건에 의해 타이어가 손상되더라도 타이어 내부의 공기가 순간적으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타이어 펑크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공기입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못이나 이와 유사한 예리한 물건에 의해 타이어가 손상되어 펑크가 나면 급격히 타이어의 주행 능력이 상실될 수 있고 이는 매우 위험한 사고로도 귀결될 수 있다. 이러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펑크가 나더라도 주행이 가능한 타이어나 공기 유출을 최소화하여 급격한 주행 성능 저하를 방지하는 타이어를 개발하기 위한 시도가 있어 왔다. 예를 들어, 아예 공기압력이 없이 주행할 수 있는 비공기입 타이어(non-pneumatic tire)나 타이어 내부에 보강 구조를 갖는 타이어, 타이어 사이드월을 보강한 구조를 갖는 타이어나 타이어 내부에 튜브나 원형공, 혹은 충진재를 갖는 타이어들이 시도되어 왔다. 하지만 많은 시도들에도 불구하고 제조나 사용상의 문제로 인해 일부 타이어를 제외하고는 실제 상용화가 되기는 힘들었다. 또한 상용화가 가능하더라도 펑크 시 주행 성능을 보장하기 위해 타이어의 다른 성능들을 희생할 수 밖에 없었다. 예를 들어 실런트(Sealant) 코팅제를 포함한 타이어 혹은 유사 사례들의 경우, 중량이 매우 높고 원심력에 의해 실런트물이 트레드부에 몰려 사이드월부를 보호할 수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사이드월부를 보강하여 펑크가 발생하더라도 주행 가능한 타이어의 경우, 역시 중량이 증가하며 타이어가 딱딱하여 주행 안락성이 좋지 않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 기술과는 달리 중량이 증가하거나 안락성이 저하되지 않는 반면 펑크가 발생하였을 경우 효과적으로 타이어 공기 유출을 방지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타이어와 그 구조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7648호 '자동차용 타이어의 런-플랫 장치'는 타이어의 런플랫(run-flat) 대비 방법과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이어의 내부에 작은 공을 충전시키되 작은 공을 종래에 있어서와 같이 타이어 내부에 가득 충전시키지 아니하고, 림 베이스에 끼워지게 설치되는 밴드에 다수개의 작은 공을 부착시키되, 밴드와 각 작은 공이 하나의 결합체를 이루도록 이들을 결합 부착시키고, 자동차의 주행시 작은 공들이 타이어의 내벽과 접하여지지 아니하도록 작은 공들과 타이어 내벽 사이에 일정 간격을 형성시킴으로써, 타이어의 성능에 미치는 영향을 감소시키고, 또한 주행 중의 소음 발생을 감소시키면서, 타이어가 파손되는 경우에 있어서도 타이어가 주저앉아 사고를 일으키는 일이 없게 하는 런플랫(run-flat) 대비 방법과 장치를 개시한 바 있다. 제10-0557648호는 종래의 기술과는 달리 공들을 가득 충전시키지 아니함으로써 주행성능 및 안락성 등의 타이어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였으나 여전히 공이 들어가있어 그 효과가 기대에 미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7784호 '런플랫 타이어'는 그 외면이 트레드면을 이루는 트레드; 각각이 상기 트레드의 단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월; 각각이 상기 사이드월보다 반경 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비드; 상기 트레드 및 사이드월을 따라 있고, 양 비드의 사이에 걸쳐 있는 카커스; 반경 방향에 있어서, 트레드의 내측이면서 카커스의 외측에 위치하는 보강층; 그리고 각각이 사이드월의 축방향 내측에 위치하는 한 쌍의 하중 지지층을 구비하고, 그 한 쌍의 사이드면 중,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 이 차량의 폭방향 내측이 되는 사이드면에 다수의 딤플을 갖고, 상기 딤플의 수가, 차량에 장착되었을 때 이 차량의 폭방향 외측이 되는 사이드면에 존재하는 딤플의 수보다 많으며, 상기 차량의 폭방향 외측이 되는 사이드면에 존재하는 딤플의 수의, 상기 차량의 폭방향 내측이 되는 사이드면에 존재하는 딤플수에 대한 비가 70% 이하인 런플랫 타이어를 개시한 바 있다. 상기 타이어는 딤플로 인하여 타이어의 승온을 억제함으로써 펑크가 난 상태에서도 일정시간이 주행이 가능하게 한 것이나, 펑크시 누출되는 공기의 통제 없이 승온의 억제만으로 펑크시 충분한 주행성능을 기대하기 어려웠으며, 딤플에 의한 공기저항도 무시할 수준이 못 되는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7648호 '자동차용 타이어의 런-플랫 장치' 공개일자 2006년01월09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07784호 '런플랫 타이어' 공개일자 2014년05월22일
본 발명은 종래의 런플랫 타이어와는 달리 중량이 증가하거나 안락성이 저하되는 등의 성능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최소화 하면서도, 펑크가 발생하였을 경우 효과적으로 타이어 공기 유출을 방지하여 장시간의 주행이 가능한 공기입타이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트레드(100)와 사이드월(200) 및 비드부(300)로 구성되는 공기입타이어에 있어서, 양측의 각 비드부(300)에 일단이 접합되며, 타이어 내부에 전체에 원주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유연성을 갖는 다양한 천연 또는 합성 비금속성 물질로 이루어진 펑크차단막(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두께가 0.01~5.00m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천연고무, 불소고무, 실리콘 고무, 라텍스, 나일론, 부틸고무, 할로부틸고무, N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EPDM(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 ACM(아크릴 고무), AEM (에틸렌-아크릴 고무), SBR(스티렌-부타디엔 고무), BR(부타디엔 고무), CR(클로로프렌 고무), CSM (클로로설포네이티드 폴리에틸렌 고무), ECO(에피클로히드린 고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C(Poly Carbonate), PVC(Poly Vinylchloride), PA(Polyamide), PPS (Polyphenylene Sulfide), PK(Polyketone), EVOH(Ethylene Vinyl Alcohol),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페놀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클로로프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터계 폴리머, 폴리에틸렌계 폴리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펑크 발생 부분을 감싸기 위한 요철(530)을 포함하며, 상기 요철의 형상은 구형, 원주형, 다각기둥, 경사면요철 중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빗살 무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상기 비드부(300)에 대한 체결부분에 접합부위의 접합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접합층(520)이 막의 한쪽 면 혹은 양면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내부에 보강코드(540)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펑크 발생 부분을 긴밀하게 감싸기 위한 연질시트(550)와, 상기 펑크차단막(500)의 강성향상 및 형태유지를 위한 경질시트(560)가 접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펑크차단막(500)에 형성되는 요철(530)들은 원주방향으로 평크차단막(500)의 폭만큼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공기입타이어와는 달리 펑크가 나더라도 공기가 급격히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타이어의 하중이 증가하거나 타이어의 안락성이 저하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또한 타이어 실런트물을 갖는 종래의 타이어와는 달리 타이어 트레드부 뿐만 아니라 사이드월부에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종래의 보강 구조를 갖는 타이어와는 달리 제조가 용이하면서도 공기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본 발명 기술을 적용한 타이어에서 다양한 형태의 물건으로 인해 펑크가 났을 경우, 주행 가능 여부 및 공기 유출 상태를 시험한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 기술을 적용할 경우 타이어에 펑크가 발생하더라도 급격히 주행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공기의 유출이 최소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기술을 적용한 경우, 펑크차단막의 움직임이 일종의 댐퍼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정상적인 주행 상황에서 타이어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공기입타이어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공기입타이어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펑크차단막 요철의 일 실시예의 요부발췌 사시도이다.
도 4는 요철이 육각기둥이고, 보강코드를 구비한 실시예의 요부발췌 사시도이다.
도 5는 요철이 경사면요철이고, 연질시트와 경질시트를 구비한 실시예의 요부발췌 사시도이다.
도6은 연질시트와 경질시트를 구비하며, 경사면을 갖는 요철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열되는 실시예의 요부발췌 사시도이다.
도7은 연질시트와 경질시트를 구비하며, 단면이 정사각형인 요철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열되는 실시예의 요부발췌 사시도이다.
도8은 본 발명 기술을 적용한 타이어에서 다양한 형태의 물건으로 인해 펑크가 났을 경우, 주행 가능 여부 및 공기 유출 상태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운행 중 못과 같이 예리한 물건에 의해 타이어가 손상되더라도 타이어 내부의 공기가 순간적으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타이어 펑크로 인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종래의 공기입타이어와는 달리 얇은 두 개의 박막이 한 쌍을 이루면서 부가적으로 타이어 내부에 위치하고 있고, 그 박막의 일부분이 타이어 비드부와 결합되어 있으며, 타이어에 펑크가 발생할 경우 얇은 박막이 펑크부위를 감싸면서 공기가 순간적으로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술이다.
즉,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드(100)와 사이드월(200) 및 비드부(300)로 구성되는 공기입타이어에 있어서, 양측의 각 비드부(300)에 일단이 접합되며, 타이어 내부에 전체에 원주 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펑크차단막(500)을 포함하는 공기입타이어를 제공한다.
펑크가 발생한 경우에도 급격한 공기 유출 및 주행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타이어 내부에 전체 원주 방향으로 2개의 서로 분리된 얇은 형태의 막으로서 펑크차단막(500)이 삽입되어져 있다. 상기 각각의 펑크차단막(500)은 타이어에 부착된 특정 부위를 제외하고는 타이어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타이어 제조 과정에서 타이어 비드부에 부착되어 제조되거나 타이어 제조 후에 접착제로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정상적인 주행 상태에서는 펑크차단막(500)들이 자유로운 상태로 놓여 있지만, 타이어에 펑크가 발생하여 공기가 유출되는 경우 공기 압력의 차이에 의해 펑크차단막(500)들이 자연스럽게 손상된 부위를 감싸면서 공기 배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펑크차단막(500)이 손상된 부위를 감싼다는 것은 손상된 부위를 덮거나, 손상된 부위로 삽입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유연성을 갖는 다양한 천연 혹은 합성 비금속성 물질로 만들어질 수 있다. 예로서,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그 두께가 0.01~5.00mm이며, 천연고무, 불소고무, 실리콘 고무, 라텍스, 나일론, 부틸고무, 할로부틸고무, N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EPDM(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 ACM(아크릴 고무), AEM (에틸렌-아크릴 고무), SBR(스티렌-부타디엔 고무), BR(부타디엔 고무), CR(클로로프렌 고무), CSM (클로로설포네이티드 폴리에틸렌 고무), ECO(에피클로히드린 고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C(Poly Carbonate), PVC(Poly Vinylchloride), PA(Polyamide), PPS (Polyphenylene Sulfide), PK(Polyketone), EVOH(Ethylene Vinyl Alcohol),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페놀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클로로프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터계 폴리머, 폴리에틸렌계 폴리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막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점착제, 가교제, 가교 촉진제, 가교촉진 보조제 등이 첨가될 수 있다.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펑크가 발생한 부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감싸기 위한 요철(5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요철(530)의 형상은 구형, 원주형, 다각기둥, 경사면요철 중 선택되는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펑크의 발생은 주로 못 등의 첨예한 물건에 의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 펑크의 크기는 직경이 10mm 미만인 경우가 대부분이며, 따라서 상기 요철의 직경도 3~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요철(530)은 펑크가 난 후 주행하면서 자연스럽게 펑크를 메우게 되어 보다 효과적으로 공기의 추가유출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펑크차단막(500)은 비드부(300)와의 체결부분 양면에 접합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접합층(520)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층(520)은 필요에 따라 접착층, 보강층 등의 다층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비드부(300)는 타이어가 림에 견고하게 체결되기 위한 부위로서 본 발명의 펑크차단막(500) 만을 삽입할 경우 유연한 펑크차단막(500)의 손상은 물론, 급제동 등의 가혹한 운전환경에서 타이어가 림에서 이탈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합층(520)에는 펑크차단막(500)과 다른 재질의 고무나 고강도 섬유 채퍼(chafer) 등의 높은 강성 및 마찰력을 갖는 재료가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림과 맞닿는 부위를 보호하기 위한 보강층(57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보강층(570) 역시 고강도 섬유 채퍼(chafer)나 금속채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아무런 모양이 없는 밋밋한 판 형태 일수도 있고, 펑크난 부위를 보다 부드럽게 감싸거나 공기 누출을 메우기 위해 다양한 모양의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한쪽 면 혹은 양면에 펑크 발생 부분을 감싸기 위한 요철(530)을 포함하며, 상기 요철의 형상은 구형, 원주형, 다각기둥, 경사면요철 중 선택되는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펑크 발생 부분으로 막이 보다 유연하게 움직이기 위해 다수의 천공을 포함하거나 빗살 무늬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도 4는 요철(530)이 육각기둥이고, 보강코드를 구비한 실시예의 요부발췌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강성의 향상을 위해 내부에 보강코드(540)가 삽입될 수 있다. 펑크가 나는 상황은 거친 길을 주행하는 등의 매우 가혹한 주행환경일 수 있으므로 고무, 열가소성 엘라스트로머 등의 재질인 펑크차단막(500)이 쉽게 손상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펑크차단막(500)의 강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보강코드(540)를 삽입할 수 있다. 하중 및 크랙 등의 문제를 고려할 때 보강코드(540)로는 나일론코드 등의 합성섬유코드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는 요철이 경사면요철이고, 연질시트와 경질시트를 구비한 실시예의 요부발췌 사시도이다.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펑크가 발생한 부분을 긴밀하게 감싸기 위한 연질시트(550)와, 펑크차단막(500)의 강성향상 및 형태유지를 위한 경질시트(560)가 접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목적은 상기 보강코드(540)의 적용목적과 동일하다.
도 6은 연질시트와 경질시트를 구비하며, 경사면을 갖는 요철이 원주방향으로 연장되어 배열되는 실시예의 요부발췌 사시도이고, 도 7은 연질시트와 경질시트를 구비하며, 단면이 정사각형인 요철이 원주방향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되는 실시예의 요부발췌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의 실시예에서의 구성은 원주방향으로 평크차단막의 폭만큼 연장되어 배열되는 요철(530)에 의한 펑크난 부분의 차폐효과는 물론 펑크차단막(500)의 강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은 일반적인 공기입타이어와 달리 펑크가 나더라도 공기가 급격히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런플랫 기능을 갖는 종래 타이어와 달리 타이어의 하중이 증가하거나 타이어의 안락성이 저하되지 않는다. 또한, 타이어 실런트물을 갖는 종래 타이어와는 달리 타이어 트레드부 뿐만 아니라 사이드월부에 손상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공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보강 구조를 갖는 타이어와 달리 매우 간단하면서도 공기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기술을 적용한 경우, 얇은 막의 움직임이 일종의 댐퍼 역할을 수행하므로 정상적인 주행 상황에서 타이어 내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부가적인 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 기술을 적용한 타이어에서 다양한 형태의 물건으로 인해 펑크가 났을 경우, 주행 가능 여부 및 공기 유출 상태를 시험한 결과를 나타낸 표이다. 도 8의 시험결과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 기술을 적용할 경우 타이어에 펑크가 발생하더라도 급격히 주행 성능이 저하되지 않고, 공기의 유출이 최소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트레드
200: 사이드월
300: 비드부
400: 인너라이너
500: 펑크차단막
510: 겹침부
520: 접합층
530: 요철
540: 보강코드
550: 연질시트
560: 경질시트
570: 보강층

Claims (9)

  1. 트레드(100)와 사이드월(200) 및 비드부(300)로 구성되는 공기입타이어에 있어서,
    양측의 각 비드부(300)에 일단이 접합되며, 타이어 내부에 전체 원주 방향으로 설치되는 2개가 서로 분리된 막으로서, 양측 비드부에 접합되는 일단을 제외하고는 타이어와 분리되어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한 쌍의 유연성을 갖는 다양한 천연 또는 합성 비금속성 물질로 이루어진 펑크차단막(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두께가 0.01~5.0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타이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천연고무, 불소고무, 실리콘 고무, 라텍스, 나일론, 부틸고무, 할로부틸고무, NBR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고무), EPDM(에틸렌 프로필렌 디엔 고무), ACM(아크릴 고무), AEM (에틸렌-아크릴 고무), SBR(스티렌-부타디엔 고무), BR(부타디엔 고무), CR(클로로프렌 고무), CSM (클로로설포네이티드 폴리에틸렌 고무), ECO(에피클로히드린 고무),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Polyethylene naphthalate), PC(Poly Carbonate), PVC(Poly Vinylchloride), PA(Polyamide), PPS (Polyphenylene Sulfide), PK(Polyketone), EVOH(Ethylene Vinyl Alcohol), PTFE (Polytetrafluoroethylene), 페놀계 수지,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 폴리올레핀, 폴리우레탄, 폴리클로로프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터계 폴리머, 폴리에틸렌계 폴리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중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타이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펑크 발생 부분을 감싸기 위한 요철(530)을 포함하며, 상기 요철의 형상은 구형, 원주형, 다각기둥, 경사면요철 중 선택되는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타이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빗살 무늬 형태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타이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상기 비드부(300)에 대한 체결부분에 접합부위의 접합 강도를 증진시키기 위한 접합층(520)이 막의 한쪽 면 혹은 양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타이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내부에 보강코드(54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타이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펑크차단막(500)은 펑크 발생 부분을 긴밀하게 감싸기 위한 연질시트(550)와, 상기 펑크차단막(500)의 강성향상 및 형태유지를 위한 경질시트(560)가 접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타이어.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펑크차단막(500)에 형성되는 요철(530)들은 원주방향으로 평크차단막(500)의 폭만큼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타이어.
KR1020160134638A 2016-10-17 2016-10-17 공기입타이어 KR101840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638A KR101840564B1 (ko) 2016-10-17 2016-10-17 공기입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4638A KR101840564B1 (ko) 2016-10-17 2016-10-17 공기입타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564B1 true KR101840564B1 (ko) 2018-03-20

Family

ID=61910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4638A KR101840564B1 (ko) 2016-10-17 2016-10-17 공기입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5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9718A (ja) * 2000-08-23 2002-02-26 Bridgestone Corp 安全空気入りタイヤ
JP2008290556A (ja) * 2007-05-24 2008-12-04 Bridgestone Corp 安全タイヤ
JP4335053B2 (ja) * 2004-04-02 2009-09-3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安全タイヤ用空気のう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9718A (ja) * 2000-08-23 2002-02-26 Bridgestone Corp 安全空気入りタイヤ
JP4335053B2 (ja) * 2004-04-02 2009-09-30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安全タイヤ用空気のう
JP2008290556A (ja) * 2007-05-24 2008-12-04 Bridgestone Corp 安全タイ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031627B1 (en) Tire with groove reinforcement
US9492982B2 (en) Puncture sealant laminate
EP3225425A1 (en) Tire
US20190084358A1 (en) Pneumatic tire
EP3459763A1 (en) Tire
US20190001760A1 (en) Pneumatic tire and tire-and-rim assembly
JP5542435B2 (ja) 穿孔抵抗性のある柔軟なエンクロージャー
JP2008149714A (ja) パンクシーラントタイヤを組み立てる方法および装置
US20180290493A1 (en) Tire
CN111868200A (zh) 密封剂材料组合物及充气轮胎
US20210221175A1 (en) Pneumatic tire
KR101840564B1 (ko) 공기입타이어
US20200114705A1 (en) Pneumatic tire with noise-absorbing member and tire-and-rim assembly
JP5829129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7063115B2 (en) Pneumatic tire
EP3042788B1 (en) Cap ply for pneumatic tir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p ply for pneumatic tire
US20220176752A1 (en) Pneumatic tire
JP2019209745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9073256A (ja) 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EP3006230B1 (en) Tire and tire manufacturing method
US20230108899A1 (en) Pneumatic ti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EP3808574B1 (en) Pneumatic tire
US20220203770A1 (en) Non-pneumatic tire
US20230415522A1 (en) Pneumatic tire
KR20170088000A (ko) 이너라이너 보강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