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369B1 - 바잘트 섬유를 이용한 보수보강용 함침 공법 - Google Patents

바잘트 섬유를 이용한 보수보강용 함침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369B1
KR101840369B1 KR1020170089396A KR20170089396A KR101840369B1 KR 101840369 B1 KR101840369 B1 KR 101840369B1 KR 1020170089396 A KR1020170089396 A KR 1020170089396A KR 20170089396 A KR20170089396 A KR 20170089396A KR 101840369 B1 KR101840369 B1 KR 1018403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agent
impregnation
tank
fiber sheet
needl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93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영일
이동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앤엘
(주)고려씨엔씨
이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앤엘, (주)고려씨엔씨, 이동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앤엘
Priority to KR10201700893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3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3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3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28Shaping operations therefor
    • B29C70/40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 B29C70/42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29C70/44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isostatic pressure, e.g. pressure difference-moulding, vacuum bag-moulding, autoclave-moulding or expanding rubber-moulding
    • B29C70/443Shaping or impregnating by compression not applied for producing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using isostatic pressure, e.g. pressure difference-moulding, vacuum bag-moulding, autoclave-moulding or expanding rubber-moulding and impregnating by vacuum or inj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70/00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C70/04Shaping composites, i.e. plastics material compris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comprising reinforcements only, e.g. self-reinforcing plastics
    • B29C70/06Fibrous reinforcements only
    • B29C70/10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 B29C70/16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 B29C70/18Fibrous reinforcements only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fibrous reinforcements, e.g. hollow fibres using fibres of substantial or continuous length in the form of a mat, e.g. sheet moulding compound [SM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7Reinforcing element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e.g. of glass, of plastics, or not exclusively made of met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inforced Plastic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잘트 섬유를 이용한 보수보강용 함침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섬유시트를 보강제에 함침시키는 함침장치로서, 상기 보강제가 충진되는 충진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보강제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마련된 함침탱크; 상기 함침탱크에 상기 보강제를 공급하는 보강제공급부; 및 상기 보강제가 충진된 상기 함침탱크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제공급부는 내부에 보강제가 충진되는 공급탱크와, 상기 공급탱크에서 배출되는 보강제를 안내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에서 전달되는 보강제를 공급받아 상기 함침탱크에 공급하는 니들부로 구성되고, 상기 니들부는 상기 이송관과 상기 공급탱크를 연결하는 니들관과, 상기 니들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제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와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이송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함침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함침탱크에 충진되는 보강제를 순환시켜 재공급시키지 않고 보장재공급부의 니들부를 통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순환과정에서 보강제가 순환배관이나 순환탱크의 내면에 달라붙으면서 경화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순환배관이나 순환탱크를 주기적으로 유지보수하거나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며, 함침탱크에 진동부를 마련하여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보강제의 기포를 제거함과 아울러 섬유시트를 균일하고 빠르게 함침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바잘트 섬유를 이용한 보수보강용 함침 공법 {Impregnation method for repairing and reinforcing using basalt textile}
본 발명은 바잘트 섬유를 이용한 보수보강용 함침 기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 슬래브, 기둥 등과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구조적으로 보수 보강하는 바잘트 섬유 등 섬유시트에 에폭시 수지 등의 함침제(보강제)를 함침시키기 위한 함침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토목, 조선, 항공 등의 분야에서 보수 보강에 필요한 보강용 섬유시트는 합성수지 속에 섬유소재를 혼입시켜 기계적 강도를 향상시킨 섬유시트를 총칭한다. 일반적으로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탄소섬유 복합재료로 시트형태나 패널형태로 제작되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보강용 섬유시트 중 탄소섬유로 제작된 보강판은 인장강도와 인장탄성이 높으며, 아라미드 섬유로 제작된 경우는 탄소섬유에 비해 인장강도와 인장탄성이 떨어지지만, 충격강도가 높고, 내마모성이 강하며, 끊어짐에 대한 저항이 크고 탄소섬유에 비해 진동감쇠 효과가 크다.
상술한 섬유시트들은 일방향 프리프레그 이용하여 성형을 하거나, 카본 필라멘트를 이용하여 인발성형으로 제작을 하고 있다. 기존의 일방향 프리프레그나 인발성형으로 제작할 경우에는 섬유 길이 방향으로는 강한 힘을 가지나 직각인 방향으로는 수지 결합으로만 결합이 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약한 힘을 가진다. 따라서, 아라미드 섬유를 직물형태로 제직하여 합성수지로 함침하여 섬유길이 방향뿐만 아니라 직각방향으로도 인장강도가 우수한 보강제료가 제조되고 있다.
종래에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섬유시트를 부착하는 과정에서 섬유시트에 함침제를 도포한 후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한 다음 롤러로 섬유시트를 가압하여 섬유시트 내부의 공기를 배출시켜 부착력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지지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그러나, 현장에서 작업자가 일일이 섬유시트에 함침제를 도포한 후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시켜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공정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상존하게 된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0-0059003호에서와 같이 사전에 섬유시트를 함침제가 충진된 탱크에 함침시킨 상태에서 압력에 의해 섬유시트의 내부공기를 제거한 후 콘크리트 구조물에 부착하는 기술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의 섬유시트 함침기술은 함침제를 저장챔버와 순환라인을 통해 순환시켜 탱크에 공급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에폭시와 경화제로 이루어진 함침제가 경화되면서 점차 저장챔버와 순환라인의 내벽에 쌓여 주기적으로 유지보수를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경화에 따른 부식에 의해 저장챔버 및 순환라인의 교체주기가 빨라져 생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배경기술을 의미하며,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바잘트 섬유 등의 섬유시트를 함침하여 보수보강용 자재를 제조함에 있어서, 순환과정에서 순환배관이나 순환탱크를 주기적으로 유지보수하지 않아도 되며 함침탱크에 진동부를 마련하여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보강제의 기포를 제거함과 아울러 섬유시트를 균일하고 빠르게 함침시킬 수 있는 섬유시트의 함침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섬유시트를 보강제에 함침시키는 함침장치로서,
상기 보강제가 충진되는 충진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보강제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마련된 함침탱크;
상기 함침탱크에 상기 보강제를 공급하는 보강제공급부; 및
상기 보강제가 충진된 상기 함침탱크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제공급부는 내부에 보강제가 충진되는 공급탱크와,
상기 공급탱크에서 배출되는 보강제를 안내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에서 전달되는 보강제를 공급받아 상기 함침탱크에 공급하는 니들부로 구성되고,
상기 니들부는 상기 이송관과 상기 공급탱크를 연결하는 니들관과, 상기 니들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제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와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이송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함침탱크의 저면에는 섬유시트의 내부에 보강제가 균일하게 투입되어 함침되도록 진동부가 더 마련되며, 상기 진동부는 상기 함침탱크의 저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고정되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급탱크는 한쌍을 이루며 형성되어, 주재료와 경화제가 각각의 공급탱크에 충진되며, 상기 공급탱크에는 상기 이송관이 설치되고 상기 이송관에는 단속밸브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니들관에는 외면에 진동기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섬유시트를 보강제에 함침시키는 함침방법으로서,
내부에 충진공간을 갖는 함침탱크에 설치된 보강제공급부를 통해 보강제를 공급받아 상기 충진공간에 보강제를 충진시키는 보강제충진단계와,
상기 함침탱크의 덮개를 개방한 후 상기 충진공간에 상기 섬유시트들을 투입하여 섬유시트투입단계와,
상기 함침탱크에 설치된 진공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충진공간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단계와,
상기 함침탱크에 설치된 진동부를 구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구동단계와,
진공과 진동이 발생되는 상기 함침탱크의 내부에서 상기 섬유시트가 상기 보강제에 함침되는 함침단계와,
상기 함침단계를 거쳐 함침된 상기 섬유시트를 상기 함침탱크에서 배출시키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보강용 섬유시트의 함침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함침 기술을 이용하면 함침탱크에 충진되는 보강제를 순환시켜 재공급시키지 않고 보장재공급부의 니들부를 통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순환과정에서 순환배관이나 순환탱크를 주기적으로 유지보수하지 않아도 되며, 함침탱크에 진동부를 마련하여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보강제의 기포를 제거함과 아울러 섬유시트를 균일하고 빠르게 함침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섬유시트 함침 기술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10)(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진공함침장치'라 명명함)는 예를 들어 콘크리트 구조물 등 구조물의 강도 및 지지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구조물의 외면에 설치되는 섬유시트(100)를 설치시 경화되도록 보강제(200)에 함침시키는 함침장치(10)로서, 이에 이와 같은 함침장치(10)는 함침탱크(20)와 보강제공급부(30)와 진공펌프(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보강제(200)는 바람직하게는 에폭시(epoxy)로서, 액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경화된다. 상기 보강제(200)에 함침된 섬유시트(100)는 상기 구조물에 접착된 후 경화되어 강도 및 지지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섬유시트(100)는 유리섬유, 탄소섬유, 아라미드섬유, 탄소섬유 또는 바잘트섬유로서 더욱 바람직하게는 바잘트섬유(현무암섬유)이다.
상기 바잘트섬유는 경량이며 시공이 용이하고 구조물의 자중 증가가 거의 없으며, 불투수성이므로 구조물을 부식으로부터 보호하는 성능이 우수하다. 또한, 동결 융해에 대한 내구성이 우수하고, 내산, 내알칼리성, 비전도체(전력구나 지하철 구조물 등에 사용 가능)라는 특징이 있고 연성이 우수하며, 내충격성, 내폭발성, 내진성, 난연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고, 타 섬유 보강시트와 비교하여 경제적이라는 장점도 있다.
상기 함침탱크(20)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며, 도 1에서와 같이 사각의 하우징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함침탱크(20)는 내부에 상기 보강제(200)가 충진되도록 충진공간(21)이 마련되고 상기 보강제(200)를 배출시키는 배출구(22)가 마련된다. 상기 배출구(22)에는 밸브가 마련되어 보강제(200)의 배출을 제어하게 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함침탱크(20)의 저면에는 섬유시트(100)의 내부에 보강제(200)가 균일하게 투입되어 함침되도록 진동부(50)가 더 마련되며, 상기 진동부(50)는 상기 함침탱크(20)의 저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탄성스프링(51)과, 상기 탄성스프링(51)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고정되는 베이스패널(52)과, 상기 베이스패널(52)에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53)로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스프링(51)의 상단부는 상기 함침탱크(20)에 용접되며, 상기 베이스패널(52)은 상기 탄성스프링(51)의 하부에 용착 또는 접착된다.
이때, 바이브레이터(53)가 구동하면 그 진동이 순차적으로 상기 베이스패널(52), 상기 탄성스프링(51), 상기 함침탱크(20)로 전달되고, 상기 함침탱크(20)에 충진된 보강제(200)와 보강제(200)에 함침된 섬유시트(100)에 전달되어, 상기 섬유시트(100)가 균일하게 보강제(200)를 빠르게 흡수시킬 수 있게 되고, 상기 보강제(200) 및 상기 섬유시트(100)의 내부의 공기기포를 제거하여 균일하게 보강제(200)를 흡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패널(52)을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시키고, 상기 탄성스프링(51)에 의해 진동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바이브레이터(53)에서 발생되어 전달되는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고,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함침탱크(20)의 내측면에는 열선으로 이루어진 히터를 더 설치하여 상기 히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보강제(200)의 온도를 높임으로써, 유동성을 향상시켜 균일한 함침과 빠른 함침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함침탱크(20)의 상부에는 덮개가 더 탈착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충진공간(21)으로 상기 섬유시트(100)를 투입 또는 함침된 섬유시트(100)를 인출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 보강제공급부(30)는 상기 함침탱크(20)에 상기 보강제(200)를 공급하는 것으로서, 이에 이와 같은 상기 보강제공급부(30)는 내부에 보강제(200)가 충진되는 공급탱크(31)와, 상기 공급탱크(31)에서 배출되는 보강제(200)를 안내하는 이송관(32)과, 상기 이송관(32)에서 전달되는 보강제(200)를 공급받아 상기 함침탱크(20)에 공급하는 니들부(33)로 구성되고, 상기 니들부(33)는 상기 이송관(32)과 상기 공급탱크(31)를 연결하는 니들관(331)과, 상기 니들관(33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제(200)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332)와 구동모터(333)로 이루어진 이송부로 구성된다.
상기 니들관(331)은 상기 함침탱크(20)와 상기 공급탱크(31)에 용접되어 고정된다.
이때, 상기 니들관(331)은 도 2에서와 같이 도면상 수평을 유지하면 설치되는 것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구동모터(333)가 설치되는 끝단부가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도록 일정각도를 유지하며 경사지게 상기 함침탱크(20)에 설치되어 상기 이송스크류(332)의 회전과 상기 보강제(200)의 자중에 의해 상기 보강제(200)가 상기 함침탱크(20)로 이동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공급탱크(31)는 한쌍을 이루며 형성되어, 주재료와 경화제가 각각의 공급탱크(31)에 충진되며, 상기 공급탱크(31)에는 상기 이송관(32)이 설치되고 상기 이송관(32)에는 단속밸브가 더 설치된다.
다르게는, 상기 공급탱크(31)는 하나로 형성시키고, 주재와 경화제가 혼합된 에폭시를 충진시켜 상기 니들부(33)를 통해 상기 함침탱크(20)에 공급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진공펌프(40)는 상기 충진공간(21)과 연통되게 상기 함침탱크(20)에 연결관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보강제(200)가 충진된 상기 함침탱크(20)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게 된다.
상기 진공펌프(4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충진공간(21)의 압력이 높이게 되면, 섬유시트(100)의 균일한 함침이 가능하게 되고, 빠른 함침이 가능하게 하게 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니들관(331)에는 외면에 진동기(331a)가 더 설치된다. 즉 바이브레이터(53)인 상기 진동기(331a)의 진동에 의해 상기 니들관(331)을 통해 이동되는 상기 보강제(200)가 걸림없이 원활히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니들관(331)의 외면에는 길이방향으로 따라 열선을 감아, 상기 열선의 열기에 의해 상기 니들관(331)이 일정온도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니들관(331)으로 이동되는 보강제(200)가 그 열기를 전달받아 유동성을 향상시켜 재차 원활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진동기(331a)는 상기 니들관(331)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작동링의 내부에 환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니들관(331)의 외면 전체에 진동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니들관(331)에는 단부에 이송실린더를 더 설치하고, 상기 이송실린더의 이송축과 상기 작동링을 용접하여 상기 니들관(3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시켜 진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니들관(311) 전체에 진동이 전달되어 보강제가 걸림없이 원활히 이송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작동링의 내주연에는 환형으로 배치되게 이송롤러들을 더 설치하여 이동과정에서 상기 니들관과 마찰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10)를 이용하여 섬유시트(100)를 보강제(200)에 함침시키는 방법은 도 8에서와 같이 내부에 충진공간(21)을 갖는 함침탱크(20)에 설치된 보강제공급부(30)를 통해 보강제(200)를 공급받아 상기 충진공간(21)에 일정높이로 보강제(200)를 충진시키는 보강제충진단계(S1)와, 상기 함침탱크(20)의 상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덮개를 개방한 후 보강제(200)가 충진된 상기 충진공간(21)에 상기 섬유시트(100)들을 투입하여 섬유시트투입단계(S2)를 거치게 된다.
이후, 상기 함침탱크(20)에 설치된 진공펌프(40)를 구동시켜 상기 충진공간(21)을 진공상태로 유지시켜 보강제 및 섬유시트(100) 내부의 공기기포를 제거함과 아울러 균일하게 함침되도록 하는 진공단계(S3)와, 상기 함침탱크(20)에 설치된 진동부(50)를 구동시켜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기포를 제거되도록 하는 진동부구동단계(S4)와, 진공과 진동이 발생되는 상기 함침탱크(20)의 내부에서 상기 섬유시트가 상기 보강제(200)에 함침되는 함침단계(S5)와, 상기 함침단계(S5)를 거쳐 함침된 상기 섬유시트를 상기 함침탱크(20)에서 배출시키고, 상기 함침탱크(20)에 보강제를 투입하여 보충하는 마감단계(S6)를 거침으로써 일련의 과정을 마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보수보강용 섬유 시트의 함침 기술은, 함침탱크에 충진되는 보강제를 순환시켜 재공급시키지 않고 보장재공급부의 니들부를 통해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종래기술에서 발생하는 순환과정에서 보강제가 순환배관이나 순환탱크의 내면에 달라붙으면서 경화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순환배관이나 순환탱크를 주기적으로 유지보수하거나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으며, 함침탱크에 진동부를 마련하여 발생되는 진동에 의해 보강제의 기포를 제거함과 아울러 섬유시트를 균일하고 빠르게 함침시킬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함침장치 20 : 함침탱크
30 : 보강제공급부 40 : 진공펌프
50 : 진동부
21 : 충진공간 22 : 배출구
31 : 공급탱크 32 : 이송관
33 : 니들부 331 : 니들관
331a : 진동기
332 : 이송스크류 333 : 구동모터
51 : 탄성스프링 52 : 베이스패널
53 : 바이브레이터
100 : 섬유시트 200 : 보강제
S1 : 보강제충진단계
S2 : 섬유시트투입단계
S3 : 진공단계
S4 : 진동부구동단계
S5 : 함침단계
S6 : 마감단계

Claims (5)

  1. 섬유시트를 보강제에 함침시키는 함침장치로서,
    상기 보강제가 충진되는 충진공간이 마련되고 상기 보강제를 배출시키는 배출구가 마련된 함침탱크;
    상기 함침탱크에 상기 보강제를 공급하는 보강제공급부; 및
    상기 보강제가 충진된 상기 함침탱크의 내부를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펌프로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제공급부는 내부에 보강제가 충진되는 공급탱크와,
    상기 공급탱크에서 배출되는 보강제를 안내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에서 전달되는 보강제를 공급받아 상기 함침탱크에 공급하는 니들부로 구성되고,
    상기 니들부는 상기 이송관과 상기 공급탱크를 연결하는 니들관과, 상기 니들관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보강제를 이송시키는 이송스크류와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이송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함침탱크의 저면에는 섬유시트의 내부에 보강제가 균일하게 투입되어 함침되도록 진동부가 더 마련되되, 상기 진동부는 상기 함침탱크의 저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고정되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니들관에는 외면에 진동기가 더 설치되되, 상기 니들관의 외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따라 열선를 감아 상기 열선의 열기의 의해 상기 니들관이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진동기는 상기 니들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작동링의 내부에 환형으로 배치되어 상기 니들관의 외면 전체에 진동이 전달되도록 하고, 상기 니들관의 단부에는 이송실린더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실린더의 이송축과 상기 작동링이 용접되어 상기 니들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시켜 진동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니들관 전체에 걸쳐 진동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탱크는 한쌍을 이루며 형성되어, 주재료와 경화제가 각각의 공급탱크에 충진되며, 상기 공급탱크에는 상기 이송관이 설치되고 상기 이송관에는 단속밸브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보강용 섬유시트 함침장치.
  4. 삭제
  5. 섬유시트를 보강제에 함침시키는 함침방법으로서,
    내부에 충진공간을 갖는 함침탱크에 설치된 보강제공급부를 통해 보강제를 공급받아 상기 충진공간에 보강제를 충진시키는 보강제충진단계와,
    상기 함침탱크의 덮개를 개방한 후 상기 충진공간에 상기 섬유시트들을 투입하여 섬유시트투입단계와,
    상기 함침탱크에 설치된 진공펌프를 구동시켜 상기 충진공간을 진공상태로 유지시키는 진공단계와,
    상기 함침탱크에 설치된 진동부를 구동시켜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부구동단계와,
    진공과 진동이 발생되는 상기 함침탱크의 내부에서 상기 섬유시트가 상기 보강제에 함침되는 함침단계와,
    상기 함침단계를 거쳐 함침된 상기 섬유시트를 상기 함침탱크에서 배출시키는 마감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함침탱크에 설치된 진동부를 구동함에 있어, 상기 함침탱크의 저면에는 섬유시트의 내부에 보강제가 균일하게 투입되어 함침되도록 진동부가 더 마련되되, 상기 진동부는 상기 함침탱크의 저면에 형성되는 한쌍의 탄성스프링과 상기 탄성스프링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고정되는 베이스패널과 상기 베이스패널에 설치되는 바이브레이터로 이루어짐으로써 바이브레이터의 진동에 의해 상기 진동부를 구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충진공간에 보강제를 충진시킴에 있어, 상기 보강제공급부는 내부에 보강제가 충진되는 공급탱크와 상기 공급탱크에서 배출되는 보강제를 안내하는 이송관과 상기 이송관에서 전달되는 보강제를 공급받아 상기 함침탱크에 공급하는 니들부로 구성되고, 니들관에는 외면에 진동기가 더 설치되되, 니들관의 외면에는 길이 방향으로 따라 열선를 감아 상기 열선의 열기의 의해 니들관이 일정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며, 상기 진동기는 니들관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작동링의 내부에 환형으로 배치되어 니들관의 외면 전체에 진동이 전달되도록 하고, 니들관의 단부에는 이송실린더가 설치되어 상기 이송실린더의 이송축과 상기 작동링이 용접되어 니들관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시켜 진동되도록 함으로써 니들관 전체에 걸쳐 진동이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수보강용 섬유시트의 함침방법.
KR1020170089396A 2017-07-14 2017-07-14 바잘트 섬유를 이용한 보수보강용 함침 공법 KR1018403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396A KR101840369B1 (ko) 2017-07-14 2017-07-14 바잘트 섬유를 이용한 보수보강용 함침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9396A KR101840369B1 (ko) 2017-07-14 2017-07-14 바잘트 섬유를 이용한 보수보강용 함침 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369B1 true KR101840369B1 (ko) 2018-05-04

Family

ID=621997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9396A KR101840369B1 (ko) 2017-07-14 2017-07-14 바잘트 섬유를 이용한 보수보강용 함침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3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086B1 (ko) * 2018-12-05 2020-03-26 전광열 이동식 현장 비굴착 튜브 함침 장치 및 함침 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9683A (ja) 2004-05-10 2005-11-17 Murata Mach Ltd Frp圧力容器用樹脂含浸装置
KR100986727B1 (ko) * 2010-06-22 2010-10-08 주식회사 엠티마스타 섬유보강재 진공함침장치 및 방법
CN102490371A (zh) * 2011-12-16 2012-06-13 江苏九鼎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玻璃钢格栅成型方法及其专用成型模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9683A (ja) 2004-05-10 2005-11-17 Murata Mach Ltd Frp圧力容器用樹脂含浸装置
KR100986727B1 (ko) * 2010-06-22 2010-10-08 주식회사 엠티마스타 섬유보강재 진공함침장치 및 방법
CN102490371A (zh) * 2011-12-16 2012-06-13 江苏九鼎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玻璃钢格栅成型方法及其专用成型模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4086B1 (ko) * 2018-12-05 2020-03-26 전광열 이동식 현장 비굴착 튜브 함침 장치 및 함침 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3598B2 (en)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having vibrating nozzle
US10081129B1 (en) Additive manufacturing system implementing hardener pre-impregnation
US11338528B2 (en) System for additively manufacturing composite structures
KR101840369B1 (ko) 바잘트 섬유를 이용한 보수보강용 함침 공법
EP2670583B1 (en) A pultrusion method and a pultruder apparatus
US20090129869A1 (en) Method and machine for reinforcing an embedded cylindrical pipe
EP3140107B1 (en) Completing a fiber composite part and a kit of parts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JP4774927B2 (ja) Frp補強タンクの成形装置
US87955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fibre reinforced composite structures
JPWO2018199032A1 (ja) 構造物へのfrp材の接着構造および接着方法
KR102397056B1 (ko) 고인장 및 내식성 강화형 열경화성 복합소재 보강근의 성형시스템
US20190063642A1 (en) Onsite real-time manufacturing of long continuous jointless pipes
JPH05156507A (ja) 繊維の樹脂−含浸
KR101790976B1 (ko) 복합소재의 프리폼 성형을 위한 바인더 도포장치
JP3415107B2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強方法及び補強構造体
JP5257736B2 (ja) タンクの製造方法及びタンクの製造設備
JP2009051208A (ja) Rtm成形用樹脂注入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rtm成形装置とrtm成形方法
KR102173974B1 (ko) 콘크리트 및 강 구조물용 함침 유리섬유시트 및 제조 장치를 이용한 보수 보강공법
JP2826742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板を用いた構築物の補強方法
CN111788069A (zh) 结构物的补强用层叠材料、补强方法以及补强结构体
CN209274003U (zh) 纤维增强复合材料浸渍系统及其曲轴旋转振动设备
KR100455786B1 (ko) 섬유강화복합재료를 이용한 콘크리트 보강재의 제조방법
KR102540049B1 (ko) 배관 보수장치
KR20100038717A (ko) 구조체 보강공법 및 양방향 복합 에프알피 보강판에 의해 보강된 구조체
JP2545259B2 (ja) 炭素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板による構築物の強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