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0026B1 -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0026B1
KR101840026B1 KR1020160139286A KR20160139286A KR101840026B1 KR 101840026 B1 KR101840026 B1 KR 101840026B1 KR 1020160139286 A KR1020160139286 A KR 1020160139286A KR 20160139286 A KR20160139286 A KR 20160139286A KR 101840026 B1 KR101840026 B1 KR 1018400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signal
information data
terminal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윤
김지호
박현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닷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닷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닷
Priority to KR1020160139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0026B1/ko
Priority to US16/343,151 priority patent/US20190318624A1/en
Priority to CN202110499549.XA priority patent/CN113240929B/zh
Priority to CN201780078219.5A priority patent/CN110089138B/zh
Priority to PCT/KR2017/011733 priority patent/WO2018074909A1/ko
Priority to KR1020180027697A priority patent/KR1025072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0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0026B1/ko
Priority to US17/732,988 priority patent/US2022029300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5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 H04W4/026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location based information parameters using orientation information, e.g. comp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Navig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부;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부; 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PACE GUIDE}
본 발명은,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 및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구조물에 접근하였을 때 그에 대한 알림을 줄 수 있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 폰을 비롯하여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등의 스마트 기기의 발전이 괄목할만한 성장을 이루어 일상 생활에서 대중에게 편리한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스마트 기기는 시각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에 기반하고 있어 시각 장애인의 경우에는 마우스 포인터나 터치 위치의 파악이 어려워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따라서 시각 장애인들이 이러한 스마트 기기를 이용하기 위해서 소리나 촉각을 이용하여 정보를 전달할 수 있는 사용자 환경이 절실한 상황이다.
전술한 배경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발명은 사용자 단말과 구조물 단말 간의 거리가 일정 수치 이하가 때 사용자에게 촉각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시각적 정보를 이용하지 않고도 공간의 구조물들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이상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촉각 신호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구조물의 위치를 용이하도록 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부;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부; 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상기 구조물의 존재 또는 구조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소정의 시간 동안 임계치 이상의 방향 변화 혹은 위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이상 상황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이상 상황 감지부가 이상 상황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상기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거리 산출부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시간과, 상기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수신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일정 주파수를 가지고 점멸하는 신호로서,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주파수가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상기 구조물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취해야 할 후속 액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내 신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할 상기 거리에 대한 상기 소정 수치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단말은 기설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구조물에 대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수신부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구조물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촉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여 접근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있는 구조물 단말; 상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부;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부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부;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되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조물 단말; 수신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변환된 상기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공간 안내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부;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부; 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변환 단계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단계;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 단계; 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이 사용자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여 접근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방법으로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단계;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부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 단계;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구조물 단말이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단말이 수신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 및 제2 사용자 단말이 변환된 상기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방법로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단계;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 단계;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 단계; 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보행 시 고려해야 할 공간의 구조물들에 대하여 비시각적인 알림이 가능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불시에 방향을 잃는 경우에도 구조물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조물 단말과 사용자 단말이 통신하는 구체적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부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사용자 단말의 출력부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1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1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조물 단말(201), 상기 하나 이상의 구조물 단말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획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출력 제어 신호로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301), 그리고 구조물 단말 및 사용자 단말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망(401)을 포함할 수 있다.
기존에는, 보행 시 장애물이 될 수 있는 구조물들을 시각 장애인에게 안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노면 상에 점자 블록을 설치하는 방법, 청각 안내를 사용하는 방법 등이 사용되었다. 혹은 시각 장애인이 스스로 구조물들을 인지하기 위하여, 지팡이를 사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점자 블록으로 표현할 수 있는 구조물의 종류에는 한계가 있고, 오직 점자 블록의 유무로만 표현하기에는 구조물의 종류가 다양하고, 공간의 모든 구조물들을 표현하도록 점자 블록을 설치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청각 안내를 사용하는 것은 신호등 점멸 안내와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만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불어, 지팡이를 사용하는 것은 보행 속도를 현격히 늦추고 바로 앞에 위치한 구조물이 아닌 이상 인지하기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과 같이 시각적으로 공간 구조물을 알기 어려운 사용자에게도 공간 구조물을 안내하기 위한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보행 시 방해가 될 수 있는 공간의 구조물들(예를 들어, 기둥, 계단, 턱 등)에 구조물 단말(201)이 설치될 수 있다. 구조물 단말(201)이 발송하는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1)이 통신망(401)을 통해 수신한다. 사용자 단말(301)은 수신된 구조물 정보 데이터로부터 구조물과의 거리 및 종류를 획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이를 변환하여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하며, 사용자 단말(301)에 포함된 출력부는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정 거리 내에 위치한 구조물들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점자 블록 혹은 지팡이를 사용하지 않아도,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301)을 장착하고 있는 것 만으로도 공간에 위치한 구조물들을 인식하게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넘어지는 등의 이상 상황으로 불시에 방향을 인식하지 못하게 된 경우에도, 주변의 공간 구조물이 위치하는 방향을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구조물 단말(201), 사용자 단말(301) 및 통신망(401)에 대해 알아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구조물 단말(201)은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301) 혹은 다른 컴퓨팅 장치에 데이터의 전송이 가능한 단말이다. 구조물 단말(201)은 설치된 구조물의 종류에 대한 데이터를 설치 당시부터 갖고 있을 수 있다. 이때, 구조물 정보 데이터는 구조물의 종류 및 형상, 위치, 구조물 상으로 통행이 가능한지 여부 등 구조물에 대한 정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은 사람이 해당 공간 내에서 이동 가능한 모든 물리적 공간들이 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은 하나 이상의 구조물이 존재하는 건물 내부 공간, 지하 공간과 같은 일부 폐쇄형 공간이 될 수 있다. 또한, 공간 내의 구조물들은, 사람이 이동할 때 고려해야 할 필요성이 존재하는 구조물들로서, 보행 시 장애물이 될 가능성이 있는 구조물들, 예를 들어 기둥, 계단, 막다른 곳 등이 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의 구조물이란, 시각 장애인이 인지할 필요가 있는 모든 구조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은 지하철 역사(驛舍) 내부가 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공간의 구조물은 지하철 역사 내부의 기둥, 계단, 엘리베이터, 선로, 정지선, 환승통로, 개찰구, 개찰기 등이 될 수 있다. 그러나, 공간 및 공간의 구조물은 반드시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301)은 유무선 통신 환경에서 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통신 단말기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1)은 사용자에게 촉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후술할 출력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1)은 구조물 단말(201)로부터 수신한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구조물 안내 신호를 변환하여 촉각 신호로 출력부(330)에 출력함으로써, 사용자로 하여금 근처에 존재하는 구조물에 대해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301)의 각 부의 구성 및 그 역할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3 와 관련한 설명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1)은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촉각 신호를 제공할 수 있는 모든 휴대 가능한 장치들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301)은 컴퓨팅 및 통신 기능을 갖는 웨어러블(wearable) 장치로서, 안경, 시계 등과 같은 액세서리형, 의류와 같은 직물 일체형 혹은 신체에 부착 또는 이식할 수 있는 신체 부착/이식형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통신망(401)은 구조물 단말(201)과 사용자 단말(301)간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서, 모든 무선 통신망 형태들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망(401)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401)은 일정 거리 내에 존재하는 두 단말이 라우터와 같은 중계 장치 없이도 직접 통신할 수 있도록 해주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망(401)은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블루투스, UWB(Ultra-wideband), 비콘(Beacon) 통신망일 수 있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조물 단말(201)과 사용자 단말(301)이 통신하는 구체적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공간은 지하철 역사(驛舍)이고, 구조물 단말(201)은 지하철 역사 내의 기둥에 설치되었으며,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301)로서 스마트 시계를 착용한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를 참조하면, 지하철 역사 내부를 보행 중인 시각 장애인은 진행 방향에 기둥이 존재할 때, 기둥의 존재를 안내받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도 2 의 기둥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201)은 통신망(401)을 통해 사용자 단말(301)에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전송한다.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301)은 구조물의 종류가 기둥임을 고려하여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200)간의 거리가 d 이하가 될 때, 사용자에게 근처에 기둥이 있음을 알리는 구조물 안내 신호를 촉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이하에서는, 사용자 단말(301)의 내/외부 구조 및 그 역할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1)의 구성을 블록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301)은 데이터 수신부(310), 데이터 변환부(320) 및 출력부(330)를 포함한다. 또한, 데이터 변환부(320)는 구조물 종류 판단부(321), 거리 산출부(322), 안내 신호 생성부(323), 이상 상황 감지부(324) 및 출력 신호 변환부(325)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부(310)는 구조물 단말(201)로부터 통신망(401)을 통해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한다. 데이터 수신부(310)는 통신망(401)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수신장치일 수 있다. 참고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수신부(310)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는 유무선 연결을 통해 제어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와 같은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다음으로, 데이터 변환부(320)는 데이터 수신부(310)로부터의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고, 출력부(330)는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한다.
보다 상세히, 데이터 변환부(320)의 구조물 종류 판단부(321)는 수신된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 단말(201)이 설치된 구조물의 종류를 판단한다. 이때, 구조물의 종류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시각 장애인이 통행할 때 유의할 필요성이 있는 모든 종류의 구조물들의 종류가 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상술한 예시와 같이 본 발명의 공간이 지하철 역사인 경우, 공간의 구조물 종류는 기둥, 계단, 개찰구, 벽, 플랫폼과 선로의 경계 등이 될 수 있다.
다음으로, 거리 산출부(322)는 획득된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 단말(201)이 설치된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를 산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거리 산출부(322)는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시간과, 사용자 단말(301)의 데이터 수신부(310)가 수신한 수신 시간을 분석하여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거리 산출부(322)가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방법은 상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거리 측정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들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401)을 사용하는 구조물 단말(400)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401)의 특성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을 감지하고 통신할 수 있는 커버 범위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구조물 단말(201)의 커버 범위에 사용자 단말(301)이 들어가서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더라도, 사용자가 알림을 받을 정도로 구조물이 가깝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되었을 때 이를 안내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이를 위해,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 거리를 산출할 필요가 존재한다.
다음으로, 안내 신호 생성부(323)는 구조물 종류 판단부(321)가 결정한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거리 산출부(322)가 산출한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구조물 안내 신호는 구조물의 존재 또는 구조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혹은, 구조물 안내 신호는 구조물의 종류에 따라 사용자가 취해야 할 후속 액션에 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시로, 구조물의 종류가 기둥이고,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가 5m 이하인 경우, 안내 신호 생성부(323)는 사용자의 이동 방향에 기둥이 존재함을 알리는 안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안내 신호는, 사용자 단말(301)의 출력부(330)에서 기둥을 의미하는 점자로 출력되거나, 미리 설정된 햅틱 신호 등 다양한 형태의 촉각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안내 신호 생성부(323)는 기둥의 종류를 알려주는 것 외에도,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의 거리 등 추가적인 정보를 더 포함하는 안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다른 구체적인 예시로, 구조물의 종류가 막다른 벽이고,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가 5m 이하인 경우, 사용자는 보행 방향을 변경할 필요가 있으므로,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보행 방향을 변경하라는 후속 액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이와 같은 안내 신호는 사용자 단말(301)의 출력부(330)에서 보행 방향 변경을 의미하는 점자로 출력되거나, 미리 설정된 햅틱 신호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안내 신호 생성부(323)는 사용자 단말(301)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할 거리에 대한 소정 수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단말(301)의 이동 속도가 기설정된 기준과 비교하여 빠른 경우 구조물과의 거리가 7m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느린 경우 구조물과의 거리가 3m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조물 안내 신호는 일정 주파수를 가지고 점멸하는 신호로서,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주파수가 증가하는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안내 신호 생성부(323)가 생성한 구조물 안내 신호가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되었을 때 출력부(330)의 돌기들을 상하운동하게 만드는 신호인 경우, 안내 신호생성부(323)는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에 따라 돌기들이 일정 주파수를 가지고 상하운동하도록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돌기들이 상하운동하는 주파수가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증가되도록 하면, 사용자는 별도의 추가 정보 없이도 촉각 신호에 의해 구조물과의 거리를 파악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이상 상황 감지부(324)는 사용자에게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 상황이란, 사용자가 갑자기 넘어지거나 어떤 것에 부딪히는 등의 사용자가 의도치 않게 진행 방향을 잃어버리는 상황을 말한다. 이상 상황 감지부(324)는 사용자 단말(301)에 소정의 시간 동안 임계치 이상의 방향 변화 혹은 위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이상 상황 감지부(324)가 사용자에게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다고 결정하는 경우, 안내 신호 생성부(323)가 생성하는 구조물 안내 신호는 구조물의 존재를 알리는 것에서 더 나아가,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시각 장애인의 경우, 의도치 않게 넘어지면 일어나서 방향을 인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움직이고 있을 때 근방에 구조물이 존재함을 안내하더라도, 사용자는 넘어진 경우 일어났을 때 움직이고 있었던 방향 자체를 잃어버리므로 어느 방향으로 진행했을 때 해당 구조물이 가까워지는지 알기 힘들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사이의 거리가 기설정된 거리 이하에서, 이상 상황 감지부(324)가 이상 상황을 감지하는 경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상기 구조물의 존재를 알리는 것에 후속하여 상기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각 장애인은 넘어졌다 잃어나더라도 기존에 제공받았던 구조물 안내 데이터에 더하여 구조물이 있는 방향까지 안내받을 수 있으므로, 불시에 사용자가 방향을 잃게 되더라도 사용자로 하여금 구조물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하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있어서, 후술하는 출력부(330)의 돌기는, 구조물 안내 신호에 따라 '기둥'을 나타내는 점자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기둥'을 나타내는 점자가 일정 시간 지속된 후, 사용자에게 이상 상황이 감지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서 구조물이 왼쪽 방향에 위치했다는 것을 나타내는 점자를 추가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력 신호 변환부(325)는 생성된 구조물 안내 신호를 사용자 단말(301)의 출력부(330)에서 출력 가능한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즉, 출력 신호 변환부(325)는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부(330)가 해석할 수 있는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1)이 돌기의 상하운동을 통해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출력 신호 변환부(325)는 출력 데이터와 대응되게 돌기들이 제어되도록 출력 신호를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1)이 진동을 통해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출력 신호 변환부(325)는 출력 데이터와 대응되는 진동이 생성될 수 있도록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301)이 신경 또는 세포를 통해 정보를 출력하는 경우, 변환부(150)는 출력 데이터와 대응되는 자극, 감각 등이 생성될 수 있도록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출력 신호 변환부(325)는 사용자의 뇌 신경, 뇌 세포로 바로 전달할 수 있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다른 감각을 감지할 수 있는 신경 또는 세포로 바로 전달할 수 있는 출력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다. 출력 신호 변환부(325)에 의해 생성되는 출력 제어 신호의 형식, 형태, 포맷은 전달되는 방식, 방법, 알고리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301)의 출력부(330)는 사용자에게 촉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출력 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이다. 보다 상세히, 출력부(330)는 사용자와 직접 접촉되거나 비접촉의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출력부(330)는 점자 돌기 신호, 햅틱 신호 등의 촉각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모든 형태의 출력 장치가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330)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통해, 사용자에게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각각의 돌기는 상하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1차원인 점과 같은 형태의 자극을 주거나, 좌우 방향으로 직선운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2차원인 선과 같은 형태의 자극을 줄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돌기들은 동시에 사용자를 타격하거나 순차적으로 타격함으로써, 현실 세계에서의 액션 및 가상 세계에서의 액션과 대응되는 자극을 생성할 수 있다. 출력 제어 신호는 돌기의 운동을 제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돌기가 움직이는 방향, 움직이는 시점, 지속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출력부(330)는 사용자의 신경, 세포 또는 혈관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사용자의 신경, 세포 또는 혈관을 통해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으며, 출력부(330)는 사용자가 신경을 통해 느낄 수 있는 자극, 및/또는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나 이상의 정보 출력부(330)는 사용자의 뇌에 연결되어 사용자의 뇌를 통해 이해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출력부(330)를 구비한 사용자 단말(301)의 외관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301)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의 일 부분에 구비된 출력부(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부(330)는 표현 면이 사용자에 대향되게 위치하도록 구비되는 돌기들(30n)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표현 면에 현출되는 상기 돌기들(30n)의 선택적 출입에 의한 돌출 신호는 사용자에게 직접적이고 국부적인 타격으로 인식될 수 있고, 사용자는 돌기들(30n)에 의해 타격을 받은 위치에서의 직접적인 진동을 받을 수 있다. 이러한 직접적이고 국부적인 타격에 의해 형성된 돌출 신호는 휴대용 전자 기기의 일반적인 진동 신호와는 달리 타겟 주위에 잔진동이 발생되도록 하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정확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돌출 신호에 의해 점자와 같이 촉각을 통해 취득되는 신호를 구현할 수 있고, 그 외에도 군사 신호, 그림 신호, 부호 신호, 방향 신호 등 다양한 신호를 정확하게 구현할 수 있다. 즉, 도 4 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301)의 표현 면은 사용자의 피부와 접촉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예를 들어, 도 4의 (a)를 참조하면, 돌기들(30n)을 포함하는 독립적인 출력부(330)를 가진 사용자 단말(301)의 외관을 도시하고 있으며, 사용자 단말(301)은 시계줄을 포함하는 스마트 시계 형식으로 구현되어 있다. 스마트 시계로 구현된 사용자 단말(301) 내부에는, 비록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술한 데이터 수신부(310) 및 데이터 변환부(32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301)은 돌기(30n)의 직선운동에 의해 출력 데이터를 표시하는 브레일 디스플레이 기기 일 수 있다. 도 4의 (a)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301)은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돌기(30n)를 접촉하여 객체 정보와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301)은 돌기들(30n)의 선택적 출입을 제어하기 위한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4의 (b)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과 연동되는 스마트 시계로써의 사용자 단말(301)에 돌기들(30n)을 포함하는 출력부(330)가 결합된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b)의 경우 스마트 시계의 상부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유닛, 무기 발광 디스플레이 유닛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 유닛 중 하나로 구현되어 있고, 스마트 시계의 하부는 출력부(330)의 돌기(30n)가 구현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스마트 시계로써의 사용자 단말(301)의 경우 사용자가 스마트 시계를 착용한 신체의 일부분이 돌기(30n)의 직선운동을 감지하여 검출된 액션과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301)은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c)를 참조하면, 스마트 폰과 연동되는 스마트 시계로써의 사용자 단말(301)과 돌기들(30n)을 포함하는 출력부(330)가 결합된 외관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c)의 경우 스마트 시계의 상부에 디스플레이 유닛과 사용자 단말(301)의 돌기(30n)가 구현될 수 있음을 도시하고 있다. 도 4의 (c)에 도시된 사용자 단말(301)과 결합된 스마트 시계로써의 사용자 단말(301)의 의 경우 사용자가 손으로 직접 돌기를 접촉하여 검출된 액션과 대응되는 출력 데이터를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사용자 단말(301)은 진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는 사용자 단말(301)의 출력부(330)의 상세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출력부(330)는 복수개의 돌기(331), 복수개의 구동부(332) 및 돌기 제어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개의 돌기(331)는 예를 들어, 가로 8열 세로 3행의 총 24개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구동부(332)는 24개의 돌기(331) 각각에 연결된 총 24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돌기(331) 각각은 복수개의 구동부(332)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복수개의 구동부(332) 각각은 돌기 제어부(333)로부터 구동 제어신호를 수신 받아 선택된 하나 이상의 돌기(331)를 직선 운동시킬 수 있다. 여기선 선택된 돌기는 선택되지 않은 돌기 보다 더 상승되는 위치로 직선 이동될 수 있다. 돌기 제어부(333)는 수신된 출력 제어 신호에 대응하는 구동 제어신호 즉, 사전에 약속된 돌기 선택신호, 돌기 돌출 시간, 돌기 돌출 주기 중 하나 이상을 생성하여 구동부(332)로 출력하고 구동 제어 신호를 수신한 하나 이상의 구동부(332)는 해당 돌기(331)를 직선운동 시킬 수 있다. 이로부터 사용자 단말(301)을 구비한 사용자는 돌기(331)의 직선운동으로 객체가 설명하고자 하는 정보를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 5b를 참조하면, 출력부(33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돌기(331) 각각이 하나의 구동부(33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구동부(332)는 돌기 제어부(333)로부터 구동 제어신호를 수신 받아 선택된 하나 이상의 돌기(331)를 직선 운동시킬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출력부(33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돌기(331) 중 일부의 돌기(331) 각각이 복수개의 구동부(332) 중 어느 한 구동부(33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 구동부(332)는 돌기 제어부(333)로부터 구동 제어신호를 수신 받아 선택된 하나 이상의 돌기(331)를 직선 운동시킬 수 있다.
상술한 도 4 및 도 5에서 예시한 돌기들의 운동에 의해, 사용자는 구조물 안내 신호를 촉각 신호로서 인지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 에서 예시한 바와 같이 돌기에 의한 촉각 신호를 생성하는 출력부(330)에 한정되지 않으며, 출력부(330)는 촉각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면 다양한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도 6 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의 사용자 단말의 동작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 를 참조하면, 먼저 데이터 수신부(310)는 구조물 단말(201)로부터 구조물의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한다(S11).
다음으로, 구조물 종류 판단부(321)는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 단말(201)이 설치된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한다(S12).
다음으로, 거리 산출부(322)는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 단말(201)이 설치된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를 산출한다(S13).
다음으로, 안내 신호 생성부(323)는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한다(S14).
다음으로, 출력 신호 변환부(325)는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S15).
마지막으로, 출력부(330)는 변환된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한다(S16).
도 7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2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을 참조하면, 공간 안내 시스템은 서버(100), 구조물 단말(202), 사용자 단말(302) 및 통신망(402)으로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도 7 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 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이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실시예에서는,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202)은 사용자 단말(302)의 접근을 감지하여 접근 감지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접근 감지 신호를 서버(100)로 송신한다. 이때, 접근 감지 신호에는 해당 신호를 송신하는 구조물 단말(202) 및 구조물 단말(202)이 설치된 구조물에 대한 정보, 그리고 감지된 사용자 단말(302)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구조물 단말(202)이 사용자 단말(302)의 접근을 감지하는 것은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방식을 따를 수 있다.
다음으로, 구조물 단말(202)로부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한 서버(100)는 접근 감지 신호로부터 구조물 단말 정보를 추출하여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은 초기 구축 시, 구조물에 설치되는 구조물 단말(202)에 해당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저장해둘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조물 단말(202)은 접근 감지 신호에 구조물 단말 및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포함시킬 수 있고, 서버(100)는 접근 감지 신호로부터 구조물 단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버(100)는 접근 감지 신호로부터 구조물 단말(202)에 접근한 사용자 단말(302)의 사용자 단말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서버(100)는 추출된 구조물 단말 정보를 이용하여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서버(100)가 생성하는 구조물 정보 데이터는, 제1 실시예에서 상술한 구조물 단말(201)이 생성하는 구조물 정보 데이터와 동일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추출된 사용자 단말 정보를 참고하여, 생성된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2)로 전송한다.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302)의 동작은 제1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301)의 동작을 제2 실시예에 적합하게 변형하여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2)은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며, 데이터 변환부는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부에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사용자 단말(301)의 각 구성의 기능들은 제2 실시예의 제2 사용자 단말(302)에 적합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2)은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2) 간의 거리를 산출하기 위해 짧은 시간 간격으로 지속적으로 서버(100)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는 접근 감지 데이터로부터 산출된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2)간의 거리가 포함될 수 있다.
서버(100), 구조물 단말(202) 및 사용자 단말(302)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통신망(402)은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접속 경로를 제공하는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망이 해당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통신망(402)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에 굳이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데이터 통신망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록 도 7 에서는 하나의 통신망(402)으로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다른 복수개의 통신망이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구조물 단말(202)과 사용자 단말(302)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통신하고, 사용자 단말(302)과 서버(100)는 중장거리 무선 통신망으로 통신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302)의 일부 기능이 서버(100)에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302)의 구조물 종류 판단부에서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대신, 서버(100)에서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여 그 정보를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포함시킬 수도 있다. 보다 상세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실시예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단말(302)의 데이터 변환부에서 수행되는 기능들 중 일부가 서버(100)에서 대신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와 같이 구조물 단말(202)이 직접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2)로 전송하는 대신 서버(100)에서 사용자 단말(302)로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구조물 단말(202)은 접근 감지 데이터만을 서버(100)로 전송하면 되므로 개별 구조물 단말(202)의 부담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서버(100)는 구조물 단말(202)의 정보를 활용하여 현재 사용자 단말(301)의 개략적인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복수개의 접근 감지 데이터를 분석하는 경우 사용자 단말(302)의 경로를 알 수 있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도 8 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 을 참조하면, 먼저 구조물 단말(201)은 사용자 단말(302)의 접근을 감지하여 접근 감지 신호를 생성한다(S21).
다음으로,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한 서버(100)는 접근 감지 신호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302)에 전송한다(S22).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302)은 서버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 단말(202)이 설치된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한다(S23).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302)은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 단말(201)이 설치된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2) 간의 거리를 산출한다(S24).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302)은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2)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한다(S25).
다음으로, 사용자 단말(302)은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S26).
마지막으로, 사용자 단말(302)은 변환된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한다(S27).
도 9 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3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30)은 구조물 단말(203), 제1 사용자 단말(303), 제2 사용자 단말(304) 및 통신망(403)을 포함한다.
도 9 에 도시된 실시예는 도 1 내지 도 6 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이므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의 차이점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실시예에서 데이터 수신부(310) 및 데이터 변환부(320)의 기능을 제1 사용자 단말(200)에서 수행하고, 출력부(330)의 기능을 제2 사용자 단말(300)에서 수행한다.
보다 상세히, 제1 사용자 단말(303)은 사용자의 퍼스널 컴퓨터일 수도 있고, 또는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일 수도 있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사용자 단말(303)은 컴퓨터(예를 들면, 데스크톱, 랩톱, 태블릿 등), 미디어 컴퓨팅 플랫폼(예를 들면, 케이블, 위성 셋톱박스,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 핸드헬드 컴퓨팅 디바이스(예를 들면, PDA, 이메일 클라이언트 등), 핸드폰의 임의의 형태, 또는 다른 종류의 컴퓨팅 또는 커뮤니케이션 플랫폼의 임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304)은 제1 실시예의 사용자 단말(301)의 출력부(330)를 포함하는 장치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단말(303)은 사용자의 스마트폰이고, 제2 사용자 단말(304)은 촉각 신호 출력 장치를 구비하는 웨어러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3 실시예에서는, 제1 사용자 단말(303)은 구조물 단말(203)으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고,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또한, 제2 사용자 단말(304)은 제1 사용자 단말(303)으로부터 출력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출력부를 통해 촉각 신호로 출력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와 같이 데이터 변환 기능과 출력 기능을 분리하여 각기 다른 단말에서 구현하는 것은, 데이터 처리를 위해 사용자가 원래 휴대하는 컴퓨팅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출력부를 가지는 단말의 컴퓨팅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는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도 10 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공간 안내 시스템의 동작을 순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먼저 제1 사용자 단말(303)은 구조물 단말(201)로부터 구조물의 종류 정보를 포함하는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한다(S31).
다음으로, 제1 사용자 단말(303)은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 단말(201)이 설치된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한다(S32).
다음으로, 제1 사용자 단말(303)은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구조물 단말(201)이 설치된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를 산출한다(S33).
다음으로, 제1 사용자 단말(303)은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301)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한다(S34).
다음으로, 제1 사용자 단말(303)은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한다(S35).
마지막으로, 제2 사용자 단말(304)은 변환된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한다(S36).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서버 201, 202, 203: 구조물 단말
301, 302, 303, 304: 사용자 단말
401, 402, 403: 통신망

Claims (14)

  1.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 및
    상기 변환된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부;
    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로서,
    상기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부;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소정의 시간 동안 임계치 이상의 방향 변화 혹은 위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이상 상황 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 상황 감지부가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진행 방향을 잃어버렸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변화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상기 구조물의 존재 또는 구조물의 종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리 산출부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포함된 송신 시간과, 상기 데이터 수신부가 수신한 수신 시간을 비교하여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일정 주파수를 가지고 점멸하는 신호로서,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상기 주파수가 증가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상기 구조물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가 취해야 할 후속 액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신호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 속도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할 상기 거리에 대한 상기 소정 수치를 결정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조물 단말은 기설정된 반경 내에 존재하는 상기 사용자 단말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구조물에 대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수신부로 전송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구조물 단말과 근거리 무선 통신망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10.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촉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여 접근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있는 구조물 단말;
    상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시스템으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부;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부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소정의 시간 동안 임계치 이상의 방향 변화 혹은 위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이상 상황 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 상황 감지부가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진행 방향을 잃어버렸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변화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공간 안내 시스템.
  11.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되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구조물 단말;
    수신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부를 포함하는 제1 사용자 단말; 및
    변환된 상기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부를 포함하는 제2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공간 안내 시스템으로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데이터 변환부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부;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부;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부;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부;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소정의 시간 동안 임계치 이상의 방향 변화 혹은 위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이상 상황 감지부; 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 상황 감지부가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진행 방향을 잃어버렸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변화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공간 안내 시스템.
  12.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으로서,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 및
    상기 변환된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변환 단계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단계;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소정의 시간 동안 임계치 이상의 방향 변화 혹은 위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이상 상황 감지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 상황 감지 단계가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진행 방향을 잃어버렸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변화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의 제어 방법.
  13.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된 구조물 단말이 사용자 단말의 접근을 감지하여 접근 감지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서버가 상기 접근 감지 신호를 수신하여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여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방법으로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서버로부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단계;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 단계; 및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부를 제어하는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 소정의 시간 동안 임계치 이상의 방향 변화 혹은 위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이상 상황 감지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 상황 감지 단계가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진행 방향을 잃어버렸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변화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공간 안내 방법.
  14. 공간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구조물 단말이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단말이 수신된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데이터 변환 단계; 및
    제2 사용자 단말이 변환된 상기 출력 제어 신호를 촉각 신호로 출력하는 출력 단계; 를 포함하는 공간 안내 방법로서,
    상기 출력 단계는,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결정하는 구조물 종류 판단 단계;
    상기 구조물 정보 데이터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 단말이 설치된 상기 구조물과 상기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를 산출하는 거리 산출 단계;
    상기 구조물의 종류를 고려하여, 상기 구조물과 사용자 단말 간의 거리가 소정 수치 이하가 될 때,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생성하는 안내 신호 생성 단계;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를 상기 출력 제어 신호로 변환하는 출력 신호 변환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에 소정의 시간 동안 임계치 이상의 방향 변화 혹은 위치 변화가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이상 상황이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이상 상황 감지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이상 상황 감지 단계가 이상 상황을 감지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가 진행 방향을 잃어버렸다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구조물 안내 신호는 변화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구조물의 방향을 안내하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공간 안내 방법.
KR1020160139286A 2016-10-21 2016-10-25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 KR101840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286A KR101840026B1 (ko) 2016-10-25 2016-10-25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
US16/343,151 US20190318624A1 (en) 2016-10-21 2017-10-23 Boarding information guiding system and method, and procedur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CN202110499549.XA CN113240929B (zh) 2016-10-21 2017-10-23 登车信息引导系统和方法以及过程管理设备和方法
CN201780078219.5A CN110089138B (zh) 2016-10-21 2017-10-23 登车信息引导系统和方法
PCT/KR2017/011733 WO2018074909A1 (ko) 2016-10-21 2017-10-23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방법 및 절차 관리 장치, 방법
KR1020180027697A KR102507284B1 (ko) 2016-10-25 2018-03-08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
US17/732,988 US20220293009A1 (en) 2016-10-21 2022-04-29 Boarding information guiding system and method, and procedure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286A KR101840026B1 (ko) 2016-10-25 2016-10-25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7697A Division KR102507284B1 (ko) 2016-10-25 2018-03-08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0026B1 true KR101840026B1 (ko) 2018-03-19

Family

ID=61911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286A KR101840026B1 (ko) 2016-10-21 2016-10-25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0026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7097B2 (en) Media streaming methods, apparatus and systems
Poggi et al. A wearable mobility aid for the visually impaired based on embedded 3D vision and deep learning
US11705018B2 (en) Personal navigation system
EP308899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actile guidance
KR101730266B1 (ko) 장애인을 위한 IoT 기반 길안내 장치 및 방법
CN206460410U (zh) 带增强现实的智能设备
CN106843491A (zh) 带增强现实的智能设备及电子设备
KR101481378B1 (ko)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지하철역 내 시각 장애인 경로 안내 방법 및 장치
KR101109546B1 (ko) 시각장애인용 길 안내장치 및 이를 구비한 모바일단말
KR20180093752A (ko) 시각장애인용 지팡이
Ang et al. Information communication assistive technologies for visually impaired people
Akram et al. Construction and analysis of a novel wearable assistive device for a visually impaired person
KR101840026B1 (ko)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5874A (ko)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507284B1 (ko) 공간 안내용 사용자 단말, 시스템 및 방법
KR101849594B1 (ko) 라이다를 이용하는 무선 헤드셋, 보행 보조 시스템 및 보행 보조 제어 방법
US20160335916A1 (en)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using plurality of cameras
KR102225456B1 (ko) 로드 메이트 시스템 및 로드 메이트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78152B1 (ko) 스마트 점자블록 시스템
KR101799391B1 (ko) 스마트 점자블럭 시스템.
Scalvini et al. Visual-auditory substitution device for indoor navigation based on fast visual marker detection
KR101298526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시각 장애인용 안내 장치
KR101840027B1 (ko) 탑승 정보 안내 시스템 및 방법
KR102281246B1 (ko) 인공지능에 기반한 시니어 케어를 위한 길안내 및 사물식별 시스템 및 방법
KR20200130794A (ko) 교통약자를 위한 스마트 블록 길안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