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9025B1 -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 - Google Patents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9025B1
KR101839025B1 KR1020160106837A KR20160106837A KR101839025B1 KR 101839025 B1 KR101839025 B1 KR 101839025B1 KR 1020160106837 A KR1020160106837 A KR 1020160106837A KR 20160106837 A KR20160106837 A KR 20160106837A KR 101839025 B1 KR101839025 B1 KR 1018390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ed
wood part
wood
central
wid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6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2045A (ko
Inventor
안상훈
Original Assignee
안상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상훈 filed Critical 안상훈
Priority to KR1020160106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9025B1/ko
Publication of KR20180022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9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9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MWORK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27B - B27L; MANUFACTURE OF SPECIFIC WOODEN ARTICLES
    • B27M3/00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 B27M3/0013Manufacture or reconditioning of specific semi-finished or finished articles of composite or compoun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DWORKING VENEER OR PLYWOOD
    • B27D1/00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 B27D1/04Joining wood veneer with any material; Forming articles thereby; Preparatory processing of surfaces to be joined, e.g. scoring to produce plywood or articles made therefrom; Plywood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7WORKING OR PRESERVING WOOD OR SIMILAR MATERIAL; NAILING OR STAPLING MACHINES IN GENERAL
    • B27KPROCESSES, APPARATUS OR SELECTION OF SUBSTANCES FOR IMPREGNATING, STAINING, DYEING, BLEACH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OR TREATING OF WOOD OR SIMILAR MATERIALS WITH PERMEANT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CORK, CANE, REED, STRAW OR SIMILAR MATERIALS
    • B27K5/00Treating of wood not provided for in groups B27K1/00, B27K3/00
    • B27K5/0085Thermal treatments, i.e. involving chemical modification of wood at temperatures well over 100°C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에 관한 것으로, 핑거조인트(Finger Joint)형 집성판재로서, 30 내지 35 mm의 두께, 1740 내지 1760 mm의 길이, 790 내지 810mm의 너비를 가지는 중심 목재부; 상기 중심 목재부의 길이방향 기준 양 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중심 목재부와 동일한 두께, 너비를 갖추며, 40 내지 60 mm의 길이를 가지는 제1부착 목재부; 상기 중심 목재부의 너비방향 기준 양 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중심 목재부와 동일한 두께를 갖추고, 상기 제1부착 목재부가 부착된 중심 목재부 전체와 동일한 길이를 갖추며, 40 내지 60 mm의 너비를 가지는 제2부착 목재부; 및 상기 제1부착 목재부 및 제2부착 목재부가 부착된 중심 목재부 전체에 걸친 상, 하면을 덮도록 부착되며, 상기 제1부착 목재부 및 제2부착 목재부가 부착된 중심 목재부 전체와 동일한 길이 및 너비를 갖추며, 2 내지 5mm의 두께를 가지는 제3부착 목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착 목재부, 제2부착 목재부 및 제3부착 목재부는 동일 수종(樹種)의 무늬목으로 마련되고 상기 중심 목재부는 상기 제1부착 목재부, 제2부착 목재부 및 제3부착 목재부와 상이한 수종(樹種)으로 마련된다.

Description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 {MUTI-CHAINED STRUCTURE TYPE MIXED WOOD}
본 발명은 다수개의 목재들이 상호 다중 결합되어 전체 구조를 이루는 혼합 목재에 관한 것이다.
목재(木材)란 학술적인 개념으로 볼 때 수목의 성장에 따라서 형성층세포가 분열증식하여 형성층의 안쪽으로 형성되는 목질 부분을 말하는데, 목질화한 여러 개의 죽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목질화한 부분은 뿌리ㅇ줄기ㅇ가지 등 나무의 대부분을 구성하고 있으며, 목재로 이용되는 부분은 일반적으로 줄기 부분 즉, 수간(樹幹)에서 생산된다. 목재는 크게 침엽수재와 활엽수재로 나누어지며, 침엽수재는 통산 건축재로 활용되며, 활엽수재는 통상 가구와 내장재 등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목재의 경우, 가공성이나 내구성, 질감, 외관 등의 개선에도 큰 노력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최근에는 습도 환경에 큰 영향을 받아 쉽게 수축, 팽창, 갈라짐 혹은 비틀림 등의 치수 및 형태 변형이 유발되는 특성을 고려하여 이를 바로잡아 가구내장재로서 더욱 고도한 가치의 목재를 만들어내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목재들의 합성을 통해 목재의 치수 및 형태 변형 정도를 줄이기 위해 마련되어진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49875호의 "고강도 및 수축팽창율이 낮은 합성목재, 및 이의 제조방법 "(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이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혼합 목재들의 경우, 목재들 간의 상호 접착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제조되지 못하여, 목재의 환경 변화에 따른 치수 및 형태 변형의 정도가 매우 적더라도 쉽게 목재 간 이격이 유발될 수 있었으며, 가구 내장재로서 갖춰야할 질감 및 외관의 우수성이 다소 결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혼합 목재들의 경우, 혼합 목재의 제조에 있어서 소요되는 다양한 목재 이용에 따른 제조 단가에 대한 충분한 고려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들 간의 상호 다중 결합을 통해 혼합 목재를 마련함에 있어서 수축, 팽창, 갈라짐 혹은 비틀림 등의 치수 및 형태 변형에 대한 내성과 동시에 목재간의 상호 결합 성능이 매우 높은 수준으로 갖춰질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목재들 간의 상호 다중 결합을 통해 혼합 목재를 마련함에 있어서 다중 결합을 형성하는 목재의 종류, 배치형태, 규격 등이 효율적인 제조단가 수준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는, 핑거조인트(Finger Joint)형 집성판재로서, 30 내지 35 mm의 두께, 1740 내지 1760 mm의 길이, 790 내지 810mm의 너비를 가지는 중심 목재부; 상기 중심 목재부의 길이방향 기준 양 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중심 목재부와 동일한 두께, 너비를 갖추며, 40 내지 60 mm의 길이를 가지는 제1부착 목재부; 상기 중심 목재부의 너비방향 기준 양 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중심 목재부와 동일한 두께를 갖추고, 상기 제1부착 목재부가 부착된 중심 목재부 전체와 동일한 길이를 갖추며, 40 내지 60 mm의 너비를 가지는 제2부착 목재부; 및 상기 제1부착 목재부 및 제2부착 목재부가 부착된 중심 목재부 전체에 걸친 상, 하면을 덮도록 부착되며, 상기 제1부착 목재부 및 제2부착 목재부가 부착된 중심 목재부 전체와 동일한 길이 및 너비를 갖추며, 2 내지 5mm의 두께를 가지는 제3부착 목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착 목재부, 제2부착 목재부 및 제3부착 목재부는 동일 수종(樹種)의 무늬목으로 마련되고 상기 중심 목재부는 상기 제1부착 목재부, 제2부착 목재부 및 제3부착 목재부와 상이한 수종(樹種)으로 마련된다.
여기서, 상기 중심 목재부는 160 내지 230℃의 고온 환경에서 열처리 공정을 거쳐 산화되어진 상태로 마련된다.
아울러, 상기 제1부착 목재부 및 제2부착 목재부는 이판, 제1부심판, 심판, 제2부심판 및 표판 순으로 적층되어 5단 구조를 이룬 합판에 해당되며, 상기 제1부착 목재부 및 제2부착 목재부에 해당되는 합판을 이루는 상기 이판, 제1부심판, 심판, 제2부심판 및 표판은 레드 오크(Red Oak)의 수종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3부착 목재부는 레드 오크(Red Oak)의 수종으로 마련된 단판에 해당되며, 상기 중심 목재부는 나왕(Lauan)의 수종으로 마련된다.
또한, 상기 제1부착 목재부에 해당되는 합판을 이루는 상기 심판, 표판 및 이판은 상기 중심 목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목리 및 섬유방향을 지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부착 목재부에 해당되는 합판을 이루는 상기 제1부심판 및 제2부심판은 상기 중심 목재부의 너비방향을 따라 목리 및 섬유방향을 지니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부착 목재부에 해당되는 합판을 이루는 상기 심판, 표판 및 이판은 상기 중심 목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목리 및 섬유방향을 지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부착 목재부에 해당되는 합판을 이루는 상기 제1부심판 및 제2부심판은 상기 중심 목재부의 너비방향을 따라 목리 및 섬유방향을 지니도록 배치된다.
아울러, 상기 제3부착 목재부에 해당되는 단판은 상기 중심 목재부의 너비방향을 따라 목리 및 섬유방향을 지니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첫째, 중심 목재부를 기준으로 중심 목재부의 4개 측면 모두에 부착 목재부가 부착되며, 측면에 부착 목재부가 부착된 중심 목재부의 상, 하측으로도 부착 목재부가 부착되어 전체 목재 구조상의 습도 환경 변화에 따른 치수 및 형태 변형에 대한 내성을 높임과 동시에 목재 간 상호 결합 성능의 수준을 매우 우수하게 높일 수 있다.
둘째, 중심 목재부의 측면, 상면 및 하면에 부착되는 모든 부착 목재부가 동일 수종의 무늬목으로 마련되며, 측면에 부착되는 부착 목재부는 합판 구조를 이루고 상, 하면에 부착되는 부착 목재부는 단판 구조를 이루어 습도 환경 변화에 따른 치수 및 형태 변형에 대한 내성의 높임 및 목재 간 상호 결합에 있어서의 개선 정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극대화시키고, 전체 목재 구조상의 질감 및 외관의 수준을 우수하게 유지할 수 있다.
셋째, 중심 목재부가 핑거 조인트형 집성판재로 마련되며, 산화 열처리 공정을 거친 상태로 사용되어 습도 환경 변화에 따른 치수 및 형태 변형에 대한 내성의 높임 및 목재 간 상호 결합에 있어서의 개선 정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극대화시킬 수 있다.
넷째, 중심 목재부는 나왕의 수종으로 마련되고, 부착 목재부는 레드 오크의 수종으로 마련되어 전체 목재 구조상의 질감 및 외관의 수준을 우수하게 유지하되, 전체 목재 제조 단가가 효율적인 수준으로 마련될 수 있다.
다섯째, 목재 전체 구조상의 하측에 위치한 부착 목재부의 단판으로부터 상측에 위치한 부착 목재부의 단판에 이르기까지의 단판 배치 형태가 상호 인접한 단판의 목리 및 섬유방향이 직교를 이루도록 마련되어 습도 환경 변화에 따른 치수 및 형태 변형에 대한 내성의 높임 및 목재 간 상호 결합에 있어서의 개선 정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 및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의 도1 기준 A-A선 단면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의 도1 기준 B-B선 단면 형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에 관한 설명>
본 발명의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100)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목재부(110); 제1부착 목재부(120); 제2부착 목재부(130); 및 제3부착 목재부(140);를 포함한다.
중심 목재부(110)는 핑거조인트(Finger Joint)형 집성판재로서, 30 mm 내지 35 mm의 두께, 1740 mm 내지 1760 mm의 길이, 790 mm 내지 810mm의 너비를 가지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목재(100) 구조상 중심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중심 목재부(110)는 긴 직육면체형 판재를 조각조각 연결하여 집성되어진 구조의 판재로서, 도2와 같이 판재들이 길이방향을 따라 탑 핑거 조인트 집성 방식(FG)에 따라 상화 연결되어 하나의 길이방향 단위체를 이루로, 이와 같이 이루어진 단위체가 너비방향을 따라 동일한 길이로 부착되어 전체 판 구조를 형성한다.
이를 통해 중심 목재부(110)는 전체 목재(100) 구조상 중심을 이룸에 있어서 단판 혹은 합판 구조의 목재부 혹은 원목 자체에 제공하지 못하는 수준의 뒤틀림 혹은 갈라짐 방지 특성을 갖추게 된다.
또한, 단판 혹은 합판 구조의 목재부 혹은 원목 자체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이를 보충하기 위해 더욱이 중심 목재부(110)는 나왕(Lauan)의 수종(樹種)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추후 설명되어질 제1부착 목재부(120), 제2부착 목재부(130) 및 제3부착 목재부(140)의 수종(樹種)에 비해 낮은 등급의 수종을 채택하여 전체 목재(100)의 치수 및 형태 변형 관련 내성적 특성의 개선을 우수하게 제공하되 생산 단가의 수준을 모두 고려하여 효율적 수준에서 제공하기 위함이다.
아울러, 중심 목재부(110)는 160℃ 내지 230℃의 고온 환경에서 열처리 공정을 거쳐 산화되어진 상태로 마련된다.
이는 중심 목재부(110)와 부착 목재부(120, 130, 140)가 상이한 수종으로 마련됨에 따라 상호 상이한 목재 함수율을 갖추게 되고, 결과적으로 치수 및 형태 변형 관련 내성적 특성 역시 상이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정도의 편차를 중심 목재부(110)의 산화 열처리를 통해 보완하고 극복하기 위함이다.
다시 말해, 160℃ 내지 230℃의 고온 환경에서 열처리 공정을 거쳐 산화된 중심 목재부(110)는 치수 및 형태 변형 관련 내성적 특성이 극도로 낮아지게 되며, 이와 같은 산화 처리 시의 고온 환경 조건은 160℃ 미만의 온도에서 중심 목재부(110)의 산화처리가 진행되어질 경우 목재 함수율에 따른 치수 및 형태 변형 관련 내성적 특성의 개선 정도가 부착 목재부(120, 130, 140)가 지닌 목재 함수율에 따른 치수 및 형태 변형 관련 내성적 특성의 개선 정도의 편차를 극복하지 못하는 수준에서 그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으며, 230℃를 초과한 온도에서 중심 목재부(110)의 산화처리가 진행되어질 경우, 산화처리 된 중심 목재부(110)의 외관 및 내구성이 불량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제1부착 목재부(120)는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목재부(110)의 길이방향 기준 양 측면에 부착되며, 다수의 단판 적층구조를 통해 중심 목재부(110)와 동일한 두께, 너비를 갖추며, 40mm 내지 60 mm의 길이를 가진다.
따라서 제1부착 목재부(120)는 중심 목재부(110)의 길이방향 기준 양 측면 전체면을 덮는 형태로 부착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1부착 목재부(12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방향 기준 하단으로부터 이판(Back, 125), 제2부심판(Cross Band, 123), 심판(Core, 121), 제1부심판(Cross Band, 122) 및 표판(Face, 124) 순으로 순차적인 적층이 이루어져 5층의 단판 적층구조를 가진다.
다시 말해, 제1부착 목재부(120)는 심판(121)을 중심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심판(121)의 상, 하면에 각각 제1부심판(122) 및 제2부심판(123)이 부착되고, 제1부심판(122)의 상면에는 표판(124)이 부착되고, 제2부심판(123)의 하면에는 이판(125)이 부착된다.
또한, 제1부착 목재부(120)를 이루는 5개의 단판인 심판(121), 제1부심판(122), 제2부심판(123), 표판(124) 및 이판(125) 전체가 수종(樹種)이 레드 오크(Red Oak)에 해당하는 목재로 마련되며, 이는 상호 상이한 수종 단판 적층 구조로 인해 적층된 단판 중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띠는 수종으로 마련된 단판의 접착력이 합판 형성을 위한 상호 접착시의 접착력의 기준이 됨으로써, 상호 간의 접착 성능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중심 목재부(110)가 나왕(Lauan)의 수종을 마련됨과 달리 제1부착 목재부(120)가 등급이 상대적으로 더욱 높은 무늬목에 해당하는 레드 오크(Red Oak)의 수종으로 마련되어 전체 목재(100)의 질감 및 외관의 고급화와 더불어 전체 목재(100)의 제조에 소요되는 제조 단가를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다.
아울러, 제1부착 목재부(120)를 이루는 심판(121), 제1부심판(122), 제2부심판(123), 표판(124) 및 이판(125) 중 심판(121), 표판(124) 및 이판(125)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목재부(110)의 길이방향(구체적으로는 전체 목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목리 및 섬유방향을 지니도록 배치되고, 제1부심판(122) 및 제2부심판(123)은 중심 목재부(110)의 너비방향(구체적으로는 전체 목재(100)의 너비방향)을 따라 목리 및 섬유방향을 지니도록 배치되어 제1부착 목재부(120)의 내구성을 강화와 더불어 제1부착 목재부(120)가 부착된 전체 목재(100)의 수축평균, 팽창평균, 휨강도 등의 치수 및 형태 변형 관련 내성적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부착 목재부(120)를 이루는 심판(121), 제1부심판(122), 제2부심판(123), 표판(124) 및 이판(125)의 인접한 단판 간의 적층 형태의 부착은 멜라민-요소 공중합체 수지 기반의 열착 가공용 접착 조성물을 통해 상호 접착되어진다.
하지만 단순히 중심 목재부(110)와 제1부착 목재부(120) 간의 부착 결합을 통한 다중 결합 구조의 형성은 충분한 목재 간 상호 결합 성능을 제공하지 못하고, 습도 환경의 변화에 따라 목재 각각의 미세한 치수 또는 형태 변형에 기인하여 쉽게 중심 목재부(110)와 제1부착 목재부(120)간의 부착이 해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아래 설명되어질 제2부착 목재부(130) 및 제3부착 목재부(140)의 추가 결합이 요구되어진다.
제2부착 목재부(130)는 중심 목재부(110)의 너비방향 기준 양 측면에 부착되며, 중심 목재부(110)와 동일한 두께를 갖추고, 제1부착 목재부(120)가 부착된 중심 목재부(110) 전체와 동일한 길이를 갖추며, 40 mm 내지 60 mm의 너비를 가진다.
따라서 제2부착 목재부(120)는 중심 목재부(110) 및 제1부착 목재부(120)의 너비방향 기준 양 측면 전체면을 덮는 형태로 부착되게 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제2부착 목재부(13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께방향 기준 하단으로부터 이판(Back, 135), 제2부심판(Cross Band, 133), 심판(Core, 131), 제1부심판(Cross Band, 132) 및 표판(Face, 134) 순으로 순차적인 적층이 이루어져 5층의 단판 적층구조를 가진다.
다시 말해, 제2부착 목재부(130)는 심판(131)을 중심부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심판(131)의 상, 하면에 각각 제1부심판(132) 및 제2부심판(133)이 부착되고, 제1부심판(132)의 상면에는 표판(134)이 부착되고, 제2부심판(133)의 하면에는 이판(135)이 부착된다.
또한, 제2부착 목재부(130)를 이루는 5개의 단판인 심판(131), 제1부심판(132), 제2부심판(133), 표판(134) 및 이판(135) 전체가 수종(樹種)이 레드 오크(Red Oak)에 해당하는 목재로 마련되며, 이는 상호 상이한 수종 단판 적층 구조로 인해 적층된 단판 중 상대적으로 낮은 비중을 띠는 수종으로 마련된 단판의 접착력이 합판 형성을 위한 상호 접착시의 접착력의 기준이 됨으로써, 상호 간의 접착 성능을 저해시키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중심 목재부(110)가 나왕(Lauan)의 수종을 마련됨과 달리 제1부착 목재부(120)와 같이 제2부착 몸체부(130)가 등급이 상대적으로 더욱 높은 무늬목에 해당하는 레드 오크(Red Oak)의 수종으로 마련되어 전체 목재(100)의 질감 및 외관의 고급화와 더불어 전체 목재(100)의 제조에 소요되는 제조 단가를 효율적으로 낮출 수 있다.
아울러, 제2부착 목재부(130)를 이루는 심판(131), 제1부심판(132), 제2부심판(133), 표판(134) 및 이판(135) 중 심판(131), 표판(134) 및 이판(135)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목재부(110)의 길이방향(구체적으로는 전체 목재(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목리 및 섬유방향을 지니도록 배치되고, 제1부심판(322) 및 제2부심판(133)은 중심 목재부(110)의 너비방향(구체적으로는 전체 목재(100)의 너비방향)을 따라 목리 및 섬유방향을 지니도록 배치되어 제2부착 목재부(130)의 내구성을 강화와 더불어 제2부착 목재부(130)가 부착된 전체 목재(100)의 수축평균, 팽창평균, 휨강도 등의 치수 및 형태 변형 관련 내성적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2부착 목재부(130)를 이루는 심판(131), 제1부심판(132), 제2부심판(133), 표판(134) 및 이판(135)의 인접한 단판 간의 적층 형태의 부착은 멜라민-요소 공중합체 수지 기반의 열착 가공용 접착 조성물을 통해 상호 접착되어진다.
제3부착 목재부(14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부착 목재부(120) 및 제2부착 목재부(130)가 부착된 중심 목재부(110) 전체에 걸친 상, 하면을 덮도록 부착되며, 제1부착 목재부(120) 및 제2부착 목재부(130)가 부착된 중심 목재부(110) 전체와 동일한 길이 및 너비를 갖추며, 2mm 내지 5mm의 두께를 가진다.
여기서, 제3부착 목재부(140)는 제1부착 목재부(120) 및 제2부착 목재부(130)와 같이 레드 오크(Red Oak)의 수종으로 마련되나 제1부착 목재부(120) 및 제2부착 목재부(130)와 달리 단판에 해당되는 목재부이다.
이러한, 제3부착 목재부(140)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목재부(110)의 너비방향을 따라 목리 및 섬유방향을 지니도록 배치되어 제1부착 목재부(120) 및 제2부착 목재부(130)의 표판(124, 134) 및 이판(125, 135)과 목리 및 섬유방향이 상호 직교하게 부착된다.
결과적으로, 제2부착 목재부(130) 및 제3부착 목재부(140)는 중심 목재부(110)와 제1부착 목재부(120) 간의 부착 성능을 보충하여, 전체 목재(100)를 구성하는 중심 목재부(110), 제1부착 목재부(120), 제2부착 목재부(130) 및 제3부착 목재부(140) 상호 간의 부착 성능 수준 자체를 상호 보완함에 따라 매우 우수한 수준으로 개선시킨다.
따라서 중심 목재부(110), 제1부착 목재부(120), 제2부착 목재부(130) 및 제3부착 목재부(1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목재부에서 습도 환경의 변화에 따라 치수 혹은 형태 변형이 유발되더라도 이가 목재부 간의 상호 부착 성능에 영향을 주어 상호 간의 이격으로 이어지지 않게 한다.
아울러, 중심 목재부(110)는 나왕의 수종으로 마련되어 레드 오크의 수종으로 마련되는 제1부착 목재부(120), 제2부착 목재부(130) 및 제3부착 목재부(140)와 상이한 수종으로 마련되는데, 이는 나왕의 수종은 레드 오크의 수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목재 등급이 낮아 구하기 쉽고 가격이 더 저렴한 반면 레드 오크 수종은 높은 등급의 무늬목으로 질감 및 외관 또한 뛰어나 상호 간의 다중 결합 구조를 통해 목재의 수축평균, 팽창평균, 휨강도 등의 치수 및 형태 변형 관련 내성적 특성은 개선 시키되 목재 전체의 질감 및 외관 수준은 더욱 높게 마련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결과적으로 전체 목재 구조에 해당하는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100)는 전체적으로 길이 1800mm, 너비 850mm, 두께 40mm를 갖추도록 마련됨이 작업 용이성 및 활용도 측면과 더불어 갖춰지는 치수 및 형태 변형 관련 내성적 특성에 있어서 가장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100)를 구성하는 중심 목재부(110), 제1부착 목재부(120), 제2부착 목재부(130) 및 제3부착 목재부(140) 상호 간의 결합은 별도의 접착 조성물에 의한 접착층 형성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 목재부(110)를 기준으로 제1부착 목재부(120)의 부착에 이용되는 접착 조성물에 기인한 접착층(G2)과 제2부착 목재부(130)의 부착에 이용되는 접착 조성물에 기인한 접착층(G3), 그리고 제3부착 목재부(140)의 부착에 이용되는 접착 조성물에 기인한 접착층(G1)이 동일한 접착 조성물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다만, 제1부착 목재부(120)는 상이한 수종의 중심 목재부(110)와 전체 면에 걸친 상호 부착을 수행하고, 제2부착 목재부(130)는 상이한 수종의 중심 목재부(110) 및 동일한 수종의 제1부착 목재부(120)에 걸쳐 상호 부착을 수행해야하고, 제3부착 목재부(140)는 중심 목재부(110) 및 동일한 수종의 제1부착 목재부(120)와 제2부착 목재부(130)에 걸쳐 상호 부착을 수행해야 한다.
다시 말해, 제3부착 목재부(140)의 부착에 이용되는 접착 조성물에 기인한 접착층(G1)은 동일 수종 및 상이한 수종과의 접착을 동시에 제공해야하고, 제1부착 목재부(120)의 부착에 이용되는 접착 조성물에 기인한 접착층(G2)은 상이한 수종과의 접착을 제공해야 하고, 제2부착 목재부(130)의 부착에 이용되는 접착 조성물에 기인한 접착층(G3)은 동일 수종 및 상이한 수종과의 접착을 동시에 제공하되, 동시 제공의 비율이 제3부착 목재부(140)의 부착에 이용되는 접착 조성물에 기인한 접착층(G1)과 다소 상이하다.
이에 따라, 각 접착층(G1, G2, G3)을 마련하는 접착 조성물의 구성 성분은 동일 하되, 성분 별 함량 수준은 상호 상이한 수준을 갖추도록 제조되어 사용됨이 가장 바람직하다.
즉,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은 특성의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100)는 목재의 수축평균, 팽창평균, 휨강도 등의 습도 환경 변화에 따른 치수 및 형태 변형에 대한 내성관련 특성이 종래와 달리 크게 개선됨과 동시에 목재 간 상호 결합 성능의 수준을 매우 우수한 수준에서 갖춰지며, 더욱이 전체 목재 구조상의 질감 및 외관의 수준을 우수하게 유지하되, 전체 목재 제조 단가가 효율적인 수준으로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
110 : 중심 목재부
FG : 핑커조인트형 결합부분
120 : 제1부착 목재부
121 : 제1부착 목재부의 심판
122 : 제1부착 목재부의 제1부심판
123 : 제1부착 목재부의 제2부심판
124 : 제1부착 목재부의 표판
125 : 제1부착 목재부의 이판
130 : 제2부착 목재부
131 : 제2부착 목재부의 심판
132 : 제2부착 목재부의 제1부심판
133 : 제2부착 목재부의 제2부심판
134 : 제2부착 목재부의 표판
135 : 제2부착 목재부의 이판
140 : 제3부착 목재부

Claims (6)

  1. 핑거조인트(Finger Joint)형 집성판재로서, 30 내지 35 mm의 두께, 1740 내지 1760 mm의 길이, 790 내지 810mm의 너비를 가지는 중심 목재부;
    상기 중심 목재부의 길이방향 기준 양 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중심 목재부와 동일한 두께, 너비를 갖추며, 40 내지 60 mm의 길이를 가지는 제1부착 목재부;
    상기 중심 목재부의 너비방향 기준 양 측면에 부착되며, 상기 중심 목재부와 동일한 두께를 갖추고, 상기 제1부착 목재부가 부착된 중심 목재부 전체와 동일한 길이를 갖추며, 40 내지 60 mm의 너비를 가지는 제2부착 목재부; 및
    상기 제1부착 목재부 및 제2부착 목재부가 부착된 중심 목재부 전체에 걸친 상, 하면을 덮도록 부착되며, 상기 제1부착 목재부 및 제2부착 목재부가 부착된 중심 목재부 전체와 동일한 길이 및 너비를 갖추며, 2 내지 5mm의 두께를 가지는 제3부착 목재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착 목재부, 제2부착 목재부 및 제3부착 목재부는 동일 수종(樹種)의 무늬목으로 마련되고 상기 중심 목재부는 상기 제1부착 목재부, 제2부착 목재부 및 제3부착 목재부와 상이한 수종(樹種)으로 마련되되,
    상기 중심 목재부가 상기 제1부착 목재부, 제2부착 목재부 및 제3부착 목재부와 상이한 수종으로 마련됨에 따른 치수 및 형태 변형 정도의 편차를 극복하기 위해 상기 중심 목재부는 160 내지 230℃의 고온 환경에서 열처리 공정을 거쳐 산화되어진 상태로 마련되고,
    상기 제1부착 목재부 및 제2부착 목재부는 이판, 제1부심판, 심판, 제2부심판 및 표판 순으로 적층되어 5단 구조를 이룬 합판에 해당되며, 상기 제1부착 목재부 및 제2부착 목재부에 해당되는 합판을 이루는 상기 이판, 제1부심판, 심판, 제2부심판 및 표판은 레드 오크(Red Oak)의 수종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3부착 목재부는 레드 오크(Red Oak)의 수종으로 마련된 단판에 해당되며, 상기 중심 목재부는 상기 레드 오크의 수종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격이 더 저렴한 목재인 나왕(Lauan)의 수종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부착 목재부에 해당되는 합판을 이루는 상기 심판, 표판 및 이판은 상기 중심 목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목리 및 섬유방향을 지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1부착 목재부에 해당되는 합판을 이루는 상기 제1부심판 및 제2부심판은 상기 중심 목재부의 너비방향을 따라 목리 및 섬유방향을 지니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2부착 목재부에 해당되는 합판을 이루는 상기 심판, 표판 및 이판은 상기 중심 목재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목리 및 섬유방향을 지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부착 목재부에 해당되는 합판을 이루는 상기 제1부심판 및 제2부심판은 상기 중심 목재부의 너비방향을 따라 목리 및 섬유방향을 지니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3부착 목재부에 해당되는 단판은 상기 중심 목재부의 너비방향을 따라 목리 및 섬유방향을 지니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06837A 2016-08-23 2016-08-23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 KR101839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837A KR101839025B1 (ko) 2016-08-23 2016-08-23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6837A KR101839025B1 (ko) 2016-08-23 2016-08-23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045A KR20180022045A (ko) 2018-03-06
KR101839025B1 true KR101839025B1 (ko) 2018-03-15

Family

ID=6165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6837A KR101839025B1 (ko) 2016-08-23 2016-08-23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90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045A (ko) 2018-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36734C (zh) 五层厚芯实木复合地板及其制作方法
CN103266742B (zh) 四层实木复合地热地板及其生产工艺
CN110228111B (zh) 一种竹木复合正交胶合木的加工方法及所得产品
US20070267102A1 (en) Multilaminate bamboo
CN204955040U (zh) 竹集成材增强胶合木
CA2621012A1 (en) Panel containing highly-cutinized bamboo flakes
KR101326369B1 (ko) 폭 방향 변형에 강한 합판마루
CN212288007U (zh) 一种高品质的生态装饰板
WO2020216093A1 (zh) 一种芯材呈鱼骨形的实木复合地板基材
CN210999168U (zh) 芯板应用的浸渍胶膜纸饰面细木工板
KR101839025B1 (ko) 다중 결합 구조형 혼합 목재
US9487958B2 (en) Composite engineered wood material piece composed of an HDF mid-layer and an OSB bottom layer
CN213355632U (zh) 多竹少木竹木复合集装箱底板
CN103286840B (zh) 定向刨花板箱板
CA3048553A1 (en) Pallet comprising folded wooden composite
CN210018531U (zh) 稳态原木复合板及板式家具
CN202731227U (zh) 一种双层实木地板
JP3236664U (ja) 異樹種の複合集成材
CN218804490U (zh) 一种立芯结构的多层板基材
US9382718B1 (en) Engineered wood flooring with a double-frame substrate
CN105252834A (zh) 沟槽式芯板及具有沟槽式芯板的板材
CN110696117A (zh) 芯板应用的浸渍胶膜纸饰面细木工板及其制作方法
CN205276780U (zh) 内三层复合地板
KR200351964Y1 (ko) 강도가 향상된 마루판
CN210459871U (zh) 一种实木复合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