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945B1 -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욕창방지 원단 - Google Patents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욕창방지 원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945B1
KR101838945B1 KR1020150190184A KR20150190184A KR101838945B1 KR 101838945 B1 KR101838945 B1 KR 101838945B1 KR 1020150190184 A KR1020150190184 A KR 1020150190184A KR 20150190184 A KR20150190184 A KR 20150190184A KR 101838945 B1 KR101838945 B1 KR 101838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yarn
fabric
double
hanji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90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79512A (ko
Inventor
김병덕
노정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올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올, 상명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올
Priority to KR1020150190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945B1/ko
Publication of KR201700795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5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8Paper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1/00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 D02G1/02Producing crimped or curled fibres, filaments, yarns, or threads, giving them latent characteristics by twisting, fixing the twist and backtwisting, i.e. by imparting false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0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by the materials from which they are made
    • D02G3/04Blended or other yarns or threads containing components made from different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26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with characteristics dependent on the amount or direction of twist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6Cored or coated yarns or thread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22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e.g. blending, filament/fibre
    • D02G3/38Threads in which fibres, filaments, or yarns are wound with other yarns or filaments, e.g. wrap yarns, i.e. strands of filaments or staple fibres are wrapped by a helically wound binder yarn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8Yarns or threads for use in medical application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9Yarns or threads with antibacterial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1/00Double or multi-ply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3D15/007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풍, 흡습 및 건조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동시에 높은 기계적 강도로 제직성이 뛰어나고, 원단으로 구현시에 원사 자체의 효과로 원단의 쿠션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욕창방지 원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욕창방지 원단{Korean paper composite yarn for prevention of pressure sore and fabrics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풍, 흡습 및 건조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동시에 높은 기계적 강도로 제직성이 뛰어나고, 원단으로 구현시에 원사 자체의 효과로 원단의 쿠션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욕창방지 원단에 관한 것이다.
한지는 보통 조선종이라고도 하며, 닥나무(楮)나 삼지닥나무(三枝楮) 껍질을 원료로 한다. 한지의 제조방법은 소나무, 닥나무 등의 나무를 다발로 묶어 물을 부은 가마솥에 세우고 가마니로 둘러싼 뒤 불을 때어 껍질이 흐물흐물 벗겨질 정도로 삶은 다음 껍질을 벗겨 말린다. 이후 말린 껍질을 다시 물에 불려 발로 밟은 다음 하얀 내피(內皮) 부분만 가려내고, 이것에 양잿물을 섞어 3시간 이상 삶아 압축기로 물을 짜낸다. 여기에 닥풀뿌리를 으깨어 짜낸 끈적끈적한 물을 넣고 잘 혼합하여 고루 풀리게 한 다음, 발(簾)로 종이물(紙液)을 걸러서 떠서 제조하며,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3-006556호는 한지의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한지의 특성은 질기고, 수명이 오래 간다는 것 외에도 보온성과 통풍성이 아주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지의 우수성은 양지와 비교해 보면 금방 알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양지는 지료 PH 4.0 이하의 산성지로서 50∼100년 경과시 누렇게 황화현상을 일으키며 삭아버리는데 반하여, 한지는 지료 PH 9.0 이상의 알칼리성지로서 시간이 흐를수록 결이 고와지고 수명도 천년 이상으로 매우 길다. 또한, 한지는 바람을 잘 통해주고 습기를 빨아들이고 내뿜는 성질이 있는 반면, 양지는 통풍성과 흡습성이 거의 없다.
이와 같은 우리나라 고유의 한지는 다양한 기능적 특성 및 장점들이 있음에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의 공예품, 생활용품등에 적용하여 제품을 만들어 왔고, 최근에는 이를 이용해 직물과 같은 원단을 제조하려는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다.
한편, 욕창이란 한 자세로 계속 앉아 있거나, 누워 있을 때 신체의 부위에 지속적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그 부위에 순환의 장애가 일어나 그 부분의 피하조직 손상(궤양)이 유발된 상태를 말한다. 거동이 어려운 환자나 노약자에게 특히 많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욕창을 방지할 수 있는 방법은 자세를 일정시간 간격으로 계속 변화시켜 특정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하고, 압력이 가해지는 부분의 땀 등의 습기를 제거해주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통상적으로 시중에 판매되는 욕창방지 매트 등의 원단은 면 등의 천연섬유나 합성섬유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으로 원사자체의 통풍성, 흡습, 건조 성능이 좋지 못하거나 또는 흡습이 우수할 경우 건조 등이 빠르게 되지 않는 등 모든 효과를 동시에 발현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수한 통풍성, 흡습성, 건조성을 가진 한지를 이용해 원단을 제조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으나, 상기 한지는 기계적 강도가 약해 제직 시 통상적인 합성섬유에 비해 약하여 제직성이 매우 좋지 않은 문제가 있고, 제직된 원단 역시 쉽게 찢어지는 등 내구성이 약한 문제가 있다. 또한, 한지는 그 자체로는 쿠션성이 약해 제조되는 원단이 딱딱하여 인체가 닿았을 때의 압력을 분산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사가 우수한 기계적 강도를 가져 제직성이 뛰어나고, 제조되는 원단의 내구성이 우수한 동시에 매우 뛰어나 통풍성, 흡습성, 건조성을 발현할 수 있는 원사의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통풍, 흡습 및 건조 효과가 현저히 우수한 동시에 높은 기계적 강도로 제직성이 뛰어나고, 원단으로 구현시에 원사 자체의 효과로 원단의 쿠션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경량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욕창방지 원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정한 항균성 성분을 포함하지 않아도 원사 자체가 항균성을 가질 수 있는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욕창방지 원단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의 특정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최소화시키도록 높은 쿠션성을 발현시킬 수 있는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욕창방지 원단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심사; 및 상기 심사상에 나선형으로 커버링시킨 한지 슬리팅사를 포함하는 커버링사;를 포함하는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소수성 섬유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및 폴리올레핀 섬유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수성 섬유는 폴리올레핀 섬유로 폴리프로필렌 섬유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지 복합사는 심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한지 슬리팅사를 30 ~ 60 중량부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사는 가연가공, 압입가공, 부형가공, 인터레이스가공 및 찰과가공 중 1종의 가공을 거친 벌키 가공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심사는 상기 심사는 섬도가 30~5000 데니어인 멀티필라멘트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지 슬리팅사는 폭이 1 ~ 20㎜이고, 평량이 10 ~ 20g/㎡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폭이 5 ~ 15㎜이고, 평량이 14 ~ 20g/㎡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를 포함하는 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원단은 이중직 조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중직 조직은 이중직의 겉면과 이면 사이에 압력완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마틸라세(matelasse) 조직, 튜불러 자카드 조직 및 누비 조직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를 제1 위사 및 제1 경사로 포함하는 겉면조직; 및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를 제2 위사 및 제2 경사 각각에 포함하는 이면조직;을 포함하는 욕창방지용 이중직 원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위사는 한지중공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지중공사는 폭이 1 ~ 20㎜이고, 평량이 10 ~ 20g/㎡ 인 한지 슬리팅사가 중공부를 포함하여 나선형으로 권취된 형상의 중공사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지중공사는 폭이 8 ~ 10㎜이고, 평량이 12 ~ 16g/㎡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위사는 한지복합사와 한지중공사가 1 : 0.7 ~ 1.1 본/인치로 배설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수성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벌키가공사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사자체의 통풍, 흡습 및 건조 성능이 뛰어나 이를 통해 구현된 원단은 인체와 원단이 접하는 부분의 땀 등의 습기를 빠르기 흡수, 건조시키고, 인체의 더운 열기를 빠르게 통풍시킴으로써 피부를 뽀송뽀송한 상태로 유지시키기에 매우 적합하다. 또한, 원사의 기계적 강도가 우수해 제직성이 뛰어나고 제조되는 원단의 내구성이 향상된다. 나아가, 별도의 항균성 성분을 구비시키지 않아도 한지 자체의 항균성으로 인해 욕창 발생 방지력이 향상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높은 쿠션성으로 인해 인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켜 욕창 발생을 방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한지복합사의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직 직물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는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심사; 및 상기 심사상에 나선형으로 커버링시킨 한지 슬리팅사를 구비하는 커버링사;를 포함한다.
먼저, 심사(도 1의 1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심사는 한지를 섬유형성성분으로 하는 원사의 기계적 강도를 보완시키는 지지사로써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자체적으로 소수성을 띰에 따라서 커버링사를 통해 흡수될 수 있는 수분을 다시 커버링사 및 그 외부로 빠르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원사가 향상된 건조성을 발현시키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만일 소수성이 아닌 면사 등의 섬유를 심사로 사용할 경우 커버링사를 통해 흡수되는 수분이 심사에 흡수될 수 있고, 이 경우 원사의 건조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면사의 수분량 증가로 원사의 항균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기 심사는 소수성을 발현하는 섬유형성성분으로 형성된 섬유인 경우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바람직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폴리아미드 섬유 및 폴리올레핀 섬유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 경량성 등을 고려하여 폴리올레핀 섬유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 섬유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개질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개질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경우 통상적인 단량체 이외에 설폰화된 금속염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비제한적인 예로써, 디메틸 설퍼이소프탈레이트 소듐염 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테레프탈산 이외의 방향족 다가 카르복실산을 단량체로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비제한적 예로써 디메틸테레프탈레이트, 이소프탈레이트 및 디메틸이소프탈레이트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나아가, 디올 성분으로 에틸렌글리콜을 제외한 디올성분이 단량체로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이러한 디올성분의 비제한적인 예로써,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아미드 섬유는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1, 키아나 및 아라미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섬유형성성분으로 하는 섬유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폴리프로필렌 섬유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원사의 건조성, 기계적 강도 및 경량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상기 심사는 섬도가 30~5000데니어인 멀티필라멘트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 2000 데니어일 수 있다. 만일 심사의 섬도가 30 데니어 미만일 경우 목적하는 수준의 기계적 강도를 발현시킬 수 없어서 제사성, 제조되는 원단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벌키가공 시 목적하는 수준의 벌키성을 구현시키기 어려워 쿠션성, 소프트성을 발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만일 섬도가 5000 데니어를 초과하는 경우 제조된 원단의 촉감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고, 원사의 흡습성이 오히려 저하될 수 있으며, 한지복합사의 총섬도가 증가해 원단의 무게가 증가할 수 있다. 또한, 한지 복합사를 제조시에 심사 상에 한지 슬리팅사를 나선형으로 커버링시키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며, 한지 슬리팅사가 커버링 중 절사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심사는 멀티필라멘트사가 여러 개 합사된 원사로 사용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심사는 중공섬유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향상된 경량성 및 원단으로 제조시 보온효과를 발현할 수 있고, 통풍성 및 한지 복합사의 건조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때, 상기 중공섬유는 통상의 중공섬유일 수 있으며, 단면 형상이 원형, 삼각형, 다각형 등이거나 일부가 개구된 단면형상(Ex. C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중공섬유의 중공부 직경은 심사의 기계적 강도 및 통풍성을 고려하여 목적에 따라 조절될 수 있음에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심사는 가연가공, 압입가공, 부형가공, 인터레이스가공 및 찰과가공 중 1종의 가공을 거친 벌키 가공사일 수 있고, 이를 통해 심사의 벌키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한지 복합사의 쿠션성, 통풍성, 보온성, 부드러운 촉감 및 신축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벌키가공사를 제조하기 위한 각각의 가공의 경우 공지된 가공방법을 채용하고, 목적하는 효과이 발현정도에 따라 그 정도를 조절 및 변경할 수 있음에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술한 심사상에 나선형으로 커버링되는 한지 슬리팅사를 구비하는 커버링사(도 1의 20)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버링사는 한지 슬리팅사를 포함하고, 이외에 심사와 커버링사 간의 결착을 향상시키기 위한 결착사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목적하는 수준의 통풍, 흡습, 건조, 경량성을 고려하여 커버링사는 한지 슬리팅사만을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지 슬리팅사는 한지를 일정한 폭으로 절개한 후 보빈 등에 권취시켜 제조되는 원사로써, 상기 슬리팅사의 모재가 되는 한지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된 한지일 수 있다. 상기 한지 슬리팅사는 바람직하게는 폭이 1 ~ 20㎜이고, 평량이 10 ~ 20g/㎡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폭이 5 ~ 15㎜이고, 평량이 14 ~ 20g/㎡일 수 있다. 만일 폭이 1㎜인 경우 한지 슬리팅사를 제조하기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제조시 절사가 많아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으며, 심사에 커버링시키는 공정에서 나선형으로 권취되는 횟수가 증가될 수 있다. 심사에 커버링시킬 때 슬리팅사의 가장자리는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는데 만일 슬리팅사의 권취 횟수가 증가할 경우 중첩되는 한지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서 한지 복합사의 무게가 현저히 증가할 수 있고, 중첩되는 부분은 흡습성, 통풍성이 저하되어 한지 복합사의 건조성도 동반하여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만일 폭이 20㎜를 초과할 경우 심사 표면의 단위면적당 포함되는 한지 슬리팅사의 함량이 줄어들 수 있고, 이를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한지 슬리팅사의 평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문제가 있고, 평량이 일정 수준 이상으로 증가될 경우 목적하는 수준으로 흡습성, 통풍성 및 건조성을 발현시키지 못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폭만을 넓게 할 경우 건조성은 좋아질 수 있으나 제직시에 복합사에서 한지가 손상을 입거나 벗겨지는 경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고, 건조속도는 빠를 수 있으나 흡습성은 충분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만일 평량이 14 g/㎡ 미만인 경우 한지 슬리팅사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커버링 공정의 효율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으며, 만일 평량이 20 g/㎡를 초과하는 경우 원단의 무게가 증가할 수 있는 문제가 있고, 목적하는 수준의 흡습성, 통풍성 및 건조성을 발현시키지 못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한지 슬리팅사의 폭 및 평량을 동시에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한지복합사를 제직시에 복합사에서 한지가 손상을 입거나 벗겨지는 경향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으며, 제직된 원단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심사 및 커버링사는 한지복합사를 형성함에 있어서, 심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커버링사가 30 ~ 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커버링사가 30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목적하는 수준의 흡습성, 통풍성 및 건조성을 발현시키지 못할 수 있는 있고, 커버링사가 60 중량부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복합사의 중량을 고려하여 상대적으로 심사의 함량을 줄여야 함에 따라서 원사의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고, 커버링사를 통한 통풍성, 흡습성 등의 효과가 오히려 저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방지용 한지복합사는 원단을 형성하는 원사로써 구비되어 욕창방지 원단으로 구현된다.
상기 욕창방지 원단은 직물 또는 편물일 수 있다. 상기 직물은 평직, 능직, 수자직 및 이중직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조직을 갖는 직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원단의 쿠션성 향상을 통한 인체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키기 위하여 이중직의 조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평직, 능직 및 수자직을 삼원조직이라 할 때 삼원조직 각각의 구체적인 제직방법은 통상적인 제직방법에 의하며, 삼원조직을 기본으로 하여 그 조직을 변형시키거나 몇 가지 조직을 배합하여 변화있는 직물일 수 있고, 예를들어 변화평직으로 두둑직, 바스켓직 등이 있고, 변화능직으로 신능직, 파능직, 비능직, 산형능직 등이 있으며, 변화수자직으로 변칙수자직, 중수자직, 확수자직, 화강수자직 등이 있다.
상기 이중직은 경사 또는 위사의 어느 한쪽이 2중으로 되어있거나 양쪽이 모두 2중으로 된 직물의 제직방법으로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적인 이중직의 제직방법일 수 있다. 다만, 보다 향상된 쿠션성을 발현하기 위하여 이중직의 겉면과 이면 사이에 압력완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마틸라세(matelasse) 조직, 튜불러 자카드 조직 및 누비 조직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조직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된 직물조직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으며, 제직 시 경위사 밀도의 경우도 목적에 따라 변경될 수 있어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원단은 편성(knitting)된 편물일 수 있다. 상기 편성은 위편성 또는 경편성의 방법에 의할 수 있으며, 상기 위편성과 경편성의 구체적인 방법은 통상적인 위편성 또는 경편성의 편성방법에 의할 수 있음에 따라서 본 발명은 이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를 제1 위사 및 제1 경사로 포함하는 겉면조직; 및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를 제2 위사 및 제2 경사로 포함하는 이면조직;을 포함하는 욕창방지용 이중직 원단으로 구현된다.
먼저 겉면 조직(도 2의 220)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상기 겉면 조직은 제1 경사 및 제1 위사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를 포함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한지복합사는 폴리프로필렌 벌키가공사를 포함하는 심사 및 상기 심사상에 나선형으로 커버링시킨 한지 슬리팅사를 포함하는 복합사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른 종류의 소수성 섬유를 심사로 구비시킨 경우에 비해 높은 소수성 및 건조성을 발현할 수 있고, 벌키가공된 섬유를 심사로 구비시킴으로써 심사에 기공을 발현하여 흡습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통풍성이 좋아져 건조성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부드러운 터치감과 쿠션성이 부여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향상된 원단의 쿠션성을 위하여 상기 제1 위사에 한지중공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지중공사를 통해 구현된 원단은 향상된 경량성, 흡습성, 통풍성을 발현할 수 있으나, 한지중공사만으로는 제직성 및 원단의 기계적 강도를 목적하는 수준으로 발현할 수 없다. 이에 따라 한지중공사는 제1 위사에 한지 복합사와 함께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한지중공사는 한지 슬리팅사가 중공부를 포함하여 나선형으로 권취된 형상의 중공사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폭이 1 ~ 20㎜이고, 평량이 10 ~ 20g/㎡ 인 한지 슬리팅사로 형성된 중공섬유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폭이 5 ~ 10㎜이고, 평량이 12 ~ 16g/㎡ 인 한지슬리팅사로 형성된 중공섬유일 수 있다. 만일 한지 슬리팅사의 폭, 평량을 불만족하는 경우 목적하는 수준의 중공부를 가지는 중공섬유를 제조하기 어려우며, 중공부가 쉽게 붕괴하거나 중공부 형성과정에서 한지슬리팅사가 절사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다. 또한, 적하는 경량성, 흡습성 및 통풍성을 목적하는 수준으로 발현시키기 어려울 수 있다.
상기 제1 위사는 한지복합사와 한지중공사가 1 : 0.7 ~ 1.1 본/인치로 배설되어 겉면조직을 형성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한지복합사와 한지중공사가 1 : 0.9 ~ 1.0 본/인치로 배설될 수 있다. 만일 한지복합사에 대해 한지중공사 0.7본/인치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목적하는 수준의 쿠션성, 경량성, 흡습성, 통풍성, 건조성 등을 구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고, 1.1본/인치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제조되는 원단의 기계적 강도를 현저히 저하시키며, 제직성이 떨어져 생산성이 약화되는 문제가 있고, 원단의 건조성 측면에서 특히 물성 저하가 있을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겉면조직과 대면 또는 압력완화 공간을 형성하여 배치되는 이면조직(도 2의 21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이면조직은 제2 경사 및 제2 위사를 통해 제직되고, 상기 제2 경사 및 제2 위사는 소수성 섬유를 포함한다.
상기 소수성 섬유는 상술한 한지복합사의 심사에 구비되는 소수성 섬유일 수 있어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수성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벌키가공사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높은 흡습성, 빠른 건조성을 동시에 발현할 수 있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벌키가공사는 섬도가 50 ~ 300 데니어 일 수 있으며, 만일 섬도가 50데니어 미만일 경우 목적하는 흡습성, 속건성, 쿠션감 등을 발현하기 어려울 수 있고, 300 데니어를 초과할 경우 제직성이 불량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하기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지만, 하기 실시예가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 1>
심사로 섬도가 200 데니어인 폴리프로필렌 벌키가공사(DTY)의 외주를 폭이 10㎜이고, 평량이 15g/㎡인 한지슬리팅사(세올)로 연사공정을 통하여 커버링시켰고, 이때 심사 100 중량부에 대하여 한지슬리팅사를 45 중량부가 되도록 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한지복합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1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하기 표 1 또는 표 2와 같이 심사 종류, 한지슬리팅사의 폭, 평량 또는 두 원사간 함량비를 변경하여 하기 표 1 또는 표 2와 같은 한지복합사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제조하되, 한지슬리팅사로 커버링시키지 않고, 심사의 종류를 하기 표 2와 같이 변경시켜, 하기 표 2와 같은 심사만으로 원사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복합사 또는 원사를 경사와 위사로 투입, 평직하여 직물을 제조 후 하기의 물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1. 흡습성
이면흡습속도는 KSK 0815, 1, 27, 1B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편의 크기를 15×10㎝ 크기로 재단 후, 이를 반으로 접은 다음 그 말단부를 45° 각도로 절단하여 수중에 침지시킨 후, 이면층을 따라 올라온 수분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이때, 실시예 1을 통해 제직된 직물의 이면흡습속도를 100%로 기준하여 나머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상대적인 이면흡습속도를 표시하였다.
2. 속건성
속건성은 KSK 0815.5.28.1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표준상태에서 시편의 크기를 15×10㎝ 크기로 재단 후, 시편무게와 동일(100중량%)한 양의 물을 침지한 후, 시편이 완전히 건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이때, 실시예 1을 통해 제직된 직물의 건조시간을 100%로 기준하여 나머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상대적인 건조시간을 표시하였다.
3. 제직성
제직성은 원사의 표면에서 한지 슬리팅사가 벗겨지거나 손상, 일방향으로 밀리는지 여부에 대해 제조된 시편을 육안 관찰하였고, 시편에서 한지 슬리팅사의 50% 이상 손상 등이 발생한 경우 0, 40%이상 ~ 50%미만인 경우 1, 30%이상 ~ 40%미만인 경우 2, 20%이상 ~ 30%미만인 경우 3, 10%이상 ~ 20%미만인 경우 4로 10% 미만인 경우 5로 표시하였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심사 재질 PP1) PP PET2) 나일론6 PP PP PP PP
가공유무 벌키
가공
× 벌키
가공
벌키
가공
벌키
가공
벌키
가공
벌키
가공
벌키
가공
섬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한지슬리팅사 폭(㎜) 10 10 10 10 3 6 18 21
평량(g/㎡) 15 15 15 15 22 15 12 9
복합사 심사(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한지슬리팅사
(중량부)
45 45 45 45 45 45 45 45
직물 흡습성(%) 100 87 69 74 108 101 96 92
속건성(%) 100 64 36 41 76 92 103 108
제직성 5 5 5 5 5 4 4 3
1) PP: 폴리프로필렌
2)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비교예1
심사 재질 PP PP PP PP PP PP PP
가공유무 벌키
가공
벌키
가공
벌키
가공
벌키
가공
벌키
가공
벌키
가공
벌키
가공
섬도 200 200 200 200 200 200 200
한지슬리팅사 폭(㎜) 10 10 10 10 10 10 불포함
평량(g/㎡) 15 15 15 15 15 15
복합사 심사(중량부) 100 100 100 100 100 100
한지슬리팅사
(중량부)
26 32 38 48 55 65
직물 흡습성(%) 78 87 88 100 104 110 59
속건성(%) 110 106 105 100 90 79 133
제직성 3 4 4 5 5 5 -
상기 표 1 및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한지슬리팅사로 커버링되지 않은 폴리프로필렌(PP)섬유 만을 사용한 비교예 1의 경우 실시예에 비해 속건성은 좋으나 흡습성은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심사로 벌키사가 아닌 미가공 멸티필라멘트사를 사용한 실시예 2의 경우 실시예 1에 대비하여 흡습성 및 속건성이 동시에 현저히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심사의 재질이 폴리프로필렌인 실시예 1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를 사용한 실시예 3, 나일론6를 사용한 실시예 4에 비해 우수한 흡습성 및 속건성을 발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한지슬리팅사의 폭 및 평량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범위를 벗어나는 실시예 5 및 실시예 8의 경우 실시예 1, 실시예 6 및 실시예 7보다 흡습성, 속건성, 제직성 중 어느 하나 이상의 물성이 저하되고 모든 물성을 동시에 만족시키기 어려웠다.
또한, 심사와 한지슬리팅사의 복합사내 함량과 관련된 실시예 9 내지 14를 통해 한지슬리팅사의 함량이 너무 적은 실시예 9의 경우 흡습성 및 제직성이 현저히 좋지 않았고, 너무 많은 실시예 14의 경우 속건성이 실시예 1에 비해 현저히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10 내지 실시예 13 중에서도 실시예 1 및 실시예 12가 물성적으로 우위에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15>
공지된 방법으로 마틸라세 조직의 하기 표 3과 같은 이중직 직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겉면은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한지복합사를 경사와 위사로 사용하였고, 이면은 섬도가 120데니어인 폴리프로필렌 벌키가공사(DTY)를 경사와 위사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6 ~ 21>
실시예 15와 같이 실시하여 제조하되, 하기 표 3과 같이 겉면 또는 이면의 경사 또는 위사를 달리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이중직 직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표 3의 한지중공사는 폭이 9㎜, 평량이 15g/㎡인 한지슬리팅사를 나사산모양으로 중공부를 가지도록 연사시켜 제조한 원사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5와 같이 실시하여 제조하되, 하기 표 3과 같이 이면의 경사, 위사로 면사를 사용하여 하기 표 3과 같은 이중직 직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15 ~ 20에서 제조된 이중직 원단에 대하여 하기의 물성을 평가 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1. 흡습성
이면흡습속도는 KSK 0815, 1, 27, 1B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시편의 크기를 15×10㎝ 크기로 재단 후, 이를 반으로 접은 다음 그 말단부를 45° 각도로 절단하여 수중에 침지시킨 후, 이면층을 따라 올라온 수분의 길이를 측정하였다. 이때, 실시예 15를 통해 제직된 직물의 이면흡습속도를 100%로 기준하여 나머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상대적인 이면흡습속도를 표시하였다.
2. 속건성
속건성은 KSK 0815.5.28.1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표준상태에서 시편의 크기를 15×10㎝ 크기로 재단 후, 시편무게와 동일(100중량%)한 양의 물을 침지한 후, 시편이 완전히 건조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측정한다. 이때, 실시예 15를 통해 제직된 직물의 건조시간을 100%로 기준하여 나머지 실시예 및 비교예에 대한 상대적인 건조시간을 표시하였다.
3. 소프트성
이중직 직물의 겉면을 전문가 20인이 관능평가하여 직물의 소프트성을 평가하였다. 20인의 평가결과를 평균하여 표에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5의 관능평가 결과를 0으로 놓고, 실시예 15보다 소프트성이 향상될수록 1 ~ 4로 평가했으며, 매우 소프트한 경우 5로 평가했다.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실시예18 실시예19 실시예20 실시예21 비교예2
겉면 제1위사 실시예1 실시예1 실시예1 실시예1 실시예1 실시예1 실시예1 실시예1
- 한지중공사/0.91) 한지중공사/0.6 한지중공사/0.8 한지중공사/0.1.0 한지중공사/0.1.2 한지중공사/0.9 한지중공사/0.9
제1경사 실시예1 실시예1 실시예1 실시예1 실시예1 실시예1 실시예1 실시예1
이면 제2위사 PP PP PP PP PP PP PET 면사
제2경사 PP PP PP PP PP PP PET 면사
흡습성(%) 100 116 106 115 117 120 118 134
속건성(%) 100 107 104 107 106 102 73 45
소프트성 0 5 2 4 5 5 5 5
1) 제1위사로 실시예1과 한지중공사의 배설비율이 1: 0.9 본/인치임을 의미임.
상기 표 3을 통해 확인할 수 있듯이,
이면에 면사를 포함하는 이중직 직물인 비교예2는 흡습성은 현저히 높아졌으나 속건성이 실시예에 비해 현저히 저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15의 경우 한지중공사를 포함하는 실시예 16 내지 실시예 20에 비해 흡습성, 속건성 및 소프트성이 모두 좋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한지중공사를 포함하는 경우에도 배설폭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범위를 만족하는 실시예 16, 실시예 18 및 실시예 19가 흡습성 및 속건성, 소프트성에 있어서 모든 물성을 동시에 우수한 수준으로 만족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Claims (1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소수성 섬유를 포함하는 심사와 상기 심사상에 나선형으로 커버링시킨 한지 슬리팅사를 포함하는 커버링사를 포함하는 한지 복합사 및 한지 중공사를 제1 위사로 포함하고, 상기 한지 복합사를 제1 경사로 포함하는 겉면조직; 및
    소수성 섬유를 제2 위사 및 제2 경사로 포함하는 이면조직;을 포함하는 욕창방지용 이중직 원단.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직 원단은 이중직의 겉면과 이면 사이에 압력완화 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마틸라세(matelasse) 조직, 튜불러 자카드 조직 및 누비 조직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욕창방지용 이중직 원단.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중공사는 폭이 1.5 ~ 15.0㎜이고, 평량이 10 ~ 20g/㎡ 인 한지 슬리팅사가 중공부를 포함하여 나선형으로 권취된 형상의 중공사인 욕창방지용 이중직 원단.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지중공사는 폭이 5.0 ~ 10.0㎜이고, 평량이 12 ~ 16g/㎡ 인 한지 슬리팅사가 중공부를 포함하여 나선형으로 권취된 형상의 중공사인 욕창방지용 이중직 원단.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위사는 한지복합사와 한지중공사가 1 : 0.7 ~ 1.1 본/인치로 배설되는 욕창방지용 이중직 원단.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수성 섬유는 폴리프로필렌 벌키가공사인 욕창방지용 이중직 원단.
KR1020150190184A 2015-12-30 2015-12-30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욕창방지 원단 KR101838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184A KR101838945B1 (ko) 2015-12-30 2015-12-30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욕창방지 원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184A KR101838945B1 (ko) 2015-12-30 2015-12-30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욕창방지 원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512A KR20170079512A (ko) 2017-07-10
KR101838945B1 true KR101838945B1 (ko) 2018-03-15

Family

ID=59355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90184A KR101838945B1 (ko) 2015-12-30 2015-12-30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욕창방지 원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9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486B1 (ko) * 2006-05-24 2007-06-21 정명봉 땀의 배출 및 흡수가 용이한 기능성 섬유구조
KR101336632B1 (ko) * 2012-10-25 2013-12-04 (주)인터마루인더스트리 인장강도가 우수한 한지사/합성섬유 커버링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31486B1 (ko) * 2006-05-24 2007-06-21 정명봉 땀의 배출 및 흡수가 용이한 기능성 섬유구조
KR101336632B1 (ko) * 2012-10-25 2013-12-04 (주)인터마루인더스트리 인장강도가 우수한 한지사/합성섬유 커버링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512A (ko) 2017-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6641B1 (en) Looped fabric comprising bamboo loops and terry made there from
JPH09137380A (ja) 多層構造編地
EP1925702B1 (en) Process for producing fleece having front and back faces made of different fibers
CA2522075A1 (en) Woven or knitted fabric containing two different yarns and clothing comprising the same
KR20060089225A (ko) 신축성 복합 포백 및 그 의류제품
KR20040004610A (ko) 보온 편지
JP3197487B2 (ja) シューズ
CN108544609B (zh) 一种混合编织竹席的加工工艺
CN104305786A (zh) 一种超高分子量聚乙烯纤维(uhmwpe)凉席及其制造方法
WO2017094757A1 (ja) 衣類
KR101838945B1 (ko) 욕창방지용 한지 복합사 및 이를 포함하는 욕창방지 원단
JP2010095813A (ja) 多層構造織編物および繊維製品
KR101427012B1 (ko) 와이핑클로스성이 우수한 자카드 타월 직물
CN212603800U (zh) 一种高弹性耐磨面料
JP2004190191A (ja) 放熱性立体編物
KR100614623B1 (ko) 외관 및 촉감이 우수한 스웨이드조 경편지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09326B1 (ko) 원사,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단 및 제품
KR101959472B1 (ko) 세척 패드
KR102350246B1 (ko) 유기농 목화사를 이용한 이중겹 친환경 타올
JP4092615B2 (ja) 伸縮性起毛布帛及びその製造方法
CN219360547U (zh) 新型吸湿排汗牛津珠地面料
JP2007321278A (ja) 織編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および繊維製品
CN211620737U (zh) 一种除螨杀菌家纺面料
JP3260327B2 (ja) 起毛布帛
JP5107067B2 (ja) 快適性編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