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907B1 - Ins 정보와 좌표정보를 활용한 통합 수치지도 자동 생성시스템 - Google Patents

Ins 정보와 좌표정보를 활용한 통합 수치지도 자동 생성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907B1
KR101838907B1 KR1020170169377A KR20170169377A KR101838907B1 KR 101838907 B1 KR101838907 B1 KR 101838907B1 KR 1020170169377 A KR1020170169377 A KR 1020170169377A KR 20170169377 A KR20170169377 A KR 20170169377A KR 101838907 B1 KR101838907 B1 KR 101838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portions
pager
digital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9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태
서해수
추기환
이성용
강신민
Original Assignee
(주)신한항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한항업 filed Critical (주)신한항업
Priority to KR10201701693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9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9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Remote Sensing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NS 정보와 좌표정보를 활용한 통합 수치지도 자동 생성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항공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항공영상이미지저장장치(A),
현지조사지역에서 수집한 현지조사자료와 현지조사자료를 수집한 지역의 좌표정보를 INS(Information Network System)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현지조사용단말기(C),
영상도화처리장치(80) 및 수치지도제작장치(180)에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기(10)와:
제1디스플레이(20)의 하측에 설치되는 거치대(21)를 갖춘 제1디스플레이(20)와:
제1디스플레이(20)의 후측에 구비되는 연결체(31)와; 연결체(3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연결바(32) 및; 연결체(3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연결바(32)와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2연결바(33)를 갖춘 연결기구(30)와:
제1연결바(32)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디스플레이(40)와:
제2연결바(33)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디스플레이(50)와:
전방 및 하방으로 개구된 수용부(61a,71a)와, 지지체(61,71))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되 좌우 및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수용부(61a,71a)와 연통되는 삽입부(61b,71b)를 구비한 지지체(61,71)와; 상하로 개구된 체결홀(62a,72a)를 가지고서 지지체(61,71)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지지체(61,71)의 삽입부(61b,71b)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연결판(62,72)을 갖추고서, 제2디스플레이(40) 및 제3디스플레이(50)의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2지지기구(60,70)와:
제1,2지지기구(60,70)의 지지체(61,71)의 전면 상부에 각각 설치되되,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고서 설치되는 제1,2지지기구표식체(120,130)와:
항공영상이미지저장장치(A)에 저장된 항공영상이미지를 제2,3디스플레이(40,50)에 각각 출력하는 제1출력모듈(81)과; 제2,3디스플레이(40,50)에 각각 출력된 제1,2항공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도화모듈(82)과; 제1도화이미지호출기(90) 또는 제2도화이미지호출기(100)로부터 호출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수신모듈(83)과; 제1도화이미지호출기(90)로부터의 호출신호를 수신하면 제2디스플레이(40)에 출력된 제1도화이미지가 제1디스플레이(20)에 출력되도록 하고, 제2도화이미지호출기(100)로부터의 호출신호를 수신하면 제3디스플레이(50)에 출력된 제2도화이미지가 제1디스플레이(20)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2출력모듈(84)과; 제1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제1,2도화이미지를 병합하고 제1,2도화이미지의 연결부분을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85)와; 영상처리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처리이미지DB(86) 및; 영상처리이미지DB(86)의 다수의 도화이미지를 통합하여 통합도화이미지를 제작하는 통합도화이미지제작모듈(87)을 갖춘 영상도화처리장치(80)와:
상방으로 개구된 호출기수용부(91a1,101a1)를 구비하여 제1,2지지기구(60,70)의 수용부(61a,7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바디(91a,101a)와, 바디(91a,101a)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측이 제1,2지지기구(60,70)의 수용부(61a,71a)의 상면에 맞닿는 지지부(91b,101b)와, 상하로 개구된 체결홀(91c1,101c1)을 가지고서 지지부(91b,101b)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제1,2지지기구(60,70)의 삽입부(61b,71b)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판(91c,101c) 및, 바디(91a,101a)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91d,101d)를 구비하여, 제1,2지지기구(60,70)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호출기본체(91,101)와; 호출버튼(92a,102a)을 구비하여 바디(91a,101a)의 호출기수용부(91a1,101a1)에 각각 설치되되, 호출버튼(92a,102a)의 상측이 지지부(91b,101b)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호출버튼(92a,102a)의 터치에 따라 호출신호를 무선 출력하는 호출기구(92,102)로 구성된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와: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호출기본체(91,101)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체결부(161,171)와, 체결부(161,171)의 하측에 구비되는 고정부(162,172)를 갖추고서,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에 각각 설치되는 제1,2고정기구(160,170)와: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호출버튼(92a,102a)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되, 제1,2지지기구표식체(120,130)와 같은 색상을 가지고서 설치되는 제1,2호출기표식체(140,150)와:
헤드부(111)와; 헤드부(11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제1,2지지기구(60,70)의 연결판(62,72)의 체결홀(62a,72a)과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호출기본체(91,101)의 연결판(91c,101c)의 체결홀(91c1,101c1)을 각각 체결하고, 헤드부(111)의 하면이 제1디스플레이(20)의 거치대(21)의 하면과 좌우로 동일선상을 이룰 시 볼트부(112)의 상단이 제1,2지지기구(60,70)의 연결판(62,72)의 체결홀(62a,72a)에 각각 위치하는 볼트부(112)를 갖춘 볼팅부재(110) 및:
영상도화처리장치(80)로부터 통합도화이미지를 수신하고, 현지조사용단말기(C)로부터 현지조사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수집한 지역의 좌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181)과; 상기 현지조사자료 및 상기 좌표정보를 이용해 통합도화이지의 정위치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정위치편집모듈(182) 및; 정위치 편집된 통합도화이미지의 구조화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구조화편집모듈(183)을 구비한 수치지도제작장치(180)를 갖춘 수치지도생성기(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INS 정보와 좌표정보를 활용한 통합 수치지도 자동 생성시스템{System Making Digital Map}
본 발명은 INS 정보와 좌표정보를 활용한 통합 수치지도 자동 생성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화기(圖化機)라 함은 한 쌍의 실체사진(實體寫眞)에서 피사체의 평면형과 높이를 측정하여 지도를 그리는 기계를 말하며, 도화기는 크게 아날로그 도화기와 해석도화기 및 수치 도화기로 구분된다.
상기 도화기를 이용한 도화방법을 간략하게 살펴보면, 도화방법은 크게 항공사진을 이용한 다양한 도화 방법으로서 수정도화방법과 해석도화방법 및 수치도화방법으로 구분된다.
먼저, 상기 수정도화방법은 기계식 사진측량의 대표적인 방법으로서, 항공사진과 도화 원도를 통해 변화된 지역에 대해서 부분도화를 수행하고 수치화 하여 기존 수치지도와 병합함으로써 수치지도를 도화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상기 해석도화방법은 도화기에 연결된 전산기에 기존 수치지도를 직접 화면상에서 확인하며 작업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항공사진과의 비교를 통한 수정요소의 확인이 용이하고, 갱신내용에 대한 수정도화파일을 직접 제작 할 수 있으며, 해석사진측량에 의해 수치지도를 갱신하는 경우, 다수의 항공사진을 동시에 지상좌표계로 변환하여 대규모 지역에 대한 도화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상기 수치도화방법은 해석도화방법과 달기 이미지파일을 이용하여 도화작업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수치도화방법으로 수치지도를 갱신하는 경우, 항공사진의 영상화과정이 필요하며, 최초항공사진을 디지털카메라로 촬영하거나, 항공사진양화필름을 고해상도 스캐너를 통해 스캐닝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한편, 종래의 수치 도화기는 도화 및 수치지도제작을 위한 다양한 모듈을 갖추고서, 수치도화 시스템에 의해 도화 및 수치지도제작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도화이미지를 통해 수치지도 제작시 실시간 현지조사자료를 통해 보다 정확한 수치지도를 제작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수치 도화기는 디스플레이, 핸드휠 및 풋디스크 등을 구비하여 도화작업을 수행하는 데, 종래에는 항공이미지를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출력하여 도화한 후, 이를 또 다른 디스플레이에서 편리하게 출력하여 도화 및 수치지도 작업을 수행하는 기술이 없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95584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실시간 현지조사자료를 통해 수치지도를 보다 정확하게 제작하고, 수치지도 제작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수치지도 자동 생성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항공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항공영상이미지저장장치(A),
현지조사지역에서 수집한 현지조사자료와 현지조사자료를 수집한 지역의 좌표정보를 INS(Information Network System)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현지조사용단말기(C),
영상도화처리장치(80) 및 수치지도제작장치(180)에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기(10)와:
제1디스플레이(20)의 하측에 설치되는 거치대(21)를 갖춘 제1디스플레이(20)와:
제1디스플레이(20)의 후측에 구비되는 연결체(31)와; 연결체(3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연결바(32) 및; 연결체(3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연결바(32)와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2연결바(33)를 갖춘 연결기구(30)와:
제1연결바(32)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디스플레이(40)와:
제2연결바(33)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디스플레이(50)와:
전방 및 하방으로 개구된 수용부(61a,71a)와, 지지체(61,71))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되 좌우 및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수용부(61a,71a)와 연통되는 삽입부(61b,71b)를 구비한 지지체(61,71)와; 상하로 개구된 체결홀(62a,72a)를 가지고서 지지체(61,71)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지지체(61,71)의 삽입부(61b,71b)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연결판(62,72)을 갖추고서, 제2디스플레이(40) 및 제3디스플레이(50)의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2지지기구(60,70)와:
제1,2지지기구(60,70)의 지지체(61,71)의 전면 상부에 각각 설치되되,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고서 설치되는 제1,2지지기구표식체(120,130)와:
항공영상이미지저장장치(A)에 저장된 항공영상이미지를 제2,3디스플레이(40,50)에 각각 출력하는 제1출력모듈(81)과; 제2,3디스플레이(40,50)에 각각 출력된 제1,2항공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도화모듈(82)과; 제1도화이미지호출기(90) 또는 제2도화이미지호출기(100)로부터 호출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수신모듈(83)과; 제1도화이미지호출기(90)로부터의 호출신호를 수신하면 제2디스플레이(40)에 출력된 제1도화이미지가 제1디스플레이(20)에 출력되도록 하고, 제2도화이미지호출기(100)로부터의 호출신호를 수신하면 제3디스플레이(50)에 출력된 제2도화이미지가 제1디스플레이(20)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2출력모듈(84)과; 제1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제1,2도화이미지를 병합하고 제1,2도화이미지의 연결부분을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85)와; 영상처리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처리이미지DB(86) 및; 영상처리이미지DB(86)의 다수의 도화이미지를 통합하여 통합도화이미지를 제작하는 통합도화이미지제작모듈(87)을 갖춘 영상도화처리장치(80)와:
상방으로 개구된 호출기수용부(91a1,101a1)를 구비하여 제1,2지지기구(60,70)의 수용부(61a,7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바디(91a,101a)와, 바디(91a,101a)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측이 제1,2지지기구(60,70)의 수용부(61a,71a)의 상면에 맞닿는 지지부(91b,101b)와, 상하로 개구된 체결홀(91c1,101c1)을 가지고서 지지부(91b,101b)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제1,2지지기구(60,70)의 삽입부(61b,71b)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판(91c,101c) 및, 바디(91a,101a)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91d,101d)를 구비하여, 제1,2지지기구(60,70)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호출기본체(91,101)와; 호출버튼(92a,102a)을 구비하여 바디(91a,101a)의 호출기수용부(91a1,101a1)에 각각 설치되되, 호출버튼(92a,102a)의 상측이 지지부(91b,101b)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호출버튼(92a,102a)의 터치에 따라 호출신호를 무선 출력하는 호출기구(92,102)로 구성된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와: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호출기본체(91,101)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체결부(161,171)와, 체결부(161,171)의 하측에 구비되는 고정부(162,172)를 갖추고서,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에 각각 설치되는 제1,2고정기구(160,170)와: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호출버튼(92a,102a)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되, 제1,2지지기구표식체(120,130)와 같은 색상을 가지고서 설치되는 제1,2호출기표식체(140,150)와:
헤드부(111)와; 헤드부(11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제1,2지지기구(60,70)의 연결판(62,72)의 체결홀(62a,72a)과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호출기본체(91,101)의 연결판(91c,101c)의 체결홀(91c1,101c1)을 각각 체결하고, 헤드부(111)의 하면이 제1디스플레이(20)의 거치대(21)의 하면과 좌우로 동일선상을 이룰 시 볼트부(112)의 상단이 제1,2지지기구(60,70)의 연결판(62,72)의 체결홀(62a,72a)에 각각 위치하는 볼트부(112)를 갖춘 볼팅부재(110) 및:
영상도화처리장치(80)로부터 통합도화이미지를 수신하고, 현지조사용단말기(C)로부터 현지조사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수집한 지역의 좌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181)과; 상기 현지조사자료 및 상기 좌표정보를 이용해 통합도화이지의 정위치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정위치편집모듈(182) 및; 정위치 편집된 통합도화이미지의 구조화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구조화편집모듈(183)을 구비한 수치지도제작장치(180)를 갖춘 수치지도생성기(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현지조사자료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보다 정확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3디스플레이(20,40,50)를 구비하여, 도화이미지를 제2,3디스플레이(40,50)에서 각각 도화하고, 제1디스플레이(20)에서 제2,3디스플레이(40,50) 도화이미지를 영상처리하여, 다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편리하게 수치지도 제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가능한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호출버튼(92a,102a)을 통해, 도화 작업 중 제2,3디스플레이(40,50)에 출력된 도화이미지가 제1디스플레이(20)에 출력되도록 하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지지기구표식체(120,130) 및 제1,2호출기표식체(140,150)을 통해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가 제2,3디스플레이(40,50) 중 어느 디스플레이에 대응되는 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작업자가 수치지도 제작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바퀴(91d,101d)가 도화 작업 시에는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이동성을 보장하고,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가 제1,2지지기구(60,70)에 설치될 시에는, 제2,3디스플레이(40,5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고정기구(160,170)을 통해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어,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위치고정후 수치지도 제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팅부재(110)를 통해,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가 제1,2지지기구(60,70)에서 분리될 시에는 제2,3디스플레이(40,5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하고,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가 제1,2지지기구(60,70)에 결합될 시에는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가 제1,2지지기구(60,7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자동 생성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수치지도생성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2지지기구,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 제1,2지지기구표식체, 제1,2호출기표식체 및 볼팅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2지지기구,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 및 볼팅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지지기구, 제1도화이미지호출기, 제1고정기구 및 볼팅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도화이미지호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 및 제1,2고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2,3디스플레이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단면도이고,
도 9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자동 생성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자동 생성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시스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수치지도생성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2지지기구,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 제1,2지지기구표식체, 제1,2호출기표식체 및 볼팅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2지지기구,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 및 볼팅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지지기구, 제1도화이미지호출기, 제1고정기구 및 볼팅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도화이미지호출기를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 및 제1,2고정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1,2,3디스플레이의 연결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평단면도로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자동 생성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자동 생성시스템은 항공영상이미지저장장치(A)와, 현지조사용단말기(C) 및, 수치지도생성기(B)를 포함한다.
상기 항공영상이미지저장장치(A)는 촬영고도 및 촬영위치데이터가 링크된 항공영상이미지를 저장한다. 이외에도 본 실시예의 항공영상이미지저장장치(A)는 항공영상이미지가 도화이미지의 베이스가 되도록 다양한 영상처리를 수행한다.
상기 현지조사용단말기(C)는 현지조사지역에서 수집한 현지조사자료와 현지조사자료를 수집한 지역의 좌표정보를 INS(Information Network System) 통신망을 통해 송출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INS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정보(예를 들어 현지조사자료)를 INS 정보라고 한다.
상기 수치지도생성기(B)는 입력기(10)와, 제1디스플레이(20)와, 연결기구(30)와, 제2디스플레이(40)와, 제3디스플레이(50)와, 제1,2지지기구(60,70)와, 제1,2지지기구표식체(120,130)와, 영상도화처리장치(80)와,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와, 제1,2고정기구(160,170)와, 제1,2호출기표식체(140,150)와, 볼팅부재(110) 및, 수치지도제작장치(180)를 갖춘다.
상기 입력기(10)는 영상도화처리장치(80) 및 수치지도제작장치(180)에 신호를 입력한다. 입력기(10)로는 키보드, 핸드휠 및 풋디스크 등이 사용된다.
상기 제1디스플레이(20)는 제1디스플레이(20)의 하측에 설치되는 거치대(21)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제1디스플레이(20)는 영상도화처리장치(80)와 통신한다.
상기 연결기구(30)는 제1디스플레이(20)의 후측에 구비되는 연결체(31)와, 연결체(3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연결바(32) 및, 연결체(3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연결바(32)와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2연결바(33)를 갖춘다. 본 실시예에서 제1연결바(32)는 연결체(31)의 좌방에 구비되고, 제2연결바(33)는 연결체(31)의 우방에 구비된다.
상기 제2디스플레이(40)는 제1연결바(32)의 좌측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3디스플레이(50)는 제2연결바(33)의 우측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1,2지지기구(60,70)는 지지체(61,71)와, 연결판(62,72)을 갖추고서, 제2디스플레이(40) 및 제3디스플레이(50)의 하측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지지체(61,71)는 전방 및 하방으로 개구된 수용부(61a,71a)와, 지지체(61,71))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되 좌우 및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수용부(61a,71a)와 연통되는 삽입부(61b,71b)를 각각 구비한다.
상기 제1,2지지기구(60,70)의 연결판(62,72)은 상하로 개구된 체결홀(62a,72a)를 가지고서 지지체(61,71)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지지체(61,71)의 삽입부(61b,71b)보다 하방에 각각 위치한다.
상기 제1,2지지기구표식체(120,130)는 제1,2지지기구(60,70)의 지지체(61,71)의 전면 상부에 각각 설치되되,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고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지지기구표식체(120,130)는 서로 다른 모양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영상도화처리장치(80)는 제1출력모듈(81)과, 도화모듈(82)과, 수신모듈(83)과, 제2출력모듈(84)과, 영상처리모듈(85)과, 영상처리이미지DB(86) 및, 통합도화이미지제작모듈(87)을 갖춘다.
상기 제1출력모듈(81)은 항공영상이미지저장장치(A)에 저장된 항공영상이미지를 제2,3디스플레이(40,50)에 각각 출력한다. 이때, 제2,3디스플레이(40,50)에 출력되는 제1,2항공영상이미지는 서로 이어지는 항공영상이미지이다. 예를 들어 제1,2항공영상이미지는 촬영시점이 연결되는 항공영상이미지일 수 있다.
상기 도화모듈(82)은 제2,3디스플레이(40,50)에 각각 출력된 제1,2항공영상이미지를 도화한다.
상기 영상도화처리장치(80)의 수신모듈(83)은 제1도화이미지호출기(90) 또는 제2도화이미지호출기(100)로부터 호출신호를 무선 수신한다.
상기 제2출력모듈(84)은 제1도화이미지호출기(90)로부터의 호출신호를 수신하면 제2디스플레이(40)에 출력된 제1도화이미지가 제1디스플레이(20)에 출력되도록 하고, 제2도화이미지호출기(100)로부터의 호출신호를 수신하면 제3디스플레이(50)에 출력된 제2도화이미지가 제1디스플레이(20)에 출력되도록 한다.
상기 영상처리모듈(85)은 제1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제1,2도화이미지를 병합하고 제1,2도화이미지의 연결부분을 영상처리한다. 이때 상기 병합된 도화이미지는 누락된 실제 지형이 추가되거나, 제1,2도화이미지의 연결부분을 자연스럽게 잇는 등의 영상처리가 이루어진다.
상기 영상처리이미지DB(86)는 영상처리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동성을 갖추면서 수치지도생성기(B)와 무선통신하는 별도의 이미지저장입력기(미도시)를 구비하여, 제1,2도화이미지가 영상처리되면 상기 이미지저장입력기를 터치하여 영상처리된 이미지를 영상처리이미지DB(86)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통합도화이미지제작모듈(87)은 영상처리이미지DB(86)의 다수의 도화이미지를 통합하여 통합도화이미지를 제작한다.
상기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는 호출기본체(91,101)와, 호출기구(92,102)를 갖추고서, 제1,2지지기구(60,70)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호출기본체(91,101)는 바디(91a,101a)와, 지지부(91b,101b)와, 연결판(91c,101c) 및, 바퀴(91d,101d)를 갖추고서, 제1,2지지기구(60,70)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바디(91a,101a)는 상방으로 개구된 호출기수용부(91a1,101a1)를 구비하여, 제1,2지지기구(60,70)의 수용부(61a,7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지지부(91b,101b)는 바디(91a,101a)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측이 제1,2지지기구(60,70)의 수용부(61a,71a)의 상면에 맞닿는다.
상기 호출기본체(91,101)의 연결판(91c,101c)은 상하로 개구된 체결홀(91c1,101c1)을 가지고서 지지부(91b,101b)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제1,2지지기구(60,70)의 삽입부(61b,71b)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바퀴(91d,101d)는 바디(91a,101a)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호출기구(92,102)는 호출버튼(92a,102a)을 구비하여 바디(91a,101a)의 호출기수용부(91a1,101a1)에 각각 설치되되, 호출버튼(92a,102a)의 상측이 지지부(91b,101b)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호출버튼(92a,102a)의 터치에 따라 호출신호를 무선 출력한다.
상기 제1,2고정기구(160,170)는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호출기본체(91,101)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체결부(161,171)와, 체결부(161,171)의 하측에 구비되는 고정부(162,172)를 갖추고서,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에 각각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고정부(162,172)의 하면에 고무패드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2고정기구(160,170)는 제1,2지지기구(60,70)에서 분리된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이동성이 제한되도록 한다.
상기 제1,2호출기표식체(140,150)는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호출버튼(92a,102a)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되, 제1,2지지기구표식체(120,130)와 같은 색상을 가지고서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2호출기표식체(140,150)는 제1,2지지기구표식체(120,130)와 각각 같은 모양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볼팅부재(110)는 헤드부(111)와, 볼트부(112)를 갖춘다.
상기 헤드부(111)는 볼트부(112)의 하측에 구비되고, 볼트부(112)보다 직경이 크다.
상기 볼트부(112)는 헤드부(11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제1,2지지기구(60,70)의 연결판(62,72)의 체결홀(62a,72a)과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호출기본체(91,101)의 연결판(91c,101c)의 체결홀(91c1,101c1)을 각각 체결하고, 헤드부(111)의 하면이 제1디스플레이(20)의 거치대(21)의 하면과 좌우로 동일선상을 이룰 시 볼트부(112)의 상단이 제1,2지지기구(60,70)의 연결판(62,72)의 체결홀(62a,72a)에 각각 위치한다.
상기 수치지도제작장치(180)는 수신모듈(181)과, 정위치편집모듈(182)과, 구조화편집모듈(183) 및, GIS정보링크모듈(184)을 갖춘다.
상기 수치지도제작장치(180)의 수신모듈(181)은 영상도화처리장치(80)로부터 통합도화이미지를 수신하고, 현지조사용단말기(C)로부터 현지조사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수집한 지역의 좌표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정위치편집모듈(182)은 상기 현지조사자료 및 상기 좌표정보를 이용해 통합도화이지의 정위치편집 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구조화편집모듈(183)은 정위치 편집된 통합도화이미지의 구조화 편집 작업을 수행하여, 정위치 편집된 지형, 지물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한다.
상기 GIS정보링크모듈(184)은 통합도화이미지에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정보를 링크하여, 수치지도가 제작되도록 한다.
도 9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자동 생성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9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자동 생성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치지도 제작 작업을 수행하기 전에 작업자는 제2디스플레이(40) 및 제3디스플레이(50)의 좌우 위치를 조정한다. 이때 제1,2지지기구(60,70)에 설치된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바퀴(91d,101d)에 의해 제2디스플레이(40) 및 제3디스플레이(50)의 좌우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여기서, 작업자는 제2디스플레이(40) 및 제3디스플레이(50)의 위치가 조정되면, 도 9와 같이 볼팅부재(110)를 하방으로 이동시킨 후,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를 제1,2지지기구(60,70)로부터 분리한다. 그러면, 볼팅부재(110)가 바닥에 닿으면서 제2디스플레이(40) 및 제3디스플레이(50)가 보다 안정적으로 배치되고,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는 이동성을 갖춘다.
한편, 작업자는 제2디스플레이(40) 및 제3디스플레이(50)에 항공영상이미지를 출력하여, 입력기(10)를 통해 제1,2도화이미지를 제2디스플레이(40) 및 제3디스플레이(50) 상에서 도 10 및 도 11과 같이 각각 도화한다. 여기서 제1,2도화이미지는 정사영상처리 등의 영상처리가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후, 작업자는 제1,2지지기구(60,70)로부터 분리된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호출버튼(92a,102a)을 도 12와 같이 터치하여, 제1,2도화이미지가 도 13과 같이 제1디스플레이(20) 상에 출력한다. 이때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는 바퀴(91d,101d)에 의해 이동이 자유로워 작업자가 작업하기 편리한 위치에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를 위치시킨 후 도화이미지 호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작업자는 작업에 집중하다 보면, 제1도화이미지호출기(90)와 제2도화이미지호출기(100)의 위치가 뒤섞일 수 있다. 이때 작업자는 도 14(a) 및 도 14(b)와 같이 제1,2지지기구표식체(120,130)와 제1,2호출기표식체(140,150)의 색깔을 각각 비교해, 작동하고자 하는 제1도화이미지호출기(90) 또는 제2도화이미지호출기(100)를 쉽게 찾을 수 있다.
한편, 작업자는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위치를 고정시키고자 하면, 도 15와 같은 상태에서 제1,2고정기구(160,170)를 도 7과 같이 하방으로 이동시켜 제1,2고정기구(160,170)의 하측이 바닥에 닿게 함으로써,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도 16과 같이 제1,2도화이미지를 병합 한 후, 제1,2도화이미지간의 연결부분을 도 17과 같이 영상처리하여, 하나의 통합이미지를 제작한다. 이때 영상처리 작업이 완료되면, 작업자는 별도의 이미지저장입력기(미도시)를 터치하여 영상처리 이미지를 영상처리이미지DB(86)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수치지도제작장치(180)는 영상도화처리장치(80)로부터 통합도화이미지를 수신하고, 현지조사용단말기(C)로부터 현지조사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수집한 지역의 좌표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작업자는 수치지도제작장치(180)를 통해 통합도화이미지의 정위치 편집 및 구조화 편집 작업을 수행하고, 통합이미지에 GIS정보를 링크하여, 수치지도가 생성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현지조사자료를 실시간으로 수신하여, 보다 정확한 수치지도를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3디스플레이(20,40,50)를 구비하여, 도화이미지를 제2,3디스플레이(40,50)에서 각각 도화하고, 제1디스플레이(20)에서 제2,3디스플레이(40,50) 도화이미지를 영상처리하여, 다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편리하게 수치지도 제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가능한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호출버튼(92a,102a)을 통해, 도화 작업 중 제2,3디스플레이(40,50)에 출력된 도화이미지가 제1디스플레이(20)에 출력되도록 하는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지지기구표식체(120,130) 및 제1,2호출기표식체(140,150)을 통해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가 제2,3디스플레이(40,50) 중 어느 디스플레이에 대응되는 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어, 작업자가 수치지도 제작 작업을 편리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바퀴(91d,101d)가 도화 작업 시에는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이동성을 보장하고,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가 제1,2지지기구(60,70)에 설치될 시에는, 제2,3디스플레이(40,50)의 이동성을 보장하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2고정기구(160,170)을 통해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어,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위치고정후 수치지도 제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볼팅부재(110)를 통해,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가 제1,2지지기구(60,70)에서 분리될 시에는 제2,3디스플레이(40,5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하고,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가 제1,2지지기구(60,70)에 결합될 시에는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가 제1,2지지기구(60,70)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A; 항공영상이미지저장장치 B; 수치지도생성기
10; 입력기 20; 제1디스플레이
30; 연결기구 40; 제2디스플레이
50; 제3디스플레이 60,70; 제1,2지지기구
80; 영상도화처리장치 90,100;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
110; 볼팅부재 120, 130; 제1,2지지기구표식체
140,150; 제1,2호출기표식체 160,170; 제1,2고정기구
180; 수치지도제작장치 C; 현지조사용단말기

Claims (1)

  1. 항공영상이미지를 저장하는 항공영상이미지저장장치(A),
    현지조사지역에서 수집한 현지조사자료와 현지조사자료를 수집한 지역의 좌표정보를 INS(Information Network System) 통신망을 통해 송출하는 현지조사용단말기(C),
    영상도화처리장치(80) 및 수치지도제작장치(180)에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기(10)와:
    제1디스플레이(20)의 하측에 설치되는 거치대(21)를 갖춘 제1디스플레이(20)와:
    제1디스플레이(20)의 후측에 구비되는 연결체(31)와; 연결체(3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제1연결바(32) 및; 연결체(31)에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삽입되고 제1연결바(32)와 대향되게 구비되는 제2연결바(33)를 갖춘 연결기구(30)와:
    제1연결바(32)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디스플레이(40)와:
    제2연결바(33)에 전후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3디스플레이(50)와:
    전방 및 하방으로 개구된 수용부(61a,71a)와, 지지체(61,71))의 좌우측에 각각 형성되되 좌우 및 전방으로 개구되게 형성되어 수용부(61a,71a)와 연통되는 삽입부(61b,71b)를 구비한 지지체(61,71)와; 상하로 개구된 체결홀(62a,72a)를 가지고서 지지체(61,71)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지지체(61,71)의 삽입부(61b,71b)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연결판(62,72)을 갖추고서, 제2디스플레이(40) 및 제3디스플레이(50)의 하측에 각각 구비되는 제1,2지지기구(60,70)와:
    제1,2지지기구(60,70)의 지지체(61,71)의 전면 상부에 각각 설치되되,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고서 설치되는 제1,2지지기구표식체(120,130)와:
    항공영상이미지저장장치(A)에 저장된 항공영상이미지를 제2,3디스플레이(40,50)에 각각 출력하는 제1출력모듈(81)과; 제2,3디스플레이(40,50)에 각각 출력된 제1,2항공영상이미지를 도화하는 도화모듈(82)과; 제1도화이미지호출기(90) 또는 제2도화이미지호출기(100)로부터 호출신호를 무선 수신하는 수신모듈(83)과; 제1도화이미지호출기(90)로부터의 호출신호를 수신하면 제2디스플레이(40)에 출력된 제1도화이미지가 제1디스플레이(20)에 출력되도록 하고, 제2도화이미지호출기(100)로부터의 호출신호를 수신하면 제3디스플레이(50)에 출력된 제2도화이미지가 제1디스플레이(20)에 출력되도록 하는 제2출력모듈(84)과; 제1디스플레이(20)에 출력된 제1,2도화이미지를 병합하고 제1,2도화이미지의 연결부분을 영상처리하는 영상처리모듈(85)와; 영상처리된 도화이미지를 저장하는 영상처리이미지DB(86) 및; 영상처리이미지DB(86)의 다수의 도화이미지를 통합하여 통합도화이미지를 제작하는 통합도화이미지제작모듈(87)을 갖춘 영상도화처리장치(80)와:
    상방으로 개구된 호출기수용부(91a1,101a1)를 구비하여 제1,2지지기구(60,70)의 수용부(61a,71a)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바디(91a,101a)와, 바디(91a,101a)의 상부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상측이 제1,2지지기구(60,70)의 수용부(61a,71a)의 상면에 맞닿는 지지부(91b,101b)와, 상하로 개구된 체결홀(91c1,101c1)을 가지고서 지지부(91b,101b)의 좌우측에 각각 구비되고 제1,2지지기구(60,70)의 삽입부(61b,71b)에 착탈가능하게 삽입되는 연결판(91c,101c) 및, 바디(91a,101a)의 하측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바퀴(91d,101d)를 구비하여, 제1,2지지기구(60,70)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호출기본체(91,101)와; 호출버튼(92a,102a)을 구비하여 바디(91a,101a)의 호출기수용부(91a1,101a1)에 각각 설치되되, 호출버튼(92a,102a)의 상측이 지지부(91b,101b)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설치되어, 호출버튼(92a,102a)의 터치에 따라 호출신호를 무선 출력하는 호출기구(92,102)로 구성된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와: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호출기본체(91,101)의 하측에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나사산 체결되는 체결부(161,171)와, 체결부(161,171)의 하측에 구비되는 고정부(162,172)를 갖추고서,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에 각각 설치되는 제1,2고정기구(160,170)와: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호출버튼(92a,102a)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되, 제1,2지지기구표식체(120,130)와 같은 색상을 가지고서 설치되는 제1,2호출기표식체(140,150)와:
    헤드부(111)와; 헤드부(111)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제1,2지지기구(60,70)의 연결판(62,72)의 체결홀(62a,72a)과 제1,2도화이미지호출기(90,100)의 호출기본체(91,101)의 연결판(91c,101c)의 체결홀(91c1,101c1)을 각각 체결하고, 헤드부(111)의 하면이 제1디스플레이(20)의 거치대(21)의 하면과 좌우로 동일선상을 이룰 시 볼트부(112)의 상단이 제1,2지지기구(60,70)의 연결판(62,72)의 체결홀(62a,72a)에 각각 위치하는 볼트부(112)를 갖춘 볼팅부재(110) 및:
    영상도화처리장치(80)로부터 통합도화이미지를 수신하고, 현지조사용단말기(C)로부터 현지조사자료 및 현지조사자료를 수집한 지역의 좌표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모듈(181)과; 상기 현지조사자료 및 상기 좌표정보를 이용해 통합도화이지의 정위치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정위치편집모듈(182) 및; 정위치 편집된 통합도화이미지의 구조화 편집 작업을 수행하는 구조화편집모듈(183)을 구비한 수치지도제작장치(180)를 갖춘 수치지도생성기(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NS 정보와 좌표정보를 활용한 통합 수치지도 자동 생성시스템.
KR1020170169377A 2017-12-11 2017-12-11 Ins 정보와 좌표정보를 활용한 통합 수치지도 자동 생성시스템 KR1018389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377A KR101838907B1 (ko) 2017-12-11 2017-12-11 Ins 정보와 좌표정보를 활용한 통합 수치지도 자동 생성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9377A KR101838907B1 (ko) 2017-12-11 2017-12-11 Ins 정보와 좌표정보를 활용한 통합 수치지도 자동 생성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907B1 true KR101838907B1 (ko) 2018-03-15

Family

ID=61659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9377A KR101838907B1 (ko) 2017-12-11 2017-12-11 Ins 정보와 좌표정보를 활용한 통합 수치지도 자동 생성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90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584B1 (ko) * 2012-07-19 2012-10-29 태양정보시스템(주) 키패드를 구비한 도화기용 핸드휠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5584B1 (ko) * 2012-07-19 2012-10-29 태양정보시스템(주) 키패드를 구비한 도화기용 핸드휠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61273B (zh) 地理数据收集设备
KR101223126B1 (ko) 지형지물변화와 지피에스 위치확인을 통한 정밀 수치지도 제작 시스템
US7015967B1 (en) Image formation system
US6304669B1 (en) Photogrammetric analytical measurement system
KR101589928B1 (ko) 지피에스 확인을 통한 변경된 지형지물의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US6947662B1 (en) Picture mapping system
CN110915201A (zh) 图像显示系统以及方法
JP2006287435A (ja) 情報処理装置、そのシステム、その方法、そのプログラ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KR101838907B1 (ko) Ins 정보와 좌표정보를 활용한 통합 수치지도 자동 생성시스템
JP2021097367A (ja) 遠隔操作システムおよび遠隔操作サーバ
CN212254095U (zh) 一种国土规划用土地测绘装置
KR101838906B1 (ko) 시점변화에 따른 수집 영상이미지의 통일화 보정 기능의 영상처리시스템
JP6955356B2 (ja) 配筋検査支援システム及び配筋検査支援プログラム
CN1489120A (zh) 图像处理设备,图像处理方法和车辆监控系统
JP3244939B2 (ja) 巡視端末装置
KR102010318B1 (ko) 지피에스를 이용한 수치지도 수정시스템
KR101838908B1 (ko) 고도별 수집이미지의 통일화를 위한 보정용 공간영상도화 시스템
JP2009217694A (ja) 検査システム
KR101834895B1 (ko) 디지털 공간영상 도화이미지 왜곡을 고려한 보정식 영상 도화장치
KR101834899B1 (ko) 이미지 합성에 따른 도화이미지 내 지형물 변형 편집을 위한 gis 기반 영상편집용 수치도화시스템
CN216900172U (zh) 一种适用于扫描电镜与光学相机联用的样品定位导航装置
JPH11248431A (ja) 3次元モデル生成装置および3次元モデル生成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KR200488998Y1 (ko) 실내 지도 구축 장치
CN213932506U (zh) 一种倾斜摄影无人机测绘系统及装置
KR101843836B1 (ko) 공간영상 이미지 내에 피사체 정보의 오류 보정 기능을 갖는 영상도화 처리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