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851B1 -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 - Google Patents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851B1
KR101838851B1 KR1020170081713A KR20170081713A KR101838851B1 KR 101838851 B1 KR101838851 B1 KR 101838851B1 KR 1020170081713 A KR1020170081713 A KR 1020170081713A KR 20170081713 A KR20170081713 A KR 20170081713A KR 101838851 B1 KR101838851 B1 KR 101838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mill
map
machine
sliding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1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희
Original Assignee
이진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희 filed Critical 이진희
Priority to KR1020170081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8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63B22/06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performing a circular movement, e.g. ergomet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71/0619Displays, user interfaces and indic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port equipment, e.g. display mounted on treadmills
    • A63B71/0622Visual, audio or audio-visual systems for entertaining, instructing or motivating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6Indicating or scoring devices for games or players, or for other sports activities
    • A63B2071/0691Maps, e.g. yardage maps or electronic ma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걷거나 달리는 운동과 자전거 운동을 동일한 공간에서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면서도, 인터넷 포털 사이트 맵과 입체 맵뷰의 맵들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그 맵들을 보면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는, 위에 올라서서 걷거나 달리기를 할 수 있는 런닝머신(210)과, 상기 런닝머신(210) 상부에 적층 되어 설치되고, 자전거 운행 운동을 할 수 있는 사이클머신(220)의 복수 운동을 실행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운동부(200); 및 상기 사이클머신(220)이 상기 런닝머신(210)의 상부에 적층 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MULTI FUNCTION EXERCISE APPARATUS WITH STEREOSCOPIC IMAGE MAP FUNCTION}
본 발명은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걷거나 달리는 운동과 자전거 운동을 동일한 공간에서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면서도, 인터넷 포털 사이트 맵과 입체 맵뷰의 맵들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그 맵들을 보면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가 산업화 및 도시화되고 인터넷 및 이동통신 기술 및 서비스의 발달과 휴대폰, PDA 등 이동통신단말기의 진화에 따라 각종 단말기의 활용을 위한 각종 앱과 사이트가 발전하고 있으며 특히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맵과 입체 맵뷰의 활용도가 높아지고 그 내용 또한 자세해 지는 등 컨텐츠의 질적 양적 성장을 구가 하고 있다.
인터넷 포털 사이트는 현재 전세계 적으로는 구글과 한국 내에는 다음,네이버가 있고 중국과 일본 등 해외 각지에도 글로벌 포털 사이트인 구글과 더불어 개별 각각 국가 별 자체적으로 발생한 인터넷 포털 사이트가 있으며 각각의 사이트에는 맵 서비스를 대부분 실행하고 있고 이를 활용한 활발한 연계 컨텐츠를 개발하고 있다.
검색자의 필요에 따라 주소를 활용하여 그 주소지의 위치와 주변 환경을 볼 수 있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검색 서비스는 이미 대다수의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서는 일반화되어 있으며 현재까지는 이러한 맵 기능을 활용하여 각 포털 사이트에서는 찾고자 하는 주소지의 주변의 쇼핑 센타나 명승지, 관광지 등을 알려주기도 하는 등 포털 사이트 마다의 독특한 서비스를 만들어 내기도 하며 특히, 위치기반 서비스(LBS: Location-Based Service)를 통해서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 내고 있고 이를 활용한 성장성 높은 서비스를 만들어 내고있는 실정이다.
위치기반 서비스란 이동통신단말기를 이용하여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시스템 및 측정된 위치와 관련된 다양한 부가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서, 이동통신망 기술, 인터넷기술, 위치추적 기술 등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다양한 분야에 응용 가능한 기술이다.
현재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는 개인정보 서비스 중심에서 다양한 형태의 부가 서비스로 확대되고 있어, 점차 국가의 전반적인 인프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이 되며 이동통신 사업자뿐만 아니라 단말기 제조사, 어플리케이션 개발사, 콘텐츠 제작 및 프로바이더 등 다양한 형태의 사업자에게 새로운 사업 기회와 매출을 제공하기 때문에 위치기반 서비스 관련 시장은 폭발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같이 일반인들의 생활 속에 점점 깊게 자리잡아 가고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는 이동통신 사업자의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위성을 이용한 모바일 위치 제공 서비스를 통해 사용자 위치 조회 서비스, 친구 찾기 서비스 및 대중교통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고, 주변지역의 위치정보 또는 특정지역의 위치정보 역시 제공하고 있다. 또한, 단순히 무선 네트워크에서뿐만 아니라 유선 네트워크에서도 IP 등을 이용한 위치기반 서비스가 이용되고 있다.
이로서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맵과 맵뷰는 이러한 서비스에 대응하는 주요 혹은 보조 수단으로서 아주 중요한 활용성이 있다.
특히 이러한 인터넷 포털의 맵과 맵뷰는 위치기반 서비스 뿐 아니라 오락 레저로서도 훌륭한 역할을 하고 있다. 검색자가 실내의 책상에 가만히 앉아서도 각 지역의 위치를 보는 지도 고유의 기능은 물론이고 심지어 관심있는 지역의 입체 맵뷰를 통해서 거리 사진을 볼 수 있어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맵과 맵뷰는 그 활용성에 있어서 고유의 위치 알림 서비스는 물론이고 그 지역의 현장 사진을 생생하게 보여 줌으로서 현실감을 더욱 부여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맵과 맵뷰의 기능은 GPS를 기반하여 지도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비게이션 제조 업계에서도 인터넷 포털과는 또 다른 모습으로 그 맵과 맵뷰를 발전 시켜 나가고 있다.
더불어, 근래에는 교통수단이 발달함에 따라 현대인은 걷거나 움직이는 시간이 점차 감소할 뿐만 아니라, 운동할 수 있는 시간적, 공간적 여유가 없기 때문에 운동량은 점차 감소하고 이에 따라 건강은 약해지고 있다.
이러한 운동의 부족은 근육의 노화와 경직 현상을 발생시키고, 쉽게 피로감을 느끼게 할 뿐만 아니라 성인병을 발생시키는 주요 원인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보다 쉽게 접하여 운동을 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운동기구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러한 운동기구들 중에 자전거를 모방하여 만들어진 실내용 자전거가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내용 자전거는 한정된 공간에서 운동을 하기 때문에 운동시간이 지루하고 답답하게 느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여 운동기구의 전면에 영상장치나 음향장치를 설치하여 영화를 감상하거나 음악을 들을 수 있게 한 것이 있으나, 운동 과정이 단순히 회전 컨베이어를 활용하여 그 위를 제자리에서 계속 걷거나 뛰는 런닝머신이나 페달을 작동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는 실내 고정형 자전거는 이또한 쉽게 지루함을 느끼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더불어, 기존의 런닝 머신이나 실내 고정형 자전거는 제자리서 걷거나 뛰거나 혹은페달을 작동시키는 동작을 반복하는 것 이외에는 별도로 시청각을 즐겁게 해줄 만한 오락적 요소가 운동이 지루하거나 처음 운동하는 초보 운동자가 쉽게 운동의 흥미를 잃게 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실내에서 자전거를 타거나 별도로 런닝이나 워킹을 하고자 할때에는 각각에 맞는 운동 기구를 다시 구매해야 하는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다양 하게 운동을 하면서 지루함을 덜기 위해서 다수 개의 운동기구를 구매하여 사용할 경우, 협소한 실내에 구비하여 사용하기는 공간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특허문헌 공개특허 10-2008-0077415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는, 다양한 운동을 하면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협소한 장소에서도 간편하게 변경하여 걷거나 달리는 운동 및 자전거 운동을 실시 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는, 기존에 이러한 맵과 맵뷰 서비스를 제공하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지도 서비스를 이용하거나 혹은 필요시 이 서비스만을 독립적으로 운영하여 본 운동 기구와 연결시킴으로서 본 운동기구가 그 맵과 맵뷰를 활용하여 그 맵을 스크린에로 띄워놓고 운동 기기와 연동하여 지도상의 거리를 걷거나 달리는 것처럼 실행시키면서 운동할 수 있는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는, 운동기구는 인터넷 포털 사이트에 있는 맵과 맵뷰 와 같은 맵을 이용하여, 운동 기기와 연동한 상태에서 운동자가 지도상의 거리를 자전거를 타면서 운행하는 것처럼 실행시켜 실지 가상의 이동 거리를 확인하고, 동시에 입체 맵뷰로 거리를 보면서 운동할 수 있는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는, 맵과 연결하여 런닝 기기, 워킹 기기 혹은 실내용 자전거를 타면서 자신이 설정한 맵상의 최초 위치에서 운동하며 움직인 가상의 거리를 맵상에서 확인하고 필요시 그 지역의 입체 맵뷰를 활용하여 거리를 보며 운동할 수 있는 실제 거리감을 느끼게 해주고 거리 입체 뷰를 보면서 실내에서 운동하며 느낄 수 있는 실내 밀폐감을 벗어나 외부에서 운동하는 느낌을 부여함으로서 실내 워킹 혹은 런닝, 자전거 운동을 생동감 있게 할 수 있는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는, 위에 올라서서 걷거나 달리기를 할 수 있는 런닝머신(210)과, 상기 런닝머신(210) 상부에 적층 되어 설치되고, 자전거 운행 운동을 할 수 있는 사이클머신(220)의 복수 운동을 실행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운동부(200); 및 상기 사이클머신(220)이 상기 런닝머신(210)의 상부에 적층 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런닝머신(210)의 길이방향 테두리 부위에 돌출형성되는 레일(232)과, 상기 레일(232)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결합 되도록, 사이클머신(22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슬라이딩암(234)과, 상기 레일(232)과 슬라이딩암(234)에 다수 개가 천공되는 고정홀(236)과, 상기 레일(232)과 슬라이딩암(234)의 고정홀(236)을 동시에 관통하여 레일(232)과 슬라이딩암(234)이 결합된 채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핀(23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부(200)는, 상기 런닝머신(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런닝머신(210) 또는 사이클머신(220)이 필요 시 선단이 상 방향으로 승강 되고 말단은 고정위치를 유지하면서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하는 경사발생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발생기(250)는, 상기 런닝머신(210)의 하부의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인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런닝머신(210)의 선단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실린더(255)와, 상기 런닝머신(210)의 하부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255)의 유동에 의한 상기 런닝머신(210)이 회전되는 축이 되는 회전축(25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런닝머신(210)과 사이클머신(220)은, 상기 경사발생기(250)에 의해 런닝머신(210)의 경사각이 높아질수록 런닝머신(210) 또는 사이클머신(220)의 동작에 부하가 발생 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사이클머신(220)의 슬라이딩암(234)이 레일(232)에 진입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경사각을 형성하며 슬라이딩암(234)이 진입되는 레일(232) 입구에 형성되는 경사편(231)과, 상기 경사편(231)이 레일(232) 연결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233)와, 상기 경사편(231)의 폭 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암(234)이 경사편(231)에 미끄러지면서 레일(232)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보조하는 바퀴(2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운동부(200)는, 실제 거리 이미지를 나타내는 맵뷰 화면이 나타나고, 맵뷰 화면이 사용자의 운동에 따라 연동 되면서 운동한 만큼 실제 지도상의 위치가 변화되는 지도 화면이 나타나는 디스플레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출발지를 설정하고, 출발지로부터 거리상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설정버튼(140)과, 상기 운동설정버튼(140)을 통하여 선택된 출발지와 목적지가 맵으로 별도 표시되는 운행표시맵(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와 상기 운동부(200)가 상호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동 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런닝머신(210)의 길이방향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사이클머신(220)이 연결된 채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홀(310)과, 상기 슬라이딩홀(310)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결합 되도록, 사이클머신(22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320)와, 상기 슬라이딩홀(310)과 슬라이딩돌기(320)에 다수 개가 대응되게 천공되는 천공홀(330)과, 상기 슬라이딩홀(310)과 슬라이딩돌기(320)의 천공홀(330)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홀(310)에서 슬라이딩돌기(320)가 상호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편(3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는, 걷거나 달리는 운동과 자전거 운동을 간편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면서도 협소한 장소에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는, 입체 지도상의 거리를 실제 걷거나 달리는 것처럼 실행시키면서 운동하여 운동 시 지루함을 제거하고 운동 효율을 최적화 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는, 지도상의 거리를 실제 걷거나 뛰거나 자전거로 운행하는 것처럼 실행시키면서 운동하여 운동 시 지루함을 제거하고 운동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는, 입체 지도상의 거리를 런닝 기기 운행하면서 운동하다가 필요 시 자전거 기기로 간편하게 연결하여 운동할 수 있음으로써 운동의 다양화를 통하여 운동효율을 최적화 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일 예로 걷거나 달리는 운동과 자전거 운동을 동일한 공간에서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 가능하면서도, 인터넷 포털 사이트 맵과 입체 맵뷰의 맵들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그 맵들을 보면서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 [특히, 결합부]의 기술적 구성을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 이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는, 런닝머신(110)과 사이클머신(220)의 복수 운동을 실행할 수 있는 운동부(200)와 사이클머신(220)이 런닝머신(210)의 상부에 적층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운동부(200)는, 위에 올라서서 걷거나 달리기를 할 수 있는 런닝머신(210)과, 상기 런닝머신(210) 상부에 적층 되어 설치되고, 자전거 운행 운동을 할 수 있는 사이클머신(220)의 복수 운동을 실행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사이클머신(220)이 상기 런닝머신(210)의 상부에 적층 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런닝머신(210)의 길이방향 테두리 부위에 돌출형성되는 레일(232)과, 상기 레일(232)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결합 되도록, 사이클머신(22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슬라이딩암(2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레일(232)과 슬라이딩암(234)에 다수 개가 천공되는 고정홀(236)과, 상기 레일(232)과 슬라이딩암(234)의 고정홀(236)을 동시에 관통하여 레일(232)과 슬라이딩암(234)이 결합 된 채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핀(23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런닝머신(210)의 상부에 상기 사이클머신(220)이 고정배치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이클머신(220)을 통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사이클머신(220)의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런닝머신(210)의 상부에 상기 사이클머신(220)을 분리하여 다시 런닝머신(21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런닝머신(210) 대신 사이클머신(220)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런닝머신(210)의 길이방향 테두리 부위에 돌출형성되는 레일(232)에 사이클머신(22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슬라이딩암(234)을 슬라이딩 결합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레일(232)에 슬라이딩암(234)이 결합 되면 상기 레일(232)과 슬라이딩암(234)에 다수 개가 천공되는 고정홀(236)에 상기 고정핀(238)을 결합하여 상기 레일(232)에 슬라이딩암(234)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런닝머신(210)의 상부에 상기 사이클머신(220)이 고정배치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레일(232)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고정홀(236)은 상기 슬라이딩암(234)에 형성되는 다수 개가 천공되는 고정홀(236)이 상호 대응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핀(238)이 상기 레일(232)의 고정홀(236)과 슬라이딩암(234)의 고정홀(236)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레일(232)에 슬라이딩암(234)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사이클머신(220)을 런닝머신(210)에서 분리하려면, 상기 고정핀(238)을 상기 레일(232)의 고정홀(236)과 슬라이딩암(234)의 고정홀(236)에서 동시에 제거한다.
이어서, 상기 레일(232)에 결합 된 슬라이딩암(234)을 레일(232)에서 분리함으로써 상기 사이클머신(220)은 런닝머신(210)과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런닝머신(210)에서 사이클머신(220)이 분리되면 사용자는 다시 런닝머신(210)을 사용하여 운동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운동부(200)는, 실제 거리 이미지를 나타내는 맵뷰 화면이 나타나고, 맵뷰 화면이 사용자의 운동에 따라 연동 되면서 운동한 만큼 실제 지도상의 위치가 변화되는 지도 화면이 나타나는 디스플레이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출발지를 설정하고, 출발지로부터 거리상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설정버튼(140)과, 상기 운동설정버튼(140)을 통하여 선택된 출발지와 목적지가 맵으로 별도 표시되는 운행표시맵(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와 상기 운동부(200)가 상호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동 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실제 이미지 지도 화면이 기본적으로 준비되고, 사용자가 상기 운동부(200)를 통하여 운동함에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와 연결되는 상기 운동부(200)에서의 그 운동량 정보가 디스플레이부(100)에서 움직인 거리만큼 지도가 변화되면서 표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평면지도를 나타내는 맵과, 실제 이미지 지도인 입체 지도를 나타내는 맵뷰가 각각 별도로 표시되는 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실제 이미지 지도 화면은 입체 형태로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실제 이미지를 사진이나 영상으로 입체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맵뷰 화면과, 이 맵뷰 화면과 운동부(200)와 연동 되면서 지도상의 사용자의 위치가 운동량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경되는 지도 화면이 동시에 나타나게 된다.
여기서, 맵과 맵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네이버, 다음, 네이트, 구글 등의 포털 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맵과 맵뷰를 연계하여 사용할 수 있고, 별도의 맵 서비스 소프트웨어를 통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모바일과 연동하여 제어할 수 있고, 별도의 앱을 통하여 상세하게 제어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한편, 상기 운동부(200)는, 위에 올라서서 걷거나 달리기를 할 수 있는 런닝머신(210)과, 상기 런닝머신(210) 상부에 적층 되어 설치되고, 자전거 운행 운동을 할 수 있는 사이클머신(2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운동부(200)는, 상기 런닝머신(210)을 통하여 사용자가 걷거나 뛰는 운동을 할 수 있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결합부(300)를 이용하여 상기 런닝머신(210)의 상부에 사이클머신(220)을 적층시켜 자전거를 운행하는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사용자가 런닝머신(210) 또는 사이클머신(220) 상에서 움직인 운동량을 움직인 거리로 나타내는 거리표시면(110)과, 사용자가 런닝머신(210) 또는 사이클머신(220) 상에서 움직이면서 소모되는 칼로리를 표시하는 칼로리표시면(120)을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지도를 나타내면서 입체 지도상의 날씨와 밤낮의 시간이 설정된 후 표시될 수 있도록 하는 지역표시면(13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출발지를 설정하고, 출발지로부터 거리상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설정버튼(140)과, 상기 운동설정버튼(140)을 통하여 선택된 출발지와 목적지가 맵으로 별도 표시되는 운행표시맵(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거리표시면(110)은 사용자가 상기 런닝머신(210)에서 걷거나 뛰는 운동을 하거나 상기 사이클머신(220)에서 자전거 운행을 할 경우, 사용자가 운동을 하면서 움직인 거리만큼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서는 입체 지도 상에서 실제 거리를 움직이는 것으로 표현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칼로리표시면(120)은 사용자가 상기 런닝머신(210)에서 걷거나 뛰는 운동을 하거나 상기 사이클머신(220)에서 자전거 운행을 할 경우, 사용자가 운동을 하면서 움직이는데 소모되는 칼로리를 연산하여 디스플레이부(100)의 화면상에 표시하고 동시에 운동한 시간을 표시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지역표시면(130)은 사용자가 상기 거리표시면(110)에 추가 옵션으로 실제 입체 지도상의 날씨나 밤낮의 시간 설정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현실감을 높이고, 현재 지도상의 위치와 지역을 나타내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서 운동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런닝머신(210) 또는 사이클머신(220) 상에 올라간 후,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를 켜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서는 입체 지도 및 평면 지도가 표시되게 된다.
이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에서 상기 운동설정버튼(140)을 통하여 입체 지도 상에서 출발지와 목적지를 설정한 후 런닝머신(210) 또는 사이클머신(220)을 통하여 운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운동설정버튼(140)은, 거리 즉 km를 설정하여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고, 시간 및 칼로리소모량을 설정하여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으며, 지도의 출발지부터 목적지를 설정하는 것만으로도 운동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렇게, 사용자가 상기 런닝머신(210) 또는 사이클머신(220)에서 운동을 하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지도가 사용자의 운동량에 따라 실시간으로 변화되면서 사용자가 입체 지도상의 길거리를 걷거나 뛰거나 또는 자전거를 운행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느낄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한 부분에는 상기 거리표시면(110)이 배치되어 사용자가 몇키로를 운동하고 있는지를 표시하게 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다른 부분에는 상기 칼로리표시면(120)이 배치되어 사용자가 운동을 통하여 얼마정도의 칼로리를 소모하고 있는지를 표시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또 다른 부분에는 상기 운행표시맵(160)이 배치되어 사용자가 출발지에서부터 목적지 까지 진행하는 상태를 표시하고, 목적지까지 얼만큼 남아 있는지를 평면 지도로 표시되어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와 연동 되어 주변환경의 소리 정보들을 기저장된 데이터 정보를 통하여 설정된 음향으로 표출하는 음향기(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음향기(150)는, 사용자가 런닝머신(210) 이나 사이클머신(220)을 사용하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환경에 맞는 새소리, 파도소리, 자동차 소리 등의 음향이 표출되어 보다 현실감을 높이는 효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5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는, 런닝머신(110)과 사이클머신(220)의 복수 운동을 실행할 수 있는 운동부(200)와 사이클머신(220)이 런닝머신(210)의 상부에 적층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상기에 언급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런닝머신(210)의 길이방향 테두리 부위에 돌출형성되는 레일(232)과, 상기 레일(232)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결합 되도록, 사이클머신(22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슬라이딩암(234)과, 상기 레일(232)과 슬라이딩암(234)에 다수 개가 천공되는 고정홀(23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레일(232)과 슬라이딩암(234)의 고정홀(236)을 동시에 관통하여 레일(232)과 슬라이딩암(234)이 결합된 채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핀(238)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런닝머신(210)의 상부에 상기 사이클머신(220)이 고정배치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이클머신(220)을 통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사이클머신(220)의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런닝머신(210)의 상부에 상기 사이클머신(220)을 분리하여 다시 런닝머신(21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사이클머신(220)의 하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딩암(234)이 상기 런닝머신(210)의 테두리 상부에 구비되는 레일(232)에 진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사용자가 사이클머신(22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더불어,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레일(232)에서 상기 슬라이딩암(234)이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런닝머신(210) 상부의 사이클머신(220)이 런닝머신(210)에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런닝머신(21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결합부(300)에 상기 사이클머신(220)의 슬라이딩암(234)이 레일(232)에 진입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경사각을 형성하며 슬라이딩암(234)이 진입되는 레일(232) 입구에 형성되는 경사편(23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경사편(231)이 레일(232) 연결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233)와, 상기 경사편(231)의 폭 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암(234)이 경사편(231)에 미끄러지면서 레일(232)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보조하는 바퀴(23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사편(231)은, 상기 런닝머신(210)의 레일(232)에 상기 사이클머신(220)의 슬라이딩암(234)이 원활하게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경사편(231)의 일단은 상기 레일(232)에 힌지(233)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경사편(231)의 타단은 지면에 배치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힌지(233)는 상기 레일(232)에 경사편(231)이 연결된 채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레일(232)과 지면과의 높이 차이에 따라 경사편(231)이 레일(232)과 지면에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바퀴(235)는 상기 경사편(231)에 다수 개가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암(234)의 하면이 상기 경사편(231)과 바퀴(235)에 밀착된 채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레일(232)로 원활하게 진입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경사편(231)과 힌지(233) 및 바퀴(235)의 구성을 통하여 상기 사이클머신(220)의 슬라이딩암(234)이 상기 런닝머신(210)의 레일(232)에 원활하게 진입되어 슬라이딩 결합 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사이클머신(220)의 슬라이딩암(234)이 상기 런닝머신(210)의 레일(232)에서 분리될 경우 상기 슬라이딩암(234)의 하면이 상기 경사편(231)과 바퀴(235)에 밀착된 채로 진입했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상기 레일(232)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는, 런닝머신(110)과 사이클머신(220)의 복수 운동을 실행할 수 있는 운동부(200)와 사이클머신(220)이 런닝머신(210)의 상부에 적층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런닝머신(210)의 길이방향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사이클머신(220)이 연결된 채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홀(310)과, 상기 슬라이딩홀(310)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결합 되도록, 사이클머신(22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320)를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결합부(300)는, 상기 슬라이딩홀(310)과 슬라이딩돌기(320)에 다수 개가 대응되게 천공되는 천공홀(330)과, 상기 슬라이딩홀(310)과 슬라이딩돌기(320)의 천공홀(330)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홀(310)에서 슬라이딩돌기(320)가 상호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편(3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런닝머신(210)의 상부에 상기 사이클머신(220)이 고정배치 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사이클머신(220)을 통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사이클머신(220)의 사용이 완료되면 상기 런닝머신(210)의 상부에 상기 사이클머신(220)을 분리하여 다시 런닝머신(210)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사이클머신(22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320)가 상기 런닝머신(210)의 테두리 상부에 구비되는 슬라이딩홀(310)에 진입된 상태로 고정되어 사용자가 사이클머신(22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홀(310)에 슬라이딩돌기(320)가 결합 되면 상기 슬라이딩홀(310)과 슬라이딩돌기(320)에 다수 개가 천공되는 천공홀(330)에 상기 고정편(340)을 결합하여 상기 슬라이딩홀(310)에 슬라이딩돌기(320)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런닝머신(210)의 상부에 상기 사이클머신(220)이 고정배치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홀(310)에 형성되는 다수 개의 천공홀(330)은 상기 슬라이딩돌기(320)에 형성되는 다수 개가 천공되는 천공홀(330)과 상호 대응된 위치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편(340)이 상기 슬라이딩홀(310)의 천공홀(330)과 슬라이딩돌기(320)의 천공홀(330)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홀(310)에 슬라이딩돌기(32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사이클머신(220)을 런닝머신(210)에서 분리하려면, 상기 고정편(340)을 상기 슬라이딩홀(310)의 천공홀(330)과 슬라이딩돌기(320)의 천공홀(330)에서 동시에 제거한다.
이어서, 상기 슬라이딩홀(310)에 결합 된 슬라이딩돌기(320)를 슬라이딩홀(310)에서 분리함으로써 상기 사이클머신(220)은 런닝머신(210)과 분리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슬라이딩홀(310)에서 상기 슬라이딩돌기(320)가 분리되도록 하여 상기 런닝머신(210) 상부의 사이클머신(220)이 런닝머신(210)에서 분리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런닝머신(210)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는, 런닝머신(110)과 사이클머신(220)의 복수 운동을 실행할 수 있는 운동부(200)와 사이클머신(220)이 런닝머신(210)의 상부에 적층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운동부(200)는, 상기 런닝머신(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런닝머신(210) 또는 사이클머신(220)이 필요 시 선단이 상 방향으로 승강 되고 말단은 고정위치를 유지하면서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하는 경사발생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발생기(250)는, 상기 런닝머신(210)의 하부의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인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런닝머신(210)의 선단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실린더(255)와, 상기 런닝머신(210)의 하부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255)의 유동에 의한 상기 런닝머신(210)이 회전되는 축이 되는 회전축(25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실린더(255)가 상기 런닝머신(210)을 승강시키게 되면, 상기 런닝머신(210)은 회전축(257)의 의해 회전되면서 승강 되어 런닝머신(210)의 선단이 말단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면서 오르막 경사가 형성되게 된다.
반대로, 상기 실린더(255)가 상기 런닝머신(210)을 하강시키게 되면, 상기 런닝머신(210)은 회전축(257)의 의해 승강되던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하강 되어 런닝머신(210)의 선단이 말단보다 낮은 위치에 배치되면서 내리막 경사가 형성되게 된다.
특히, 상기 런닝머신(210)의 상부에 상기 사이클머신(220)이 결합 된 채로 상기 런닝머신(210)이 승강되거나 하강될 경우, 상기 사이클머신(220) 또한 오르막 경사 또는 내리막 경사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런닝머신(210)과 사이클머신(220)은, 상기 경사발생기(250)에 의해 런닝머신(210)의 경사각이 높아질수록 런닝머신(210) 또는 사이클머신(220)의 동작에 부하가 발생 된다.
즉, 상기 경사발생기(250)에 의해 런닝머신(210)이 오르막 경사각을 형성할 경우 상기 런닝머신(210) 또는 사이클머신(220)의 동작에 부하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런닝머신(210)이 오르막 경사를 형성할 경우, 런닝머신(210)에 구비되는 발판의 회전에 저항을 높일 수 있고, 상기 사이클머신(220)이 오르막 경사를 형성할 경우, 사이클머신(220)에 구비되는 폐달에 저항을 높여 런닝머신(210) 또는 사이클머신(220)의 동작에 부하가 발생 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도 8 및 도 9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는, 런닝머신(110)과 사이클머신(220)의 복수 운동을 실행할 수 있는 운동부(200)와 사이클머신(220)이 런닝머신(210)의 상부에 적층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런닝머신(210)은, 상기 런닝머신(210)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파지한 채로 사용자가 파지한 채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거리상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 시 버튼을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0)의 거리상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이 실행되도록 하는 회전지시기(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지시기(212) 사용자의 왼쪽 손과 오른쪽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양쪽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회전지시기(212)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와 런닝머신(210)에 연결되는 지시버튼(213)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지시버튼(213) 중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지시버튼(213)을 누를 경우,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지도 상에서 나의 위치가 오른쪽 방향으로 우회전을 하게 되고, 사용자가 왼손으로 지시버튼(213)을 누를 경우,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지도 상에서 나의 위치가 왼쪽 방향으로 좌회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지시기(21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와 런닝머신(210)에 동시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회전지시기(212)를 양손에 파지한 채로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지시버튼(213)을 누루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지도상에 나의 위치가 각각 누른 방향인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사이클머신(220)은, 상기 사이클머신(220)에 형성되는 조향손잡이(221)와, 상기 조향손잡이(211)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거리상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 시 버튼을 누름으로써 디스플레이부(100)의 거리상에서 좌회전 또는 우회전이 실행되도록 하는 회전버튼(223)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조향손잡이(221)는 사용자의 왼쪽 손과 오른쪽 손으로 파지할 수 있도록 사이클머신(220)의 양쪽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조향손잡이(221)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와 런닝머신(210)에 연결되는 회전버튼(223)이 각각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회전버튼(223) 중 사용자가 오른손으로 회전버튼(223)을 누를 경우,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지도 상에서 나의 위치가 오른쪽 방향으로 우회전을 하게 되고, 사용자가 왼손으로 회전버튼(223)을 누를 경우,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지도 상에서 나의 위치가 왼쪽 방향으로 좌회전을 하게 된다.
즉, 상기 조향손잡이(22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와 런닝머신(210)에 동시에 연결되어, 사용자가 조향손잡이(221)를 양손에 파지한 채로 오른손 또는 왼손으로 회전버튼(223)을 누루게 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의 입체 지도상에 나의 위치가 각각 누른 방향인 왼쪽이나 오른쪽으로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걷거나 달리는 운동과 자전거 운동을 간편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면서도 협소한 장소에서 운동을 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입체 지도상의 거리를 실제 걷거나 달리는 것처럼 실행시키면서 운동하여 운동 시 지루함을 제거하고 운동 효율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입체 지도상의 거리를 실제 자전거로 운행하는 것처럼 실행시키면서 운동하여 운동 시 지루함을 제거하고 운동 효율을 최적화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더불어, 입체 지도상의 거리를 런닝 기기 운행하면서 운동하다가 필요 시 자전거 기기로 간편하게 연결하여 운동할 수 있음으로써 운동의 다양화를 통하여 운동효율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장점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 디스플레이부 110 : 거리표시면
120 : 칼리로표시면 130 : 환경표시면
140 : 운동설정버튼 150 : 음향기
160 : 운행표시맵
200 : 운동부 210 : 런닝머신
212 : 회전지시기 213 : 지시버튼
220 : 사이클머신 221 : 조향손잡이
223 : 회전버튼
300 : 결합부 231 : 경사면
232 : 레일 233 : 힌지
234 : 슬라이딩 235 : 바퀴
250 : 경사발생기 255 : 실린더
257 : 회전축
310 : 슬라이딩홀 320 : 슬라이딩돌기
330 : 천공홀(330) 340 : 고정편

Claims (10)

  1. 위에 올라서서 걷거나 달리기를 할 수 있는 런닝머신(210)과, 상기 런닝머신(210) 상부에 적층 되어 설치되고, 자전거 운행 운동을 할 수 있는 사이클머신(220)의 복수 운동을 실행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운동부(200); 및
    상기 사이클머신(220)이 상기 런닝머신(210)의 상부에 적층 되게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결합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런닝머신(210)의 길이방향 테두리 부위에 돌출형성되는 레일(232)과,
    상기 레일(232)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결합 되도록, 사이클머신(22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슬라이딩암(234)과,
    상기 레일(232)과 슬라이딩암(234)에 다수 개가 천공되는 고정홀(236)과,
    상기 레일(232)과 슬라이딩암(234)의 고정홀(236)을 동시에 관통하여 레일(232)과 슬라이딩암(234)이 결합된 채로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핀(238)을 포함하며,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사이클머신(220)의 슬라이딩암(234)이 레일(232)에 진입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경사각을 형성하며 슬라이딩암(234)이 진입되는 레일(232) 입구에 형성되는 경사편(231)과,
    상기 경사편(231)이 레일(232) 연결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힌지(233)와,
    상기 경사편(231)의 폭 방향으로 다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슬라이딩암(234)이 경사편(231)에 미끄러지면서 레일(232)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보조하는 바퀴(235)를 포함하는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부(200)는,
    상기 런닝머신(2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런닝머신(210) 또는 사이클머신(220)이 필요 시 선단이 상 방향으로 승강 되고 말단은 고정위치를 유지하면서 경사각을 형성하도록 하는 경사발생기(250)를 포함하는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발생기(250)는,
    상기 런닝머신(210)의 하부의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인 선단에 구비되어 상기 런닝머신(210)의 선단을 승강 또는 하강시키는 실린더(255)와,
    상기 런닝머신(210)의 하부의 말단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255)의 유동에 의한 상기 런닝머신(210)이 회전되는 축이 되는 회전축(257)을 포함하는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런닝머신(210)과 사이클머신(220)은,
    상기 경사발생기(250)에 의해 런닝머신(210)의 경사각이 높아질수록 런닝머신(210) 또는 사이클머신(220)의 동작에 부하가 발생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동부(200)는,
    실제 거리 이미지를 나타내는 맵뷰 화면이 나타나고, 맵뷰 화면이 사용자의 운동에 따라 연동 되면서 운동한 만큼 실제 지도상의 위치가 변화되는 지도 화면이 나타나는 디스플레이부(100)를 포함하는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출발지를 설정하고, 출발지로부터 거리상 목적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운동설정버튼(140)과,
    상기 운동설정버튼(140)을 통하여 선택된 출발지와 목적지가 맵으로 별도 표시되는 운행표시맵(160)을 더 포함하는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00)와 상기 운동부(200)가 상호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동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300)는,
    상기 런닝머신(210)의 길이방향 테두리 부위에 형성되어 상기 사이클머신(220)이 연결된 채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딩홀(310)과,
    상기 슬라이딩홀(310)에 대응하여 슬라이딩 결합 되도록, 사이클머신(220)의 하부에 돌출형성되는 슬라이딩돌기(320)와,
    상기 슬라이딩홀(310)과 슬라이딩돌기(320)에 다수 개가 대응되게 천공되는 천공홀(330)과,
    상기 슬라이딩홀(310)과 슬라이딩돌기(320)의 천공홀(330)을 동시에 관통하여 상기 슬라이딩홀(310)에서 슬라이딩돌기(320)가 상호 결합 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고정편(340)을 포함하는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
KR1020170081713A 2017-06-28 2017-06-28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 KR101838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713A KR101838851B1 (ko) 2017-06-28 2017-06-28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1713A KR101838851B1 (ko) 2017-06-28 2017-06-28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851B1 true KR101838851B1 (ko) 2018-03-14

Family

ID=616605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1713A KR101838851B1 (ko) 2017-06-28 2017-06-28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85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455Y1 (ko) * 2002-04-29 2002-10-25 (주)신한양 기업 패달 운동기가가 부착된 런닝머신
KR100755787B1 (ko) * 2006-08-21 2007-09-05 최흥용 트레이닝기구
KR101257040B1 (ko) * 2011-10-18 2013-04-1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맵 정보를 이용한 운동 장치의 부하 자동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2455Y1 (ko) * 2002-04-29 2002-10-25 (주)신한양 기업 패달 운동기가가 부착된 런닝머신
KR100755787B1 (ko) * 2006-08-21 2007-09-05 최흥용 트레이닝기구
KR101257040B1 (ko) * 2011-10-18 2013-04-19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맵 정보를 이용한 운동 장치의 부하 자동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93349B2 (en) Display on exercise device
US9694235B2 (en) Method and system for virtual hiking
KR101662234B1 (ko) 미디어 콘텐츠의 자동 일시정지 기능을 갖는 운동 모니터링 시스템
US10004940B2 (en) Exercising bicycle
US6902513B1 (en) Interactive fitness equipment
US8251874B2 (en) Exercise systems for simulating real world terrain
KR101017664B1 (ko) 온라인 가상 현실 운동 시스템
EP2233180B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ating real world terrain on an exercise device
US7901292B1 (en) Method for comparing performances on remotely located courses
US8029415B2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simulating real world terrain on an exercise device
JP2020150987A (ja) 室内用有酸素運動装置、運動システム
US20060063644A1 (en) Cross reference to related applications
WO2011067842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自転車用地図
US9039576B2 (en) Curved track simulation device
US20130297201A1 (en) Method of creating exercise routes for a user and related personal navigation device
CN102599891A (zh) 改进的移动通信终端和方法
WO2012042092A1 (es) Dispositivo de entrenamiento deportivo
KR101751458B1 (ko) 동영상 연동 스포츠 시뮬레이션 장치
JP2010178777A (ja) 表示機能付き運動システム
JP2004121592A (ja) トレーニング装置
KR101838851B1 (ko) 맵 기능이 구비된 다기능 운동장치
JP2002272890A (ja) 総合運動システムおよび総合運動方法
CN108578992B (zh) 一种体育多功能拓展与教学训练组合装置
JP7416873B1 (ja) 仮想空間提供システム、仮想空間提供方法、及び仮想空間提供プログラム
Tahan et al. iGym—A RaspberryPi-smartphone hybrid system for better entertaining treadmill us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