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8745B1 -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 - Google Patents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8745B1
KR101838745B1 KR1020170111805A KR20170111805A KR101838745B1 KR 101838745 B1 KR101838745 B1 KR 101838745B1 KR 1020170111805 A KR1020170111805 A KR 1020170111805A KR 20170111805 A KR20170111805 A KR 20170111805A KR 101838745 B1 KR101838745 B1 KR 101838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rtex
vortex generating
air
generating member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1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정
Original Assignee
김민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정 filed Critical 김민정
Priority to KR1020170111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8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8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5/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 B01D45/12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 B01D45/16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by gravity, inertia, or centrifugal forces by centrifugal forces generated by the winding course of the gas stream, the centrifugal forces being generated solely or partly by mechanical means, e.g. fixed swirl v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yclones (AREA)
  • Separating Particles In Gases By Inerti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양한 크기의 분체를 포함한 공기가 보다 느린 속도로 통과되도록 함과 동시에 공기의 통과속도에 맞게 와류가 보다 크게 발생되도록 하여 구심력에 의해 미분이 와류의 안쪽에 위치되도록 하여 미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는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분체를 포함한 공기를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분체를 집진하는 집진기로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도록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다수의 와류발생홈이 형성된 다수의 와류발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와류발생부재는 상기 공기의 통과되는 방향측으로 다수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공기의 통과 방향을 기준으로 임의의 열과 전후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열에서 상기 와류발생부재의 위치가 서로 겹치도록 지그재그 배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의 와류발생홈 중앙에는 상기 분체를 포함한 공기가 상기 와류발생홈 안쪽까지 강하게 들어오지 않도록 차단하여 상기 와류발생홈 안쪽에서 와류가 원활하게 발생되도록 상기 와류발생홈의 깊이보다는 짧은 길이로 이루어진 와류유도판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Vortex Generating Fine Dust Collector using }
본 발명은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크기의 분체를 포함한 공기가 보다 느린 속도로 통과되도록 함과 동시에 공기의 통과속도에 맞게 와류가 보다 크게 발생되도록 하여 구심력에 의해 미분이 와류의 안쪽에 위치되도록 하여 미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는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 등의 작업장에서는 작업중에 분진이 다량 발생되어 작업장이 분진에 의해 매우 지저분해지고, 작업자의 건강에 악영향을 주게 되는바, 작업장내의 청결과 작업자의 건강 보호를 위해 공기 중의 분진을 집진하고, 깨끗한 공기로 정화하여 다시 배출해주는 다양한 집진기를 구비하게 된다.
집진기 중 대표적인 설비가 싸이클론 집진기나 필터를 사용한 집진기이다.
싸이클론 집진기는 원심력을 이용하여 공기에 섞인 분진을 분리하는 것으로, 비중 차이로 분진을 싸이클론 내벽으로 집중시킨 후 하부로 낙하시키는 원리로 이루어지며, 분진이 분리된 공기는 중앙부에서 위로 상승되면서 배출되는 것이 싸이클론 집진기의 분진포집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필터를 이용한 집진기는 분진이 통과되지 못할 정도의 메쉬사이즈로 된 필터를 구비하여 이러한 필터를 통해 분진을 포집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싸이클론 집진기의 분진분리 내지 분진 포집효과는 공기의 인입과 토출관계가 원활이 이루어질 때 극대화가 되므로 그 크기가 대형으로 제작될 수밖에 없는 것이고, 싸이클론 집진기를 구동하기 위해 소비전력이 많이 소요될 수밖에 없는 단점이 있으며, 입경이 큰 분진의 경우 원심력에 의해 싸이클론의 내벽으로 집중되어 중력에 의해 낙하될 수 있으나, 입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의 경우 구심력에 의해 싸이클론의 중앙부에 포진하였다가 공기와 함께 상승되면서 배출되는 것이므로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의 경우 일반적인 싸이클론 집진기를 통해서도 걸러내기 어려운 단점이 있게 된다.
또한, 필터형 집진기 역시 집진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집진기의 크기가 커질 수밖에 없으며, 필터의 메쉬사이즈를 작게 구성하여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를 걸러낼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런 경우 차압이 발생되어 공기가 원활히 통과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게 되므로 필터형 집진기를 적용하려면 결국 걸러낼 수 있는 분체의 크기에 한계가 있는 것이었다.
이를 감안하여 공개특허 제 10-2012-0111338 호에서는 공기흡입용 흡기팬을 구비한 공냉식 전기장치에 사용되는 공냉식 전기장치용 먼지포집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기장치의 케이스에 간격을 두고 나란하게 설치되어 복수 개의 흡입구를 형성하는 복수 개의 제1와류발생부재; 및 상기 복수 개의 흡입구로부터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되는 복수 개의 제2와류발생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제1와류발생부재 각각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흡기팬에 의해 상기 흡입구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제1와류발생부재의 후단에 와류를 발생시키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제2와류발생부재 각각은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분기시키고, 분기된 공기가 상기 제2와류발생부재의 후단에서 와류를 형성하도록 하는 형상으로 형성된 공냉식 전기장치용 먼지포집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그러나, 공개특허 제 10-2012-0111338 호에 따른 공냉식 전기장치용 먼지포집구조는 제1와류발생부재의 사이사이에 첨단부가 뾰족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2와류발생부재가 각각 구비된 것이므로 공기가 빠른 속도로 제1와류발생부재와 제2와류발생부재 사이를 빠져나가게 됨은 물론, 공기의 흐름이 너무 빨라 와류가 크게 발생되지 않게 됨으로써 미분이 공기에 포함된 상태로 제1와류발생부재와 제2와류발생부재를 그대로 통과할 수밖에 없으므로 와류 발생을 통한 미분의 포집 효율이 현격하게 떨어지는 것이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2-0111338 호 '공냉식 전기장치용 먼지포집구조'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다양한 크기의 분체를 포함한 공기가 보다 느린 속도로 통과되도록 함과 동시에 공기의 통과속도에 맞게 와류가 보다 크게 발생되도록 하여 구심력에 의해 미분이 와류의 안쪽에 위치되도록 하여 미분을 보다 효율적으로 집진할 수 있는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는, 분체를 포함한 공기를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분체를 집진하는 집진기로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도록 상기 공기의 흐름 경로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다수의 와류발생홈이 형성된 다수의 와류발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와류발생부재는 상기 공기의 통과되는 방향측으로 다수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공기의 통과 방향을 기준으로 임의의 열과 전후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열에서 상기 와류발생부재의 위치가 서로 겹치도록 지그재그 배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의 와류발생홈 중앙에는 상기 분체를 포함한 공기가 상기 와류발생홈 안쪽까지 강하게 들어오지 않도록 차단하여 상기 와류발생홈 안쪽에서 와류가 원활하게 발생되도록 상기 와류발생홈의 깊이보다는 짧은 길이로 이루어진 와류유도판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류발생부재는 좌우의 폭이 전후의 폭보다는 넓게 형성되고, 상기 와류발생부재 전후의 폭은 상기 와류발생부재 열들의 사이 간격보다는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류발생부재는, 평면상 "
Figure 112017085098620-pat00001
"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후면에 "ㄷ"자 형상으로 된 2개씩의 상기 와류발생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와류유도판의 길이는 그 단부가 고정되는 중앙벽면 길이의 1/2 길이로 이루어져 와류가 상기 와류발생홈과 상기 와류유도판 사이의 공간에서 각각 균일하게 발생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
상기 와류발생부재는, 공기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전위 상부에는 하방향을 향해, 전위 하부에는 상방향을 향해, 그리고 후위 중앙부에는 상방향과 하방향을 향해 미분이 상기 와류발생부재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해주는 미분차단판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류발생부재의 열은 공기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기 와류발생부재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전위와 후위에 다수의 와류발생홈이 형성되면서 각 와류발생홈 중앙에는 와류발생홈의 깊이보다는 짧은 길이의 와류유도판이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와류발생부재는 공기의 통과되는 방향측으로 다수의 열을 이루면서 공기의 통과 방향을 기준으로 임의의 열과 전후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열에서 와류발생부재의 위치가 서로 겹치도록 지그재그 배치되어 이루어지게 되므로 미분을 포함한 공기가 유입되면 다수의 와류발생부재 사이를 지그재그로 통과하게 되고, 와류유도판에 의해 공기가 차단되어 와류발생홈 안쪽까지 강하게 유입되지 않게 되므로 공기가 와류발생부재의 외측을 스치듯이 통과하면서 오히려 와류발생홈과 와류유도판 사이에서 보다 강하게 와류가 발생될 수 있으며, 와류가 강하게 발생되면 미분은 구심력에 의해 와류의 안쪽으로 보다 많이 유도되어 지속적으로 머물면서 중력에 의해 낙하하게 되는 것이므로 단순하면서도 컴팩트하게 구성되면서도 미분을 용이하게 포집할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의 와류발생부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의 평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의 상세 작용 설명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의 와류발생부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의 평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의 상세 작용 설명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의 평면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가 백필터집진기와 분리 구성되어 전처리 설비로 적용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가 백필터집진기와 일체로 이루어져 전처리 설비로 적용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가 전기집진기와 일체로 구성되어 전처리 설비로 적용되는 경우의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가 다단으로 이루어져 그 자체로 와류발생 집진기를 이루는 경우의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의 미분 집진 효과 설명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의 와류발생부재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의 평면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의 상세 작용 설명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의 와류발생부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의 상세 작용 설명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의 평면 구성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가 백필터집진기와 분리 구성되어 전처리 설비로 적용되는 경우의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가 백필터집진기와 일체로 이루어져 전처리 설비로 적용되는 경우의 예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가 전기집진기와 일체로 구성되어 전처리 설비로 적용되는 경우의 예시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가 다단으로 이루어져 그 자체로 와류발생 집진기를 이루는 경우의 예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의 미분 집진 효과 설명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체를 포함한 공기를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미세한 입경을 가진 분체를 집중하여 집진하는 집진기로서, 케이스(110)와, 케이스(110) 내부에 구비되며 통과되는 공기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도록 공기의 통과 방향측에 와류발생홈(121)이 형성된 다수의 와류발생부재(120)를 포함한다.
이러한 와류발생부재(120)는 공기의 통과되는 방향측으로 다수의 열을 이루도록 배치되어 이루어지는데, 공기가 보다 느린 속도로 통과되면서 공기와 와류발생부재(120)의 와류발생홈(121) 사이의 마찰에 의해 와류가 더욱 용이하게 발생되도록 공기의 통과 방향을 기준으로 임의의 열과 전후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열에서 와류발생부재(120)의 위치가 서로 겹치도록 지그재그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와류발생부재(120)는 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다수의 와류발생홈(121)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다수의 와류발생홈(121) 중앙에는 분체를 포함한 공기가 와류발생홈(121) 안쪽까지 강하게 들어오지 않도록 차단하여 와류발생홈(121) 안쪽에서 와류가 원활하게 발생되도록 와류발생홈(121)의 깊이보다는 짧은 길이로 이루어진 와류유도판(122)이 각각 형성된다.
예를 들어, 와류발생부재(120) 평면상 "
Figure 112017085098620-pat00002
"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후면에 "ㄷ"자 형상으로 된 2개씩의 와류발생홈(121)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며, 와류유도판(122)의 길이는 그 단부가 고정되는 중앙벽면 길이의 1/2 길이로 이루어져 하나의 와류발생홈(121)에 2개씩의 정사각형 와류발생공간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와류가 와류발생홈(121)과 와류유도판(122) 사이의 공간에서 각각 균일하게 발생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와류발생부재(12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전위 상부에는 하방향을 향해, 전위 하부에는 상방향을 향해, 그리고 후위 중앙부에는 상방향과 하방향을 향해 미분이 와류발생부재(120)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해주는 미분차단판(123)이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와류발생부재(120)의 와류발생홈(121)은 와류의 발생이 보다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벽과 벽이 만나는 코너부위를 라운드지게 형성해주어야 한다.
이러한 와류발생부재(120)는 공기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좌우의 폭(W1)이 전후의 폭(W2)보다는 넓게 형성되고, 와류발생부재(120) 전후의 폭(W2)은 와류발생부재(120) 열들의 사이 간격(D)보다는 넓게 형성된다.
한편,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류발생부재(120)의 열은 공기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와류발생부재(120)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배열되어 공기가 후방으로 통과되면서 보다 작은 크기의 미분이 집진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100)는 도 8과 같이 백필터집진기와 분리 구성되어 전처리 설비로 적용될 수 있고, 도 9와 같이 백필터 집진기의 배플 대신 백필터 집진기의 유입측에 일체로 구성되어 전처리 설비로 적용될 수도 있으며, 도 10과 같이 전기집진기와 일체로 구성되어 전처리 설비로 적용될 수도 있다.
물론, 도 1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100)가 다단으로 이루어져 그 자체로 와류발생 집진기를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면상의 미설명 부호 50은 백필터 집진기, 전기 집진기, 싸이클론 집진기 등 모든 집진기를 포함한 집진설비를 나타낸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는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먼저, 다양한 크기의 입경을 갖는 분체를 포함한 공기가 케이스(110) 내부로 유입되면 케이스(110) 내부에 배치된 다수의 와류발생부재(120) 사이를 통과하게 된다.
다수의 와류발생부재(120)는 공기의 통과 방향을 기준으로 다수의 열을 형성하면서 임의의 열과 전후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열에서 와류발생부재가(120) 서로 겹치도록 지그재그로 배치되어 있으므로 공기는 각각의 와류발생부재(120) 사이를 지그재그로 빠져나가면서 진행을 하게 된다.
또한, 와류발생부재(120)는 공기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좌우의 폭(W1)이 전후의 폭(W2)보다는 넓게 형성되는 것이므로 공기가 유입될 때 와류발생부재(120)와 보다 넓은 면적으로 접촉되어 속도가 줄어든 상태로 와류발생부재(120) 사이의 틈새를 통해 유입될 수 있으며, 와류발생부재(120) 사이에는 후위 열의 와류발생부재(120)가 위치하므로 다시 이와 접촉되어 분산되는 방식으로 속도가 보다 느려진 상태로 통과할 수 있으며, 와류발생부재(120) 전후의 폭(W2)이 와류발생부재(120) 열들의 사이 간격(D)보다는 넓게 형성되는 것이므로 공기가 와류발생부재(120)의 사이 틈새로 통과될 때 통과유로를 찾아가는 과정에서 보다 느리게 진행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과정에서 공기가 와류발생부재(120)의 와류발생홈(121) 사이의 마찰 면적이 증대되어 와류발생홈(121)에서는 와류가 발생되는데, 이때 와류발생부재(122)는 평면상 "
Figure 112017085098620-pat00003
"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후면에 "ㄷ"자 형상으로 된 2개씩의 와류발생홈(121)이 각각 형성되므로 공기가 와류발생부재(120) 사이로 지그재그로 유도될 때 공기와 만나는 와류발생부재(120) 전위와 후위의 와류발생홈(121) 모두에서 와류가 각각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와류발생홈(121)의 중앙에는 와류발생홈(121)의 깊이보다는 짧은 길이로 된 와류유도판(122)이 각각 형성되므로 이러한 와류유도판(122)에 의해 공기가 와류발생홈(121) 안쪽까지 강하게 들어오지 못하도록 차단해주게 되므로 와류는 와류발생부재(120)의 겉부분을 스치듯 통과하고, 오히려 와류발생홈(121)과 와류유도판(122) 사이의 공간에서 보다 강한 와류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와류의 발생시 공기 중에 포함된 상대적으로 입경이 크고 무게가 무거운 분체는 원심력이 크게 작용하여 와류를 빠져나가거나, 중력에 의해 낙하하게 되지만 상대적으로 입경이 작고 무게가 가벼운 미세한 크기의 분체는 구심력에 의해 와류의 중심부로 이동하였다가 중력에 의해 하방향으로 낙하하게 되는 것이다.
즉, 공기 중에 포함된 상대적으로 입경이 크고 무거운 분체는 공기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를 통과할 수 있지만 상대적으로 입경이 작고 가벼운 분체는 와류발생에 의해 포집되어 다음 단계로 이동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와류유도판(122)의 길이는 그 단부가 고정되는 중앙벽면 길이의 1/2 길이로 이루어지게 되므로 하나의 와류발생홈(121)에 2개씩의 정사각형 와류발생공간이 형성되어 와류가 와류발생홈(121)과 와류유도판(122) 사이의 공간에서 각각 균일하게 발생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한 정사각형 와류발생공간을 통해 보다 효과적으로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와류발생부재(120)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전위 상부에는 하방향을 향해, 전위 하부에는 상방향을 향해, 그리고 후위 중앙부에는 상방향과 하방향을 향해 미분이 와류발생부재(120)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해주는 미분차단판(123)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와류발생홈(121)과 와류유도판(122) 사이의 공간에 와류가 발생되어 미분이 와류의 안쪽으로 유입되었다가 와류발생부재(120)의 외측으로 빠져나가는 것을 미분차단판(123)을 통해 막아줄 수 있어 보다 많은 량의 미분을 포집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와류발생부재(120)의 열은 공기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와류발생부재(120)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배열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이 구성하게 되면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크기가 작은 미분이 포집될 수 있어 미분의 포집 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이점이 있게 된다.
도 12의 (a)는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100)가 적용되지 않은 일반적인 집진설비(50)이고, 도 12의 (b)는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100)가 적용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전처리 설비가 있는 일반적인 집진설비(50)에서의 집진 효과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도 12 (a)의 경우 전처리 단계없이 미분이 공기와 같이 집진설비(50)까지 이동하게 되고, 상대적으로 입경이 큰 미분은 집진설비(50)를 통해 포집되지만 미분은 다시 집진설비(50)를 통과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도 12 (b)의 경우 전처리 단계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상대적으로 입경이 큰 분체가 포집되어 본 집진설비(50)에서의 분진포집 효과를 더욱 좋게 할 수는 있으나, 전처리 단계에서 미분이 포집되지 않은 채 공기와 함께 집진설비(50)까지 이동하여 다시 집진설비(50)에서도 이를 걸러주지 못하고 그대로 통과됨으로써 작업자의 건강을 악화시키고, 대기오염을 일으킬 수밖에 없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100)가 전처리 단계에서 적용되는 집진설비(50)의 경우 도 12 (c)와 같이 상대적으로 입경이 작고 가벼운 미분은 이미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100)를 통해 포집된 상태이므로 공기 중에 포함된 상대적으로 입경이 큰 분체가 공기와 함께 집진설비로 이동하더라도 이를 집진설비(50)를 통해 용이하게 걸러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미분의 경우 집진설비(5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필터를 막아 차압을 높이는 단점이 있게 되나,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100)를 집진설비(50)의 전처리 단계에 적용하게 되면 전처리 단계에서 공기 중에 포함된 상대적으로 입경이 작고 가벼운 미분을 포집할 수 있으므로 집진설비(50)의 배출농도를 극히 작게 만들어 차압을 낮추어줄 수 있으므로 수명을 연장할 수 있고, 집진설비(50)의 필터 개수를 적게하여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도 있게 된다.
한편, 습식 집진설비의 경우 공기와 함께 미세물방울이 배출되는 것이므로 본 발명에 따른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100)를 공기 배출측에 배치하여 공기 중의 미세물방울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50 : 집진설비 100 : 미분 집진기
110 : 케이스 120 : 와류발생부재
121 : 와류발생홈 122 : 와류유도판
123 : 미분차단판

Claims (5)

  1. 분체를 포함한 공기를 통과시키는 과정에서 상기 분체를 집진하는 집진기로서,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공기에 의해 와류가 발생되도록 상기 공기의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에 각각 다수의 와류발생홈이 형성된 다수의 와류발생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와류발생부재는 상기 공기의 통과되는 방향측으로 다수의 열을 이루면서 상기 공기의 통과 방향을 기준으로 임의의 열과 전후방향으로 인접한 다른 열에서 상기 와류발생부재의 위치가 서로 겹치도록 지그재그 배치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다수의 와류발생홈 중앙에는 상기 분체를 포함한 공기가 상기 와류발생홈 안쪽까지 강하게 들어오지 않도록 차단하여 상기 와류발생홈 안쪽에서 와류가 원활하게 발생되도록 상기 와류발생홈의 깊이보다는 짧은 길이로 이루어진 와류유도판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부재는 공기 흐름방향을 기준으로 좌우의 폭이 전후의 폭보다는 넓게 형성되고, 상기 와류발생부재 전후의 폭은 상기 와류발생부재 열들의 사이 간격보다는 넓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부재는, 평면상 "
    Figure 112017085098620-pat00004
    " 형상으로 이루어져 전후면에 "ㄷ"자 형상으로 된 2개씩의 상기 와류발생홈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와류유도판의 길이는 그 단부가 고정되는 중앙벽면 길이의 1/2 길이로 이루어져 와류가 상기 와류발생홈과 상기 와류유도판 사이의 공간에서 각각 균일하게 발생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부재는, 공기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전위 상부에는 하방향을 향해, 전위 하부에는 상방향을 향해, 그리고 후위 중앙부에는 상방향과 하방향을 향해 미분이 상기 와류발생부재 외측으로 누출되는 것을 차단해주는 미분차단판이 각각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발생부재의 열은 공기 흐름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기 와류발생부재의 크기가 작아지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
KR1020170111805A 2017-09-01 2017-09-01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 KR101838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805A KR101838745B1 (ko) 2017-09-01 2017-09-01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11805A KR101838745B1 (ko) 2017-09-01 2017-09-01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8745B1 true KR101838745B1 (ko) 2018-03-14

Family

ID=61660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1805A KR101838745B1 (ko) 2017-09-01 2017-09-01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87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034B1 (ko) 2018-07-12 2018-10-18 주식회사 마이크로원 원료저장고 내부 집진환경 개선 시스템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25274A (en) * 1930-12-05 1931-09-29 Modern Coal Burner Company Dust recovery device
JPS5670813A (en) * 1979-11-12 1981-06-13 Hitachi Ltd Oil separator
JP2000262821A (ja) * 1999-03-17 2000-09-26 Dai-Dan Co Ltd 粉体回収フィルタ及び粉体回収フィルタユニット
JP2012152664A (ja) * 2011-01-24 2012-08-16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蒸気乾燥器及び沸騰水型原子炉
KR101259073B1 (ko) * 2012-08-03 2013-04-29 조정웅 방습방진기가 구비된 케이스
JP2014013952A (ja) * 2012-07-03 2014-01-23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装置及び通信方法
JP2014139523A (ja) * 2013-01-21 2014-07-31 Toshiba Corp 蒸気乾燥器
KR20150057462A (ko) * 2013-11-19 2015-05-28 주식회사 포스코 수분 및 더스트 포집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25274A (en) * 1930-12-05 1931-09-29 Modern Coal Burner Company Dust recovery device
JPS5670813A (en) * 1979-11-12 1981-06-13 Hitachi Ltd Oil separator
JP2000262821A (ja) * 1999-03-17 2000-09-26 Dai-Dan Co Ltd 粉体回収フィルタ及び粉体回収フィルタユニット
JP2012152664A (ja) * 2011-01-24 2012-08-16 Hitachi-Ge Nuclear Energy Ltd 蒸気乾燥器及び沸騰水型原子炉
JP2014013952A (ja) * 2012-07-03 2014-01-23 Ntt Docomo Inc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ユーザ装置及び通信方法
KR101259073B1 (ko) * 2012-08-03 2013-04-29 조정웅 방습방진기가 구비된 케이스
JP2014139523A (ja) * 2013-01-21 2014-07-31 Toshiba Corp 蒸気乾燥器
KR20150057462A (ko) * 2013-11-19 2015-05-28 주식회사 포스코 수분 및 더스트 포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034B1 (ko) 2018-07-12 2018-10-18 주식회사 마이크로원 원료저장고 내부 집진환경 개선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92834C1 (ru) Циклонный пылеуловитель с элементом для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противотока загрязняющих частиц
US20130036906A1 (en) Vane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2011011109A (ja) オイルミストコレクタ
CN203874627U (zh) 一种油雾收集装置
JP3177816U (ja) オイルミストコレクタ
KR101838745B1 (ko)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
JP2017042733A (ja) 微粒子分離装置
US11338232B2 (en) Efficient non-clogging inertial vortex type particle scrubber
KR20180075019A (ko) 미세먼지 집진을 위한 일체형 산업용 집진기
RU17161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онкой пылегазоочистки
JP7453414B2 (ja) フィルターバッグ保護エアカーテン生成モジュールを含むろ過集塵機の粉塵再飛散防止装置及びこれを備えるろ過集塵機
CN210613229U (zh) 过滤装置
KR20180136740A (ko) 정전기 충전된 부직포 입자 필터를 이용하는 먼지 포집 집진장치
CN111468405A (zh) 轻重物质分离系统
KR20170104838A (ko) 와류발생을 통한 미분 집진기
US3538688A (en) Lower filter assembly
CN212310092U (zh) 轻重物质分离系统
KR101250687B1 (ko) 평행 싸이클론
KR20110076710A (ko) 미스트 포집장치
US20130340618A1 (en) Filter design and process of capturing particles
JP5915351B2 (ja) 除塵装置
JP2007098339A (ja) サイクロン式オイルミストコレクターの処理装置
JP2009089764A (ja) 電気掃除機
JP7054286B2 (ja) 粉塵等除去用セパレータ
KR101864499B1 (ko) 습식 공기청정기용 필터디스크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